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62Y1 -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 - Google Patents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62Y1
KR200478862Y1 KR2020150003956U KR20150003956U KR200478862Y1 KR 200478862 Y1 KR200478862 Y1 KR 200478862Y1 KR 2020150003956 U KR2020150003956 U KR 2020150003956U KR 20150003956 U KR20150003956 U KR 20150003956U KR 200478862 Y1 KR200478862 Y1 KR 200478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insertion groove
plate
desk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기
Original Assignee
(주)인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퍼스 filed Critical (주)인퍼스
Priority to KR2020150003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8Sectional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 노트북 등의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은, 상부에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책상에 있어서, 상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삽입홈의 저면에 경사진 고정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상판; 및 전면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후면이 상판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받침대; 를 포함하되, 받침대는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단이 고정구에 삽입됨으로써 물건의 후면을 경사지게 지지하며, 전면에 물건의 하단을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가 책상 위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좁아 책상의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받침대를 상판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어 받침대 보관 시에 상판의 상면을 평평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DESK WITH STAND FOR SURPORTING OBJECT TO TILT}
본 고안은 책, 노트북 등의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책상에 책을 올려놓고 독서할 경우, 고개를 숙인 상태를 오랜시간 유지하므로 목 근육의 통증을 유발하여 피로가 가중되고, 자세가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바른 자세로 독서하기 위해 책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독서대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책상 위에 독서대를 배치하는 경우 독서대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15245호에 의하면, 책상의 상판에 전, 후방지지판으로 구성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전방지지판을 용이하게 들어 올리도록 전방지지판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전방지지판이 일정각도로 쉽게 접혀지도록 전방지지판의 하부에는 접철요홈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 후방지지판, 즉 두개의 지지판에 의해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므로 받침부가 책상위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 공간활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받침부가 배치되는 위치와 그 형태가 일정하므로, 경우에 따라 받침대의 경사를 조절하거나 회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받침부의 보관 시, 책상 상판과 받침부가 수평을 이루도록 보관하여 받침부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전방지지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와 전방지지판 하부의 접철요홈은 책상 상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야기시켰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책상 위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좁아 책상의 공간 활용이 용이한 책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물건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대의 보관이 용이하며, 책상 상면을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은, 상부에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책상에 있어서, 상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 경사진 고정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상판; 및 전면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후면이 상기 상판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받침대; 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단이 상기 고정구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물건의 후면을 경사지게 지지하며, 전면에 상기 물건의 하단을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판은, 경사각이 상이한 복수의 고정구를 이격하여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1 이상의 방열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 전선통과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상기 상판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형의 회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은, 책 또는 노트북과 같은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여 사용함으로써, 목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대 사용 시 받침대가 책상 위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좁아 책상의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대를 상판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받침대 보관 시에 상판의 상면을 평평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경사각이 상이한 복수의 고정구를 구비하여 받침대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구를 회전플레이트에 형성하여 받침대가 좌우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대에 방열공을 형성하여 노트북 사용 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고, 상판에 전선통과구를 형성하여 노트북에 연결되는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해 받침대가 보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해 받침대가 보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해 받침대가 고정구에 삽입된 샅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부분 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조립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해 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해 회전플레이트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일부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 중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의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은 상부에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책상으로,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상판(100) 및 받침대(200)로 이루어진다.
상판(100)은 하부에 다리(400)가 구비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판(100)의 상면에는 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삽입홈(110)의 저면에는 고정구(120)가 형성된다.
삽입홈(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200)의 보관 시 받침대(200)의 전면이 삽입되는 홈으로 받침대(2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받침대(200)의 전면에 형성된 돌출부(210)가 삽입되는 돌출부삽입홈(1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삽입홈(110)을 상판(100)의 단부에 배치하면 받침대(200)를 상판(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고정구(120)는 삽입홈(110)의 저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받침대(200)를 고정구(120)에 삽입하여 받침대(200)를 경사지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구(120)는 상판(1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삽입홈(110) 저면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대(200)는 보관 시에 삽입홈(110)에 삽입하여 보관하고, 물건 지지시에 고정구(120)에 삽입하여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며, 전면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된다.
돌출부(210)는 받침대(20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물건의 하단을 지지하고, 받침대(200)를 고정구(120)에 삽입할 때 받침대(200)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10) 하부의 받침대, 즉 받침대(200) 하단의 두께(d1)는, 고정구의 너비(d2)보다 얇게 형성하여 받침대(200)가 고정구(1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받침대(200)를 상판(100)에 보관하는 경우와 받침대(200)가 물건을 지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200)를 보관하는 경우, 받침대(200)의 전면은 삽입홈(110)에 삽입되고, 돌출부(210)는 돌출부삽입홈(111)에 삽입되어 받침대(200)의 후면이 상판(100)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로써, 받침대(200)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판(100)의 상면을 평평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200)가 물건을 지지하는 경우, 받침대(200)는 삽입홈(110)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단이 고정구(120)에 삽입되고, 돌출부(210)에 의해 하강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받침대(200)는 물건의 후면을 지지하며, 돌출부(210)가 물건의 하단을 지지한다. 이로써,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어 독서 또는 노트북 사용시 목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200)를 고정구(120)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므로, 책상 위에서 받침대(200)가 차지하는 면적이 좁아 책상의 공간 활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200)는 나무, 플라스틱, 철제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받침대(200) 보관시 통일성을 위하여 상판(1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고정구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판(100)은 경사각(θ1, θ2, θ3)이 상이한 복수의 고정구(121, 122, 123)를 이격하여 구비함으로써 받침대(200)의 경사각과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눈 높이에 따라 받침대(200)를 적절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고, 받침대(200)의 거리 조절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방열공과 전선통과구를 부가적으로 형성함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받침대(200)는 돌출부(210)의 상부에 받침대(200)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방열공(220)이 형성된다.
방열공(220)은 받침대(200)가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경우,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쉽게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기기의 방열에 의한 고장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판(100)은 삽입홈(110)의 저면에 전선통과구(130)가 형성된다.
전선통과구(130)는 전자기기를 전원 또는 다른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선을 상판(100) 하부로 통과시켜 상판(100) 위의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회전플레이트를 부가적으로 구비함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회전플레이트(300)는 삽입홈(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판(100)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플레이트(300)는 하부의 직경보다 상부의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고, 상판(100)의 삽입홈(110)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140)을 형성하여 회전플레이트(300)의 상부를 지지한다. 이때, 회전플레이트(300)와 지지턱(140) 사이에 베어링(330)을 설치하여 회전플레이트(300)가 더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대(200) 보관시 받침대(200) 전면과 회전플레이트(300) 상면이 접촉되므로 회전플레이트(300) 상면이 받침대(200) 전면에 대응되도록 돌출부삽입홈(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대(200)에 물건 지지시 받침대(200)의 하단이 삽입되는 고정구(320)가 회전플레이트(300)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받침대(200)를 고정구(320)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 9, 도 10과 같이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에서 받침대(20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회전플레이트(300)를 구비하는 경우, 회전플레이트(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홈(110) 및 받침대(200)를 구비하는 바람직하나, 받침대(200)가 삽입홈(110)에 삽입될 수 있고, 회전플레이트(300)가 회전할 수 있다면 서로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등록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중심으로 그 변형물 또는 균등물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상판
110 : 삽입홈
111 : 돌출부삽입홈
120 : 고정구
130 : 전선통과구
140 : 지지턱
200 : 받침대
210 : 돌출부
220 : 발열공
300 : 회전플레이트
310 : 돌출부삽입홈
320 : 고정구
330 : 베어링
400 : 다리

Claims (4)

  1. 상부에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책상에 있어서,
    상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 경사진 고정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상판;
    전면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후면이 상기 상판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받침대; 및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상기 상판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형의 회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단이 상기 고정구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물건의 후면을 경사지게 지지하며, 전면에 상기 물건의 하단을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경사각이 상이한 복수의 고정구를 이격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1 이상의 방열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 전선통과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4. 삭제
KR2020150003956U 2015-06-16 2015-06-16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 KR200478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956U KR200478862Y1 (ko) 2015-06-16 2015-06-16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956U KR200478862Y1 (ko) 2015-06-16 2015-06-16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862Y1 true KR200478862Y1 (ko) 2015-11-24

Family

ID=5486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956U KR200478862Y1 (ko) 2015-06-16 2015-06-16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962B1 (ko) * 2016-05-12 2017-11-15 유인규 사물함 상판구조
WO2020214017A1 (ko) * 2019-04-18 2020-10-22 김성원 휴대용 독서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12B1 (ko) * 2005-08-23 2007-01-10 김정필 독서대를 갖는 책상용 필기구 수납함
KR200475482Y1 (ko) * 2014-07-14 2014-12-08 김현태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12B1 (ko) * 2005-08-23 2007-01-10 김정필 독서대를 갖는 책상용 필기구 수납함
KR200475482Y1 (ko) * 2014-07-14 2014-12-08 김현태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962B1 (ko) * 2016-05-12 2017-11-15 유인규 사물함 상판구조
WO2020214017A1 (ko) * 2019-04-18 2020-10-22 김성원 휴대용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292B2 (en) Object holding table
US9104372B2 (en) Multiple footprint stand for a tablet computer
KR200478862Y1 (ko) 물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책상
US8014145B2 (en) Cooling plate for a notebook
US20100155346A1 (en) Multifunctional rack structure
US7545637B2 (en) Supporting frame for notebook computer
WO2019134435A1 (zh) 一种笔记本支架
CN207965793U (zh) 一种便携式可升降的笔记本电脑散热支架
CN206819275U (zh) 一种通用带灯笔记本散热器
CN205824721U (zh) 一种台灯
JP3215068U (ja) 卓上スタンド
CN209463556U (zh) 一种可调节笔记本电脑桌
TWM323064U (en) Supporting frame of notebook computer
CN207133761U (zh) 结构紧凑的笔记本电脑散热底座
KR200313761Y1 (ko) 전기스탠드의 각도조절장치
US20240081525A1 (en) Multifunctional table and slidable holder
CN210466879U (zh) 一种英语演讲比赛用台词板
KR200475379Y1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CN205485878U (zh) 一种具有容纳空间的笔记本电脑散热器
CN207230115U (zh) 支架
CN204764145U (zh) 一种电脑桌
CN106681452A (zh) 一种用于笔记本电脑垫的散热链带
KR200285367Y1 (ko) 액자 받침대
CN205028231U (zh) 一种笔记本计算机散热器
TWM323068U (en) Heat-sink bottom board capable of adjusting fan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