KR20200128189A - 수지제관 이음매 - Google Patents

수지제관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189A
KR20200128189A KR1020207031497A KR20207031497A KR20200128189A KR 20200128189 A KR20200128189 A KR 20200128189A KR 1020207031497 A KR1020207031497 A KR 1020207031497A KR 20207031497 A KR20207031497 A KR 20207031497A KR 20200128189 A KR20200128189 A KR 20200128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otrusion
inner ring
axial direction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652B1 (ko
Inventor
마코토 후지이
도시히데 이이다
도모유키 고이케
모토아키 나루오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8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16L47/041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the plastic pipe end being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4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the ring being an ins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4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outer parts being segmented, the segments being pressed against the hose by tangentially arranged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이음매 본체와 이너 링의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치환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를 제공한다. 수지제관 이음매는 본체 통부, 외측 통부, 내측 통부 및 홈부를 갖는 이음매 본체와, 감합부(31), 압입부, 외측 돌출부(33) 및 통형상의 내측 돌출부(34)를 갖는 이너 링과, 너트 본체 및 압압부를 갖는 유니온 너트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 통부는 통 구멍으로 구성된 유체 유로를 갖는다. 상기 내측 돌출부는 상기 내측 통부와 축심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 축심 방향 다른쪽에 돌출설치되고, 통 구멍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내측 통부의 유체 유로에 연통 접속될 수 있는 유체 유로를 갖는다. 상기 내측 돌출부의 돌출 단부는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의 최소 내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다. 상기 이너 링의 축심 방향 다른쪽에서 축심 방향 한쪽을 향함에 따라 해당 내측 돌출부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제 1 내주면이 상기 내측 돌출부의 내주부에 구비된다.

Description

수지제관 이음매{RESINOUS PIPE JOINT}
본 발명은 수지제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도체 제조, 의료·의약품 제조, 식품 가공 및 화학공업 등의 기술 분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수지제관 이음매는 초순수 또는 약액 등의 유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튜브를 별도의 튜브 또는 유체 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는 이음매 본체와, 이너 링과,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음매 본체는 본체 통부와, 외측 통부와, 내측 통부와, 홈부와, 제 1 나사맞춤부를 갖고 있다. 상기 외측 통부는 상기 본체 통부에서 그 축심 방향 한쪽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통부는 상기 외측 통부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본체 통부에서 상기 외측 통부와 동일 방향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홈부는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 통부의 축심 방향 한쪽에 개구하도록 상기 외측 통부와 상기 내측 통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나사맞춤부는 외측 통부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너 링은 감합부(끼워맞춤부)와, 압입부와, 외측 돌출부와, 내측 돌출부를 갖고 있다. 상기 감합부는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측 통부의 내측에 감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입부는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서 축심 방향 한쪽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는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음매 본체의 홈부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는 통형상을 가지며, 축심 방향에 관해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는 또, 상기 내측 통부와 접촉할 때에 상기 외측 돌출부와 상기 내측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내측 통부를 직경 방향으로 사이에 두도록 상기 외측 돌출부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는 너트 본체와, 제 2 나사맞춤부와, 압압부를 갖고 있다. 상기 너트 본체는 통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제 2 나사맞춤부는 상기 제 1 나사맞춤부에 나사맞춤할 수 있도록 상기 너트 본체의 내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는 상기 제 1 나사맞춤부에 대한 상기 제 2 나사맞춤부의 나사전진에 수반하여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를 상기 본체 통부의 축심 방향 다른쪽에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는 상기 유니온 너트가 상기 이음매 본체에 대해 조여지는 것에 의해서, 시일력이 직경 방향에 작용하는 시일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홈부와 이너 링의 외측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도록, 또한, 시일력이 축심 방향에 작용하는 별도의 시일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와 상기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이음매 본체가 상기 이너 링을 통해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100876호
종래의 수지제관 이음매에 있어서는 유니온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이음매 본체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가 연결될 때, 이너 링의 외측 돌출부가, 시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이음매 본체의 홈부에 압입된다. 그 때문에, 상기 내측 통부가 상기 외측 돌출부에 의해 직경 방향 안쪽으로 눌린다. 그리고, 상기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가 별도의 시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통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통부에 의해 직경 방향 안쪽으로 눌린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이너 링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출부의 일부가 해당 내측 돌출부의 직경 방향 안쪽에 마련된 유체 유로내에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유체가 상기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너 링의 사이를 흐를 때, 이 유체의 흐름이 상기 이너 링의 유체 유로 부근에 있어서, 해당 유체 유로내에 돌출된 상기 내측 돌출부의 일부에 의해 방해받아, 유체가 상기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너 링의 이음매 개소에 체류하고, 유체의 치환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유체의 치환성의 저하는 예를 들면, 유체에 포함되는 성분이 석출되어 파티클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나, 상기 튜브의 플러싱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음매 본체와 이너 링의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치환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접합 가능한 수지제관 이음매에 있어서, 본체 통부, 상기 본체 통부에 그 축심 방향 한쪽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된 외측 통부, 상기 외측 통부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통부에 상기 외측 통부와 동일 방향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된 내측 통부, 상기 본체 통부의 축심 방향 한쪽에 개구하도록 상기 본체 통부와 상기 외측 통부와 상기 내측 통부의 사이에 마련된 홈부 및, 상기 외측 통부의 외주부에 마련된 제 1 나사맞춤부를 갖는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측 통부의 내측에 감합될 수 있는 통형상의 감합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 축심 방향 한쪽에 돌출설치된 통형상의 압입부, 상기 이음매 본체의 홈부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 축심 방향 다른쪽에 돌출설치된 통형상의 외측 돌출부 및,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와 축심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 축심 방향 다른쪽에 돌출설치된 통형상의 내측 돌출부로서, 상기 내측 통부와 접촉할 때에 상기 외측 돌출부와의 사이에 상기 내측 통부를 직경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상기 외측 돌출부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된 내측 돌출부를 갖는 이너 링과, 통형상의 너트 본체, 상기 이음매 본체의 제 1 나사맞춤부에 나사맞춤할 수 있도록 상기 너트 본체의 내주부에 마련된 제 2 나사맞춤부, 상기 제 1 나사맞춤부에 대한 상기 제 2 나사맞춤부의 나사전진에 수반해서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를 압입한 튜브를 해당 압입부를 향해 압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압부를 갖는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의 내주부 및 상기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의 내주부는 해당 내측 통부와 해당 내측 돌출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서로 연통하는 유체 유로의 유로벽을 구성하고, 상기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의 돌출 단부는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의 최소 내경 이상의 내경을 갖고, 상기 이너 링의 축심 방향 다른쪽에서 축심 방향 한쪽을 향함에 따라 해당 내측 돌출부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제 1 내주면이 상기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의 내주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너 링의 외측 돌출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홈부에게 압입되었을 때,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가 상기 외측 돌출부에 의해 직경 방향 안쪽으로 눌린다. 그 때문에, 상기 외측 돌출부와 협동하여 내측 통부를 직경 방향으로 사이에 두는 상기 내측 돌출부가 상기 내측 통부에 의해 직경 방향 안쪽에게 눌린다. 이것에 의해, 상기 내측 돌출부가, 상기 내주면이 직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이 때, 상기 내주면이 전술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상기 내측 돌출부가 상기 이너 링의 유체 유로내로 돌출하도록 변형되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접합된 후의 상태에서, 유체가 상기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너 링의 사이를 흐를 때, 상기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너 링의 연통 영역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존재시키지 않아도 좋아,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너 링의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치환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내주면은 테이퍼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내주면은 상기 이너 링의 직경 방향 안쪽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볼록 곡면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너 링의 외측 돌출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홈부에 압입되었을 때, 상기 내측 돌출부의 내주면을 더욱 매끄러운 면으로, 즉 상기 내측 돌출부에 마련된 유체 유로의 유로 단면적을 더욱 정확하게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면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링의 유체 유로에 있어서, 유체의 원활한 흐름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는, 상기 제 1 나사맞춤부에 대한 상기 제 2 나사맞춤부의 나사전진시에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압압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경사부로서, 상기 이너 링의 축심 방향 다른쪽에서 축심 방향 한쪽을 향함에 따라 외경이 축소하도록, 해당 압입부의 돌출 단부의 외주부에 마련된 경사부와, 상기 이너 링의 축심 방향 한쪽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을 향함에 따라 상기 압입부의 돌출 단부의 내경을 축소시키도록, 해당 압입부의 돌출 단부의 내주부에 마련된 제 2 내주면과, 상기 이너 링의 축심 방향 한쪽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을 향함에 따라 상기 압입부의 돌출 단부의 내경을 축소시키도록, 해당 압입부의 돌출 단부의 내주부에 마련된 제 3 내주면으로서, 상기 제 2 내주면의 구배보다 작은 구배를 갖고, 상기 제 2 내주면의 축심 방향 다른쪽이고 또한 상기 경사부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된 제 3 내주면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유니온 너트의 제 2 나사맞춤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제 1 나사맞춤부에 나사맞춤되었을 때,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의 경사부가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의해 눌린다. 이 때, 상기 경사부는 압압부의 압압력을 해당 경사부에 평행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분산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압입부의 돌출 단부가, 상기 제 2 내주면 및 상기 제 3 내주면이 상기 이너 링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이 때, 상기 제 2 내주면 및 상기 제 3 내주면이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기 때문에, 상기 압입부의 돌출 단부가 상기 이너 링의 유체 유로내로 돌출하도록 변형되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접합된 후의 상태에서, 유체가 상기 튜브와 상기 이너 링의 사이를 흐를 때, 상기 튜브와 상기 이너 링의 연통 영역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존재시키지 않아도 좋아,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와 상기 이너 링의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치환성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매 본체와 이너 링의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치환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관 이음매가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접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지제관 이음매의 이너 링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수지제관 이음매와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접합 전에 있어서의 수지제관 이음매의 이음매 본체와 이너 링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수지제관 이음매와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접합 후에 있어서의 수지제관 이음매의 이음매 본체와 이너 링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내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너 링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이너 링의 압입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1의 수지제관 이음매와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접합 전에 있어서의 수지제관 이음매의 이너 링과 튜브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수지제관 이음매와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접합 후에 있어서의 수지제관 이음매의 이너 링과 튜브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압입부의 돌출 단부를 포함하는 이너 링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관 이음매(1)가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와 접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수지제관 이음매(1)는 유체(예를 들면, 초순수 또는 약액 등의 액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튜브(2)를 별도의 튜브 또는 소정의 유체 기기(예를 들면, 밸브나 펌프)에 연결시키기 위해,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지제관 이음매(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와 접합된다.
수지제관 이음매(1)는 이음매 본체(5)와, 이너 링(6)과, 유니온 너트(7)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튜브(2)는 가요성을 갖는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PTFE(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음매 본체(5)는 본체 통부(11)와, 외측 통부(12)와, 내측 통부(13)와, 홈부(14)와, 제 1 나사맞춤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매 본체(5)는 또, 유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유체 유로(1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음매 본체(5)는 통 구멍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 유로(18)는 상기 통 구멍으로 구성되며, 이음매 본체(5)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이음매 본체(5)에 마련되어 있다.
이음매 본체(5)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TFE,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ETFE(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FEP(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헥사 플루오르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불소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또한, 이음매 본체(5)(본체 통부(11))의 축심은 수지제관 이음매(1)의 축심(20)과 일치한다.
본체 통부(11)는 제 1 유체 유로(21)를 갖고 있다. 제 1 유체 유로(21)는 이음매 본체(5)의 유체 유로(18)에 포함된다. 제 1 유체 유로(21)는 이음매 본체(5)(본체 통부(11))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본체 통부(11)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 통부(1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유체 유로(21)는 본체 통부(11)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일정한 구멍 직경을 갖는 통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외측 통부(1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통부(11)에 그 축심 방향 한쪽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외측 통부(12)는 본체 통부(11)의 축심 방향 한쪽에 개구하는 받이구를 갖고 있다. 외측 통부(12)는 또, 이너 링(6)과 해당 이너 링(6)을 압입한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를 상기 받이구으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는 통 구멍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 통부(1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13)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통부(12)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본체 통부(11)에 외측 통부(12)와 동일 방향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내측 통부(13)는 그 돌출 단부(축심 방향 한쪽의 단부)(22)가 외측 통부(12)의 돌출 단부(축심 방향 한쪽의 단부)(23)보다 이음매 본체(5)의 축심 방향 다른쪽에 위치하도록, 본체 통부(11)의 축심 방향 한쪽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측 통부(1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13)는 본체 통부(11)의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의 최소 내경 D0을 갖고 있다(도 2 참조). 내측 통부(13)는 또한 일정한 외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내측 통부(13)는 외측 통부(12)보다 이음매 본체(5)의 직경 방향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내측 통부(13)는 외측 통부(12)와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내측 통부(13)는 제 2 유체 유로(24)를 갖고 있다. 제 2 유체 유로(24)는 이음매 본체(5)의 유체 유로(18)에 포함된다. 제 2 유체 유로(24)는 대략 일정한 구멍 직경을 갖는 내측 통부(13)의 통 구멍으로 구성되며, 이음매 본체(5)(내측 통부(13))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내측 통부(13)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유체 유로(24)는 제 1 유체 유로(21)와 대략 동일한 유로 단면적을 가지며, 제 1 유체 유로(21)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13)는 제 1 시일면(26)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시일면(26)은 내측 통부(13)의 돌출 단부(22)의 내주부의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환상의 테이퍼면이다. 제 1 시일면(26)은 내측 통부(13)의 돌출 단부(22)의 내경이 본체 통부(11)의 축심 방향 한쪽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본체 통부(11)측)을 향함에 따라 축소하도록, 돌출 단부(22)의 내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홈부(14)는 본체 통부(11)의 축심 방향 한쪽에 개구하도록, 본체 통부(11)와 외측 통부(12)와 내측 통부(13)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통부(11)와 외측 통부(12)와 내측 통부(13)에 의해서 둘러싸인 환상 홈의 영역이 홈부(14)로 된다. 홈부(14)는 외측 통부(12) 및 내측 통부(13)의 직경 방향에 관해, 대략 일정한 직경 방향 폭을 갖고 있다. 홈부(14)의 직경 방향 폭은 이너 링(6)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외측 돌출부(33)의 직경 방향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나사맞춤부(15)는 외측 통부(12)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나사맞춤부(1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나사이다. 이 수나사는 외측 통부(12)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외측 통부(12)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너 링(6)은 감합부(31)와, 압입부(32)와, 외측 돌출부(33)와, 내측 돌출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너 링(6)은 또, 유체를 유통시키기 위해 이너 링(6)의 링 구멍(40)으로 구성된 유체 유로(37)를 구비하고 있다. 유체 유로(37)는 이너 링(6)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이너 링(6)에 마련되어 있다.
이너 링(6)은 유체 유로(37)가 이음매 본체(5)의 유체 유로(18) 및 튜브(2)의 유체 유로(39)와 연통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너 링(6)은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있다. 여기서, 이너 링(6)의 내경(링 구멍(40)의 구멍 직경)은 이너 링(6)의 축심 방향 양단부를 제외하고 대략 일정하다.
감합부(31)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음매 본체(5)의 외측 통부(12)의 내측에 감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합부(31)는 외측 통부(12)의 내주 형상에 따른 형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31)는 외측 통부(12)의 내측에 감합되었을 때에 해당 외측 통부(12)의 내주부와 접촉하도록, 외측 통부(12)의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의 외경을 갖고 있다.
감합부(31)는 제 3 유체 유로(41)를 갖고 있다. 제 3 유체 유로(41)는 이너 링(6)의 유체 유로(37)에 포함된다. 제 3 유체 유로(41)는 감합부(31)의 통 구멍(링 구멍(40))으로 구성되며, 이너 링(6)(감합부(31))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감합부(31)에 마련되어 있다. 제 3 유체 유로(41)는 대략 일정한 유로 단면적을 갖고 있다.
압입부(3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에 압입될 수 있도록 감합부(31)에서 이너 링(6)의 축심 방향 한쪽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압입부(32)는 외경 및 내경이 변화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32)는 감합부(31)의 내경 및 튜브(2)의 내경의 각각과 대략 동일 치수의 내경을 갖고 있다. 압입부(32)는 또, 튜브(2)의 내경보다 큰 치수의 외경을 갖고 있다.
압입부(32)는 제 4 유체 유로(42)를 갖고 있다. 제 4 유체 유로(42)는 이너 링(6)의 유체 유로(37)에 포함된다. 제 4 유체 유로(42)는 압입부(32)의 통 구멍(링 구멍(40))으로 구성되며, 이너 링(6)(압입부(32))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압입부(32)에 마련되어 있다. 제 4 유체 유로(42)는 제 3 유체 유로(41)와 대략 동일한 유로 단면적을 가지며, 제 3 유체 유로(41)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4 유체 유로(42)는 제 3 유체 유로(41)와 동축상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4 유체 유로(42)는 튜브(2)의 유체 유로(39)와 동축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접속 부분을 통해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4 유체 유로(42)는 제 3 유체 유로(41)와 대략 동일한 유로 단면적에 부가하여, 튜브(2)의 유체 유로(39)의 유로 단면적과 대략 동일한 유로 단면적을 갖고 있다.
외측 돌출부(33)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음매 본체(5)의 홈부(14)에 압입될 수 있도록 감합부(31)로부터 이너 링(6)의 축심 방향 다른쪽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외측 돌출부(33)는 홈부(14)에 따른 형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돌출부(33)는 홈부(14)에 압입될 수 있도록, 홈부(14)의 직경 방향 폭보다 큰 직경 방향 폭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외측 돌출부(33)는 이음매 본체(5)의 외측 통부(12)의 내경과 동일 또는 그보다 큰 외경 및,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있다. 홈부(14)에의 압입시에 내측 통부(13)와 직경 방향으로 접촉하는 외측 돌출부(33)의 내경은 내측 통부(13)의 외경과 마찬가지로, 이너 링(6)의 축심 방향에 관해, 외측 돌출부(33)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와 이너 링(6)의 축심 방향에 접촉할 수 있도록, 감합부(31)에 축심 방향 다른쪽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외경 및 내경이 변화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또, 내측 통부(13)와 접촉할 때에 외측 돌출부(33)와의 사이에 내측 통부(13)를 이너 링(6)의 직경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외측 돌출부(33)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그 돌출 단부(축심 방향 다른쪽의 단부)(45)가 외측 돌출부(33)의 돌출 단부(축심 방향 다른쪽의 단부)(46)보다 이너 링(6)의 축심 방향 한쪽측에 위치하도록, 감합부(31)의 축심 방향 다른쪽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감합부(31)의 내경 이상의 내경을 갖고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또,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의 내경(돌출 단부(22)의 내경 제외) 이상의 내경을 갖고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감합부(31)가 이음매 본체(5)의 외측 통부(12)의 내측에 감합되었을 때,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와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제 5 유체 유로(48)를 갖고 있다. 제 5 유체 유로(48)는 이너 링(6)의 유체 유로(37)에 포함된다. 제 5 유체 유로(48)는 내측 돌출부(34)의 통 구멍(링 구멍(40))으로 구성되고, 이너 링(6)(내측 돌출부(34))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내측 돌출부(34)에 마련되어 있다. 제 5 유체 유로(48)는 제 3 유체 유로(41)와 대략 동일한 유로 단면적을 갖고, 제 3 유체 유로(41)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5 유체 유로(48)는 제 3 유체 유로(41)와 동축상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5 유체 유로(48)는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의 제 2 유체 유로(24)와 동축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접속 부분을 통해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5 유체 유로(48)는 제 3 유체 유로(41)와 대략 동일한 유로 단면적에 부가하여, 내측 통부(13)의 제 2 유체 유로(24)의 유로 단면적과 대략 동일한 유로 단면적을 갖고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제 2 시일면(49)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시일면(49)은 내측 돌출부(34)의 돌출 단부(45)의 외주부의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환상의 테이퍼면이고, 제 1 시일면(26)과 당접(맞닿음)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시일면(49)은 내측 돌출부(34)의 돌출 단부(45)의 외경이 이너 링(6)의 축심 방향 한쪽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을 향함에 따라 축소하도록, 내측 돌출부(34)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7)는 너트 본체(51)와, 제 2 나사맞춤부(52)와, 압압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유니온 너트(7)는 또, 이음매 본체(5)의 외측 통부(12) 및 튜브(2)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이들 쌍방을 포위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구부는 유니온 너트(7)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해당 유니온 너트(7)의 중심부에 마련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7)는 튜브(2)에 대해 그 축심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외부끼움되고, 튜브(2)에 외부끼움된 상태에서 이음매 본체(5)의 외측 통부(12)에 외주측으로부터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7)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너트 본체(51)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너트 본체(51)는 제 1 포위부(55)와, 제 2 포위부(56)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포위부(55)는 튜브(2)에 헐겁게 끼울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포위부(56)는 이음매 본체(5)의 외측 통부(12)에 조여질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포위부(56)는 제 1 포위부(55)에 대해 축 방향 다른쪽측에 동축적으로 연장설치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나사맞춤부(52)는 이음매 본체(5)의 제 1 나사맞춤부(15)에 나사맞춤할 수 있도록 너트 본체(51)의 내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나사맞춤부(5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나사맞춤부(15)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이다. 이 암나사는 제 1 나사맞춤부(15)의 수나사에 나사맞춤하도록, 너트 본체(51)의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너트 본체(51)의 제 2 포위부(56)의 내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압압부(53)는 제 1 나사맞춤부(15)에 대한 제 2 나사맞춤부(52)의 나사전진에 수반하여 이너 링(6)의 압입부(32)를 압입한 튜브(2)를 해당 압입부(32)를 향해 압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압부(53)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53)는 너트 본체(51)의 제 1 포위부(55)의 내주부의 축심 방향 다른쪽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압압부(53)는 제 1 포위부(55)의 직경 방향 안쪽이고 또한 축심 방향 다른쪽에 임하는 각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압압부(53)는 제 1 나사맞춤부(15)에 대한 제 2 나사맞춤부(52)의 나사전진에 의해서, 이너 링(6)의 압입부(32)를 압입한 상태의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더 나아가서는 압입부(32))를 수지제관 이음매(1)의 축심 방향 다른쪽에 압압하도록, 압입부(32)에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지제관 이음매(1)를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와 접합할 수 있다. 즉, 그 접합시에는 유니온 너트(7)가 튜브(2)에 대해 그 축심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유니온 너트(7)를 튜브(2)에 외부 끼움한다. 그와 전후하여, 이너 링(6)의 압입부(32)를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에 압입한다.
다음에, 이너 링(6)의 외측 돌출부(33)를 이음매 본체(5)의 외측 통부(12)에 그 받이구부터 삽입한다. 이 때, 이너 링(6)의 외측 돌출부(33)가 이음매 본체(5)의 홈부(14)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이너 링(6)의 내측 돌출부(34)가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에 근접하도록, 이너 링(6)의 감합부(31)를 외측 통부(12)의 내측에 감합시킨다.
다음에, 유니온 너트(7)의 제 2 나사맞춤부(52)가 이음매 본체(5)의 제 1 나사맞춤부(15)에 나사맞춤하도록, 유니온 너트(7)의 너트 본체(51)의 축심 방향 다른쪽의 단부를 이음매 본체(5)의 외측 통부(12)의 축심 방향 한쪽의 단부에 외부 끼움한다. 마지막으로, 유니온 너트(7)를 이음매 본체(5)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면서, 제 2 나사맞춤부(52)를 제 1 나사맞춤부(15)에 대해 나사전진시키는 것에 의해서, 유니온 너트(7)를 이음매 본체(5)에 대해 조인다. 그 결과, 수지제관 이음매(1)를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와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지제관 이음매(1)가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와 접합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시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시일부는 수지제관 이음매(1)의 유체 유로(이음매 본체(5)의 유체 유로(18), 이너 링(6)의 유체 유로(37)) 및 튜브(2)의 유체 유로(39)를 흐르는 유체가 해당 유체 유로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시일부는 이음매 본체(5)와 이너 링(6)의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61) 및 제 2 시일부(62)와, 이너 링(6)과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의 사이를 시일하는 제 3 시일부(63)를 포함한다. 제 1 시일부(61)는 전술한 접합 후의 상태에서는 외측 돌출부(33)가 홈부(14)에 압입되므로, 외측 돌출부(33)와 홈부(14)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시일부(62)는 전술한 접합 후의 상태에서는 내측 돌출부(34)의 제 2 시일면(49)이 내측 통부(13)의 제 1 시일면(26)에 압접하므로, 내측 통부(13)와 내측 돌출부(34)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 3 시일부(63)는 전술한 접합 후의 상태에서는 유니온 너트(7)의 압압부(53)가 튜브(2)를 압입부(32)를 향해 압압하므로, 압입부(32)와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2는 수지제관 이음매(1)에 있어서의 이너 링(6)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너 링(6)의 내측 돌출부(34) 부근의 단면도이다.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의 내주부 및 이너 링(6)의 내측 돌출부(34)의 내주부는 각각, 해당 내측 통부(13)와 해당 내측 돌출부(34)의 접촉에 의해서 서로 연통하는 유체 유로의 유로벽을 구성한다. 여기서는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의 내주부에 제 2 유체 유로(24)의 유로벽이 마련되고, 이너 링(6)의 내측 돌출부(34)의 내주부에 제 5 유체 유로(48)의 유로벽이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돌출부(34)의 돌출 단부(45)는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의 최소 내경 D0 이상의 내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돌출부(34)의 축심 방향 다른쪽(돌출 단부(45)측)에서 축심 방향 한쪽(감합부(31)측)을 향함에 따라 내측 돌출부(34)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제 1 내주면(71)이 내측 돌출부(34)의 내주부에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내주면(71)은 제 5 유체 유로(48)의 유로벽의 일부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너 링(6)의 링 구멍(40)에 임하도록 내측 돌출부(34)의 내주부의 전체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주면(71)은 내측 돌출부(34)의 내주부 중 축심 방향 다른쪽(돌출 단부(45)측)의 일부에서, 내측 돌출부(34)의 축심 방향(이너 링(6)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돌출 단부(45)를 향해 확대되도록, 돌출 단부(45)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주면(71)은 테이퍼면이다. 제 1 내주면(71)은 이너 링(6)의 축심(66)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도 2 및 도 3 참조), 축심(66)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상선(75)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1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축심 방향 다른쪽측(돌출 단부(45)측)에서 최대 내경 D2를 갖고, 내측 돌출부(34)의 축심 방향 한쪽측에서 최소 내경 D1을 갖고 있다.
내측 돌출부(34)의 최대 내경 D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돌출부(34) 중의 돌출 단부(45)의 내경에 상당하는 것이며, 내측 통부(13)의 최소 내경 D0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출 단부(45)는 외측 돌출부(33)가 이음매 본체(5)의 외측 통부(12)에 그 받이구부터 삽입된 시점에서는 제 1 시일면(26)의 직경 방향 중도부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통 접속하도록 내측 돌출부(34)와 인접하는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는 내측 돌출부(34)의 최소 내경 D1과 대략 동일 치수의 최소 내경 D0을 갖고 있다. 또, 내측 돌출부(34)에 연속되는 감합부(31)도 내측 돌출부(34)의 최소 내경 D1과 대략 동일 치수의 내경을 갖고 있다. 또한, 내측 돌출부(34)의 최소 내경 D1과 내측 통부(13)의 최소 내경 D0의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 돌출부(34)의 최소 내경 D1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이면 내측 통부(13)의 내경보다 크거나 작아도 좋다.
제 1 내주면(71)이 직선형상 테이퍼면인 경우에는 제 1 내주면(71)과 그것에 연속되는 축심 방향 한쪽측의 내주면의 경계부는 매끄러운 만곡면(둥근 모따기)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가요성을 갖고 있다. 내측 돌출부(34)는 내측 돌출부(34)와 감합부(31)의 경계 부분을 지점으로 해서 돌출 단부(45)가 이너 링(6)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즉 상기 소정의 각도 θ1이 작아지도록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변형시에는 제 1 내주면(71)이 감합부(31)의 내주면(78)의 연장선(79)상에 위치하는(상기 각도 θ1이 0℃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 본체(5)에 대해 분리 상태에 있는 이너 링(6)의 외측 돌출부(33)가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 본체(5)의 홈부(14)에 압입되었을 때, 이음매 본체(5)의 내측 통부(13)가 외측 돌출부(33)에 의해 직경 방향 안쪽으로 눌린다. 그 때문에, 외측 돌출부(33)와의 사이에 내측 통부(13)를 직경 방향으로 배치하는 내측 돌출부(34)가 내측 통부(13)에 의해 직경 방향 안쪽으로 눌린다.
이것에 의해, 내측 돌출부(34)가, 제 1 내주면(71)이 이너 링(6)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이 때, 돌출 단부(45)를 향해 직경확대하는 테이퍼면이었던 제 1 내주면(71)이 직경축소하도록(축심 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변형된다. 즉, 제 1 내주면(71)이 내측 돌출부(34)의 축심 방향 한쪽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을 향함에 따라 내측 돌출부(34)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내측 돌출부(34)가 이너 링(6)의 유체 유로(37)(제 5 유체 유로(48))내로 돌출하도록 변형되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제관 이음매(1)가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와 접합된 후의 상태에서, 유체가 이음매 본체(5)와 이너 링(6)의 사이를 흐를 때, 이음매 본체(5)와 이너 링(6)의 연통 영역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존재시키지 않아도 좋아,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음매 본체(5)와 이너 링(6)의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치환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너 링(6)의 내측 돌출부(34)의 내주면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면인 제 1 내주면(71)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6)의 축심(66)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이너 링(6)의 직경 방향 안쪽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볼록 곡면인 별도의 제 1 내주면(81)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이너 링(6)의 외측 돌출부(33)가 이음매 본체(5)의 홈부(14)에 압입되었을 때, 별도의 제 1 내주면(81)을 제 1 내주면(71)에 비해 매끄러운 면으로, 즉 내측 돌출부(34)의 제 5 유체 유로(48)의 유로 단면적을 더욱 정확하게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면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너 링(6)의 유체 유로(37)에 있어서, 유체의 원활한 흐름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의 내주면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돌출부(34)의 내주부 중 축심 방향 다른쪽(돌출 단부(45)측)의 일부에 배치된 제 1 내주면(71)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내측 돌출부(34)의 축심 방향에 관해 해당 내측 돌출부(34)의 내주부의 대략 전역에 걸쳐 확대되는 내주면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의 내주면은 이너 링의 축심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각도 θ1만을 갖는 제 1 내주면(71)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서로 다른 각도(축심에 대한 경사 각도)를 갖는 복수의 내주면으로 이루어지는 또 다른 내주면으로 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6)의 압입부(32)가 경사부(101)를 갖고 있다. 경사부(101)는 이음매 본체(5)의 제 1 나사맞춤부(15)에 대한 유니온 너트(7)의 제 2 나사맞춤부(52)의 나사전진시에 튜브(2)를 통해 유니온 너트(7)의 압압부(53)를 받아내기 위한 것이다. 경사부(101)는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팽창돌출하는 압입부(32)의 팽창돌출부(102)에 포함되어 있다.
경사부(101)는 이너 링(6)의 축심 방향 다른쪽(감합부(31)측)에서 축심 방향 한쪽을 향함에 따라 외경이 축소하도록, 압입부(32)의 돌출 단부(축심 방향 한쪽의 단부)(105)의 외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경사부(101)는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3)의 내주면을 직경확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사부(101)는 압입부(32)의 외주부의 전체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01)는 테이퍼면 또는 볼록 곡면이다. 경사부(101)는 이너 링(6)의 축심(66)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는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01)는 수지제관 이음매(1)의 축심 방향을 따라 진행하는 유니온 너트(7)의 압압부(53)를 경사면 또는 만곡면에서 받아내므로, 압압부(53)로부터의 압압력을 축심 방향과 직경 방향으로 분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도 2의 이너 링(6)의 압입부(32)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6)의 압입부(32)는 제 2 내주면(112) 및 제 3 내주면(113)을 더 갖고 있다. 제 2 내주면(112)은 이너 링(6)의 축심 방향 한쪽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감합부(31)측)을 향함에 따라 돌출 단부(105)의 내경을 축소시키도록, 압입부(32)의 돌출 단부(105)의 내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내주면(112)은 이너 링(6)의 링 구멍(40)에 임하도록 돌출 단부(105)의 내주부의 전체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주면(112)은 돌출 단부(105)의 내주부 중 가장 축심 방향 한쪽측(돌출 단부(105)측)의 일부에서, 압입부(32)의 축심 방향(이너 링(6)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114)를 향해 확대되도록, 돌출 단부(105)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내주면(112)은 테이퍼면이다. 제 2 내주면(112)은 이너 링(6)의 축심(66)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도 2 및 도 6 참조), 축심(66)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상선(115)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2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 단부(105) 중 제 2 내주면(112)을 포함하는 영역은 축심 방향 한쪽측에서 최대 내경 D3을 갖고, 축심 방향 다른쪽측(제 3 내주면(113)측)에서 최소 내경 D4를 갖고 있다.
제 3 내주면(113)은 이너 링(6)의 축심 방향 한쪽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감합부(31)측)을 향함에 따라 압입부(32)의 돌출 단부(105)의 내경을 축소시키도록, 압입부(32)의 돌출 단부(105)의 내주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 3 내주면(113)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내주면(112)의 구배보다 작은 구배를 갖고, 제 2 내주면(112)의 축심 방향 다른쪽이고 또한 경사부(101)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내주면(113)은 이너 링(6)의 링 구멍(40)에 임하도록 돌출 단부(105)의 내주부의 전체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주면(113)은 돌출 단부(105)의 내주부 중 축심 방향 다른쪽측(감합부(31)측)의 일부에서, 압입부(32)의 축심 방향(이너 링(6)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114)를 향해 확대되도록, 돌출 단부(105)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내주면(113)은 테이퍼면이다. 제 3 내주면(113)은 이너 링(6)의 축심(66)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도 2 및 도 6 참조), 축심(66)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상선(116)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3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 단부(105) 중 제 3 내주면(113)을 포함하는 영역은 축심 방향 한쪽측에서 최대 내경 D4를 갖고, 축심 방향 다른쪽측(제 3 내주면(113)측)에서 최소 내경 D1을 갖고 있다.
제 3 내주면(113)은 제 2 내주면(112)의 축심 방향 다른쪽측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주면(112) 및 제 3 내주면(113)이 직선형상 테이퍼면인 경우에, 제 2 내주면(112)과 그것에 연속하는 제 3 내주면(113)의 경계부, 및 제 3 내주면과 그것에 연속하는 축심 방향 다른쪽측의 내주면의 경계부는 매끄러운 만곡면(둥근 모깎기)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 단부(105)는 가요성을 갖고 있다. 돌출 단부(105)는 압입부(32)의 돌출 베이스부(117)측을 지점으로 해서 돌출 단부(105)가 이너 링(6)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즉 상기 소정의 각도 θ3이 작아지도록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변형시에는 제 3 내주면(113)이 돌출 베이스부(117)의 내주면(118)의 연장선(119)상에 위치하는(상기 각도 θ3이 0℃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각도 θ3은 제 3 내주면(113)의 구배가 제 2 내주면(112)의 구배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소정의 각도 θ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4 유체 유로(42)에 있어서, 돌출 단부(105)의 제 2 내주면(112)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된 유체 유로와, 돌출 단부(105)의 제 3 내주면(113)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된 유체 유로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 본체(5)에 대해 분리 상태에 있는 유니온 너트(7)의 제 2 나사맞춤부(52)가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 본체(5)의 제 1 나사맞춤부(15)에 나사맞춤했을 때, 이너 링(6)의 압입부(32)의 경사부(101)가 튜브(2)를 통해 유니온 너트(7)의 압압부(53)에 의해 눌린다. 이 때, 경사부(101)는 압압부(53)의 압압력을 경사부(101)에 평행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분산한다.
이것에 의해, 압입부(32)의 돌출 단부(105)가, 제 2 내주면(112) 및 제 3 내주면(113)이 이너 링(6)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이 때, 선단부(114)를 향해 직경확대하는 테이퍼면이었던 제 2 내주면(112) 및 제 3 내주면(113)이 직경축소되도록(축심 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변형된다. 즉, 제 2 내주면(112) 및 제 3 내주면(113)이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기 때문에, 압입부(32)의 돌출 단부(105)가 이너 링(6)의 유체 유로(37)(제 4 유체 유로(42))내로 돌출하도록 변형되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제관 이음매(1)가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3)와 접합된 후의 상태에서, 유체가 튜브(2)와 이너 링(6)의 사이를 흐를 때, 튜브(2)와 이너 링(6)의 연통 영역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존재시키지 않아도 좋아,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2)와 이너 링(6)의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치환성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너 링(6)의 압입부(32)의 돌출 단부(105)의 내주면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면인 제 2 내주면(112) 및 제 3 내주면(113)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링(6)의 축심(66)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이너 링(6)의 직경 방향 안쪽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볼록 곡면인 별도의 제 2 내주면(122) 및 제 3 내주면(123)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유니온 너트(7)가 이음매 본체(5)에 대해 조여졌을 때, 별도의 제 2 내주면(122) 및 제 3 내주면(123)을 제 2 내주면(112) 및 제 3 내주면(113)에 비해 매끄러운 면으로, 즉 압입부(32)의 돌출 단부(105)에 있어서 제 4 유체 유로(42)의 유로 단면적을 더욱 정확하게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면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너 링(6)의 유체 유로(37)에 있어서, 유체의 원활한 흐름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너 링(6)의 압입부(32)의 돌출 단부(105)의 제 3 내주면은 이너 링의 축심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각도 θ3만을 갖는 제 3 내주면(113)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복수의 내주면으로 이루어지는 또 다른 내주면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제 2 내주면(112)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교시를 고려하면, 본 발명이 많은 변경 형태 및 변형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외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1; 수지제관 이음매 2; 튜브
3;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 5; 이음매 본체
6; 이너 링 7; 유니온 너트
11; 본체 통부 12; 외측 통부
13; 내측 통부 14; 홈부
15; 제 1 나사맞춤부 31; 감합부
32; 압입부 33; 외측 돌출부
34; 내측 돌출부 51; 너트 본체
52; 제 2 나사맞춤부 53; 압압부
71; 제 1 내주면 101; 경사면
112; 제 2 내주면 113; 제 3 내주면

Claims (1)

  1.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접합 가능한 수지제관 이음매로서.
    본체 통부, 상기 본체 통부에 그 축심 방향 한쪽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된 외측 통부, 상기 외측 통부의 직경 방향의 안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본체 통부에 상기 외측 통부와 동일 방향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된 내측 통부, 상기 본체 통부의 축심 방향 한쪽에 개구하도록 상기 본체 통부와 상기 외측 통부와 상기 내측 통부의 사이에 마련된 홈부 및, 상기 외측 통부의 외주부에 마련된 제 1 나사맞춤부를 갖는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측 통부의 내측에 감합될 수 있는 통형상의 감합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 축심 방향 한쪽에 돌출설치된 통형상의 압입부, 상기 이음매 본체의 홈부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 축심 방향 다른쪽에 돌출설치된 통형상의 외측 돌출부, 및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와 축심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감합부에 축심 방향 다른쪽에 돌출설치된 통형상의 내측 돌출부로서, 상기 내측 통부와 접촉할 때에 상기 외측 돌출부와의 사이에 상기 내측 통부를 직경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상기 외측 돌출부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된 내측 돌출부를 갖는 이너 링과,
    통형상의 너트 본체, 상기 이음매 본체의 제 1 나사맞춤부에 나사맞출할 수 있도록 상기 너트 본체의 내주부에 마련된 제 2 나사맞춤부, 상기 제 1 나사맞춤부에 대한 상기 제 2 나사맞춤부의 나사전진에 수반해서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를 압입한 튜브를 상기 압입부를 향해 압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압부를 갖는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너 링이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의 내주부와 상기 이너 링의 내주부가 유체 유로의 유로벽을 구성하고,
    상기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의 내주부가,
    상기 내측 돌출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너 링의 축심 방향 다른쪽측에서 축심 방향 한쪽을 향함에 따라 내경을 축소시키고 있는 제 1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의 내주부가,
    상기 압입부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너 링의 축심 방향 한쪽측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을 향함에 따라 내경을 축소시키고 있는 제 2 내주면과,
    상기 제 2 내주면의 축심 방향 다른쪽측에 위치하고, 상기 압입부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너 링의 축심 방향 한쪽측에서 축심 방향 다른쪽을 향함에 따라 내경을 축소시키고 있는 상기 제 2 내주면보다 구배가 작은 제 3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링의 내측 돌출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내측 통부에서 분리되고, 또한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내주면의 최대 내경보다 상기 제 3 내주면의 최대 내경이 크고, 상기 제 3 내주면의 최대 내경보다 상기 제 2 내주면의 최대 내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207031497A 2017-03-30 2018-01-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274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6844 2017-03-30
JP2017066844A JP6805045B2 (ja) 2017-03-30 2017-03-30 樹脂製管継手
KR1020197021588A KR20190127670A (ko) 2017-03-30 2018-01-15 수지제관 이음매
PCT/JP2018/000798 WO2018179678A1 (ja) 2017-03-30 2018-01-15 樹脂製管継手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588A Division KR20190127670A (ko) 2017-03-30 2018-01-15 수지제관 이음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189A true KR20200128189A (ko) 2020-11-11
KR102274652B1 KR102274652B1 (ko) 2021-07-07

Family

ID=636775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588A KR20190127670A (ko) 2017-03-30 2018-01-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207031497A KR102274652B1 (ko) 2017-03-30 2018-01-15 수지제관 이음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588A KR20190127670A (ko) 2017-03-30 2018-01-15 수지제관 이음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86525B2 (ko)
EP (2) EP3604883B1 (ko)
JP (1) JP6805045B2 (ko)
KR (2) KR20190127670A (ko)
CN (2) CN110291320B (ko)
TW (2) TWI762390B (ko)
WO (1) WO2018179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7888B2 (ja) * 2018-03-28 2021-03-2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
CN210318899U (zh) * 2019-05-17 2020-04-14 杭州科百特过滤器材有限公司 一种密封导管接头
JP2021004642A (ja) * 2019-06-26 2021-01-1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継手
JP7337737B2 (ja) 2020-03-18 2023-09-0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ル部材、及び管継手
JP7364519B2 (ja) 2020-03-30 2023-10-1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ル部材
JP7349409B2 (ja) 2020-06-09 2023-09-2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リング、及び管継手
JP7303158B2 (ja) * 2020-06-10 2023-07-04 Ckd株式会社 接続部シール構造、及び、シール部材
JP2022017782A (ja) * 2020-07-14 2022-01-2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リング、及び管継手
JP2022126218A (ja) 2021-02-18 2022-08-3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継手
CN114382969B (zh) * 2022-02-08 2023-07-21 西安保力强液压传动有限公司 基于流通软管的波纹接头
JP7347882B1 (ja) 2023-02-06 2023-09-20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とパイプ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3132A (ja) * 2011-02-04 2012-08-30 Flowell Corp チューブ継手
JP2013100876A (ja) 2011-11-09 2013-05-23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管継手構造
JP2014219052A (ja) * 2013-05-08 2014-11-2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KR20170002576A (ko) * 2014-09-30 2017-01-06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관 이음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433A (en) * 1933-03-25 1935-08-13 Michigan Steel Casting Company Pipe coupling
US5505464A (en) * 1989-08-11 1996-04-09 General Components, Inc. Minimum dead volume fitting
WO2000028254A1 (fr) * 1998-11-05 2000-05-18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Raccord de tuyau en resine
JP3430237B2 (ja) * 1999-07-02 2003-07-28 Smc株式会社 管継手
CN2615475Y (zh) * 2003-05-09 2004-05-12 深圳市绿色能源科技开发有限公司 软管密封连接头
US20050229982A1 (en) * 2004-04-20 2005-10-20 Gonzales Peter D Pipe inlet/outlet flow enhancement device
US7530602B2 (en) * 2005-01-17 2009-05-12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Double-pipe joint
CN102112792A (zh) * 2008-08-05 2011-06-29 日本皮拉工业株式会社 树脂管接头
US8444188B2 (en) * 2008-11-09 2013-05-21 Illinois Tool Works Inc. Adapter
JP5560222B2 (ja) * 2011-03-15 2014-07-23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5360619B2 (ja) * 2011-12-12 2013-12-04 Smc株式会社 管継手
JP5717807B2 (ja) * 2012-07-17 2015-05-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継手類用雌型部材
JP5393866B1 (ja) * 2012-11-22 2014-01-22 株式会社エム・ケイ企画 管継手用保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管継手
US20150176744A1 (en) * 2013-12-20 2015-06-25 Onesubsea Ip Uk Limited Gasket
JP5891537B2 (ja) * 2014-07-07 2016-03-23 Smc株式会社 管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3132A (ja) * 2011-02-04 2012-08-30 Flowell Corp チューブ継手
JP2013100876A (ja) 2011-11-09 2013-05-23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管継手構造
JP2014219052A (ja) * 2013-05-08 2014-11-2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KR20170002576A (ko) * 2014-09-30 2017-01-06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관 이음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42800A (zh) 2021-11-16
EP3604883A4 (en) 2020-12-23
TW201840947A (zh) 2018-11-16
EP4151894A1 (en) 2023-03-22
EP3604883B1 (en) 2022-12-28
WO2018179678A1 (ja) 2018-10-04
EP3604883A1 (en) 2020-02-05
US20190331272A1 (en) 2019-10-31
CN113217742A (zh) 2021-08-06
CN113217742B (zh) 2023-04-07
US11486525B2 (en) 2022-11-01
TWI762390B (zh) 2022-04-21
CN110291320B (zh) 2021-06-01
KR102274652B1 (ko) 2021-07-07
KR20190127670A (ko) 2019-11-13
CN110291320A (zh) 2019-09-27
JP6805045B2 (ja) 2020-12-23
JP2018168947A (ja) 2018-11-01
TWI738973B (zh) 202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652B1 (ko) 수지제관 이음매
JP6847888B2 (ja)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
KR101960617B1 (ko) 수지제관 이음매 구조
WO2014181589A1 (ja) インナーリング
JP7229624B2 (ja) 管継手
KR20230066580A (ko) 개스킷 및 유로 이음매 구조
US20230039578A1 (en) Sealing member and pipe joint
JP7030175B2 (ja) 樹脂製管継手
KR102669499B1 (ko) 슬리브 및 그것을 구비한 이음매
WO2022014109A1 (ja) インナーリング、及び管継手
US20240044425A1 (en) Pipe joint
JP7265861B2 (ja) 管継手
US20230151911A1 (en) Inner ring and pipe joint
JP2019015299A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JP2018115746A (ja) 配管接続構造
JP2019015298A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