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951A -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951A
KR20200121951A KR1020190044394A KR20190044394A KR20200121951A KR 20200121951 A KR20200121951 A KR 20200121951A KR 1020190044394 A KR1020190044394 A KR 1020190044394A KR 20190044394 A KR20190044394 A KR 20190044394A KR 20200121951 A KR20200121951 A KR 20200121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inlet
uni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민
백정민
이기영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홀로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홀로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홀로그램
Priority to KR1020190044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1951A/ko
Publication of KR2020012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5/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particles or using wave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G03H1/00 or G03H3/00 for obtaining holograms; 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th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유입되는 유입구에 설치되며 물을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수막 방향으로 영상을 조사하여 수막에 차량 진입을 막기 위한 홀로그램 영상이 투영되도록 하는 홀로그램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ystem using Hologram}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내부는 어둡고 비좁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시설이 진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소방대원의 인명 피해가 우려된다. 이에 따라, 터널 화재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터널 내부에는 스프링쿨러 등의 소방설비를 갖추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한편, 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방설비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고는 하나, 화재가 발생한 터널 내부로 차량이 진입한 경우, 운전자는 화염이나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의 위험성이 클 뿐만 아니라, 신속한 대피작업 및 소방차 진입이 이루어질 수 없어, 대형 인적 및 물적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터널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알려 운전자가 터널에 진입하지 않도록 유도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68349호 등에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터널 내부에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 터널 외부의 사고방지 단말을 부착한 차량들에게 경고신호 및 속도제어신호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되고, 터널 진입로의 양측 면에 설치된 비상알람장치를 작동시켜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비상상태를 터널 외부의 차량에게 알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고방지 단말을 부착하지 않은 차량의 경우, 경고신호 및 속도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상알람장치의 경우, 터널 진입로의 양측 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는 터널 진입로의 양측을 잘 보지 않게 되어, 터널 진입로의 양측에 위치한 비상알람장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68349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58221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이 유입되는 유입구에 설치되며 물을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수막 방향으로 영상을 조사하여 수막에 홀로그램 영상이 투영되도록 하는 홀로그램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영상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유입구의 상단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가 분사하는 물은 상기 유입구의 하방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유입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가 분사하는 물은 상기 유입구의 중앙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미분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홀로그램생성부와 연결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생성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데이터 중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생성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터널의 유입구, 실내주차장의 유입구 및 지하차도의 유입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막이 유입구의 중앙에 형성되도록 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수막에 투영되도록 구성되므로, 홀로그램 영상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되며, 따라서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는 차량 진입을 막기 위한 홀로그램 영상을 멀리서부터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로그램 영상은 광으로 구현되므로, 터널 유입구와 같이 어두운 곳에서도 별도의 조명 없이 홀로그램 영상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막은 물로 형성되므로, 차량의 속도가 너무 빨라, 부득이하게 차량이 수막을 뚫고 지나간다 하더라도, 차량 안전에는 별 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운전자는 이미 차량 진입을 막기 위한 홀로그램 영상을 인지한 상태이므로, 터널 내부가 비상 상황임을 알 수 있어, 신속하게 터널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막은 유입구에 형성되므로, 터널 내부의 화재로 인한 불꽃 등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어, 화재 확산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부에는 복수의 영상데이터가 구비되므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맞춤식으로 영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이 터널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이 생성한 홀로그램 영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에 구비되는 분사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에 구비되는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이 터널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이 생성한 홀로그램 영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100)은 분사부(110), 분사관(120) 및 홀로그램생성부(130)를 포함하고, 관리서버(140: 도 4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110)는 차량(C)이 유입되는 유입구(T1)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입구(T1)라 함은, 터널(T)에서 차량(C)이 유입되는 유입구(T1), 즉 터널 진입로로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쇼핑센터의 주차장 유입구, 비상출입구 또는 지하차도의 유입구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분사부(110)는 유입구(T1)의 상단 중앙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스프링클러와 같이 물을 넓은 각도로 유입구(T1)의 하방으로 분사한다. 그리고 분사부(110)가 물을 분사하게 되면, 유입구(T1)의 중앙에는 분사부(110)가 분사하는 물줄기에 의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수막(M)이 형성된다.
여기서 분사부(110)는 미분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분사부(110)에서 분사되는 물이 주변 공기와의 속도차로 인해 분쇄되어 미분무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물과 압축가스를 이용하여 분사부(110)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높여 미분무가 분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분사부(110)에서 고온, 고압 상태로 물을 분사하여 미분무를 분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분사부(110)가 미분무를 분사하면, 분사부(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막(M)이 더욱 고밀도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홀로그램생성부(130)가 조사하는 영상이 더욱 선명하게 생성되는 효과가 있다.
분사관(120)은 분사부(110)로 물을 공급하는 관으로, 터널(T)의 상측 내부를 따라 형성된다. 분사관(120)은 예를 들면 상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또는 별도의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터널(T)의 유입구(T1)의 하측에는 분사부(110)가 분사하는 물이 배수되도록 배수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분사관(120)을 통하여 공급하는 물은 화재 진압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별도의 소화약제는 혼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생성부(130)는 유입구(T1)의 상측에 설치되며 수막(M) 방향으로 홀로그램 영상(H)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홀로그램생성부(130)는 유입구(T1)의 상황에 따라 분사부(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로그램생성부(130)가 조사하는 홀로그램 영상(H)이 수막(M)에 투영되면 홀로그램 영상(H)이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이러한 홀로그램 영상(H)은 플로팅 홀로그램(Floating Hologram)이라고도 한다. 홀로그램 영상(H)은 차량(C) 진입을 막기 위한 STOP, 진입금지, 정지 및 입구폐쇄 등의 문자 이미지 또는 도형 이미지 또는 교통표지판 이미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영상(H)은 차량(C) 진입을 막고 대피 동선을 유도하기 위한 방향을 알려주기 위한 화살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홀로그램생성부(130)는 후술하는 관리서버(140: 도 4)로부터 현재 상황에 맞는 각종 영상을 전달받아 이를 실시간으로 홀로그램 영상(H)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처럼 유입구(T1)에 형성되는 수막(M)은 유입구(T1)의 중앙에 형성되므로, 수막(M)에 투영되는 홀로그램 영상(H)은 차량(C)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되며, 따라서 전방 주시 의무가 있는 운전자는 홀로그램 영상(H)을 멀리서부터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로그램 영상(H)은 광으로 구현되므로, 터널(T)의 유입구(T1)와 같이 어두운 곳에서도 별도의 조명 없이 홀로그램 영상(H)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막(M)은 물로 형성되므로, 차량(C)의 속도가 너무 빨라, 부득이하게 차량(C)이 수막(M)을 뚫고 지나간다 하더라도, 차량(C) 안전에는 별 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운전자는 이미 차량 진입을 막기 위한 홀로그램 영상(H)을 인지한 상태이므로, 터널(T) 내부가 비상 상태임을 알 수 있어, 운전자는 안전하고 신속하게 터널(T)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막(M)은 유입구(T1)에 형성되므로, 워터 커튼 역할을 하여, 터널(T) 내부의 화재로 인한 불꽃 등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어, 산불 등의 화재 확산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에 구비되는 분사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사부(112)는 유입구(T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112)가 분사하는 물은 상기 유입구(T1)의 중앙 방향으로 분사되어, 유입구(T1)의 중앙에 수막(M)이 구비된다. 그리고 홀로그램생성부(130)가 수막(M) 방향으로 홀로그램 영상(H)을 조사하면, 유입구(T1)의 중앙에 홀로그램 영상(H)이 투영되어, 운전자는 홀로그램생성부(130)가 투영하는 홀로그램 영상(H)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에 구비되는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홀로그램생성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부(142)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으로 구성되며, 무선 통신의 경우, 블루투스, WLAN, 지그비, Wi-Fi, 3G, 4G, 5G 등이 있다.
관리서버(140)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44)와, 네트워크를 통해 홀로그램생성부(130)와 연결되는 통신부(142)와, 상기 통신부(142)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144)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생성부(130)로 전송하는 제어부(146)를 포함하고,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4)는 홀로그램 영상(H)을 위한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부(144)는 각각의 상황에 맞는 복수의 영상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영상데이터는 예를 들면, 일반 차량(C)의 진입은 금지하고, 소방차의 진입은 허용하는 "일반차량진입금지"와 같은 단어가 도시되는 영상데이터 및 일반 차량(C)과 소방차 모두 진입을 금지하는 "입구폐쇄"와 같은 단어가 도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2)는 네트워크를 통해 홀로그램생성부(130)와 연결된다. 제어부(146)는 통신부(142)를 이용하여 저장부(144)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홀로그램생성부(13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부(146)는 저장부(144)에 저장되는 복수 개의 영상데이터 중 현재 상황에 알맞은 영상데이터를 통신부(142)를 이용하여 홀로그램생성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터널(T) 내부에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터널(T) 내부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의 배치 간격은 터널(T) 크기, 터널(T) 구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기 감지부는 예를 들면, 열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터널(T) 내부에 발생한 화재로 인한 열을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부(142)로 전달한다. 통신부(142)는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결과를 제어부(146)로 전달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어부(146)는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화재의 심각성을 단계 별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각각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6)는 1단계는 경고제어신호, 2단계는 폐쇄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경고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146)는 저장부(144)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데이터 중 경고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 예를 들면, "일반차량진입금지" 와 같은 단어가 도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홀로그램생성부(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폐쇄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146)는 저장부(144)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데이터 중 폐쇄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 예를 들면, "입구폐쇄" 와 같은 단어가 도시되는 영상데이터를 홀로그램생성부(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어부(146)는 상기 감지부 대신, 외부의 관리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제어신호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홀로그램생성부(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구비하므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맞춤식으로 영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110, 112: 분사부 120: 분사관
130: 홀로그램생성부 140: 관리서버
142: 통신부 144: 저장부
146: 제어부

Claims (7)

  1. 차량이 유입되는 유입구에 설치되며 물을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수막 방향으로 영상을 조사하여 상기 수막에 홀로그램 영상이 투영되도록 하는 홀로그램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영상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유입구의 상단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가 분사하는 물은 상기 유입구의 하방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유입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가 분사하는 물은 상기 유입구의 중앙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미분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홀로그램생성부와 연결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생성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데이터 중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생성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터널의 유입구, 실내주차장의 유입구 및 지하차도의 유입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KR1020190044394A 2019-04-16 2019-04-16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KR20200121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94A KR20200121951A (ko) 2019-04-16 2019-04-16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94A KR20200121951A (ko) 2019-04-16 2019-04-16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51A true KR20200121951A (ko) 2020-10-27

Family

ID=7313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394A KR20200121951A (ko) 2019-04-16 2019-04-16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19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553A (ko) * 2021-03-11 2022-09-2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발전소 위험 지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221B1 (ko) 2004-01-19 2006-12-15 선우산기(주) 박막 워터커튼을 이용한 화재 연기 및 화염의 확산방지장치
KR101568349B1 (ko) 2015-03-31 2015-11-12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터널 화재 시 자동차 진입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221B1 (ko) 2004-01-19 2006-12-15 선우산기(주) 박막 워터커튼을 이용한 화재 연기 및 화염의 확산방지장치
KR101568349B1 (ko) 2015-03-31 2015-11-12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터널 화재 시 자동차 진입 차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553A (ko) * 2021-03-11 2022-09-2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발전소 위험 지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990B1 (ko) 화재 진화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장대터널
KR101037256B1 (ko)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
KR101937291B1 (ko) 터널용 화재 탐지 및 소화 시스템
JP4105582B2 (ja) 地下空間構造物の坑口防災設備
KR101849874B1 (ko) 헤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터널 진입 차단장치
ES2681473T3 (es) Instalación de lucha contra un incendio de tren en un túnel ferroviario de gran longitud y procedimiento de implementación
KR20090081833A (ko) 터널 및 공동구의 방재시스템
KR101006698B1 (ko) Rfid를 이용한 장대터널 내 소방장치 및 방법
JP2011227548A (ja) 非常覚知設備
KR102169077B1 (ko) 옥내소화전을 이용한 터널 진입 차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 화재 원격 자동화 소화 시스템
KR20060102192A (ko) 터널 화재 대응 시스템
KR20200121951A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AU778513B2 (en) Fire-fighting system for car tunnels
JP2006187432A (ja) 特定空間の防災設備
KR102084545B1 (ko)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120457A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JP2017038698A (ja) トンネル避難坑内の避難誘導装置
JP2005536320A (ja) 特にトンネル及び類似構造物用に設計された消火装置及び火災誘導システム
JP5883087B2 (ja) 非常覚知設備
JP6440219B2 (ja) トンネル火災告知設備
JP2017152002A (ja) 非常覚知設備
JP6440204B2 (ja) トンネル火災告知設備
KR102311018B1 (ko) 도로 터널의 소화 설비 시스템
JP2004074858A (ja) 鉄道火災事故の避難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
CN220672043U (zh) 一种智慧隧道安防平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