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894A -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894A
KR20220101894A KR1020210003939A KR20210003939A KR20220101894A KR 20220101894 A KR20220101894 A KR 20220101894A KR 1020210003939 A KR1020210003939 A KR 1020210003939A KR 20210003939 A KR20210003939 A KR 20210003939A KR 20220101894 A KR20220101894 A KR 20220101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love
sensor
wearable ke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332B1 (ko
Inventor
옥승호
최은혁
방유권
김대운
강준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3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preventing star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Abstract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통신으로 원격 시동이 가능한 차량 및 음주 분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시동을 제어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key)를 포함하되, 상기 음주 분석 모듈은 운전자의 호흡을 통하여 상기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초로 상기 원격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VEHICLE KEY CAPABLE OF DRINKING ALCOHOL MEASUREMENT AND A DRINKING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주 측정이 가능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통, 경찰이 음주측정기를 이용하여 음주운전여부를 파악하는데, 이 음주측정기는 운전자가 불대를 통해 호기를 불어넣으면 이 호기 속의 알코올의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종종 이러한 음주측정기의 정밀성을 문제시삼아 더 정확한 측정을 요구하는 음주운전자들이 있다. 왜냐하면, 혈중 알코올농도에 따라서 과태료 및 처벌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피측정자의 채혈된 혈액을 국립과학수사연구소로 보내서 분석하게 된다.
한편, 음주로 인한 자동차 관련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음주여부, 더 나아가서 혈중알코올농도는 사고경위에서 매우 중요한 단서이자 증거로 채택될 수 있기 때문에, 사고당시 혈중알코올농도의 정확한 측정치는 사건의 올바른 처리여부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사고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사고로 인해 운전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에는, 채혈방식을 채택할 수밖에 없는데, 의식이 없는 사람의 혈액을 채취하는 비동의 채혈은 법적 절차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채혈방식은 시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사고당시 운전자 또는 피해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정확하게 측정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채내에 흡수된 알코올은 0.015%/h의 비율로 분해될 뿐만 아니라 이는 개인에 따라 유동적이어서 빠른 시간 내에 더 많이 분해될 수도 있으므로, 장시간이 경과한 뒤에 측정된 알코올농도수치는 매우 낮은 신뢰성을 나타낸다. 또한, 현재 국내법에서 채택하고 있는 위드마크 방식은 이미 법원에서조차 결정적 증거로 채택될 수 없다는 판례가 있다.
따라서, 사고가 발생한 후에 음주 측정을 실시하는 것보다 사고가 발생하기 이전에 음주 측정을 실시하고, 음주 측정을 통과해야 차량에 시동을 걸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전기 차량 및 자율 주행 기술이 발전하면서,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이 허여되고 있다. 완전자율주행 기술이 완성되는 경우, 운전자는 운전대를 잡지 않아도 되고 다른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완전자율주행 단계까지 도달하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고 자율주행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운전자는 전방 주시하고 핸들에서 손을 떼서는 안된다.
이에, 운전자가 핸들에서 손을 떼지 않고서도 문자 등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입력장치에 대한 필요성 역시 증가하고 있다. 다만, 운전자가 차량 탑승시 웨어러블 입력장치와 함께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차량키를 같이 들고 움직이기는 어려울 수 있다 .
이에, 웨어러블 입력장치와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차량키를 하나로 통합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59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형 웨어러블 장치를 차량키로 사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되, 시동을 걸기 전에 장갑형 웨어러블 차량키에 포함된 음주 분석 모듈을 통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으로 원격 시동이 가능한 차량 및 음주 분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시동을 제어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key)를 포함하되, 상기 음주 분석 모듈은 운전자의 호흡을 통하여 상기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초로 상기 원격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원격 시동을 위한 시동 신호를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시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을 시동하는 차량 시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상기 음주 분석 모듈로부터 분석 결과값을 수신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분석 결과값에 따라 상기 시동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상기 운전자가 적어도 한 손에 착용하는 장갑 형태의 웨어러블 키로서, 상기 운전자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와 매칭하며,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시동 명령을 상기 차량 시동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에 있어서,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 말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감압 센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플렉스 센서, 상기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말단부에 설치된 자이로센서, 상기 차량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상기 감압 센서, 상기 플렉스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를 활성화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압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플렉스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상기 가상 쿼티 키보드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검지 손가락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출력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차량의 원격 시동을 명령하는 시동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시동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주 분석 모듈, 감압 센서, 플렉스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가상 쿼티 키보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주 분석 모듈로부터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값에 따라 상기 감압 센서, 상기 플렉스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감압 센서, 상기 플렉스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센싱값을 기초로 상기 가상 쿼티 키보드에 대한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시동을 위한 시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동 신호를 상기 시동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7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차량키를 장갑형 웨어러블 장치로 구성하여 운전자가 차량키를 분실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음주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를 통하여 음주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없도록 하는 발명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확인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에서 입력신호로부터 출력값을 판단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에서 제 1 센싱 데이터를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확인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확인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200)과 차량용 웨어러블 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200)은 통신으로 원격 시동이 가능할 수 있다. 차량용 웨어러블 키(100)는 장갑 형태일 수 있다.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음주 분석 모듈(120)을 포함하고 차량(200)의 원격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200)은 별도의 차량키를 가지고 차량(200)의 시동을 거는 것이 아니라,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로 차량(200)의 시동을 걸 수 있는 구성이다.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리모컨 키로서 원격으로 차량(200)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차량키일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장갑형 웨어러블 키(key, 100)는 제어 모듈(115), 음주 분석 모듈(120), ID 칩 모듈(117), 통신 모듈(114) 및 LED(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5)은 음주 분석 모듈(120)로부터 결과값을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메모리, 통신 모듈(114) 및 LED(13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4)은 제어 모듈(115)에서 생성된 제어 명령을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LED(130)는 미리 정해진 색깔을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LED(130)는 제어 모듈(115)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하고, 경고 신호에 따라 다른 색깔을 표시할 수 있다. ID 칩 모듈(117)은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신원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태깅(Tagging) 등으로 사용자의 신원 정보가 차량(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음주 분석 모듈(120)은 알코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음주 분석 모듈(120)은 알코올 센서를 사용하고, 운전자의 호흡을 통하여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초로 원격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주 분석 모듈(120)에 의하여 분석한 혈중 알코올 농도는 아래와 같은 3개의 단계로 나뉠 수 있다.
(1)제1 단계: 혈중 알코올 농도 0.03퍼센트 미만
(2)제2 단계: 혈중 알코올 농도 0.03퍼센트 이상 0.08퍼센트 미만
(3)제3 단계: 혈중 알코올 농도 0.08퍼센트 이상
음주 분석 모듈(120)은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제1 단계인 경우 운전자는 정상 상태라고 분류하고 결과값을 제어 모듈(115)에 전송할 수 있다.
음주 분석 모듈(120)은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제2 단계인 경우 운전자는 음주 상태라고 분류하고 결과값을 제어 모듈(115)에 전송할 수 있다.
음주 분석 모듈(120)은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제3 단계인 경우 운전자는 만취 상태라고 분류하고 결과값을 제어 모듈(115)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5)은 제1 단계 결과인 경우 원격 시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시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5)은 제2 단계 및 제3 단계 결과인 경우 시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 모듈(115)은 제2 단계인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한 후 시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단계인 경우 시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어 모듈(115)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초로 원격 시동을 제어하며, 해당 제어는 상술한 3단계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차량 시동 장치(220), 제어 장치(210), 통신 장치(230), ID칩 인식 장치(240) 및 디스플레이 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동 장치(220)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차량(200)의 시동을 거는 장치일 수 있다.
차량 시동 장치(220)는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차량(200)에서는 차량(200)의 엔진을 시동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차량 시동 장치(220)는 전기 차량(200)에서는 시스템을 턴-온(turn-on)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230)는 웨어러블 키(100)의 통신 모듈(114)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50)는 사용자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서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ID칩 인식 장치(240)는 근거리 통신 등으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에 포함된 ID 칩 모듈(117)과 통신할 수 있고, ID 칩 모듈(117)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200)은 카메라(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를 운전자 외 동승자가 착용하여 음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200)은 카메라(260)를 통하여 운전자가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비전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차량(200)은 디스플레이 장치(250)에 안내 문구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카메라(260)로 촬영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안내 문구는 운전자의 동작 등을 유도하는 내용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한 쌍의 장갑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사용자가 손에 착용함으로써 입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특히, 자판이 없는 키보드와 차량키를 혼합한 형태를 의미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센서를 통해 인식하고, 손 동작이 의미하는 문자를 인식한 출력값을 무선 통신 모듈(114)을 이용하여 차량(도 1의 200, 이하 동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감압 센서(101)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플렉스 센서(111)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자이로센서(103)로부터 획득한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검지 손가락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302)을 통해 출력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차량(200)은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250, 이하 동일)를 포함한 것으로서,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와 차량(200)은 누가 호스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페어링을 위해 식별자 즉,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생성하고 페어링을 수락하는 단말기가 마스터가 되고, 이러한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슬레이브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마스터가 될 수도 있고 슬레이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이러한 페어링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온라인 마켓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적어도 세 종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감압 센서(101), 플렉스센서(111) 및 자이로센서(10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고 인식한 손동작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고자한 문자 등을 출력값으로서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감압 센서(101)는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 말단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기 정해진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입력하였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센서(111)는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센서(111)는 사용자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으로부터 손가락의 구부림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플렉스 센서(111)는 플렉서블(flexible)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헤드 소켓의 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부림 저항 측정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따라서, 플렉스센서(111)는 장갑형태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에서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자이로센서(103)는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자이로센서(103)는 일반적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범위가 가장 넓은 검지 손가락의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자이로센서(103)의 센싱 신호로부터, 검지 손가락의 좌우(x축)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출력값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
(1) 차량 시동 명령
(2) 사용자 식별 정보
도 2와 같이, 운전자는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키워드 또는 문장을 입력하여 차량 시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입력된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 입력된 경우 차량 시동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자가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시동켜줘"라고 입력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저장된 키워드는 "시동"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웨어러블 키(100)를 이용하여 "시동켜줘"라고 입력한 경우, 의미 단위로 문장을 나누면(자연어 처리 사용) 상기 문장은 "시동"과 "켜", "줘"로 나뉠 수 있다. 이때, "시동"이라는 키워드가 미리 저장된 키워드와 동일하므로, 차량(200)의 제어 장치(도 1의 210, 이하 동일)는 차량 시동 장치(도 1의 220, 이하 동일)를 통하여 차량(200)의 시동을 켤 수 있다. 즉, 상술한 시동 신호는 운전자가 입력한 "시동켜줘"의 문장 형태일 수 있고, 차량(200)의 제어 장치(210)는 차량(200)에 포함된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할 수 있다. 차량(200)의 제어 장치(210)는 매칭값에 따라 차량 시동 장치(2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운전자는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신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신원 정보는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200)의 제어 장치(210)는 미리 저장된 키값과 입력된 신원 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사람의 신원과 미리 저장된 사람의 신원이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저장된 키값은 난수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수치일 수 있다. 미리 저장된 키값은 차량(200)에 포함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신원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도 1의 200)의 제어 장치(210)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 또는 ID 칩 모듈(117)에 차량 시동을 켤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에서 입력신호로부터 출력값을 판단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가상 쿼티 키보드는, 실제 키보드나 아닌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의 손가락 각각에 설정된 키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는 관성에 따라 손가락의 입력을 통하여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1에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감압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센싱 데이터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에서 감압 센서를 통해 인식한 압력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평평한 바닥면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감압 센서에서 가해진 압력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입력값을 제 1 센싱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제 1 센싱 데이터의 값이 임계값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키보드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가 아닌 에러값으로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입력을 분석하기 위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감압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압력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레벨을 선택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한 임계값은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된 압력값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을 특정 시점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특정 시간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인식 시간에 입력된 상기 압력에 따라 상기 입력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시간은 감압 센서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50ms 내지 150ms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2에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플렉스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입력신호의 y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제 1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 소정 손가락을 기준으로, 소정 손가락에 미리 설정된 예비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예비 출력값은 미리 결정된 가상 쿼티 키보드 한줄 당 하나의 자판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영문 가상 쿼티 키보드 자판을 기준으로 왼쪽 약지 손가락은 W. S. X가 할당될 수 있으며, 왼쪽 중지 손가락은 E, D, C가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검지 손가락의 경우 가상 쿼티 키보드 한줄당 두개의 자판키를 할당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문 가상 쿼티 키보드 자판을 기준으로 오른손 검지손가락은 Y, U, H, J, N, M이 할당될 수 있으며, 왼손 검지손가락은 T, R, G, F, B, V가 할당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입력신호가 검출된 손가락의 y축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가 어떤 출력값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차량(200)와 페어링을 시작한 후 문자를 입력하기 전에 y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차량(200)로부터 문자 입력 시작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y축의 기준점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키보드 입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y축 기준점을 설정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3에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입력 신호가 검지손가락으로부터 획득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신호가 검지손가락인 경우, 같은 y축 위치에서 2개의 예비 출력값을 갖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판단을 위한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4에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입력 신호가 검지손가락에서 입력된 신호로 판단된 경우,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입력신호의 x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x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 이후 소정의 시점에서 입력신호의 좌우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자이로센서에서 센싱된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점으로부터 좌측에서 검출된 신호인지, 우측에서 검출된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검지 손가락에서 획득한 입력신호의 y축 위치가 가장 상단부인 경우 예비 출력값은 Y, U 이며, 기준점을 기준으로 우측값으로 판단된경우 최종 출력값은 U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5에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입력신호의 위치 정보로부터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입력신호의 위치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최종적인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가 복수개로 입력되는 경우,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조합한 값을 출력값으로서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6에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통신 모듈(114)을 이용하여 출력 값을 위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통신 모듈(114)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는 NFC 방식,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바코드 인식 방식, QR 코드 인식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장갑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웨어러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되며, 화학식 1에 의하여 표시되는 에폭시계 에스테르 화합물 15 내지 25 중량%,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프탈레이트계 및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혼합물 및 트리멜리테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르 화합물 20 내지 25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계 고무 중합체 5 내지 10% 중량%, 상대점도(25
Figure pat00001
가 2.0 내지 2.8cP이고, 수평균분자량이 20,000 내지 200,000g/mol인 폴리 아미드 30 내지 50 중량%, 공액 디엔 고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R4는 (C8-C20)에폭시알킬이고, R5는 (C1-C10)알킬 또는
Figure pat00003
이고, 상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알킬 또는
Figure pat00004
이며, 상기 알킬은 (C1-C5)알킬 또는
Figure pat00005
이 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R41 및 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C8-C20)에폭시알킬이며, 상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정수임).
또한,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력신호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보다 구체적으로 대전방지층으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방지하여, 입력신호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코팅층의 부착력이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방지층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여기서,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10의 정수이며,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한된 알킬렌기, 치환된 아릴렌기, 치환된 알킬기 및 치환된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르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실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실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보다 바림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7
여기서, m 및 p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30 내지 5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는 소량 포함되어, 대전방지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라파이트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대전방지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전방지층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알킬기는 소수성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대전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방지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그라파이트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및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는 1,200 내지 1,500cP이며, 상기 점도가 1,200cP 미만인 경우에는 일면에 코팅 시 흘러내려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5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8
여기서, m은 10 내지 3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DY1 DY2 DY3 DY4 DY5 DY6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20 30 40 60 80 100
알루미나 10 20 30 40 50 60
그라파이트 1 3 5 7 10 15
(단위 중량부)
상기 알루미나는 입자 직경이 30 내지 50㎛이다.
2. 보호층의 제조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HS 1 내지 HS 6의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 후, 열 경화시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대전방지 효과 실험]
1. 점도 측정
폴리아미드 기재층의 일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DY1 DY2 DY3 DY4 DY5 DY6
점도(cP) 620 800 1010 1400 1950 2400
2. 표면 전기 저항 측정
폴리아미드 기재층의 일면에 DY 1 내지 DY 6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보호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5℃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아미드 기재층에 대한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
비교예 DY1 DY2 DY3 DY4 DY5 DY6
표면전기저항
(Ω/cm2)
7.4×1011 내지 1.6×1012 6.4×109 내지 1.4×1010 1.4×109 내지 1.6×1010 7.2×108 내지 6.1×109 4.4×107 내지 2.1×108 6.5×107 내지 4.5×108 5.8×108 내지 7.8×108
상기 표 4에 따르면,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DY 1 내지 DY 6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3.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Х: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DY1 DY2 DY3 DY4 DY5 DY6
관능 평가 ×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아미드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사용자의 열 손가락 각각의 말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10개의 감압 센서(101)는 손가락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센싱되는 경우, 신호가 센싱된 손가락을 판단함으로써 예비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 센서(111)는 사용자 손가락의 구부러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 센서(111)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의 편의성을 위하여 플렉스 센서(111)의 양끝 부분과 중간 부분만 장갑에 부착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자이로센서(103)는 사용자의 양손 검지 손가락에 설치되어, 검지손가락이 입력된 x축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03)는 손의 방향 정보를 측정한다. 추가적으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가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손의 회전 정보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및 지자기의 방향을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03)의 측정값은 관성 측정 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로 제공될 수 있다. 관성 측정 장치는 이동 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와, 회전 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계,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의 총 세 가지 센서로 이루어진 하나의 통합 유닛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속도계와 자이로계 및 자계에 대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3축, 즉 피치(pitch), 롤(roll), 요(yaw)에 대한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어 모듈(115)는 감압센서(101), 자이로센서(103) 및 플렉스센서(111)에서 인식한 사용자 입력신호의 오차율을 줄이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파라미터 범위를 20%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손등 부분에 음주 분석 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LED(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주 분석 모듈(120)은 알코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는 차량 시동을 걸기 전, 음주 분석 모듈(120)의 알코올 센서 부분에서 호흡하여 호흡 속의 알코올 수치가 알코올 센서에 인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음주 분석 모듈(120)은 운전자의 호흡 속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도출해낼 수 있다. 혈중 알코올 농도를 도출하는 수식 및 과정은 종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LED(130)가 구동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손바닥 부분에 ID 칩 모듈(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D 칩 모듈(117)이 손바닥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운전자는 보다 용이하게 ID 칩 모듈(117)을 차량에 태깅(tagging)할 수 있다. ID 칩 모듈(117)에 저장된 신원 정보는 태깅에 의하여 차량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에서 제 1 센싱 데이터를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L1, L2, L3은 각각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 입력 레벨의 의도하면서 서로 다른 크기의 힘을 가한 경우 압력의 증감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지칭한다. 다시 말하면 각각 약 레벨, 중 레벨, 강 레벨의 정도로 힘을 가한 경우를 지칭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바닥면에 가해지는 힘은 40~50ms 정도에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80 ~ 100ms 정도에서 피크를 나타낸 다음 110 ~ 120ms 정도에서 크기 감소가 종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상기 인식 시간은 감압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상기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50ms 내지 150ms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ms 내지 110ms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0ms 보다 작거나 150ms 보다 큰 시간을 인식 시간으로 설정하면, 장갑형 웨어러블 키에 가해지는 입력에 따라 가해진 압력의 크기를 올바르게 측정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식 시간은 감압 센서(101)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상기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시간이 인식 시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고정된 인식 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입력되는 압력의 크기의 변화를 분석하여,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시점에서의 압력의 크기를 기준으로 입력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 압력값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가 의도한 압력의 크기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입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압 센서(101)로부터 입력되는 압력의 크기를 시간 별로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들 중에서 가장 큰 압력을 이용하여 입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최대값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값 식별을 위하여 메모리가 소요되고 신호 처리를 위한 전력이 소모될 수 있으므로, 메모리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 미리 설정된 인식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인식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인식 시간에서 입력된 압력만을 이용하여 입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를 절약하고 신호 처리에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입력 레벨의 인식을 위하여 사용자 별로 가장 적합한 임계치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임계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에 의하여 구동되는 설정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복수개의 값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프로그램의 설계자는 각 나이, 성별, 신체적 조건을 가지는 사용자들에 대하여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에 대한 입력 시 가하는 힘의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 결과 통계에 따라, 내어 각 나이, 성별, 신체적 조건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임계치 값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설정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체적 조건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별 임계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에 의하여 구동되는 설정 프로그램에서는 각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임계치 값이 미리 설정되고,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프로파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정 프로그램이 나이와 연령 대 별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가 여자, 20대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선택하면,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여자, 20대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제1 임계치 : 0.5N, 제2 임계치 3N)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임계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가 각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한 압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감압 센서(101)로부터 입력받은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레벨을 선택하기 위하여 비교 기준이 되는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센서부(105), 통신 모듈(114), 배터리(116), 제어 모듈(115) 및 메모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센서부(105)는 감압센서, 자이로센서, 플렉스센서를 포함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5)는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배터리(116)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며, 예시적으로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12) 및 메모리(112)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제어 모듈(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어 모듈(115)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구동하여 제어 모듈(115)에 연결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15)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5)는 다른 구성요소(통신 모듈(114))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15)는 메인 제어 모듈(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듈),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제어 모듈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제어 모듈(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제어 모듈, 센서 허브 제어 모듈, 또는 커뮤니케이션 제어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제어 모듈은 메인 제어 모듈과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통신 모듈(114)은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와 차량(200)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4)은 제어 모듈(115)(예: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듈)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14)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어 모듈(115)는 제 1 키보드 입력이 검지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경우, 추가적으로 제 3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위치 및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어 모듈(115)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센싱 데이터의 임계값을 결정하고, 감압 센서를 통해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압력이 감지된 손가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예비 출력값으로서 결정하고, 제 2 센싱 데이터 및 제 3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출력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어 모듈(115)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에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매핑하고, 입력신호의 위치가 명확하기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신호를 획득한 감압 센서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메모리(112)는 제어 모듈(115)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장치로 입력되거나 또는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1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이다.
메모리(11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적용례]
따라서, 이하 상술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100)를 활용한 예시들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제1 예시]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 말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감압 센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플렉스 센서;
상기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말단부에 설치된 자이로센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압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플렉스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상기 가상 쿼티 키보드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검지 손가락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출력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
[제2 예시]
제 1 예시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된 제 1 센싱 데이터를 제 1 키보드 입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1 키보드 입력의 y축 방향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
[제3 예시]
제 2 예시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보드 입력이 검지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경우, 추가적으로 제 3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위치 및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
[제4 예시]
제 1 예시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의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감압 센서를 통해 상기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압력이 감지된 손가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예비 출력값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 및 제 3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출력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
[제5 예시]
제 1 예시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에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매핑하고,
상기 입력신호의 위치가 명확하기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를 획득한 감압 센서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
[제6 예시]
제 1 예시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상기 감압센서, 자이로센서 및 플렉스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인식한 사용자 입력신호의 오차율을 줄이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파라미터 범위를 20%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
[제7 예시]
제 1 예시에 있어서,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져있으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되며, 화학식 1에 의하여 표시되는 에폭시계 에스테르 화합물 15 내지 25 중량%;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프탈레이트계 및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혼합물 및 트리멜리테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르 화합물 20 내지 25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계 고무 중합체 5 내지 10% 중량%;
상대점도(25
Figure pat00009
가 2.0 내지 2.8cP이고, 수평균분자량이 20,000 내지 200,000g/mol인 폴리 아미드 30 내지 50 중량%;
공액 디엔 고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
[화학식 1]
Figure pat00010
(상기 R4는 (C8-C20)에폭시알킬이고, R5는 (C1-C10)알킬 또는
Figure pat00011
이고, 상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알킬 또는
Figure pat00012
이며, 상기 알킬은 (C1-C5)알킬 또는
Figure pat00013
이 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R41 및 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C8-C20)에폭시알킬이며, 상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정수임).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동작의 대상이 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 그 구성요소의 동작 및 구성요소간 연결관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주 분석 모듈(도 1의 120, 이하 동일), 감압 센서, 플렉스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가상 쿼티 키보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차량(도 1의 200, 이하 동일)의 원격 시동을 위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 방법은, 음주 분석 모듈로부터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값을 획득하는 단계(S1100), 혈중 알코올 농도값에 따라 감압 센서, 플렉스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S1200), 감압 센서, 플렉스 센서 및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센싱값을 기초로 가상 쿼티 키보드에 대한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300), 입력 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시동을 위한 시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400) 및 시동 신호를 시동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 방법은 ID 칩 모듈(도 1의 117)에 저장된 사용자 신원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차량으로부터 차량 시동을 걸 수 있는 권한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신호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로 입력된 키워드 또는 문장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시동 신호는 미리 저장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므로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모델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모델링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웨어러블 키
114: 통신 모듈
115: 제어 모듈
117: ID 칩 모듈
120: 음주 분석 모듈
200: 차량
210: 제어 장치
220: 차량 시동 장치
230: 통신 장치
240: ID 칩 인식 장치

Claims (8)

  1. 통신으로 원격 시동이 가능한 차량; 및
    음주 분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시동을 제어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키(key);를 포함하되,
    상기 음주 분석 모듈은 운전자의 호흡을 통하여 상기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를 기초로 상기 원격 시동을 제어하는 것인, 음주확인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원격 시동을 위한 시동 신호를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시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을 시동하는 차량 시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음주확인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상기 음주 분석 모듈로부터 분석 결과값을 수신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분석 결과값에 따라 상기 시동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주확인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상기 운전자가 적어도 한 손에 착용하는 장갑 형태의 웨어러블 키로서, 상기 운전자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음주확인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와 매칭하며,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시동 명령을 상기 차량 시동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음주확인시스템.
  6.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에 있어서,
    상기 장갑형 웨어러블 키는,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 말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감압 센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플렉스 센서;
    상기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말단부에 설치된 자이로센서;
    상기 차량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에 따라 상기 감압 센서, 상기 플렉스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를 활성화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압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플렉스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상기 가상 쿼티 키보드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검지 손가락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출력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차량의 원격 시동을 명령하는 시동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시동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인, 장갑형 웨어러블 키.
  7. 음주 분석 모듈, 감압 센서, 플렉스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가상 쿼티 키보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주 분석 모듈로부터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값에 따라 상기 감압 센서, 상기 플렉스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감압 센서, 상기 플렉스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센싱값을 기초로 상기 가상 쿼티 키보드에 대한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시동을 위한 시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동 신호를 상기 시동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장갑형 웨어러블 키의 동작 방법.
  8.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7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10003939A 2021-01-12 2021-01-12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 KR102423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939A KR102423332B1 (ko) 2021-01-12 2021-01-12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939A KR102423332B1 (ko) 2021-01-12 2021-01-12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894A true KR20220101894A (ko) 2022-07-19
KR102423332B1 KR102423332B1 (ko) 2022-07-20

Family

ID=8260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939A KR102423332B1 (ko) 2021-01-12 2021-01-12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3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35A (ko) * 2002-07-23 2004-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WO2006091753A2 (en) * 2005-02-23 2006-08-31 Zien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KR20150041336A (ko) * 2013-10-08 2015-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 장갑 기반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995932B1 (ko) 2017-12-01 2019-10-0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고감도 착탈형 알코올센서 모듈
WO2020101565A1 (en) * 2018-11-14 2020-05-22 Senseair Ab Breath analyzing system suitable for helmets
KR20200121597A (ko) * 2019-04-16 2020-10-26 (주)에스티엠자동화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435A (ko) * 2002-07-23 2004-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WO2006091753A2 (en) * 2005-02-23 2006-08-31 Zien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KR20150041336A (ko) * 2013-10-08 2015-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 장갑 기반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995932B1 (ko) 2017-12-01 2019-10-0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고감도 착탈형 알코올센서 모듈
WO2020101565A1 (en) * 2018-11-14 2020-05-22 Senseair Ab Breath analyzing system suitable for helmets
KR20200121597A (ko) * 2019-04-16 2020-10-26 (주)에스티엠자동화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332B1 (ko)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6059B2 (en) Hand motion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2945137B1 (en) Mobile terminal and vehicle control
US77390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of a device using human breath
US20180365400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for connected vehicles including autonomous vehicles
CN102265242B (zh) 在移动设备上使用运动处理来控制和访问内容
US20150328985A1 (en) Driver monitoring system
WO2013005840A1 (ja) 移動情報端末、行動特徴学習方法、及び行動特徴認証方法
CN106471462A (zh) 写回到多个用户账户的车内共享屏幕系统
JP2009266097A (ja) 入力機器
CN107589973A (zh) 一种启动应用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1698962A2 (en) Human interface device and human interface system
CN111341349A (zh) 情绪推断装置、情绪推断方法、及存储介质
KR20160097032A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Micire et al. Design and validation of two-handed multi-touch tabletop controllers for robot teleoperation
KR102423332B1 (ko) 음주측정 가능한 차량키 및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시스템
US10152052B1 (en) Portable single-handed remote control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0235532B2 (en) Device access control
WO2017019390A1 (en) Universal keyboard
KR20200145826A (ko) 신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함께 차량 내 카메라를 사용한 무결절 운전자 인증
TW201118662A (en) Trace-generating systems and methods thereof
KR20210088038A (ko) 웨어러블 키보드
KR102415548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03887B1 (ko)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2168B1 (ko) 자율주행로봇을 이용한 반려동물 운동훈련 방법
KR102498029B1 (ko) 조난 예방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