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004A - 파이프 칼라 및 마모 링을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칼라 및 마모 링을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004A
KR20200126004A KR1020207030220A KR20207030220A KR20200126004A KR 20200126004 A KR20200126004 A KR 20200126004A KR 1020207030220 A KR1020207030220 A KR 1020207030220A KR 20207030220 A KR20207030220 A KR 20207030220A KR 20200126004 A KR20200126004 A KR 20200126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ar ring
collar
transmission
ou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867B1 (ko
Inventor
뤼디거 루이그
피터 스판케
Original Assignee
에쎄르-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쎄르-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케이지 filed Critical 에쎄르-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20012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6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65Heat treatment
    • B29C63/0069Heat treatment of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1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3Wea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파이프(3) 및 금속성 외부 파이프(2)를 포함하는 2중-벽의 파이프 본체 및 단부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파이프 칼라(5)를 가진, 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전달 파이프(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달 파이프(1)에 따르면, 내부 파이프(3)는 강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마모 링(9)이 파이프 칼라(5)에 삽입되며, 마모 링의 내측 직경(Di9)은 내부 파이프(3)의 내측 직경(Di3)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다.

Description

파이프 칼라 및 마모 링을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전달 파이프 및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전달 파이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체를 이송하기 위해 전달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러한 전달 파이프들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전달 펌프에서 사용된다. 우선, 전달 파이프들은, 전달 압력을 견디기 위하여, 내압성을 지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고체 입자들로 인해, 그에 상응하는 높은 연마 마모(abrasive wear)가 발생된다.
DE 198 21 637 A1은 고체를 이송하기 위한 2중-벽의 전달 파이프를 기술한다. 파이프 칼라가 전달 파이프의 각각의 단부에 제공된다. 마모 링이 파이프 칼라의 내부에 배열된다.
게다가, US 2008/0174110 A1은 2중-층 파이프의 제조를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이를 위해, 주조 공정에 의해 라이너(liner)가 형성된다. 경화 공정 동안에, 라이너는 수축된다. 그 뒤, 라이너를 주조 몰드(casting mold)에서 제거하고, 다시 가공하여 외부 파이프에 삽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제조 비용, 자체 중량, 내마모성 및 제조 적합성에 관해, 범용 전달 파이프(delivery pipe)를 최적화하는 데 있다.
위에 언급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로 구현된다.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15항의 특징들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술된다.
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전달 파이프는, 특히, 콘크리트 전달 파이프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전달 파이프는, 내부 파이프 및 외부 파이프를 포함하는 2중-벽의 파이프 본체 및 단부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파이프 칼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전달 파이프에 따르면, 내부 파이프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마모 링(wear ring)이 파이프 칼라에 삽입되며, 마모 링의 내측 직경은 내부 파이프의 내측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으며, 내부 파이프는 주조 공정으로 외부 파이프에 주조된다.
우선, 외부 파이프가 내압성의 금속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는, 예를 들어, S235 또는 S355 타입의 강철일 수 있다.
또한, 외부 파이프는 섬유-강화 복합 재료, 예를 들어, GFRP 또는 CFRP로 제조될 수 있다.
이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내부 파이프가 외부 파이프 내에 직접 주조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내부 파이프 및 외부 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물질-접합 결합(substance-bonded coupling)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이를 위해, 내부 파이프는 원심 주조 공정에서 외부 파이프에 주조된다. 이는 회전 원심 주조 또는 몰드 원심 주조일 수 있다. 단부에 삽입된 마모 링들은, 주조 공정 동안, 내부 파이프의 재료가 외부 파이프로부터 흘러 나오지 않도록 한다.
내부 파이프의 플라스틱 재료는, 내부 파이프의 내측 벽에서 발생하는 층류가 내부 파이프에 약간의 연마 마모를 야기하도록 선택된다. 파이프와 파이프 엘보우(pipe elbow) 사이 또는 두 파이프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al region)에서 난류(turbulent flow)로 인한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모 링이 삽입된다.
마모 링 자체도 플라스틱 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내부 파이프의 플라스틱보다 연마 마모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료가 선택된다.
하지만,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들에서, 마모 링은 금속성 재료로 제조된다. 특히, 마모 링은 경화되고 및 템퍼링 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C45 내지 C60 타입의 강철일 수 있다. 또한, 마모 링은 또 다른 주조 재료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롬 카바이드 재료, 예를 들어, GX35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모 링은 세라믹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마모 링이 파이프 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파이프가 추가 구성요소들에 결합될 수 있도록, 파이프 칼라가 적어도 한 단부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칼라가 전달 파이프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다. 파이프 칼라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재료로 제조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부 파이프에 결합되거나 또는 외부 파이프와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사용되는 결합 공정은, 물질 접합, 힘 맞춤 또는 형태 맞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납땜, 용접, 접착, 가압 또는 플랜지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칼라는 외부 파이프에 용접된다.
내부 파이프가 특히 납땜이나 용접에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외부 파이프를 통해 내부 파이프에 열이 전달되어 플라스틱 파이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먼저 외부 파이프가 제공되고, 파이프 칼라에 결합되며, 특히 용접된다. 그 뒤, 내부 파이프의 플라스틱 재료가 용접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도, 내부 파이프가 외부 파이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이프 칼라의 내측 직경은 내부 파이프의 외측 직경 또는 외부 파이프의 내측 직경보다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데, 특히 더 크다. 따라서, 제공된 파이프 칼라에도 불구하고, 도구(tool)는 여전히 외부 파이프에 삽입될 수 있다.
마모 링 자체는 다시 파이프 칼라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형태 맞춤, 억지 끼워맞춤 및/또는 물질 접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모 링은 클립 연결의 원리에 따라 형태 맞춤에 의해 삽입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 칼라는 내부를 향해 안내되는 반경방향으로 외주방향 웨지 연장 부를 가진다. 이와 상응하게, 마모 링은 외부를 향해 안내되는 반경방향으로 외주방향 웨지 연장부를 가진다. 파이프 칼라를 삽입할 때, 웨지 연장부의 챔퍼 페이스(chamfered face)들은 각각의 웨지 연장부가 축방향으로 극복될 때까지 서로 접하며, 마모 링 및 파이프 칼라 상에서 두 웨지 연장부가 형태 맞춤에 의해 서로 일렬로 결합되거나 또는 언더컷(undercut)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그 외에도 또는 대안으로, 마모 링은 파이프 칼라에 접착되거나 그 외의 경우 삽입될 수 있다.
대안의 변형 실시예로서, 전달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 파이프가 내부 파이프에 대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파이프 칼라는 특히 외부 파이프에 용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및 그 외에도, 용접 공정 동안, 외부 파이프는 특히 내부 냉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접합 공정 후에, 마모 링을 파이프 칼라에 삽입할 수 있다. 대안으로, 먼저, 마모 링이 파이프 칼라에 결합될 수 있다. 그 뒤, 파이프 칼라에 결합된 마모 링은 외부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 경우, 마모 링은 축방향에서 파이프 칼라를 지나 내부 파이프 방향으로 전달 파이프로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따라서, 마모 링은 반경방향에서 중앙배열 효과(centering effect)를 구현하여, 파이프 칼라 및 외부 파이프는 함께 용접될 수 있다.
마모 링으로부터 내부 파이프로의 전이될 때 난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파이프 칼라의 내측 직경은 내부 파이프의 내측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아야 한다. 내부 파이프로 유입되는 흐름은 특히 마모 링으로부터 내부 부분으로의 전이 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올라가서 내부 부분의 단부 영역에서 마모가 초기에 커진다.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마모 링은 30 내지 200 mm 사이의 축방향 길이를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길이는 파이프 칼라 자체의 내측 직경의 약 25 내지 100%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전달 파이프는, 플라스틱 내부 파이프로 인해, 특히 낮은 자체 중량을 가진다. 입구 영역의 마모 링으로 인해, 하이브리드 파이프로서 기술될 수 있는 이러한 전달 파이프의 내구성도 높다. 위에서 기술된 제조 방법, 사용되는 재료 및 그에 관련된 재료 비용으로 인해, 제조 비용이 낮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체 전달 파이프는 외부 파이프가 단부에서 벌어지도록(flared) 제조될 수 있다. 벌어진 단부는 파이프 칼라를 구성한다. 그 뒤, 마모 링은 벌어진 외부 파이프에 삽입된다. 대안으로, 마모 링이 삽입된 후에, 내부 파이프가 외부 파이프에 삽입될 수 있다. 내부 파이프는 원심 주조 공정에서 외부 파이프에 삽입된다. 각각의 단부에 삽입된 마모 링은 내부 파이프 제조를 위한 원심 주조 공정 동안 액체 재료가 단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파이프의 단부는, 한 스테이지, 선택적으로는 두 스테이지, 즉 2개의 계단형 숄더(stepped shoulder)로 벌어질 수 있다. 마모 링은 내부 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는 가압(pressing)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외부 링이 외부의 외부 파이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압력 끼워맞춤(press fit)으로 마모 링을 외부 파이프에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달 파이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내부 파이프가 외부 파이프에 주조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주조는, 특히, 원심 주조 공정으로 수행되며, 바람직하게는 회전 원심 주조 또는 몰드 원심 주조 공정으로 수행된다. 마모 링에 관해, 이는 동시에 밀봉 플러그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원심 주조 공정 동안에 원심력으로 인해, 내부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 재료가 외부 파이프의 내측 케이싱 표면에 가압된다. 이는 반경방향으로 발생된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외부 파이프의 축방향 단부들에서 흘러나올 것이다. 이는 마모 링에 의해 방지된다.
특히,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재료가 유입되기 전에, 외부 파이프의 내측 케이싱 표면의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 세척이 수행된다. 여기서, 플라스틱 재료는 특히 액체 또는 페이스트(paste) 형태 또는 점성 상태로 유입된다. 그 뒤, 외부 파이프는 종축 주위로 회전되고 내부 파이프는 외부 파이프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파이프의 벽 두께는 1 내지 20mm 사이,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m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mm 사이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내부 파이프의 벽 두께는, 인발(drawn) 또는 가압되는(pushed in) 파이프와 달리, 제조 방법에 무관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이는, 인발 또는 가압되는 내부 파이프에 비해, 전달 파이프를 향상시킨다.
주조 공정에서 동시에 제조하면, 외부 파이프 및 내부 파이프 사이에 물질 접합 연결(substance-bonded connection)이 생성된다. 따라서, 외부 파이프 및 내부 파이프를 별도로 다시 접착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각각의 마모 링은 각각의 내부 반경방향 단부 면(end face)에서 내부 파이프에 주조된다.
특히,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외부 파이프는, 원심 주조를 위해 채워지고(filling) 그 후에 회전되는 동안, 가열된다. 여기서, 외부 파이프는 삽입된 플라스틱 재료보다 따뜻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후속 냉각 공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플라스틱 재료는, 추후에, 플라스틱 파이프의 내측 케이싱 표면에서가 아니라 내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 사이의 접촉면에서, 수축되기 시작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 특징, 특성 및 양태들은 아래 설명의 주제이다.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들이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면에서:
도 1은 파이프 칼라가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파이프의 단부,
도 2는 외부 파이프가 내부 파이프를 지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도 1에 따른 대안의 변형 실시예,
도 3은 파이프 칼라의 결합에 대해 도 2에 대한 한 대안예로서의 변형 실시예, 및
도 4는 외부 파이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파이프 칼라를 가진 대안의 변형 실시예.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지만, 단순함을 위해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되었다.
도 1은 외부 파이프(2) 및 외부 파이프(2)에 둘러싸인 내부 파이프(3)를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또는 다층 파이프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달 파이프(10)의 단부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파이프(2)는 금속성 재료로 제조되고 내부 파이프(3)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파이프 칼라(5)가 전달 파이프(1)의 한 단부(4) 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파이프 칼라(5)는, 예를 들어, 축방향(6)에서 외부 파이프(2)의 외측 케이싱 표면(7)을 둘러싼다. 게다가, 파이프 칼라(5)는 외주방향 이음 심(8)을 통해 물질 접합(substance bonding)에 의해 외부 파이프(2)에 결합된다. 더욱이, 내부 파이프의 벽 두께(W3)가 도시된다.
마모 링(9)이 파이프 칼라(5)에 삽입된다. 여기서, 마모 링(9)의 내측 직경(Di9)은 내부 파이프(3)의 내측 직경(Di3)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된다. 내부 파이프(3) 및 마모 링(9)의 페이스 단부(10 및 11)들은 틈(gap) 없이 서로 접한다(abut).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칼라(5)의 내측 직경(Di5)은 외부 파이프(2)의 내측 직경(Di2)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마모 링(9)은 파이프 칼라(5)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마모 링(9)은 마모 링(9)의 외측 케이싱 표면(13)으로부터 돌출되는 반경방향으로 외주방향 래칭 웨지(14)를 가진다. 확대된 내측 직경을 가진 파이프 칼라(5)의 단부(15)가 내부 방향으로 안내되는, 반경방향으로 외주방향 웨지 연장부(16)를 가진다. 이제, 마모 링(9)이 축방향(6)으로 파이프 칼라(5)에 삽입되면, 웨지 연장부(16)들이 서로 위로 미끄러지고 언더컷(17)이 형성되어 마모 링(9)이 형태 맞춤(form fit)에 의해 위치적으로 고정된다. 대안으로, 마모 링(9)은 제자리에 접착, 가압 또는 플랜지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마모 링(9)은 축방향 길이(L9)를 가진다.
도 2는 전달 파이프(1)의 단부 부분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도 1에 비해, 외부 파이프(2)가 축방향(6)으로 내부 파이프(3)를 지나 돌출되어 형성된다. 파이프 칼라(5)는 다시 축방향(6)으로 외부 파이프(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형성되고, 이음 심(8)에 의해 외부 파이프(2)에 결합된다. 발생하는 열 영향이 플라스틱 내부 파이프(3)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 파이프(3)가 아니라, 반경방향(R)에 대해, 외부 파이프(2) 아래의 이음 심(8) 영역에 배열된 마모 링(9)의 한 부분이다. 용접 동안, 상응하는 열 효과는 마모 링(9)에 결정적이지 않다. 또한, 마모 링(9)은, 이음 심(8)이 완료된 후에만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파이프(2)는 용접 공정 동안 내부 냉각(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열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실시예에서, 게다가 내부 파이프(3)의 단부 면(10) 및 마모 링(9)의 단부 면(11)은 틈 없이 형태 맞춤에 의해 서로 접한다. 상기 변형 실시예에서도, 마모 링(9)은 웨지 연장부들 사이에서 상응하는 언더컷(17)에 의해 파이프 칼라(5) 내에 클립 고정된다. 하지만, 마모 링(9)은 예를 들어 파이프 칼라(5)에 접착될 수 있다. 이음 심(8)은, 예를 들어, 중공 용접부로서 구성된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대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길이 부분들에서 외부 파이프(2)는 축방향(6)에서 내부 파이프(3)를 지나 돌출된다. 여기서, 파이프 칼라(5)는 맞대기 용접(butt weld) 형태의 이음 심(8)에 의해 외부 파이프(2)의 축방향 페이스 단부(18)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이는 이미 제공된 파이프 칼라(5)와 함께 전달 파이프(1)에 마모 링(9)을 삽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반경방향(R)에서, 외부 파이프(2)에 대한 파이프 칼라(5)의 중앙배열(centering)은 마모 링(9)에 의해 제공된다.
도 4는 전달 파이프(1)의 대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 또한 외부 파이프(2) 및 내부 파이프(3)를 가진다. 내부 파이프(3)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파이프 칼라(5)는 외부 파이프(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 파이프(2)는 벌어진다(flared). 벌어진 단부는 두 스테이지로 형성된다. 외부 파이프(2)의 내측 직경(Di2)과 비교하여, 외부 파이프(2)는 내측 직경(Di5.1)으로 제1 스테이지에서 벌어지고, 다시, 단부에서 내측 직경(Di5.2)으로 제2 스테이지에서 벌어지며, 그에 따라, 각각의 경우에서, 외부 파이프(2)의 내측 직경(Di2)에 비해, 더 큰 내측 직경(Di5.1, Di5.2)이 형성된다. 특히, 금속성 재료로 형성된 마모 링(9)이 상기 벌어진 단부 내에 삽입된다. 하지만, 외부 파이프(2)의 단일-스테이지의 벌어짐(flaring)도 발생될 수 있다.
마모 링(9)의 추가적인 안정화와 고정 및 선택적으로는 결합 가능성을 위해, 외부 링(19)이 외부 파이프(2)의 외부 또는 외부 케이싱 표면(7)에 위치된다. 상기 외부 링(19)은 플랜지(5)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제작을 위해, 제1 외부 링(19)은 외부 파이프(2) 상으로 밀려진다. 그 뒤, 벌림 공정(flaring)이 수행된다. 그런 다음, 마모 링(9)은 단부에 삽입된다. 또한, 외부 링(19)은 축방향(A)으로 다시 단부 위로 밀리고, 특히 가압되거나 또는 그 밖의 경우 연결되며, 예를 들어, 접합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외부 링(19)은 반경방향(R)으로 내부방향을 향하는 압축력을 가하며, 특히 압력 끼워맞춤(press fit)으로 마모 링(9)을 고정시킨다. 상기 변형 실시예는, 선택적으로는, 파이프 칼라(5)를 가진 외부 링(2)이 형성될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파이프 칼라(5)는 벌어진 단부, 마모 링(9) 및 외부 링(19)으로 구성된다. 그 뒤, 내부 파이프(3)는 플라스틱 내측 라이닝(inner lining)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원심 주조 공정(centrifugal casting process)에서 형성될 수 있다. 원심 주조 공정 동안, 액체 주조 재료가 축방향(A)으로 파이프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모 링(9)이 이미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파이프(3)의 임의의 플라스틱 재료가, 벌어진 단부의 전이 영역(transitional region)에서 숄더(20)를 채운다. 따라서, 내부 파이프(3)의 재료는 마모 링(9)과 내부 파이프(3) 사이의 경계면(21)에서 마모 링(9)의 단부에 배열된다.
위에 언급된 모든 변형 실시예들에서, 특히 상기 변형 실시예에서, 매우 얇은 벽의 플라스틱 층 또는 코팅이 마모 링(9)의 내측 케이싱 표면(22) 상에 형성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상기 코팅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달 파이프(1)의 보관하거나 비축하는 동안 부식 방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 시운전(commissioning)에서, 상기 코팅은 이송되는 고체 재료의 연마 거동(abrasive behavior)에 의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마모되어, 마모 링(9)의 내측 케이싱 표면(22)은 전달되는 고체와 직접 접촉된다. 시운전 후 매우 짧은 시간 후에, 특히 수 시간의 운반 후에, 마모 링(9)의 내측 직경(Di9)은 내측 파이프(3)의 내측 직경(Di3)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다. 제작 상의 이유(예컨대, 과다 투여로 인해) 플라스틱이 마모 링의 내측 직경 위로 흘러 가고 이로 인해 얇은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외부 링(19)은 오직 마모 링(9)만이 벌어진 외부 파이프(2)에 삽입되도록 생략될 수 있다.
마모 링(9)의 삽입을 위해, 예를 들어, 열팽창이 발행하고, 그 뒤, 마모 링(9)이 삽입된 다음, 수축 공정이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마모 링(9)은 벌어진 외부 파이프(2) 내에 가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외부 링(19)이 제공될 수도 있다.
1 : 전달 파이프
2 : 외부 파이프
3 : 내부 파이프
4 : 전달 파이프(1)의 단부
5 : 파이프 칼라
6 : 축방향
7 : 외부 파이프(2)의 외측 케이싱 표면
8 : 이음 심
9 : 마모 링
10 : 내부 파이프(3)의 페이스 단부
11 : 마모 링(9)의 페이스 단부
13 : 마모 링(9)의 외측 케이싱 표면
14 : 마모 링(9)의 래칭 웨지
15 : 파이프 칼라(5)의 벌어진 단부
16 : 웨지 연장부
17 : 언더컷
18 : 외부 파이프(2)의 페이스 단부
19 : 외부 링
20 : 숄더
21 : 경계면
22 : 마모 링(9)의 내측 케이싱 표면
W3 : 내부 파이프(3)의 벽 두께
Di2: 외부 파이프(2)의 내측 직경
Di3: 내부 파이프(3)의 내측 직경
Di5 파이프 칼라(5)의 내측 직경
Di5.1: 제1 스테이지의 내측 직경
Di5.2: 제2 스테이지의 내측 직경
Di9 : 마모 링(9)의 내측 직경
L9 : 마모 링(9)의 축방향 길이
R : 반경방향
A : 축방향

Claims (15)

  1. 내부 파이프(3) 및 외부 파이프(2)를 포함하는 2중-벽의 파이프 본체 및 단부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파이프 칼라(5)를 가진, 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전달 파이프(1)에 있어서, 내부 파이프(3)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마모 링(9)이 파이프 칼라(5)에 삽입되며, 마모 링의 내측 직경(Di9)은 내부 파이프(3)의 내측 직경(Di3)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으며, 내부 파이프(3)는 주조 공정으로 외부 파이프(2)에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파이프(2)는 내압성의 금속성 재료 또는 섬유-강화 복합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 파이프(3)는 연마 마모에 대해 저항성을 가진 플라스틱, 특히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모 링(9)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마모 링의 연마 마모에 대한 저항성은 내부 파이프(3)의 저항성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모 링(9)은 금속성 재료, 특히, 경화 스틸 재료 또는 주조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마모 링(9)은 세라믹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칼라(5) 및 외부 파이프(2)는 서로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구성요소들이거나, 또는 파이프 칼라(5)는 외부 파이프(2)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칼라(5)는 길이 부분에서 축방향(6)으로 외부 파이프(2)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모 링(9)은 파이프 칼라(5)에 삽입되며, 파이프 칼라(5)의 내측 케이싱 표면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주방향 래칭 웨지(14) 및 마모 링(9)의 외측 케이싱 표면(13)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주방향 래칭 웨지(14) 사이에 형태 맞춤 연결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칼라(5)의 내측 직경(Di5)은 외부 파이프(3)의 내측 직경(Di2)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파이프(2)의 페이스 단부(18)가 축방향(6)에서 내부 파이프(3)의 페이스 단부(10)를 지나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11. 제10항에 있어서, 마모 링(9)은 외부 파이프(2)에 결합되는데, 특히 마모 링(9)은 축방향(A)에서 파이프 방향(R)에 대해 파이프 칼라(5)를 외부 파이프(2)와 결합시키는 이음 심(8) 하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마모 링(9)은 축방향(6)에서 파이프 칼라(5)보다 길게 형성되며, 마모 링(9)은 축방향(6)에서 특히 형태 맞춤에 의해 외부 파이프(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13. 제1항에 있어서, 외부 파이프(2)는 단부에서 벌어지며, 마모 링(9)이 외부 파이프(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14. 제13항에 있어서, 외부 링(19)이, 벌어진 외부 파이프(2) 외부에서 단부에 배열되고, 특히 가압되며, 외부 링(19)은 마모 링(9)과 압력 끼워맞춤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
  15. 제1항에 따른 전달 파이프(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부 파이프(2)에는 단부들에 삽입된 마모 링(9)들이 제공되며, 플라스틱 재료가 외부 파이프(2)에 유입되고, 그 뒤, 원심 주조 공정으로 외부 파이프(2)에 내부 파이프(3)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 파이프(1)의 제조 방법.
KR1020207030220A 2018-03-21 2019-03-21 파이프 칼라 및 마모 링을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1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63179.7A EP3543586B1 (de) 2018-03-21 2018-03-21 Hybridrohr mit rohrbund und verschleissri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18163179.7 2018-03-21
PCT/EP2019/057148 WO2019180171A1 (de) 2018-03-21 2019-03-21 Hybridrohr mit rohrbund und verschleissri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004A true KR20200126004A (ko) 2020-11-05
KR102371867B1 KR102371867B1 (ko) 2022-03-07

Family

ID=6180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220A KR102371867B1 (ko) 2018-03-21 2019-03-21 파이프 칼라 및 마모 링을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64602A1 (ko)
EP (1) EP3543586B1 (ko)
JP (1) JP6964907B2 (ko)
KR (1) KR102371867B1 (ko)
CN (1) CN111886438B (ko)
WO (1) WO20191801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33A (ko) 2021-03-31 2022-10-07 오케이퓨쳐 주식회사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4193B2 (en) * 2019-03-29 2023-03-28 Emco, Inc. Hydro-vac fitt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382U (ja) * 1982-09-06 1984-03-13 株式会社クボタ フランジ付きゴムライニング鋳鋼管
US20080174110A1 (en) * 2007-01-22 2008-07-24 John Frederick Olson Elastomer lined, abrasion resistant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e
EP2708480A1 (de) * 2012-09-14 2014-03-19 Esser -Werke GmbH & Co. KG Förderrohranordnung mit Verschleißanzeige
EP2784366A1 (en) * 2013-03-27 2014-10-01 Cifa S.P.A. Pipe for transferring abrasive materials and corresponding method of production
CN206988624U (zh) * 2017-02-06 2018-02-09 周朝辉 一种用于耐磨管道的耐磨连接法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1750A (ja) * 1975-01-14 1976-07-17 Sumitomo Metal Ind Naimenhifukukokannoyosetsutsugitekeiseihoho
DE19735335C2 (de) * 1997-08-14 2003-05-22 Esser Werke Gmbh & Co Kg Förderrohr
DE19821637A1 (de) 1998-05-14 1999-11-18 Esser Werke Gmbh & Co Kg Transportrohr
JP2003065944A (ja) * 2001-08-27 2003-03-05 Sumitomo Metal Ind Ltd 輸送配管の異常検出方法、輸送状況安全監視方法および異常検出装置
DE10324321A1 (de) * 2003-05-27 2004-12-23 Putzmeister Ag Transportrohr für Dickstoffe
DE102006038989B3 (de) * 2006-08-21 2007-12-13 Esser-Werke Gmbh & Co. Kg Förderrohr für den Feststofftransport
DE102010034679A1 (de) * 2010-08-18 2012-02-23 Schwing Gmbh Dickstoffpumpe
ITMI20130415A1 (it) * 2013-03-19 2014-09-20 Cifa Spa Procedimento per realizzare un elemento tubolare curvo per il convogliamento di materiali abrasivi quali calcestruzzo, o simili, ed elemento tubolare curvo cosi' ottenut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382U (ja) * 1982-09-06 1984-03-13 株式会社クボタ フランジ付きゴムライニング鋳鋼管
US20080174110A1 (en) * 2007-01-22 2008-07-24 John Frederick Olson Elastomer lined, abrasion resistant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e
EP2708480A1 (de) * 2012-09-14 2014-03-19 Esser -Werke GmbH & Co. KG Förderrohranordnung mit Verschleißanzeige
EP2784366A1 (en) * 2013-03-27 2014-10-01 Cifa S.P.A. Pipe for transferring abrasive materials and corresponding method of production
CN206988624U (zh) * 2017-02-06 2018-02-09 周朝辉 一种用于耐磨管道的耐磨连接法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33A (ko) 2021-03-31 2022-10-07 오케이퓨쳐 주식회사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0171A1 (de) 2019-09-26
US20210164602A1 (en) 2021-06-03
KR102371867B1 (ko) 2022-03-07
EP3543586A1 (de) 2019-09-25
EP3543586B1 (de) 2020-10-14
CN111886438A (zh) 2020-11-03
JP2021510662A (ja) 2021-04-30
JP6964907B2 (ja) 2021-11-10
CN111886438B (zh)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88899B (zh) 流体管道配置组件
US5104152A (en) Welded pipe joint
KR102371867B1 (ko) 파이프 칼라 및 마모 링을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5372502B2 (ja) プラスチック製冷媒ポンプハウジング内/面にポンプベアリングを配置するための組立体および方法
JP6204467B2 (ja) 複合管
US10060482B2 (en) Joint-site design comprising a hub and a shaft or a gear being friction welded
JP6804754B2 (ja) 管状体
JP2008545080A5 (ko)
EP37756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ed pipe welding
JP6053941B2 (ja) 加圧下の流体を移送する導管結合体
US4640532A (en) Joining means and method for joining metal members
US3410581A (en) Shell-and-tube type heat-exchanger
CN102913687B (zh) 输送管的制造方法
RU2471110C1 (ru) Узел не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и способ 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US2379990A (en) Pipe coupling
CN103968179B (zh) 新型塑料管道补偿器
TWI736767B (zh) 樹脂製管構件、樹脂製管構件之製造方法、樹脂製管接頭及樹脂製配管
GB2112689A (en) Manufacture of composite tube
AU2011286156B2 (en) High pressure pipe joint
KR20070044836A (ko) 고형물 이송을 위한 이송 파이프 및 이송 파이프의 제조방법
RU126415U1 (ru) Сва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им антикоррозионным покрытием
US1945279A (en) Concrete pipe coupling
JP2015513653A (ja) 管継手及び管継手を形成する方法
CN109702435B (zh) 法兰组件及其加工方法
RU227221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трубы с пластмассов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