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928A -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 - Google Patents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928A
KR20200126928A KR1020200052177A KR20200052177A KR20200126928A KR 20200126928 A KR20200126928 A KR 20200126928A KR 1020200052177 A KR1020200052177 A KR 1020200052177A KR 20200052177 A KR20200052177 A KR 20200052177A KR 20200126928 A KR20200126928 A KR 20200126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propyl
fluoro
oxopentanoate
isoquinolin
dihydroisoxaz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103B1 (ko
Inventor
최세현
김성원
송정욱
백재욱
박현서
박아별
김정애
강소영
문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0012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파제 (Caspase) 저해제의 프로드럭 (prodrug)인, 에스테르 부분을 가지는 이소옥사졸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PRODRUG OF CASPASE INHIBITOR}
본 발명은 캐스파제(caspase) 저해제의 프로드럭(prodrug)으로서, 에스테르 부분을 가지는 이소옥사졸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캐스파제는 효소의 일종으로서 α2β2 형태의 테트라머(tetramer)로 존재하는 시스테인 프로테아제(cysteine protease)이며, 캐스파제 저해제는 이러한 캐스파제의 활동을 방해함으로써 캐스파제의 작용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염증이나 세포사멸(apoptosis)을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을 투여하여 증상을 없애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질병으로는 골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파괴성 골 장애,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 급성 간염, 간경화,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뇌손상, 인간 돌발성 간부전증, 패혈증, 장기이식 거부반응, 허혈성 심장질환, 치매, 뇌졸중, AIDS로 인한 뇌손상, 당뇨, 위궤양 등이 있다.
캐스파제 저해제로서 공지된 여러 구조의 화합물 중 이소옥사졸린 유도체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66726호, 제10-2006-0013107호 및 제10-2008-0025123호로 출원된 바 있다. 또한, 이소옥사졸린 유도체를 기초로 한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이 국제공개번호 WO 2007/015931호(출원인: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USA)에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캐스파제에 대한 효과적인 저해제로서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이소옥사졸린 유도체의 프로드럭을 개발하여 생체이용률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화학식 2의 캐스파제 저해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친수성이 커서 경구용 제제 개발에는 유리할 수 있으나, 장기지속 제형의 개발에 불리한 문제가 있을 수 있기에, 본 발명은 장기지속 제형에 유리하도록 소수성을 가지는 화학식 2의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 형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알킬, 할로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알콕시 또는 알콕시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알킬, 할로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알콕시알킬은 임의로 치환되며, 치환기는 알킬, 할로, 할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하이드록시, 아실, 아미노, 알콕시, 카보알콕시, 옥소, 카복시, 카복시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티올, 아릴옥시, 설폭시 및 구아니도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단, R은 tert-부틸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복실산 염에는,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기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 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의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중심과 비대칭축 또는 비대칭평면을 가질 수 있으므로 E 또는 Z 이성질체, R 또는 S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및 개개의 부분입체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이성질체 및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정의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치환체에 대해 정의된 개념들이 사용된다.
용어 "할로겐" 또는 "할로"는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를 나타낸다.
용어 "알킬"은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로서, 단일결합,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포함할 수 있고, C1-C18 알킬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데실, 도데실, 펜타데실, 옥타데실, 아세틸렌, 비닐, 트리플루오로메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포화된 단일 또는 융합환 고리형 탄화수소이며, C3-C10-사이클로알킬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신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알콕시"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옥시를 의미한다.
용어 "아릴"은 공유 파이 전자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환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모노사이클릭 또는 융합환 폴리사이클릭(즉, 탄소원자들의 인접한 쌍들을 나눠 가지는 링들) 그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융합환 폴리사이클릭은 아릴과 융합된 C3-C8 사이클로알킬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아릴은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한 페닐, 나프틸, 디히드로인덴 등을 포함하는 5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릴은 C5-C12 아릴, 바람직하게는 C6-C10 아릴일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환원자로서 포함하고, 벤조 또는 C3-C8 사이클로알킬과 융합될 수 있는 단일 또는 융합고리환을 이루는 3 내지 10원,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원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옥사디아졸릴, 이속사디아졸릴, 테트라졸릴, 트리아졸릴, 인돌릴, 인다졸릴, 이속사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아이소티아졸릴, 퓨라닐, 벤조퓨라닐, 이미다졸릴, 티오페닐, 벤즈티아졸, 벤즈이미다졸, 퀴놀리닐, 인돌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3,4-다이하이드로아이소퀴놀릴, 티아졸로피리딜, 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 2,3-다이하이드로티오펜, 2,3-다이하이드로인돌, 벤조[1,3]다이옥산, 크로만, 싸이오크로만,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4H-벤조[1,3]다이옥신, 2,3-다이하이드로벤조[1,4]다이옥신, 6,7-다이하이드로-5H-사이클로펜타[d]피리미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클로알킬알킬, 아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및 알콕시알킬은 상기에 정의한 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알콕시 및/또는 알킬이 결합되어 형성한 그룹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벤질, 티오펜메틸, 피리미딘메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R이 C1-20 알킬, C3-10 사이클로알킬, C3-10 사이클로알킬-C1-6 알킬, C6-C10 아릴, C6-C10 아릴-C1-6 알킬, 3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3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6 알킬, 할로-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C1-6 알킬이며, 상기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R이 C1-18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3 알킬, C6-C10 아릴, C6-C10 아릴-C1-3 알킬, 4 내지 6원 헤테로아릴-C1-3 알킬, 할로-C1-3 알킬, C1-3 알콕시-C1-3 알킬이며, 상기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치환기는 알킬, 할로, 알콕시 또는 옥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중 대표적인 것에는 하기 화합물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에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프로필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부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이소부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이소펜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펜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헥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헵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옥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도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펜타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옥타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9E,12E)-옥타데카-9,12-디엔-1-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프로필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부틸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펜틸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알릴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펜타-3-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sec-부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펜탄-2-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헵탄-2-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펜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헥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벤질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5-메틸-2-옥소-1,3-디옥솔-4-일)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메톡시페닐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3-디히드로-1H-인덴-5-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페닐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나프탈렌-1-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나프탈렌-1-일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메톡시에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플루오로에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네오펜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싸이오펜-2-일메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싸이오펜-3-일메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및
퓨란-3-일메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와 약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그 본래의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인 반응식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화학식 1의 구조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법에 의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선행기술에 개시된 여러 합성법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하기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의 방법에 따라 화학식 2의 화합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프로드럭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식 2의 화합물과 옥살릴클로라이드 (oxalyl chloride), 디메틸 포름아미드 (dimethyl formamide, DMF), 알코올류와 디클로로메탄 (DCM) 용매를 사용하여 합성하거나, 화학식 2의 화합물과 알킬할라이드, 포타슘 카보네이트와 디메틸 포름아미드 용매를 사용하여 합성하거나,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과 EDC (3-ethyliminomethyleneamino-N,N-dimethylpropan-1-amine) 또는 EDCI (N-ethyl-N′-(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HOBt (1-Hydroxybenzotriazole), 트리에틸아민 (Et3N), 알킬알코올 및 디클로로메탄 용매를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화학식 2]
Figure pat00003
[반응식 1]
Figure pat00004
본 명세서의 제조방법에서 특별히 설명되지 않은 화합물은 그 자체로 공지된 화합물이거나, 공지 화합물로부터 공지의 합성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상기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반응 생성물로부터 재결정화, 이온영동법,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여러 방법에 의해 분리 또는 정제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그의 제조를 위한 출발물질 또는 중간체 등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소염 또는 세포사멸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은 세포사멸-매개 질환, 염증 질환, 골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및 파괴성 골 장애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에 추가하여 담체, 희석제, 부형제 등과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생물체 내로 활성 화합물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소 투여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담체(carrier)"란 세포 또는 조직 내로 화합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 많은 유기 화합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의 담체이다.
본 명세서에서 "희석제(diluent)"란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완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완충액은 인체 용액의 염 형태를 모방하고 있는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이다. 완충제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시키는 일은 드물다.
본 명세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pharmaceutically acceptable)"이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약제학적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활성 성분, 구체적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다양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혼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경구용 제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형, 주사제형 또는 패취형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공지된 제약용 담체와 부형제를 이용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제화되어 단위 용량 형태 또는 다용량 용기에 내입될 수 있다. 제제의 형태는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의 분산제, 현탁제 또는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 전에 무균, 발열물질이 제거된 물에 녹여 사용하는 건조 분말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코코아버터 또는 기타 글리세리드와 같은 통상의 좌약 기제를 이용하여 좌약형으로 제제화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용 고체투여 형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과립제가 가능하고, 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용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투여 형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만니톨, 수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붕해제, 결합제 등과 같은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비경구 제제의 경우 담체로는 통상 멸균수를 사용하며, 용해보조제와 같은 다른 성분도 포함시킬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 들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 고정오일도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도 주사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경피 제제의 경우에는 담체로서 침투촉진제 및/또는 적당한 습윤제를 임의로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없는 적당한 첨가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피부를 통한 투여를 촉진시키고/시키거나 목적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선택한다. 경피 제제는 경피용 패취, 점적제 또는 연고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투여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기타의 약제, 예를 들어, 다른 캐스파제 저해제 및/또는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과 조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인 목적으로 투여시에 단일용량 또는 분리용량으로 숙주에게 투여될 총 일일용량은 체중 1㎏ 당 약 5 내지 500 ㎎의 범위가 바람직하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성, 건강상태, 식이, 약제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란 발병 증상을 보이는 객체에 사용될 때 질병의 진행을 중단, 지연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미립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글루코즈, 폴리카프로락톤, 젤라틴 및 히알우로네이트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 또는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PLGA) 등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10:90 내지 90:10인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75: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미립구 내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와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비가 1:100 내지 70:1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와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비가 1:100 내지 17:100일 수 있다. 중량비가 상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에는, 약물이 미립구 내로 제대로 봉입되지 않거나 미립구가 응집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립구 내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비해 5%이상 30% 미만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7% 미만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6.7%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의 분자량 범위는 약 1 내지 1000 kDa,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150 kDa,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8 내지 54 kD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의 말단기 (end group)는 에스테르 또는 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립구 제조시 사용되는 용매 대비 고체 (약물 및 PLGA)의 중량비는 약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립구의 지름은 약 1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7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립구의 제조를 위해 사용 가능한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 염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N-메틸-2-피롤리돈,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틸에틸케톤, 프로필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립구 제조 단계에서, 유기용매 제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용매 제거 방법, 예를 들어 용매추출 및 교반, 가열, 질소퍼지(N2 purge) 등의 용매증발 등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캐스파제 저해제인 이소옥사졸린 유도체의 프로드럭인,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신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즉,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으로 작용한다.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프로드럭 화합물은 체내에서 에스테르 분해효소(esterase isoenzyme)에 의해 활성 형태(active form)인 화학식 2의 캐스파제 저해제로 전환된다. 이러한 프로드럭 화합물은 화학식 2의 캐스파제 저해제에 비해 약동력학적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의 프로드럭 화합물은 화학식 2의 캐스파제 저해제에 비해 약물의 지속성이 증가되며, 또한 화학식 1의 프로드럭 화합물은 인체내에서 분해효소에 의해 화학식 2로 전환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자체로 소수성을 가지기 때문에 장기지속 제형에 적합할 수 있다.
도 1은 캐스파제 프로드럭이 랫트의 혈장 내에서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활성 형태의 캐스파제 저해제로 전환되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캐스파제 프로드럭이 투여된 개의 관절 내 약물의 평균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캐스파제 프로드럭을 봉입한 PLGA 미립구의 성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4는 캐스파제 저해제를 봉입하여 제조된 PLGA 미립구의 성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5는 캐스파제 프로드럭과 고분자의 중량비를 다양화하여 제조한 PLGA 미립구의 성상을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6은 캐스파제 프로드럭을 봉입한 PLGA 미립구의 PBS 및 관절활액 모사용액 내 인 비트로 용출 그래프이다.
도 7은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를 달리하여 제조된 PLGA 미립구의 인 비트로 용출 그래프이다.
도 8은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를 달리하여 제조된 PLGA 미립구의 용출시험 진행 중 미립구의 성상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9는 미립구의 용출시험 진행에 따른 분자랑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PLGA 미립구의 관절강 내 투여에 따른 관절활액 내 캐스파제 저해제의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M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05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무수 메탄올 (2.0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이소프로판올 중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2.4 g (수율: 46%)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3 (d, 1H), 8.56 (d, 1H), 7.87 (d, 1H), 7.75-7.67 (m, 4H), 5.21 (m, 2H), 4.95 (m, 1H), 4.05 (m, 2H), 4.01 (d, 1H), 3.82 (d, 1H), 3.59 (s, 3H), 3.01 (dd, 2H), 2.41 (m, 1H), 1.12 (dd, 6H)
실시예 2: 에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06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무수 에탄올 (2.8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2 혼합물 (EtOH: hexane=1:2)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4.1 g (수율: 76%)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3 (d, 1H), 8.56 (d, 1H), 7.87 (d, 1H), 7.75-7.67 (m, 4H), 5.21 (m, 2H), 4.95 (m, 1H), 4.07 (m, 2H), 4.04 (d, 1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12 (dd, 6H)
실시예 3: 프로필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Prop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07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프로판올 (3.6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4.2 g (수율: 76%)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6 (d, 1H), 7.87 (d, 1H), 7.75-7.67 (m, 4H), 5.21 (m, 2H), 4.95 (m, 1H), 4.05 (d, 1H), 3.94 (m, 2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54 (m, 2H), 1.11 (dd, 6H), 0.80 (t, 3H)
실시예 4: 부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But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08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부탄올 (6.0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4.1 g (수율: 73%)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7 (m, 4H), 5.21 (m, 2H), 4.95 (m, 1H), 4.04 (d, 1H), 3.95 (m, 2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51 (m, 2H), 1.24 (m, 2H), 1.11 (dd, 6H), 0.81 (t, 3H)
실시예 5: 이소부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isobut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09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이소부탄올 (3.7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3.7g (수율: 66%)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5 (d, 1H), 7.88 (d, 1H), 7.75-7.67 (m, 4H), 5.20 (m, 2H), 4.95 (m, 1H), 4.03 (d, 1H), 3.81 (d, 1H), 3.77 (m, 2H), 3.01 (dd, 2H), 2.41 (m, 1H), 1.78 (m, 2H), 1.11 (dd, 6H), 0.77 (d, 6H)
실시예 6: 이소펜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Isopent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0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무수 이소펜탄올 (5.3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4.6 g (수율: 72%)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3 (d, 1H), 8.55 (d, 1H), 7.88 (d, 1H), 7.75-7.67 (m, 4H), 5.20 (m, 2H), 4.95 (m, 1H), 4.03 (d, 1H), 3.99 (m, 2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53 (m, 1H), 1.39 (m, 2H), 1.11 (dd, 6H), 0.79 (d, 6H)
실시예 7: 펜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Pent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1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펜탄올 (2.6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10 혼합물 (EtOH: hexane=1:10)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2.1 g (수율: 36%)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21 (m, 2H), 4.95 (m, 1H), 4.04 (d, 1H), 3.97 (m, 2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51 (m, 2H), 1.23 (m, 4H), 1.11 (dd, 6H), 0.83 (t, 3H)
실시예 8: 헥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hex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2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헥산올 (6.0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4.4 g (수율: 73%)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21 (m, 2H), 4.95 (m, 1H), 4.04 (d, 1H), 3.97 (m, 2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50 (m, 2H), 1.23 (m, 6H), 1.11 (dd, 6H), 0.84 (t, 3H)
실시예 9: 헵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Hept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3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무수 헵탄올 (6.8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을 4.9 g (수율: 79%)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6 (d, 1H), 7.88 (d, 1H), 7.75-7.67 (m, 4H), 5.21 (m, 2H), 4.95 (m, 1H), 4.04 (d, 1H), 3.98 (m, 2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49 (m, 2H), 1.20 (m, 8H), 1.11 (dd, 6H), 0.84 (t, 3H)
실시예 10: 옥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oct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4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옥탄올 (7.6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을 4.2 g (수율: 68%)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21 (m, 2H), 4.95 (m, 1H), 4.05 (d, 1H), 3.98 (m, 2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49 (m, 2H), 1.25 (m, 10H), 1.11 (dd, 6H), 0.85 (t, 3H)
실시예 11: 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Dec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5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데칸올 (9.2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을 1.71 g (수율: 27%)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5 (d, 1H), 7.88 (d, 1H), 7.75-7.66 (m, 4H), 5.20 (m, 2H), 4.95 (m, 1H), 4.04 (d, 1H), 3.98 (m, 2H), 3.81 (d, 1H), 3.00 (dd, 2H), 2.41 (m, 1H), 1.47 (m, 2H), 1.28-1.17 (m, 14H), 1.10 (dd, 6H), 0.87 (t, 3H)
실시예 12: 도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Dodec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6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도데칸올 (5.4 mL, 24.0 mmol, 2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을 2.4 g (수율: 34%)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21 (m, 2H), 4.95 (m, 1H), 4.05 (d, 1H), 3.97 (m, 2H), 3.82 (d, 1H), 3.00 (dd, 2H), 2.41 (m, 1H), 1.48 (m, 2H), 1.30-1.18 (m, 18H), 1.11 (dd, 6H), 0.88 (t, 3H)
실시예 13: 펜타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Pentadec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7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펜타데칸올 (11.0 g,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5.6 g (수율: 75%)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5 (d, 1H), 7.88 (d, 1H), 7.75-7.66 (m, 4H), 5.21 (m, 2H), 4.95 (m, 1H), 4.04 (d, 1H), 3.99 (m, 2H), 3.81 (d, 1H), 3.01 (dd, 2H), 2.41 (m, 1H), 1.48 (m, 2H), 1.30-1.13 (m, 24H), 1.11 (dd, 6H), 0.89 (t, 3H)
실시예 14: 옥타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Octadec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8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옥타데칸올 (6.5 g,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하여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2.1 g (수율: 26%)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21 (m, 2H), 4.95 (m, 1H), 4.06 (d, 1H), 3.97 (m, 2H), 3.82 (d, 1H), 3.00 (dd, 2H), 2.41 (m, 1H), 1.48 (m, 2H), 1.30-1.18 (m, 30H), 1.10 (dd, 6H), 0.88 (t, 3H)
실시예 15: (9E,12E)-옥타데카-9,12-디엔-1-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9E,12E)-octadeca-9,12-dien-1-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19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리놀레일 알코올 (11.0 g,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하여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0.1 g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35 (m, 4H), 5.21 (m, 2H), 4.95 (m, 1H), 4.05 (d, 1H), 3.98 (m, 2H), 3.82 (d, 1H), 3.00 (dd, 2H), 2.78 (t, 2H), 2.41 (m, 1H), 2.04 (m, 4H), 1.48 (m, 2H), 1.33-1.18 (m, 16H), 1.11 (dd, 6H), 0.88 (t, 3H)
실시예 16: 사이클로프로필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Cyclopropylm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0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사이클로프로필메탄올 (3.9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을 4.3 g (수율: 76%)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6 (d, 1H), 7.88 (d, 1H), 7.76-7.66 (m, 4H), 5.21 (m, 2H), 4.95 (m, 1H), 4.05 (d, 1H), 3.84 (m, 2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10 (dd, 6H), 0.98 (m, 1H), 0.45 (d, 2H), 0.15 (d, 2H)
실시예 17: 사이클로부틸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Cyclobutylm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1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사이클로부틸메탄올 (5.1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을 3.9 g (수율: 67%)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21 (m, 2H), 4.95 (m, 1H), 4.05 (d, 1H), 3.96 (m, 2H), 3.82 (d, 1H), 3.01 (dd, 2H), 2.42 (m, 2H), 1.92 (m, 2H), 1.75 (m, 2H), 1.58 (m, 2H) 1.10 (dd, 6H)
실시예 18: 사이클로펜틸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Cyclopentylm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2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사이클로펜틸메탄올 (5.2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을 4.2 g (수율: 69%)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21 (m, 2H), 4.95 (m, 1H), 4.04 (d, 1H), 3.86 (m, 2H), 3.82 (d, 1H), 3.01 (dd, 2H), 2.42 (m, 1H), 2.03 (m, 1H), 1.59 (m, 4H), 1.43 (m, 4H) 1.10 (dd, 6H)
실시예 19: 알릴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All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3
화학식 2의 화합물 (5 g, 12.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용매에 녹인 후 옥살릴클로라이드 (1.6 mL, 18.0 mmol, 1.5 당량)와 디메틸포름아미드 (0.04 mL, 0.6 mmol, 0.05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 mL)용매에 녹인 후, 혼합물의 온도를 5℃로 조절하고, 알릴알코올 (2.0 mL, 48.0 mmol, 4 당량)을 투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4 혼합물 (EtOH: hexane=1:4)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을 4.3 g (수율: 78%)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75 (m, 1H), 5.21 (m, 4H), 4.95 (m, 1H), 4.50 (m, 2H), 4.04 (d, 1H), 3.82 (d, 1H), 3.01 (dd, 2H), 2.42 (m, 1H), 1.10 (dd, 6H)
실시예 20: 이소프로필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Isoprop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4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용매에 녹인 후 이소프로필 프로마이드 (0.18 mL, 1.8 mmol, 1.5 당량)와 포타슘카보네이트 (0.2 g, 1.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EtOAc, 30 mL) 용매에 희석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물 (3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하여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3.6 g (수율: 27%)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15 (m, 3H), 4.95 (m, 1H), 4.03 (d, 1H), 3.82 (d, 1H), 3.01 (dd, 2H), 2.40 (m, 1H), 1.23 (m, 6H) 1.11 (dd, 6H)
실시예 21: 펜타-3-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Penta-3-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 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5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용매에 녹인 후 3-브로모펜탄 (0.22 mL, 1.8 mmol, 1.5 당량)과 포타슘카보네이트 (0.2 g, 1.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용매에 희석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물 (3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하여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0.05 g (수율: 9%)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20 (m, 2H), 4.95 (m, 1H), 4.76 (m, 1H), 4.03 (d, 1H), 3.82 (d, 1H), 3.01 (dd, 2H), 2.40 (m, 1H), 1.54 (m, 4H), 1.10 (dd, 6H), 0.86 (t, 6H)
실시예 22: sec-부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sec-but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6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용매에 녹인 후 2-브로모부탄 (0.18 mL, 1.8 mmol, 1.5 당량)과 포타슘카보네이트 (0.2 g, 1.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용매에 희석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물 (3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하여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0.5 g (수율: 88%)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5.20 (m, 2H), 4.96 (m, 1H), 4.86 (m, 1H), 4.03 (d, 1H), 3.82 (d, 1H), 3.01 (dd, 2H), 2.40 (m, 1H), 1.54 (m, 2H), 1.21 (m, 3H), 1.10 (dd, 6H), 0.89 (t, 3H)
실시예 23: 펜탄-2-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Pentan-2-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7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용매에 녹인 후 1-브로모펜탄 (0.19 mL, 1.8 mmol, 1.5 당량)과 포타슘카보네이트 (0.2 g, 1.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용매에 희석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물 (3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0.14 g (수율: 24%)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7-7.66 (m, 4H), 5.20 (m, 2H), 4.96 (m, 1H), 4.86 (m, 1H), 4.04 (d, 1H), 3.82 (d, 1H), 3.01 (dd, 2H), 2.40 (m, 1H), 1.51 (m, 2H), 1.40 (m, 2H), 1.23 (m, 3H), 1.10 (dd, 6H), 0.89 (t, 3H)
실시예 24: 헵탄-2-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Heptan-2-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8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용매에 녹인 후 3-브로모헵탄 (0.18 mL, 1.8 mmol, 1.5 당량)과 포타슘카보네이트 (0.2 g, 1.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용매에 희석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물 (3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0.12 g (수율: 20%)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7-7.66 (m, 4H), 5.21 (m, 2H), 4.96 (m, 1H), 4.84 (m, 1H), 4.05 (d, 1H), 3.82 (d, 1H), 3.01 (dd, 2H), 2.41 (m, 1H), 1.49 (m, 2H), 1.30 (m, 4H), 1.22 (m, 3H), 1.11 (dd, 6H), 0.89 (t, 3H)
실시예 25: 사이클로펜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Cyclopent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29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용매에 녹인 후 3-사이클로펜틸브로마이드 (0.19 mL, 1.8 mmol, 1.5 당량)와 포타슘카보네이트 (0.2 g, 1.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용매에 희석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물 (3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0.20 g (수율: 35%)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7-7.66 (m, 4H), 5.21 (m, 2H), 4.96 (m, 1H), 4.84 (m, 1H), 4.05 (d, 1H), 3.84 (d, 1H), 3.06 (dd, 2H), 2.41 (m, 1H), 1.72-1.23 (m, 8H), 1.11 (dd, 6H)
실시예 26: 사이클로헥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Cyclohex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0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용매에 녹인 후 3-사이클로헥실아이오다이드 (0.23 mL, 1.8 mmol, 1.5 당량)와 포타슘카보네이트 (0.2 g, 1.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용매에 희석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물 (3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0.06 g (수율: 10%)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7-7.66 (m, 4H), 5.21 (m, 2H), 4.96 (m, 1H), 4.84 (m, 1H), 4.05 (d, 1H), 3.83 (d, 1H), 3.07 (dd, 2H), 2.41 (m, 1H), 1.73-1.22 (m, 10H), 1.11 (dd, 6H)
실시예 27: 벤질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Bez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1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용매에 녹인 후 벤질브로마이드 (0.18 mL, 1.8 mmol, 1.5 당량)와 포타슘카보네이트 (0.2 g, 1.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용매에 희석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물 (3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0.5 g (수율: 78%)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6 (d, 1H), 7.88 (d, 1H), 7.75-7.66 (m, 4H), 7.36 (m, 3H), 7.22 (m, 2H), 5.17 (m, 2H), 5.05 (m, 2H), 4.95 (m, 1H), 4.05 (d, 1H), 3.82 (d, 1H), 3.01 (dd, 2H), 2.40 (m, 1H), 1.11 (dd, 6H)
실시예 28: (5-메틸-2-옥소-1,3-디옥솔-4-일)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5-methyl-2-oxo-1,3-dioxol-4-yl)m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2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용매에 녹인 후 4-클로로메틸-5-메틸-1,3-디옥솔-2-온 (0.19 g, 1.8 mmol, 1.5 당량)과 포타슘카보네이트 (0.2 g, 1.8 mmol, 1.2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용매에 희석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 mL)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물 (3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0.21 g (수율: 33%)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7 (d, 1H), 7.89 (d, 1H), 7.75-7.66 (m, 4H), 5.17 (m, 2H), 4.87 (m, 1H), 4.42 (s, 2H), 4.06 (d, 1H), 3.00 (dd, 2H), 2.39 (m, 1H), 2.18 (s, 3H), 1.11 (dd, 6H)
실시예 29: 2-메톡시페닐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methoxyphen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3
화학식 2의 화합물 (10 g, 24.0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0 mL) 용매에 녹인 후, 2-메톡시페놀 (11.9 g, 96.0 mmol, 4 당량),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0.64 g, 0.48 mmol, 0.2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0.6 mL, 0.48 mmol, 0.2 당량)을 투입하고,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I, 5.5 g, 28.8 mmol, 1.2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6 시간 교반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물 (5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3.6 g (수율: 27%)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7 (d, 1H), 7.88 (d, 1H), 7.77-7.66 (m, 4H), 7.19 (m, 2H), 6.94 (m, 2H), 5.16 (m, 1H), 4.58 (m, 2H), 4.10 (d, 1H), 3.91 (s, 3H), 3.84 (d, 1H), 3.01 (dd, 2H), 2.44 (m, 1H), 1.11 (dd, 6H)
실시예 30: 2,3-디히드로-1 H -인덴-5-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3-dihydro-1 H -inden-5-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4
화학식 2의 화합물 (10 g, 24.0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0 mL) 용매에 녹인 후, 5-인다졸 (12.8 g, 96.0 mmol, 4 당량),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0.64 g, 0.48 mmol, 0.2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0.6 mL, 0.48 mmol, 0.2 당량)을 투입하고, EDCI (5.5 g, 28.8 mmol, 1.2 당량)을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6 시간 교반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물 (5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을 3.4 g (수율: 28%)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7 (d, 1H), 7.88 (d, 1H), 7.77-7.66 (m, 4H), 7.18 (d, 1H), 7.03 (s, 1H), 6.93 (d, 1H), 5.17 (m, 1H), 4.63 (m, 2H), 4.15 (d, 1H), 3.85 (d, 1H), 3.04 (dd, 2H), 2.90 (m, 4H), 2.45 (m, 1H), 2.13 (m, 2H), 1.11 (dd, 6H)
실시예 31: 나프탈렌-1-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Naphthalen-1-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5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 용매에 녹인 후, 1-나프톨 (0.69 g, 4.8 mmol, 4 당량),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0.64 g, 0.24 mmol, 0.2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0.6 mL, 0.24 mmol, 0.2 당량)을 투입하고, EDCI (0.28 g, 1.4 mmol, 1.2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6 시간 교반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물 (1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0.07 g (수율: 10%)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7 (d, 1H), 8.25 (d, 1H), 7.95 (d, 1H), 7.88 (d, 1H), 7.74-7.57 (m, 7H), 7.47 (m, 2H), 5.32 (m, 1H), 4.66 (m, 2H), 4.13 (d, 1H), 3.88 (d, 1H), 3.10 (dd, 2H), 2.54 (m, 1H), 1.11 (dd, 6H)
실시예 32: 페닐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Phen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6
화학식 2의 화합물 (10 g, 24.0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0 mL) 용매에 녹인 후, 페놀 (9.0 g, 96.0 mmol, 4 당량),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0.64 g, 0.48 mmol, 0.2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0.6 mL, 0.48 mmol, 0.2 당량)을 투입하고, EDCI (5.5 g, 28.8 mmol, 1.2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6 시간 교반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물 (5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탄올과 헥산의 1:5 혼합물 (EtOH: hexane=1:5) 내에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2.9 g (수율: 25%)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7 (d, 1H), 7.88 (d, 1H), 7.77-7.66 (m, 4H), 7.38 (m, 2H), 7.20 (m, 3H), 5.19 (m, 1H), 4.62 (m, 2H), 4.11 (d, 1H), 3.82 (d, 1H), 3.03 (dd, 2H), 2.45 (m, 1H), 1.11 (dd, 6H)
실시예 33: 나프탈렌-1-일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Naphthalen-1-ylm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7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 용매에 녹인 후, 1-나프탈렌메탄올 (0.38 g, 4.8 mmol, 4 당량),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0.03 g, 0.24 mmol, 0.2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0.6 mL, 0.24 mmol, 0.2 당량)을 투입하고, EDCI (0.28 g, 1.4 mmol, 1.2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6 시간 교반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물 (1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하여 칼럼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0.2 g (수율: 33%)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6 (d, 1H), 8.57 (d, 1H), 7.88 (d, 1H), 7.81-7.55 (m, 7H), 7.52 (m, 2H), 7.43 (m, 2H), 5.58 (m, 2H), 5.17 (m, 1H), 5.02 (m, 2H), 4.08 (d, 1H), 3.85 (d, 1H), 3.03 (dd, 2H), 2.43 (m, 1H), 1.11 (dd, 6H)
실시예 34: 2,2,2-트리플루오로에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2,2-trifluoro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8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 용매에 녹인 후, 트리플루오로에탄올 (0.35 mL, 4.8 mmol, 4 당량),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0.64 g, 0.24 mmol, 0.2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0.6 mL, 0.24 mmol, 0.2 당량)을 투입하고, EDCI (0.28 g, 1.4 mmol, 1.2 당량)을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6 시간 교반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물 (1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0.1 g (수율: 17%)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4 (d, 1H), 8.56 (d, 1H), 7.88 (d, 1H), 7.76-7.65 (m, 4H), 4.88 (m, 1H), 4.70 (m, 2H), 4.12 (m, 2H), 4.06 (d, 1H), 3.82 (d, 1H), 3.06 (dd, 2H), 2.40 (m, 1H), 1.11 (dd, 6H)
실시예 35: 2-메톡시에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Methoxy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39
화학식 2의 화합물 (0.5 g, 1.2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 용매에 녹인 후, 메톡시에탄올 (0.37 mL, 4.8 mmol, 4 당량),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0.64 g, 0.24 mmol, 0.2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0.6 mL, 0.24 mmol, 0.2 당량)을 투입하고, EDCI (0.28 g, 1.4 mmol, 1.2 당량)를 5℃ 이하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약 6 시간 교반하고, 10%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물 (10 mL)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의 1:2 혼합물 (EtOAc: hexane=1:2)을 이용해 칼럼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0.14 g (수율: 25%)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15 (d, 1H), 8.56 (d, 1H), 7.88 (d, 1H), 7.75-7.65 (m, 4H), 5.21 (m, 2H), 4.92 (m, 1H), 4.17 (m, 2H), 4.05 (d, 1H), 3.82 (d, 1H), 3.47 (m, 2H), 3.30 (S, 3H), 3.05 (dd, 2H), 2.42 (m, 1H), 1.11 (dd, 6H)
실시예 36: 2-플루오로에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fluoro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40
화학식 2의 화합물 (100 mg, 0.24 mmol)을 EDCI (69 mg, 0.36 mmol), DMAP (3 mg, 0.02 mmol), 2-플루오로 에탄올(0.14 ml, 2.41 mmol) 과 디클로로메탄(4 ml)에서 상온 조건하에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물을 첨가 한 후, EtOAc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듐 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고 MPLC 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6 mg, 68%)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9.12 (t, 1H), 8.55 (d, 1H), 7.86 ~ 7.66 (m, 5H), 5.28 ~ 4.88 (m, 3H), 4.64 ~ 4.30 (m, 4H), 4.01 (dd, 1H), 3.79 (dd, 1H), 3.16 ~ 2.94(m, 2 H), 2.41(p, 1H), 1.08 ~ 1.07 (m, 6H)
실시예 37: 네오펜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neopent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41
화학식 2의 화합물 (2.0 g, 4.81 mmol)를 EDCI (1.4 g, 7.22 mmol), DMAP (118 mg, 0.96 mmol), 2,2-디메틸프로판-1-올 (5.19 ml, 48.1 mmol) 및 디클로로메탄 (80 ml)에서 상온 조건하에 18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물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듐 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고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M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94 g, 4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9.13 (t, 1H), 8.54 (d, 1H), 7.86 ~ 7.66 (m, 5H), 5.28 ~ 4.91 (m, 3H), 4.01 (dd, 1H), 3.82 ~ 3.79 (m, 2H), 3.67 (q, 1H), 3.11 ~ 2.90 (m, 2H), 2.37(p, 1H), 1.10 ~ 1.04 (m, 6H), 0.91(s, 5H), 0.79(s, 4H)
실시예 38: 싸이오펜-2-일메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thiophen-2-ylm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42
화학식 2의 화합물 (500 mg, 1.20 mmol)을 EDCI (277 mg, 1.44 mmol), DMAP (37 mg, 0.24 mmol), 싸이오펜-2-일메탄올 (550 mg, 4.81 mmol) 및 디클로로메탄 (4 ml)에서 상온 조건하에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물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듐 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고 MPLC 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06 mg, 5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9.15 (t, 1H), 8.56 (d, 1H), 7.88 ~ 7.67 (m, 4H), 7.38 ~ 6.99 (m, 4H), 5.32 ~ 4.90 (m, 5H), 4.01 (dd, 1H), 3.80 (dd, 1H), 3.13 ~ 2.88(m, 2H), 2.42 ~ 2.32(m, 1H), 1.10 ~ 1.03 (m, 6H)
실시예 39: 싸이오펜-3-일메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thiophen-3-ylm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43
화학식 2의 화합물 (500 mg, 1.20 mmol)을 EDCI (277 mg, 1.44 mmol), DMAP (37 mg, 0.24 mmol), 싸이오펜-3-일메탄올 (550 mg, 4.81 mmol) 및 디클로로메탄 (4 ml)에서 상온 조건하에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물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듐 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고 M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43 mg, 40%)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9.14 (t, 1H), 8.54 (d, 1H), 7.87 ~ 7.64 (m, 4H), 7.37 ~ 7.17 (m, 4H), 5.15 ~ 4.90 (m, 4H), 4.01 (dd, 1H), 3.78 (dd, 1H), 3.14 ~ 2.87(m, 2H), 2.40 ~ 2.33(m, 1H), 1.09 ~ 1.02 (m, 6H)
실시예 40: 퓨란-3-일메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furan-3-ylmethyl (S)-5-fluoro-3-((R)-5-isopropyl-3-(isoquinolin-1-yl)-4,5-dihydroisoxazole-5-carboxamido)-4-oxopentanoate]
Figure pat00044
화학식 2의 화합물 (500 mg, 1.20 mmol)을 EDCI (277 mg, 1.44 mmol), DMAP (37 mg, 0.24 mmol), 퓨란-3-일메탄올 (472 mg, 4.81 mmol) 및 디클로로메탄 (4 ml)에서 상온 조건하에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물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듐 설페이트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고 M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69 mg, 44%)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9.13 (t, 1H), 8.54 (d, 1H), 7.87 ~ 7.67 (m, 4H), 7.40 ~ 7.35 (m, 3H), 6.54 (m, 1H), 5.32 ~ 4.56 (m, 5H), 4.01 (dd, 1H), 3.77 (dd, 1H), 3.11 ~ 2.88(m, 2H), 2.40 ~ 2.33(m, 1H), 1.10 ~ 1.02 (m, 6H)
실험예 1: 화학식 1의 프로드럭의 혈장 내 가수분해 시험
7 주령의 수컷 SD-랫트의 전혈을 채취하고 원심분리하여 신선한 혈장(plasma)을 확보하였다. 시험 대상 프로드럭으로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선정하였으며, 이의 5 mg/mL DMSO 스톡 (stock)을 시험 용액 (working solution)으로 하였다. 이 용액을 아세토니트릴에 1/10 비율로 희석하여 0.5 mg/mL 농도로 만든 후, 이를 위에서 수득한 신선한 혈장에 1/100 비율로 혼합 (spike)하여 최종 농도 1 ㎍/mL으로 만들어 이를 혈장 내 약물 안정성 측정의 시작농도로 하였다. 이 후, 10 초, 5 분, 10 분, 20 분 및 30 분 시점에 각각 혈장 50 ㎕를 수집하여 내부 표준 (internal standard, IS)가 포함된 아세토니트릴로 제단백 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LC-MS/MS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프로드럭의 얻어진 피크 영역 (peak area)을 IS 의 피크 영역으로 보정하여 각 시료 수집 시점에서의 피크 응답 (peak response)을 구하고, 초기 (initial) 값 대비 잔존률 (% remaining) 을 환산하였다.
또한,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얻어진 피크 영역을 IS 의 피크 영역으로 보정하여 각 시료 수집시점 에서의 피크 응답을 구하고 시간에 따르는 생성 및 소실 양상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는 도 1에 나타나 있다. 도 1에 따르면 화학식 1의 프로드럭을 랫트의 신선한 혈장에 혼합하는 경우 약 5 분 이내에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며, 이는 혈장 내 존재하는 가수분해 효소 (esterase)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화학식 2의 화합물로 변환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험예 2: 마우스에서의 약물동력학 실험
화학식 1의 프로드럭 (실시예 2, 16 및 32의 화합물)에 대한 피하주사 (SC) 약물동력학 (PK) 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약 7 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준비하고, 투여 물질당 3 마리의 마우스 개체를 배정하여 군분리를 실시하였다. 피하주사의 경우이므로 절식은 실시하지 아니하였다. 투여 당일 0.5% 메틸 셀룰로오스 (MC)를 비히클로 하여 5 mg/mL 의 농도로 약액을 준비하고, 이를 각 개체의 체중 kg 당 10 mL의 양으로 피하 주사하여 최종 투여용량을 50 mg/kg로 하였다. 투여 후 1, 2, 4, 6, 8, 24 및 48 시간 시점에서 각각 안와정맥을 통하여 채혈을 실시하고, 군별 3 마리 개체 각각의 혈액을 헤파린 튜브에 풀링 (pooling) 하였다. 얻어진 혈액 시료를 15000 rpm 에서 2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50 ㎕를 취하여 -20℃에서 냉동보관 하였다. 분석 당일 상온에서 해동하여 보관된 부피의 총 4 배인 200 ㎕의 아세토니트릴로 제단백을 실시하였다. 이 때의 아세토니트릴은 내부 표준과 5% 의 포름산 (FA)을 포함하였다. 검량선 작성을 위하여 0.1, 0.5, 5, 50 및 500 ng/mL을 각각 기지농도로 하는 아세토니트릴 용액 (IS 및 5% FA 포함)을 제조하고, 블랭크(blank) 혈장에 상술한 바와 같이 4 배 부피의 아세토니트릴로 제단백하여 최종 0.4 ~ 2,000 ng/mL의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제단백 이후 얻어진 상층액을 0.5 ㎕씩 LC-MS/MS 에 주입 후,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피크 영역을 IS의 피크 영역으로 보정하여 각 시료 수집시점 에서의 피크 응답을 구하고 검량선을 통해 농도환산하였다. 투여군별 시간에 따른 혈중농도의 값에 대해 WinNonlin 8.1을 사용하여 비구획적분석방법을 통해 약동학 파라미터 (Cmax, Tmax, AUClast, t1/2 등)를 산출하였다. 약물 투여군별 노출 및 반감기 변화 등을 비교하여 각 화합물의 약동학 특징을 비교하였다.
모체약물 (parent drug)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프로드럭화 하여 피하주사하는 경우, 도달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혈중 최고약물농도 값이 감소하였다. 또한 물질에 따라 약물의 체내 소실반감기 (t1/2)가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는데, 이렇게 프로드럭화 된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에서 관찰된 특성은 높은 혈중 농도에 기인하는 부작용의 발현 측면에서 유리하며, 효능 발현에 필요한 유효농도를 유지하고 목적하는 효능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모체약물을 직접 투여하는 것에 비해 장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화학식 1의 프로드럭인 실시예 2, 16 및 32의 화합물을 각각 피하주사로 투여한 후 마우스의 혈장에서 측정된 대사물질인 모체약물의 약물동력학 파라미터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pat00045
도 2는 프로드럭인 실시예 2, 16 및 32의 화합물을 C57B0L/6 마우스에 피하주사한 후 얻어지는 화학식 2 화합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혈장농도 (mean plasma concentration)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41: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을 이용한 관절강 투여용 약물 지속방출형 미립구 제조
아래 표 2 및 표 3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에 따라,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이 봉입된 관절강 투여용 약물 지속방출형 시험 미립구를 16 종 제조하였다. 먼저 프로드럭과 PLGA (L/G 비율 = 50:50, M.W. 38,000~54,000)를 1:5의 중량비로 칭량하고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을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 (disperse phase)을 제조하였다. 연속상은 2%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 M.W. 31,000~50,000, 가수분해도 87~89 %) 150 mL을 사용하였고, 막유화법 (membrane emulsification)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은 상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며 용매를 제거 (solvent evaporation)하였고, 멸균된 정제수로 세척을 반복한 후, 동결건조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실시예 42: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한 관절강 투여용 약물 지속방출형 미립구 제조
아래 표 4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에 따라, 캐스파제 저해제인 니보카산 (nivocasan)이 봉입된 관절강 투여용 약물 지속방출형 대조 미립구를 2 종 제조하였다. 캐스파제 저해제와 PLGA를 1:5의 중량비로 칭량하고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을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을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PLGA의 L/G 비율은 50:50 (M.W. 38,000~54,000)과 75:25 (M.W. 76,000~115,000)의 두 가지로 달리하였다. 연속상은 2% 폴리비닐알코올 (M.W. 31,000~50,000, 가수분해도 87~89 %) 150 mL을 사용하였고, 막유화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은 상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며 용매를 제거하였고, 멸균된 정제수로 세척을 반복한 후, 동결건조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48
실험예 3: 미립구 특성 및 약물 봉입율 분석
실시예 41 (시험 미립구 1 내지 16) 및 실시예 42 (대조 미립구 1 및 2)에 의해 제조된 미립구들의 특성은 제조 중 약물의 석출 여부 및 동결건조된 미립구의 성상과 재분산시 수상에서의 부유 여부로 확인하였다. 약물의 석출여부는 제조 중 광학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동결건조된 미립구의 성상은 주사전자현미경법(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미립구의 수상에서의 부유여부는 동결건조된 미립구를 물에 재분산하여 확인하였다. 미립구에 봉입된 약물의 양은 30 mg의 미립구를 50 mL의 아세토니트릴에 녹인 후, 초원심분리 (ultracentrifugation)한 상층액을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 미립구 1 및 2에서 미립구 제조 중 캐스파제 저해제 결정이 다량 석출된 모습은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아래 표 5에는 시험 미립구 1, 2, 12 내지 14 및 16에서의 약물 석출 여부, 미립구 성상, 미립구 부유여부 및 약물 봉입율 (%, w/w)의 관찰 또는 측정 결과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들 시험 미립구의 성상을 주사전자현미경법으로 관찰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미립구들은 약 50 μm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었고, 모두 양호한 표면이 관찰되었다. 도 3의 시험 미립구 2에서 침상형으로 보이는 물질은 약물 결정이 남아있는 모습으로 세척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다.
Figure pat00049
아래 표 6에는 대조 미립구 1 및 2 에서의 약물 석출 여부, 미립구 성상, 미립구 부유여부 및 약물 봉입율 (%, w/w)의 관찰 또는 측정 결과가 나타나 있다.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한 대조 미립구들은 성상이 양호하고 미립구 부유현상도 없었으나 약물이 제조과정 중 다량 석출되었다. 약물 봉입율은 대조 미립구 1 및 2 모두에서 약 8% 정도로 관찰되어, 상기 표 5에서 측정된 시험 미립구들의 약물봉입률의 약 절반 정도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4에 따르면 대조 미립구 1 및 2는 경화 단계에서 캐스파제 저해제의 결정이 다량 석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50
결과적으로, 캐스파제 저해제를 이용해 미립구를 제조시 약물 봉입 효율이 좋지 않았으나,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을 이용하여 미립구 제조시 약물 봉입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3: 실시예 16의 프로드럭이 봉입된 관절강 투여용 약물 지속방출형 미립구 제조
아래 표 7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에 따라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인 실시예 16이 봉입된 관절강 투여용 약물 지속방출형 미립구들인 시험 미립구 17 내지 24를 제조하였다. 프로드럭 화합물과 PLGA의 중량비는 아래 표 7에 기재된 것과 같이 10, 13, 16 또는 20%(w/w)로 칭량하고,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을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PLGA의 L/G 비율은 50:50 (M.W. 38,000~54,000)과 75:25 (M.W. 76,000~115,000)의 두 가지로 달리하였다. 연속상은 2% 폴리비닐알코올 (M.W. 31,000~50,000, 가수분해도 87~89 %) 150 mL을 사용하였고, 막유화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은 상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며 용매를 제거하였고, 멸균된 정제수로 세척을 반복한 후, 동결건조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51
실험예 4: 미립구의 물리적 안정성 및 약물 봉입율 분석
시험 미립구 17 내지 24의 물리적 안정성은 완충용액인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37℃) 상에서 하루 동안 진탕 (shaking)하여 응집이 발생하는지 여부로 판단하였다. 표 8에는 시험 미립구 17 내지 24의 물리적 안정성 및 약물 봉입율 분석 결과가 나타나 있다. 시험 미립구 17 내지 19 에서는 PBS 내에서 하루 만에 미립구가 응집되는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시험 미립구 20에서는 발견되었다. 또한, 시험 미립구 21 내지 23에서는 하루 만에 미립구가 응집되는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시험 미립구 24에서는 발견되었다. 미립구 제조시 실시예 16의 프로드럭은 부하량 대부분이 봉입되는 것을 확인되었으므로, 이번 시험에서는 봉입율을 별도로 측정하지 않았다.
Figure pat00052
시험 미립구 17 내지 24가 하루 뒤 PBS 내에서 분산된 상태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의 a에 따르면 실시예 16의 프로드럭이 각각 10%, 13% 및 16% (이론적 봉입률) 봉입된 미립구는 PBS 내에 잘 분산되어 입자가 눈에 보이지 않았지만, 실시예 16의 프로드럭이 20% (이론적 봉입률) 봉입된 미립구는 응집되어 덩어리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의 b에 따르면 실시예 16의 프로드럭이 각각 10%, 13% 및 16% (이론적 봉입률) 봉입된 미립구는 PBS 내에 잘 분산되어 입자가 눈에 보이지 않았지만, 실시예 16의 프로드럭이 20% (이론적 봉입률) 봉입된 미립구는 응집되어 덩어리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6의 프로드럭이 20% 이상 봉입된 미립구를 제조시 하루 만에 PBS에서 미립구가 응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실시예 2의 프로드럭을 함유한 미립구의 인 비트로 (in-vitro) 용출시험
시험 미립구 2에 따라 실시예 2의 프로드럭을 봉입하여 제조된 미립구의 인 비트로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립구를 완충용액인 PBS (37℃ 상에서 진탕하여 특정 시각마다 용출액을 수집 및 여과한 후, HPLC로 방출된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수용액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프로드럭이 모체약물 (parent drug)인 캐스파제 저해제로 전환되므로, HPLC로 측정되는 캐스파제 저해제의 양을 통해 방출된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또한, 관절활액 (synovial fluid)을 모사한 히알루론산 1% 및 소혈청알부민 2.5%가 함유된 PBS에서도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여 관절활액 모사용액 (sSF, simulated synovial fluid)에서 용출 패턴이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의 프로드럭이 봉입된 PLGA 미립구의 인 비트로 용출 그래프가 도 6에 나타나 있다. 실험 결과, 캐스파제 저해제의 용출이 약 12 주 동안 지속됨을 확인하였으며, PBS와 sSF의 두 용출시험액에서의 용출패턴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BS와 sSF 내에서의 용출패턴에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추후 용출시험에서 굳이 sSF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실시예 16의 프로드럭을 함유한 미립구의 인 비트로 용출시험
시험 미립구 18 및 22에 따라 실시예 16의 프로드럭을 함유하도록 제조된 미립구의 인 비트로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립구를 완충용액인 PBS (37℃) 상에서 진탕하여 특정 시각마다 용출액을 수집 및 여과한 후, HPLC로 방출된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수용액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프로드럭이 모체약물인 캐스파제 저해제로 전환되기 때문에, HPLC로 측정되는 캐스파제 저해제의 양을 통해 방출된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변하는 미립구의 성상은 주사전자현미경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변하는 PLGA의 분자량은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h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 미립구 18 및 22에 따른 PLGA 미립구의 인 비트로 용출 그래프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PLGA의 L/G 비율이 50:50인 시험 미립구 18은 약 6 주간 용출이 지속되었고, L/G 비율이 75:25인 시험 미립구 22는 약 14 주간 용출이 지속되었다. 두 종류의 미립구 모두 초기 방출 증가 (initial burst) 이후 완만한 기울기로 용출이 지속되다가 중간에 급격히 용출량이 많아지는 패턴을 보였다.
용출시험 진행 중 미립구의 형상을 관찰한 사진이 도 8에 나타나 있다. 시험 미립구 18 (5050 PLGA)은 약 4 주차에 기공이 많이 생겼고, 8 주차에는 미립구가 부풀어 오르며 (swelling) 더 커지고 기공도 더 커졌다. 시험 미립구 22 (7525 PLGA)는 8 주차에 서서히 기공이 형성되려고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12 주차에는 PLGA가 부풀어 오르고 구의 형태가 붕괴된 모습이 관찰되었다.
용출시험 진행 중 시험 미립구 18 (5050 PLGA)의 분자랑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 9에 나타나 있다. 용출시험이 시작되면서 빠르게 분자량이 감소하였고, 4 주차에는 원래의 분자량보다 약 1/5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이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용출시험 결과, 용출 초반부터 가수분해에 의해 PLGA가 분해되면서 미립구 표면에 있던 약물이 빠르게 용출되었고, PLGA가 더 분해되면 기공이 형성되면서 특정 시점에서 약물의 방출이 활발히 일어나 확산되어 나오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L/G 비율이 50:50인 PLGA (5050PLGA) 사용시보다 L/G 비율이 75:25인 PLGA (7525PLGA) 사용시 더욱 지연된 방출패턴이 나타났으며, 가수분해에 의해 성상이 변하고 분자량이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실시예 2의 프로드럭을 함유한 미립구의 약물동력학 (PK) 시험
시험 미립구 2에 따라 실시예 2의 프로드럭을 함유하도록 제조된 미립구를 이용하여 개 (dog)에서 PK 시험을 진행하였다. 관절강에 300 mg/ml 의 농도의 미립구를 투약하고 특정 시점에서 관절활액을 채취하여 캐스파제 저해제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관절강 내 캐스파제 저해제 측정 결과, 24 시간 후 초기 증가가 크게 일어나고 이후 점차 농도가 줄어들었다. 2 주까지만 지속이 될 것으로 보였으나 추후 4 주차에 측정시 농도가 조금 올라간 것으로 보아 실시예 2의 프로드럭이 봉입된 시험 미립구 2 (5050PLGA)는 약 4 주간 캐스파제 저해제를 지속 방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실시예 2의 프로드럭이 봉입된 시험 미립구 2에서 캐스파제 저해제가 약 4 주 동안 지속 방출됨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화학식 1]
    Figure pat00053

    상기 식에서,
    R은 알킬, 할로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알콕시 또는 알콕시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알킬, 할로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알콕시알킬은 임의로 치환되며, 치환기는 알킬, 할로, 할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하이드록시, 아실, 아미노, 알콕시, 카보알콕시, 옥소, 카복시, 카복시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티올, 아릴옥시, 설폭시 및 구아니도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단, R은 tert-부틸이 아니다.
  2. 제1항에 있어서,
    R이 C1-20 알킬, C3-10 사이클로알킬, C3-10 사이클로알킬-C1-6 알킬, C6-C10 아릴, C6-C10 아릴-C1-6 알킬, 3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3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6 알킬, 할로-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C1-6 알킬이며, 상기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3. 제1항에 있어서,
    R이 C1-18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3 알킬, C6-C10 아릴, C6-C10 아릴-C1-3 알킬, 4 내지 6원 헤테로아릴-C1-3 알킬, 할로-C1-3 알킬, C1-3 알콕시-C1-3 알킬이며, 상기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치환기는 알킬, 할로, 알콕시 또는 옥소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4. 제1항에 있어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에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프로필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부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이소부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이소펜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펜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헥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헵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옥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도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펜타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옥타데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9E,12E)-옥타데카-9,12-디엔-1-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프로필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부틸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펜틸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알릴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펜타-3-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sec-부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펜탄-2-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헵탄-2-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펜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사이클로헥실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벤질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5-메틸-2-옥소-1,3-디옥솔-4-일)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메톡시페닐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3-디히드로-1H-인덴-5-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페닐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나프탈렌-1-일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나프탈렌-1-일메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메톡시에틸 (S)-5-플루오로-3-((R)-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2-플루오로에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네오펜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싸이오펜-2-일메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싸이오펜-3-일메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및
    퓨란-3-일메틸 (S)-5-플루오로-3-((R)-5-아이소프로필-3-(아이소퀴놀린-1-일)-4,5-디히드로아이소옥사졸-5-카복사아미도)-4-옥소펜타노에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으로서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6. 활성 성분으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소염 또는 세포사멸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형, 주사제형 또는 패취형으로 제형화된, 약제학적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미립구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90:10 내지 10:90인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구 내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와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중량비가 1:100 내지 70:100인, 약제학적 조성물.
  11. 활성 성분으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세포사멸-매개 질환, 염증 질환, 골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및 파괴성 골 장애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00052177A 2019-04-30 2020-04-29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 KR102442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1041 2019-04-30
KR1020190051041 2019-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928A true KR20200126928A (ko) 2020-11-09
KR102442103B1 KR102442103B1 (ko) 2022-09-08

Family

ID=7302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177A KR102442103B1 (ko) 2019-04-30 2020-04-29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27743A1 (ko)
EP (1) EP3954683A4 (ko)
JP (1) JP7442914B2 (ko)
KR (1) KR102442103B1 (ko)
CN (1) CN113767097A (ko)
WO (1) WO20202225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876A1 (ko) * 2020-11-30 2022-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163470A1 (ko) * 2022-02-23 2023-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옥사졸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주사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96A (ko) * 2003-06-26 2005-01-07 주식회사 펩트론 서방성 미립구의 혼합 제형을 연속한 단일 공정으로제조하는 방법
KR20050022364A (ko) * 2003-08-27 2005-03-07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이소옥사졸린 구조를 갖는 캐스파제 저해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500343A (en) * 2002-12-20 2005-01-01 Vertex Pharma Casp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JP2004220999A (ja) 2003-01-17 2004-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型開閉装置
KR100678734B1 (ko) 2004-08-06 2007-02-0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불량 검출 장치
KR100774999B1 (ko) * 2005-02-26 2007-11-09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이소옥사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4841552B2 (ja) 2005-07-08 2011-12-21 東北精機工業株式会社 デバイス位置決め台、及び、該デバイス位置決め台を有するハンドラー
NZ566022A (en) 2005-07-28 2011-04-29 Vertex Pharma Caspase inhibitor prodrugs
EP1954252B1 (en) * 2005-12-02 2016-02-03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Nanoparticles for use in immunogenic compositions
WO2008106167A1 (en) * 2007-02-28 2008-09-04 Conatus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and casp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s
TW201012816A (en) * 2008-07-11 2010-04-01 Gilead Sciences Inc Method of treatmen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R072181A1 (es) * 2008-07-11 2010-08-11 Gilead Sciences Inc Metodo de tratamiento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comprenden (r)-n-((2s,3s)-2-(fluorometil)-2-hidroxi-5-oxo-tetrahidrofuran-3-il)-5-isopropil-3-(isoquinolin-1-il)-4,5-dihidroisoxazol-5-carboxamida y uso
US20100120843A1 (en) * 2008-11-13 2010-05-13 Lg Life Sciences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lcohol-induced liver injury comprising (4s,5s)-5-fluoromethyl-5-hydroxy-4-(amino)-dihydrofuran-2-on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JP5850501B2 (ja) * 2009-06-09 2016-02-03 ニューロナノ アーベー 微小電極
CN117398350A (zh) * 2014-12-15 2024-01-16 约翰霍普金斯大学 舒尼替尼制剂及其在治疗青光眼中的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96A (ko) * 2003-06-26 2005-01-07 주식회사 펩트론 서방성 미립구의 혼합 제형을 연속한 단일 공정으로제조하는 방법
KR20050022364A (ko) * 2003-08-27 2005-03-07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이소옥사졸린 구조를 갖는 캐스파제 저해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876A1 (ko) * 2020-11-30 2022-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4248950A4 (en) * 2020-11-30 2024-04-10 Lg Chemical Ltd INJECTABLE COMPOSITION CONTAINING CASPAS INHIB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23163470A1 (ko) * 2022-02-23 2023-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옥사졸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주사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27743A1 (en) 2022-07-21
JP2022530546A (ja) 2022-06-29
CN113767097A (zh) 2021-12-07
EP3954683A4 (en) 2022-06-22
EP3954683A1 (en) 2022-02-16
JP7442914B2 (ja) 2024-03-05
KR102442103B1 (ko) 2022-09-08
WO2020222541A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6756A (en) Microcapsule containing amorphous water-soluble 2-piperazinone-1-acetic acid compound
KR102442103B1 (ko)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
JP5575979B2 (ja) シアノ基を含有するチエノピリジンエステル誘導体、その調製方法、使用および組成物
US9073899B2 (en) Solid forms of dabigatran etexilate mesylate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KR102563378B1 (ko) 2-(1-아실옥시-n-펜틸)벤조산 및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구아니딘이 형성하는 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070105979A (ko) 무정형 레르카니디핀 히드로클로라이드
US11655218B2 (en) Crystalline substituted pyrazines as PGI2 receptor agonists
BR112017012566B1 (pt) Forma cristalina monohidratada, composição e formulações farmacêuticas de inibidores de cinases relacionadas à tropomiosina (trk)
KR20180136741A (ko) 알킬카바모일 나프탈렌일옥시 옥테노일 하이드록시아마이드 또는 그 유도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그 제조방법
RU2282627C2 (ru) Кумар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с подавляющей комт активностью
EP3313816A1 (en) Metabolically robust analogs of cyp-eicosanoids for the treatment of cardiac disease
JP7478858B2 (ja) 複素環系化合物の結晶形及びその製造方法と使用
KR102366215B1 (ko)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의 주사용 조성물
KR102366226B1 (ko)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을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797553B (zh) 3‑氨基环戊烷甲酰胺衍生物
KR102437095B1 (ko) 캐스파제 저해제의 프로드럭
JPWO2001078716A1 (ja) 吸収性が改善された固体分散体
KR20160146428A (ko) 솔리페나신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락토즈를 포함하는 안정한 무정형 솔리페나신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3772515A1 (en) Stable polymorphic form of 6-fluoro-9-methyl-9h-ss-carboline and uses thereof
JP2022510928A (ja) フロピリミジン化合物の塩および結晶形ならびにその医薬用途
JP2002512232A (ja) 新規ジフェニル置換6員環複素環化合物、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薬物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TW202328107A (zh) 作為葡萄糖激酶激活劑的吡咯烷酮衍生物的前藥
JPH09315975A (ja) 2−ピペラジノン−1−酢酸誘導体の徐放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