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754A -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754A
KR20200124754A KR1020207028988A KR20207028988A KR20200124754A KR 20200124754 A KR20200124754 A KR 20200124754A KR 1020207028988 A KR1020207028988 A KR 1020207028988A KR 20207028988 A KR20207028988 A KR 20207028988A KR 20200124754 A KR20200124754 A KR 20200124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tting device
light
user
intensity
presen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604B1 (ko
Inventor
이반 씨. 베인스
모리츠 크라이징
Original Assignee
막스-플랑크-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비쎈샤프텐 에.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막스-플랑크-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비쎈샤프텐 에.파우. filed Critical 막스-플랑크-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비쎈샤프텐 에.파우.
Publication of KR2020012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7Switching ON and OFF the backlight within one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방출 장치로서, 방출 장치는 광의 세기가 높은 값과 낮은 값 사이에서 변하도록 펄스 방식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방출 장치; 및
패널을 포함하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로서, 패널은 사용자가 표시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패널을 통해 방출 장치에 의해 방출된 광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고, 패널은 높은 투명도의 상태 및 낮은 투명도의 상태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는 가변 투명도를 가지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를 포함하고,
시스템은 방출 장치를 선택적인 시각 장치에 동기화하여 높은 세기의 값으로 광을 방출하는 방출 장치의 상태와 선택적인 시각 장치의 높은 투명도의 패널의 상태가 시간에 따라 중첩하도록 구성되고,
방출 장치는 광이 1/10 이하의 듀티 사이클을 가지는 펄스 방식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인 시각 장치의 패널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듀티 사이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
본 발명은 이미지의 선택적 시청 및 표시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밝은 조명 환경, 예컨대 낮 동안의 실외와 같은 환경에서, 예를 들면 랩탑 화면이나 최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흔한 현상으로, 장치의 밝기가 표시되는 콘텐츠를 읽기에 종종 적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주변 광은, 화면의 밝기에 비하여, 좋은 콘트라스트(contrast)를 허용하기에 너무 밝다. 물론, 이는 실내 환경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약한 조명 환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하는 것은 용이하게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심지어 실내에서도, 예컨대 밝은 여름날에 밖을 내다보는 창 앞에 배치하는 경우와 같이, 강한 조명 화면 앞에 위치한 화면의 콘트라스트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주변 광 세기가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편안하게 보기에 너무 높기 때문에 시청자는 화면을 볼 때 열악한 콘트라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소된 콘트라스트는, 화면 자체 상의 반사로 인해 겪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주변으로부터의 밝은 광이 화면으로부터 반사되어 표시된 정보를 가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와 (부수적으로) 관련된 문서는 US 2012/0194657 A1 호이며, 여기서,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관하여 이하의 단락에 기술되어 있다:
셔터 글라스(shutter glasses)의 공통적인 목적은 2D 디스플레이로부터 3D 비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는 2개의 개별적인 동기화-방지(anti-synchronized) 셔터 글라스 요소를 포함하는 한 쌍의 셔터 글라스는 광을 좌안과 우안에 번갈아가며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2개의 인터레이스된 비디오 신호(interlaced video signals), 이 중 하나는 좌안을 위한 것이고 하나는 우안을 위한 것인, 비디오 신호가 디-인터레이스(de-interlaced)되고, 이는 좌안 및 우안에 올바르게 게이팅(gating)되는 것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서, 각 셔터 글라스가 열리면, 그 뒤에 있는 눈(좌안 또는 우안)이 올바른 이미지에 노출되고, 셔터 글라스는 잘못된 이미지가 보여지는 동안에는 닫힌다.
종종, 방출 화면과 이러한 셔터 글라스 간의 강력한 동기화는 왼쪽과 오른쪽 이미지 사이를 스위칭하는 경우에 짧은 어둠 갭을 이용함으로써 촉진된다.
이러한 발광 갭은 비디오 화면의 일부인 LCD 액정이 2개의 연속 이미지 사이에서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아티팩트(artifact)를 억제하는 목적을 포함하여 여러 목적을 가지고 있다. 셔터 글라스와 비디오 화면의 동기화를 위해, 어둠 갭은 셔터 개방 시간이 이전 또는 후속 이미지에 속하는 광을 투과(transmission)할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서 의도된 이미지 프레임마다 대부분의 광을 투과하기 충분할 정도로 길도록 보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할 수 있다. 화면이 어두운 기간에 셔터 글라스를 스위칭하는 것은, 셔터 글라스의 온에서 오프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스위칭 시간이 전체 시청 기간의 상당 부분만큼 긴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3D 비디오 셔터 글라스의 전형적인 작동 특성은 120Hz 비디오 화면의 방출 속도이며, 이는 셔터 글라스 요소 당 60Hz를 의미하고, 전체 기간은 16.66ms 동안 지속되지만 열리고 닫히는 시간은 전형적으로 전체 기간 당 몇 밀리초까지 늘어날 수 있는 것과 균등하다.
비디오 화면이 방출하는 이미지 프레임 사이의 짧은 어둠 기간이, 느리게 반응하는 셔터 글라스와의 게이팅(gating)을 더 견고하게 만든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으나, 정확한 동기화와의 조합은 전체 시청 기간의 상당 부분에서 단일 셔터 글라스가 열려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의 부작용으로, 주변 광이 눈에 띄게 감소한다.
US 2012/0194657A1은 이러한 현상이 특정한 약한 광 환경에서, 사용자는 방향을 읽는 데에 문제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약간-어두운 가정의 환경에 위치될 수 있는 장애물을 더 이상 보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기술한다.
US 2012/0194657A1은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을 화면이 어두워지는 기간을 의미하는 디스플레이의 방출 시간을 넘어서 연장함으로써, 주변 광 감소 효과에 대응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은 기존의 정확한 동기화 방식에 비해 주변 광의 세기가 증가되었는데, 이는 이제 인식되는 이미지보다 주변 광이 더 오랜 시간 동안 게이팅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 보고된 약한 광 환경에서의 주변 광 감소 문제가 더 밝은 환경에서는 장점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는 그들이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범위를 훨씬 넘어서는 주요 파라미터를 식별하고 규정하며, 이를 통합(concerted)시키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가능해진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장치가, 불필요한 큰 에너지 소비를 전형적으로 발광 장치로 인해 갖는다는 것을 또한 깨달았다. 모바일 장치(휴대 전화, 랩탑, 태블릿)의 경우, 이는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고 배터리를 자주 충전해야 할 필요를 초래한다. 또한, (고정된 화면을 포함하는) 임의의 발광 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는 과열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이는 고전류 호환 전원과 함께 장치의 폼 팩터(form factor)를 증가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 집약적인 히트 싱크(heat sink)를 사용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또한 종래 기술에 다른 문제들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그들은 이러한 장치가 열악한 이미지 콘트라스트로 이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 중 적어도 일부를 완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의해 정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정의된다.
제1항에 따르면, 정보 표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방출 장치(emission device)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출 장치는, 예를 들어 컴퓨터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예를 들어, 홈 시네마 또는 공공 상영 환경에서 사용되는 프로젝션 장치(projection device)일 수도 있다.
방출 장치는, 광의 세기가 높은 값과 낮은 값 사이에서 변하도록 펄스 방식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세기 변화는 인식되는 광에서의 밝기 변화를 초래한다. 광이 펄스 방식으로 방출된다는 것은, 전형적으로 반복되는 방식으로 광이 일정 기간 동안 더 높은 세기 값으로 방출되고, 그러한 기간 사이에서는 더 낮은 세기로 방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높은 세기 펄스의 반복 속도는 플리커(flickering)를 피하기 위해 충분히 높게 선택(전형적으로, 반복 속도는 50Hz보다 높음)된다.
정보 표시 시스템은, 패널을 포함하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selective viewing device)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선택적인 시각 장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spectacle)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안경의 글라스는 이후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패널은 사용자가 방출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그 패널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여서 표시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패널은 투명도가 높은 상태와 낮은 상태 사이에서 변할 수 있는 가변 투명도를 가진다. 투명도가 높고 투명도가 낮음으로써, 투명도가 낮은 상태에서 가시광이 많이 차단되고 투명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패널을 통한 가시광의 투과가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명도가 높은 상태란, 투명도가 낮은 상태에 비해, 광 투과율이 적어도 50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배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패널이 LCD 셔터 글라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제적인 실시예에서, 경계가 덜 선명하게 정의되도록 완벽한 탑햇(top hat) 기능으로부터의 시간 의존적인 투과 기능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높은 세기의 값으로 광을 방출하는 방출 장치의 상태와 높은 투명도를 갖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의 패널 상태가 시간적으로 겹치도록 방출 장치와 선택적인 시각 장치를 동기화하도록 구성된다. 겹치게 함으로써, 이는 적어도 그들의 높은 투명도 값/높은 세기의 값의 일부가 동시에 (즉, 같은 시간에)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방출 장치가 높은 세기의 값으로 광을 방출할 때마다 선택적인 시각 장치도 높은 투명도를 갖게 되어서, 시청자가 방출된 광을 볼 수 있게 한다. 이는 나머지 시간 동안 주변에 존재할 수 있는 광을 차단(blanking out)하거나, 적어도 억제하는 동안에 방출 장치에 의해 방출된 광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방출 장치는 광이 1/10 이하의 듀티 사이클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펄스 방식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인 시각 장치의 패널은 방출 장치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듀티 사이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듀티 사이클은, 일반적으로 펄스의 반복 주파수의 역인 전체 방출 기간의 시간에 대한 높은 세기의 값으로 광이 방출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피크의 세기는 약간씩 변동할 것이며, 즉, 어느 것도 높은 세기의 방출을 기술하는 완벽한 탑햇 기능을 가지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서, 듀티 사이클은 방출된 광의 세기가 특정 반복 기간 동안 그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피크 세기의 90% 보다 작지 않은 기간과 이러한 높은 세기의 피크의 전체 반복 기간으로 나눈 것 사이의 비율을 나타낸다. 광의 세기가 낮은 세기의 값에 있는 기간은 해당 기간 동안 높은 세기의 피크 값의 50% 미만인 것으로 정의된다.
선호되는 구현은 셔터 글라스의 양분법적인 개방 및 폐쇄 상태를 각각 시간적으로 일치시키는 화면의 양분법적인(binary) 온과 오프 상태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방식에서의 변형은 약간의 콘트라스트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주어진 기간 동안 방출되는 모든 광의 상당 부분이 전체 기간의 하나 이상의 짧은 서브 기간 동안 방출되고 게이팅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성 상, 화면의 시간-의존적인 방출 신호는 3D 비전 어플리케이션용으로 작동하는 셔터 글라스에 비해 크게 증가된 표준 편차를 가질 것이다.
주변 광이 안경에 의해 선택적으로 억제되는 것에 따라 비디오 화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더 높은 콘트라스트로 인식되도록 하는 기본 방식을 암시하는 종래 해결책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해결책은 더 높은 콘트라스트 및/또는 더 낮은 에너지 소비를 제공하며, 및/또는 사용되는 광의 파장 범위에 더 적은 제약을 부과한다. 이러한 전략의 제안된 실시예는 특정 발광 비디오 화면의 주파수 특성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도록 맞춤화된 광학 요소 및 필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의 해결책은 이러한 비디오 화면에 의해 방출되는 특정 좁은 주파수 범위(파장 범위)의 광의 선택적인 게이팅에 기초하여 주변 광의 거부를 먼저 제안한다. 또한, 그들은 동일한 주파수에서 작동하고 시간 변조된 비디오 화면과 동기화되는 비디오 셔터 글라스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이는 셔터 글라스가 방출된 광파의 진동 주파수보다 훨씬 낮은 차수의 진폭인 주파수 (전형적으로 50-240Hz)에서 작동하더라도 콘트라스트가 향상될 수 있다고 한다. 주관적으로, 이러한 이미지는 일반적인 셔터 글라스를 착용하는 경우, 특히 글라스가 방출 비디오 화면과 동기화되는 경우에 비교적 높은 세기로 보여질 수 있다.
전자기 주파수(파장)에 의해 게이팅된 선택적인 광에 대한 설명과 함께 문제적으로 또한 논리적으로, 종래의 장치는 이러한 주변 광 감소 현상을 방출 화면과 셔터 글라스 사이의 주파수 특성을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정확한 반복 주파수를 일치시킬 뿐 아니라 가능한 한 시간적인 오프셋에도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종래 해결책에 따르면, 주변 광 감소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한 오프셋은 셔터 글라스가 화면의 방출 시간과 동기화하는 방식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일부 종래 장치의 경우에 목적이 주로 3D 비전이 아니기 때문에, 제안된 종래 장치는 셔터 글라스가 동시에 열리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글라스 당 개방 시간은 3D 셔터 글라스의 단일 개방 시간과 비슷하게 남게 되므로, 적당한 주변 광 감쇠 효과 만이 크게 변경되거나, 또는 향상되지 않는다.
종래 장치는, 파장 별 게이팅과 결합하거나, 또는 일부 환경에서 유리한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셔터 글라스 게이팅 만을 기반으로 하는 강렬한 주변 태양광의 적절하게 강력한 선택적 감쇠를 허용하지 않는다.
즉, 종래 장치는 이러한 현상을 낮은 광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기술하는 US2012/0194657A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주변 광을 감소시키는 것만 할 수 있다. 특히, 종래 장치는 (100.000 럭스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은 광도를 가지는) 강렬한 태양 광이, 전형적으로 500lx 미만의 밝기로 방출되는 전형적인 랩톱 화면보다 수백 배 더 밝을 수 있다는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비디오 화면이 강렬한 태양 광 환경에서 만족스러운 콘트라스트를 가질 정도로 콘트라스트 향상을 최적화하는 문제는, 눈으로 인식되는 주변 광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는 종래 기술(US2012/0194657A1)의 방식을 뒤집더라도 달성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 따라, 화면의 방출 시간보다 짧은 셔터의 개방 시간을 사용하는 것을 시도해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방출 시간과 정확하게 동기화되는 셔터 글라스를 사용하여 인식하는 것과 동일한 콘트라스트를 초래할 것이고, 더 이상의 콘트라스트 향상을 얻지는 못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청구된 시스템이 일부 실시예에서 종래 기술 시스템보다 훨씬 더 나은 콘트라스트를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에 의해 이전에 실현되거나, 규정되거나, 언급되지 않은 짧은 듀티 사이클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이는 광이 방출되는 기간 동안 "보통" 장치보다 더 높은 세기로 방출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간 동안 방출된 광은 비교적 "더 밝고", 관찰자가 더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광이 일정 시간 동안에만 방출되므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새롭게 청구된 해결책을 통해, US2012/0194657A1에서 보고된 단점은, 정성적으로나 양적으로 개선되고 확장되어서, 단점이 장점으로 바뀐다.
본 발명은 선행 해결책에 의해 언급되거나, 규정되지 않은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방식에 의존한다.
전자기 진동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것에 의한 콘트라스트 최적화에 따라, 종래 해결책은 중심적으로 동기화 방식에 의한 주파수 및 오프셋 최소화를 중요한 파라미터로 지정했다.
중요한 하나의 파라미터는 파장 일치 영역에서 아날로그를 가지지 않으며, 따라서 셔터 글라스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콘트라스트 최적화를 위해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식별되지 않았을 수 있다. 이는 한 기간 동안, ON 시간의 비율을 지정하는 듀티 사이클이다.
전형적으로 약 40%인 듀티 사이클을, 10% 미만의 값으로,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의 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본 명세서에 보고된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이다. 이러한 수정만으로도 광원을 조명하는 디스플레이의 에너지 비용을 약 4배 내지 100배만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부 시나리오에서는 이러한 에너지 소비를 종래 기술에 비해 500배 감소시킬 수 있다.
강렬한 태양 광에서 비디오 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것이 유리한 2번째 파라미터는 방출 펄스/플래시의 기간 동안 화면의 세기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다. 일반 컴퓨터 화면은 전형적으로 500lx 이하의 최대 세기로 광을 방출하는 반면, 본 발명자들은 100배 (바람직하게는 500배) 더 높은 세기의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익하다는 것을 식별하였다.
종합하면, (종래 장치에서 의존하지 않는 파라미터인) 듀티 사이클의 올바른 선택과 (종래 장치에서 또한 의존하지 않는) 높은 세기의 펄스의 사용은, 더 높은 에너지 소비 비용을 도입하지 않고도 강렬한 태양이 비치는 환경에서 비디오 화면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선행 장치는 이러한 2개의 파라미터(듀티 사이클, 펄스 세기)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 기술 방식은 이전에 US2012/0194657A1에 의해 보고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작은 정도로만 셔터 게이팅된 주변 광 감소를 재현한다. 특히, 종래 장치는 강한 햇빛이 비치는 환경에서 높은 콘트라스트 비디오 화면을 보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또 다른 장점은, 시스템의 발광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LED 기반 발광 장치의 일부인 히트 싱크는 시간 평균 세기와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세기의 광을 생성하는 경우에, 열 발생이 주요 관심사가 될 수 있다. 이는, 광원 자체, 시스템의 광학 요소뿐 아니라 전자 기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트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에 과도한 열 발생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부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에 의하면, 더 적은 에너지가 소비되기 때문에, 열 발생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이는 특히 배터리, 열 관리 하드웨어, 및 광원의 물리적 치수와 관련하여 시스템의 크기를 줄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에서, 방출 장치의 듀티 사이클은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0 이하이다. 이러한 듀티 사이클은 시청 경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더 바람직한 변형에서, 높은 투명도를 갖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의 상태는 방출 장치가 높은 세기의 광을 방출하는 기간 내에 속한다. 즉, 높은 투명도의 상태는 방출 장치의 높은 세기의 기간과 완전히 겹친다. 이는 특히 효율적으로 보는 것을 보장하는데, 높은 세기로 광을 방출할 때에만 방출 장치를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변으로부터 오는 광의 영향이 더욱 감소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높은 세기로 광을 방출하는 방출 장치의 상태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가 높은 투명도를 갖는 기간 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출 장치의 높은 세기의 상태가 선택적인 시각 장치의 높은 투명도를 갖는 기간과 겹치므로, 방출 장치의 높은 세기의 상태가 이러한 높은 투명도의 기간을 벗어나 확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방출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광이 특히 효율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선택적인 시각 장치가 낮은 투명도를 가질 때 (쉽게 관찰할 수 없을 때) 방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높은 세기로 발광하는 방출 장치의 상태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가 높은 투명도를 갖는 기간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상태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적 패턴을 따른다. 그것들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높은 세기의 상태/높은 투명도의 상태의 5% 이하가 방출 장치/선택적인 시각 장치 각각의 다른 상태 밖에 있고, 특히 투과 기능이 최대 투과의 50% 미만인 시간 동안 방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전에 언급된 장점을 조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에서, 방출 장치는 컴퓨터 화면, 또는 휴대 전화,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또는 텔레비전 세트의 화면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면을 포함하고, 화면은 500 럭스 초과, 바람직하게는 2000 럭스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5000 럭스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 럭스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럭스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00 럭스 초과의 피크 조도를 갖는 높은 세기의 값을 가지는 광을 펄스 방식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도는 방출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광이 주변 광, 특히 태양 광과 "경쟁"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그 자체로 최대 100.000 럭스 이상의 주변 광 레벨을 책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변형은 방출 장치가 주변에 정보를 투사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전에 기술된 변형과 비교하여, 방출 장치는 화면을 포함하고, 주변에 정보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방출 장치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프로젝터는 전형적으로 발광하지 않는 다른 물체(예를 들어, 영화관의 경우, 벽이나 캔버스의 조각)에 시청자가 볼 이미지를 생성한다. 보게 될 이미지는 발광하지 않는 물체 상에 형성된다.
대조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화면의 경우, 화면은 광을 방출하고 자체적으로 이미지를 형성한다. 발명자들은 선택적인 시각 장치와 함께 프로젝터를 가지는 것은 현실 상황에서 주변에 광을 투사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예를 들어, 이는 프로젝션 장치가, 선택적인 시각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근처에 서있는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정보를, 주변에 투사하는 주석이 달린 현실 시스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사람이 가야할 곳을 보여주기 위해 포장 도로에 화살표가 투사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시각 장치 덕분에, 이러한 화살표는 방관자보다 해당 선택적인 시각 장치를 착용한 사람이 훨씬 더 잘 볼 수 있으므로, 방관자를 방해하는 것을 피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한 가지 변형에서 시스템은 방출 장치를 가지는 헤드 마운트 레이저 프로젝터이고, 방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1 μW 초과하면서 바람직하게는 10 mW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 mW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W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μW 미만의 시간 평균 광 출력 전력을 가지는 레이저 광원이다. 이러한 레이저 프로젝터는 인지된 세기 또는 밝기가 적어도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의 바로 주변에 투사하는 경우에 태양광에서 보기에 충분한 것을 보장한다. 또한, 시간 평균 레이저 방출 출력이 감소하면 방관자에 대한 레이저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레이저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레이저는 펄스 속도(전형적으로 20Hz 이상의 주파수)로 방출되므로, 피크 레이저 세기는 시간 평균 레이저 출력의 10배 초과, 바람직하게는 50배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배를 초과한다. 이렇게 하면, 레이저 안전 요구 사항에 따라 방관자에게 방사선이 위험하지 않을 수 있는 동시에 좋은 시청 콘트라스트를 허용한다.
또 다른 변형에서 시스템은 방출 장치를 가지는 헤드 마운트형 LED 프로젝터이며, 방출 장치는 1 μW 초과하면서 5 W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mW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 mW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μW 미만의 시간 평균 광학 출력 전력을 가지는 LED 광원이다.
또한, 여기서 LED 광은 (전형적으로 20Hz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방식으로 방출되어 피크 세기는 시간 평균 방출 세기의 10 배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배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배 초과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의해 방출되는 광이 주변 광과 경쟁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동시에 방관자들을 방해하는 것도 피하며, 또한 동시에 무거운 배터리의 필요성을 피하고, 및/또는 과도한 열 발생을 피한다. 큰 배터리는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긴 시간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높은 피크 전류를 허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콤팩트하며, 방해하지 않는 주석이 달린 현실 시스템의 기초를 제공한다.
프로젝션 시스템의 경우, 각 이미지 프레임은 각 이미지 프레임을 기본 색상의 여러 연속적인 이미지, 즉, 적색, 청색, 및 녹색 프레임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부로서의 패널은 표시된 서브 프레임마다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서브 프레임들은 시간적으로 겹치거나, 또는 거의 겹치는 방식으로 방출되어 패널은 하나의 동일한 이미지 프레임에 속하는 개별적인 서브 프레임 간에 비투과 상태로 전환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변형은 시스템이 극장 환경에서 비디오를 보호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이 예를 들어 홈 시네마 환경에서 벽에 있는 비디오를 보호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션 시스템은, 공공 상영 환경에서도, 예를 들어 여름 동안 자주 개최되는 야외 영화 상영과 같은 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이전에 기술된 헤드 마운트 시스템보다 훨씬 더 큰 규모라는 것이 분명하다. 이 경우, 방출 장치는, 10.000 lm 초과, 바람직하게는 5000 lm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lm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00 lm 초과의 피크 광속(luminous flux)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지만, 이는 시스템이 주변 광, 특히 태양광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낮 동안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은 사용성 덕분에 매우 유리하다. 예를 들어, 야외 시네마의 운영자가 낮 동안 그의 시네마를 운영할 수 있다면, 어두울 때만 영화를 상영하도록 제한되었던 이전보다 하루에 몇 배나 많은 영화를 상영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야외 영화관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주목할 만하게, 본 발명으로부터 감소된 열 생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전에 열적 제약(thermal constraints)에 의해 제한되었던 프로젝션 시스템은 본 발명에 의해 특정된 바와 같이 특히 짧은 듀티 사이클로 펄스되는 경우에 더 높은 최대 세기로 작동하도록 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증가된 피크 세기는 시간 평균 세기에 대한 감소된 듀티 사이클 효과를 완전히 보상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선택적인 시각 장치와의 조합은 여전히 감소된 에너지 소비로 이어짐과 동시에 콘트라스트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적인 시각 장치는 패널을 가지는 안경의 형태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패널은 안경의 글라스들 중 하나 이상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착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사용자 친화적이다.
일부 상황에서, 프로젝션 장치 형태의 방출 장치가 안경에 통합되거나 부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사용자 친화적으로 주석이 달린 현실 장치를 허용한다. 또한, 광원의 전체 발광 세기가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상술한 프로젝션 장치는 쉽게 소형화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이 착용하기에 너무 부피가 커지지 않으면서 안경에 통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은 방출 장치가 선택적인 시각 장치와 동기화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컴퓨터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터/슬레이브 관계의 언어를 사용하여, 방출 장치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에 대해 슬레이브 장치 역할을 한다. 이는, 예를 들어, 특정 선택적인 시각 장치를 가지고 있거나 착용한 그 또는 그녀가 잠재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다른 모든 방출 장치를 그의 또는 그녀의 선택적인 시각 장치에 동기화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킨다.
또한, 시스템이 외부에서 제공되는 클럭, 바람직하게는 무선 시간 신호와 동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이러한 여러 시스템이 한꺼번에 작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한 그룹의 사람들(즉, 해당하는 안경을 착용한 사람들)에게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방출되는 광의 피크 세기가 적어도 방출 장치의 주변의 세기만큼 높고, 바람직하게는 방출 장치의 주변의 세기보다 적어도 3배 더 높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식된 이미지의 좋은 콘트라스트를 허용한다.
시스템이 방출 장치의 주변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한 밝기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주변의 광의 세기에 따라 시스템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방출 장치가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랩탑, 또는 기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일부인 프로젝터를 이용하는 LED 또는 레이저 소스인 경우에도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는 전술한 장점과 그러한 모바일 장치가 달성한 장점을 조합한다.
도 1은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와 방출 장치의 타이밍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는 일반적인 보기를 사용하는 화면과 청구된 발명을 사용하는 컴퓨터 화면의 인식을 병렬하여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화면의 또 다른 인식을 제공한다.
도 4는 청구된 시스템의 잠재적인 적용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LCD 매트릭스(13)를 조명하기 위해 광원(12)이 구비된다. 그러한 광원(12)은 컴퓨터 화면의 백라이트일 수 있다. 광원(12)에 연결된 드라이버(14b)는 차례로 함수 발생기(function generator)(15)에 연결된다. 이러한 함수 발생기(15)는 제2 드라이버(14a)에 연결되며, 차례로 셔터 글라스(16)에 연결된다. 관찰자(18)는 LCD 매트릭스(13)를 통과한 광(11')을 방출하는 광원(12)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본다. 참고로, 주변 광원(10)(예를 들면, 태양)도 또한 존재하며, 이는 광(11)을 방출한다.
셔터 글라스(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도가 높은 상태와 투명도가 낮은 상태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도 2의 b)는 광원(12)의 세기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세기 변화와 동기화된 것은, 도 2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셔터 글라스(16)이며, 여기서, "열림"이라는 표시는 높은 투명도를 갖는 셔터 글라스를 지칭하고, "닫힘"이라는 표시는 낮은 투명도를 갖는 셔터 글라스를 지칭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주변 광원(10)에 의해 방출되는 광은 항상 동일한 레벨에 있다(도 2a 참조). 셔터 글라스(16)는, 셔터 글라스(16)가 높은 투명도를 갖는 기간 동안에만 광원(12)에 의해 방출된 광(11')에 대해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이러한 광(11')은 관찰자(18)에 의해 선택적으로 인식된다. 인간의 눈은 일반적으로 평균 광 세기만을 인식하기 때문에, 또한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은, 광이 높은 세기로 방출되는 기간 동안에만 적어도 주변 광보다는 밝거나, 또는 훨씬 더 밝기 때문에, 광원(12)에 의해 방출된 광이 주로 관찰된다. 결과적으로, 인식된 이미지 콘트라스트가 증가되고, 심지어 주변 세기가 높은 환경에서도 만족스러운 화면의 비전을 얻기에 충분하다. 또한, 제1 드라이버(14b) 및 제2 드라이버(14a)를 위한 공통 함수 발생기(15)의 사용은 셔터 글라스(16)와 광원(12)의 동기화를 구현하기 쉽게 만든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도 2의 c)에서 기간은 Ton 및 Toff로 표시되어 셔터 글라스가 높은 투명도를 가지는 경우(Ton) 및 셔터 글라스가 낮은 투명도를 가지는 경우(Toff)의 기간을 도시한다는 점 또한 유의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듀티 사이클은 T = Ton /(Ton + Toff)으로 정의될 수 있다. Ton이 50μs이고, Toff가 0.00995s이면, 200의 콘트라스트 향상을 가져온다.
도 3a은 프로토 타입 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한 결과를 도시한다. 왼쪽 시야에서는, 가정 환경에서 발명가 중 한 사람의 랩탑의 일반 보기(즉, 발명 기술이 없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랩탑의 화면을 볼 수는 있지만, 콘트라스트가 특히 높지 않은 것도 눈에 띈다. 또한, 주변 광이 훨씬 밝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미지의 오른편에는, 청구된 발명을 사용한 경우에 동일한 환경이 도시되어 있다. 주변 광이 상당히 어두워지고, 컴퓨터 화면의 콘트라스트가 훨씬 높다는 것이 눈에 띈다. 즉, 주변 광을 선택적으로 "이클립스(eclipsing)"하고, 랩탑 화면을 선택적으로 "게이팅(gating)" 함으로써 랩탑 화면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의 더 높은 콘트라스트를 달성한다. 이러한 경우, 화면은 안경의 "슬레이브"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발명이 없는 화면(사진 50)과 본 발명을 사용한 화면(화면 50')의 사진을 도시하는 도 3b에서도 볼 수 있다. 사진 50에서 알 수 있듯이, 보고있는 화면이 위치한 방 내부에는 키보드(54) 및 기타 물체(56)의 수많은 인공물(반사)이 있다. 이러한 반사는 볼 대상인 다리(52)의 인식을 방해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대조적으로, 사진 50'은 동일한 다리(52')를 보여주지만 인공물(54, 56)이 없다. 실제로, 이러한 인공물(56', 54')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을 사용하는 사진 50'에서는 인공물이 보이지 않는다.
도 4는 주석이 달린 현실 환경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한다. 도 4의 a)는 축구 경기의 전형적인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4의 b)는 현재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동일한 축구 경기의 주석이 달린 현실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4와 같은 상황에서, 한 팀(현재의 경우, 흰색 져지를 입은 팀)의 선수만 선택적으로 조명하는 비디오 프로젝터는 해당 선수만 조명하는 광점(light spot)을 방출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시스템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광점에 플레이어 번호로 주석을 달 것이다. 이러한 광점과 주석들은 펄스 광원을 사용하여 투사된다. 그러한 경우, 플레이어 옆에 투사되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읽고자 하는 사람은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시각 장치를 구성하는 안경을 착용할 수 있으며, 이는 그러한 광점 및 주석을 형성하는 광과 동기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점은 육안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주변 광과 경쟁할 수 없기 때문에,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은 인식할 수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한 환경에서, 프로젝션 장치(112)는 안경(110)의 프레임에 부착된다. 가변 투명도를 갖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로서 기능하는 글라스(116)가 추가로 구비된다. 방출 장치로서 기능하는 프로젝션 장치(112)는 현재의 경우 포장 도로(120) 상에 표시될 일부 정보, 예를 들면 화살표(122)(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서의 시각적 자극)를 투사한다. 프로젝션 장치(112)는 화살표(122)를 포장 도로(120)에 투사하기 위해 이전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인 펄스 방식으로 광원(12)에 광을 방출한다. 가변 투명도를 갖는 글라스(116)는 착용자가 포장 도로(120) 상의 화살표(122)를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프로젝션 장치(112)에 의해 방출되는 광과 동기화되도록 구성된다. 포장 도로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반복 주파수는 50Hz일 수 있고, 프로젝터가 온되는 시간은 각 주기 동안 0.08ms이므로, 시스템의 듀티 사이클은 0.08ms/20ms = 0.004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 도출된 콘트라스트는 250 배 향상된다. 프로젝션 장치(112)가 글라스(116)에 통합되는 것에 더하여, 이는 또한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랩탑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일부일 수도 있다.

Claims (15)

  1.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방출 장치(12, 112)로서, 상기 방출 장치(12, 112)는 광의 세기가 높은 값과 낮은 값 사이에서 변하도록 펄스 방식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방출 장치(12, 112); 및
    패널을 포함하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16, 116)로서, 상기 패널은 사용자가 표시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상기 패널을 통해 상기 방출 장치(12, 112)에 의해 방출된 광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널은 높은 투명도의 상태 및 낮은 투명도의 상태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는 가변 투명도를 가지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16, 116)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방출 장치(12, 112)를 상기 선택적인 시각 장치(16, 116)에 동기화하여 높은 세기의 값으로 광을 방출하는 방출 장치(12, 112)의 상태와 상기 선택적인 시각 장치(16, 116)의 패널의 높은 투명도의 상태가 시간에 따라 중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출 장치(12, 112)는 광이 1/10 이하의 듀티 사이클을 가지는 펄스 방식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택적인 시각 장치(16, 116)의 패널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듀티 사이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장치(12, 112)의 듀티 사이클은 1/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50 이하인,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은 투명도의 상태를 가지는 선택적인 시각 장치(16, 116)는 상기 방출 장치가 높은 세기의 값으로 광을 방출하는 기간 내에 속하거나, 또는
    높은 세기의 값으로 광을 방출하는 방출 장치(12, 112)의 상태는 상기 선택적인 시각 장치가 높은 투명도를 갖는 기간 내에 속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은 세기의 값으로 광을 방출하는 방출 장치(12, 112)의 상태는 상기 선택적인 시각 장치가 높은 투명도를 갖는 기간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장치(12, 112)는 컴퓨터 화면, 휴대 전화,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또는 텔레비전 세트의 화면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은 500 럭스 초과, 바람직하게는 2000 럭스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5000 럭스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 럭스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럭스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00 럭스 초과의 피크 조도(peak illuminance)를 갖는 펄스 방식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장치(112)는 주변에 정보를 투사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젝션 장치는 펄스 방식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레이저 프로젝터이고,
    상기 방출 장치(112)는 가시적인 레이저 광을 방출하기 위한 레이저 광원이며,
    상기 레이저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1 μW 초과하면서 바람직하게는 10 mW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 mW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W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μW 미만의 시간 평균 광학 출력 전력을 가지고,
    상기 시간 평균 레이저 전력의 10배 초과, 바람직하게는 50배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배 초과의 피크 세기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LED 프로젝터이고,
    상기 방출 장치(112)는 LED 광원이며,
    상기 LED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1 μW 초과하면서 5 W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mW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 mW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μW 시간 평균 광학 출력 전력을 가지고,
    시간 평균 광학 전력의 10 배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배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배 초과하는 피크 세기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가정 또는 극장 환경에서 비디오를 투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출 장치(112)는, 10.000 lm 초과, 바람직하게는 50.000 lm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lm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00 lm 초과의 피크 광속(luminous flux)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인 시각 장치(116)는 패널을 가지는 안경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패널은 안경의 하나 이상의 글라스인,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6항 또는 제7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장치는 상기 안경에 통합되거나, 또는 부착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방출 장치가 상기 선택적인 시각 장치와 동기화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클럭, 바람직하게는 무선 시간 신호와 동기화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방출되는 광의 피크 세기가 상기 방출 디바이스의 주변의 세기와 비슷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출되는 광의 피크 세기가 상기 방출 디바이스의 주변의 세기보다 적어도 3배 더 높도록 구성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장치의 주변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밝기 센서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장치는,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랩탑, 또는 기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일부인 프로젝터를 이용하는 LED 또는 레이저 소스인,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207028988A 2018-03-09 2018-03-09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 KR102492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55906 WO2019170250A1 (en) 2018-03-09 2018-03-09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a u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754A true KR20200124754A (ko) 2020-11-03
KR102492604B1 KR102492604B1 (ko) 2023-01-27

Family

ID=6162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988A KR102492604B1 (ko) 2018-03-09 2018-03-09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1170723B2 (ko)
EP (1) EP3763118A1 (ko)
JP (1) JP2021515915A (ko)
KR (1) KR102492604B1 (ko)
CN (2) CN115695769A (ko)
AU (1) AU2018412406B2 (ko)
CA (1) CA3094232A1 (ko)
IL (1) IL277099A (ko)
RU (1) RU2752654C1 (ko)
SG (1) SG11202008116TA (ko)
TW (2) TWI701461B (ko)
WO (1) WO20191702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15915A (ja) * 2018-03-09 2021-06-24 マックス−プランク−ゲゼルシャフト ツール フォーデルング デル ヴィッセンシャフテン エー.ヴェー. ユーザに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5789A (en) * 1990-04-05 1991-12-24 Raychem Corporation Displays having improved contrast
US20140002664A1 (en) * 2012-06-29 2014-01-02 Casio Computer Co., Ltd. Wireless synchronous system, radio apparatuses, sensor devices, wireless synchroniz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60050736A1 (en) * 2014-08-15 2016-02-18 Phase Final, Inc. Lighting device with ambient light sensor
JP2016065929A (ja) * 2014-09-24 2016-04-2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映像システムおよび眼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7388A (ja) 1988-07-27 1990-02-07 Sharp Corp 表示装置
ATE167993T1 (de) 1990-12-14 1998-07-15 Humphrey Eng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grades der helligkeitsempfindung mittels einer zeitveränderlichen blende
JPH06110403A (ja) 1992-09-30 1994-04-22 Hitachi Ltd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パネル
US6184969B1 (en) 1994-10-25 2001-02-06 James L. Fergason Optical display system and method, active and passive dithering using birefringence, color image superpositioning and display enhancement
WO1998011737A1 (en) 1996-09-09 1998-03-19 Ima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visual display to an audience
EP0913995A1 (en) 1997-10-31 1999-05-06 Motorola, Inc. Display system
US7740371B1 (en) * 1998-03-19 2010-06-22 Charles A. Lemaire Method and apparatus for pulsed L.E.D. illumination for a camera
US6597328B1 (en) 2000-08-16 2003-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privately viewable data in a publically viewable display
US7604348B2 (en) 2001-01-23 2009-10-20 Kenneth Martin Jacobs Continuous adjustable 3deeps filter spectacles for optimized 3deeps stereoscopic viewing and its control method and means
US9781408B1 (en) 2001-01-23 2017-10-03 Visual Effect Innovations, Llc Faster state transitioning for continuous adjustable 3Deeps filter spectacles using multi-layered variable tint materials
US6980177B2 (en) 2001-08-03 2005-12-27 Waterstrike Incorporated Sequential inverse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fidential viewing of a fundamental display image
WO2004066620A1 (en) 2003-01-20 2004-08-05 Nexvi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 private image using a public display
GB0424997D0 (en) 2004-11-12 2004-12-15 Evans Patrick A system for the reduction of unwanted light
US7609444B2 (en) * 2005-10-21 2009-10-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ion partitioning and aligning
US20070153122A1 (en) 2005-12-30 2007-07-05 Ayite Nii A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multiple video channel viewing
US7414698B2 (en) 2006-03-15 2008-08-19 James Cashin Captioning system and method
RU2316133C1 (ru) 2006-04-19 2008-01-27 Борис Иванович Волков Плоскопанельный дисплей
WO2008021857A2 (en) 2006-08-08 2008-02-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multi-channel viewing applications
JP5023755B2 (ja) * 2007-03-26 2012-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GB0802289D0 (en) * 2008-02-07 2008-03-12 Rumsby Philip T Method and appartus for making a partially transparent solar panel
US7430018B1 (en) 2008-03-24 2008-09-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imesharing of a display screen
CN102016393A (zh) 2008-05-07 2011-04-1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在保持同样的房间照明时受控地传送房间的不同视觉印象的设备和过程
US9509525B2 (en) 2008-09-05 2016-11-29 Ketra, Inc. Intelligent illumination device
US20100079585A1 (en) 2008-09-29 2010-04-01 Disney Enterprises, Inc. Interactive theater with audience participation
RU2413266C1 (ru) 2009-06-05 2011-02-27 Борис Иванович Волков Электронно-управляемые 3д-очки
US9030535B2 (en) 2009-06-23 2015-05-12 Lg Electronics Inc. Shutter glasses, method for adjusting optic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3D display system adapted for the same
US8964298B2 (en) * 2010-02-28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Video display modification based on sensor input for a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EP2365699B1 (en) 2010-03-11 2018-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djusting 3D image quality, 3D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KR20110112575A (ko) 2010-04-07 2011-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3d안경,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에 관련된 3d안경,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단말기, 및 3d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10115806A (ko) 2010-04-16 2011-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안경,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491192B1 (ko) 2010-05-06 2015-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JP5199308B2 (ja) 2010-05-24 2013-05-15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
US8681205B2 (en) 2010-06-18 2014-03-25 Via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three dimensional (3D) compatible viewing device
TWI522993B (zh) 2010-06-23 2016-02-21 明基電通股份有限公司 立體影像顯示系統、顯示器及顯示器之背光模組控制方法
TWI419550B (zh) 2010-08-06 2013-12-11 Acer Inc 快門眼鏡以及控制快門眼鏡的方法
TWI423654B (zh) 2010-09-16 2014-01-11 Acer Inc 控制立體眼鏡所接收之環境亮度的方法、立體眼鏡以及視訊顯示裝置
JP5552022B2 (ja) 2010-10-25 2014-07-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8836772B2 (en) 2010-11-17 2014-09-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3D shutter glasses with frame rate detector
JP6317926B2 (ja) 2011-01-10 2018-04-25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キャプションを表示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R201100484A2 (tr) 2011-01-18 2012-08-22 Vestel Elektroni̇k San. Ve Ti̇c. A.Ş. 3D video görüntü sistemleri için bir yöntem ve sistem
TWI442093B (zh) 2011-01-27 2014-06-21 Acer Inc 於快門眼鏡操作於二維影像觀看模式時調整快門眼鏡所接收之周遭環境亮度的方法、快門眼鏡以及調整快門眼鏡所接收之週遭環境亮度的電子裝置
CN102761713B (zh) 2011-04-27 2014-12-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遥控器及应用该遥控器的电视系统
TW201303451A (zh) * 2011-06-17 2013-01-16 Microsoft Corp 個人影像展示
WO2013019114A1 (en) * 2011-08-03 2013-02-07 Tp Vision Holding B.V. TV with 2D dimming for 3D viewing mode
JP5884367B2 (ja) 2011-09-27 2016-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WO2013047230A1 (ja) 2011-09-30 2013-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EP2610848A3 (en) 2011-12-28 201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provid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326016B2 (ja) 2012-02-24 2013-10-3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2050854B1 (ko) 2012-04-26 2019-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099884B2 (ja) 2012-05-25 2017-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
US8933916B1 (en) * 2012-06-26 2015-01-13 Jeffrey B. Doar Ambient light sensing for display
JP5351311B1 (ja) 2012-06-29 2013-11-2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立体映像観察デバイスおよび透過率制御方法
US9448466B2 (en) * 2012-08-27 2016-09-20 Pioneer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for display device
KR101385681B1 (ko) 2012-11-08 2014-04-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마운트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153694A (ja) * 2013-02-14 2014-08-25 Panasonic Corp 表示装置
CN103118298A (zh) 2013-02-21 2013-05-2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同时播放多个电视节目的装置及方法
FR3005194B1 (fr) 2013-04-25 2016-09-23 Essilor Int Procede de personnalisation d'un dispositif electronique afficheur d'image
US9069225B2 (en) 2013-09-09 2015-06-30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ed viewing of a display device
FR3011090B1 (fr) * 2013-09-26 2016-12-23 Valeo Vision Lunettes a affichage de donnees munies d'un ecran anti-eblouissement
US9494800B2 (en) * 2014-01-21 2016-11-15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TWI524214B (zh) * 2014-08-15 2016-03-01 中強光電股份有限公司 簡報系統、穿戴式裝置及簡報的文稿呈現方法
EP3046397A1 (en) 2015-01-15 2016-07-20 Nokia Technologies OY Control of a periodic light source illuminating a room shared by two users wearing shutter glasses synchronized with the light source
US9622326B1 (en) * 2015-12-18 2017-04-11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emitted light intensity level
US10217439B2 (en) * 2016-02-04 2019-02-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mbient light sensor system
US10529063B2 (en) * 2016-08-22 2020-01-07 Magic Leap, Inc.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US20180345034A1 (en) * 2017-06-06 2018-12-06 Peter Butzloff Myopia inhibition apparatus and ocular method
CN107293257B (zh) 2017-07-20 2019-06-04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其显示方法及显示装置
US10327300B2 (en) * 2017-10-20 2019-06-18 Paul Dickie Light source to darken a photochromic lens
CN109946907A (zh) * 2017-12-20 2019-06-28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JP2021515915A (ja) 2018-03-09 2021-06-24 マックス−プランク−ゲゼルシャフト ツール フォーデルング デル ヴィッセンシャフテン エー.ヴェー. ユーザに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5789A (en) * 1990-04-05 1991-12-24 Raychem Corporation Displays having improved contrast
US20140002664A1 (en) * 2012-06-29 2014-01-02 Casio Computer Co., Ltd. Wireless synchronous system, radio apparatuses, sensor devices, wireless synchroniz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60050736A1 (en) * 2014-08-15 2016-02-18 Phase Final, Inc. Lighting device with ambient light sensor
JP2016065929A (ja) * 2014-09-24 2016-04-2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映像システムおよび眼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44646A1 (en) 2022-02-10
CN111819843A (zh) 2020-10-23
US11170723B2 (en) 2021-11-09
IL277099A (en) 2020-10-29
KR102492604B1 (ko) 2023-01-27
CN115695769A (zh) 2023-02-03
AU2018412406A1 (en) 2020-09-10
CA3094232A1 (en) 2019-09-12
AU2018412406B2 (en) 2023-03-30
JP2021515915A (ja) 2021-06-24
TW202117399A (zh) 2021-05-01
US20200410944A1 (en) 2020-12-31
TWI750724B (zh) 2021-12-21
SG11202008116TA (en) 2020-09-29
TWI701461B (zh) 2020-08-11
EP3763118A1 (en) 2021-01-13
US11694640B2 (en) 2023-07-04
TW201939106A (zh) 2019-10-01
RU2752654C1 (ru) 2021-07-29
WO2019170250A1 (en)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6420B2 (ja) 補助ビジュアル表示システム
US9001198B2 (en) Image display viewing system, optical modulato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1128548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観察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1520232A (ja) 同一の室内照明を保ちながら、部屋の異なる視覚的印象を制御して与え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1694640B2 (en)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a user
JP2011249976A (ja) 表示装置
JP2012113241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H0496581A (ja) 視線一致型の画像表示装置
TW201248599A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external lamp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037227B (zh) 一种降低快门式三维显示器闪烁感的方法
JP2016065929A (ja) 電子機器、映像システムおよび眼鏡装置
JP2012147142A (ja)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並びに立体映像表示装置、照明装置
RU2795109C1 (ru) Систем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ю
JP7245376B2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CN2922011Y (zh) 具有光浴功能的显示设备
CN1862628B (zh) 具有光浴功能的显示设备
KR20220056867A (ko)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JP2017050725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JP2023076458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JP2010117689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環境光制御装置
JP2012164466A (ja) 照明制御装置、照明装置、立体映像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227851A (ja) 立体映像の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の表示システム
JP2013051564A (ja) 発光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発光制御方法
JP2013239945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13026654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