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980A -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980A
KR20200127980A KR1020207021294A KR20207021294A KR20200127980A KR 20200127980 A KR20200127980 A KR 20200127980A KR 1020207021294 A KR1020207021294 A KR 1020207021294A KR 20207021294 A KR20207021294 A KR 20207021294A KR 20200127980 A KR20200127980 A KR 2020012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kda
cosmetic
composition
mola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두마스
데이비드 노테
프랑수아즈 펠리시에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20012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9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6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e.g. locust bean gum,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특히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에 적어도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5내지 630 kDa,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0 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8내지 80 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galactomannans), 및 7내지 3000 kDa,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00 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0 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sulfated galactans)으로 구성된 화장제, 및
b) 테오브로마 카카오L열매(Theobroma cacao L bean) 가수 분해물.
및 특히 피부 미생물총의 균형을 유지하고 메이크업 웨어를 촉진 및/또는 개선하기 위한 이의 용도.

Description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갈락토만난 및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 화장제,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및 특히 피부 미생물총(microbiota) 균형을 유지하고 메이크업(makeup)의 웨어(wear)를 촉진 및/또는 개선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가장 큰 기관인 피부에는 집단적으로 '미생물총' 또는 '미생물군(microflora)'으로 알려진 수십억 개의 미생물(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대량서식 된다. 용어 '피부 미생물 군집(skin microbiome)'은 이러한 모든 미생물, 그들의 게놈 및 그들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말한다.
피부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수는 cm2당 수백만에 달할 수 있다.
인간 피부 균무리는 두 그룹으로 세분화 될 수 있다:
- 환경으로부터 유래하는 분해하는 유기물을 먹고 사는, 대부분이 무해한 곰팡이,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로 구성된 일시성 균총(Transient flora)은 사프로피테스(saprophytes)라 불린다. 이 균총은 영구적이지 않다; 이것은 수행되는 활동과 주변 조건에서의 변화 및 이러한 조건에 대한 각각의 노출에 따라 낮 동안 달라진다. 가장 흔한 일시성 종은 황색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바실러스 종(species of Bacillus)이다;
- 상재성균총(resident flora)은 공생균(commensal germs), 즉, 그들의 숙주에 어떤 피해를 주지 않고 살아가는 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균총의 조성은 고정되어 있고, 교란 후, 그것의 동일한 구성요소가 자발적으로 재구성된다. 이 미생물(그램 양성, 그램 음성 박테리아, 등)은 표피에 서식하고 땀샘과 모발피지샘 모낭의 관, 손톱과 머리카락인 표피부속물(epidermal appendages) 뿐만 아니라, 각질층의 상층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러한 미생물은 생명에 필수적이다. 체취의 출현에 있어 그들의 역할을 넘어, 그들은 건강한 피부의 유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재성 및 일시성 미생물은 정상적인 조건, 즉, 위생이 적절할 때, 그리고 상재성 균총, 면역반응 및 피부의 장벽 기능이 손상되지 않을 때, 질병 또는 기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 결국 피부 미생물총은 장벽으로서 작용하여 그것의 숙주를 보호할 수 있다.
동시에, 피부는 병원균 인식 전용 수용체인 베타-디펜신과 같은 항균성 지질과 펩타이드를 생성하여, 함께 '선천성 피부 면역'을 형성한다.
그들이 자라고 번식함에 따라, 상재성 박테리아 또한, 독성 대사산물, 박테리오신, 및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그들이 피부에 부착하여 그들의 생물막 형성을 막는 표피포도알균과 같은 세린 프로테아제를 생성한다.
공생균총(commensal flora)은 피부 장벽과 선천성 면역을 자극하여, 건강하고 저항력 있는 피부를 유지한다. 피부 환경의 생태 조건(온도, pH, 염분, 호르몬 수준, 지질 및 단백질 함량, 수분 및 산소함량, UV 노출)의 표출뿐만 아니라 피부의 미생물총의 균형 또한 이러한 유지에 필수적이다.
나이, 성별, 유전자 구성 및 면역 반응성과 같은 본질적인 요소 외에도, 기후(주변 온도, 주변 습도, UV), 약물치료, 위생, 관리 또는 메이크업용 화장품의 사용과 같은 외적 요소는 피부 미생물 군집 구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피부 미생물총의 구성은 피부가 함유하는 수분을 보유하는 능력 및 피지 생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지 수준은 16S 분류 데이터(순서, 가계도, 속 및 종)의 3가지 다양성 지수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감지할 수 없는 수분 손실(피부 장벽 품질을 반영)에 대해서도 동일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2016년 12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ASCB 연례회의에서 C Heus
Figure pct00001
le 등이 발표한, '피부 생물 물리학적 특성과 관련하여 건강한 여성의 얼굴에 대한 미생물 다양성' 이라는 제목의 연구에서는 피지 생성과 피부 장벽 기능의 상관관계를 미생물총의 구성 및 다양성으로 보여준다.
인간 피부 미생물총의 다양성은 그의 구조의 변화(장내세균 불균형)를 초래할 수 있고, 피부 기능 장애의 발생을 유발함으로써 건강에 영향을 미치거나 상재성 및/또는 일시성 균총의 군집화 및 증식을 통한 병리의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Flores G et al. J Drugs Dermatol 2014: 13(11): 1365-72) 및 건선(Alekseyenko A et al., Microbiome 2013: 1(131): 2-17)과 같은 특정 병리에서 미생물 다양성의 감소가 관찰된다.
따라서, 특히 파운데이션과 같은 메이크업 조성물의 적용은, 특히, 박테리아 다양성을 방해함으로써, 피부 미생물의 균형을 방해할 수 있다. 피부에 적용되는 눈에 보이지 않는 메이크업 필름은 일시적으로 피부 미생물총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인 피부의 수성 지질 균형 및 박리의 변화를 일시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피부에 적용된 눈에 보이지 않는 메이크업 필름은 또한, 피부 미생물총, 특히 산소 함량이 가장 높은 외피 표면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저산소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파운데이션의 적용이 박테리아 다양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Staudinger T et al. J Appl. Microbiol 2011: 110 (6): 1381-9.
과도한 피지 생성에 의해 형성된 지질 필름은 또한, 피부 미생물총, 특히 산소 함량이 가장 높은 외피 표면상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을 변형시킬 수 있는 저산소 상태를 일시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저산소증은 또한 여러 수준에서 피부 조직 자체를 변경시킬 수 있다:
- 세포 사이의 응집성 결합의 구성 단백질인 데스모글린-1의 형성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표피의 강도를 감소시킴으로써(Straseski J et al. Wound Repair Regen. 2009; 17(4): 606-616),
- 피부를 수화시키기 위해 표피로 물을 운반하는 단백질인 아쿠아포린 3의 형성을 줄임으로써(Straseski J et al. Wound Repair Regen. 2009; 17(4): 606-616),
- 피부 성분 및 세포를 변화시키는 반응성 산소 종(ROS)의 생성을 자극함으로써(Nys K et al. Free Radic Biol Med. 2012;52(6):1111-20)
- 케라틴 10(keratin 10)과 같은 분화 케라틴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Straseski J et al. Wound Repair Regen. 2009; 17(4): 606-616), 및/또는
- 피부 밀도 및 탄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콜라겐과 같은 피부 성분을 파괴하는 매트릭스 메탈 로프로테이나제(matrix metalloproteinases) 또는 MMPs(Xia YP et al. J. Invest. Dermatol. 2001; 116: 50-56) 의 존재를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모공의 개방 및 잔주름 및 주름의 형성함으로써.
따라서, 케라틴 소재 및 특히 피부를 위한 메이크업 조성물, 또는 지성 피부 또는 지성 경향이 있는 피부를 위한 조성물에 있어, 다음 보호 조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보장함으로써 저산소증의 결과로부터 피부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성분을 갖는 것이 유리한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 피부 장벽 강화 및 피지 생성 조절과 같은 피부 조건을 제공하여 미생물총과 그것의 다양성을 보존함으로써,
- 표피의 응집력을 향상시켜 피부의 저항력을 강화함으로써,
- 피부에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피부 장벽의 형성을 자극함으로써,
- 활성 산소 종의 피부를 해독함으로써,
- MMPs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및/또는
- 저산소증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저산소증 유도인자 또는 HIF의 형성을 자극함으로써.
따라서, 특히 피부 생태계를 유지 및/또는 피부 미생물총, 특히 피부의 다양성의 균형 유지, 피부 장벽 강화,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저항성 개선, 특히 저산소 환경에서의 피부 결과 방지 및/또는 제어, 피부 염증 감소, 박리 및/또는 표피 재생 촉진, 모공의 이완 및 주름 및 잔주름 형성에 수반되는 탄력 손실 감소, 안색의 균질성 개선, 및/또는 피부 표면에 대한 화장의 웨어 및 그것의 분포의 균질성을 촉진 및/또는 개선하기 위해, 특히 피부를 위해, 특히 미생물총의 다양성을 보존하고, 그것의 발달을 제어하며 케라틴 소재(피부, 점막, 모발 및 손톱)와, 특히 피부에, 이러한 미생물의 생태적 틈새를 구성하는 그들 표면의 두드러짐과 요철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케라틴 소재에 대한 새로운 화장료 메이크업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출원인은 갈락토만난 및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 화장제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의 조합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특히, 본 출원인은 1 내지 150 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로부터 수득된 갈락토만난과 1 내지 15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로부터 수득된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로 구성된 화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방지 및/또는 감소시키고, 세포 재생을 촉진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고 피부 미생물총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개시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에, 적어도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5 내지 630kDa,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0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8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7 내지 3000kDa,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00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을 포함하는 화장제; 및
b)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적어도 상기 케라틴 소재,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특히 얼굴 피부에 대한 적용을 포함하는, 케라틴 소재, 특히 피부, 입술 및/또는 눈의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을 위한 화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내지 630kDa의 몰 질량을 가지는 갈라토만난 및 7 내지 300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제, 및, 피부 생태계를 유지 및/또는 피부 미생물총의 균형, 특히 미생물 다양성을 유지, 피부 장벽 및 이의 지질 지질필름 강화,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의 무결성 및 저항성 향상, 특히 저산소 환경의 피부 결과를 예방 및/또는 제한, 박리 및/또는 표피 재생 촉진, 견고성 손실 감소, 모공 이완 감소, 표면 요철 감소, 안색의 균질성 개선, 및/또는 메이크업 이용 및 침착물의 균질성 촉진 및/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의 비치료적 화장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5 내지 600kDa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7 내지 300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항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제, 및 특히 피지-의존성 염증 및/또는 박테리아 증식, 특히 지성 피부 또는 지성 경향이 있는 피부를 가지는 개체에서 과다피지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및/또는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정의
본 발명에서 '케라틴 소재(keratin materials)'는 피부, 점막(특히 입술) 및 모발 및 손톱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입술 또는 모발 및 손톱,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국소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피부'는 특히 눈꺼풀 보다 구체적인 부위(눈 메이크업의 제품 범주에 속함) 및 눈 윤곽 부위를 포함하는 얼굴 및/또는 목의 피부, 특히 얼굴의 피부를 의미한다.
'피부 미생물총(Skin microbiota)' 또는 '미생물군(microflora)'은 상기 케라틴 소재의 표면, 특히 상기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의미한다.
용어 '피부 미생물 군집(skin microbiome)'은 이러한 모든 미생물, 그들의 게놈 및 그들 환경과의 그들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피부 생물권(skin biosphere)'으로 알려진 '피부 생태계(skin ecosystem)'는 피부 미생물총 및 그것의 숙주인 피부를 나타낸다.
'피부 미생물총의 불균형'은 특히 피부 미생물총의 구성 및/또는 다양성의 불균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 생태계 유지 및/또는 피부 미생물총의 균형, 특히 미생물의 다양성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내부 및/또는 외부 요인과 관련된 장애 조건을 포함하여, 피부 생태계의 자연적인 균형을 보존 또는 유지하기 위한 활성 성분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수용력을 의미한다. '피부 미생물총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특히 미생물총의 구성 및/또는 다양성을 보존 또는 유지하고 그의 발달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색의 균질성'은 특히 밝고 균질한 안색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칙칙하고 불균일하고, 흐릿한 안색을 나타내며, 표면 및/또는 색상의 불규칙성을 나타내는 '안색의 변화'와 반대되고, 특히 '안색의 광채'라고도 한다. 지성 피부의 경우, 특히 상기 안색의 변화는 반짝이는 안색 및 불쾌감 및 피부 결점 또는 미적 장애로 느껴지는 증상의 인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피부 불완전성'으로도 불리는 '표면 불규칙성'은 특히, 두드러짐(relief)(예: 모공, 딱지, 주름 및 잔주름, 불완전한 피부 결)의 불규칙성 및/또는 색상의 불규칙성을 의미한다. 입술의 경우, 이러한 두드러짐의 불규칙성은 갈라지거나 갈라진 입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산소 환경의 피부 결과를 예방 및/또는 제한하는 것'은 특히, 상기 미생물총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및/또는 세포 응집력 감소, 표피로의 수분 공급 감소, 활성 산소 분자의 생성 증가, 분화 케라틴 형성의 억제 및/또는 콜라겐 분해에서의 증가와 같은 일시적인 저산소 상태와 관련된 피부 변화를 예방 및/또는 개선을 의미한다.
'지성 피부 또는 지성 경향이 있는 피부'는 그것의 표면에 피지선 분비의 산물인 피지의 과도한 존재로 특징되는 지성 피부로 이해된다. 이러한 피지의 생성은 세포 분화 및 지질 생성이라 불리는 지질의 합성 또는 축적 과정으로피지샘 세포(sebocyte)에 의해 보다 가능해진다. 이것은 또한 과지루성 피부(hyperseborrheic skin)라고도 한다.
지성 피부는 종종 탈색 결함, 염증성 지형 및/또는 지질 산화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반짝이는 안색, 불완전한 피부 질감, 불편함의 인식 및 피부 결손 또는 미적 장애와 같은 인지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는 또한 낮 동안, 그리고 특히 피지 생산이 절정에 이르는 오후에 메이크업의 상태를 더 나쁘게 한다.
보기 흉한 외양뿐만 아니라, 지성 피부는 미생물의 증식을 위한 번식지가 되어 피부 장애(예컨대, 여드름 병변)의 발생에 기여한다. 이것은 여드름 경향이 있는 지성 또는 과지루성 피부로 알려져 있다.
'지성 피부 또는 지성 경향이 있는 피부와 관련된 심미적 피부 질환 또는 비병리적 질환'은 과다피지(hyperseborrhea), 박리 장애, 저산소 환경 및/또는 미생물총의 불균형으로 인한 질환으로 이해된다. 특히, 관련된 심미적 피부 장애는 피부 미생물총의 불균형, 박리 결함, 지질 산화, 안색의 변화, 특히 윤기 있는 안색, 불편함에 대한 인식, 표면 불규칙성, 특히 여포성 모낭(follicular orifices) 또는 확장된 모공, 불완전한 피부 질감 및/또는 덜 양호한 메이크업 상태를 나타내는 피부로부터 선택된 비병리학적 질환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에 적어도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a) 5 내지 630kDa,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0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8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갈라토만난, 및 7 내지 3000kDa,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00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 화장제, 및
b)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
갈락토만난 및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
본 발명의 의미에서 상기 화장제는 바이오폴리머, 즉, 식물소재로부터 유래된 폴리머이며, 이는 화학적 합성에 의해 수득된다.
이러한 바이오폴리머는 필름 형성 효과, 즉, 오염 및 알레르겐(allergens)과 같은 외부 상처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육안으로 감지할 수 없는 피부 표면에 필름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바이오폴리머는 특히 Soci
Figure pct00002
t
Figure pct00003
Industrielle Limousine d'Application Biologique의 특허 출원 WO2017/19792 및 WO2017/129780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상기 화장품 또는 피부 화장제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 5 내지 63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 7 내지 300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
분자 혼합물의 '평균 분자량(average molecular weight)'은 혼합물에서 각 분자의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가교 결합된(cross-linked)'은 바이오폴리머 분자 사이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3차원 네트워크가 형성된 바이오폴리머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품 또는 피부 화장제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 5 내지 120kDa의 평균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7 내지 1100kDa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설페이트 갈락탄.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품 또는 피부 화장제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 8 내지 80kDa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8 내지 200kDa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
특히 갈락토만난은 타라(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Caesalpinia spinosa)), 구아(guar) (시아몹시스 테트라곤롤로바(Cyamopsis tetragonoloba)), 캐롭(carob) (세라토니아 실리콰(Ceratonia siliqua))뿐만 아니라, 센나(senna) (카시아 안구스티폴리아(Cassia angustifolia)), 카시아(cassia) (카시아 피스툴라(Cassia fistula), 카시아(cassia) (카시아 오투시폴리아(Cassia obtusifolia) 또는 카시아 토라(Cassia tora)), 중국 로커스트 콩(Chinese locust bean) (글레디스트시아 시넨시스(Gleditsia sinensis)), 로커스트콩(locust bean) (글리디시아 트리아칸토스(Gieditsia triacanthos)), 소포라(sophora) (소포라 자포니카(Sophora japonica)) 및/또는 페뉴그릭(fenugreek) (트리거넬라 푸에넘-그래쿰(Trigonella foenum-graecum)), 바람직하게는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Caesalpinia spinosa)를 원산지로 하는 갈락토만난의 가수분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은 카라기난(carrageenans) (카파피쿠스알바레지아이(Kappaphycus alvarezii), 카파피쿠스 스트리아툼(Kappaphycus striatum), 유케마 코토니(Eucheuma cottonii), 유케마 스피노섬(Eucheuma spinosum), 콘드러스 크리스푸스(Chondrus crispus), 지가르티나 스콧베르기(Gigartina skottsbergii), 사크로탈리아 크리스파타(Sacrothalia crsipata)), 또는 푸셀라리아패스트기아타(Fucellaria fastigiata), 아가(agar) (젤리듐 세스키페데일(Gelidium sesquipedale)) 또는 조류(algae) (폴리시포니아 이아노사(Polysiphonia Ianosa) 또는 코디움 프라질레(Codium fragile)), 바람직하게는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Kappaphycus alvarezii)을 원산지로 하는 황산화 갈락탄의 가수분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제는 타라(Tara)(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Caesalpinia spinosa)), 구아(guar) (시아몹시스 테트라곤롤로바(Cyamopsis tetragonoloba)), 캐롭(carob) (세라토니아 실리콰(Ceratonia siliqua)) 뿐만 아니라, 센나(senna) (카시아 안구스티폴리아(Cassia angustifolia)), 카시아(cassia) (카시아 피스툴라(Cassia fistula), 카시아(cassia) (카시아 오투시폴리아(Cassia obtusifolia) 또는 카시아 토라(Cassia tora)), 중국 로커스트 콩(Chinese locust bean) (글레디스트시아 시넨시스(Gleditsia sinensis)), 로커스트콩(locust bean) (글리디시아 트리아칸토스(Gieditsia triacanthos)), 소포라(sophora) (소포라 자포니카(Sophora japonica)) 및/또는 페뉴그릭(fenugreek) (트리거넬라 푸에넘-그래쿰(Trigonella foenum-graecum)), 바람직하게는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Caesalpinia spinosa) 고유의 갈락토만난의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된 갈락토만난; 및 카라기난(carrageenans)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Kappaphycus alvarezii), 카파피쿠스 스트리아툼(Kappaphycus striatum), 유케마 코토니(Eucheuma cottonii), 유케마 스피노섬(Eucheuma spinosum), 콘드러스 크리스푸스(Chondrus crispus), 지가르티나 스콧베르기(Gigartina skottsbergii), 사크로탈리아 크리스파타(Sacrothalia crsipata)), 또는 푸셀라리아패스트기아타(Fucellaria fastigiata), 아가(agar) (젤리듐 세스키페데일(Gelidium sesquipedale)) 또는 조류(algae) (폴리시포니아 이아노사(Polysiphonia Ianosa) 또는 코디움 프라질레(Codium fragile)), 바람직하게는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Kappaphycus alvarezii) 를 원산지로 하는 갈락토만난의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된 갈락토만난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갈락토만난 및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은 다음 단계에 따라 수득된다:
-천연 갈락토만난 분말 또는 각각의 천연 황산화 갈락탄의 가용화,
-화학적 또는 효소적 경로에 의한 가수분해;
-불용성상을 제거하기 위해 가용성 또는 불용성상의 분리;
-정의된 분자량의 갈락토만난의 막 여과에 의한 선택.
또한 상기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은 가교제, 바람직하게는 이온 성질의 가교제에 의해 가교 결합된다.
이렇게 수득된 상기 갈락토만난과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은 혼합되어 화장제를 형성한다.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제 a)는 60 내지 90%의 갈락토만난 및 10 내지 40%의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제는 특히 1 내지 15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Caesalpinia spinosa)로부터 수득된 갈락토만난, 및 1 내지 15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Kappaphycus alvarezii)로부터 수득된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제 a)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활성 성분 0.01 중량%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1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4 중량% 내지 0.8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상기 조성물에 존재한다.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은 효능이 부여된 상기 화장제의 활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것은 식물 추출물의 건조물질을 나타낸다.
이러한 바이오폴리머는 Soci
Figure pct00004
t
Figure pct00005
Industrielle Limousine d'Application Biologique의 특허 출원 WO2017/19792 및, WO2017/129780, 특히 WO2017/129780의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바이오폴리머의 사용은 오염물질, 알레르겐 및 중금속과 같은 독성 분자의 침투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장벽 효과를 개선한다. 피부에 도포한 후의 필름 효과는 또한 얼굴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선하고 안료 및 메이크업 웨어(wear)를 돕는다.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서, 상표명 FILMEXEL®하 SILAB사에 의해 시판된 제품은 갈락토만난 및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 화장제로, INCI명칭은 분말형태로 '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CAESALPINIA SPINOSA EXTRACT) 및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KAPPAPHYCUS ALVAREZII EXTRACT) 및 물(WATER)'이고, 구성은 카이살피니아스피노사 추출물 76%, 카푸치쿠스알바레지아이 추출물 19%, 및 물 5%(95% 활성 성분 또는 건조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Theobroma cacao L hydrolysate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테오브로마 카카오 L 가수분해물은 주로 펩티드 및 당류를 포함하는 펩티드 및 당류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이다. 용어 '주로 펩티드 및 당류'는 펩티드 및 당류에서 건조물질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초과 및 최대 약 90%(중량/중량), 바람직하게는 건조물 중량의 90%를 의미한다.
"펩티드 및 당 가수분해물"은 주로 또는 본질적으로 펩티드 및 당류(단일 및 올리고당)를 포함하는 가수 분해물을 의미한다. 콩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는 펩티드, 올리고당 및 단당류로 가수분해되었으며, 유리하게 상기 가수분해는 효소적 가수분해이다.
이 가수분해물은 다음과 같이 수득될 수 있다:
a) 분쇄된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를 수성상에 분산시키고;
b) 단계 a)에서 수득된 상기 수성 분산액의 효소처리가 수행되고;
c) 상기 효소 가수분해물의 회수는 고체/액체 분리에 의해 수행되며,
d) 상기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 및 나노여과에 의해 정제한 다음, 선택적으로;
e) 단계d)에서 수득된 상기 가수분해물의 동결건조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상기 가수분해물은 열매 단독 또는 열매 및 껍질을 포함할 수 있는 출발물질로서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로부터 수득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매는 상기 열매 및 그의 껍질을 포함하는 열매가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비 동결 건조 코코아 가수분해물은 20 내지 70%의 펩티드 및 5 내지 40%의 당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지지체 없는 동결 건조된 코코아 가수분해물은 20 내지 70%의 펩티드 및 5 내지 40%의 당류를 포함하는 90% 초과의 건조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상기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펩티드 및 당류는 200Da 내지 10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은 특히 200Da 내지 10kDa의 분자량을 갖는 펩티드 및 당류를 포함하는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펩티드 및 당 가수분해물이다.
이어서, 생성된 상기 가수분해물은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임의의 용매 혼합물로 추가 희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코아 가수분해물은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예컨대 물, 글리세롤, 에탄올, 프로판디올, 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에톡실화(ethoxylated) 또는 프로폭실화(propoxylated)된 디글리콜(diglycols), 사이클릭 폴리올(cyclic polyols) 또는 이들 용매의 임의의 혼합물로 희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코아 가수분해물은 액체 또는 동결건조형태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그것은 액체 형태이다.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기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은 상표명 BLUMILIGHT™하 ASHLAN 사에서 시판된 제품으로, INCI 명칭은 액체 형태로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및 물(WATER)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 씨앗 추출물(THEOBROMA CACAO(코코아(COCOA)) SEED EXTRACT)'이고, 구성은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55%, 물43.75%, 테오브로마 카카오 씨앗 추출물(THEOBROMA CACAO (코코아 (COCOA)) SEED EXTRACT 1.25% (1.25% 활성 성분 또는 건조물질)을 사용하였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활성 성분이 0.0005 내지 0.0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1 중량%의 범위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프리바이오틱(prebiotic) 및 프로바이오틱(probiotic)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용어 신바이오틱(synbiotic) 또는 프리바이오틱(prebiotic)/프로바이오틱(probiotic) 복합체는 프리바이오틱(prebiotic)과 프로바이오틱(probiotic)의 조합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프리바이오틱/프로바이오틱 복합체(신바이오틱)
"프리바이오틱 (Prebiotic)"은 인간 건강에 유익한 프로바이오틱 균주(유산균(lactobacilli),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등) 및 다른 장의 박테리아 균주의 성장 및 활성을 조절하는 특성을 가지는 비 생물성 식품 성분을 말한다. 프리바이오틱은 일반적으로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이며, 이는 과일, 채소 및 꿀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될 수 있고 추출 가능하다. 다른 것들은 다당류의 가수분해에 의해 산업적으로 생성되거나(예를 들어 올리고프럭토스 또는 과당-올리고당, 약어 FOS), 또는 락토오스(lactose)와 같은 이당류를 트랜스-갈락토-올리고당(trans-galacto-oligosaccharides(TOS))을 생산하기 위해 전달 활성을 갖는 락타아제와 같은 효소의 작용에 노출시킴으로써 합성되거나 락툴로스를 생성하기 위한 화학적 이성질화 반응에 의해 합성한다. 현재, 트랜스-갈락토올리고당(trans-galactooligosaccharides(GOS))및 이눌린-유형(inulin-type) 프룩탄(fructans)은 프리바이오틱(prebiotic) 효과가 있다고 인식된 것들이다.
"프로바이오틱(Probiotic) 또는 유도체(derivative)"는 충분한 양으로 섭취될 때 전통적인 영양 효과를 넘어 긍정적인 건강 효과를 나타내는 살아있는 또는 불활성화된 미생물을 의미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박테리아 또는 효모일 수 있다.
상기 프로바이오틱 또는 유도체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균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크롤스트리디아(Clostridia) 균주 및 유도체, 비피도 박테리아(Bifidobacterium)의 균주 및 유도체,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의 균주 및 유도체, 락토코커스(Lactococcus)의 균주 및 유도체, 페디코커스(Pedicoccus)의 균주 및 유도체,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의 균주 및 유도체, 에스케리키아의 균주 및 유도체, 알칼리겐(Alcaligenes)의 균주 및 유도체,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의 균주 및 유도체, 바실러스(Bacillus)의 균주 및 유도체,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의 균주 및 유도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의 박테리아가 특히 언급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로 확인된 균주는 주로 장 영역에 적용되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acidophilus), L. 카세이(L. casei), L. 가스세리(L. gasseri), L.파라카제이(L. paracasei), L. 람노서스( L. Rhamnosus) 및 비피도박테리아 동물(Bifidobacteria animal), B. 브레브(B.breve), B. 롱검(B.longum)을 포함한다.
효소로서, 사이카마이세스세레비지아 바. 불라르디이(Saccharomyces cerevisiae var. boulardii)는 열매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신바이오틱스(Synbiotics)'는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의 조합을 말한다.
특정 실시예에에서, 프리바이오틱은 이눌린(inulin) 및 알파-글루칸 올리고당(alpha-glucan oligosaccharid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바이오틱은 프로바이오틱 용해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바이오틱 용해물은 바실러스속 용해물이다.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SOLABIA사에 의해 시판되는 프리바이오틱/프로바이오틱 복합체 에코스킨(등록상표)을 포함하는데, 이는 알파-글루칸 올리고당(alpha-glucan oligosaccharide), 폴리네시아 손치폴리아 뿌리 주스(Polymnia sonchifolia root juice),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및 락토바실러스sp박테리아(Lactobacillus sp bacteria)의 혼합물이며, INCI명칭은 다음과 같다:
알파-글루칸 올리고당(ALPHA-GLUCAN OLIGOSACCHARIDE) 및 폴리네시아 손치폴리아 뿌리 주스(POLYMNIA SONCHIFOLIA ROOT JUICE) 및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Ecoskin®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알파-글루칸 올리고당70%, 폴리네시아 손치폴리아 뿌리 주스19%, 말토덱스트린 10%, 락토바실러스1%(90% 활성성분에 해당).
이것은 다음으로 구성된 말토덱스트린에 분무건조된 프리/프로바이오틱 복합체이다: 식물성 기질(옥수수 말토오스(corn maltose), 비트슈크로스(beet sucrose))에서 효소 합성하여 수득된 α-글루코-올리고당(α-gluco-oligosaccharides, GOS), 폴리네시아 손치폴리아의 뿌리(tubers)를 냉간 압착하여 수득된 β- 프룩토올리고당(β-fructooligosaccharides, FOS) 가 풍부한 100% 순수 야채 주스, 및 간혈멸균(tyndallization)및 동결건조에 의해 비활성화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L.).) 카세이(casei),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의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상기 프리바이오틱 부분은 폴리네시아 손치폴리아 뿌리(tubers)의 냉간 압착 추출물의 α-글루코-올리고당(α-gluco-oligosaccharides, GOS) 및 β- 프룩토올리고당(β-fructooligosaccharides)에서 나온다; 이 프리바이오틱스는 피부의 환경을 자극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비활성화된 락토바실러스 박테리아로 피부 방어시스템에 관련된 β-디펜신(β-defensins)을 자극한다. 상기 Ecoskin ® 에서 사용된 락토바실러스 박테리아(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로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의 균주는 이전에 동결건조 및 간혈멸균화(tyndallized)되었고, 이는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에서 그들의 성장을 막는 열에 의해 그들의 번식 시스템이 불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리바이오틱/프로바이오틱 복합체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활성 성분이0.05 중량%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범위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갈레닉(Galenic)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보다 특히 케라틴 소재, 특히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미용상 허용되는 매질, 즉, 피부 및 모발 및 손톱과 양립 가능한 매질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모든 화장료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특히 크림(creams), 수 중유형(oil-in-water) 또는 유중수형(water-in-oil) 에멀젼(emulsions) 또는 다중 에멀젼(multiple emulsions), 용액(solutions), 현탁액(suspensions), 겔(gels), 유액(milks), 로션(lotions), 세럼(serums), 스틱(sticks) 또는 분말(powders) 형태일 수 있고, 피부, 입술 및/또는 모발 및 손톱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입술 또는 눈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피부, 입술 및/또는 눈, 특히 안색을 위한 케어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의 형태이다.
우리는 피부 메이크업 또는 안색을 위한 메이크업에 대해 냉담하게 말할 것이다. '아이 메이크업'은 특히, 라이너 또는 아이섀도우를 의미한다.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또는 베이스, 바람직하게는 파운데이션의 형태이다.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분말, 파운데이션 또는 베이스, 바람직하게는 파운데이션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수중유형 에멀젼, 유중수형 에멀젼, 다중 에멀젼, 수성겔 형태이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성상 및 유성상을 함유하는 에멀젼 형태이다.
상기 수성상은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9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수성상에 추가로 유성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다른 유성상은 탄화수소, 실리콘, 플루오르화 또는 비플루오르화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오일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식물성, 미네랄 또는 합성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탄화수소 오일이 사용될 것이다.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은 분지형 C8-C16알칸, 분지형 C8-C16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의 예는 탄화수소 오일, 식물성 탄화수소 오일, C10-C40합성 에테르, C10-C40 합성 에테르, C12-C26 지방 알코올, C12-22 고급 지방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오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5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또한 UV필터,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겔화제, 충전제, 착색물질, 방부제, 필름-형성 중합체, 향수, 미용 완화제, 예를 들어 연화제, 보습제, 비타민, 노화 방지체, 미백체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착색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착색물질은 수용성 또는 수 불용성, 지용성 또는 무지방, 유기 또는 무기 착색물질 광학 효과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착색물질은 적절한 화장용 매체에서 충분한 양으로 제제화 될 때 착색된 광학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정의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착색물질은 특히 미네랄 및/또는 유기안료, 복합안료(광물 및/또는 유기물질에 기초한), 착색제, 진주층 또는 진주 광택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안료는 액체 유기상에 불용성인 백색 또는 유색 무기(미네랄) 또는 유기 입자로 정의되며, 조성물 및/또는 조성물로 만들어진 침전물을 착색 및/또는 불투명하게 한다.
미네랄 안료의 예에는 선택적으로 표면 처리된 이산화 티타늄(루틸 또는 아나타제); 흑색, 황색, 적색 및 갈색 산화철; 망간 바이올렛; 군청색 크롬 산화물 수화된 크롬 산화물 및 제2철 청색을 포함한다.
입술용 조성물의 예는 이산화 티타늄, 흑색, 황색, 적색 및 갈색 산화철 및 망간 바이올렛이다.
유기 안료는 예를 들어, D&C 레드 No. 19; D&C 레드 No. 9; D&C 레드 No. 22; D&C 레드 No. 21; D&C 레드 No. 28; D&C 옐로우 No. 6; D&C 오렌지 No. 4; D&C 오렌지 No. 5; D&C 레드 No. 27; D&C 레드 No. 13; D&C 레드 No. 7; D&C 레드 No. 6; D&C 옐로우 No. 5; D&C 레드 No. 36; D&C 레드 No. 33; D&C 오렌지 No. 10; D&C 옐로우 No. 6; D&C 레드 No. 30; D&C 레드 No. 3; D&C 블루 1; 카본 블랙 및 코치닐 암적색의 래커(cochineal carmine lacquers)를 포함한다.
수용성 착색제의 예는 옐로우 5, 옐로우 6, 블루 1, 그린 5, 그린 6, 오렌지 4, 레드 4, 레드 21, 레드 22, 레드 27, 레드 28, 레드 33, 레드 40, 암적색의 코치닐(Cl 15850, Cl 75470)을 포함한다.
지용성 착색제의 예는 수단 레드, D&C 레드 17, D&C 그린 6, 베타-카로틴(beta-carotene), 콩기름(soybean oil), 수단 브라운(Sudan Brown), D&C 옐로우 11, D&C 바이올렛 2, D&C 오렌지 5, 퀴놀린 옐로우(quinoline yellow), 아나토(annatto)를 포함한다.
진주층 또는 진주광택 안료는 특히 산화 티타늄 코팅 운모(titanium oxide-coated mica),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bismuth oxychloride)와 같은 백색 진주광택 안료(white pearlescent pigments); 및 산화철(iron oxides)을 갖는 티타늄 운모(titanium mica), 제2철 (ferric blue) 또는 크롬 산화물(chromium oxide)을 갖는 티타늄 운모(titanium mica), 상기 언급된 유형의 유기안료를 갖는 티타늄 운모, 및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bismuth oxychloride)에 기초한 안료와 같은 착색된 진주 광택안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진주층(mother-of-pearl) 범위는 Reflecks®, Ronastar®, Timiron® 및 Syncristal®이 그 예이다.
특히, 하나 이상의 착색 물질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료, 특히 무기안료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25 중량%, 특히 10 내지 2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충전제는 특히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실리카(silicas), 운모(micas), 카올린(kaolin), 아연 및 산화 티타늄;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및 탄화 수소; 아연, 마그네슘 또는 리튬 스테아 레이트(lithium stearate), 아연 라우레이트(zinc laurate),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magnesium myrist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s), 폴리아미드(polyamides)(예를 들어 나일론)과 같은 합성 중합체의 분말; 폴리 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또는 폴리(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의 분발, 실리콘 수지의 분말; 구형 실리카와 같은 미네랄 분말; 구형 이산화 티타늄; 유리 및 세라믹 비드(beads); 옥수수, 밀 또는 쌀 전분과 같은 천연 기원의 유기 물질의 분말, 가교 결합된 여부,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료, 특히 무기 안료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25 중량%, 특히 10 내지 2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특징인 것 이외의 임의의 화장료 활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또한 다른 화장료 및/또는 피부과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여기에는 피부 미생물총의 생물 다양성 및/또는 항상성 자극, 세포 재생, 안색 재생 또는 활력재생(생기), 피지생성 감소, 외부 침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활동이 포함된다.
자극을 목표로 하는 다음의 활성 성분이 특히 언급될 수 있다:
-활성 성분 Actibiome (물 및 해수 및 글리세린 라미나리아 디지타타(Laminaria digitata) 추출물 및 클로렐라 불가리스 추출물 및 당류 이성질체 및 페녹시에탄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과 같이, 피부 미생물총의 생물 다양성과 항상성은 스트레스 기간으로 이전에 감소된 피부의 pH를 재조정 함으로써;
-단독 또는 조합하여 그리고 산성 pH에서 "필링" 효과를 갖는 활성 성분의 도움으로 세포 재생:
.알파하이드록시산(Alpha Hydroxy Acids) AHA (글리콜산, 락트산, 시트르산??), 베타하이드록시산(Beta Hydroxy Acids) BHA (살리실산), 폴리하이드록시산(Poly Hydroxy Acids) PHA(글루코노락톤)와 같은 화학적 수단에 의해;
.Exfolactive C EL PX (Opuntia coccinellifera), DERMOCH DP (Chlorella vulgaris), ALGOWHITE (Ascophyllum nodosum)와 같은 생물학적 수단에 의해;
.MELACLEAR (Gluconic acid, Sutilains)와 같은 효소 경로에 의해;
-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안색의 재생(광채) 또는 활성화:
.레티놀(비타민 A 유사)과 같은 스무더(smoothers)
.멜라닌 생성에 의한 작용제(비타민C 유도체)
.영양제와 같은 에너자이저 및/또는 SEPIVITAL (칼륨 아스코르빌토코페릴포스페이트(potassium ascorbyl tocopheryl phosphate))와 같은 항산화제 비타민 C 및 E
-피지 트래핑제(점토(Clays)) 또는 아연 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미네랄리스 GU/Zn(Mineralis GU / Zn))및 아보카도 리포필 추출물(avocado lipophyl extract)(5 알파 아보쿠타(5 alpha avocuta))과 같은 피지 조절 활성제를 사용한 피지 생성 감소,
-외부 모욕으로부터 보호: 화학물질 또는 미네랄 필터를 사용한 오염, 청광색, UV 및/또는 반사 입자 확산,
및 이들의 혼합물.
본 발명은 또한 케라틴 소재, 특히, 피부, 입술 및/또는 눈의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을 위한 화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상기 케라틴 소재, 특히 얼굴의 피부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적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그것은 피부, 입술 또는 눈, 바람직하게는 안색을 위한 메이크업 조성물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그것은 특히 얼굴 및/또는 목의 피부를 위한 피부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방법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그것은 립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방법이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그것은 특히 눈꺼풀에 대한 눈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방법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피부 생태계를 유지 및/또는 피부 미생물총의 균형, 특히 미생물 다양성, 피부 장벽 및 이의 수중 지질 필름을 강화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의 완전성 및 내성을 향상 시키고, 특히 저산소 환경의 피부 결과를 예방 및/또는 제한, 박리 촉진 및/또는 표피 재생, 탄력 손실 감소, 모공의 이완 감소, 표면 불규칙성 감소, 안색의 균질성 개선, 및/또는 메이크업의 웨어 및 침착물의 균질성 촉진 및/또는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5 내지 63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7 내지 300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제, 및 피부 생태계 유지 및/또는 미생물총, 특히 미생물 다양성의 균형을 유지하고, 피부 장벽 및 이의 수중 지질 필름 강화, 무결성 및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의 저항 개선, 특히 저산소 환경의 피부 결과를 예방 및/또는 제한, 박리 촉진 및/또는 표피 재생, 탄력 손실 감소, 모공 이완 감소, 표면 불규칙성 감소, 안색의 균질성 개선, 메이크업 웨어 및 침착물의 균질성 촉진 및/또는 개선을 위한 조합으로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의 비치료적 미용용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5 내지 63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7 내지 300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 및 특히 피지-의존성 염증 및/또는 박테리아 증식, 특히, 지성 피부 또는 지성 경향이 있는 피부 개체에서 과다피지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및/또는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콩 가수분해물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비 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로 표시된다.
실시예
실시예 1: 각질형성세포에서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 (Blumilight™)과 조합한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과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FILMEXEL ® ) 조합의 효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이들 자산의 전사 효과에 대한 연구는, TaqMan 저밀도 어레이 (TaqMan Low Density Array (TLDA))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이 기술 덕분에, 정상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치료에 대응하여 특정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이 연구되어, 단독 또는 조합하여 활성 성분의 유전자 발현의 맵핑(mapping)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 접근법은 프로파일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에서 상기 활성 성분 또는 그들 조합의 유리한 효과를 강조할 수 있게 한다: 표피 형성 및 박리, 세포외 매트릭스, 해독 및 항산화, 염증 및 선천성 면역.
재료 및 방법
사용된 세포: 정상 인간 표피 각질형성세포.
배양 배지: HKGS(Human-Keratinocyte-Growth-Supplement)가 보충된 EpiLife®
상기 세포의 피부 기원: 복부 샘플링, 여성, 47세.
연구 모델: TaqMan 저밀도 어레이 (TaqMan Low Density Array(TLDA)) 기술
화합물로 상기 세포의 처리: 24h
테스트된 화합물:
· BLUMILIGHT™ (부틸렌 글리콜 및 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 씨앗 추출물 (THEOBROMA CACAO (COCOA) SEED EXTRACT)) 0.05%.
· FILMEXEL®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 및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물) 0.25%.
· BLUMILIGHT™ 0.05% + FILMEXEL® 0.25%.
결과
아래 표 1은 연구된 유전자의 활성 변화를 보여준다.
선택된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각 테스트는 3회 수행되었다(3가지 미처리 및 3가지 동일 조건 처리);
- 먼저 Fischer F-test는 두 개의 데이터 매트릭스를 비교하여 적용된다. 값이 α = 0.05보다 크면 Student's t-test의 분산은 2이고, Fischer's F-test가 α = 0.05 이하이면 분산은 3이 될 것이다.
-유지되는 전사적인 변화(유의한)는 Student's t-test가 α (또는 p) = 0.05이하에 해당하는 변화일 것이다. 억제는 연한 회색으로 표시되고 자극은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며(아래 참조), 흰색 배경은 중요하지 않은 변화, 즉, Student's t-test에 해당하는 변화는 알파 (또는 p) = 0.05보다 크다.
-"미확정"에 대한 "ND" 표시는 사용된 TLDA방법에 의해 정량화하기에는 유전자가 매우 적은 전사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
Figure pct00006
이러한 데이터는 테스트된 조합에 대해, 특히 전체적으로 표피의 구조를 강화하고 보존할 수 있게 하는 전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상승 효과를 보여준다:
- SERPINA3, SERPINB3와 같은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유전자 활성화를 통해 이들 단백질 구조의 분해를 방지함으로써, 모공에 대한 수렴 효과 및 피부 완화의 충전에 있어서, 그것의 유지와 관련된 피부의 단백질 구조의 무결성 촉진,
-각질 교소체 형성에 관여하는 DSG1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표피의 기계적 저항성 강화(세포를 함께 연결하는 단백질 구조),
-세포간 수분 통과(감수할 수 없는 수분 손실)를 제한하고 피부 표면의 표피 지질을 유지하는 세포간 타이트 접합의 형성에 관여하는 CLDN1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피부 장벽의 성능 향상,
-특히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KLF10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자극하고 상처 치유 및 혈관 신생에 관여하는 PPBP 유전자(별명 CXCL7)의 전사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표피의 적절한 발달 촉진,
- 특히 표피의 취약성(세포사멸)에 관여하는 TRPV3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으로 인한 불편의 감각을 가중시키기 위해 표피의 감각 성분 조절,
-살균 및 항진균성 항균성 사이토카인 CXCL7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미생물의 피부 제어 증가.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과 테오브로마 카카오L열매 가수분해물(Blumilight™)을 가지는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Filmexel®)의 발명에 따른 조합은 피부 생태계 유지 및/또는 피부 미생물총 균형, 특히 피부 장벽과 그의 수성 지질막을 강화하고, 피부의 무결성과 저항을 향상시키며, 저산소성 또는 염증성 환경의 피부 및 감각 결과를 제한하고, 탄력 손실 감소, 모공이완 및 피부 완화 불완전성(주름 및 잔주름) 형성 감소, 메이크업 제품 분포의 균질성 증진 및/또는 촉진하는 미생물 다양성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3: 화장품 제제
화장료 제형은 고전적인 제형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성분(원료)의 중량 백분율로 표시된다.
지성 피부에 적합한 보습 데이 크림:
식물성 글리세롤(VEGETABLE GLYCEROL)
(글리세린)(Glycerin) 6.0%
BLUMILIGHT™
부틸렌 글리콜 및 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코코아) 씨앗 추출물)(Butylene glycol and Water and Theobroma cacao (cocoa) seed extract) 0.10%
FILMEXEL®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과일 추출물 및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물((Caesalpinia spinosa fruit extract and Kappaphycus alvarezii extract and water)) 0.50%
비타틸 클리어 2MB(VITACTYL CLEAR 2 MB)
말바 실베스트리(아욱)추출물 및 페녹시에탄올 및 물((Malva sylvestrys (Mallow) extract and phenoxyethanol and water) 3.0%
리노히알(RENOHYAL)
나트륨 히알루론산((Sodium Hyaluronate)) 0.10%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10.0%
스테아레스-2(Steareth-2) 1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1.1%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5.0%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3.0%
글리세린(Glycerin) 2.0%
큐레이터(Curator) 0.5%
물, q.s.(Water, q.s.) 100%
복합성 피부용 젤:
식물성 글리세롤(VEGETABLE GLYCEROL)
(글리세린)(Glycerin) 6.0%
BLUMILIGHT™
부틸렌 글리콜 및 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코코아) 씨앗 추출물)(Butylene glycol and Water and Theobroma cacao (cocoa) seed extract) 0.50%
FILMEXEL®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과일 추출물 및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물((Caesalpinia spinosa fruit extract and Kappaphycus alvarezii extract and water)) 1.00%
리노히알(RENOHYAL)
(나트륨 히알루론산)(Sodium Hyaluronate) 0.1%
글리콜(Glycol) 3.0%
AMPS 폴리머(AMPS Polymer) 3.0%
미네랄 오일(Mineral oil) 2.0%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1.5%
방부제(Preservative) 0.5%
향 농축물(Fragrance concentrate) 0.3%
물, q.s.(Water, q.s.). 100%
SPF파운데이션
BLUMILIGHT™
부틸렌 글리콜 및 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코코아) 씨앗 추출물)(Butylene glycol and Water and Theobroma cacao (cocoa) seed extract) 0.10%
FILMEXEL®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과일 추출물 및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물((Caesalpinia spinosa fruit extract and Kappaphycus alvarezii extract and water)) 0.50%
UV-티타늄 M160(UV-TITANIUM M160)
(이산화 티탄, TiO2(나노))(Titanium dioxide, TiO 2 (nano)) 2.0%
산화 아연(Zinc Oxide)
(산화 아연, Cl 77947)(Zinc oxide, CI 77947) 3.0%
산화철 및 이산화 티탄(IRON OXIDES AND TITANIUM DIOXIDE)
(블랙 CI 77499, 레드 CI 77491, 옐로우 CI 77492, 화이트 CI 77891) 18.0%
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시클로헥사실록산(Cyclopentasiloxane and cyclohexasiloxane) 5.0%
세틸 디메티콘(Cetyl dimethicone) 1.0%
카프릴산/카프르산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s) 2.2%
옥틸 스테아레이트(Octyl stearate) 1.4%
미네랄 오일(Mineral oil) 3.5%
밀랍(Beeswax) 0.8%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1.1%
향 농축물(Fragrance concentrate) 0.1%
물, q.s.(Water, q.s.) 100%
피지조절 마스크
식물성 글리세롤(VEGETABLE GLYCEROL)
(글리세린)(Glycerin) 6.0%
BLUMILIGHT™
부틸렌글리콜 및 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코코아) 씨앗 추출물)(Butylene glycol and Water and Theobroma cacao (cocoa) seed extract) 1.00%
FILMEXEL®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과일 추출물 및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물((Caesalpinia spinosa fruit extract and Kappaphycus alvarezii extract and water)) 0.50%
미네랄 Gu/Zn(MINERALIS Gu / Zn)
(아연 글루콘산)(Zinc Gluconate) 0.2%
5 알파 아보쿠타(5 ALPHA AVOCUTA)
(부틸 아보카데이트, 프로필 갈레이트)(Butyl avocadate, propyl gallate) 1.0%
글리세린(Glycerin) 5.0%
세테아릴 알코올&세타아릴 글루코시드(Cetearyl alcohol & cetearyl glucoside) 3.0%
미리스틸 알코올& 미리스틸 글루코시드(Myristyl alcohol & myristyl glucoside) 2.0%
옥틸데카놀(Octyldodecanol) 3.0%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1.0%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0.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Sodium Polyacrylate) 0.5%
나트륨의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Stearoyl glutamate of sodium) 0.3%
아크릴 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Acrylate/C10-30 alkylacrylate crosspolymer) 0.2%
잔탄 검(Xanthan gum) 0.1%
이나트륨 EDTA(Disodium EDTA) 0.1%
향수(Perfume) 0.1%
물, q.s.(Water, q.s.) ㅇ
(블랙 CI 77499, 레드 CI 77491, 옐로우 CI 77492, 화이트 CI 77891) 16.0%
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시클로헥사실록산(Cyclopentasiloxane and cyclohexasiloxane) 5.0%
Cetyl dimethicone(세틸 디메티콘) 1.0%
Caprylic/capric triglycerides(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2.2%
옥틸스테아레이트(Octyl stearate) 1.4%
미네랄 오일(Mineral oil) 3.5%
밀랍(Beeswax) 0.8%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1.1%
향 농축물(Fragrance concentrate) 0.1%
물, q.s.(Water, q.s.) 100%
SPF파운데이션
BLUMILIGHT™
부틸렌 글리콜 및 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코코아) 씨앗 추출물)(Butylene glycol and Water and Theobroma cacao (cocoa) seed extract) 0.10%
FILMEXEL®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과일 추출물 및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물((Caesalpinia spinosa fruit extract and Kappaphycus alvarezii extract and water)) 0.50%
Ecoskin®
알파글루칸 올리고당 및 폴리네시아 손치폴리아 뿌리주스 및 말토덱스트린 및 락토바실러스(ALPHA-GLUCAN OLIGOSACCHARIDE AND POLYMNIA SONCHIFOLIA ROOT JUICE AND MALTODEXTRIN AND LACTOBACILLUS) 0.50%
UV-티타늄 M160(UV-TITANIUM M160)
(이산화 티탄, TiO2(나노))(Titanium dioxide, TiO 2 (nano)) 0.20%
산화 아연(Zinc Oxide)
(산화 아연, Cl 77947)(Zinc oxide, CI 77947) 3.0%
산화철 및 이산화 티탄(IRON OXIDES AND TITANIUM DIOXIDE)
(블랙 CI 77499, 레드 CI 77491, 옐로우 CI 77492, 화이트 CI 77891) 16.0%
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시클로헥사실록산(Cyclopentasiloxane and cyclohexasiloxane) 5.0%
세틸 디메티콘(Cetyl dimethicone) 1.0%
카프릴산/카프르산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s) 2.2%
옥틸 스테아레이트(Octyl stearate) 1.4%
미네랄 오일(Mineral oil) 3.5%
밀랍(Beeswax) 0.8%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1.1%
향 농축물(Fragrance concentrate) 0.1%
물, q.s.(Water, q.s.) 100%

Claims (13)

  1.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에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 5내지 630 kDa,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0 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8내지 80 kDa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7내지 3000 kDa,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00 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0 kDa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을 포함하는 화장제, 및
    b) 테오브로마 카카오L열매 가수 분해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제는 타라(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구아 (시아몹시스 테트라고놀로바), 캐롭 (세라토니아 실리콰) 뿐만 아니라, 센나 (카시아 안구스티폴리아), 카시아 (카시아 피스툴라), 카시아(카시아 오투시폴리아 또는 카시아 토라), 중국 로커스트 콩 (그레디트시아 시넨시스), 로커스트콩 (지에디트시아 트리마칸토스), 소포라 (소포라 자포니카) 및/또는 페누그릭\ (트리거넬라 푸에넘-그래쿰), 바람직하게는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의 천연 갈락토만난의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된 갈락토만난; 및 카라기난(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카파피쿠스 스트리아툼, 유케마 커토니, 유케마 스피노섬, 컨드로스 크리스퍼스, 지가르티나 스콧베르기, 사크로탈리아 크리스파타, 또는 푸셀라리아 패스트기아타, 아가 (게리디엄 세스키페데일) 또는 조류 (폴리시포니아 이아노사 또는 코디엄 프래질), 바람직하게는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에 고유한 항산화 갈락탄의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된 가교 결합된 항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제 a)는 60 내지 90%의 갈락토만난 및 10 내지 40%의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제는 1 내지 150kDa몰질량을 가지는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로부터 수득된 갈락토만난, 및 특히 1 내지 15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로부터 수득된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제 a)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활성 성분이 0.01 중량%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1%,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활성 성분이 0.4 중량% 내지 0.8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오브로마 카카오L열매 가수분해물은 펩티드 및 당류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200 Da 내지 10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펩티드 및 당류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활성 성분이 0.0005 내지 0.025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활성 성분이 0.001 내지 0.01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프리바이오틱 및 프로바이오틱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입술 또는 눈, 특히 안색을 위한 케어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케라틴 소재, 특히, 피부, 입술 및/또는 눈의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을 위한 화장 방법으로, 적어도 상기 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장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적용을 포함하고, 상기 케라틴 소재, 특히 안색, 입술 또는 눈, 바람직하게는 안색을 위한, 화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미용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방법은 피부 생태계 유지 및/또는 피부 미생물총, 특히 미생물 다양성의 균형 유지, 피부장벽 및 이의 수성 지질 필름 강화,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피부의 무결성 및 저항성 향상시키기 위한, 특히 저산소 환경의 피부 결과에서의 제어, 박리 및/또는 표피 재생 촉진, 탄력 손실 감소, 모공의 이완 감소, 표면의 요철 감소, 안색의 균질성 개선, 및/또는 메이크업 웨어 및 침착물의 균질성 촉진 및/또는 개선하기 위한 것인, 방법.
  12. 5 내지 63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7 내지 300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제, 및 피부 생태계 유지 및/또는 및/또는 피부 미생물총, 특히 미생물 다양성을 유지, 피부 장벽 및 이의 수성 지질 필름 강화,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의 무결성 및 저항성 향상, 특히 저산소 환경의 피부 결과에서의 제어, 박리 및/또는 표피 재생 촉진, 탄력 손실 감소, 모공의 이완 감소, 표면 요철 감소, 안색의 균질성 개선, 및/또는 메이크업 웨어 및 침착물의 균질성 촉진 및/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합으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테오브로마 카카오 L 열매 가수분해물의 비치료적 화장 용도.
  13. 적어도 a) 하나의 5 내지 63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갈락토만난 및 7 내지 300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 특히 1 내지 15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Caesalpinia spinosa)로부터 수득된 갈락토만난, 및 특히1 내지 150kDa의 몰질량을 가지는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Kappaphycus alvarezii)로부터 수득된 가교 결합된 황산화 갈락탄으로 구성된 작용제, 및 b) 적어도 하나의 테오브로마 카카오 L열매 가수분해물, 특히 펩티드 및 당류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 특히 200Da 내지 10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펩티드 및 당류를 포함하고, 또는 과다피지와 관련된 질환, 특히 피지-의존성 염증 및/또는 박테리아 증식의 치료 및/또는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a) 및 b)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207021294A 2017-12-22 2018-12-21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7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63141 2017-12-22
FR1763141A FR3075621B1 (fr) 2017-12-22 2017-12-22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de caesalpinia spinosa, un extrait de kappaphycus alvarezii, et un hydrolysat de feves de theobroma cacao l
PCT/FR2018/053503 WO2019122777A1 (fr) 2017-12-22 2018-12-21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extrait de caesalpinia spinosa, un extrait de kappaphycus alvarezii, et un hydrolysat de fèves de theobroma cacao 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980A true KR20200127980A (ko) 2020-11-11

Family

ID=6180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294A KR20200127980A (ko) 2017-12-22 2018-12-21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 추출물, 카파피쿠스 알바레지아이 추출물 및 테오브로마 카카오l 열매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10751A1 (ko)
EP (1) EP3727320B1 (ko)
JP (1) JP7478662B2 (ko)
KR (1) KR20200127980A (ko)
CN (1) CN111655222A (ko)
ES (1) ES2920451T3 (ko)
FR (1) FR3075621B1 (ko)
WO (1) WO2019122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2637A (zh) * 2019-10-09 2021-03-12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含长心卡帕藻提取物的紧肤精华及其制备方法
FR3108037B1 (fr) * 2020-03-10 2022-04-01 Farevacare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d’entretien du microbiome cutan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6633B2 (ja) * 2003-06-20 2011-11-02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クトマンナンハイドロコロイド
KR20180030459A (ko) * 2015-03-09 2018-03-23 바이오이뮤나이저 에스에이지엘 항산화제와 비피도박테리아 및 프로바이오틱스로부터 분리된 세포벽이 조합된 조합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US10786465B2 (en) 2015-07-27 2020-09-29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Polymer/copolymer nanoparticles conjugated to gambogic acid
FR3047173B1 (fr) * 2016-01-29 2018-02-09 Societe Industrielle Limousine D'application Biologique Agent cosmetique constitue par des galactomannanes obtenus a partir de caesalpinia spinosa et des galactanes sulfates obtenus a partir de kappaphycus alvarezii
FR3047172B1 (fr) * 2016-01-29 2020-05-08 Societe Industrielle Limousine D'application Biologique Agent cosmetique tenseur et/ou filmogene constitue par des galactomannanes et/ou des galactanes sulfates
FR3048881B1 (fr) * 2016-03-16 2020-03-27 Jafer Enterprises R&D, S.L. Hydrolysat peptidique et osidique des feves de cacao, compositions cosmetiques le comprenant et leurs utilisations cosmetiques
AU2017240656A1 (en) * 2016-03-31 2018-11-15 Gojo Industries, Inc. Topical composition for reducing pathogen binding
CN107397714B (zh) * 2017-07-19 2019-11-29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抗蓝光污染和淡化细纹功效的精华乳及其制备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7917A (ja) 2021-02-25
US20230210751A1 (en) 2023-07-06
FR3075621A1 (fr) 2019-06-28
FR3075621B1 (fr) 2020-01-17
EP3727320B1 (fr) 2022-04-06
ES2920451T3 (es) 2022-08-04
JP7478662B2 (ja) 2024-05-07
WO2019122777A1 (fr) 2019-06-27
CN111655222A (zh) 2020-09-11
EP3727320A1 (fr)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41743B (zh) 包含刺云实提取物、长心卡帕藻提取物、至少一种益生元和益生菌的美容组合物
KR20210093669A (ko)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20020900A (ko) 비피도박테리움 종 용해물,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의 추출물 및 단당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화장료 용도
JP7478662B2 (ja) カエサルピニア・スピノサ抽出物、カッパフィカス・アルベレッチー抽出物およびテオブロマカカオl豆の加水分解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7457650B2 (ja) テオブロマカカオl豆の加水分解物、少なくとも一つのプレバイオティクスおよびプロバイオティクスの含むメイクアップ組成物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9842B1 (ko) 비피더 발효물 및 천연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210653A (ja) 皮膚外用剤
JP6909569B2 (ja) 肌質改善剤
TW201223559A (en) Cytoprotective agent
KR20190098603A (ko)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WO2019122778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pour le traitement de la peau grasse
JP6902392B2 (ja) カルボニル化抑制剤
JP2006219431A (ja) 肌荒れ防止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化粧料、飲料
FR3075620A1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traitement de la peau grasse
JP6964393B2 (ja) カルボニル化抑制剤及び糖化抑制剤
KR20230060598A (ko) 천년초 줄기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CN114306200A (zh) 一种抗衰修护组合物及其应用
KR20110107054A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