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348A - 전압 제너레이터 - Google Patents

전압 제너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348A
KR20200123348A KR1020190046023A KR20190046023A KR20200123348A KR 20200123348 A KR20200123348 A KR 20200123348A KR 1020190046023 A KR1020190046023 A KR 1020190046023A KR 20190046023 A KR20190046023 A KR 20190046023A KR 20200123348 A KR20200123348 A KR 20200123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pacitor
resistor
transis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287B1 (ko
Inventor
타카히코 사토
Original Assignee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04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28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including two stages of regulation at least one of which is output level responsive, e.g. coarse and fine regul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1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an operational amplifier as final control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 전압의 안정 시간 및 오버 슈트, 언더 슈트 전압의 폭을 축소할 수 있는 전압 제너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압 제너레이터는, 기준 전압에 근거해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압 레귤레이터와, 인에이블 신호에 근거해 인에이블 모드 또는 디스에이블 모드로 동작하고, 제2 전압 레귤레이터가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할 때 기준 전압에 근거해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전압 레귤레이터와,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제2 전압 레귤레이터를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할 때,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가 제2 전압 레귤레이터의 피드백 전압을 기준 전압에 가까운 초기 전압값으로 하여, 제2 전압 레귤레이터의 피드백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빠르게 고정 가능하게 해서, 출력 전압의 안정 시간 및 오버 슈트, 언더 슈트 전압을 축소한다.

Description

전압 제너레이터{VOLTAGE GENERATOR}
본 발명은, 전압 제너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압 제너레이터(500c)의 회로 설명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전압 레귤레이터(505c)가 인에이블 신호(ven)에 의해 디스에이블 모드(disable mode)에서 인에이블 모드(enable mode)로 절환된 후, 제2 전압 레귤레이터(505c)의 피드백 전압(vfb)은, 다시 기준 전압(vref)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고,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ref)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일정 길이의 시간(tc)(안정 시간(settling time)으로 칭한다)은, 도 6에 도시한 대로이다. 이 안정 시간은, 부하(506)의 일정 시간 길이의 작업을 불안정하게 해서, 작업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출력 전압의 안정 시간 및 오버 슈트(overshoot), 언더 슈트(undershoot) 전압의 폭을 축소할 수 있는 전압 제너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기준 전압에 근거해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압 레귤레이터와, 제2 전압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는, 인에이블 신호에 근거해 인에이블 모드 또는 디스에이블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가 상기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기준 전압에 근거해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출력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는, 상기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한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과의 차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 전압까지 출력하는 오차 증폭기와, 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해, 상기 피드백 전압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와,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근거해, 상기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상기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切換)된 후의 초기 시간 구간에서, 상기 피드백 전압의 전압값을 초기 전압값으로 하고, 제1 콘덴서, 제2 콘덴서 및 제1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덴서, 상기 제2 콘덴서 및 상기 제1 저항기가 상기 분압 회로의 일단(一端)과 접지 단자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또한 상기 초기 전압값이 상기 제1 콘덴서의 용량값에 반비례하는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전압 제너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 형태는, 제1 콘덴서, 제2 콘덴서, 제3 콘덴서, 제1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 및 제1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콘덴서, 상기 제3 콘덴서 및 상기 제1 저항기가 상기 분압 회로의 일단과 접지 단자와의 사이에 서로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 제어되고, 상기 제1 콘덴서의 일단을 상기 접지 단자 또는 상기 분압 회로에 결합시키고, 또한 상기 초기 전압값이 상기 제1 콘덴서의 용량값에 반비례하는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전압 제너레이터를 제공한다.
상기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전압 제너레이터에 따르면,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된 후의 초기 전압값이 기준 전압에 가까워져, 피드백 전압이 기준 전압으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비교적 짧은 안정 시간, 비교적 작은 오버 슈트, 언더 슈트 전압을 가지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전압 제너레이터가 저소비 전력 모드에서 비교적 높은 소비 전력 모드로 절환될 때, 출력 전압이 비교적 짧은 안정 시간, 비교적 작은 오버 슈트, 언더 슈트 전압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압 제너레이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압 제너레이터의 각 전압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전압 제너레이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압 제너레이터의 각 전압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압 제너레이터의 회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압 제너레이터의 각 전압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예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압 제너레이터(100a)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압 제너레이터(100a)는, 접지 단자(100), 전원 단자(101), 출력 단자(102),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 기준 전압원(104),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를 포함하고, 그 중의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는,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107a), 오차 증폭기(108), 인버터(109), 인에이블 신호 입력 단자(110), 트랜지스터(P1), 트랜지스터(P2), 트랜지스터(P3), 제1 저항기(R1),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 및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를 포함한다.
상술의 구성 부재의 접속 관계는, 다음과 같다. 기준 전압원(104)의 일단은, 오차 증폭기(108)의 반전 입력 단자 및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의 입력 단자와 접속하고, 기준 전압원(104)의 타단(他端)은, 접지 단자(100)와 접속한다. 오차 증폭기(108)의 인에이블 단자, 트랜지스터(P3)의 제어단 및 인버터(109)의 입력 단자는, 인에이블 신호 입력 단자(110)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P3)의 일단, 트랜지스터(P2)의 제어단은, 오차 증폭기(108)의 출력 단자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P3, P2)의 타단은, 전원 단자(101)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P2)의 일단, 트랜지스터(P1)의 타단 및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의 출력 단자는, 출력 단자(102)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P1)의 제어단은, 인버터(109)의 출력 단자 연접(連接)과 접속한다. 제3 저항기(R3)의 일단, 제2 저항기(R2)의 타단은, 오차 증폭기(108)의 비반전 입력 단자와 접속한다. 제3 저항기(R3)의 타단은, 접지 단자(100)와 접속한다. 제2 저항기(R2)의 일단, 트랜지스터(P1)의 일단은, 제2 콘덴서(C2)의 일단과 접속한다. 제2 콘덴서(C2)의 타단, 제2 저항기(R2)의 타단은, 제1 저항기(R1)의 일단과 접속한다. 제1 저항기(R1)의 타단은, 제1 콘덴서(C1)의 일단과 접속한다. 제1 콘덴서(C1)의 타단은, 접지 단자(100)와 접속한다. 부하(106)의 일단은, 출력 단자(102)와 접속한다. 부하(106)의 타단은, 접지 단자(100)와 접속하고, 전원 단자(101)는, 전원 전압(vdd)과 접속하고, 접지 단자(100)는, 접지 전압과 접속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압 제너레이터(100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고,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2 논리 레벨일 때, 즉, 인에이블 모드일 때, 전압 제너레이터(100a)의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 및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는 기준 전압원(104)이 발생하는 기준 전압(vref)에 근거해, 출력 단자(102)에 접속하는 부하(106)에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한다.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부하(106)가 저소비 전력 모드로 동작할 때, 전압 제너레이터(100a)는,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로 설정되는 것에 의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를 디스에이블 모드로 설정할 수 있어,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 만으로 부하(106)에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하고, 이와 같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의 대기(待機) 전류를 절약해,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한다. 부하(106)가 비교적 높은 소비 전력 모드로 동작할 때, 전압 제너레이터(100a)는,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2 논리 레벨로 설정되는 것에 의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를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하고,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 및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에서 동시에 부하(106)에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하게 한다.
상기의 제1 논리 레벨은, 논리 하이 레벨이어도, 논리 로우 레벨이어도 무방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논리 레벨은, 제1 논리 레벨과 상보적(相補的)인 논리 레벨이다.
전압 제너레이터(100a)는, 하기의 방식에 따라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를 디스에이블 모드로 설정한다. 먼저, 제1 논리 레벨인 인에이블 신호(ven)에 근거해, 오차 증폭기(108)를 디스에이블 모드로 설정하고, 트랜지스터(P3)를 온(ON)으로 하고, 트랜지스터(P1)를 오프(OFF)로 하고, 트랜지스터(P2)를 제어단의 전압 상승에 따라 오프로 해서,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디스에이블 모드의 설정을 완성해,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한다. 주의해야 할 것으로서,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가 디스에이블 모드인 상황에서,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는 여전히 정상으로 동작하고, 즉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는 여전히 부하(106)에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하고, 이때,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즉 제3 저항기(R3)의 양단의 전압이 동일하고, 따라서,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피드백 전압(vfb)은 접지 단자(100)의 접지 전압과 동일하다.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에서 제2 논리 레벨로 절환되고,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가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된 후, 오차 증폭기(108)는 인에이블이 되고, 트랜지스터(P3)가 오프가 되고, 트랜지스터(P1)가 온이 되어, 오차 증폭기(108), 트랜지스터(P2) 및 도 1에 도시한 제1 저항기(R1),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 및 제1 콘덴서(C1), 제2 콘덴서(C2) 등의 회로는, 피드백 전압(vfb)을 초기 전압값(vinia)으로부터 기준 전압(vref)으로 다시 고정하고,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을 제2 논리 레벨로 절환한 후로부터,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ref)으로 고정될 때까지의 과정에 걸리는 시간(ta)을 안정 시간으로 칭하고, 도 2에 도시한 대로이다.
이하,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a)에 대해 분석한다.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에 있을 때(즉, 디스에이블 모드),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107a)의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의 양단의 전압은, 어느 쪽이나 접지 단자(100)의 접지 전압과 동일하고, 따라서, 이때의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는, 어느 쪽도 전하를 축적하지 않는다.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에서 제2 논리 레벨로 절환된 후, 트랜지스터(P1)가 온이 되어, 트랜지스터(P1)를 통해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107a)에 주입된 전하가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에 분배되고,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의 전하의 분배 관계는, 이하의 방정식(1)로 나타낼 수 있고, 방정식(1)로부터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a)이 제1 콘덴서(C1)의 용량값에 반비례하고, 제2 콘덴서(C2)의 용량값에 비례하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방정식(1)로부터 제1 콘덴서(C1), 제2 콘덴서(C2)의 용량값의 설계 방식이,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a)을 기준 전압(vref)에 가깝게 해서,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ref)에 고정될 때까지의 과정의 안정 시간과 오버 슈트, 언더 슈트 전압을 축소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예를 들면, 기준 전압(vref) = 1 볼트(volt, V), 출력 전압(vout) = 3 V일 때,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의 용량값의 비율(C1/C2)은, 실질적으로 2와 같다고 설계할 수 있다.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에서 제2 논리 레벨로 절환된 후,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a)은, 기준 전압(vref) 보다 약간 큰 전압값이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의 부(負)의 피드백 설계에 의해, 오차 증폭기(108)가 피드백 전압(vfb)과 기준 전압(vref)과의 차를 증폭하고, 트랜지스터(P2)의 제어단의 전압을 상승시켜,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에 흐르는 전류를 저하시키고, 따라서, 피드백 전압(vfb)이 강하(降下)하여, 서서히 기준 전압(vref)으로 고정된다.
반면,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a)은, 기준 전압(vref) 보다 약간 작은 전압값이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의 부(負)의 피드백 설계에 의해, 오차 증폭기(108)는, 피드백 전압(vfb)과 기준 전압(vref)과의 차를 증폭하고, 트랜지스터(P2)의 제어단의 전압을 강하시켜,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에 흐르는 전류를 상승시키고, 따라서, 피드백 전압(vfb)이 상승하여, 서서히 기준 전압(vref)으로 고정된다.
언급해 두어야 할 것으로서, 제1 콘덴서(C1)는,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a)을 결정해,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ref)에 빠르게 고정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이외에,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a)의 위상 보상(phase compensation)에 이용할 수도 있고, 따라서, 회로 면적을 감소시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전압 제너레이터(100b)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전압 제너레이터(100a)와 달리, 본 실시 형태의 전압 제너레이터(100b)는, 트랜지스터(P1) 및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107a)를 설치하지 않고, 제3 저항기(R3)와 접지 단자(100)와의 사이에 트랜지스터(N1)를 접속한다. 또한, 제2 저항기(R2)의 양단에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107b)를 접속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의 전압 제너레이터(100a)와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상술의 트랜지스터(N1)의 제어단은, 인에이블 신호 입력 단자(110)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N1)의 일단은, 제3 저항기(R3)의 타단과 접속되고, 트랜지스터(N1)의 타단은, 접지 단자(100)와 접속된다. 상술한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107b)에서, 제2 콘덴서(C2)의 일단은, 제2 저항기(R2)의 일단과 접속되고, 제2 콘덴서(C2)의 타단은, 제2 저항기(R2)의 타단과 접속된다. 제1 저항기(R1)의 일단은, 제2 콘덴서(C2)의 타단과 접속되고, 제1 저항기(R1)의 타단은, 제3 콘덴서(C3)의 일단과 접속된다. 제3 콘덴서(C3)의 타단은, 접지 단자(100)와 접속된다. 트랜지스터(P4)의 제어단, 트랜지스터(N2)의 제어단은, 인버터(109)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P4)의 타단은, 제2 콘덴서(C2)의 타단과 접속되고, 트랜지스터(P4)의 일단은, 트랜지스터(N2)의 일단과 접속되고, 트랜지스터(N2)의 타단은, 접지 단자(100)와 접속된다. 제1 콘덴서(C1)의 일단은, 트랜지스터(N2)의 일단과 접속되고, 제1 콘덴서(C1)의 타단은, 접지 단자(100)와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압 제너레이터(100b)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압 제너레이터(100a)와 같이,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b)을 기준 전압(vref)에 근접하도록 설계하고,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ref)에 고정될 때까지의 과정의 안정 시간 및 발생할 수 있는 오버 슈트, 언더 슈트 전압의 폭을 축소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압 제너레이터(100b)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동시에 참조하고, 인에이블 신호(ven)는, 제2 논리 레벨일 때, 즉, 인에이블 모드일 때, 전압 제너레이터(100b)의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 및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는, 기준 전압원(104)이 발생하는 기준 전압(vref)에 근거해, 출력 단자(102)에 접속된 부하(106)에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한다.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부하(106)가 저소비 전력 모드로 동작할 때, 전압 제너레이터(100b)는,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로 설정되는 것에 의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를 디스에이블 모드로 설정하고,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 만으로 부하(106)에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하고, 이와 같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의 대기 전류를 절약해,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부하(106)가 비교적 높은 소비 전력 모드로 동작할 때, 전압 제너레이터(100b)는,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2 논리 레벨로 설정되는 것에 의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를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하고,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 및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에서 동시에 부하(106)에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압 제너레이터(100b)는, 하기의 방식에 따라,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를 디스에이블 모드로 설정한다. 먼저, 제1 논리 레벨인 인에이블 신호(ven)에 근거해, 오차 증폭기(108)를 디스에이블 모드로 설정하고, 트랜지스터(P3)가 온이 되고, 트랜지스터(N1)가 오프가 되고, 트랜지스터(P2)가 제어 전압의 상승에 따라 오프가 되어,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디스에이블 모드의 설정을 완성해, 전력 절약의 효과를 달성한다. 주의해야 할 것으로서,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가 디스에이블 모드인 상황에서,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는 여전히 정상 동작하고, 즉 제1 전압 레귤레이터(103)는 여전히 부하(106)에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하고, 이때의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즉 제2 저항기(R2)의 양단의 전압이 동일하고, 따라서,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피드백 전압(vfb)은 출력 전압(vout)에 동일하다.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에서 제2 논리 레벨로 절환되고,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를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한 후, 오차 증폭기(108)가 인에이블이 되고, 트랜지스터(P3) 및 트랜지스터(N2)가 오프가 되고, 트랜지스터(N1) 및 트랜지스터(P4)가 온이 되어, 오차 증폭기(108), 트랜지스터(P2) 및 도 3에 도시한 제1 저항기(R1),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 제1 콘덴서(C1), 제2 콘덴서(C2) 및 제3 콘덴서(C3) 등의 회로는, 피드백 전압(vfb)을 초기 전압값(vinib)으로부터 기준 전압(vref)으로 다시 고정하고,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에서 제2 논리 레벨로 절환된 후로부터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ref)에 고정될 때까지의 과정에 걸리는 시간(tb)을 안정 시간으로 칭하고, 도 4에 도시한 대로이다.
이하,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b)에 대해 분석한다.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에 있을 때(즉 디스에이블 모드), 트랜지스터(P4)가 오프가 되고, 트랜지스터(N2)가 온이 되고, 따라서,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107b) 중의 각 콘덴서의 양단의 전압은, 각각 제1 콘덴서(C1)의 양단의 전압이 접지 단자(100)의 접지 전압과 동일하고, 제2 콘덴서(C2)의 양단의 전압이 어느 쪽이나 출력 전압(vout)과 동일하고, 제3 콘덴서(C3)의 일단이 출력 전압(vout)이고, 타단이 접지 단자(100)의 접지 전압이다. 상기 전압의 관계는, 이때의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 중 어느 쪽도 전하를 축적하지 않으며, 제3 콘덴서(C3)가 C3 vout의 전하를 축적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인에이블 신호(ven)는, 제1 논리 레벨에서 제2 논리 레벨로 절환되고, 트랜지스터(P4)가 온이 되고, 트랜지스터(N2)가 오프가 되어, 제3 콘덴서(C3)에 축적된 전하 C3 vout가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에 분배되고, 이때의 제1 콘덴서(C1), 제2 콘덴서(C2) 및 제3 콘덴서(C3)의 전하의 분배 관계는, 이하의 방정식(2)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방정식(2)로부터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b)이 제1 콘덴서(C1)의 용량값에 반비례하고, 제3 콘덴서(C3)의 용량값과 제2 콘덴서(C2)의 용량값과의 차값에 비례하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또한, 방정식(2)로부터 제1 콘덴서∼제3 콘덴서(C1-C3)의 용량값의 설계 방법이,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b)을 기준 전압(vref)에 가깝게 해서,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ref)에 고정될 때까지의 과정의 안정 시간 및 오버 슈트, 언더 슈트 전압을 축소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예를 들면, 기준 전압(vref) = 1 V이며, 출력 전압(vout) = 3 V일 때, 제1 콘덴서∼제3 콘덴서의 용량값의 관계: C1/(C3-C2)가 실질적으로 2와 같다고 설계할 수 있다.
인에이블 신호(ven)가 제1 논리 레벨에서 제2 논리 레벨로 절환된 후,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b)은, 기준 전압(vref)의 전압값 보다 약간 크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의 부(負)의 피드백 설계에 의해, 오차 증폭기(108)는, 피드백 전압(vfb)과 기준 전압(vref)과의 차를 증폭하고, 트랜지스터(P2)의 제어단의 전압을 상승시켜,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에 흐르는 전류를 저하시키고, 따라서, 피드백 전압(vfb)이 강하하여, 서서히 기준 전압(vref)으로 고정된다.
반면,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b)이 기준 전압(vref)의 전압값 보다 약간 작으면,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의 부(負)의 피드백 설계에 의해, 오차 증폭기(108)는, 피드백 전압(vfb)과 기준 전압(vref)과의 차를 증폭하고, 트랜지스터(P2)의 제어단의 전압을 강하시켜, 제2 저항기(R2), 제3 저항기(R3)에 흐르는 전류를 상승시키고, 따라서, 피드백 전압(vfb)이 상승하여 서서히 기준 전압(vref)으로 고정된다.
언급해 두어야 할 것으로서, 제1 콘덴서(C1)는,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vinib)을 결정해, 피드백 전압(vfb)을 비교적 빠르게 기준 전압(vref)에 고정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용되는 이외에, 동시에 제2 전압 레귤레이터(105b)의 위상 보상에 이용할 수도 있고, 따라서, 회로 면적을 축소하고,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를 종합하여, 본 발명의 전압 제너레이터(100a, 100b)는,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된 후의 피드백 전압(vfb)의 초기 전압값을 기준 전압(vref)에 가깝게 해서,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ref)에 고정할 때까지의 과정에서 비교적 짧은 안정 시간과 비교적 작은 오버 슈트, 언더 슈트 전압을 가지게 하고, 따라서, 전압 제너레이터(100a, 100b)가 저소비 전력 모드에서 비교적 높은 소비 전력 모드로 절환될 때, 출력 전압(vout)이 비교적 짧은 안정 시간과 비교적 작은 오버 슈트, 언더 슈트 전압을 가지게 할 수 있다.
100a, 100b, 500c: 전압 제너레이터
100: 접지 단자
101: 전원 단자
102, 502: 출력 단자
103, 503: 제1 전압 레귤레이터
104, 504: 기준 전압원
105a, 105b, 505c: 제2 전압 레귤레이터
106, 506: 부하
107a, 107b: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
108: 오차 증폭기
109: 인버터
110: 인에이블 신호 입력 단자
P1, P2, P3, P4: 트랜지스터
N1, N2: 트랜지스터
R1: 제1 저항기
R2: 제2 저항기
R3: 제3 저항기
C1: 제1 콘덴서
C2: 제2 콘덴서
C3: 제3 콘덴서
ven: 인에이블 신호
vfb: 피드백 전압
vout: 출력 전압
vref: 기준 전압
vinia, vinib: 초기 전압값
vdd: 전원 전압
ta, tb, tc: 안정 시간

Claims (10)

  1. 기준 전압에 근거해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압 레귤레이터와,
    제2 전압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는, 인에이블 신호에 근거해, 인에이블 모드 또는 디스에이블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가 상기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기준 전압에 근거해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출력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는,
    상기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한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과의 차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 전압까지 출력하는 오차 증폭기와,
    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해, 상기 피드백 전압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와,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근거해, 상기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상기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된 후의 초기 시간 구간에서, 상기 피드백 전압의 전압값을 초기 전압값으로 하고, 제1 콘덴서, 제2 콘덴서 및 제1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덴서, 상기 제2 콘덴서 및 상기 제1 저항기가 상기 분압 회로의 일단과 접지 단자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또한 상기 초기 전압값이 상기 제1 콘덴서의 용량값에 반비례하는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
    를 포함하는, 전압 제너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압 회로는, 제2 저항기 및 제3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기 및 상기 제3 저항기는,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전압 제너레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덴서의 일단은, 상기 분압 회로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콘덴서의 타단은, 상기 제1 저항기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저항기 타단은, 상기 제1 콘덴서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콘덴서의 타단은,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전압 제너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전압값은,
    상기 제2 콘덴서의 용량값에 비례하는, 전압 제너레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전압값은, 이하의 식(1)을 만족하고,
    Figure pat00003
    … 식(1)
    vout는 상기 출력 전압이고, C1은 상기 제1 콘덴서의 용량값이고, C2는 상기 제2 콘덴서의 용량값인, 전압 제너레이터.
  6. 기준 전압에 근거해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압 레귤레이터와,
    제2 전압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는, 인에이블 신호에 근거해, 인에이블 모드 또는 디스에이블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가 상기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기준 전압에 근거해 상기 출력 단자에 상기 출력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는,
    상기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한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과의 차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 전압까지 출력하는 오차 증폭기와,
    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해, 상기 피드백 전압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와,
    상기 제2 전압 레귤레이터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근거해, 상기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상기 인에이블 모드로 절환된 후의 초기 시간 구간에서, 상기 피드백 전압의 전압값을 초기 전압값으로 하고, 제1 콘덴서, 제2 콘덴서, 제3 콘덴서, 제1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 및 제1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콘덴서, 상기 제3 콘덴서 및 상기 제1 저항기가 상기 분압 회로의 일단과 접지 단자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 제어되고, 상기 제1 콘덴서의 일단을 상기 접지 단자 또는 상기 분압 회로에 결합시키고, 또한 상기 초기 전압값이 상기 제1 콘덴서의 용량값에 반비례하는 초기 전압 제너레이터
    를 포함하는, 전압 제너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압 회로는, 제2 저항기 및 제3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기 및 상기 제3 저항기는,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와의 사이에 직접 접속되는, 전압 제너레이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덴서의 일단은, 상기 분압 회로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콘덴서의 타단은, 상기 제1 저항기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저항기 타단은, 상기 제3 콘덴서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콘덴서의 타단은,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일단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일단은, 상기 제1 콘덴서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타단 및 상기 제1 콘덴서의 타단은,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타단은, 상기 제2 콘덴서의 타단에 접속되는, 전압 제너레이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전압값은,
    상기 제3 콘덴서의 용량값과 상기 제2 콘덴서의 용량값과의 차에 비례하는, 전압 제너레이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전압값은, 이하의 식(2)를 만족하고,
    Figure pat00004
    … 식(2)
    vout는 상기 출력 전압이고, C1은 상기 제1 콘덴서의 용량값이고, C2는 상기 제2 콘덴서의 용량값이고, C3은 상기 제3 콘덴서의 용량값인, 전압 제너레이터.
KR1020190046023A 2019-04-19 2019-04-19 전압 제너레이터 KR10221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23A KR102215287B1 (ko) 2019-04-19 2019-04-19 전압 제너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23A KR102215287B1 (ko) 2019-04-19 2019-04-19 전압 제너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348A true KR20200123348A (ko) 2020-10-29
KR102215287B1 KR102215287B1 (ko) 2021-02-15

Family

ID=7312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23A KR102215287B1 (ko) 2019-04-19 2019-04-19 전압 제너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2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81A1 (ko) 2020-09-23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13870A (ko) * 2021-02-07 2022-08-17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듀얼 모드 공급 회로 및 방법
US11509224B2 (en) 2021-02-07 2022-11-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ual mode supply circuit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5058A1 (en) * 2002-06-20 2003-12-25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20050025906A (ko) * 2003-09-08 2005-03-14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다출력형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5058A1 (en) * 2002-06-20 2003-12-25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20050025906A (ko) * 2003-09-08 2005-03-14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다출력형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681A1 (ko) 2020-09-23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13870A (ko) * 2021-02-07 2022-08-17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듀얼 모드 공급 회로 및 방법
US11509224B2 (en) 2021-02-07 2022-11-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ual mode supply circuit and method
US11695339B2 (en) 2021-02-07 2023-07-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ual mode supply circuit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287B1 (ko)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391B1 (ko) 전압 레귤레이터
US7106034B2 (en) Voltage regulator circuit with a low quiescent current
KR101194940B1 (ko) 통합된 응용을 위한 ldo 레귤레이터
CN106558987B (zh) 低静态电流线性调节器电路
US8143869B2 (en) Voltage reference circuit with fast enable and disable capabilities
EP2849020B1 (en) A dual mode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KR102215287B1 (ko) 전압 제너레이터
US6617833B1 (en) Self-initialized soft start for Miller compensated regulators
KR100997588B1 (ko) 전압-모드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및 이의 스타트-업 방법
US11029716B1 (en) Providing low power charge pump for integrated circuit
JP2007328680A (ja) 電源回路
CN101896874A (zh) 恒压电路
US9397564B2 (en) DC-DC switching regulator with transconductance boosting
JP6793772B2 (ja) 電圧ジェネレータ
US20230229182A1 (en) Low-dropout regulator for low voltage applications
US7151361B2 (en) Current sensing circuitry for DC-DC converters
JP4935585B2 (ja) 誤差増幅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20160137803A (ko) 로우 드롭 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US20030184268A1 (en) Protection circuit for miller compensated voltage regulators
US11442480B2 (en) Power supply circuit alternately switching between normal operation and sleep operation
CN110574273B (zh) 控制电路以及理想二极管电路
CN110622403B (zh) 电源电路
CN111766914B (zh) 电压产生器
US8987949B1 (en) Linear regulator with multiple outputs and local feedback
JP4412067B2 (ja) 直流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