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089A -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089A
KR20200124089A KR1020190047524A KR20190047524A KR20200124089A KR 20200124089 A KR20200124089 A KR 20200124089A KR 1020190047524 A KR1020190047524 A KR 1020190047524A KR 20190047524 A KR20190047524 A KR 20190047524A KR 20200124089 A KR20200124089 A KR 2020012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de
rhythm
chord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872B1 (ko
Inventor
이종현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Priority to KR102019004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8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11Automatic composing, i.e. using predefined musical ru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45Composing rules, e.g. harmonic or musical rules, for use in automatic composition; Rule generation algorithm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41Rhythm pattern selection, synthesis or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Abstract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자동작곡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밝기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환경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환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선택된 환경모드에 따라 다음 재생 곡을 선택하거나 작곡한다.

Description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mposing music based on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음악을 자동으로 작곡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양한 작곡 이론이 존재한다. 작곡가는 이러한 작곡 이론에 창의성을 결합하여 다양한 음악을 작곡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곡하고 이를 다양한 소리로 출력하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장치가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MIDI 장치는 사용자의 작업을 도와주는 역할에 그칠 뿐 곡을 자동으로 작곡할 수 없다. 자동 작곡에 관한 종래 방법으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이 존재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54706호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매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도나 소리 등을 기초로 파악된 주변 환경에 맞는 곡을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작곡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장치의 일 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밝기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싱부; 상기 환경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환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및 선택된 환경모드에 따라 재생 곡을 선택하거나 작곡하는 음악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방법의 일 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밝기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환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환경모드에 따라 다음 재생 곡을 선택하거나 작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음악을 자동 선택하거나 작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무드등에 구현한 경우에 무드등의 조도 등에 따른 곡을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작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경모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생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곡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곡 템플릿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생성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와 리듬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 높이 결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반주를 위한 작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리듬패턴의 배치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르페지오 리듬패턴과 베이스 리듬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작곡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작곡장치(100)는 센싱부(110), 모드선택부(120), 음악생성부(130), 피드백부(140), 가중치결정부(150), 악기선택부(160), 조명제어부(170) 및 출력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이들 구성 중 일부의 생략이 가능하며 또한 다른 구성의 추가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의 자동작곡장치(100)는 무드등의 일부로 구현되거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 장치 또는 컴퓨터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후 이를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등의 장치를 통해 구동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작곡장치(100)는 무드등의 일부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센싱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작곡장치(100)가 위치한 환경의 밝기(조도)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110)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밝기값을 측정하거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의 크기(dB)나, 파형, 규칙성, 주파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센싱부(110)는 밝기나 소리 외에도 종래의 다양한 센서를 통해 다양한 환경정보(예를 들어, 습도, 온도 등)를 수집할 수 있다.
모드선택부(120)는 센싱부(110)에 의해 측정된 환경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환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환경모드의 종류와 개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모드선택부(120)는 복수의 환경모드를 구분하기 위한 각 기준값을 미리 등록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10)의 의해 측정된 조도 및 소리 크기가 제1 기준값 이하이면, 모드선택부(120)는 수면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센싱을 통한 환경모드 선택 방법에 대해 도 2에서 다시 살펴본다.
음악생성부(130)는 모드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환경모드에 따라 재생 곡을 선택하고 자동 작곡한다. 일 실시 예로, 환경모드와 음악 장르 사이의 맵핑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음악생성부(130)는 파악된 환경모드에 해당하는 음악 장르의 곡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과 같이 환경모드별 재생리스트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환경모드가 수면모드이면, 음악생성부(130)는 수면모드의 재생리스트에 속한 곡을 재생할 수 있다.
음악생성부(130)는 각 환경모드에 해당하는 곡을 자동으로 작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음악생성부(130)는 모드선택부(120)에 파악된 환경모드에 따라 다음 재생할 곡을 자동으로 작곡한 후 이를 재생할 수 있다. 자동작곡된 곡은 재생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음악생성부(130)는 자동 작곡한 곡을 다음에 바로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재생리스트에 우선 등록할 수 있다.
음악생성부(130)가 재생리스트에서 다음 재생 곡을 선택할지 아니면 다음 재생 곡을 자동 작곡할지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현 환경모드에 해당하는 재생리스트의 곡을 모두 한 번 이상 재생하였다면, 음악생성부(130)는 이 다음부터는 곡을 자동 작곡하여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음악생성부(130)는 사용자의 실시간 요청에 따라 재생리스트에서 재생할지 아니면 실시간 자동 작곡하여 재생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음악생성부(130)의 자동작곡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4에서 다시 살펴본다.
피드백부(140)는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입력받는다. 선호도는 "좋아요" 또는 "싫어요"의 두 가지로 입력받거나 아니면 일정 구간(예를 들어, 0~10) 내 점수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피드백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선호도를 입력받을 수 있는 버튼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가 무드등으로 구현된 경우에, 피드백부(140)는 무드등의 일측에 위치한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호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피드백부(14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호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본 실시 예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사용자 단말과 자동작곡장치(100)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고, 피드백부(1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를 수신할 수 있다.
가중치결정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선호도를 기초로 현재 재생되는 곡의 코드 패턴, 리듬 패턴, 멜로디, 빠르기 및 반주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곡요소의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가중치결정부(150)는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으면(예를 들어, 선호도 = '좋아요') 해당 곡에 사용된 작곡요소에 대해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반대로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가 낮으면(예를 들어, 선호도 = '싫어요') 해당 곡에 사용된 작곡요소에 대해 낮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가중치 부여 방법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4의 자동 작곡 방법에서 다시 살펴보겠지만, 피드백부(140) 및 가중치결정부(150)에 의해 결정된 작곡요소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곡을 자동 작곡할 수 있다.
악기선택부(160)는 사용자 선호도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곡에 사용되는 악기를 선택한다. 음악이 도 5와 같이, 멜로디, 코드반주, 아르페지오 반주, 베이스 반주 등의 요소로 구성된 경우에, 피아노, 바이올린, 베이스 기타, 드럼 등 다양한 악기음을 통해 각 요소를 연주하여 출력한다. 악기선택부(160)는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가 낮으면 다음 재생 곡의 악기음 종류를 바꾸거나 일부 악기음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 재생 곡은 바뀐 악기음 또는 일부 악기음을 생략하여 출력된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 곡이 피아노, 베이스 기타 및 드럼의 악기음으로 연주되고 해당 곡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가 낮다면, 악기선택부(160)는 다음 재생 곡에서 바이올린 악기음을 제외할 수 있다. 악기선택부가 복수의 악기음 중에서 어떤 악기음을 생략할지는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르거나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한 선호도가 낮다면, 악기선택부(160)는 현재 재생되는 곡에 사용된 악기음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악기음으로 대체할 수 있다. 악기음의 대체는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르거나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악기음 선택부(160)는 생략될 수 있다.
조명제어부(170)는 환경모드에 따라 무드등의 밝기, 색상 또는 깜빡임 등을 제어한다. 조명제어부(170)는 각 환경모드에 따라 무드등을 어떻게 제어할지 미리 정의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모드가 수면모드이면, 조명제어부(170)는 무드등의 밝기를 수면에 적합한 일정 이하의 조도로 제어할 수 있다. 환경모드가 파티모드이면, 조명제어부(170)는 다양한 색상을 번갈아 표시되도록 무드등을 제어할 수 있다.
출력제어부(180)는 센싱부(110)에 의해 측정된 주변 환경의 소리 크기에 따라 재생되는 곡의 소리 크기를 제어한다. 출력제어부(180)는 주변 환경의 소리 크기에 비례하도록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모드와 같이 주변 환경이 시끄러운 경우에 출력제어부는 스피커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또는 환경모두가 수면모드인 경우에, 출력제어부(180)는 스피커의 출력을 기 정의된 크기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경모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경모드(200)는 수면모드(210), 파티모드(220), 식사모드(230) 및 휴식모드(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환경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자동작곡장치(100)는 주변환경의 조도나 소리 등을 센싱하여 복수 개의 환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환경모드의 선택을 위한 다양한 기준값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작곡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의 크기, 파형 또는 규칙성 등을 파악하고 이들을 소리 크기, 파형, 규칙성 또는 밝기에 대해 각각 정의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복수의 환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소리 파형의 경우를 좀 더 살펴보면, 자동작곡장치(100)는 수면 상태에서 들리는 사람 숨소리 등의 기준 소리파형과, 파티할 때 들리는 소리에 대한 기준 소리파형과, 식사할 때 들리는 소리에 대한 기준 소리파형과, 휴식을 취할 때 들리는 TV나 음악 등의 주변 환경에 대한 기준 소리파형을 미리 등록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자동작곡장치(100)는 센싱(250)을 통해 파악된 소리의 파형과 미리 등록된 기준 소리파형을 비교하여 어느 기준 소리파형에 가장 가까운지를 기초로 환경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생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환경모드별 재생리스트(300,310,320,330)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수면모드(210), 파티모드(220), 식사모드(230) 및 휴식모드(240)에 해당하는 각각의 재생리스트(300,310,320,330)가 존재한다.
자동작곡장치(100)는 어느 한 곡을 재생하는 동안 파악된 환경모드에 따라 다음 재생 곡을 해당 환경모드의 재생리스트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파악된 환경모드가 파티모드(220)이면, 자동작곡장치(100)는 파티모드(220)에 속한 재생리스트(310)에서 다음 재생 곡을 선택할 수 있다.
자동작곡장치(100)는 환경모드에 따라 다음 재생 곡을 선택할 때 각 곡에 부여된 가중치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파악된 환경모드가 식사모드(230)이면, 자동작곡장치(100)는 식사모드(230)에 해당하는 재생리스트(320)에서 가중치가 높은 곡을 다음 재생 곡으로 선택할 수 있다. 각 곡의 가중치는 사용자 선호도의 피드백을 통해 저장 관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동일 곡이 계속하여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작곡장치(100)는 가중치가 일정 이상인 곡들을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재생하였다면, 다음 곡을 자동 작곡하여 재생할 수 있다.
자동작곡장치(100)는 환경모드별 작곡요소에 대한 가중치(302,312,322,332)를 저장한다. 도 1에서 살핀 바와 같이 자동작곡장치(100)는 현재 재생중인 곡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입력받으면,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현재 재생중인 곡의 작곡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작곡요소에 이미 이전에 부여된 가중치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작곡장치(100)는 이전 가중치를 현재 파악된 가중치로 대체하거나 이전 가중치와 현재 가중치를 평균하거나 또는 이전 가중치와 현재 가중치를 여러 통계적 방법으로 평균하여 작곡요소의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자동작곡장치(100)는 도 3과 같은 환경모드별 재생리스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자동작곡장치(100)는 환경모드와 음악 장르 사이의 맵핑관계를 미리 등록받아 저장한 후, 환경모드가 결정되면 재생리스트에서 해당 환경모드에 해당하는 음악 장르의 곡을 다음 재생 곡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특정 환경모드에 대해서는 미리 정해된 특정 장르의 음악만이 재생되나, 도 3의 실시 예는 하나의 환경모드에 복수 개의 음악 장르의 곡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곡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곡요소(400)는 장르, 반복구조패턴, 코드패턴, 리듬패턴, 멜로디, 반주리듬패턴, 빠르기,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비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중치 부여 대상이 되는 작곡요소(400)의 개수 및 종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자동작곡장치(100)는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해 '좋아요'의 사용자 선호도를 입력받으면, 해당 곡의 작곡요소에 '좋아요'에 해당하는 가중치(예를 들어, '5')를 부여하고, '싫어요'의 사용자 선호도를 입력받으면 해당 곡의 작곡요소에 '싫어요'에 해당하는 가중치(예를 들어, '1')를 부여할 수 있다. 작곡요소에 이미 이전에 부여된 가중치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작곡장치(100)는 이전 가중치를 현재 결정된 가중치로 대체하거나 이전 가중치와 현재 가중치를 평균하거나 또는 이전 가중치와 현재 가중치를 여러 통계적 방법으로 평균하여 작곡요소의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자동작곡장치(100)는 '좋아요'의 사용자 피드백에 대해 해당 곡의 작곡요소의 가중치를 기 정의된 값만큼 증가(예를 들어, '+1')시키고, '싫어요'의 사용자 피드백에 대해 해당 곡의 작곡요소의 가중치를 기 정의된 값만큼 감소(예를 들어, '-1')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곡 템플릿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작곡 템플릿(500)은 멜로디(510), 코드(패드) 반주(520), 아르페지오 반주(530), 베이스 반주(540) 및 드럼 반주(550)를 포함한다. 자동작곡장치(100)는 작곡 템플릿(500)에 포함된 각 요소(510,520,530,540,550)를 위한 곡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자동작곡장치(100)가 멜로디(510)를 작곡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코드 반주(520)를 작곡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아르페지오 반주(530) 및 베이스 반주(540)를 작곡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작곡 템플릿(5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작곡 템플릿(500)에 포함되는 요소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곡 템플릿(500)은 멜로디(510)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멜로디(510)와 코드반주(520)의 두 개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서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작곡 템플릿(500)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장르별(예를 들어, 클래식, 뉴에이지, 댄스, 앰비언트, EDM, 재즈, 힙합 등) 서로 다른 작곡 템플릿이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생성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악생성부(130)는 멜로디 작곡을 위한 구성으로,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10),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20), 패턴배치부(640) 및 톤선택부(650)를 포함한다. 이 외에 음악생성부(130)는 작곡 템플릿(500)의 코드반주(520), 아르페이지오 반주(530), 베이스 반주(540), 드럼 반주(550)의 작곡을 위한 코드리듬패턴(632), 베이스리듬패턴(634), 아르페지오 리듬패턴(636), 드럼패턴(638)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코드리듬패턴(632)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630)는 생략될 수 있다.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는 음악 장르별 코드진행 패턴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장르에 대한 다양한 4마디 코드진행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의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10)는 음악 장르별 리듬패턴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장르에 대한 다양한 마디별 리듬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00)의 일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20)는 음악 장르별 마디 반복 패턴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장르에 대한 다양한 4마디 배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20)의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패턴배치부(640)는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20)에서 반복구조패턴을 선택하고,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와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10)에서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을 선택하여 복수의 마디에 배치한다. 패턴배치의 일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패턴배치부(640)는 반복구조패턴, 코드패턴 및 리듬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중치를 기초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구조패턴에 앞서 살핀 감정 모드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다면, 패턴배치부(640)는 가중치가 높은 반복패턴을 선택하거나, 가중치가 일정 이상인 반복패턴 중에서 임의 선택하거나, 가중치에 비례하는 추출확률을 각 반복패턴에 부여한 후 추출확률을 기반으로 임의의 반복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코드패턴 또는 리듬패턴에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다면, 패턴배치부(640)는 코드패턴 또는 리듬패턴 또한 가중치를 기초로 선택할 수 있다.
톤선택부(650)는 복수의 마디에 배치된 리듬패턴의 각 음의 높이를 코드톤 또는 논코드톤으로 선택한다. 코드톤은 코드(예를 들어, Cm, D 등)에 해당하는 음 높이를 의미하고, 논코드톤은 코드와 무관한 음 높이를 의미한다. 각 마디 내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비율은 미리 정의되어 있거나, 톤선택부(650)가 매번 임의적으로 선택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비율이 50%로 지정되었다면, 톤선택부(650)는 마디를 구성하는 음의 개수 중 50%는 코드톤을 선택하고 나머지 50%는 논코드톤을 선택한다. 마디 내 코드톤과 논코드톤이 적용되는 음의 위치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톤선택부(650)는 도 11과 같이 첫 번째, 두 번째 및 네 번째 음을 코드톤으로 지정하고, 세 번째,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 음을 논코드톤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톤선택부(650)는 환경모드별 재생리스트에 존재하는 곡들 중 가중치가 높은 곡에 적용된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비율을 자동 작곡에 적용할 수 있다.
코드리듬패턴(632), 베이스 리듬패턴(634), 아르페이지오 리듬패턴(636), 드럼패턴(638) 등을 각 마디에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에서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는 음악 장르별 일정 개수의 마디에 대한 코드 진행 패턴(710,720,730)과 각 코드 진행 패턴에 대한 가중치(712,722,7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를 클래식 음악의 자동 작곡에 적용할 경우,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는 클래식 음악에 대한 다양한 코드 진행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m, Dm, C 등 다양한 코드를 코드1, 코드2, 코드3 등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 예는 4마디의 코드 진행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는 2마디, 8마디 등 다양한 개수의 마디에 대한 코드 진행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는 코드패턴을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코드패턴을 직접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동작곡장치(100)는 악보 데이터(예를 들어, MIDI 규격 등)를 입력받으면, 악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일정 마디의 코드 진행 패턴을 파악하고, 파악한 코드패턴을 코드패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10)는 음악 장르별 멜로디의 한 마디 리듬패턴(810,820)과 이에 대한 가중치(812,822)를 저장한다. 리듬패턴(810,820)은 다양한 길이를 가진 음의 배치를 의미한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10)는 사용자에 의해 구축되거나, 자동작곡장치(100)에 의해 자동으로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작곡장치(100)는 악보 데이터를 자동 분석하여 각 마디의 리듬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20)는 음악 장르별 마디의 반복 패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반복구조패턴(910,920,930)은 AAAA', AAAB, AABA 등 다양하다. A,B는 서로 다른 마디를 의미하고, A' 마디는 A 마디를 일부 변형한 마디를 의미한다.
본 실시 예는 4마디의 배치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20)는 2마디, 8마디 등 다양한 마디의 배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20)는 자동작곡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작곡장치(100)는 악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마디의 리듬패턴이 어떻게 배치되었는지 파악하고 파악된 반복구조패턴을 반복구조패턴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반복구조패턴(910,920,930)은 각 반복패턴에 대한 가중치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와 리듬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복구조패턴이 AAAA'(910)이고, 코드패턴과 리듬패턴이 각각 코드패턴2(720)와 리듬패턴1(810)인 경우에(1010), 각 마디(1000)에 코드1, 코드4, 코드5, 코드1이 배치되고 또한 각 마디에 동일한 리듬패턴1(810)이 배치된다. 다만 A'이 배치된 네 번째 마디는 음의 높이 일부가 A가 배치된 앞의 세 마디와 다르게 변형된다. A' 마디를 위한 음 변형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다시 설명한다.
반복구조패턴 AAAB(920)가 선택된 경우에(1020), 서로 다른 종류의 마디가 2개이므로, 코드패턴1과 서로 다른 두 개의 리듬패턴(즉, 리듬패턴1(810) 및 리듬패턴2(820))이 선택된다. 각 마디에 코드패턴1의 코드1, 코드2, 코드3, 코드4가 배치된다. 또한, A가 배치된 앞의 세 마디에는 리듬패턴1(810)이 배치되고, B가 배치된 네 번째 마디에는 리듬패턴2(820)가 배치된다. 즉, A와 B에 해당하는 각 마디에 서로 다른 리듬패턴이 배치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 높이 결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음악생성부(130)의 톤선택부(650)는 각 마디에 속한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코드톤 또는 논코드톤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톤선택부(650)는 리듬패턴1(810)에 대해,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음은 코드톤(1110)으로 선택하고, 세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음은 논코드톤(1120)으로 선택한다.
도 10의 첫 번째 예(1010)의 1~3번째 마디는 모두 동일한 마디(즉, A에 해당)이므로, 톤선택부(650)는 세 마디 모두의 리듬패턴에 대해 동일한 형태로 코드톤(1110) 및 논코드톤(1120)을 선택한다. 다시 말해, 세 마디 모두, 1,2,4번째 음은 코드톤(1110), 3,5,6번째 음은 논코드톤(1120)으로 선택한다.
톤선택부(650)는 음이 코드톤(1110)이면 해당 마디에 할당된 코드음을 기초로 음 높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예에서, 첫 번째 마디에 할당된 코드1이 C 코드이면, 톤선택부(650)는 1,2,4번째 음의 높이를 C코드음 '도,미,솔' 중에서 임의 선택한다. 톤선택부(650)는 첫 번째 음을 '도', 두 번째 음을 '솔', 세 번째 음을 한 옥타브 높은 '미'로 선택할 수 있다. 두 번째 마디에 할당된 코드4가 D코드이면, 톤선택부(650)는 1,2,4번째 음의 높이를 D코드음 '레,파,라' 중에서 임의 선택한다.
톤선택부(650)는 음이 논코드톤(1120)이면 코드와 무관하게 음의 높이를 선택한다. 다만, 논코드톤(1120)이 코드톤(1110) 다음에 위치하는 경우에 부적합한 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화성학 관점에서 적절하게 음 높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리듬패턴1(810)의 3번째 음은 코드톤(1110) 다음에 위치한 논코드톤(1120)이므로, 톤선택부(650)는 경과음, 보조음, 계류음, 전타음, 선행음, 이탈음, 지속중 중에 어느 하나를 3번째 음의 높이로 결정한다.
도 10의 첫 번째 예(1010)에서 A'에 해당하는 네 번째 마디는 A에 해당하는 마디와 일부 다르게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톤선택부(650)는 1~3번째 마디의 각 리듬패턴의 음 높이 선택방법과 동일한 방법(즉, 코드톤과 논코드톤을 동일 형태로 적용)으로 4번째 마디의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선택한 후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 또는 2개)의 음 높이를 추가 변형한다. A' 마디를 위해 추가 변형되는 음의 위치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2의 두 번째 예(1020)에서 B가 배치된 네 번째 마디의 리듬패턴은 앞의 세 마디의 리듬패턴과 다르다. 즉, A 마디에는 리듬패턴1(810)이 배치되고 B 마디에는 리듬패턴2(820)가 배치되어 있다. 톤선택부(650)는 A 마디와 B 마디에 대해 서로 다른 형태로 코드톤과 논코드톤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A에 해당하는 1~3번째 마디의 리듬패턴1(810)에 대해 톤선택부(650)는 도 11과 같이 1,2,4번째 음을 코드톤(1110)으로 지정하고, 3,5,6번째 음을 논코드톤(1120)으로 지정하는 반면, B에 해당하는 4번째 마디의 리듬패턴2(820)에 대해서는 1,3,4,5번째 음을 코드톤, 2,6번째 음을 논코드톤으로 지정할 수 있다. 즉, 반복구조패턴의 서로 다른 마디(즉, A와 B)에 대해, 톤선택부(650)는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지정 위치 또는 지정 개수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반주를 위한 작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32)는 코드반주 위치를 나타내는 다양한 코드리듬패턴(1210,1220)을 포함한다. 코드리듬패턴(1120,1220)은 한 마디를 16등분하고 코드리듬의 연주 위치를 '1'로 표시한다. 코드의 연주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한 마디를 몇 등분으로 나눌지도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한 마디의 코드리듬패턴(1210,1220)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2마디, 4마디 등 코드리듬패턴의 길이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로,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32)는 코드리듬패턴(1210,1220)과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결정된 가중치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패턴배치부(640)는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32)에서 코드리듬패턴(1210,1220)을 임의로 선택하거나, 가중치를 고려하여 코드리듬패턴(1210,1220)을 선택(1230)할 수 있다. 패턴배치부(640)는 선택한 코드리듬패턴을 반복구조패턴(1240)에 따라 배치하고, 또한, 각 마디에 할당된 코드패턴(1250)에 따라 코드음을 배치한다. 코드반주를 위한 코드리듬패턴의 배치에 대한 일 예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패턴배치부(640)는 선택된 코드리듬패턴(1230)에 코드 보이싱(voicing)(1260)을 적용할 수 있다.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32)는 코드 보이싱 패턴을 더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패턴배치부(640)는 코드 보이싱 패턴을 임의 선택한 후 코드 보이싱 패턴에 따라 코드 보이싱(1260)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패턴배치부(640)는 코드 보이싱(1260)을 무작위로 적용할 수 있다.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32)의 코드리듬패턴(1210,1220)은 패드 반주를 위한 리듬 패턴으로 이용될 수 있다. 패드반주는 코드가 바뀌기 전까지 코드의 구성음을 동시에 길에 끌어 연주하여 은은하게 음악을 채우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드리듬패턴의 배치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반복구조패턴 및 코드패턴이 도 10의 첫 번째 예와 동일한 경우이다. 도 12의 코드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32)에서 코드리듬패턴1(1210)이 선택되면, 패턴배치부(640)는 코드리듬패턴1(1210)을 4마디(1300)에 모두 배치한다.
4번째 마디는 A를 일부 변형한 마디 A'이므로, 패턴배치부(640)는 코드리듬패턴1(1210)의 일부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패턴배치부(640)는 코드리듬패턴1(1210)의 일부에 대한 연주 위치 변경(1320), 연주 위치 삭제(1322), 또는 연주 위치 추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마디를 위해 코드리듬패턴1(1210)을 변경되는 위치 및 개수는 미리 정의되어 있으나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톤선택부(650)는 첫 번째 마디에 코드1의 코드음을 코드리듬패턴에 맞추어 배치하고, 두 번째 마디에 코드4의 코드음을 코드리듬패턴에 맞추어 배치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체 마디에 코드반주를 위한 코드음을 배치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르페지오 리듬패턴과 베이스 리듬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아르페지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36)와 베이스 리듬패턴 데이터베이스(634)는 각 연주 위치를 나타내는 패턴(1400,1410)을 포함한다.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400)은 연주 위치를 '1'로 나타내고, 베이스 리듬패턴(1410)은 연주 위치를 '1' 이상의 정수로 나타낸다.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400)과 베이스 리듬패턴(1410)은 한 마디를 8등분하고 연주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한 마디를 몇 등분할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베이스 리듬패턴(1410)에서 숫자 크기는 음의 상대적 높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은 코드의 시작음을 나타내고, '5'는 코드의 시작음으로부터 상대적으로 5도 높은 음을 나타낸다.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400)과 베이스 리듬패턴(1410)은 도 13에서 살핀 코드리듬패턴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마디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반복구조패턴이 AAAA'(910)이면,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400)과 베이스 리듬패턴(1410)을 4마디에 동일하게 배치하되, A'마디에 속한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400)과 베이스 리듬패턴(1410)은 그 일부를 변형한다. 예를 들어, A'마디에 속한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400)과 베이스 리듬패턴(1410)의 일부의 연주위치의 변경, 추가, 삭제를 통해 변형할 수 있다.
톤선택부(650)는 아르페지오 리듬패턴(1400)에서 연주되는 위치의 음을 주로 코드톤으로 배치한다. 일부 음은 코드톤과 반음관계로 부딪히지 않는 조성 내의 논코드톤인 경과음으로 배치한다. 논코드톤으로 배치되는 음의 위치 및 개수는 미리 정의되거나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드럼패턴 데이터베이스(638)는 드럼의 악기소리를 녹음한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패턴배치부(640)는 드럼패턴 데이터베이스(638)에서 드럼 패턴을 임의 선택한 후 이를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복수의 마디에 배치한다. 예를 들어, 반복구조패턴이 AAAA'(910)이면, 하나의 드럼패턴이 선택되고, 반복구조패턴이 AAAB(920)이면, 두 개의 서로 다른 드럼패턴이 선택된다. A' 마디의 드럼패턴과 A 마디의 드럼패턴은 별도 변형 없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자동작곡장치는 센서를 통해 밝기나 소리 등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한다(S1500). 자동작곡장치는 수집한 환경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환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1510). 주변 환경 센싱을 통해 복수의 환경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자동작곡장치는 파악된 환경모드에 따라 다음 재생 곡을 선택하거나 자동 작곡한다(S1520). 환경모드별 재생리스트를 이용하여 다음 재생 곡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가 3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피드백을 기초로 작곡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자동 작곡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4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작곡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음악생성부(130)는 반복구조패턴, 코드패턴, 리듬패턴을 선택한다(S1600,1610). 음악생성부(130)는 반복구조패턴, 코드패턴 및 리듬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중치를 기초로 선택할 수 있다.
음악생성부(130)는 선택한 코드패턴 및 리듬패턴을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복수의 마디에 배치한다(S1620). 그리고 음악생성부(130)는 각 마디의 리듬패턴의 음 높이를 코드톤 또는 논코드톤으로 선택한다(S1630).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작곡 템플릿의 멜로디 부분의 작곡이 완료되면, 음악생성부(130)는 실시 예에 따라 반주부분 등을 위한 작곡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반주부분 등의 작곡 방법은 도 12 내지 도 14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작곡 템플릿의 각 요소에 대한 작곡이 완료되면, 음악생성부(130)는 악기 샘플음을 이용하여 자동 작곡된 각 음의 길이 및 높이에 맞도록 악기음을 생성하여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밝기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싱부;
    상기 환경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환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및
    선택된 환경모드에 따라 재생 곡을 선택하거나 작곡하는 음악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환경모드에 따라 무드등의 색상 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를 통해 파악된 소리의 크기를 기초로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현재 재생되는 곡에 대한 선호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피드백부; 및
    상기 선호도를 기초로 현재 재생되는 곡의 코드 패턴, 리듬 패턴, 멜로디, 빠르기 및 반주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곡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악생성부는 상기 환경모드에 따라 곡의 장르를 선택하거나, 상기 작곡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기초로 선택된 장르에서 다음 재생 곡을 자동 작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결정부는,
    환경모드별로 가중치를 독립적으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생성부는,
    복수 개의 코드패턴 및 복수 개의 리듬패턴 중 가중치에 따른 추출 확률을 기초로 코드패턴 및 리듬패턴을 추출하고, 임의 선택한 반복구조패턴의 각 마디에 상기 코드패턴 및 리듬패턴을 배치하는 패턴배치부; 및
    각 마디의 리듬패턴의 일부를 해당 마디에 부여된 코드에 따른 음 높이를 가지는 코드톤으로 선택하고, 나머지를 코드와 무관한 음 높이를 가지는 논코드톤으로 선택하는 톤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톤선택부는,
    선택된 환경모드 또는 상기 선호도에 따라 코드톤과 논코드톤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배치부는,
    연주 위치를 나타내는 코드리듬패턴, 베이스리듬패턴 또는 아르페지오리듬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코드리듬패턴, 베이스리듬패턴 또는 아르페지오리듬패턴을 가중치에 따른 추출 확률을 기초로 추출하고, 상기 반복구조패턴에 따라 코드리듬패턴, 베이스패턴 또는 아프레지오패턴을 반복 배치, 일부 변형 배치 또는 서로 다르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자동 작곡된 곡의 멜로디, 아프페지오, 코드반주 및 리듬루프를 연주하는 악기음의 출현빈도를 선택된 환경모드 또는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는 악기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작곡장치.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밝기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환경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환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환경모드에 따라 다음 재생 곡을 선택하거나 작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 기반의 자동작곡방법.
  11. 제 10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90047524A 2019-04-23 2019-04-23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 KR10224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24A KR102240872B1 (ko) 2019-04-23 2019-04-23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24A KR102240872B1 (ko) 2019-04-23 2019-04-23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089A true KR20200124089A (ko) 2020-11-02
KR102240872B1 KR102240872B1 (ko) 2021-04-16

Family

ID=7339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24A KR102240872B1 (ko) 2019-04-23 2019-04-23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8872A (zh) * 2024-01-04 2024-02-06 深圳瑞利声学技术股份有限公司 灯光信号律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267A (ja) * 1997-11-26 1999-06-18 Yamaha Corp 自動作曲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20140052282A1 (en) * 2012-08-17 2014-02-20 Be Labs, Llc Music generator
KR20160121879A (ko) * 2015-04-13 2016-10-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멜로디 자동 생성 방법 및 멜로디 자동 생성 시스템
WO2018002650A1 (en) * 2016-06-30 2018-01-04 Lifescore Limi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ular compositions
KR101854706B1 (ko) 2017-01-20 2018-05-08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267A (ja) * 1997-11-26 1999-06-18 Yamaha Corp 自動作曲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20140052282A1 (en) * 2012-08-17 2014-02-20 Be Labs, Llc Music generator
KR20160121879A (ko) * 2015-04-13 2016-10-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멜로디 자동 생성 방법 및 멜로디 자동 생성 시스템
WO2018002650A1 (en) * 2016-06-30 2018-01-04 Lifescore Limi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ular compositions
KR101854706B1 (ko) 2017-01-20 2018-05-08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8872A (zh) * 2024-01-04 2024-02-06 深圳瑞利声学技术股份有限公司 灯光信号律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528872B (zh) * 2024-01-04 2024-03-29 深圳瑞利声学技术股份有限公司 灯光信号律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872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491B1 (ko) 음악 작곡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658869B1 (ko) 음악생성장치 및 그 운용방법
Johnson-Laird How jazz musicians improvise
Cowell New musical resources
EP27729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usic chords and generation of accompaniment.
CN1136535C (zh) 一种卡拉ok装置及演奏方法
US6576828B2 (en) Automatic com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rhythm pattern characteristics database and setting composition conditions section by section
US10403254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9527779A (ja) 音声データを分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11602193A (zh) 用于处理乐曲的演奏的信息处理方法和装置
JP3698057B2 (ja) 自動アレンジ装置及び方法
KR102240872B1 (ko) 주변 환경 기반의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3549B1 (ko) 음원 생성 방법 및 음원 생성 시스템
JP2011118218A (ja) 自動編曲システム、および、自動編曲方法
JP3780967B2 (ja) 曲データ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69591B1 (ko) 자동작곡장치 및 그 방법
CN114005424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1113895A (ja) 伴奏音生成装置、電子楽器、伴奏音生成方法および伴奏音生成プログラム
JP2018072443A (ja) ハーモニー情報生成装置、ハーモニー情報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ハーモニー情報生成方法
KR102240871B1 (ko) 장난감 사용자의 감정에 따른 음악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0762079B1 (ko) 자동음악 작곡 방법 및 자동음악 작곡 시스템
Guerra Hemiolic Metric Space in Afro-Diasporic Popular Musics
WO2022044646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11842709B1 (en) Chord board musical instrument
Yang et al. MIDI-LAB, a Powerful Visual Basic Program for Creating MIDI Mus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