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030A - 휴대용 독서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030A
KR20200123030A KR1020200047343A KR20200047343A KR20200123030A KR 20200123030 A KR20200123030 A KR 20200123030A KR 1020200047343 A KR1020200047343 A KR 1020200047343A KR 20200047343 A KR20200047343 A KR 20200047343A KR 20200123030 A KR20200123030 A KR 2020012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fastening
receiving groove
pedes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028B1 (ko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김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8382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12303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원 filed Critical 김성원
Publication of KR2020012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030A/ko
Priority to KR102021006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47B23/044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only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023/049Desk stand for laptop compu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 노트북, 태블릿, 핸드폰과 같은 거치물을 거치하고 올바른 자세의 눈높이에 맞게 높이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독서대 {Portable Reading 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을 거치하는 독서대 역할 뿐만 아니라 노트북, 태블릿과 같은 휴대 전자기기 등의 거치물을 거치하고 올바른 자세의 눈높이에 맞게 높이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거치물을 받치는 상판과 상기 거치물이 올려놓아지는 받침대와 상기 상판을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바닥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독서대는 고정식 뿐만 아니라, 접이식으로 받침대, 바닥판 등을 접을 수 있는 구조가 사용되고 있지만, 접이식이라 하더라도 접을 경우 여전히 받침대나 바닥판의 일부가 돌출되어서 부피가 크고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도1 참조) 따라서, 접이식이면서 부피가 작고 가벼운 휴대용 독서대 및 거치대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실안공보 제 20-0463680(“휴대용 접이식 독서대”와 등록특허공보 10-1256024(“접이식 독서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실안공보 제 20-0463680(“휴대용 접이식 독서대”는 종래기술 1로서 접으면 부피가 작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으나 책 뒷면을 받쳐주는 전방지지부재 부분이 약하기때문에 필기 시에 안정감이 부족하고 이로 인해 책장을 잡아주는 책장고정핀이 책장을 제대로 잡아주기 힘들다. 또한 구조상 책장을 넘길 때 책 밑면을 받쳐주는 하단받침부재에 책장이 걸려 찢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256024(“접이식 독서대”는 종래기술 2로서 역시 접었을 때 부피가 작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으나 책 뒷면을 받쳐주는 가이드프레임 부분이 미약하여 필기 시에 안정감이 부족하고, 책의 밑면을 받쳐주는 독서받침대 부분이 띄엄띄엄 형성되어 역시 안정감이 부족하고 책장을 넘길 때 책장이 걸려 찢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구조상 옆에 형성되어 있는 책잡이(누름부)가 제대로 책장을 잡아주기 힘든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한 휴대용독서대의 발명이 시급한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에 결합되는 받침대와 바닥판 유닛을 접이식으로 구성하되, 접혔을 때 상판에서 어떠한 구성도 돌출되는 않는 플랫한 형상을 가지게 되어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독서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독서대는 전면부 하단에 받침대를 수용하는 받침대수용홈을 구비하고, 후면부에 바닥판유닛수용홈을 구비하는 상판과; 상기 받침대수용홈에 인입가능하게 결합된 받침대와;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에 인입가능하게 결합된 바닥판유닛을 포함하고; 휴대 시 상기 받침대가 받침대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바닥판유닛이 바닥판유닛수용홈에 수용되어 전면과 후면이 모두 플랫한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은 상기 상판 후면부의 상기 받침대수용홈 보다 높은 위치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 유닛은 상기 받침대 삽입홈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의 바닥판 유닛수용홈내에 인입가능하게 체결되어 상대적으로 바닥판의 두께를 튼튼하게 형성하여 지지력이 견고하면서도 휴대 시에 플랫하게 접어서 들고 다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수용홈 하단 양 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은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하단 양 측면에 힌지 결합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중단 양 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에 지지되어 상기 상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각도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과 바닥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은 전면판과 후면판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통해 상기 받침대수용홈과 바닥판유닛수용홈이 형성되고; 휴대 시 상기 받침대가 받침대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바닥판유닛이 바닥판유닛수용홈에 수용되어 전면과 후면이 모두 플랫한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 개의 체결체 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체가 서로 끼워져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되거나 상기 체결공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되어 휴대 시 전면과 후면이 모두 플랫한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 양 측면과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하단 양 측면에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힌지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각도지지대가 고정되어 상판이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지지대의 고정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력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바닥판이 상판을 향하여 자동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져 바닥판이 상판 후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탄성힌지 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판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측면 또는 내측면에 상기 체결홈과 결합되는 바닥판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홈과 바닥판 체결돌기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끼워진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판이 상판을 향하여 자동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져 바닥판이 상판 후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홈과 바닥판 체결돌기는 상호 반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과 바닥판 체결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탄성체 일단을 끼워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끼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 중 하나가 힌지 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판수용홈 내측면에 바닥판체결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바닥판체결부재가 안착되어 전면판 또는 후면판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체결부재는 상기 바닥판 측면과 결합되는 체결체와 전면판 또는 후면판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체가 바닥판 측면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통해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고정시켜 바닥판을 전면판 또는 후면판에 체결하여 힌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에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방열 관통공 또는 쿨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는 펼쳤을때 전면에 접거나 펼칠수 있도록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굴곡된 바 형상으로 구성된 책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수용홈은 상기 책잡이가 접힌상태에서 받침대와 함께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받침대가 받침대삽입홈에 인입되어 수용된 경우 상판 전면이 플랫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는 책잡이가 수용되는 책잡이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책잡이 수용홈으로부터 인출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책잡이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책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책잡이는 일단에서 상기 책잡이수용홈과 결합된 제1체결부를 축으로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책잡이와 상기 하부책잡이의 타단과 결합된 제2체결부를 축으로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책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책잡이 수용홈은 상기 책잡이의 형상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독서대는 휴대 시에 튀어나오는 부분이 없이 깔끔하게 접어서 휴대가 가능한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기시에도 안정감있게 책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판 전면 하단의 받침대수용홈보다 높은 위치의 후면 상단에 바닥판유닛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수용홈보다 높은 위치의 바닥판유닛수용홈 측면에 바닥판과 각도지지대를 체결함으로써 지지력이 저하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책 뿐만 아니라, 노트북, 패드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물론 다양한 거치물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상판을 2개로 분리 구성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받침대와 각도지지대 및 바닥판을 2개의 판 사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간단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1은 종래의 접었을 때 돌출되는 부분이 많은 일반독서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을 위해 휴대용 독서대가 펼져진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휴대를 위해 휴대용 독서대가 접힌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의 일 측면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이 2개의 판으로 분리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제 1 구조에 따른 상판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제 2 구조에 따른 상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바닥판 유닛이 체결되는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잡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에 방열을 위한 방열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수용홈 상부에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독서대 상판 전면 하단에 받침대가 들어가는 받침대 삽입홈이 있어 받침대를 인입할 수 있고, 독서대 상판 후면에 바닥판유닛 삽입홈이 형성되어 바닥판유닛을 인입할 수 있어 상기 받침대와 바닥판 유닛이 수용된 경우 플랫한 형상이 되는 휴대용 독서대를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을 위해 휴대용 독서대가 펼져진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휴대를 위해 휴대용 독서대가 접힌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의 일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독서대는 상판의 전면에 받침대수용홈(110)과 후면에 바닥판유닛수용홈(120)이 구비되고, 받침대(20)가 상기 받침대수용홈(110)에 힌지결합에 의한 회동으로 수용 및 인출가능하게 체결되고, 바닥판유닛(30)이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수용 및 인출가능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휴대시에는 상기 받침대(20)가 상기 받침대수용홈(110)에 수용되고, 상기 바닥판유닛(30)이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수용되어 상판의 전면과 후면이 플랫한 형태가 되어 휴대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대가 삽입되는 받침대 수용홈(110)과 후면부의 상기 받침대수용홈(110) 보다 높은 위치의 상부에 형성된 바닥판유닛수용홈(120)을 구비한 상판(10)과 상기 받침대수용홈(110)에 체결되는 받침대(20)와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체결되어 상기 상판(10)을 지지하는 바닥판유닛(30)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유닛(30)은 상기 받침대수용홈(110)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의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판(10) 전면부 하단에 받침대(20)가 수용될 수 있는 받침대 수용홈(110)이 형성되면, 휴대 시에는 받침대(20)를 상기 받침대수용홈(110) 내로 수용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 상기 받침대(20)를 상기 받침대수용홈(110)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20)는 양 측면과 받침대수용홈 내측면에 힌지부재(250)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20)가 회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받침대수용홈(110)내로 수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250)는 도 3과 같이 돌기와 이를 수용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와 홈은 상호 반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10) 후면부에 바닥판(320)와 각도지지대(310)를 포함하는 바닥판유닛(30)을 수용할 수 있는 바닥판유닛수용홈(120)이 생성된다.
받침대(20)와 마찬가지로 휴대할 때는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상기 바닥판유닛(30)을 수용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 상기 바닥판유닛(30)을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120)으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바닥판(320)의 형성 위치이다. 측면에서 볼 때 바닥판(320)을 받침대수용홈(110)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안에서 또는 받침대수용홈 바로 인접한 상판 후면에 바닥판을 형성시킬 경우 받침대수용홈(110) 뒤에 남은 상판의 두께가 얇기때문에 바닥판(320)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바닥판(320) 두께도 얇아질 수 밖에 없으며, 이는 곧 지지력 부실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지력 부실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320)의 형성 위치는 받침대수용홈(11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시키고, 이에 따라 플랫하게 접혀지면서도 지지력이 튼튼한 독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금형에 사출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판(10)은 전면에 받침대수용홈(110)과 후면에 바닥판유닛수용홈(120)이 형성되어 전면과 후면의 두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판(10)을 단일의 판으로 사출 적용이 어려우며, 사출 적용시 두께의 불일치, 밀림이나 틀어짐, 치수 오차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내부가 채워지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상판을 사출에 의한 제조가 용이하고, 불량 방지 및 경량화를 위해 2개의 판이 모듈 형태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판(10)은 전면판(11)과 후면판(12)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판(12)이 후면판 결합홈(A) 영역에만 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제 1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판(1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제 2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2개의 판이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판(10)이 전면판(11)과 후면판(12)으로 분리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조될 경우 상기 바닥판유닛(30)을 전면판(11)과 후면판(12) 사이에 끼워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바닥판유닛(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도지지대(310) 및 바닥판(320)의 체결이 쉬울뿐만 아니라, 책과 같이 슬림한 형태로 플랫하게 접어서 휴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조로 형성된 상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10)은 전면부 하단에 받침대(20)가 수용되는 받침대수용홈(110)이 형성되고, 후면부의 상기 받침대수용홈 상부에 후면판 결합홈(A)과 바닥판유닛수용홈(B)이 형성된 전면판(11)과 상기 후면판 결합홈(A)에 체결되는 후면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판(11) 후면부의 후면판 결합홈(A)에 의해 외곽에 형성된 전면돌출가드(11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 결합홈(A)과 바닥판유닛수용홈(B)을 구분하는 경계에 형성된 내부돌출가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돌출가드(115) 상에 후면판(12)이 안착되어 체결되고, 상기 내부돌출가드(115)와 후면판(12)의 두께의 합이 상기 전면돌출가드(111)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후면판(12)이 체결되면 플랫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내부돌출가드(115)에는 전면판 체결공(115a)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12)의 체결시 상기 전면판 체결공(115a)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면판 체결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 체결공(115a)와 후면판 체결공(122)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삽입 고정하여 전면판(11)과 후면판(12)이 일체로 플랫한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나사 또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판 체결공(115a)와 후면판 체결공(122)은 나사공 또는 볼트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의 체결공 중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은 도 6c와 같이 복수개의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선된 홈에 결합되어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는 체결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체는 스냅 단추와 같이 돌기가 홈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돌기와 홈은 공차없이 끼워지는 스냅 결합에 의해 체결부재 없이도 착탈이 가능하도록 체결이 가능하고, 상기 돌기와 홈은 전면판과 후면판에서 상호 반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 유닛의 각도지지대(310)의 양측면에는 각도지지대체결돌기(311)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지지대체결돌기(311)는 상기 전면판의 각도지지대홀더(116a)와 후면판의 각도지지대홀더(124a)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지지대홀더(116a, 124a)는 반원형의 홈으로 구성되어 단면이 원형인 상기 각도지지대체결돌기(311)를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 유닛의 바닥판(320)의 양측면에는 바닥판체결돌기(323)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체결돌기(323)는 상기 전면판의 바닥판홀더(116b)와 후면판의 바닥판홀더(124b)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체결돌기(323)와 바닥판홀더(116b, 124b)는 탄성체에 의해 탄성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바닥판이 회동하여 내부에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각도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독서대가 원하는 각도로 펼쳐서 세워질 수 있으며, 이후, 독서대를 닫기 위해 상기 각도 지지대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므로 별도의 후크가 불필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20)의 탄성 힌지 결합과 관련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 2 구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구조로 형성된 상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10)은 전면부 하단에 받침대(20)가 수용되는 받침대수용홈(110)이 개방된 전면판(11)과 상기 전면판(11) 후면에 바닥판유닛수용홈(120)이 개방된 후면판(12)이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판(11)은 받침대수용홈(110) 부분만 개방된 개방부(110a)를 가지고, 상기 받침대수용홈(110)과 바닥판유닛수용홈(120) 외곽에 후면돌출가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돌출가드(111)와 후면돌출가드(121)는 각각 최외곽에 형성된 외곽돌출가드(111a, 121a), 받침대수용홈 외곽에 형성된 받침대수용홈돌출가드(111b, 121b) 및 바닥판유닛수용홈 외곽에 형성된 바닥판유닛삽입홈돌출가드(111c, 12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112, 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112, 122)를 통해 나사 또는 핀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전면판(11)과 후면판(12)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112, 122)은 내부에 나사산이 없어도 체결이 가능하고, 내부에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c와 같이 돌기와 대응되는 홈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체결이 가능한 체결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체결공(112, 122)는 상기 전면 및 후면돌출가드(111, 12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11)의 전면돌출가드(111)와 후면판의 후면돌출가드(121)가 맞닿으면서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의 체결공(112)과 후면판의 체결공(122)이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속이 빈 형상으로 상판이 구성될 수 있으므로 경량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0)이 전면판(11)과 후면판(12)으로 분리 구성됨으로써 받침대수용홈(110)에 체결되는 받침대(20)와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체결되는 각도지지대(310), 바닥판(320)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대, 각도지지대 및 바닥판 양측면에 각각 단면이 원형인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받침대수용홈돌출가드(111b, 121b) 및 바닥판유닛돌출가드(111c, 121c)에 단면이 반원형인 체결홈을 형성함으로써 전면판(11) 또는 후면판(12) 중 하나의 판의 체결홈에 받침대, 각도지지대 및 바닥판을 거치시킨 후 전면판(11)과 후면판(12)을 일체로 체결하면 손쉽게 받침대, 각도지지대 및 바닥판을 회동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도지지대(310)는 상기 전면판과 상판 후면판 중 하나의 판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되어 설치가 용이하면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체결 시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각도지지대나 바닥판은 상기 전면판과 상판 후면판 사이에 결합될 필요는 없이 둘중 어느 판 하나에 즉 바닥판수용홈 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받침대 역시 상기 전면판과 상판 후면판 사이에 결합될 필요는 없이 둘중 어느 판 하나에 즉 받침대수용홈 측면에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바닥판 유닛이 체결되는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받침대(20)는 양측면 하단에 받침대체결돌기(22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체결돌기(220)는 상기 전면판의 받침대수용홈돌출가드(111b)와 후면판의 받침대수용홈돌출가드(121b)에 형성된 받침대홀더(113, 12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체결돌기(220)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수용홈돌출가드(111b, 121b)에 각각 형성된 받침대홀더(113, 123)는 각각 단면이 반원형의 홈으로 구성되어 전면판(11)과 후면판(12)이 결합되면 단면이 원형인 홈이되어 상기 받침대체결돌기(220)를 수용할 수 있다.
받침대체결돌기와 받침대홀더는 서로 반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꼭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면판 또는 후면판 어느 하나의 판, 즉 받침대수용홈 하단 양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 유닛의 각도지지대(310)의 양측면에는 각도지지대체결돌기(311)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지지대체결돌기(311)는 상기 전면판의 바닥판수용홈돌출가드(111c와 후면판의 바닥판수용홈돌출가드(121c)에 형성된 각도지지대홀더(114, 124)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꼭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각도지지대가 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면판 또는 후면판 어느 하나에 즉 바닥판수용홈 중단 양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지지대체결돌기(311)는 받침대와 동일하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수용홈돌출가드(111c, 121c)에 형성된 각도지지대홀더(114, 124)는 각각 단면이 반원형의 홈으로 구성되어 전면판(11)과 후면판(12)이 결합되면 단면이 원형인 홈이되어 상기 각도지지대체결돌기(311)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320)의 양 측면과 체결되는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사이에 체결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330) 중 적어도 하나는 초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힌지 결합(330a)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3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각도지지대(310)가 고정되어 상판(10)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각도지지대(310)의 고정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력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330) 중 하나만 탄성 힌지 결합(330a)으로 구성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체결부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3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330)가 탄성힌지 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330a) 상기 바닥판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331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측면 또는 내측면에 상기 체결홈(331a)와 결합되는 바닥판 체결돌기(332a)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331a)내에는 탄성체(333)가 끼워져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힌지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331a)과 바닥판 체결돌기(332a)에 상기 탄성체(333)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체결홈(331a)과 바닥판 체결돌기(332a)에는 상기 탄성체(333)를 끼울 수 있는 끼움체(331a-1, 332a-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330)에 형성되는 돌기와 홈은 도 8b와 같이 상호 반대 위치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구현된 모든 결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즉, 상기 체결부(330)는 상기 바닥판 양 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331b)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내측면에 상기 체결돌기(331b)와 결합되는 바닥판 체결홈(332b)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체결홈(332b)내에는 탄성체(333)의 일단(333a)이 끼워져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힌지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331b)와 바닥판체결홈(332b)에 상기 탄성체(333)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체결돌기(331b)와 바닥판체결홈(332b)에는 상기 탄성체(333)를 끼울 수 있는 끼움체(331b-1, 332b-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체는 상기 탄성체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체의 일단(333a)은 구부려지도록 제작되고, 상기 끼움체는 상기 구부려진 일단을 끼울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체에 탄성체 일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바닥판에 힘을 가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끼움체에 끼워진 일단이 유지하려는 탄성력이 발생하고, 상기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바닥판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320)의 탄성 힌지 결합과 관련된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하, 체결부(330) 하나는 탄성힌지 결합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힌지 결합으로 구성되고, 바닥판 측면에 체결홈(331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내측면에 상기 체결홈(331a)와 결합되는 바닥판 체결부(330b)가 형성된 구조의 조립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하나의 체결부(330a)가 탄성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체결부(330b)에는 체결홈(331a)에 바닥판체결부재(50)를 삽입시킨 후에 상기 바닥판체결부재(50)를 후면판 내부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바닥판 내측면에 바닥판 체결돌기가 아닌 바닥판체결부재(5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있으며, 상기 수용홈에 상기 바닥판체결부재(50)가 안착되어 후면판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체결부재(50)는 체결체(51)와 후면판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공(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체(51)를 상기 체결홈(331a) 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52)을 통해 볼트, 핀과 같은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고정시켜 바닥판(320)을 후면판(12)에 체결하여 힌지 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체(51)는 체결홈(331a)에 삽입되는 돌기 형태이지만, 반대로 홈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홈(331a)이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고, 상기 바닥판체결부재(50)가 후면판이 아니라 전면판에 고정될 수 있음 또한 자명한 것이다.
체결돌기가 양 측에 형성된 경우 바닥판을 바닥판유닛수용홈 내측면에 체결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상기 바닥판체결부재(50)를 이용하면 일 측을 체결한 상태에서 손쉬운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 바닥판(320)은 외곽에는 바닥판유닛수용홈(120) 바닥과 맞닿아 결합되는 돌출된 경계가드(321)과 내부에 각도지지대(31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322)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판(320)이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수용되면 돌출되는 부분이 없는 플랫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333)는 바닥판(320)이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초기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장착되고, 바닥판(320)을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120)으로부터 인출시킨 상태에서 각도지지대(310)를 회동시켜 바닥판의 지지바(322)에 고정시키면 상판(10)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채 바닥판(320)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지지대(310)를 회동시켜 접으면, 바닥판(320)은 복원력에 의해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수용된다. 따라서, 바닥판(320)을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이 불필요하다.
그러나, 바닥판(320)을 바닥판유닛수용홈(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33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판을 전면판과 후면판으로 분리구성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받침대, 각도지지대 및 바닥판을 체결시킬 수 있어 제조가 매우 용이하고, 상기 받침대, 각도지지대 및 바닥판을 받침대수용홈과 바닥판유닛수용홈에 수용할 수 있어 상판의 전면과 후면이 책과 같이 플랫한 형상을 가지므로 휴대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책잡이(210)는 받침대(20) 상에 책이 올려지면 현재 펼쳐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역할로,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받침대(20)가 펼쳤을때 전면에 접거나 펼칠수 있도록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굴곡된 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 삽입홈(110)은 상기 책잡이가 접혔을 때 받침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받침대가 받침대 삽입홈에 인입된 경우 상판 전면이 플랫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잡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책잡이는 받침대에 수용되거나 인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0)는 책잡이가 수용되는 책잡이수용홈(2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책잡이(210)는 상기 책잡이 수용홈(240)으로부터 인출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책잡이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책잡이(210)는 일단에서 상기 책잡이수용홈(240)과 결합된 제1체결부(214a)를 축으로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책잡이(211)과 상기 하부책잡이의 타단과 결합된 제2체결부(214b)를 축으로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책잡이(212)를 포함하고, 상기 책잡이 수용홈(240)은 상기 책잡이의 형상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책잡이(211)와 책잡이수용홈(240)이 결합되는 제1체결부(214a)는 도 9와 같이 책잡이힌지가 형성되어 하부책잡이(211)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부책잡이(212)과 하부책잡이(211)의 연결부인 제2체결부(214b)에는 중심 힌지가 결합되어 상부책잡이(212)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책잡이힌지 옆에 고무패드나 고무링을 끼워 책잡이가 책장을 잡고 버티는 장력을 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장력을 주는 방법은 스프링이나 일반힌지 등 다른 방식을 사용해서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받침대(20)의 책잡이수용홈(240)에 책잡이(210)를 접어서 수용할 수 있으며 휴대 시에는 책잡이를 이 홈 모양에 맞추어 접어서 휴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에 방열을 위한 방열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독서 뿐만 아니라, 노트북, 패드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장시간 사용시 발열에 의해 방열이 필요하므로 상판(10)에 복수 개의 방열 관통공 또는 쿨링팬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수용홈 상부에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판의 받침대수용홈 상부에 커버홈(150)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 커버(160)를 포함하여 받침대가 인출되어 받침대수용홈이 개방되면 상기 커버를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덮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홈(150)과 커버(160)의 체결은 레일 구조와 같은 통상의 슬라이딩 체결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상판 110 : 받침대수용홈
120 : 바닥판유닛수용홈 20 : 받침대
30 : 바닥판유닛 310 : 각도지지대
320 : 바닥판

Claims (14)

  1. 전면부 하단에 받침대를 수용하는 받침대수용홈을 구비하고, 후면부에 바닥판유닛수용홈을 구비하는 상판과;
    상기 받침대수용홈에 인입가능하게 결합된 받침대와;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에 인입가능하게 결합된 바닥판유닛을 포함하고;
    휴대 시 상기 받침대가 받침대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바닥판유닛이 바닥판유닛수용홈에 수용되어 전면과 후면이 모두 플랫한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은
    상기 상판 후면부의 상기 받침대수용홈 보다 높은 위치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 유닛은 상기 받침대 삽입홈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의 바닥판 유닛수용홈내에 인입가능하게 체결되어 상대적으로 바닥판의 두께를 튼튼하게 형성하여 지지력이 견고하면서도 휴대 시에 플랫하게 접어서 들고 다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수용홈 하단 양 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 유닛은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하단 양 측면에 힌지 결합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중단 양 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에 지지되어 상기 상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각도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과 바닥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전면판과 후면판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통해 상기 받침대수용홈과 바닥판유닛수용홈이 형성되고;
    휴대 시 상기 받침대가 받침대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바닥판유닛이 바닥판유닛수용홈에 수용되어 전면과 후면이 모두 플랫한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 개의 체결체 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체가 서로 끼워져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되거나 상기 체결공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되어 휴대 시 전면과 후면이 모두 플랫한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양 측면과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하단 양 측면에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힌지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각도지지대가 고정되어 상판이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지지대의 고정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력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바닥판이 상판을 향하여 자동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져 바닥판이 상판 후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탄성힌지 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판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바닥판유닛수용홈 측면 또는 내측면에 상기 체결홈과 결합되는 바닥판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홈과 바닥판 체결돌기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끼워진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판이 상판을 향하여 자동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져 바닥판이 상판 후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과 바닥판 체결돌기는
    상호 반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과 바닥판 체결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탄성체 일단을 끼워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끼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중 하나가 힌지 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판수용홈 내측면에 바닥판체결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바닥판체결부재가 안착되어 전면판 또는 후면판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체결부재는 상기 바닥판 측면과 결합되는 체결체와 전면판 또는 후면판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체가 바닥판 측면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통해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고정시켜 바닥판을 전면판 또는 후면판에 체결하여 힌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방열 관통공 또는 쿨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펼쳤을때 전면에 접거나 펼칠수 있도록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굴곡된 바 형상으로 구성된 책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수용홈은 상기 책잡이가 접힌상태에서 받침대와 함께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받침대가 받침대삽입홈에 인입되어 수용된 경우 상판 전면이 플랫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책잡이가 수용되는 책잡이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책잡이 수용홈으로부터 인출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책잡이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책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책잡이는
    일단에서 상기 책잡이수용홈과 결합된 제1체결부를 축으로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책잡이와 상기 하부책잡이의 타단과 결합된 제2체결부를 축으로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책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책잡이 수용홈은 상기 책잡이의 형상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독서대.
KR1020200047343A 2019-04-18 2020-04-20 휴대용 독서대 KR102268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87A KR102411776B1 (ko) 2019-04-18 2021-05-20 휴대용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22 2019-04-18
KR20190001622 2019-04-18
KR1020190076003 2019-06-26
KR20190076003 2019-06-26
KR20190128493 2019-10-16
KR1020190128493 2019-10-16
KR1020200043057 2020-04-09
KR20200043057 2020-04-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87A Division KR102411776B1 (ko) 2019-04-18 2021-05-20 휴대용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030A true KR20200123030A (ko) 2020-10-28
KR102268028B1 KR102268028B1 (ko) 2021-06-22

Family

ID=7283825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343A KR102268028B1 (ko) 2019-04-18 2020-04-20 휴대용 독서대
KR1020210064787A KR102411776B1 (ko) 2019-04-18 2021-05-20 휴대용 독서대
KR1020220073343A KR20220086545A (ko) 2019-04-18 2022-06-16 휴대용 독서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87A KR102411776B1 (ko) 2019-04-18 2021-05-20 휴대용 독서대
KR1020220073343A KR20220086545A (ko) 2019-04-18 2022-06-16 휴대용 독서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92367A1 (ko)
EP (1) EP3957208A4 (ko)
JP (1) JP2022530761A (ko)
KR (3) KR102268028B1 (ko)
CN (1) CN113993420A (ko)
WO (1) WO20202140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052A (ko)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로운컴퍼니씨앤씨 평판형 접이식 독서대
KR20220170706A (ko) 2021-06-23 2022-12-30 김정배 독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88A1 (ko) * 2022-07-28 2024-02-01 김성원 독서대
WO2024050977A1 (zh) * 2022-09-09 2024-03-14 苏州启莉灵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信息技术咨询服务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092Y1 (ko) * 2007-04-05 2007-11-01 (주)케이엔티 연결독서대
KR20080092587A (ko) * 2007-04-12 2008-10-16 (주)노트케이스 노트북 컴퓨터용 받침대
KR20110119193A (ko) * 2010-04-27 2011-11-02 정종천 독서대 받침대
KR20140100807A (ko) * 2013-02-07 2014-08-18 김용호 액자
KR200479333Y1 (ko) * 2015-05-22 2016-01-15 주식회사 하우밈 학습용 멀티 거치대
KR20160124455A (ko) * 2015-04-20 2016-10-28 이종철 접이식 다용도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3097A (en) * 1948-10-29 1952-01-22 Henry C Heimann Student's bookholder
US4323214A (en) * 1980-07-21 1982-04-06 Deluca Nicholas E Book reading rest
IT1227279B (it) * 1988-10-04 1991-03-28 Pico Glass Spa Cornice da tavolo in due parti distaccabili, provvista di un piedino di sostegno atto a costituire il mezzo per la separazione di dette due parti
US5799372A (en) * 1996-08-21 1998-09-01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System for supporting a monitor
US5797578A (en) * 1997-01-29 1998-08-25 Graffeo; Robert Collapsible article support
KR19980058035U (ko) * 1997-02-17 1998-10-26 나현채 절첩식 휴대용 테이블
US6178085B1 (en) * 1998-04-27 2001-01-23 Ccl Products Enterprises, Inc. Calculator lid mechanism
CN2524572Y (zh) * 2002-02-06 2002-12-11 欧阳小剑 封面式书支架
CN2716888Y (zh) * 2004-06-25 2005-08-10 Ge塑料上海有限公司 电脑支架
US7828260B2 (en) * 2006-03-23 2010-11-09 Hauser Stephen G Deployable support unit for reading material
US8322290B1 (en) * 2006-11-22 2012-12-04 Giancarlo Mignano Multi-use table
JP3141153U (ja) * 2008-02-12 2008-04-24 東森全球股▲ふん▼有限公司 ノート型コンピュータの支持基台
US20090314913A1 (en) * 2008-06-23 2009-12-24 Gillis Charles A Keyboard tray
US20110056412A1 (en) * 2009-01-08 2011-03-10 Phifer Incorporated Devices For Providing A Worksta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038114B2 (en) * 2009-09-29 2011-10-18 Shao-Chieh Ting Heat sink for notebook computer
KR200463680Y1 (ko) 2010-02-26 2012-11-23 나원호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CN201630575U (zh) * 2010-03-16 2010-11-17 曾欢 折叠式摊书架
US8424465B2 (en) * 2010-08-17 2013-04-23 Epifanio Villanueva Florendo, Jr. Slant board
CN201870059U (zh) * 2010-09-14 2011-06-22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床上自习桌
CN102654237A (zh) * 2011-03-02 2012-09-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支座
TWI485345B (zh) * 2011-09-20 2015-05-21 Compal Electronics Inc 顯示器支撐架
CN202588784U (zh) * 2012-05-29 2012-12-12 肖瑛钦 折叠式可调角度阅读架
CN202980834U (zh) * 2012-08-22 2013-06-12 刘兴棋 一种便携式读书架
KR101256024B1 (ko) 2012-08-31 2013-04-18 권의준 접이식 독서대
KR101477984B1 (ko) * 2013-09-17 2015-01-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립보드 독서대
US9249922B2 (en) * 2014-01-06 2016-02-02 Nite Iz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holders
KR200472673Y1 (ko) * 2014-03-13 2014-05-27 홍명수 다기능 독서대
KR200478862Y1 (ko) * 2015-06-16 2015-11-24 (주)인퍼스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
US10514126B2 (en) * 2016-05-09 2019-12-24 James Nathaniel Asante Multi-function travel-friendly workstation with cooling and ventilation
US11363882B2 (en) * 2017-02-21 2022-06-21 Xiaochuan Zhang Reading book stand
KR102026051B1 (ko) * 2019-02-28 2019-09-26 전보인 받침판 수납이 가능한 독서대
KR102269405B1 (ko) * 2019-08-09 2021-06-24 전보인 휴대용 독서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092Y1 (ko) * 2007-04-05 2007-11-01 (주)케이엔티 연결독서대
KR20080092587A (ko) * 2007-04-12 2008-10-16 (주)노트케이스 노트북 컴퓨터용 받침대
KR20110119193A (ko) * 2010-04-27 2011-11-02 정종천 독서대 받침대
KR20140100807A (ko) * 2013-02-07 2014-08-18 김용호 액자
KR20160124455A (ko) * 2015-04-20 2016-10-28 이종철 접이식 다용도 거치대
KR200479333Y1 (ko) * 2015-05-22 2016-01-15 주식회사 하우밈 학습용 멀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052A (ko)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로운컴퍼니씨앤씨 평판형 접이식 독서대
KR20220170706A (ko) 2021-06-23 2022-12-30 김정배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776B1 (ko) 2022-06-22
CN113993420A (zh) 2022-01-28
EP3957208A4 (en) 2023-01-11
KR102268028B1 (ko) 2021-06-22
EP3957208A1 (en) 2022-02-23
KR20220086545A (ko) 2022-06-23
JP2022530761A (ja) 2022-07-01
WO2020214017A1 (ko) 2020-10-22
US20220192367A1 (en) 2022-06-23
KR20210060425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3030A (ko) 휴대용 독서대
US8991319B2 (en) Airplane tray CIP
US6608749B2 (en) Portable computer pedestal method and apparatus
US7251125B2 (en) Flat screen display stand
US9278648B2 (en) Device for attaching a tablet computer
US9898042B2 (en) Smart device docking apparatus
US8104733B2 (en) Book rest
KR102037429B1 (ko) 받침대가 전개 및 수납되는 거치대
KR20130003288U (ko) 모니터받침대
JP2015046074A (ja) 保護カバー
US20240032685A1 (en) Portable reading stand
US11583070B2 (en) Instrument and music stand
KR200363813Y1 (ko) 독서대가 구비된 파일케이스
KR200437148Y1 (ko) 독서대
KR20210000305A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
CN218153317U (zh) 一种简易手机支架
CN210319210U (zh) 移动终端支架
CN220629368U (zh) 一种带有磁吸及夹持二合一的手机支架
CN220832239U (zh) 一种便携式化妆镜
CN220551675U (zh) 一种对等拉伸夹持的分屏器
CN220730723U (zh) 一种支持横竖屏站立的平板保护套
US20230076414A1 (en) Seat-back holder assembly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CN218852128U (zh) 一种旅行箱杯架
CN213990733U (zh) 一种可折叠支架
KR20110078413A (ko) 다용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76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621

Effective date: 2023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