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833A -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 Google Patents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5833A KR20220135833A KR1020210042026A KR20210042026A KR20220135833A KR 20220135833 A KR20220135833 A KR 20220135833A KR 1020210042026 A KR1020210042026 A KR 1020210042026A KR 20210042026 A KR20210042026 A KR 20210042026A KR 20220135833 A KR20220135833 A KR 202201358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wear
- resistant ring
- pipe
- fit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은, 외측강관(1)과, 침탄분위기에서 침탄 열처리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측강관(1)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내측강관(2)과, 상기 외측강관(1)의 양측 단부가 내측으로 끼움 결합된 채 외측강관(1)과 용접 결합되는 커플링칼라(3)와, 상기 외측강관(1) 양측 단부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내측강관(2)의 단부와 맞닿도록 이루어진 내마모링(4)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링(4)은 원심 주조에 의해 제조된 크롬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가 150 ~ 300mm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커플링칼라(3)의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측강관(1)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커플링칼라(3)의 단부는 상기 외측강관(1)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에는 단부측 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단턱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마모링(4)은 단부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 상기 내측경사단턱부(31)와 면 접촉하도록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1경사단턱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제1경사단턱부(41)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는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2경사단턱부(42)가 형성되어 외측제2경사단턱부(42)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내마모링(4)의 표면과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 사이로 상기 외측강관(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내마모링(4)과 내측강관(2)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상기 내마모링(4)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확경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부(43)가 형성되어 내측경사부(43)의 단부와 내측강관(2)의 단부가 한 지점에서 만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내마모링을 외측강관의 내부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내측강관의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내측강관이 마모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내마모링은 일반 주조가 아닌 원심 주조 방식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며, 내측강관과 외측강관이 헐거운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내마모링의 하부에 끼움결합부가 연장되게 형성되어 끼움결합부가 내측강관의 단부 내측 공간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내마모링과 내측강관 사이의 틈 형성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며, 끼움결합부의 바깥쪽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부에 충격흡수용 충진재가 충진됨으로써 내측강관과 내마모링의 연결 부위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내측강관을 가일층 보호해줄 수 있게 되고, 내측강관 상단 내주면을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내마모링의 끼움결합부 바깥쪽 표면에 면 접촉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내측강관의 유동을 억제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내측강관 단부에 패킹이 설치되어 내측강관의 단부측 마모를 가일층 억제하고, 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은, 외측강관(1)과, 침탄분위기에서 침탄 열처리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측강관(1)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내측강관(2)과, 상기 외측강관(1)의 양측 단부가 내측으로 끼움 결합된 채 외측강관(1)과 용접 결합되는 커플링칼라(3)와, 상기 외측강관(1) 양측 단부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내측강관(2)의 단부와 맞닿도록 이루어진 내마모링(4)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링(4)은 원심 주조에 의해 제조된 크롬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가 150 ~ 300mm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커플링칼라(3)의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측강관(1)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커플링칼라(3)의 단부는 상기 외측강관(1)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에는 단부측 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단턱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마모링(4)은 단부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 상기 내측경사단턱부(31)와 면 접촉하도록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1경사단턱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제1경사단턱부(41)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는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2경사단턱부(42)가 형성되어 외측제2경사단턱부(42)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내마모링(4)의 표면과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 사이로 상기 외측강관(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내마모링(4)과 내측강관(2)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상기 내마모링(4)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확경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부(43)가 형성되어 내측경사부(43)의 단부와 내측강관(2)의 단부가 한 지점에서 만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내마모링을 외측강관의 내부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내측강관의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내측강관이 마모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내마모링은 일반 주조가 아닌 원심 주조 방식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며, 내측강관과 외측강관이 헐거운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내마모링의 하부에 끼움결합부가 연장되게 형성되어 끼움결합부가 내측강관의 단부 내측 공간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내마모링과 내측강관 사이의 틈 형성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며, 끼움결합부의 바깥쪽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부에 충격흡수용 충진재가 충진됨으로써 내측강관과 내마모링의 연결 부위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내측강관을 가일층 보호해줄 수 있게 되고, 내측강관 상단 내주면을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내마모링의 끼움결합부 바깥쪽 표면에 면 접촉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내측강관의 유동을 억제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내측강관 단부에 패킹이 설치되어 내측강관의 단부측 마모를 가일층 억제하고, 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펌프카, CPB 등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강관의 손상을 보다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에 관한 것이다.
잘게 부서진 돌이나 광물과 같은 연마성 고체 물질을 포함하는 재료를 이송하기 위하여 이중관 파이프가 많이 사용된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유압을 이용하여 레미콘 트럭으로부터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타설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콘크리트 펌프카의 이송관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이중 이송관에 관한 기술로, "파이프 칼라 및 마모 링을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6004호,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강관(1)과, 침탄분위기에서 침탄 열처리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측강관(1)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내측강관(2)과, 상기 외측강관(1)의 양측 단부가 내측으로 끼움 결합된 채 외측강관(1)과 용접 결합되는 커플링칼라(3)와, 상기 외측강관(1) 양측 단부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내측강관(2)의 단부와 맞닿도록 이루어진 내마모링(4)을 포함하여 구성된 사례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서 내마모링(4)은 커플링칼라(3)의 내측에 설치되어 커플링칼라(3)의 내측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로 인해 펌프에 의해 이송되는 콘크리트가 커플링칼라(3)와 인접한 내측강관(2)의 단부 내측에 마모를 일으켜 내측강관(2)의 단부측 내부가 쉽게 파손되어 교체 주기가 빨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엘보를 통해 연결되는 구간 즉, 이송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구간에서 특히 그러하다.
아울러, 내마모링(4)이 비록 크롬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일반 주조 방식으로 제조되어 그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내측강관이 외측강관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는데, 외측강관 내부에 내측강관을 설치하는 작업이 난해한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내측강관과 외측강관이 헐거운 끼워맞춤되는 경우 외측강관의 내부에서 내측강관의 유동이 가능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내측강관과 내마모링이 만나는 지점이 불균일해지거나, 틈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고, 이 틈으로 콘크리트가 내측강관과 외측강관의 사이로 침투하여 관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와 달리 내마모링을 외측강관의 내부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내측강관의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내측강관이 마모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내마모링은 일반 주조가 아닌 고속 원심 주조 방식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내측강관과 외측강관이 헐거운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내마모링의 하부에 끼움결합부가 연장되게 형성되어 끼움결합부가 내측강관의 단부 내측 공간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내마모링과 내측강관 사이의 틈 형성을 억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끼움결합부의 바깥쪽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부에 충격흡수용 충진재가 충진됨으로써 내측강관과 내마모링의 연결 부위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내측강관을 가일층 보호해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내측강관 상단 내주면을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내마모링의 끼움결합부 바깥쪽 표면에 면 접촉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내측강관의 유동을 억제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내측강관 단부에 패킹이 설치되어 내측강관의 단부측 마모를 가일층 억제하고, 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측강관(1)과, 침탄분위기에서 침탄 열처리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측강관(1)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내측강관(2)과, 상기 외측강관(1)의 양측 단부가 내측으로 끼움 결합된 채 외측강관(1)과 용접 결합되는 커플링칼라(3)와, 상기 외측강관(1) 양측 단부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내측강관(2)의 단부와 맞닿도록 이루어진 내마모링(4)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링(4)은 고속 원심 주조에 의해 제조된 크롬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가 150 ~ 300mm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커플링칼라(3)의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측강관(1)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커플링칼라(3)의 단부는 상기 외측강관(1)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에는 단부측 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단턱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마모링(4)은 단부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 상기 내측경사단턱부(31)와 면 접촉하도록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1경사단턱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제1경사단턱부(41)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는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2경사단턱부(42)가 형성되어 외측제2경사단턱부(42)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내마모링(4)의 표면과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 사이로 상기 외측강관(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내마모링(4)과 내측강관(2)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상기 내마모링(4)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확경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부(43)가 형성되어 내측경사부(43)의 단부와 내측강관(2)의 단부가 한 지점에서 만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측강관(2)은 외경이 상기 외측강관(1)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외측강관(1)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헐거운 끼우맞춤되어 외측강관(1)과 내측강관(2)의 사이로 이격공간(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마모링(4)은 내측경사부(43) 하단으로부로부터 하방되게 연장되며, 상기 내측강관(2)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결합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결합부(44)의 외측은 상방향으로 라운드진 라운드부(44b)로 이루어져 내측강관(2)의 단부와 라운드부(44b) 사이에 상호 이격된 이격공간부(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강관(1)의 상단 내주면은 라운드지게 모따기 처리된 곡면(11)으로 이루어져 곡면(11)이 상기 외측제2경사단턱부(4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측강관(2)의 외주면에는 열처리유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이격공간부(44a)에는 충격흡수용 충진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강관(2)의 상단 내주면은 상기 내마모링(4)의 라운드부(44b)에 면 접촉되도록 라운드진 결합곡면(2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내측강관(2)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내측강관(2)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내측벽체부(51)와 외측벽체부(52)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벽체부(51)와 외측벽체부(52)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일측은 상기 라운드부(44b)에 면 접촉되도록 라운드진 라운드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이격공간부(44a)의 전부 또는 일부를 채우도록 상향되게 돌출된 충격흡수부(53)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축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패킹(5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내마모링을 외측강관의 내부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내측강관의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내측강관이 마모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내마모링은 일반 주조가 아닌 고속 원심 주조 방식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측강관과 외측강관이 헐거운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내마모링의 하부에 끼움결합부가 연장되게 형성되어 끼움결합부가 내측강관의 단부 내측 공간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내마모링과 내측강관 사이의 틈 형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끼움결합부의 바깥쪽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부에 충격흡수용 충진재가 충진됨으로써 내측강관과 내마모링의 연결 부위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내측강관을 가일층 보호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측강관 상단 내주면을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내마모링의 끼움결합부 바깥쪽 표면에 면 접촉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내측강관의 유동을 억제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내측강관 단부에 패킹이 설치되어 내측강관의 단부측 마모를 가일층 억제하고, 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내마모링 하단부에 끼움결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내측강관과 외측강관이 헐거운 끼움결합이 이루어져 있을 때의 내마모링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단면 순서도.
도 5는 패킹이 구비된 경우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단면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내마모링이 원심 주조에 의해 제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내마모링 하단부에 끼움결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내측강관과 외측강관이 헐거운 끼움결합이 이루어져 있을 때의 내마모링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단면 순서도.
도 5는 패킹이 구비된 경우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단면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내마모링이 원심 주조에 의해 제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강관(1)과, 침탄분위기에서 침탄 열처리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측강관(1)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내측강관(2)과, 상기 외측강관(1)의 양측 단부가 내측으로 끼움 결합된 채 외측강관(1)과 용접 결합되는 커플링칼라(3)와, 상기 외측강관(1) 양측 단부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내측강관(2)의 단부와 맞닿도록 이루어진 내마모링(4)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의 주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의 내마모링(4)은 고속 원심 주조에 의해 제조된 크롬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가 150 ~ 300mm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커플링칼라(3)의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측강관(1) 내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심 주조 크롬강의 제조는 우선 크롬에 니켈 등의 합금 원료를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1500℃ ~ 170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해한 다음, 용해된 혼합물을 200℃ ~ 250℃로 가열된 샌드몰드에 주입하고, 샌드몰드를 회전시켜 반제품 형태의 내마모링을 2,000 ~ 2,500RPM의 고속으로 원심 주조한 다음, 샌드몰드를 파괴하고, 반제품 형태의 내마모링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시킨 다음, 표면을 설계 치수에 맞게 표면처리하여 제조한다.
도 6에는 원심 주조를 위한 몰드의 설치 상태가 일 예로 도시되어 있다.
샌드몰드(100)는 내마모링의 외측 형상과 동일해질 수 있도록 상부몰드(110), 중간몰드(120)를 구비하고, 하부면을 형성하면서 안쪽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금속지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금속지그(130)는 샌드몰드(100)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는 공기배출통로(131)를 포함한다.
용해된 혼합물을 도면의 샌드몰드(100)에 주입하고, 샌드몰드(100)를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주물이 외곽측으로부터 점차 성형이 이루어지며, 공기는 중앙 측으로 몰려 분리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몰드(120)의 하부는 점차 중앙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선부(121)로 구성되어, 금속지그(130)의 하부측벽면(132)과의 사이의 틈이 점차 좁아진 후 수직으로 연장된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을 통해 주물이 공급되어 냉각됨에 따라 후술하는 끼움결합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내마모링(40)의 형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커플링칼라(3)의 단부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강관(1)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에는 단부측 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단턱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내마모링(4)은 단부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 상기 내측경사단턱부(31)와 면 접촉하도록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1경사단턱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제1경사단턱부(41)는 커플링칼라(3)와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결합 지점을 일정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내마모링(40)은 상기 외측제1경사단턱부(41)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는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2경사단턱부(42)가 형성되어 외측제2경사단턱부(42)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내마모링(4)의 표면과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 사이로 상기 외측강관(1)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내측강관과 외측강관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마모링의 내측 단부와 두 강관과 면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외측제2경사단턱부(42)를 필요치 않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외측강관(1)의 내측에 내측강관(2)이 끼워진 상태에서 내측강관(2)의 상단부는 외측강관(1)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측에 위치하여 단턱진 상태가 된다.
이때, 외측제2경사단턱부(42)는 외측강관(1)의 단부측이 끼움 결합되어 외측강관(1)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내마모링(4)이 길게 연장됨에 따라 내마모링(4) 삽입시 외측강관(1)과 밀착될 경우 삽입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측제2경사단턱부(42)가 상측에 형성됨으로써 내마모링(4)의 삽입이 비교적 원할히 이루어지게 해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내마모링(4)과 내측강관(2)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상기 내마모링(4)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확경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부(43)가 형성되어 내측경사부(43)의 단부와 내측강관(2)의 단부가 한 지점에서 만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이러한 내측경사부(43)를 형성하지 않게 되면 내마모링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게 된다.
즉, 내마모링(4)의 상측 구간은 충분한 두께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하부는 내측강관(2)과 동일한 내경을 이루는 지점을 두어 단턱을 억제하여 콘크리트의 흐름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중 이송관 중에서는 상기 내측강관(2)은 외경이 상기 외측강관(1)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외측강관(1)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헐거운 끼우맞춤되어 외측강관(1)과 내측강관(2)의 사이로 이격공간(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과 같은 종래 제품의 경우 비록 외측강관(1)과 내측강관(2)이 헐거운 끼워맞춤이 되어 있어도, 그 단부가 모두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기 있고, 내측강관(2)의 두께로 인해 실질적으로 외측강관(1)과 내측강관(2) 사이로 콘크리트가 잘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도 2와 같은 구성의 경우 내마모링(4)의 내측경사부(43)를 타고 내마모링(4)과 내측강관(2) 사이로 액체의 유입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 경우 수분에 의한 부식 등의 문제를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마모링(4)은 내측경사부(43) 하단으로부로부터 하방되게 연장되며, 상기 내측강관(2)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결합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결합부(44)는 도면과 같이 내측강관(2)의 내측 상단을 덮은 형태가 되어 콘크리트 중의 수분이 두 강관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해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끼움결합부(44)의 외측은 상방향으로 라운드진 라운드부(44b)로 이루어져 내측강관(2)의 단부와 라운드부(44b) 사이에 상호 이격된 이격공간부(44a)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공간부(44a)를 형성하는 경우 내마모링(4)의 설치 과정에서 내측강관(2) 상단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끼움결합부(44)의 끼움을 가이드해주게 된다.
더하여, 상기 외측강관(1)의 상단 내주면은 라운드지게 모따기 처리된 곡면(11)으로 이루어져 곡면(11)이 상기 외측제2경사단턱부(42)에 지지되도록 하는 경우 외측강관(1) 상단면의 파손을 억제해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내측강관(2)은 침탄 열처리시 열처리유를 도포하게 되는 바, 상기 내측강관(2)의 외주면에는 열처리유가 도포되어 있는 상태를 갖는데, 상기 이격공간부(44a)에는 오일류의 충격흡수용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충진재의 일 예로 점성이 높은 오일과 고무칩을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고무 혼합 오일을 내마모링(4) 삽입 전에 내측강관(2)의 상단측에 공급한 다음, 내마모링(4)을 삽입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이격공간부(44a)에 고무 혼합 오일이 충진된다.
이때, 고무칩의 입자 크기는 내측강관(2)과 외측강관(1) 사이의 유격보다 큰 크기를 갖는 것으로 구성하여 고무칩이 두 강관 사이 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내측강관(2)의 상단 내주면은 상기 내마모링(4)의 라운드부(44b)에 면 접촉되도록 라운드진 결합곡면(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강관(2)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내측강관(2)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내측벽체부(51)와 외측벽체부(52)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벽체부(51)와 외측벽체부(52)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일측은 상기 라운드부(44b)에 면 접촉되도록 라운드진 라운드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이격공간부(44a)의 전부 또는 일부를 채우도록 상향되게 돌출된 충격흡수부(53)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축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패킹(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패킹(50)은 내마모링(4)과 내측강관(2)의 접촉면을 밀폐시켜 수분 침투를 가일층 억제함은 물론 충격흡수부(53)가 내마모링(4)과 내측강관(2) 사이의 충격을 일부 흡수함으로써 내측강관(2)을 가일층 보호해주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1 : 외측강관
11 : 곡면
2 : 내측강관 21 : 결합곡면
3 : 커플링칼라 31 : 내측경사단턱부
4 : 내마모링 41 : 외측제1경사단턱부
42 : 외측제2경사단턱부 43 : 내측경사부
44 :끼움결합부 44a : 이격공간부
44b : 라운드부 50 : 패킹
51 : 내측벽체부 52 : 외측벽체부
53 : 충격흡수부 54 : 라운드부
100 : 샌드몰드 110 : 상부몰드
120 : 중간몰드 121 : 곡선부
130 : 금속지그 131 : 공기배출통로
132 : 하부측벽면 A : 이격공간
2 : 내측강관 21 : 결합곡면
3 : 커플링칼라 31 : 내측경사단턱부
4 : 내마모링 41 : 외측제1경사단턱부
42 : 외측제2경사단턱부 43 : 내측경사부
44 :끼움결합부 44a : 이격공간부
44b : 라운드부 50 : 패킹
51 : 내측벽체부 52 : 외측벽체부
53 : 충격흡수부 54 : 라운드부
100 : 샌드몰드 110 : 상부몰드
120 : 중간몰드 121 : 곡선부
130 : 금속지그 131 : 공기배출통로
132 : 하부측벽면 A : 이격공간
Claims (5)
- 외측강관(1)과, 침탄분위기에서 침탄 열처리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측강관(1)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내측강관(2)과, 상기 외측강관(1)의 양측 단부가 내측으로 끼움 결합된 채 외측강관(1)과 용접 결합되는 커플링칼라(3)와, 상기 외측강관(1) 양측 단부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내측강관(2)의 단부와 맞닿도록 이루어진 내마모링(4)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링(4)은 고속 원심 주조에 의해 제조된 크롬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가 150 ~ 300mm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커플링칼라(3)의 하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측강관(1)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커플링칼라(3)의 단부는 상기 외측강관(1)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에는 단부측 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단턱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마모링(4)은 단부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 상기 내측경사단턱부(31)와 면 접촉하도록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1경사단턱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제1경사단턱부(41)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는 외경이 축경되도록 경사진 외측제2경사단턱부(42)가 형성되어 외측제2경사단턱부(42)로부터 중앙측으로 이격된 내마모링(4)의 표면과 상기 커플링칼라(3)의 내주면 사이로 상기 외측강관(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내마모링(4)과 내측강관(2)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상기 내마모링(4)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확경되도록 경사진 내측경사부(43)가 형성되어 내측경사부(43)의 단부와 내측강관(2)의 단부가 한 지점에서 만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강관(2)은 외경이 상기 외측강관(1)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외측강관(1)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헐거운 끼우맞춤되어 외측강관(1)과 내측강관(2)의 사이로 이격공간(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마모링(4)은 내측경사부(43) 하단으로부로부터 하방되게 연장되며, 상기 내측강관(2)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결합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결합부(44)의 외측은 상방향으로 라운드진 라운드부(44b)로 이루어져 내측강관(2)의 단부와 라운드부(44b) 사이에 상호 이격된 이격공간부(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강관(1)의 상단 내주면은 라운드지게 모따기 처리된 곡면(11)으로 이루어져 곡면(11)이 상기 외측제2경사단턱부(4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강관(2)의 외주면에는 열처리유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이격공간부(44a)에는 충격흡수용 충진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강관(2)의 상단 내주면은 상기 내마모링(4)의 라운드부(44b)에 면 접촉되도록 라운드진 결합곡면(2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강관(2)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내측강관(2)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내측벽체부(51)와 외측벽체부(52)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벽체부(51)와 외측벽체부(52)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일측은 상기 라운드부(44b)에 면 접촉되도록 라운드진 라운드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이격공간부(44a)의 전부 또는 일부를 채우도록 상향되게 돌출된 충격흡수부(53)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축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패킹(5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026A KR20220135833A (ko) | 2021-03-31 | 2021-03-31 |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026A KR20220135833A (ko) | 2021-03-31 | 2021-03-31 |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5833A true KR20220135833A (ko) | 2022-10-07 |
Family
ID=8359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2026A KR20220135833A (ko) | 2021-03-31 | 2021-03-31 |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3583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6004A (ko) | 2018-03-21 | 2020-11-05 | 에쎄르-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케이지 | 파이프 칼라 및 마모 링을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
-
2021
- 2021-03-31 KR KR1020210042026A patent/KR2022013583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6004A (ko) | 2018-03-21 | 2020-11-05 | 에쎄르-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케이지 | 파이프 칼라 및 마모 링을 가진 하이브리드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1597C (zh) | 具有改良型刀具的旋转钻头 | |
US9316173B2 (en) | Cylinder liner with bonding layer | |
US4653777A (en) | Articulate bent pipe for transportation of powder and slurry in dry or wet state | |
US20080174110A1 (en) | Elastomer lined, abrasion resistant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e | |
CN103008544B (zh) | 基于消失模铸造与振动浇注的双金属弯管制造工艺 | |
KR20160060061A (ko) | 원심 주조제 복합 롤 및 그 제조 방법 | |
CN103732898A (zh) | 能量耗散磨损环及其方法 | |
CN102278550A (zh) | 混凝土输送管道及其制造方法 | |
US8261767B1 (en) | Powdered metal inlay | |
KR20220135833A (ko) | 이중 콘크리트 이송관 | |
JP6691328B2 (ja) | 炉体保護用ステーブ | |
US8235089B2 (en) | Method for casting disk rotor | |
CN208417908U (zh) | 一种混凝土输送弯管 | |
CN101566257A (zh) | 耐磨输送管、混凝土输送机械及制造耐磨输送管的方法 | |
ITMI20070714A1 (it) | Maglia di catena di cingolo e rullo di cingolo di carrello avente un rivestimento legato per via metallurgica | |
KR20070044837A (ko) | 고형물 이송을 위한 이송 파이프 | |
JP7522833B2 (ja) | 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用スペクタクルプレート、その調製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 | |
KR100563623B1 (ko) | 내마모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이송관 | |
JP2006322342A (ja) | 水力機械の軸封装置 | |
WO2013004018A1 (zh) | 混凝土输送管道及其制造方法 | |
CN110640117A (zh) | 用于混凝土输送的双金属复合浇注弯管及制造方法 | |
JPS60257963A (ja) | マツドポンプライナの製造方法 | |
CN202628826U (zh) | 一种具有高硬度耐磨层的tc径向轴承 | |
CN108644514A (zh) | 一种混凝土输送弯管及其制造方法 | |
CN215046345U (zh) | 高强耐磨防尘陶瓷托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