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061A -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061A
KR20200124061A KR1020190047456A KR20190047456A KR20200124061A KR 20200124061 A KR20200124061 A KR 20200124061A KR 1020190047456 A KR1020190047456 A KR 1020190047456A KR 20190047456 A KR20190047456 A KR 20190047456A KR 20200124061 A KR20200124061 A KR 20200124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skin
sodium
oxyethylene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457B1 (ko
Inventor
김영호
조희경
양진아
박보은
이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to KR102019004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45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와 동시에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0.001 내지 10.00중량%의 Vitamin P4(Troxerutin, 트록세루틴)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유효성분의 피부투과가 증가되고, 피부 자극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에멀젼,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ACTIVE INGREDIENT OF ENHANCED SKIN PERMEABILITY AND REINFORCING SKIN BLOOD VESSEL}
본 발명은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와 동시에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0.001 내지 10.0중량%의 비타민 P4(Vitamin P4)인 트록세루틴(Troxerutin)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유효성분의 피부투과가 증가되고, 피부 자극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에멀젼, 크림, 에센스 등에 이용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가 그 효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피부의 최외각 층인 각질층을 통과하여야 한다. 그러나, 각질층의 소수성 다중구조 및 피부 장벽 기능으로 인하여 화장료에 포함된 피부 개선성분이 그 효능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고농도의 농도확산적 방식을 선택할 경우, 고농도에 의한 피부 자극을 유발하게 되고, 홍반 및 피부 자극 등이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적은 양의 피부개선물질인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화장료에 첨가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피부 투과 촉진 물질 및 전달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피부투과 촉진 물질 및 전달기술은 세포간 지질 이중층에 작용하거나, 세포간 결합에 관여하는 데스모좀(Desmosome) 및 이와 관련된 단백질에 작용하며, 더불어 각질세포 내부 구조에 직접 작용하는 기작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방식은 필연적으로 피부 최외각층의 각질층의 구조를 변경시켜 생리 활성 물질의 피부 투과를 촉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세포 독성이 높고, 피부 부작용인 작열감 및 홍반 등의 피부 자극유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개선하고자, 종래 기술로는 마이크로니들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피부 각질층에 미세한 구멍을 내어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피부 통증과 마이크로니들에 탑재할 수 있는 소재의 한정성이 있다. 또한, pH 감응성 또는 온도 감응성, 빛 감응성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제의 약학 조성물이 시도되고 있으나, 기존의 화장품에서 중요한 심미적인 사용감을 구현할 수 없어 제품화에 한계성이 있으며, 리포좀, 니오좀, 프로테인등을 이용한 여러 시도가 있으나 유효성분의 탑재가 어려우며, 그 비용이 매우 높아 제품화에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4760호에서 흡수속도를 개선한 마이크로니들 시스템에 관한 온열감을 부여하여 유용한 활성 성분의 피부 흡수 속도가 개선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또는 마이크로니들 키트를 제공하고 있지만, 마이크로니들에 탑재할 수 있는 소재의 한정성이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와 동시에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적은 양의 피부개선물질을 안정적으로 화장료에 첨가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피부 투과 촉진 물질 및 전달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4760호(출원일: 2013.11.13)
Blasig et al., Biomedica biochimica acta 47(10-11):S252-5; Feb. 1988. Budzianowski et al., Phytother Res.13(2):166-8; Mar. 1999. Lu et al., Brain, Volume 134, Issue 3, Pages 783-797, March 2011.
본원은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종래기술 과제인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적은 양의 피부개선물질을 안정적으로 화장료에 첨가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일 측면은, Vitamin P4(Troxerutin)을 함유하는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혈관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의 Vitamin P4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다른 일 측면은,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피부에 안전한 Vitamin P4를 이용하여 피부 친화적이고, 피부 자극이 매우 낮으며, 다른 종류의 Vitamin B,C,D,E 등의 피부 투과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소수성 유효성분과 친수성 유효성분 모두의 피부 침투력을 증가시켜, 피부에 효과적인 농도의 유효성분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거대분자에 적용하여도 통증이나 자극 등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Vitamin P4를 의약품에 적용 시 피부 혈관을 강화하여 하지정맥류를 개선하고, 안점막 내의 혈관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매우 안전하여 유효성분의 침투 증대와 동시에 적용부위의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장점을 동시에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측면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의 비타민 P4(Vitamin P4)를 포함하고, DNA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비타민 P4는 0.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P4는 트록세루틴(Troxerutin)이라고 하며, 괴화나무(Sophora japonica) 등의 식물 등에서 추출하여 얻어낼 수 있다.
트록세루틴은 아래의 화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가장 안정적인 바이오 플라보노이드 중 하나인 트록세루틴은 염증과 알러지를 유발하는 리폭시게나아제를 억제하고, 염증 매개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lasig et al., 1988). 또한, 트록세루틴은 모세혈관 저항력을 조절함으로써 건강한 혈액과 림프의 미세순환을 도움으로써 피부를 안정화시키는 역할(Budzianowski et al., 1999)을 하며, 피부 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해 유래되는 세포사, 세포 이동 제한, 성장 중지, DNA 손상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Lu et al., 2011).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P4는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비타민 P4의 ?t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율이 현저히 낮아져 뚜렷한 효과가 나타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10.00 중량%를 초과하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의 안정화에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테아플라빈 및 테아루비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유효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킬 수 있다.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피부보호 및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모공 수축, 피부 보호,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피부자극 완화, 피부 세포 증식 및 재생능, 항산화능, 콜라겐 합성 증진 등의 다양한 기작에 대한 효과를 가진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DNA는 염 형태의 DNA이며, 바람직하게는 소듐 DNA(Sodium DNA), 마그네슘 DNA(Magnesium DNA), 칼슘 DNA(Calcium DNA) 및 포타슘 DNA(Potassium DN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DNA는 소듐 디엔에이 (Sodium DNA), 마그네슘 디엔에이 (Magnesium DNA), 칼슘 디엔에이 (Calcium DNA), 포타슘 디엔에이 (Potassium DNA), 소듐스테아로일 디엔에이(sodium stearoyl DNA), 알지닌 디엔에이(arginine DNA), 시스테인 디엔에이(cysteine DNA), 히스티틴 디엔에이(histidine DNA), 하이드롤라이즈드 소듐 디엔에이(hydrolyzed sodium DNA), 카퍼 디엔에이(copper DNA), 소듐 디엔에이/알엔에이(sodium DNA/RNA), 징크 디엔에이(zinc DNA), 라이신 디엔에이(lysine DNA), 디엔에이(DNA), 하이드롤라이즈드 디엔에이(hydrolyzed DNA)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소듐 DNA는 피부 컨디셔닝제로서,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활력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준다. 더하여, 본 발명의 소듐 DNA는 바람직한 함량범위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소듐 DNA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미만 포함될 경우, 피부 관리에 대한 효과가 미비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10.0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피부에 모두 흡수 되지 않아 피부관리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및 양친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60), 폴리(옥시에틸렌)[POE]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팔미틸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헥사데실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릴 에테르, 수크로스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이소세테스-20, 소디움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디움 메틸 올레오일 타우레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및 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하여 이용 가능한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아민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4 차 암모늄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Ampholytic) 계면활성제, 예컨대 아미노카르복실레이트 양성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베타인 양성 계면활성제, 술페이트 양성 계면활성제, 술폰산 양성 계면활성제들이 있으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카르복실레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술포네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술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포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있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에테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에테르 에스테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에스테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블록 중합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질소 함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으며,
양친성 계면활성제는 이미다졸린(Imidazoline), 베타인(Betaines), 술포베타인(Sulfobetaines), 아미노 엑시드(Amino acid), 레시틴(Lecithins)등이 있고,
기타계면활성제로는 예컨대 천연 계면활성제,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유도된 계면활성제, 중합체성 계면활성제, 티탄 및 규소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플루오로카본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 Tween-80)은 올리브유에서 추출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될 때 세정력, 기포력, 유화력, 분산력, 침투력 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은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계면활성제를 0.001 중량% 미만 포함할 경우, 세정력, 기포력, 유화력, 분산력, 침투력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10.0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사용감 및 제형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어도 비타민 P4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P4와 소듐 DNA 또는 비타민 P4와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P4, 소듐 DNA 및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구성으로 인하여 시너지 효과를 가진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의 종류는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자외선 차단제, 클렌징제, 파운데이션, 립스틱, 립 글로스, 립 틴트,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섀도우, 마스크 팩 및 패치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트록세루틴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담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원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원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본원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각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형광물질) 2.00중량%를 포함하여 실험 관측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은 비타민 P4 0.50중량%,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 2.00중량%, 소듐 DNA 0.50중량%, 증류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비타민 P4 0.50중량%,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 2.00중량%, 소듐 DNA 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비타민 P4 0.50중량%, 소듐 DNA 0.50중량%을 포함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소듐 DNA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비타민 P4 0.50중량%,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 2.00중량%을 포함한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비타민 P4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비타민 P4 0.50중량%을 포함한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비타민 P4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트윈-80 2.00중량%, 소듐 DNA 0.50중량%을 포함한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각 성분에 대한 것이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타민 P4(Troxerutin) 0.50% 0.50% 0.50% 0.50% -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 2.00% - 2.00% - 2.00%
소듐 DNA 0.50% 0.50% - - 0.50%
소듐 히알루로네이트(형광물질) 2.00% 2.00% 2.00% 2.00% 2.00%
증류수 95.00% 97.00% 95.50% 97.50% 95.50%
*상기 구성 성분의 수치는 전체 중량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침투 깊이, 피부 자극 및 단회성 첩포에 따른 홍반 발생 평가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침투 깊이, 피부 자극 및 단회성 첩포에 따른 홍반 발생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1]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침투 깊이 평가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침투 깊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7000 Da(Dalton, 달톤)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를 형광물질로 라벨링하여 피부투과시험에 사용하였다.
Han's Biomed에서 구입한 Human Cadaver skin을 영하 75℃에 보관하며 사용직전에 자연 해동하여 사용하였다. pH 7.4 인산완충용액을 Diffusion Franz Cell에 채워서 사용하였고, 체온과 동일하게 37.5℃로 설정하였다. Diffusion Franz Cell의 윗면에 적정한 크기의 Human Cadaver skin을 올린 후 Franz cell의 덮게로 덮고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Human Cadaver skin 위에 시험하고자 하는 점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적재하고 뚜겅을 씌운 후 아래쪽 인산완충용액내의 기포를 깨끗하게 제거하고 50rpm의 일정한 속도로 저어주면서 투과시험을 시작하며 0.5h, 1h, 3h, 5h, 8h 경과 후에 각각 스킨 시료를 채취하였다. 각각 시료 채취 시간에 채취한 피부 조직은 abion사에서 전처리 하여 슬라이드로 샘플을 만들었고, 이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피부조직에 침투한 형광물질을 촬영하였다.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는 형광물질(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피부침투시험 결과에 대한 것으로 표피로부터 피부 침투 깊이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결과 값의 수치는 표피로부터 피부 속 μm의 깊이를 의미한다.
경과 시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0.50h 6 ~10 6~9 6~11 6~8 2~3
1.00h 12~16 11~16 9~12 10~15 5~7
3.00h 13~17 12~15 12~16 14~17 4~8
5.00h 15~21 18~22 17~24 16~23 7~8
8.00h 20~25 19~23 22~26 21~23 9~8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비타민 P4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 는 비타민 P4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짧은 시간 안에 월등히 우수한 피부 침투 깊이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자극 평가 결과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피부 자극 평가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30대의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 0.1g을 각각 손등에 도포하고, 30분 후 도포한 부위의 따가움, 화끈거림 등 자극감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3은 피부 자극 평가기준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피부자극 평가 결과표이다.
<피부자극 평가 기준>
피부자극 평가기준으로 1에서 5까지 단계를 정하였으며,
1=무자극, 2=저자극, 3=자극 보통, 4=자극 강함, 5=자극 심함을 의미한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24시간 첩포 1.00 1.00 2.00 1.50 1.50
48시간 첩포 1.00 1.00 2.00 1.50 1.50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비타민 P4,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 소듐 DNA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은 피부 자극이 없었다. 반면, 비타민 P4와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을 포함하고, 소듐 DNA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 3은 피부 자극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을 48시간 단회성 첩포하였을 때 관찰한 홍반 발생 결과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홍반 발생 결과를 하기 위하여, 성인남녀의 등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 0.1g을 도포하고 48시간 동안 폐쇄하며, 첩포를 제거 한 후에는 마킹펜(skin marker)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고 첩포제거 30분 후에 확대경 아래서 피부를 반응 관찰하였다.
하기 표 4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홍반 발생유무 결과표이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홍반 발생유무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은 모두 홍반이 관측되지 않았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0중량%의 비타민 P4(Vitamin P4)를 포함하고,
    DNA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NA는 염 형태의 DNA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및 양친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 형태의 DNA는 소듐 디엔에이 (Sodium DNA), 마그네슘 디엔에이 (Magnesium DNA), 칼슘 디엔에이 (Calcium DNA), 포타슘 디엔에이 (Potassium DNA), 소듐스테아로일 디엔에이(sodium stearoyl DNA), 알지닌 디엔에이(arginine DNA), 시스테인 디엔에이(cysteine DNA), 히스티틴 디엔에이(histidine DNA), 하이드롤라이즈드 소듐 디엔에이(hydrolyzed sodium DNA), 카퍼 디엔에이(copper DNA), 소듐 디엔에이/알엔에이(sodium DNA/RNA), 징크 디엔에이(zinc DNA), 라이신 디엔에이(lysine DNA), 디엔에이(DNA), 하이드롤라이즈드 디엔에이(hydrolyzed DN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60), 폴리(옥시에틸렌)[POE]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팔미틸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헥사데실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릴 에테르, 수크로스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이소세테스-20, 소디움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디움 메틸 올레오일 타우레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및 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DNA(Sodium DNA)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0중량% 포함하며,
    상기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80)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자외선 차단제, 클렌징제, 파운데이션, 립스틱, 립 글로스, 립 틴트,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섀도우, 마스크 팩 및 패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화장품.
KR1020190047456A 2019-04-23 2019-04-23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3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56A KR102253457B1 (ko) 2019-04-23 2019-04-23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56A KR102253457B1 (ko) 2019-04-23 2019-04-23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061A true KR20200124061A (ko) 2020-11-02
KR102253457B1 KR102253457B1 (ko) 2021-05-18

Family

ID=7339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456A KR102253457B1 (ko) 2019-04-23 2019-04-23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4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9475A (ja) * 2004-08-27 2006-04-06 Anges Mg Inc 核酸皮膚外用製剤
KR101574760B1 (ko) 2013-11-13 2015-1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흡수속도를 개선한 마이크로니들 시스템
KR20160044734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트록세루틴 함유 니오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2653A (ko) * 2015-08-10 2018-03-30 에보닉 슐뤼히테른 게엠베하 양으로 하전된 당 유화제 기반의 피부 침투성 전달 시스템
CN109568231A (zh) * 2018-12-30 2019-04-05 广州瑞誉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可祛红血丝的肤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9475A (ja) * 2004-08-27 2006-04-06 Anges Mg Inc 核酸皮膚外用製剤
KR101574760B1 (ko) 2013-11-13 2015-1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흡수속도를 개선한 마이크로니들 시스템
KR20160044734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트록세루틴 함유 니오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2653A (ko) * 2015-08-10 2018-03-30 에보닉 슐뤼히테른 게엠베하 양으로 하전된 당 유화제 기반의 피부 침투성 전달 시스템
CN109568231A (zh) * 2018-12-30 2019-04-05 广州瑞誉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可祛红血丝的肤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lasig et al., Biomedica biochimica acta 47(10-11):S252-5; Feb. 1988.
Budzianowski et al., Phytother Res.13(2):166-8; Mar. 1999.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s (2016) 251, 34-44 *
Journal of Dermatological Treatment (2002) 13, 133-141* *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Biology (2015), 153, 137-144 *
Lu et al., Brain, Volume 134, Issue 3, Pages 783-797, March 20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457B1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005B1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4254315B (zh) 包含环氧烷衍生物和n‑酰基氨基酸化合物的化妆品组合物
US8808761B2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TW200902082A (en) Useful vesicle for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skin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vesicle
KR20120003178A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479141B1 (ko)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204090A1 (ko) 필러와 보틀리눔 독소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노화 개선 또는 신경근육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
CN107151275A (zh) 茶多糖提取物及其在皮肤外用剂中的应用
US20210369583A1 (en) Compositions for providing skin care benefits and methods of use
ES2359718T3 (es) Composición no terapéutica de dos polisacáridos a base de fucosa y de ramnosa.
KR101592307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147137A1 (ja) セラミド配合外用剤組成物
KR20110057815A (ko) 버터류 포함 조성물 안정용 조성물
KR102253457B1 (ko) 유효성분의 피부투과율 증가 및 피부 혈관을 강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3793A (ko)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ES2606233T3 (es)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la rosácea que comprende quitosano y una amida de ácido dicarboxílico
JP3857181B2 (ja) 敏感肌用の皮膚外用剤
KR102086316B1 (ko) 경피흡수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47589B1 (ko) 모루셀라 추출물 및 께묵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113A (ko) 천연 추출물과 천연오일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30178A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JP2004051561A (ja) 皮膚化粧料組成物
KR20200065273A (ko) 액상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