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324A -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324A
KR20200126324A KR1020200004217A KR20200004217A KR20200126324A KR 20200126324 A KR20200126324 A KR 20200126324A KR 1020200004217 A KR1020200004217 A KR 1020200004217A KR 20200004217 A KR20200004217 A KR 20200004217A KR 20200126324 A KR20200126324 A KR 20200126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weight
parts
concrete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이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이산포장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이산포장건설(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Priority to KR102020000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6324A/ko
Publication of KR2020012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2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C04B7/323Calcium aluminosulfate cements, e.g. cements hydrating into ettringi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05Materials having an early high strength, e.g. allowing fast demoulding or formless cas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주재로 하고, 초속경 및 조강 특성 확보를 위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또는 칼슘알루미네이트(CA)와, 부착성, 균열저항성, 내염해성, 동결융해 저항성, 내마모성 등의 확보를 위한 유황분말과, 수화광물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콘크리트의 수축을 방지하며 시멘트 광물의 수화속도를 높이기 위한 무수석고를 혼합하여 우수하면서도 저렴하며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빠른 포설 및 양생시간을 제공하는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또는 칼슘알루미네이트(CA) 100~200중량부와, 유황분말 10~35중량부와, 무수석고 80~1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EARLY STRENGTH MODIFIED QUICK HARDENING CONCRETE COMPOSITION CONTAINING SULFUR AND ROAD REPAIRING OR REINFORCING APPARATUS THEREWITH}
본 발명은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주재로 하고, 초속경 및 조강 특성 확보를 위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또는 칼슘알루미네이트(CA)와, 부내염해성, 동결융해 저항성, 내마모성, 부착성, 균열저항성 등의 확보를 위한 유황분말과, 수화광물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콘크리트의 수축을 방지하며 시멘트 광물의 수화속도를 높이기 위한 무수석고를 혼합하여 우수하면서도 저렴하며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빠른 포설 및 양생시간을 제공하는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하여 개질을 위한 다양한 성분을 추가하거나,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산업 부산물을 첨가한 다양한 콘크리트 조성물이 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10-1020519호(등록일자 2011년03월02일) [유황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에서는 100 중량부의 유황을, di-싸이클로펜타디엔(DCPD) 1 내지 10 중량부,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중결합 함유 화합물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 0.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황 개질제로 중합하여 합성된 유황 폴리머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장기 저장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휩강도 및 압축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유황폴리머와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395038호(등록일자 2014년05월08일) [수경성 유황 폴리머 시멘트 및 콘크리트]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유황 및 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시클로 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계 개질제 0.1~100 중량부와, 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연(lead oxide) 0.1~10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유황 개질제를 포함하며, 유황 폴리머 콘크리트는 일반 시멘트, 골재와 함께 산화연이 개질제로 포함된 유황 폴리머 시멘트를 물과 함께 배합하여 제조되어, 8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재용융이 가능하면서도, 중합반응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경제성을 확보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특허등록 제10-1321116호(등록일자 2013년10월16일) [유황폴리머시멘트 및 그 제조 방법]이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유황 및 유황의 개질제로서 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계 0.1 ~ 100 중량부 및 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Styrene-Acrylic Ester (SAE)계 1 ~ 100 중량부가 용융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yrene-Acrylic Ester (SAE)계 개질제를 사용한 유황폴리머시멘트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100 ℃ 미만의 온도에서 용융 및 재용융이 가능하면서도 점도가 낮아 유동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유황폴리머시멘트의 점도가 낮음으로써 물에 잘 녹고, 용해된 유황폴리머시멘트 입자들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어 품질이 균일하게 발현될 수 있는 장점이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특허등록 제10-1321491호(등록일자 2013년10월16일) [유황 폴리머 시멘트 및 콘크리트]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유황 폴리머 시멘트는 유황 및 유황개질제를 중합하여 제조되는데, 유황개질제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포함하고, 유황개질제는 하이드로탈사이트와 함께 디시클로펜타디엔계 개질제를 함께 사용하여 유황 폴리머 시멘트를 제조하여, 내열성, 내염해성을 비롯한 내화학성이 증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종래 다양한 유황 함유 개질 콘트리트 조성물은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확보하면서도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보관 및 유통에 유리하고, 우수한 현장 적용성을 확보함에 있어 개선 여지가 많다.
이에 본 발명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주재로 하고, 초속경 및 조강 특성 확보를 위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또는 칼슘알루미네이트(CA)와, 내염해성, 동결융해 저항성, 내마모성, 부착성, 균열저항성 등의 확보를 위한 유황분말과, 수화광물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콘크리트의 수축을 방지하며 시멘트 광물의 수화속도를 높이기 위한 무수석고를 혼합하여 우수하면서도 저렴하며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입자크기를 3,000~6,000브레인(분말도: ㎠/g), 4,000~5,000브레인으로 하여 양생 강도는 높이고 경화시간은 단축시키면서도 가격경쟁력까지 확보하는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온에서 용융하여 뭉치는 유황의 특성상 보관이 어렵고 다른 성분과의 혼합이 불리한 유황을 동결건조 분말로 제조하여 조작성 및 현장 적용성을 확보한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로 및 교량의 포장 및 보수·보강 공사시 신속한 포설 및 양생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양생블록을 구비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또는 칼슘알루미네이트(CA) 100~200중량부와,
유황분말 10~35중량부와,
무수석고 80~1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입자크기는 3,000~6,000브레인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입자크기는 4,000~5,000브레인인 것이 좋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는
상기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동휠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부를 내장한 양생부;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된 호퍼;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어 도로에 쏟아진 콘크리트 조성물을 분산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 분산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구비된 포장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호퍼 하부 배출부에는 혼합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찢기 위하여 장방형 제1개구부 양측에 반복 형성된 이빨부를 구비한 제1블렌더와,
이 제1블렌더 하부에 구비되고 장방형 제2개구부 양측에 하향 돌출되어 X자 형태로 교차하는 복수의 분산로드를 구비한 제2블렌더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주재로 하고, 초속경 및 조강 특성 확보를 위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또는 칼슘알루미네이트(CA)와, 내염해성, 동결융해 저항성, 내마모성, 부착성, 균열저항성 등의 확보를 위한 유황분말과, 수화광물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콘크리트의 수축을 방지하며 시멘트 광물의 수화속도를 높이기 위한 무수석고를 혼합하여 우수하면서도 저렴하며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제공하고, 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입자크기를 3,000~6,000브레인(분말도: ㎠/g), 4,000~5,000브레인으로 하여 양생 강도는 높이고 경화시간은 단축시키면서도 가격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상온에서 용융하여 뭉치는 유황의 특성상 보관이 어렵고 다른 성분과의 혼합이 불리한 유황을 동결건조 분말로 제조하여 조작성 및 현장 적용성을 확보하게 되며, 아울러 본 발명의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 양생블록을 통하여 도로 및 교량의 포장 및 보수·보강 공사시 신속한 포설 및 양생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에 대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또는 칼슘알루미네이트(CA) 100~200중량부와, 유황분말 10~35중량부와, 무수석고 80~1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순히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 OPC)만을 주재로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염해 및 동결융해 저항성이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열화의 대부분은 물을 통해 이물질이 콘크리트 내부에 침투하여 발생하지만, 콘크리트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방수필름층을 콘크리트 포장 상판에 인위적으로 설치는 방식으로 보완할 수 있으나 내구성과 시공성의 문제를 갖게 된다.
또 초속경 시멘트를 확보하기 위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4CaO·3Al2O3·SO3)나 칼슘알루미네이트(SA, CaO·Al2O3, 12CaO·7Al2O3, CaO·2Al2O3) 계열의 시멘트 광물을 사용하고, 여기에 석고를 활용하여 에트링자이트(3CaOAl2O3·3CaSO4·32H2O)를 다량 생성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바, 에트링자이트는 침상의 시멘트 수화물로 다량 발생할 경우 시멘트가 경화하며 초기에 우수한 강도를 발현하게 된다.
다만 초속경 시멘트에 이용되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나 칼슘알루미네이트(CA)은 대부분 고가의 수입 제품으로 대량 첨가하기에는 가격경쟁력에 한계가 있다.
상기 석고는 천연무수석고 및 화학무수석고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석고를 통하여 수화광물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콘크리트의 수축을 방지하며, 시멘트 광물의 수화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탈황석고(CaSO4)를 사용하여 에트린자이트를 초기부터 충분히 생성시켜 시멘트의 구조를 치밀화시킴으로써 강도 및 건조수축에 대한 균열 저감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유황 또는 개질유황을 콘크리트 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착성, 균열저항성 등의 물리적 성질과 내염해성, 동결융해 저항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 제조 원가가 낮은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얻을 수 있다. 또 유황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개질첨가제인 라텍스의 대체제로 활용할 수 있는 바, 가격경쟁력 확보의 단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단순한 조강 시멘트가 갖는 단점, 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투수성이 높아 염화물이나 수분의 침투가 발생하여 콘크리트가 부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특유의 초속경 특성을 통하여 긴급 보수용도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고, 또 콘크리트 도로는 대부분 동절기 제설제에 의한 부식현상으로 내구성이 저하하며 그 열화 현상이 심화되어 심각하게 노후화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현장 적용성을 위하여 필수적인 소량의 유동화제 및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화제는 멜라민계, 리그닌계, 폴리칼본산계, 나프탈렌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상기 성능 개질 혼화제 내의 기포를 제거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바, 나아가 소포제를 통해 성능 개질 혼화제에 첨가되면 공기연행 효과를 부여하여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포제의 예로는 지방산계 소포제, 오일계 소포제, 에스테르계 소포제,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알콜계 소포제, 이소프렌-아크릴로니트릴 혼성중합체계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현장에 따라 본 콘크리트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잔골재 5~100중량부 및 물 5~50중량부를 더 혼합하고 교반하여 포설할 수 있다.
상기 잔골재의 일부 또는 모두는 고로슬래그 분말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고로슬래그 분말은 잠재 수경성 특성, 장기 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에 유효하다.
또 잔골재는 실리카질 규사 및 견운모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성능 개질 혼화제로 초산셀롤로오스, 폴리 에틸렌, 알콕시메틸폴리아미드 등을 미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강도, 접착력, 가사시간, 작업성, 연성, 유동성, 내식성, 내화학성,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의 추가 성능 향상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입자크기는 3,000~6,000브레인(분말도: ㎠/g), 4,000~5,000브레인으로 하여 양생 강도(kgf/㎠)(280~400kgf/㎠) 확보 가능)는 높이고 경화시간은 단축시키면서도 가격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온에서 용융하여 뭉치는 유황의 특성상 보관이 어렵고 다른 성분과의 혼합이 불리한 유황을 동결건조 분말로 제조하여 조작성 및 현장 적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동결건조 분말은 적합한 코팅제를 도포하여 보존성, 유통성 및 시공성을 추가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제조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조예 1>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입자크기는 4,400~4,500브레인) 44중량%, 잔골재 45중량%, 그리고 유동화제(멜라민계) 0.5중량% 및 소포제(올레인산) 0.5중량%를 믹서에서 혼합한 후, 이 혼합된 콘크리트 골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중량부를 추가하여 믹서로 교반하여 시멘트 몰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도로 및 교량의 포장 및 보수·보강 공사시 신속한 포설 및 양생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양생블록을 구비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A)는 크게 이동휠(11)을 구비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의 상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부(21)를 내장한 양생부(30),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된 호퍼(30),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어 도로(R)에 쏟아진 콘크리트 조성물(m)을 분산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 분산부재(40),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구비된 포장롤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휠(11)은 자주식 이동휠이어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A) 자체에 구동엔진 등의 동력부가 구비되거나, 견인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견인식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양생부(20)는 공지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부(21)를 내장한 발진블록(B20)을 포함하며, 전원은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A) 자체에 구비되거나 견인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발진블록(B20)은 도로에 쏟아진 콘크리트 조성물(m)을 펼치고 다지기 위하여 콘크리트 조성물(m)과 접촉하여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발열로부터 양생시간을 단축시키는 기본 기능 외에 다짐기능은 물론 직접 접촉에 의한 열전도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양생부(20)의 발진블록(B20)은 회전수단(23)을 통하여 회전하고, 승강수단(25)을 통하여 작업 휴지, 작업시작, 도로 경사 등에 따라 발진블록을 변위하고, 나아가 틸팅수단(27)을 통하여 도로 상황에 따라 발진블록의 각도 및 접촉부위를 조정하고, 나아가 발진블록 자체가 필요에 따라 프레임의 전후 좌우로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시공성을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호퍼(40)는 레미콘 차량이나 견인차로부터 교반된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M)을 받아 저장하며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로에 콘크리트 조성물(m)을 적절량 쏟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호퍼(30) 하부 배출부에는 혼합된 콘크리트 조성물(M)을 찢기 위하여 장방형 제1개구부(31A) 양측에 반복 형성된 이빨부(31B)를 구비한 제1블렌더(31)를 갖는다.
또 이 제1블렌더(31) 하부에 구비되고 장방형 제2개구부(33A) 양측에 하향 돌출되어 X자 형태로 교차하는 복수의 분산로드(33B)를 구비한 제2블렌더(33) 구비하여 혼합된 콘크리트 조성물(M)을 마치 우동 가닥과 같이 찢어 배출하여 고른 도로 도포와 2차 혼합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이는 본 발명의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의 핵심 성분의 성능 유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유황을 현장 근처에서 혼합하는 경우 혼합 균일성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A)는 추가적으로 호퍼(30) 후방에 분산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이 분산부재는 승강수단(40A)에 의하여 도로(R)에 쏟아진 콘크리트 조성물(m)과의 접촉 여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전방의 갈퀴 유사 형상의 혼합부재(41)와 후방의 평판 형상의 평탄화부재(43)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후방, 특히 최후방 하부에 구비된 포장롤러(50)는 자주식 도로 포장 장비의 기능을 도입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의 구체 제조방법 및 다양한 현장 적용예는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조성의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또는 칼슘알루미네이트(CA) 100~200중량부와,
    유황분말 10~35중량부와,
    무수석고 80~1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입자크기는 3,000~6,000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입자크기는 4,000~5,000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200004217A 2020-01-13 2020-01-13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 KR20200126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217A KR20200126324A (ko) 2020-01-13 2020-01-13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217A KR20200126324A (ko) 2020-01-13 2020-01-13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814A Division KR102074356B1 (ko) 2019-04-29 2019-04-29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324A true KR20200126324A (ko) 2020-11-06

Family

ID=7357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217A KR20200126324A (ko) 2020-01-13 2020-01-13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63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749B1 (ko) * 2021-11-25 2022-02-17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고연성의 초속경 및 조강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749B1 (ko) * 2021-11-25 2022-02-17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고연성의 초속경 및 조강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552B1 (ko) 도로 포장용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456676B1 (ko) 초조강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1363857B1 (ko) 조강형 혼합 시멘트 결합재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조강형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102229203B1 (ko) 강도 및 내구성 우수한 긴급보수용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 시공방법
US4402749A (en) Cementitious compositions with early high strength development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tting rate
KR102045081B1 (ko) 친환경인 바잘트 섬유를 이용하여 비산 먼지를 저감한 동결융해 저항성 초속경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0570958B1 (ko) 환경친화적이며, 속경성 및 고강도 특성을 가지는 흙포장용 조성물
KR101489653B1 (ko) 속경성 폴리머 개질 방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로 보수공법
KR102074356B1 (ko)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
KR102133431B1 (ko) 고성능 라텍스 개질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2372576B1 (ko) 폴리머 혼화제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도로포장의 단면 보수보강 방법
KR20200126324A (ko) 초속경 및 조강 특성을 갖는 유황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보강장치
CN101708969A (zh) 一种快速修复水泥混凝土道路的水泥混凝土外加剂
KR101852957B1 (ko) 토사, 폐기물, 해사, 및 사막모래 경화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경화체 조성물
JP6914102B2 (ja) 道路補修材
KR102229199B1 (ko)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도로포장 보수용 조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JP2004210557A (ja) グラウト組成物
KR102278195B1 (ko) 균열 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20090085451A (ko) 고강도 급경성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 포장의 보수 공법
KR102050992B1 (ko) 친환경 바잘트 섬유와 경량 재료를 오일 코팅하여 비산 먼지를 저감한 동결융해 저항성 개선한 초속경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JP4319312B2 (ja) コンクリート舗装
JP7145751B2 (ja) 舗装用補修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補修工法
KR101426691B1 (ko) 개질 유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고성능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0581227B1 (ko) 토양 경화용 화학 조성물
KR100895214B1 (ko) 차도용 칼라시멘트 조성물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