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807A -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807A
KR20200122807A KR1020190046024A KR20190046024A KR20200122807A KR 20200122807 A KR20200122807 A KR 20200122807A KR 1020190046024 A KR1020190046024 A KR 1020190046024A KR 20190046024 A KR20190046024 A KR 20190046024A KR 20200122807 A KR20200122807 A KR 20200122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river
lamp
regula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Original Assignee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807A/ko
Publication of KR2020012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 H02P9/2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9/3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2P9/30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회전수, 배터리 전압상태, 차량 내 부하조건 및 온도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충전 및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날로그 전압, 디지털 전압 및 레퍼런스 전압을 생성하는 서플라이; 전압강하된 브릿지전압과 전압강하된 센스전압 중 어느 하나를 받아들이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로 인가된 전압을 필터링시키는 로우패스필터; 상기 필터링된 전압을 일정한 주파수의 PWM(Pulse-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시키는 펄스폭변조기; DF 전류를 제한하는 플립플롭 신호에 따라 로우 사이드 DF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FM 드라이버; 플립플롭 신호에 따라 여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구동하고 과전류발생시 하이 사이드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는 EXC 드라이버; 램프스위치를 온오프(ON/OFF)시키는 램프 드라이버; 램프가 오프(OFF)되면 하이 사이드 보조 부하 트랜지스터를 온(ON)시키는 AUX 드라이버; 및 상기 펄스폭변조기와 연결되며 변환된 신호를 받아들이며, 상기 디지털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FM 드라이버, EXC 드라이버, 램프 드라이버, AUX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는 디지털코어;를 포함하는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MULTI FUNCTION REGULATOR}
본 발명은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 회전수, 배터리 전압상태, 차량 내 부하조건 및 온도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충전 및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발전기는 교류발전기의 형태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부문과 정류된 직류(여자전류)를 제어하여 정해진 조정(Setting)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로 구성된다.
배터리의 충전 특성상 발전기의 조정 전압은 온도에 따라 변화, 즉, 고온에서는 저전압으로 변화하고, 저온에서는 고전압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엔지 회전수, 배터리 전압상태, 차량 내 부하조건 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이는 배터리의 안정성과 충전 효율을 저하시킴은 물론,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103536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엔진 회전수, 배터리 전압상태, 차량 내 부하조건 및 온도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충전 및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는, 아날로그 전압, 디지털 전압 및 레퍼런스 전압을 생성하는 서플라이; 전압강하된 브릿지전압과 전압강하된 센스전압 중 어느 하나를 받아들이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로 인가된 전압을 필터링시키는 로우패스필터; 상기 필터링된 전압을 일정한 주파수의 PWM(Pulse-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시키는 펄스폭변조기; DF 전류를 제한하는 플립플롭 신호에 따라 로우 사이드 DF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FM 드라이버; 플립플롭 신호에 따라 여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구동하고 과전류발생시 하이 사이드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는 EXC 드라이버; 램프스위치를 온오프(ON/OFF)시키는 램프 드라이버; 램프가 오프(OFF)되면 하이 사이드 보조 부하 트랜지스터를 온(ON)시키는 AUX 드라이버; 및 상기 펄스폭변조기와 연결되며 변환된 신호를 받아들이며, 상기 디지털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FM 드라이버, EXC 드라이버, 램프 드라이버, AUX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는 디지털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코어에는 위상 신호를 모니터하고 회전자 속도와 고정자 전압을 측정하는 위상 프로세서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코어에는 프로그래밍을 위한 EEPROM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엔진 회전수, 배터리 전압상태, 차량 내 부하조건 및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조정(Setting)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레귤레이터를 공급할 수 있으며, 과전압 충전 및 저전압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수명은 과전압 충전 및 완전한 충전이 되지 않았을 때 배터리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나, 정확한 배터리 전압 유지를 실현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회로보호기능을 탑재하여 이상 상황 발생시 회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경고 기능을 탑재하여 이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바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긴급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자동차의 전자장치로 인해 필요한 전기에너지량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나, 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를 적용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의 핀(Pin)은 다음의 [표 1]을 참조하도록 한다.
pin Function
B+A Device power supply and Battery voltage sensing
DF High side driver output to control the Field current
PH Phase sense Terminal
GND Regulator ground
Lamp Lamp-Terminal and relay Terminal
DFM DFM-Terminal
SENSE Battery sense input
CP Customer Programming
서플라이는 아날로그 전압, 디지털 전압 및 레퍼런스 전압을 생성한다.
멀티플렉서(MUX)는 B + A 단자의 기준 전압을 SENSE 단자로 전환한다. SENSE는 조정된 전압에 대한 (B + A) 종단 대신에 기준으로 사용된다. SENSE의 전압이 Vsense_sb보다 낮아지면 조절이 (B + A)로 토글(toggle)되고 결함이 즉시 보고된다. SENSE의 전압이 Vsense_bs까지 상승하면 SENSE로 다시 전환되고 결함은 즉시 해제된다. 또한, 대기 전류를 줄이기 위해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서 (B + A)와 SENSE에 대한 내부 디바이더 브리지가 비활성화된다. 멀티플렉서는 B + A 전압을 1/10로 전압강하시킨 전압과 센스(SENSE) 전압을 1/10로 전압강하시킨 전압 중 어느 하나를 받아들여 출력한다.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는 멀티플렉서로 인가된 전압을 필터링한다. 즉, 입력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공급한다.
펄스폭변조기(PWM)는 로우패스필터와 연결되며 입력 전압 신호를 일정한 주파수의 PWM(Pulse-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코어(Digital Core)로 공급한다.
FM 드라이버(FM driver and protection)는 여기 신호의 보상이고 70mA에서 (단락 보호)DF 전류를 제한하는 플립플롭 신호에 따라 로우 사이드 DF 트랜지스터를 구동한다.
EXC 드라이버(EXC driver and protection)는 플립플롭 신호에 따라 여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구동하고 과전류발생(전류 > 15A)시 하이 사이드 트랜지스터를 오프(OFF)시킨다.
램프 드라이버(Lamp driver and protection)는 키 페쇄를 감지하고 램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구동하여 램프 스위치를 온오프(ON/OFF) 할 수 있다. 램프가 켜지면(램프 조명), 램프 핀 전압은 레벨(<1.5V)로 유지되어 "키 ON 감지" 정보가 유지된다. 보호용 램프 드라이버는 램프 전류를 1.8A(단락 보호)로 제한한다.
AUX 드라이버(AUX driver and protection)는 램프가 오프(OFF)되면 하이 사이드 보조 부하 트랜지스터를 온(ON)시킨다. 상기 보조 부하 트랜지스터는 전류가 2.8A(단락 보호)보다 큰 경우 오프(OFF)된다.
디지털코어(Digital Core)는 제품의 상태, 디지털 규정 루프 및 결함 관리기능이 구비된다. 디지털 코어는 펄스폭변조기와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를 받아들이고디지털 전압을 인가받으며, FM 드라이버, EXC 드라이버, 램프 드라이버 및 AUX 드라이버와 연결되어를 이들을 구동한다.
디지털코어에는 위상 신호를 모니터하고 회전자 속도와 고정자 전압을 측정하는 위상 프로세서가 더 연결된다. 또한, 디지털코어에는 프로그래밍을 위한 EEPROM이 더 연결된다. EEPROM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프로그래밍 가능한 EEPROM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모노리식(monolithic) 발전기 전압 조정기(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이며, 컨트롤 섹션, 필드 파워 스테이지 및 단락에 대한 보호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 주파수에서 PWM (Pulse-Width Modulation) 하이 사이드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계자 권선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차 제너레이터의 출력을 폐 루프에서 조절한다. 모놀리식 교류 발전기 전압 조정기는 램프 핀과 PH 핀 동작이 없을 때 소비 전류가 작은 대기 모드 상태로 유지된다. 점화 스위치가 켜진 후 램프 단자는 램프를 통해 배터리에 연결된다. 램프 단자의 전압은 레귤레이터의 웨이크 업 신호다. Lamp-terminal에서 신호가 누락된 경우, 레귤레이터는 로터의 잔류에 의해 유도된 위상 신호를 감지한 후에 활성화된다.
"B + A" 핀을 통해 배터리에 의해 공급된 장치는 "램프" 또는 "PH"핀이 작동하지 않을 때까지 낮은 대기 전류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치 "키" 가 닫히면 램프 단자는 램프를 통해 배터리에 연결된다. 램프 단자의 전압은 웨이크 업 신호이며 이 장치는 "대기" 상태를 빠져나가 고정 주파수(freg) 및 듀티 사이클(TVve)로 "DF" 핀의 활동에 의해 특성화된 사전 여자(pre-excitation) 모드로 들어간다. 또한 레귤레이터는 램프 드라이버 T1을 활성화하여 램프를 턴온시킨다.
발전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까지 장치는 "사전 여자" 모드를 유지한다. "PH"핀 (즉, VPH> VV_SW) 및 (nGEN> nO)에서 활동이 감지되면 장치가 위상 조절 모드로 시작하고, NGEN > nSTART 장치가 일반 조절 모드로 이동한다. 이 경우, 드라이버 (T1 및 T2)는 스위칭되고, 즉, T1은 스위치 오프되고 T2는 도통된다. 그러면 램프가 꺼지고 선택 사양인 릴레이가 활성화된다.
릴레이는 시작 절차동안 활성화되면 안되는 스위치 온 외부로드 또는 컨서머(consumers)로 사용될 수 있다.
오류가 발생했을 때 레귤레이터에 의해 램프가 활성화되면 릴레이가 오프된다.
조절을 시작해야 하는 또 다른 가능성은 "비상 시작"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핀 "램프"(예 : 커넥터가 열림)로 인해 활동이 없더라도 "PH"핀(예 : VPH> VV_SW_NOT 및 nGEN> nNOT)에서 활동이 감지되면 정상 조절 모드로 전환된다.
발전기 속도가 nO 미만으로 떨어지면 조절기가 멈춰서 조절한다. "램프"핀에 활동이 있으면 장치는 "사전 여자"모드로 유지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 모드"로 돌아간다.
점화 스위치를 켠 후에 램프 단자는 램프를 통해 배터리에 연결된다. 레귤레이터는 램프 드라이버 T1을 활성화하여 램프를 온(ON)시킨다. 릴레이 드라이버 T2는 오프(OFF)된 상태다. 이 경우 레귤레이터는 프리 - 여기 모드로 간다. 프리 - 여기 모드에서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은 고정 주파수 fREG 및 일정한 듀티 사이클 TVVE로 스위칭된다. 생성된 프리 여자 전류는 발전기가 회전을 시작하자 마자 레귤레이터의 전압과 레귤레이터의 위상 연결을 각각 유도한다.
레귤레이터는 위상 신호의 주파수 평가를 통해 발전기 회전 속도를 측정한다. 레귤레이터에서 "발전기 가동 중" 정보 (nGEN> nO)가 감지되자 마자 프리 여기 모드가 중지되고 상 전압이 8.3V로 조정된다.
그 후 시작 회전 속도의 평가가 시작된다. 발전기 회전 속도가 시작 속도 임계값 nSTART 이상 300ms 동안 중단되지 않으면 시작 속도는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만약 그렇다면, 램프는 스위치 오프될 것이다. 즉, 램프 드라이버(T1)는 스위치 오프되고 릴레이 드라이버(T2)는 스위치 온된다. 레귤레이터는 정상 레귤레이션 모드로 전환된다. 이 때, 상 전압은 규정된 시간 동안 10.2V로 조정된다.
시스템 부하에 전기 부하가 가해지면 조정 전압(VREG)의 강하가 발생하고 발전기는 증가하는 출력 전류에 반응한다. LRC 기능이 활성화되면 발전기 출력 전류는 필드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직접 연결된 필드 전류 변화 전략에 의해 제어된다. LRC 기능은 발전기가 저속에서 작동할 때 작동 할 수 있다(발전기 속도 nGEN은 nLR보다 낮다). LRC 기능이 필요한 경우 듀티 사이클은 이전의 듀티 사이클이 고정 값 DFLRCBZ만큼 증가한 상태에서 시작하여 정의된 기울기 tLRD로 천천히 증가한다. 엔진 크랭크와 nO 이상의 교류 발전기 속도 후에, 전압 조정기는 엔진 부하의 급격한 증가를 피하기 위해 전계 듀티 사이클의 증가율을 제한해야 한다. 이 제한속도가 Load Response Control(LRC)이다.
로드 응답 기능은 nGEN <nLR에 대해 활성화된다. 발전기 속도가 nLR 미만으로 떨어지면 TFILT = 300ms의 버퍼 시간이 지나면 이 기능이 활성화된다. 발전기 속도가 nLR을 초과하면 기능이 즉시 비활성화된다. 부하 반응 차단 속도는 시작 절차 중에 무시된다. 즉, 부하 응답 기능이 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전기 부하 스위치가 켜지는 경우, 특히 불량 또는 결함 배터리의 경우, 전원 공급 장치의 전압이 낮은 값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전압이 최소 작동 전압 아래로 떨어지면, 특히 배터리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발전기가 꺼질 수 있다.
전압 강하의 지속 시간은 빠른 레귤레이션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저전압에 대한 임계값은 VLOW이다. 즉, 부하 응답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더라도 제한값 이하로 빠른 조정이 있다.
예를 들어 부하 차단 또는 부하 덤프로 인한 과전압은 출력단을 스위치 오프 상태로 만든다. 이 경우 발전기가 완전히 꺼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 전압은 10.2V로 조절된다. 이로써 램프의 스위치 온 (turn-on)이 방지되고, 전압은 설정 값으로 더 빠르게 조절될 수 있다.
램프 터미널에서 신호가 누락 된 경우, 레귤레이터는 회전자의 잔류에 의해 유도된 위상 신호를 감지한 후에 활성화된다. 발전기 속도가 nNOT보다 높으면 조절기가 조절 모드로 전환된다.
레귤레이터 파라미터(레귤레이션 세트 전압, 부하 응답 파라미터)는 정상 작동시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비상 시동시 시동 회전 속도는 회전자의 잔류 및 발전기의 동력에 달려있다(그러나, nNOT를 초과해야 한다). 비상 시동 기능은 항상 활성화되어 있다. 즉, 레귤레이터가 L- 단자에 의해 차단될 수 없다.
nGEN > nSTART 정상 작동 중에 램프 단자의 신호가 끊어지면 레귤레이터는 정상 작동 모드를 유지하고 회전 속도가 nO보다 낮은 경우에만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기본 모드 기능은 항상 활성화되어 있다. 즉, 레귤레이터는 L 단자에 의해 전원을 끊을 수 없다.
SENSE는 조정된 전압에 대한 (B + A) 종단 대신에 기준으로 사용된다. SENSE의 전압이 VSENSE_SB보다 낮아지면 조절이 (B + A)로 토글(toggle)되고 결함이 즉시 보고된다. SENSE의 전압이 VSENSE_BS까지 상승하면 SENSE로 다시 전환되고 결함은 즉시 해제된다.
대기 전류를 줄이기 위해 절전 모드로 전환하면 내부 디바이더 브리지 (B + A) 및 SENSE가 비활성화된다.
발전기 전압을 선택적인 배터리 충전 전압에 맞추기 위해, 온도가 증가하면 레귤레이터 전압이 감소된다. 저온에서 너무 높은 전압을 피하기 위해 VLIMIT에 대한 추가 제한이 구현될 수 있다.
DFM-터미널은 마스터 컨트롤 유닛과 듀티 사이클을 펄스 폭 변조 신호로 변환한다. DFM 터미널에는 단락 회로 보호 기능이 구비된다. 단락 보호는 전원 전압이 레귤레이터 (B + A 단자)에 인가되면 활성화된다.
"Ignition ON"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Lamp에서 전압 VLON의 활성화 임계값을 초과해야 한다. 전압 피크(외란)에 대해 보다 견고해지기 위해서는 추가 전류 싱크가 램프 단자의 레귤레이터에 구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램프의 최소 전압 외에도 레귤레이터의 활성화에는 최소 스위치 온 전류 IL_EIN (2.5mA)이 필요하다. 조절기가 활성화되고 램프 드라이버가 켜지면 전류 싱크가 비활성화되고, 레귤레이터가 대기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활성화된다.
레귤레이터는 해당 회전 속도 임계값이 활성화 및 감지된 후 조절 모드로 전환된다. 활성화 임계값 VLOFF 아래에서 레귤레이터는 "Ignition OFF"(L에서 로우 레벨)를 감지한다. 유효한 알터네이터 속도(nGEN> nO)를 측정할 수 있으면 대기 모드로 전환되거나 조절 모드로 유지된다.
L 터미널에는 단락 보호 기능이 구비된다. 단락 회로 보호는 공급 전압이 레귤레이터 (B + A 단자)에 적용될 때만 활성화된다.
레귤레이터는 위상 레귤레이션 모드로 들어가고 위상 전압을 8.3V로 조절한다. 위상 주파수(발전기 속도)는 0V ~ 8V 범위에서 평가된다. AC 피크 진폭 임계값은 VV_SW(2.45V typ.)이다. 따라서 이 임계값 아래의 모든 피크 전압은 평가되지 않는다. 보다 민감한 경우 AC 피크 진폭 임계값은 내부적으로 낮은값 VV_SW_not(1.2V typ.)로 전환된다. 상 전압이 이 임계값에 도달하면 레귤레이터는 비상 시작 모드로 전환된다. 비상 시작 임계값이 VV_NOT(1.45V typ.)에 도달하는 즉시 레귤레이터는 정상 레귤레이션 모드로 들어간다. 위상 신호 Vv의 평가는 진폭 및 주파수 검출에 의해 수행된다. 임계 레벨 VV_SW(L이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레벨)가 초과되면 위상 신호가 평가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엔진 회전수, 배터리 전압상태, 차량 내 부하조건 및 온도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충전 및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아날로그 전압, 디지털 전압 및 레퍼런스 전압을 생성하는 서플라이;
    전압강하된 브릿지전압과 전압강하된 센스전압 중 어느 하나를 받아들이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로 인가된 전압을 필터링시키는 로우패스필터;
    상기 필터링된 전압을 일정한 주파수의 PWM(Pulse-wid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시키는 펄스폭변조기;
    DF 전류를 제한하는 플립플롭 신호에 따라 로우 사이드 DF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FM 드라이버;
    플립플롭 신호에 따라 여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구동하고 과전류발생시 하이 사이드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는 EXC 드라이버;
    램프스위치를 온오프(ON/OFF)시키는 램프 드라이버;
    램프가 오프(OFF)되면 하이 사이드 보조 부하 트랜지스터를 온(ON)시키는 AUX 드라이버; 및
    상기 펄스폭변조기와 연결되며 변환된 신호를 받아들이며, 상기 디지털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FM 드라이버, EXC 드라이버, 램프 드라이버, AUX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는 디지털코어;를 포함하는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코어에는 위상 신호를 모니터하고 회전자 속도와 고정자 전압을 측정하는 위상 프로세서가 더 연결되는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코어에는 프로그래밍을 위한 EEPROM이 더 연결되는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KR1020190046024A 2019-04-19 2019-04-19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KR20200122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24A KR20200122807A (ko) 2019-04-19 2019-04-19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24A KR20200122807A (ko) 2019-04-19 2019-04-19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07A true KR20200122807A (ko) 2020-10-28

Family

ID=7301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24A KR20200122807A (ko) 2019-04-19 2019-04-19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8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55A1 (ko) * 2021-08-27 2023-03-02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차량용 레귤레이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62B1 (ko) 2007-09-18 2011-05-2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차량용 발전기의 발전 동작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62B1 (ko) 2007-09-18 2011-05-2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차량용 발전기의 발전 동작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55A1 (ko) * 2021-08-27 2023-03-02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차량용 레귤레이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2216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control circuit for a power-supply unit, computer power-supply unit and method for switching a power-supply unit
US6414403B2 (en) Power unit
KR0141598B1 (ko) 2개의 다른 부하전압을 갖는 자동차용 전원회로
JP2008511277A (ja) 過電圧保護を行う電圧制御器
US6094363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AC sine wave output and energy recycle function
KR20130040657A (ko) 전원 변조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997969B2 (ja) 発電制御装置
KR20200122807A (ko) 차량 발전기의 다기능 레귤레이터
US20140266013A1 (en) Switched voltage booster
WO2012032621A1 (ja) キャパシタを用いた蓄電装置、その充電制御装置、および、その充電制御方法
JP2006094690A (ja) パワースイッチング装置
US6707278B2 (en) Transition voltage start regulator
JP364772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用半導体装置
JP3936584B2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1501854B1 (ko) 동기 정류기의 구동 장치
JP3464169B2 (ja) 携帯用発電機及び携帯用発電機の保護回路
JP2000215996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846201B1 (ko) 선박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기
JP318825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11220873A (ja) 電源回路
JP4000621B2 (ja) 車両用負荷駆動装置
JP4144220B2 (ja) 電力変換器
CN112886837B (zh) 开关电源及其控制芯片
CN116742731B (zh) 车载充电系统的控制方法、车载充电系统和车辆
CN117811364B (zh) 一种电压保持电路及方法、电源电路、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