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597A -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Google Patents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1597A KR20200121597A KR1020190044348A KR20190044348A KR20200121597A KR 20200121597 A KR20200121597 A KR 20200121597A KR 1020190044348 A KR1020190044348 A KR 1020190044348A KR 20190044348 A KR20190044348 A KR 20190044348A KR 20200121597 A KR20200121597 A KR 202001215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nking
- terminal
- user
- authentication code
- measur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7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101100206389 Caenorhabditis elegans tag-12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OWZREIFADZCYQD-NSHGMRRFSA-N deltamethrin Chemical compound CC1(C)[C@@H](C=C(Br)Br)[C@H]1C(=O)O[C@H](C#N)C1=CC=CC(OC=2C=CC=CC=2)=C1 OWZREIFADZCYQD-NSHGMRRF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5—Toxicology, e.g. by detection of alcohol, drug or toxic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공장, 연구소 등 각종 건물 또는 기계 장치 등 음주 후 입장 또는 조작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시설에서 출입 통제 또는 작동 제한 등의 조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공장, 연구소 등 각종 건물 또는 기계 장치 등 음주 후 입장 또는 조작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시설에서 출입 통제 또는 작동 제한 등의 조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주로 인한 사고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나 음주후 화학물질과 같은 유독물질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폭발이나 화재, 또는 기계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 등 음주로 인한 사고는 다양하다. 음주 운전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법률적으로 단속 및 처벌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음주 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특히 공장이나 연구소 등 각종 화학물질과 기계 장비 등 위험 설비가 구비된 곳에서는 음주 단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음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전무한 상태이다. 차량이나 연구소,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음주 사고는 재산 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까지 크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정착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음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스마트 밴드 등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에 탑재된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로 체내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음주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주 여부 정보를 기초로 특정 공간 또는 설비에 출입 또는 작동 통제 등의 조치를 자동으로 취할 수 있는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은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주측정결과와 신원인증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음주 여부 및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판정하고,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이고 음주 상태가 아닌 경우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중앙관제서버와; 관제 대상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인증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관제 대상 장치의 장치제어부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관제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음주측정 단말기와, 상기 음주측정 단말기로부터 음주측정결과를 전송받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음주측정 단말기는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는 사용자의 신원인증정보와 음주측정결과 정보가 매칭된 QR 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원인증정보는 지문 인식 정보 또는 홍체 인식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된 신원인증정보가 수신되는 단계와; 수신된 신원인증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와;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음주 측정 결과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음주 측정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현재 음주 상태인지 여부가 판정되는 단계와;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이고, 음주 측정 결과 현재 음주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코드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인증코드가 관제 대상 장치에 설치된 관제단말기에서 인식되는 단계와; 상기 관제단말기에서 인증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관제단말기에서 관제 대상 장치의 장치제어부로 제어명령이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장치제어부로부터 장치작동부로 작동 명령이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해당 사용자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보증인 정보를 전달받아 보증인 단말기로 보증인 수락 여부가 조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증인 단말기로부터 보증인을 수락한다는 회신이 접수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코드가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음주 상태인 경우 공장이나 연구소 등의 건물에 출입을 통제하거나 특정 기계 장치를 운전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음주후 건물 출입이나 기계 장치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음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음주측정 단말기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의 관제단말기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의 중앙관제서버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음주측정 단말기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의 관제단말기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의 중앙관제서버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의 구성과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관제단말기(200) 및 중앙관제서버(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체내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후술하는 중앙관제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세부적으로 음주측정 단말기(110)와 모바일 단말기(120)를 포함한다.
음주측정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땀이나 수분 속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음주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식 음주측정센서가 구비된 단말기이다. 이러한 음주측정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밴드, 넥밴드, 안경, 의류, 장갑, 신발 등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든 형태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스마트밴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밴드(112) 형태의 음주측정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손목 피부와 접촉되는 후면에 형성된 슬롯(112a)에 접촉식 음주측정센서(116a)가 구비된 카트리지(116)가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음주측정 단말기(110)는 이와 같은 접촉식 음주측정센서(116a)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체내 알코올 농도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결과는 음주측정 단말기(110)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된다.
모바일 단말기(120)는 상기 음주측정 단말기(110)로부터 음주측정결과를 전달받아 이를 후술하는 중앙관제서버(300)로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원인증정보를 기초로 판정된 신원인증결과를 중앙관제서버(300)로 전달하며,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로부터 인증코드를 부여받아 후술하는 관제단말기(200)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NFC 등 통신 모듈이 탑재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에는 중앙관제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음주측정 단말기(110)로부터 측정 및 전달된 음주측정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음주측정결과는 중앙관제서버(300)로 실시간으로 계속 전달되어 저장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20)에서 과거 누적된 음주측정결과까지 열람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신원인증)하기 위한 신원인증기(122)와, 관제단말기(200)에서 모바일 단말기(12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태그(124)가 구비된다.
상기 신원인증기(122)는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지문인식기나 홍체를 인식하여 신원을 인식하는 홍체인식기 등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여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의 것도 적용 가능하다. 도 3 에는 이러한 신원인증기(122)의 예로서 지문인식기가 탑재된 스마트폰이 도시된다. 상기 지문인식기는 스마트폰 기종에 따라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후면에 탑재되거나 또는 전면 홈버튼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신원인증기(122)에서 감지된 신원인증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앙관제서버(300)로 전송되며, 중앙관제서버(300)에서는 수신된 신원인증정보가 미리 저장된 신원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20)로 인증코드를 전송한다. 상기 인증코드에는 사용자의 신원 정보와 음주측정결과 정보가 매칭되어, 후술하는 관제단말기(200)에서 식별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증코드(C)는 QR코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태그(124)는 관제단말기(200)가 모바일 단말기(120)를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식별태그(124)에는 모바일 단말기(120)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ID)가 부여되어 관제단말기(200)가 해당 고유 식별코드(ID)를 인식함으로서 모바일 단말기(120)를 식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식별태그(124)는 RFID 태그, NFC 태그 또는 비콘태그(스티커형)일 수 있으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20)에 부착될 수도 있고, NFC 기능과 블루투스(비콘)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경우 별도의 태그 없이 내장된 NFC 또는 블루투스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지금까지 사용자 단말기(100)가 음주측정 단말기(110)와 모바일 단말기(120)가 별개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모바일 단말기(120)에 접촉식 음주측정센서가 장착된 단일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관제단말기(200)는 예컨대, 공장이나 연구소 등 건물의 출입문 또는 각종 기계 장치와 같은 관제 대상 장치에 설치되어 해당 관제 대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중앙관제서버(300)에 해당 인증코드 정보의 확인을 요청하고, 해당 인증코드 정보가 중앙관제서버(300)에서 발행한 인증코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장치제어부(40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제어 명령에 따라 장치제어부(400)는 장치작동부(50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장치작동부(500)가 작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제어부(400)는 차량, 연구소, 공장, 각종 기계 설비 등 음주 사고 예방 대상이 되는 장소 또는 장치의 출입 또는 사용을 위해 필요한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이며, 상기 장치작동부(500)는 상기 장치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실제로 작동이 수행되는 장치의 구성부이다. 예컨대, 차량의 경우 상기 장치작동부(500)는 도어락 또는 시동부가 될 수 있고, 상기 장치제어부(400)는 상기 도어락이나 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연구소나 공장 등 건물의 경우 출입문의 도어락 장치가 장치작동부(500)가 될 수 있고, 상기 장치제어부(400)는 상기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기계 설비의 경우 기계의 작동을 개시하기 위한 시동부가 장치작동부(500)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시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반이 장치제어부(400)가 될 수 있다. 상기 관제단말기(200)와 장치제어부(400), 그리고 장치제어부(400)와 장치작동부(500)는 서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명령과 작동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에는 상기 관제단말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제단말기(200)는 태그인식모듈(210), 인증코드인식모듈(220), 충격감지모듈(230), 알람모듈(240), 통신모듈(250)을 포함한다.
태그인식모듈(21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단말기(120)에 탑재된 식별태그(124)를 인식하는 부분이다. 상기 태그인식모듈(210)은 식별태그(124)의 종류에 따라 RFID 리더, NFC리더, 비콘리더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태그인식모듈(210)은 식별태그(124)에 부여된 고유 식별코드(ID)를 인식함으로서 특정 모바일 단말기(120)가 관제단말기(200)에 접근하는 것을 식별 감지한다.
인증코드인식모듈(2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단말기(120)가 중앙관제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부분이다. 상기 인증코드인식모듈(22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20)의 화면에 출력된 인증코드(큐알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S)를 포함하여 스캔된 인증코드를 이미지 처리하여 저장한다.
충격감지모듈(230)은 관제단말기(200)가 설치된 구역의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문이나 기계 장치 등을 허가되지 않은 자가 강제로 두드리거나 파손하려고 하는 등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알람모듈(240)에서 경보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충격감지모듈(230)은 진동센서를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강도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충격으로 판단하여 알람이 발생되도록 한다.
통신모듈(25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와 중앙관제서버(300) 및 장치제어부(40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관제단말기(200)는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를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여 인증코드 확인을 요청하고 중앙관제서버(300)로부터 해당 인증코드 확인결과를 전달받아 모바일 단말기(120)에 인증코드의 승인 또는 거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는 인증코드 확인결과와 식별태그(124) 인식 결과에 근거하여 장치제어부(400)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 에는 중앙관제서버(300)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음주측정정보관리모듈(310), 신원인증모듈(330), 음주여부판정모듈(320), 인증코드생성모듈(340), 보증관리모듈(350)을 포함한다.
음주측정정보관리모듈(310)은 사용자 단말기(100), 보다 구체적으로 음주측정 단말기(110)에서 접촉식 음주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음주측정결과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음주측정 단말기(110)에서 측정된 음주측정결과는 모바일 단말기(120)로 블루투스 등에 의해 1차 전송된 후 다시 중앙관제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음주여부판정모듈(320)은 상기 음주측정정보관리모듈(310)에 저장된 음주측정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현재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주여부판정모듈(320)은 미리 설정된 알코올 농도 기준치와 측정치를 비교하여 측정치가 기준치 농도 이상일 경우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정한다.
신원인증모듈(330)은 모바일 단말기(120)의 신원인증기(122)에서 획득된 신원인증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등록된 사용자DB의 신원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사용자만 출입 또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인증코드생성모듈(340)은 신원인증모듈(330)에서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신원이 확인되는 경우 인증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코드는 QR 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코드에는 사용자의 신원인증정보와 음주측정결과 정보가 매칭된다. 즉, 관제단말기(200)에서 인증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인증코드 확인을 요청하면 중앙관제서버(300)에 저장된 인증코드와 일치하는 여부 및 그와 매칭된 신원인증정보와 음주측정결과 정보 등 인증코드 확인결과가 관제단말기(200)에 제공된다.
보증관리모듈(350)은 사용자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라도 등록된 복수의 타 사용자(보증인)의 보증이 있는 경우 인증코드생성모듈(340)로 하여금 인증코드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제서버(300)의 보증관리모듈(350)은 보증인 단말기(600)로 보증인 수락 여부를 조회하고, 보증인 단말기(600)에서 보증인 수락 여부 회신 결과에 따라 인증코드생성모듈(340)로 하여금 인증코드를 생성케할지를 결정하여 통보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는바, 이하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에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은 신원인증정보 수신 단계(S100), 등록 사용자 여부 확인 단계(S200), 음주 측정 결과 수신 단계(S300), 음주 상태 여부 판정 단계(S400), 인증코드 전송 단계(S500), 인증코드 인식 단계(S600), 제어명령 전송 단계(S700) 및 작동 명령 전송 단계(S800)를 포함한다.
먼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후 사용자가 관제단말기(200)로 접근하면 관제단말기(2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태그(124)를 인식하고 신원인증정보 입력을 지시한다.
신원인증정보 수신 단계(S1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획득된 신원인증정보가 수신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20)에는 지문인식기나 홍체인식기와 같은 신원인증기(122)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신원인증기(122)에 손가락이나 안구를 인식시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신원인증정보가 인식되도록 한다.
그 다음, 등록 사용자 여부 확인 단계(S200)에서는 수신된 신원인증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가 확인된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120)의 지문인식기에서 인식된 지문 정보(신원인증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중앙관제서버(300)에 전달되고, 중앙관제서버(300)에서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신원인증정보)와 전달된 지문 정보(신원인증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사용자 본인 여부를 확인한다.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종료되고, 관제 대상 장치는 작동되지 않아 사용자는 해당 관제 대상 장치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예컨대, 공장이나 연구소의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은 잠금 상태로 계속 유지되어 사용자가 출입할 수 없게 되고, 차량이나 기계 장치는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해당 차량이나 기계를 운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음주측정결과 수신 단계(S300)가 수행된다. 음주측정결과 수신 단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식 음주측정센서가 구비된 음주측정 단말기(110)로부터 측정된 음주측정결과가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되고 이는 다시 중앙관제서버(300)로 전달된다.
그 다음 음주 상태 여부 판정 단계(S400)에서는 중앙관제서버(300)에서 수신된 음주측정결과가 미리 저장된 기준치와 비교되고, 비교 결과 음주측정결과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다.
사용자가 현재 음주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중앙관제서버(300)에서 인증코드가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된다(S500).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인증코드는 사용자의 신원인증결과와 음주측정결과가 매칭된 QR 코드로 구성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신된 인증코드를 관제단말기(200)의 스캐너(S)에 인식시킨다(S600). 상기 관제단말기(200)에서 인증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관제단말기(200)는 관제 대상 장치의 장치제어부(400)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S700), 장치제어부(400)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장치작동부(500)로 작동 명령을 전송(S800)하여 관제 대상 장치가 작동하도록 한다. 예컨대, 공장이나 연구소 등의 건물 출입문의 도어락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고, 차량이나 기계 장치는 시동이 걸리게 되어 사용자가 해당 차량이나 기계 장치를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이면서 음주 상태가 아닌 경우에만 건물의 출입이나 장치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음주 상태에서는 건물에 출입하거나 장치를 운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음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사고 예방 방법은 보증인 수락 여부 조회 단계(S90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긴 하였지만 비교적 음주량이 많지 않은 경우 또는 실제 음주를 하지 않았으나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등 측정 결과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복수인의 보증인이 수락을 조건으로 예외적으로 관제 대상 장치에 출입 또는 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보증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기 등록된 타 사용자들 중 2명 이상을 보증인으로 지정할 수 있다. 중앙관제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지정된 보증인 대상자의 휴대 단말기(보증인 단말기(600))로 해당 사용자가 보증인 지정한 사실을 통보하고 수락 여부를 조회한다. 예컨대, 중앙관제서버(300)에서는 보증인 단말기(600)로 보증인 수락 여부 조회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보증인은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 후 사용자와 직접 통화하거나 메시지를 주고 받아 현재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제 대상 장치에 출입하거나 운전을 하더라도 사고 위험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보증인 수락을 회신할 수 있다. 중앙관제서버(300)에서는 보증인을 수락한다는 회신이 있는 경우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증코드를 관제단말기(200)에 인식시켜 관제 대상 장치에 출입하거나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증인이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고의 위험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한적으로 관제 대상 장치에의 출입 또는 운전이 가능하여 음주측정결과의 오류나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만일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음주측정 단말기
112 : 스마트밴드 112a : 슬롯
116 : 카트리지 116a : 음주측정센서
120 : 모바일 단말기 122 : 신원인증기
124 : 식별태그 200 : 관제단말기
400 : 장치제어부 500 : 장치작동부
600 : 보증인 단말기
112 : 스마트밴드 112a : 슬롯
116 : 카트리지 116a : 음주측정센서
120 : 모바일 단말기 122 : 신원인증기
124 : 식별태그 200 : 관제단말기
400 : 장치제어부 500 : 장치작동부
600 : 보증인 단말기
Claims (11)
-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음주측정결과와 신원인증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음주 여부 및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판정하고,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이고 음주 상태가 아닌 경우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중앙관제서버(300)와;
관제 대상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된 인증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관제 대상 장치의 장치제어부(4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관제단말기(200)를 포함하는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음주측정 단말기(110)와, 상기 음주측정 단말기(110)로부터 음주측정결과를 전송받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측정 단말기(110)는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사용자의 신원인증정보와 음주측정결과 정보가 매칭된 QR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인증정보는 지문 인식 정보 또는 홍체 인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획득된 신원인증정보가 수신되는 단계와;
수신된 신원인증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와;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음주 측정 결과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음주 측정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현재 음주 상태인지 여부가 판정되는 단계와;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이고, 음주 측정 결과 현재 음주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로 인증코드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된 인증코드가 관제 대상 장치에 설치된 관제단말기(200)에서 인식되는 단계와;
상기 관제단말기(200)에서 인증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관제단말기(200)에서 관제 대상 장치의 장치제어부(400)로 제어명령이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장치제어부(400)로부터 장치작동부(500)로 작동 명령이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음주측정 단말기(110)와, 상기 음주측정 단말기(110)로부터 음주측정결과를 전송받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측정 단말기(110)는 접촉식 음주 측정 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사용자의 신원인증정보와 음주측정결과 정보가 매칭된 QR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인증정보는 지문 인식 정보 또는 홍체 인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사용자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보증인 정보를 전달받아 보증인 단말기(600)로 보증인 수락 여부가 조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증인 단말기(600)로부터 보증인을 수락한다는 회신이 접수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로 인증코드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사고 예방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4348A KR102234164B1 (ko) | 2019-04-16 | 2019-04-16 |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4348A KR102234164B1 (ko) | 2019-04-16 | 2019-04-16 |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1597A true KR20200121597A (ko) | 2020-10-26 |
KR102234164B1 KR102234164B1 (ko) | 2021-03-31 |
Family
ID=7300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4348A KR102234164B1 (ko) | 2019-04-16 | 2019-04-16 |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41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1894A (ko) * | 2021-01-12 | 2022-07-19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 |
JP2023102737A (ja) * | 2022-01-12 | 2023-07-25 | 銓勝科技股▲ふん▼有限公司 | クラウドアルコール検知システム、及びクラウドデータ装置の認証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5234B1 (ko) | 2021-09-30 | 2022-05-09 | 주식회사 인피아이 | 음주상태 예측시스템 및 예측방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1253B1 (ko) | 1999-02-05 | 2001-11-02 | 홍성인 | 음주 측정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장치 및 방법 |
KR100603438B1 (ko) * | 2004-03-09 | 2006-07-24 | 주식회사 팬택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알콜 농도에 따른 이동체 제어 방법 |
KR20090105161A (ko) * | 2008-04-01 | 2009-10-07 | 주식회사 디에이텍 | 음주측정기 |
KR20140023479A (ko) * | 2012-08-16 | 2014-02-27 | 이시우 | 음주검출 및 안내시스템 |
KR101535296B1 (ko) | 2014-02-25 | 2015-07-08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차량 잠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768099B1 (ko) * | 2016-12-26 | 2017-08-16 | 김태우 |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180070926A (ko) * | 2016-12-19 | 2018-06-27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음주운전 방지 방법 |
KR101907958B1 (ko) * | 2015-12-31 | 2018-10-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출입 통제 방법 및 장치, 사용자 단말, 서버 |
-
2019
- 2019-04-16 KR KR1020190044348A patent/KR1022341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1253B1 (ko) | 1999-02-05 | 2001-11-02 | 홍성인 | 음주 측정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장치 및 방법 |
KR100603438B1 (ko) * | 2004-03-09 | 2006-07-24 | 주식회사 팬택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알콜 농도에 따른 이동체 제어 방법 |
KR20090105161A (ko) * | 2008-04-01 | 2009-10-07 | 주식회사 디에이텍 | 음주측정기 |
KR20140023479A (ko) * | 2012-08-16 | 2014-02-27 | 이시우 | 음주검출 및 안내시스템 |
KR101535296B1 (ko) | 2014-02-25 | 2015-07-08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차량 잠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907958B1 (ko) * | 2015-12-31 | 2018-10-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출입 통제 방법 및 장치, 사용자 단말, 서버 |
KR20180070926A (ko) * | 2016-12-19 | 2018-06-27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음주운전 방지 방법 |
KR101768099B1 (ko) * | 2016-12-26 | 2017-08-16 | 김태우 |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1894A (ko) * | 2021-01-12 | 2022-07-19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 |
JP2023102737A (ja) * | 2022-01-12 | 2023-07-25 | 銓勝科技股▲ふん▼有限公司 | クラウドアルコール検知システム、及びクラウドデータ装置の認証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4164B1 (ko) | 2021-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89525B2 (en) | System and apparatu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of a unique user and authorization of the unique user | |
US7856558B2 (en) | Biometric verification and dures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 |
KR101439348B1 (ko) |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 | |
US20060090079A1 (en) | Voice authenticated alarm exit and entry interface system | |
EP1998292B1 (en) | Mobile Based Identification in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Systems | |
US20160248782A1 (en) |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2234164B1 (ko) |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 |
US11568032B2 (en) |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 |
US10373413B2 (en) | Wearable security apparatus | |
US12087112B2 (en) | Access control accessibility | |
KR20180131135A (ko) |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41432A (ko) | 지문인식장치의 경보방법 및 시스템 | |
KR20130040408A (ko) |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 |
KR101728158B1 (ko) |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 |
EP4207112A1 (en) |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ate entrance | |
KR101907108B1 (ko) |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6489285B2 (ja) | 入退出管理システム | |
KR101063751B1 (ko) |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 |
CA2629271C (en) | A biometric verification and dures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 |
KR20220114338A (ko) |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 |
KR20160041521A (ko) |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합제어하는 시설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220149094A (ko) | 안전 귀가를 위한 시스템 운영방법 | |
KR20220040735A (ko) | 스마트 도어벨 출입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 |
KR20120059303A (ko) |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20190011939A (ko) |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정보 전송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