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099B1 -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099B1
KR101768099B1 KR1020160179580A KR20160179580A KR101768099B1 KR 101768099 B1 KR101768099 B1 KR 101768099B1 KR 1020160179580 A KR1020160179580 A KR 1020160179580A KR 20160179580 A KR20160179580 A KR 20160179580A KR 101768099 B1 KR101768099 B1 KR 101768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lcohol concentration
blood alcohol
drinking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김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우 filed Critical 김태우
Priority to KR102016017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5Toxicology, e.g. by detection of alcohol, drug or toxic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음주량,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 연동할 메신저 및 경고 출력 조건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웨어러블 장치의 적외선 패드에서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손목 내측에 위치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가 음주량 및 경고 출력 조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각의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기준값의 허용오차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로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EXCHANGE MONEY AND PAYMENT SERVICE WITH VIRTUAL BANK ACCOUNT}
본 발명은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혈중알콜농도를 적외선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모바일 단말에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과 웨어러블 기기의 연구 및 개발이 급격화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기기들이 스마트 단말과 연동되어 다양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음주 측정은 여전히 입김을 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음주 측정을 간편히 하는 방법은 적외선을 이용한 방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17839호(2016.05.04 공고)와, 한국공개특허 제2001-0083306호(2001.09.01 공개)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항상 편리하게 지닐 수 있는 휴대성이 없고, 휴대성이 없는 경우 음주 상태를 제시간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며, 경고만 울리는 것이 아니면 지인에게도 연락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주자를 안전하게 귀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웨어러블 장치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시켜 휴대성을 높이고, 언제 어디서나 측정 결과를 표시하고 지인을 통하여 음주자의 안전 및 귀가를 확보하도록 하고, 혈중알콜농도를 적외선을 통하여 측정함으로써 음주자가 의도적으로 측정하지 않을지라도 지속적으로 혈중알콜농도를 기록할 수 있는,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목의 혈관으로부터 혈중알콜농도를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구비된 적외선 패드, 적외선 패드로부터 측정된 혈중알콜농도와, 적외선 패드로 측정된 심장 박동수(Pulse)와, 혈중알콜농도와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혈중알콜농도, 심장 박동수 및 결과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음주량,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 연동할 메신저 및 경고 출력 조건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웨어러블 장치의 적외선 패드에서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손목 내측에 위치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가 음주량 및 경고 출력 조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각의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기준값의 허용오차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로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웨어러블 장치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시켜 휴대성을 높이고, 언제 어디서나 측정 결과를 표시하고 지인을 통하여 음주자의 안전 및 귀가를 확보하도록 하고, 혈중알콜농도를 적외선을 통하여 측정함으로써 음주자가 의도적으로 측정하지 않을지라도 지속적으로 혈중알콜농도를 기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 및 모바일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 및 모바일 단말에서 음주 관리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 및 모바일 단말에서 음주 관리 서비스가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로 메세지 및 연결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웨어러블 장치(100), 모바일 단말(300),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웨어러블 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 및 모바일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200)는,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RFID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 근거리, 중거리 및 장거리 네트워크도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00), 모바일 단말(300),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알콜 농도 및 맥박을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00)는, 알콜 농도 및 맥박수를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원적외선 기법으로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부위를 감싸고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데이터 요청 신호가 오는 경우, 저장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하여 동기화를 실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웨어러블 장치(100)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300)은,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세지를 보내거나 호(Call) 발신을 실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300)은, 자신의 위치 및 현재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음주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앱 페이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측정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300)에서 설정한 기준치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로 해당 사실을 알람으로 알리거나, 현재 위치와 함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에서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우, 그 경로를 제공하고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은,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알람 메세지는, 호(Call), MMS, SMS, SNS 및 메신저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은, 자신이 현재 상황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 및 현재 음주자의 상태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 및 모바일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 및 모바일 단말에서 음주 관리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 및 모바일 단말에서 음주 관리 서비스가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로 메세지 및 연결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00)는, 적외선 패드(110), 디스플레이(120), 무선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모바일 단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로 음주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은, 음주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모바일 단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웨어러블 장치(100), 모바일 단말(300),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손목의 혈관으로부터 혈중알콜농도를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구비된 적외선 패드(110), 적외선 패드(110)로부터 측정된 혈중알콜농도와, 적외선 패드(110)로 측정된 심장 박동수(Pulse)와, 혈중알콜농도와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20), 및 혈중알콜농도, 심장 박동수 및 결과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300)로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는 진동 소자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30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음주량 및 측정된 음주량에 기반하여 산출된 기준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마다 주량이 다를 수 있고, A는 소주 한 병을 마신 경우 인사불성이 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B는 소주 한 병은 가볍게 취한 정도일 수 있다. 다만, 기준값은 혈중알콜농도로 디폴트 값이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는, 근적외선이 신체의 일부분에서 반사 및 투과되어발생되는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센싱하는 센싱하고, 센싱된 반사 및 투과 스펙트럼을 근적외선 분광 분석법으로 모델링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모델링된 반사 및 투과 스펙트럼을 기 설정된 단위로 미분하고, 미분된 스펙트럼을 다변량 회귀분석법으로 계산하여 계산값을 기 저장된 표준 검량곡선 데이터와 비교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는, 음주 측정기로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도 근적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빛을 손가락이나 손등 또는 손목에 조사하고 반사 및 투과되는 스펙트럼으로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위생적이고 신속 정확한 음주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의 일 실시예는, 그 내부에 시료가스가 흐르며 그 내면은 적외선을 반사하는 광도파로와, 광도파로의 내부에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광원과, 광도파로를 통과한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는, 광센서의 상류 측에 설치되어, 알코올 가스에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빛만이 광센서에 전달되도록, 적외선의 특정 파장의 빛만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와, 광도파로의 하류 측 일단에 설치되어 시료가스가 광센서 측으로 흐르는 것은 방지하고, 광도파로를 통과한 적외선 중 적어도 알코올에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은 통과시키는 하류 측 투명층과, 하류 측 투명층과 밴드패스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하류측 투명층을 통과한 적외선을 밴드패스필터에 전달하는 하류 측 광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는, 기준값의 기 설정된 허용오차범위 내에 측정된 혈중알콜농도가 위치하거나, 측정된 혈중알콜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진동 소자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모바일 단말(300)로 웨어러블 장치(100)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300)에서 실시간 위치를 기 설정된 지인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300)은, 음주량,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 연동할 메신저 및 경고 출력 조건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모바일 단말(300)은, 웨어러블 장치(100)의 적외선 패드(110)에서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손목 내측에 위치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300)은, 수집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가 음주량 및 경고 출력 조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각의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기준값의 허용오차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300)은,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로 알람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 메세지는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로의 발신 호(Call), SMS, MMS 및 메신저를 통하여 전송되고, 모바일 단말(30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이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의 메신저를 통하여 공유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영상은 메세지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300)과 웨어러블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고,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가 기 등록된 주점의 위치와 동일할 경우, 블루투스 통신은 강제로 활성화되고, 블루투스 통신 또는 모바일 단말(300)에 설치된 음주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버튼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300) 및 웨어러블 단말의 디스플레이(120)는,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의 수치에 따라 기 설정된 경고 레벨 및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색상은 디스플레이(120)의 바탕화면의 색상이고, 색상의 디스플레이(120)는 점멸 및 점등을 반복하되,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의 수치가 높아질수록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음주 관리 서비스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블루투스로 모바일 단말(300)과 웨어러블 장치(100)가 연동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300)은, 음주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고, 실행할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b) 웨어러블 장치(100)는, 적외선분광법의 원리로 혈중알콜농도를 스캔하여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고, (c)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 웨어러블 장치(100)는, 위험도가 달라질수록 화면 또는 텍스트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는데, (b) 위험한 경우 진동 등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이때, 이미 위험한 경우에는 인사불성이 된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자신이 색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색상 변화와 함께 진동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그리고, (c) 자신이 미리 설정한 지인에게 연락을 취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음주자는 이미 인지기능이 마비된 상태일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300)의 카메라로 현재 상황을 중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a) 사용자가 소주 4잔을 마셨을 경우 혈중알콜농도가 위험에 이르는 경우, 모바일 단말(300)은, 현재 혈중알콜농도와 설정된 위험 혈중알콜농도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몇 잔을 더 마셔도 되는지 등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b) 혈중알콜농도가 현재 위험 상태인 경우, 모바일 단말(300) 및 웨어러블 단말(100)은, 더 마시면 안된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고, 이를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c) 이는, 메세지 형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지인이 메세지를 클릭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현재 음주자의 상태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500)은 현재 상태 뿐만 아니라 현재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가 파악된 경우, 어느 한 명의 지인이 데리러 간다고 메세지를 보내면, 다른 지인에게는 임의의 지인이 가고 있다는 것도 알려줄 수 있다.
(d) 그리고, 음주자에게도 다양한 방법의 술 깨는 방법을 소개해주면서 시도하도록 모바일 단말(300)에서 술 깨는 방법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은, 음주량,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 연동할 메신저 및 경고 출력 조건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S6100).
그리고 나서, 모바일 단말은, 웨어러블 장치의 적외선 패드에서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손목 내측에 위치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S6200).
또한, 모바일 단말은, 수집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가 음주량 및 경고 출력 조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각의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기준값의 허용오차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S6300).
마지막으로, 모바일 단말은,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로 알람 메세지를 전송한다(S6400).
이와 같은 도 6의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음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손목의 혈관으로부터 혈중알콜농도를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구비된 적외선 패드;
    상기 적외선 패드로부터 측정된 혈중알콜농도와, 상기 적외선 패드로 측정된 심장 박동수(Pulse)와, 상기 혈중알콜농도와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혈중알콜농도, 심장 박동수 및 결과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 위치를 기 설정된 지인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인, 웨어러블 장치.
  4.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음주량,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 연동할 메신저 및 경고 출력 조건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적외선 패드에서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손목 내측에 위치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측정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가 상기 음주량 및 경고 출력 조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각의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기준값의 허용오차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로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기 등록된 주점의 위치와 동일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은 강제로 활성화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또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음주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버튼은 비활성화되는 것인, 모바일 단말의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메세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로의 발신 호(Call), SMS, MMS 및 상기 메신저를 통하여 전송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의 메신저를 통하여 공유되는 것인, 모바일 단말의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웨어러블 단말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의 수치에 따라 기 설정된 경고 레벨 및 색상을 출력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의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바탕화면의 색상이고,
    상기 색상의 디스플레이는 점멸 및 점등을 반복하되, 상기 혈중알콜농도 및 맥박수의 수치가 높아질수록 속도가 증가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의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179580A 2016-12-26 2016-12-26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68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580A KR101768099B1 (ko) 2016-12-26 2016-12-26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580A KR101768099B1 (ko) 2016-12-26 2016-12-26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099B1 true KR101768099B1 (ko) 2017-08-16

Family

ID=5975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580A KR101768099B1 (ko) 2016-12-26 2016-12-26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597A (ko) * 2019-04-16 2020-10-26 (주)에스티엠자동화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KR102315493B1 (ko) * 2021-02-04 2021-10-21 김병석 음주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597A (ko) * 2019-04-16 2020-10-26 (주)에스티엠자동화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KR102234164B1 (ko) * 2019-04-16 2021-03-31 (주)에스티엠자동화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KR102315493B1 (ko) * 2021-02-04 2021-10-21 김병석 음주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1006A1 (en) Social media networking based on physiologic information
CN103891318B (zh) 对等设备支持的基于位置的服务提供者登记
US20230230460A1 (en) Bioresistive-fingerprint based sobriety monitoring system
KR101976366B1 (ko) 멀티미디어 기반의 고객 맞춤형 메뉴 추천이 가능한 무인 음식판매점 시스템
Pescosolido et al. An IoT-inspired cloud-based web service architecture for e-Health applications
US10373235B2 (en) Table-side information device imaging capture
KR101284119B1 (ko)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US8500009B2 (en) Real-time internet method for tracking number and gender of patrons in bar and night club establishments
US20140141837A1 (en) Alcohol Management System
KR101768099B1 (ko) 음주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453481A (zh) 电子设备和在电子设备中提供服务的方法
US10557844B2 (en) Bioresistive-fingerprint based sobriety monitoring system
CA3028753A1 (en) Wireless 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federated key management, asset management, and financial transactions
KR101909279B1 (ko) 감정교류형 스마트 요람 시스템
US10140643B2 (en) Method for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of product price information
JP2007140775A (ja) 測定器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健康管理システム
KR10136061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62446B1 (ko) 이동 단말기, 손떨림 진단 서비스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손떨림 진단 시스템
KR101766438B1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그룹 내 구성원들의 관리 지원 시스템
KR20140115232A (ko) 사용자 단말의 연결정보를 이용한 건강 관리 기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6354A (ko) 모바일 광고플랫폼
KR102436967B1 (ko) 패치형 체온계를 이용한 집단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224828A1 (en) Real-time dynamic monitoring of sentiment trends and mitigation of the same in a live setting
CN111493848A (zh) 一种智能手表检测健康数据的方法和系统
US119842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health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