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377A -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377A
KR20200121377A KR1020207029252A KR20207029252A KR20200121377A KR 20200121377 A KR20200121377 A KR 20200121377A KR 1020207029252 A KR1020207029252 A KR 1020207029252A KR 20207029252 A KR20207029252 A KR 20207029252A KR 20200121377 A KR20200121377 A KR 20200121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base material
management layer
exudate managem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817B1 (ko
Inventor
데이비드 제이. 니켈
매튜 디. 우즈
토드 엠. 에이케
톰 포르터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12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4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being a surge management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 용품은 상면시트층, 액체 불투과층, 및 상면시트층과 액체 불투과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상면시트층과 유체 연통하는 삼출물 관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은 상면시트층의 신체 대향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은 상면시트층과 흡수성 코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은 흡수성 코어로의 신체 삼출물의 직접 통과를 위한 개구를 정의하는 제1 구성요소를 갖는다. 삼출물 관리층은, 삼출물 관리층의 제1 구성요소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에 중첩되고 흡수 용품의 후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흡수 용품의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연장되는 제2 구성요소를 갖는다.

Description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과 같은 제품은, 예를 들어 소변, 생리혈 및/또는 혈액을 함유하는 인체 삼출물을 수집하고 보유하는데 종종 사용된다. 편안함, 흡수성, 및 분별성이 세 가지의 주요 제품 속성이며 흡수 용품 착용자의 관심 영역이다. 특히, 착용자는 종종 그의 속옷, 겉옷, 또는 침대 시트를 얼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러한 제품들이 누출을 최소화하면서 상당한 양의 신체 삼출물을 흡수할 것이며, 이러한 제품이 착용자가 이러한 얼룩에 의해 유발되는 이후의 당혹감을 피하는데 도움을 줄 것인지 알아보는 데에 관심이 있다.
현재, 신체 삼출물의 흡수를 위한 매우 다양한 제품이 기저귀, 배변연습 팬티, 여성용 패드, 생리대, 팬티 실드, 팬티 라이너, 및 실금 장치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제품은 일반적으로 신체 대향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과 의복 대향 액체 불투과성 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갖는다. 상면시트층 및 액체 불투과성 층의 에지는 종종 그들의 주변부에서 함께 접합되어 상면시트층을 통하여 제품 내로 수용된 신체 삼출물 및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기 위한 밀봉부(seal)를 형성한다. 사용시, 예를 들면 여성용 패드 및 생리대 같은 제품은 통상적으로 신체 삼출물의 흡수를 위해 속옷의 가랑이 부분에 위치되고, 액체 불투과성 층 상의 의복 부착 접착제가 사용되어 제품을 속옷의 내부 가랑이 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들 제품 중 일부는 또한 제품을 속옷에 추가로 고정시키고 속옷을 얼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자의 속옷 둘레를 감싸기 위한 날개 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날개 같은 구조(플랩(flap) 또는 탭(tab)으로도 알려짐)는 흔히 상면시트층 및/또는 액체 불투과성 층의 측방향 연장부로부터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기저귀, 훈련용 팬티, 및 일부 실금 제품과 같은 다른 제품들은 착용자의 하반신을 둘러싸서 착용자의 신체에 남아있을 수 있는 전방 허리 및 후방 허리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흡수 용품에 대한 한 가지 문제점은 흡수 용품이 항상 착용자의 신체에 적절한 착용감을 갖지 않을 수도 있어서 흡수 용품으로부터의 신체 삼출물의 누출 수준이 증가된 수준으로 이어질 수 있고 흡수 용품의 착용 동안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많은 종래의 흡수 용품은 평평하거나, 착용자의 신체가 윤곽을 그리는 동안 사용 전 평평한 영역을 갖는다. 비록 평평한 흡수 용품이 사용 중에 구부러질 수 있더라도, 착용자의 신체에 완전히 순응하지 못할 수 있어서, 흡수 용품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갭을 야기할 수 있어 신체 삼출물의 누출을 초래할 수 있다. 착용자의 움직임 또한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내의 접힘선을 바람직하지 않게 변형시킬 수 있어서, 신체 삼출물이 흡수 용품으로부터 돌아다니고 누출될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개선된 순응성을 갖는 개선된 제품, 예컨대 흡수 용품에 대한 필요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러한 흡수 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가 여전히 남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갖는 삼출물 관리층의 제조 방법은, 상기 삼출물 관리층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장치는 절단 롤러의 교차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절단 공구들 및 상기 한 쌍의 제1 절단 공구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절단 공구들을 분리하는 제2 절단 공구가 위치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 절단 롤러로서, 상기 제2 절단 공구는 상기 제1 절단 공구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절단 롤러는 제1 진공 시스템과 연관된, 상기 절단 롤러; 모루 롤러; 및 제2 진공 시스템 및 공기 송풍 시스템과 연관된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단계; 베이스 물질을 상기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물질을 적어도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pre-form)와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내의 베이스 물질을 분할해서 상기 제1 구성요소 내의 개구의 주변부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1 부분을 나타내고 상기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 상기 베이스 물질을 상기 이송 롤러로 이행시키는 단계;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섹션을 형성할 베이스 물질의 제3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를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부터 분리해서 상기 삼출물 관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을 적어도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는 적어도 제1 취약선 및 제2 취약선을 베이스 물질 내에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취약선은 천공선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을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물질을 분할하여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와 동시에 일어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을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는, 베이스 물질을 분할하여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 이전에 일어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을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는, 베이스 물질을 분할하여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 이후에 일어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물질을 분할하여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는 제3 취약선과 분리선을 상기 베이스 물질 내에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취약선은 압축 선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취약선은 눈금 바에 의해 생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1 구성요소의 섹션을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3 부분에 접합하는 단계를 더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는 제1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가지고, 삼출물 관리층의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은 제2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1 구성요소의 섹션을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상기 제3 부분과 중첩 구성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길이 방향 중심선을 상기 제2 길이 방향 중심선의 20도 이내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개구는 제1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가지고,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은 제2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섹션을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상기 제3 부분과 중첩 구성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길이방향 중심선을 상기 제2 길이방향 중심선의 20도 이내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1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3 부분과 중첩 구성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중첩 구성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중첩 구성으로 안내하는 단계는 제3 진공 시스템을 이용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중첩 구성으로 안내하는 단계는 슬라이딩 보드를 이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부터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를 결합하는 취약선을 파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선 2A-2A를 따라 절취된 도 1의 흡수 용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b는 선 2B-2B를 따라 취한 도 1의 흡수 용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선 4A-4A를 따라 절취된 도 3의 흡수 용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b는 선 4B-4B를 따라 취한 도 3의 흡수 용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선 6A-6A를 따라 취한 도 5의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6b는 선 6B-6B를 따라 취한 도 5의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7a는 선 7A-7A를 따라 취한 도 5의 흡수 용품의 또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7b는 선 7B-7B를 따라 취한 도 5의 흡수 용품의 또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면시트층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선 9-9을 따라 취한 도 8의 상면시트층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선 9-9을 따라 취한 도 8의 상면시트층의 단면도로, 유체 엉킴 공정으로 인해 상면시트층 내에서의 섬유의 가능한 이동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폼 및 섬유 복합재의 일부분의 단면도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12는 섬유상 물질이 관찰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된 도 11의 폼 및 섬유 복합재의 평면도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13은 폼 물질의 제2 평면 및 섬유의 일부분이 관찰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된 도 11의 폼 및 섬유 복합재의 평면도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삼출물 관리층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5a는 물질의 베이스 시트로부터 삼출물 관리층을 생성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5b는 도 15a의 방법의 단면 측면도를 제공한다.
도 16은 삼출물 관리층의 제조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7은 도 16의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절단 롤러용 절단 패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8은 도 16의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이송 롤러용 공기 시스템 패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9는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명확해지도록 일부를 절단한 도 22의 흡수 용품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흡수 용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유체 엉킴된 적층체 웹의 개방 구역 퍼센트(percent open area)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화상 시스템의 설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유체 엉킴된 적층체 웹의 돌출부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화상 시스템의 설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문자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소변 및 월경 유체와 같은 신체 삼출물의 개선된 흡입 및 보유를 제공하는 흡수 용품의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개선된 순응성을 가질 수 있는 흡수 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은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중앙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상면시트층, 액체 불투과층, 및 상면시트층과 액체 불투과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상면시트층과 유체 연통하는 삼출물 관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은 상면시트층의 신체 대향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은 상면시트층과 흡수성 코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은 흡수성 코어로의 신체 삼출물의 직접 통과를 위한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제1 구성요소를 갖는다. 삼출물 관리층은 제1 구성요소에 연결된 제2 구성요소를 갖는다. 제1 구성요소는 삼출물 관리층에 제1 높이 치수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구성요소는 삼출물 관리층에 제1 높이 치수보다 큰 제2 높이 치수를 제공할 수 있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흡수 용품"은 착용자의 신체와 대면 또는 근접(즉, 신체와 인접) 위치해서, 몸에서 배출된 각종 액체, 고체, 및 반고체 삼출물을 흡수하고 함유할 수도 있는 용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사용 기간 후 폐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티, 유소년용 팬티, 수영 팬티, 월경 패드, 생리대, 여성용 패드, 팬티라이너 및 팬티 쉴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여성 위생 제품, 실금 제품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일회용 흡수 용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에어레이드"(airlaid)는 본원에서 에어레잉 공정(airlaying process)에 의해 제조된 웹을 의미한다. 에어레잉 공정에서, 약 3 내지 약 52mm 범위의 통상적 길이를 갖는 작은 섬유들의 다발이 공기 공급부 내에 분리 및 포획된 후, 일반적으로 진공 공급부의 보조 하에 성형 스크린 상에 피착(deposit)된다. 무작위로 피착된 섬유는 그후, 예를 들어, 바인더 성분 또는 라텍스 접착제를 활성화하도록 핫 에어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된다. 에어레잉은,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전체 내용이 참고로 원용되는 Laursen 등의 미국특허 제4,640,810호에 교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접합된"(bonded)은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의미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요소에 접합될 때와 같이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접착되고, 연결되고, 부착될 때에 함께 접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접합은, 예를 들어 접착제, 압력 접합, 열 접합, 초음파 접합, 바느질, 봉합, 및/또는 용접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본디드 카디드 웹"은, 스테이플 섬유들을 분리하거나 떨어지게 하여 기계 방향으로 정렬하여 대략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성 부직 웹을 형성하는 코밍(combing) 또는 카딩(carding) 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s)로 제조되는 웹을 지칭한다. 이 재료는, 점 접합, 스루 에어 접합, 초음파 접합, 접착제 접합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하여 함께 접합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코폼"은 본원에서 열가소성 섬유와 제2 비-열가소성 물질의 혼합물 또는 안정화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을 지칭한다. 한 예로서, 코폼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다이 헤드가 슈트(chute) 가까이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다른 물질이 웹이 형성되는 동안 웹에 첨가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물질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면, 레이온, 재생 종이, 펄프 플러프와 같은 목질계 또는 비목질계 펄프와 같은 섬유성 유기 물질 및 초흡수성 입자, 무기 및/또는 유기 흡수성 물질, 처리된 중합체 스테이플 섬유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폼 물질의 일부분 예가 Anderson 등의 미국특허 제4,100,324호, Lau의 제4,818,464호, Everhart 등의 제5,284,703호 및 Georger 등의 제5,350,624호에 개시되어 있고,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컨쥬게이트(conjugate) 섬유"는 본원에서 별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되고 함께 방사되어 하나의 섬유를 형성하는 적어도 2종의 고분자 소스로부터 형성된 섬유를 지칭한다. 컨쥬게이트 섬유는 또한 때로는 이성분(bicomponent) 섬유 또는 다성분 섬유라 지칭된다. 고분자는, 컨쥬게이트 섬유들의 단면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위치된 구별되는 영역 내에 배열되고, 컨쥬게이트 섬유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컨쥬게이트 섬유의 구성은, 예를 들어 하나의 고분자가 다른 고분자에 의해 둘러싸인 시스(sheath)/코어 배열일 수도 있고, 또는, 나란한 배열, 파이 배열, 또는 "해상 섬"(island-in-the sea) 배열일 수도 있다. 컨쥬게이트 섬유는 Kaneko 등의 미국특허 제5,108,820호, Krueger 등의 제4,795,668호, Marcher 등의 제5,540,992호, Strack 등의 제5,336,552호, Shawver의 제5,425,987호 및 Pike 등의 제5,382,400호에 교시되어 있으며,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이성분 섬유의 경우, 고분자는 75/25, 50/50, 25/75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비율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가공 보조제와 같은 고분자 첨가제가 각각의 영역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계 방향"(MD)는, 섬유가 제조되는 방향에 있어서 섬유의 길이를 지칭하며, 이는, 기계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섬유의 폭을 지칭하는 "교차 기계 방향"(CD)에 대조적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멜트블로운 웹"은 본원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용융 섬유로서 다수의 미세한, 대개는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하여 압출되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섬유를 감쇄시키는 수렴하는 고속의 가스(예를 들어, 공기) 흐름 내로 압출되어 그들의 직경을 극세사 직경일 수도 있는 직경으로 감소시키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 부직 웹을 말한다. 이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흐름에 의해 운반되며 수집면 상에 용착(deposit)되어 무작위로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 Buten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운 섬유는 실질적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이고 일반적으로 직경이 10㎛보다 작으며 수집 표면 상으로 용착될 때 일반적으로 접착성(tacky)인 극세사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직포" 또는 "부직 웹"은 본 명세서에서 편물에서처럼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상호 연결된(interlaid) 개별적인 섬유들이나 실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지칭한다. 부직포 또는 웹은 많은 공정,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공정, 스펀본드 공정,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BCW 및 TABCW로도 알려짐) 공정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부직 웹의 평량은 약 5, 10, 또는 20gsm 내지 약 120, 125, 또는 150gsm과 같이, 일반적으로 달라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스펀본드 웹(spunbond web)"은 작은 직경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를 함유하는 웹을 지칭한다. 섬유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복수의 미세하고 일반적으로 원형인 방적돌기(spinnerette)의 모세관들로부터 압출시키고 그후 압출된 섬유의 직경을 예를 들어 추출성 신장 및/또는 기타 공지된 스펀본딩 메커니즘에 의하여 급속히 감소시킴에 의하여 형성된다. 스펀본드 웹의 제조는, 예를 들어 Appel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에 의한 제3,692,618호, Matsuki 등에 의한 제3,802,817호, Kinney에 의한 제3,338,992호, Kinney에 대한 제3,341,394호, Hartman에 의한 제3,502,763호, Levy에 의한 제3,502,538호, Dobo 등에 의한 제3,542,615호 및 Pike 등에 의한 제5,382,400호에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며,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 표면 상에 피착(deposit)될 때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때때로 약 40㎛ 미만, 종종, 약 5 내지 약 20㎛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초흡수성 중합체", "초흡수체" 또는 "SAP"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그들 자신의 중량에 대하여 극도로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중합체를 지칭할 것이다. 가교될 수 있는 하이드로겔로서 분류되는 수분 흡수성 중합체는 물 분자와 수소 결합 및 다른 극성 힘을 통해 수용액을 흡수한다. SAP의 수분 흡수 능력은 부분적으로 이온화도(수용액의 이온 농도의 인자) 및 물에 대해 친화성을 갖는 SAP의 기능성 극성기를 기초로 한다. SAP는 통상적으로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수산화나트륨과 배합된 아크릴산의 중합화로 제조되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때로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이라 지칭됨)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초흡수성 고분자를 제조하는데,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가교 결합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 가교 결합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전분 접합된 공중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SAP는 입자 또는 섬유 형태로 또는 다른 물질 또는 섬유 상의 코팅층으로서 흡수 용품에 존재할 수도 있다.
흡수 용품:
본 발명은, 소변 및 월경 유체와 같은 신체 삼출물의 개선된 흡입 및 보유를 제공하는 흡수 용품의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개선된 순응성을 가질 수 있는 흡수 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은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중앙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상면시트층, 액체 불투과층, 및 상면시트층과 액체 불투과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은 상면시트층과 유체 연통하는 삼출물 관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은 상면시트층의 신체 대향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은 상면시트층과 흡수성 코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은 흡수성 코어로의 신체 삼출물의 직접 통과를 위한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제1 구성요소를 갖는다. 삼출물 관리층은 제1 구성요소에 연결된 제2 구성요소를 갖는다. 제1 구성요소는 삼출물 관리층에 제1 높이 치수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구성요소는 삼출물 관리층에 제1 높이 치수보다 클 수 있는 제2 높이 치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2a, 도 2b, 도 3, 도 4a, 도 4b, 도 5,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흡수 용품(10)은 월경 패드 또는 생리대와 같은 여성 위생 제품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예를 들어 기저귀나 실금 제품 등의 다양한 기타 개인 위생 흡수 용품들에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흡수 용품(10)은 길이 방향(X), 가로 방향(Y) 및 깊이 방향(Z)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전방 영역(12), 후방 영역(14), 및 전방 영역(12)과 후방 영역(14) 사이에 위치한 중앙 영역(16)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0),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0)에 대향하는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22), 및 제1 및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20 및 22)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 에지(24)를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착용자 대향,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30) 및 의복 대향, 액체 불투과층(36)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는 상면시트층(30)과 액체 불투과층(3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상면시트층(30)과 유체 연통하는 삼출물 관리층(40)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예를 들어, 도 1, 도 2a, 도 2b,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상면시트층(30)의 신체 대향면(3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예를 들어, 도 5,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상면시트층(30)과 흡수성 코어(3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시트층(30)과 액체 불투과층(36) 모두는, 흡수성 코어(38)의 최외곽 둘레 에지들을 위로 연장될 수 있고, 밀봉된 둘레 영역(26)을 형성하도록 알려져 있는 접합 기술들을 이용하여 둘레에서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면시트층(30) 및 액체 불투과층(36)은 접착제 접합, 초음파 접합, 또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접합 기술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의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본 명세서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면시트층:
상면시트층(30)은 착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신체 삼출물을 수용하도록 액체 투과성인 흡수 용품(10)의 신체 대향면(32)을 정의한다. 상면시트층(30)은 바람직하게는 편안함을 위해 제공되며, 그 자체 구조를 통해 그리고 흡수성 코어(38)를 향해서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 신체 삼출물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면시트층(30)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구조 내에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으며, 따라서 흡수 용품(10)의 착용자의 피부 옆에 비교적 편안하고 비자극적인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면시트층(30)은 단일 물질층일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함께 적층된 다수의 층일 수 있다. 이러한 상면시트층(30)은 하나 이상의 직조 시트, 하나 이상의 섬유상 부직 시트, 자체로 단층 또는 다층일 수도 있는 블로운 필름 또는 압출된 필름과 같은 하나 이상의 필름 시트, 망상의 개방 셀 또는 폐쇄된 셀 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폼(foam) 시트, 코팅된 부직 시트, 또는 이 물질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단일화된 평면 시트 구조에 접착적으로, 열적으로 또는 초음파적으로 적층되어 상면시트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30)은 멜트블로운 웹, 스펀본드 웹, 수력엉킴 스펀레이스 웹 또는 스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과 같은 다양한 부직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상면시트층(30) 물질의 예는 (면과 같은) 천연 섬유 웹, 레이온, 수력엉킴 웹,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이성분 섬유와 같은) 다른 열-접합성 섬유의 본디드 카디드 웹,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락틱 산과 같은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하게 천공된 필름 및 네트(net)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물질의 박층체 또는 조합도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상면시트층(30)의 예는 독일 Sandler Corp.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것과 같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Datta 등의 미국특허 제4,801,494호, Sukiennik 등의 제4,908,026호 및 Texol의 WO 2009/062998는 상면시트층(30)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다른 상면시트 물질을 교시하며, 이 문헌 각각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추가적인 상면시트층(30) 물질은 Matthews 등의 미국특허 제4,397,644호, Curro 등의 제4,629,643호, Van Iten 등의 제5,188,625호, Pike 등의 제5,382,400호, Kirby 등의 제5,533,991호, Daley 등의 제6,410,823호, 그리고 Abuto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2/0289917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문헌 각각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30)은 신체 삼출물이 흡수성 코어(38) 내로 더욱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천공을 함유할 수도 있다. 천공들은 상면시트층(30) 전체에 무작위로 또는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천공의 크기, 형상, 직경 및 개수는 흡수 용품(10)의 특정 필요에 맞게 달라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30)은 약 5, 10, 15, 20 또는 25gsm 내지 약 50, 100, 120, 125 또는 15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30)은 약 15gsm 내지 약 100gsm 범위의 평량을 갖는 스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면시트층(30)은 Xiamen Yanjan Industry, Beijing, DaYuan Nonwoven Fabrics 및 다른 제조자와 같은 부직 물질 제조자로부터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스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과 같은, 약 20gsm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갖는 스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3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30)의 일부분은 친수성일 수 있고 상면시트층(30)의 일부분은 소수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소수성일 수 있는 상면시트층(30)의 부분은 본질적으로 소수성 물질일 수 있거나 소수성 코팅층으로 처리된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30)은 상이한 물질이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Y)으로 별도의 위치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상이한 부직포 또는 필름 재료를 갖는 것과 같은 다성분 상면시트층(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시트층(30)은, 이층 또는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중심선(18)을 따라 이에 걸쳐 위치한 중앙 부분을 가지는 다성분 물질일 수 있고, 이때, 측방향 측면 부분들은 중앙 부분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 측면 배치되고 접합된다. 중앙 부분은 제1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측면 부분은 중앙 부분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중앙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일 수도 있고 측면 부분은 본래 소수성이거나 소수성 코팅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다성분 상면시트층(30)의 구성의 예는 일반적으로 Coe의 미국특허 제5,961,505호, Kirby의 제5,415,640호, 및 Sugahara의 제6,117,523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 각각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30)의 중앙 부분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중심선(18)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향한 중앙 부분은 약 15 내지 약 100gsm의 평량을 갖는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TABCW")일 수 있다. 이전에 기술된 부직, 직조 및 천공 필름 상면시트층 물질도 상면시트층(30)의 중앙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중앙 부분은 예컨대 Xiamen Yanjan Industry, Beijing, DaYuan Nonwoven Fabrics, 및 다른 제조자로부터 입수가능한 것과 같은 약 20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갖는 TABCW 물질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탈리아의 Texol 및 미국의 Tredegar와 같은 필름 공급자로부터 입수 가능한 것과 같은 천공 필름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이한 부직, 직조 또는 필름 시트 물질이 상면시트층(30)의 측면 부분들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면시트층(30) 물질의 선택은 상면시트층(30)의 원하는 전체 속성에 기초하여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부분들의 영역에서 누출을 방지하고 건조 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중앙 부분에 친수성 물질을 가지고 측면 부분들에 소수성 장벽 유형 물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 부분들은 중앙 부분의 길이방향으로 향한 측면 에지를 따라 또는 이에 인접하여 접착제, 열, 초음파 또는 다른 방식으로 중앙 부분에 접합될 수 있다. 전통적인 흡수 용품 구성 접착제가 측면 부분들을 중앙 부분에 접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중앙 부분 및/또는 측면 부분들 중 어느 하나는 당 업계에 주지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 및/또는 피부 유익제로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으로 향한 측면 부분들은 단일 층 또는 다층 구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측면 부분들은 접착제로 또는 이와 달리 접합된 적층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측면 부분들은 소수성 장벽 필름 물질의 하단층에 적층된, 스펀본드 물질 같은 상부 섬유성 부직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펀본드층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하는 경우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펀본드 층은 약 10 또는 12gsm 내지 약 30 또는 7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으며 친수성 습윤제로 처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필름층은 유체가 하부 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는 천공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단일 층 또는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필름은 약 10 내지 약 40gsm의 평량을 갖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구성 접착제는 스펀본드층을 약 0.1gsm 내지 15gsm 사이의 첨가량(add-on) 수준으로 필름 층에 적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필름 장벽 층이 전체 상면시트층(30) 디자인에 사용되는 경우, 이는 필름이 흡수 용품(10) 측면 에지를 따라 얼룩을 차단하는 것을 도와서 마스킹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필름 안료와 같은 불투명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름 층은 상면시트층(30) 위에서 볼 때 흡수 용품(10) 측면 에지를 따르는 유체 배설 얼룩의 가시화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름 층은 또한 상면시트층(30)의 재습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흡수 용품(10) 측면 에지로부터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벽 층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측면 부분들은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층 ("SMMS") 적층체, 스펀본드-필름 적층체,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부직 적층체 조합과 같은 적층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면시트층(30)은, 적층체 웹(160)의 적어도 하나의 의도한 신체 대향면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들(162)을 갖는 유체 엉킴 적층체 웹(16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중공형일 수 있다. 적층체 웹(160)은 지지층(164)과 돌출부 층(166) 등의 두 개의 층을 가질 수 있다. 지지층(164)은 제1 표면(168) 및 반대측인 제2 표면(170), 및 두께(172)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 층(166)은, 내부 표면(174) 및 반대측인 외부 표면(176), 및 두께(178)를 가질 수 있다. 경계면(180)은 지지층(164)과 돌출부 층(166)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 층(166)의 섬유들은, 적층체 웹(160)을 형성하도록 경계면(180)을 가로지를 수 있으며 지지층(164)과 얽히고 체결될 수 있다. 지지층(164)이 섬유성 부직 웹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지층(164)의 섬유들은 경계면(180)을 가로지를 수 있고 돌출부 층(166)의 섬유들과 얽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돌출부 층(166) 및/또는 지지층(164)으로부터의 섬유들로 채워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중공형일 수 있다. 돌출부들(162)은 천공이 없을 수 있는 폐쇄 말단들(182)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 각각에 하나 이상의 천공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천공은 돌출부(162)의 폐쇄된 말단(182) 및/또는 측벽(184)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은, 개별적인 한 섬유부터 개별적인 다음 섬유 간의 간격인 섬유간 간격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예를 들어, 섬유성 물질 등의 돌출부들(162)을 형성하는 물질에 의해 광이 방해 받지 않고서 돌출부들(162)을 통과할 수 있는 개방 구역의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들(162)에 존재하는 개방 구역의 백분율은 광이 방해 받지 않고서 돌출부들(162)을 통과할 수 있는 돌출부들(162)의 모든 구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돌출부들(162)의 개방 구역의 백분율은, 천공, 섬유간 간격, 및 광이 방해 받지 않고서 통과할 수 있는 돌출부들(162) 내의 다른 임의의 간격을 통한 돌출부들(162)의 모든 개방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천공 없이 형성될 수 있고, 개방 구역은 섬유간 간격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방 구역 퍼센트 결정 방법(Method to Determine Percent Open Area) 테스트법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에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 내의 약 1, 0.9, 0.8, 0.7, 0.6, 0.5, 0.4, 0.3, 0.2, 또는 0.1% 미만의 개방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의 형상은, 위에서 볼 때, 예를 들어, 둥근형, 달걀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등일 수 있다. 돌출부들(162)의 폭과 높이 모두는, 돌출부들(162)의 간격과 패턴에서 그러하듯이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돌출부 높이 결정 방법 테스트법에 따라 측정하면, 약 1mm 초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약 1, 2, 3, 4, 5, 6, 7, 8, 9, 또는 10mm 초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약 1, 2, 3, 4, 또는 5 mm로부터 약 6, 7, 8, 9 또는 10mm까지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적층체 웹(160)의 돌출부들(162)은, 돌출부 층(166)의 외부 표면(176)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그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지지층(16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부 층(166)의 외부 표면(17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들(162)이 중공형일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은, 돌출부 층(166)의 내부 표면(174)을 향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돌출부들(162)을 형성하도록 돌출부 층(166)으로부터 사용된 섬유의 양에 따라 지지층(164)의 제2 표면(170) 또는 돌출부 층(166)의 내부 표면(174)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개방 말단들(186)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들(162)은, 돌출부 층(166)의 외부 표면(176)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지면 구역(188)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지만, 지면 구역(188)의 두께는 돌출부 층(166)과 지지층(164) 모두로 구성될 수 있다. 지면 구역(188)은, 비교적 평평하고 평면형일 수 있으며, 또는, 표면형태 가변성을 지면 구역(188) 내에 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188)은, 3차원 형상의 형성 면 상에 돌출부 층(166)을 형성함으로써, 지면 구역 내에 형성된 복수의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모든 면에서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 Engelbert 등의 미국 특허번호 제4,741,9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188)에는, 돌출부 층(166) 및/또는 지지층(164) 내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오목부(19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면 구역(188)은, 표면 텍스처에 기타 기능적 속성을 지면 구역(188)에 가할 수 있는 양각 처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지면 구역(188) 및 적층체 웹(160)은 적층체 웹(160)을 통해 연장될 수 있는 천공(19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적층체 웹(160) 내로 그리고 적층체 웹을 통한 신체 삼출물의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천공(192)은 하나의 개별 섬유로부터 다음의 개별 섬유까지의 간격인 섬유간 간격과 구별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예를 들어, 섬유성 물질 등의 지면 구역들(188)을 형성하는 물질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서 광이 지면 구역들(188)을 통과할 수 있는 개방 구역의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 지면 구역들(188) 내에 존재하는 개방 구역의 백분율은, 광이 방해 받지 않고서 지면 구역들(188)을 통과할 수 있는 지면 구역들(188)의 모든 구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지면 구역(188)의 개방 구역의 백분율은, 천공, 섬유간 간격, 및 광이 방해 받지 않고서 통과할 수 있는 지면 구역들(188) 내의 다른 임의의 간격을 통한 지면 구역들(188)의 모든 개방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방 구역 퍼센트 결정 방법 테스트법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 내에 약 1% 초과의 개방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천공 없이 형성될 수 있고, 개방 구역은 섬유간 간격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 내에 약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 초과의 개방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 내에 약 1,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9.5, 10, 10.5, 11, 11.5, 12, 12.5, 13, 13.5, 14, 14.5, 15, 15.5, 16, 16.5, 17, 17.5, 18, 18.5, 19, 19.5, 또는 20%의 개방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 내에 약 1, 2 또는 3%로부터 약 4 또는 5%까지의 개방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 내에 약 5, 6 또는 7%로부터 약 8, 9 또는 10%까지의 개방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 내에 약 10, 11, 12, 13, 14 또는 15%로부터 약 16, 17, 18, 19 또는 20%의 개방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은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 내에 약 20% 초과의 개방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적층체 웹(160)의 돌출부들(162)은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임의의 배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층체 웹(160)의 돌출부들(162)은 적층체 웹(160)에 무작위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X)으로 선형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Y)으로 선형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X) 및/또는 가로방향(Y)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는 방향으로 선형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적층체 웹(160)의 지면 구역(188)은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임의의 배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X)으로 선형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Y)으로 선형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면 구역들(188)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X) 및/또는 가로방향(Y)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는 방향으로 선형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 및/또는 지면 구역들(188)은, 돌출부들(162)이 흡수 용품(10)의 중앙 영역(16)에 위치하고, 흡수 용품(10)의 둘레를 향하여 위치하고, 이들의 조합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흡수 용품(10)의 서로 다른 구역들에서 가변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돌출부들(162)은 흡수 용품(10)의 한 구역에서 제1 높이 및 흡수 용품(10)의 다른 구역에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흡수 용품(10)의 서로 다른 구역들에서 가변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돌출부들(162)은, 흡수 용품(10)의 한 구역에서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흡수 용품(10)의 다른 구역에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의 농도는 흡수 용품(10)에서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흡수 용품(10)의 한 구역은, 흡수 용품(10)의 제2 구역에서의 돌출부들(162)의 농도보다 높은 돌출부들(162)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들(162)의 밀도와 섬유 함량을 가변할 수 있지만,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중공형"일 수 있다. 돌출부들(162)이 중공형인 경우, 돌출부 층(166)의 섬유들로부터 형성된 쉘(194)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쉘(194)은, 돌출부들(162)의 쉘(194)에 비해 저 밀도의 섬유들을 가질 수 있는 내부 공간(196)을 형성할 수 있다. "밀도"란, 돌출부들(162)의 쉘(194) 또는 내부 공간(196)의 일부분 내에서의 부피의 선택된 단위당 섬유 카운트 또는 함량을 의미한다. 쉘(194)의 밀도는 특정한 또는 개개의 돌출부(162) 내에서 다양할 수도 있고, 또한 상이한 돌출부들(162) 간에 다양할 수도 있다. 또한, 중공형 내부 공간(196)의 크기 및 그 밀도도, 특정한 또는 개개의 돌출부들(162) 내에서 다양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돌출부들(162) 간에 다양할 수 있다. 그 결과, 동일한 돌출부(162)의 쉘(194)의 적어도 일부분보다 낮은 섬유 밀도를 갖는 돌출부(162)의 내부 공간(196)의 적어도 일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그 돌출부(162)를 "중공형"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상황에서, 쉘(194)과 돌출부(162)의 내부 공간(196)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없을 수 있지만, 돌출부들(162) 중 하나의 횡단면을 충분히 확대해 보면, 돌출부(162)의 내부 공간(196)의 적어도 몇몇 부분이 동일한 돌출부(162)의 쉘(194)의 몇몇 부분 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돌출부(162)를 "중공형"인 것으로 간주한다, 적층체 웹(160)의 돌출부들(162) 중 적어도 일부분이 중공형인 경우, 돌출부 층(166) 및 적층체 웹(160)은 "중공형"이거나 "중공형 돌출부"를 갖는 것을 간주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중공형인 돌출부들(162) 중 일부분은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에서의 돌출부들(162)의 약 50%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에서의 돌출부들(162)의 약 70% 이상이 중공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층체 웹(160)의 선택된 구역에서의 돌출부들(162)의 약 90% 이상이 중공형일 수 있다.
적층체 웹(160)은, 한 방향 및 때로는 둘 이상의 방향으로 돌출부 층(166) 내의 섬유들의 이동의 결과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 웹(160)은 유체 엉킴된 적층체 웹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돌출부 층(166)이 놓이게 되는 성형면이 돌출부들(162)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성형 구멍들 이외에는 고체인 경우, 그러면 돌출부 층(166)의 지면 구역들(188)에 대응하는 고체 표면 지면 구역에 부딪치고 다시 튕기는 유체 엉킴 스트림들의 힘은 돌출부 층(166)의 내부 표면(174)에 인접하는 섬유들이 지지층(164)의 제2 표면(170)에 인접하는 지지층 내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들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도 10에 도시한 화살표 198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돌출부 층(166)의 외부 표면(17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들(16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화살표 200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들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돌출부들(162)을 형성하도록 섬유들이 돌출부 층(166)으로부터 외부 표면(176)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이동하게 하는 것이 이러한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다. 지지층(164)이 섬유성 부직 웹일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유체 제트의 세기와 체류 시간 및 웹 무결성의 정도에 따라, 도 10의 화살표 202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층(164) 섬유들이 돌출부 층(166)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 이동의 최종 결과로, 층들의 경계면(180)에서 그 층들(164, 166)이 적층되고 전체적 무결성이 양호하고 이에 따라 적층체 웹(160)의 추가 처리와 취급을 가능하게 하는, 적층체 웹(160)을 생성할 수 있다. 적층체 웹(160)을 생성하기 위한 유체 엉킴 공정의 결과로, 지지층(164)으로부터의 섬유들을 돌출부 층(166)의 외부 표면(176)에 강제로 노출시키도록 돌출부들(162)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유체 압력이 충분한 힘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지지층(164)은 돌출부 층(166)을 지지할 수 있고, 지지층(164)이 돌출부 층(166)을 지지할 수 있다면 다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층(164)의 주요 기능은, 돌출부들(162)의 형성 동안 돌출부 층(166)을 보호하고, 돌출부 층(166)과 접합하거나 얽힐 수 있게 하고, 돌출부 층(166)과 그 결과로 발생하는 적층체 웹(160)의 추가 처리를 보조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층(164)을 위한 적절한 물질은, 선택된 물질 또는 물질들이 유체-엉킴 공정 등의 제조 공정을 견딜 수 있다면, 부직포 직물 또는 웹, 스크림 물질, 편직 물질, 부직포 직물들 또는 웹들의 부분 집합 및 폼 물질, 필름, 및 이들의 조합으로 간주될 수 있는 종이/셀룰로오스/목재 펄프계 제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층(164)은, 예를 들어 카디드 웹, 에어레이드 웹 등에 사용되는 스테이플 길이 섬유들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웹 또는 스펀본드 웹에서 발견되는 더욱 연속적인 섬유들일 수 있는, 무작위로 피착된 복수의 섬유로 제조된 섬유성 부직 웹일 수 있다. 지지층(164)이 수행해야 하는 기능 때문에, 지지층(164)은 돌출부 층(166)보다 높은 정도의 무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지지층(164)은, 유체 엉킴 공정을 거치는 경우 실질적으로 무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지지층(164)의 무결성은, 지지층(164)을 형성하는 물질이 아래로 유도되어 돌출부 층(166)의 돌출부들(162)을 채우는 데 저항할 수 있는 정도이다. 그 결과, 지지층(164)이 섬유성 부직 웹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 층(166)의 섬유들보다 높은 정도의 섬유간 접합 및/또는 섬유 엉킴을 가져야 한다. 지지층(164)으로부터의 섬유들을 두 층 간의 경계면(180)에 인접하는 돌출부 층(166)의 섬유들과 얽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섬유들의 많은 부분이 돌출부들(162) 내에 도달할 정도로 이 지지층(164)의 섬유들을 돌출부 층(166)과 통합하거나 얽히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더욱 높은 정도의 섬유 이동에 저항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지지층(164)은 돌출부 층(166)보다 높은 정도의 무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정도의 무결성은 많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은, 통기 접합, 포인트 접합, 분말 접합, 화학적 접합, 접착제 접합, 양각, 캘린더(calender) 접합 등에서와 같이 압력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서 섬유들을 서로 열적 또는 초음파 접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섬유간 접합일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및/또는 이성분 섬유 등의 다른 물질들을 섬유성 혼합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 지지층(164)이 돌출부 층(166)에 연결되기 전에, 웹을 수력엉킴, 니들펀칭 등을 거치게 함으로써, 섬유성 부직 지지층(164)의 예비(pre) 엉킴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폼, 스크림, 편직 등의 또 다른 물질들은 추가 처리가 필요하지 않도록 충분한 초기 무결성을 가질 수도 있다. 무결성의 레벨은, 많은 경우에, 예를 들어, 스펀본드 웹과 단섬유 함유 웹 등의 섬유성 부직 웹들에서 흔히 사용되는 포인트 접합 등의 기술의 육안 관찰 때문에 가시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지지층(164)의 추가 확대도, 섬유들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유체 엉킴의 사용 또는 열적 접합 및/또는 접착제 접합의 사용을 나타낼 수 있다. 개별적인 층들(164, 166)의 샘플들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기계 방향과 교차 기계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있어서 인장 시험을 행하여 돌출부 층(166)에 대하여 지지층(164)의 무결성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면에서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원용되는 ASTM 테스트 D5035-11을 참조하기 바란다.
지지층(164)의 종류, 평량, 인장 강도 및 기타 특성들이 생성된 적층체 웹(160)의 특정한 최종 사용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가변될 수 있다. 적층체 웹(160)이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것일 때에는, 일반적으로 지지층(164)은 유체 투과성이며, 양호한 습윤 및 건조 강도를 가지며, 신체 삼출물과 같은 유체들을 흡수할 수 있고,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가능한 한 유체들을 보유하며, 그런 다음에 유체들을 하나 이상의 하부층(subjacent layer)에 방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섬유성 부직포, 예를 들어, 스펀본드 웹, 멜트블로운 웹, 및 카디드 웹, 예컨대, 에어레이드 웹, 본디드 카디드 웹, 및 코폼 물질이 지지층(164)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폼 물질과 스크림 물질도 적합하다. 또한, 지지층(164)은, 스펀본드 웹과 멜트블로운 웹 및 스펀본드 웹과 멜트블로운 웹의 층 조합을 제조하는 데 흔히 사용되므로 여러 층들의 사용 또는 멀티 뱅크 형성 공정들의 사용 때문에 다중층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층(164)의 형성시, 천연 물질과 합성 물질 모두는 그 물질들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지층(164)은 약 5 내지 약 40 또는 5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지지층(164)의 종류, 평량, 및 다공성은 돌출부 층(166)에 돌출부들(162)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공정 조건들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물질의 평량이 무거울수록, 돌출부 층(166)에 돌출부들(162)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엉킴 유체 스트림의 엉킴 힘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층들(164)의 평량이 무거울수록, 돌출부 층(166) 자체가 매우 신축성이 있어서 형성 공정 후에 돌출부들(162)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돌출부 층(166)을 위한 지지를 개선할 수 있다. 돌출부 층(164) 자체는, 돌출부 층에 가해지는 기계적 힘과 후속하는 권선과 변환 공정으로 인해 기계 방향으로 과도하게 늘어날 수 있고, 결국 돌출부들을 축소 및 왜곡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층(164)이 없는 경우, 돌출부 층(166)의 돌출부들(162)은, 돌출부 층(166)이 권선 공정과 후속 변환에서 겪는 권선 압력과 압축 중량으로 인해 붕괴하는 경향이 있고, 지지층(164)이 존재하는 경우에 겪는 정도로 복귀하지 못한다.
지지층(164)은, 지지층의 특성을 변경하거나 향상시키도록 추가 처리 및/또는 첨가를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의 특성을 변경하거나 향상시키도록 계면활성제 및 기타 화학물을 지지층(16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들에 함께 내적으로 그리고 외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액체로 해당 중량의 여러 배를 흡수하는 히드로겔 또는 초흡수성이라 흔히 칭하는 화합물을 지지층(164)에 미립자 및 섬유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돌출부 층(166)은, 예를 들어 카디드 웹, 에어레이드 웹, 코폼 웹 등에 사용되는 스테이플 길이 섬유들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웹 또는 스펀본드 웹에 있는 더욱 연속적인 섬유들일 수 있는, 스테이플 길이 섬유들일 수 있는 무작위로 피착된 복수의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돌출부 층(166)의 섬유들은, 섬유간 접합 및/또는 섬유 엉킴이 덜할 수 있고, 따라서, 지지층(164)의 무결성에 비해 무결성이 덜할 수 있으며, 지지층(164)이 섬유성 부직 웹인 실시예에서 특히 그러하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 층(166) 내의 섬유는 돌출부들(162)의 형성을 허용하기 위한 초기 섬유간 접합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 지지층(164)과 돌출부 층(166) 모두가 섬유성 부직 웹일 수 있는 경우, 돌출부 층(166)은, 돌출부 층(166)이 예를 들어 섬유간 접합을 덜 갖고, 돌출부 층(166)을 형성하는 섬유들의 예비-엉킴이 덜하거나 접착제가 덜하기에, 지지층(164)보다 덜한 무결성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 층(166)은, 유체 엉킴 공정이 돌출부 층(166)의 복수의 섬유 중 제1 복수의 섬유를 돌출부 층(166)의 X-Y 면으로부터 돌출부 층(166)의 수직 즉 Z 방향으로 이동시켜 돌출부들(16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섬유 이동 능력의 충분한 양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162)은 중공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 층(166)의 복수의 섬유 중 제2 복수의 섬유가 지지층(164)과 얽혀질 수 있다. 멜트블로운 웹 또는 스펀본드 웹 등의 더욱 많은 연속적인 섬유 구조들이 사용된다면, 일 실시예에서, 유체 엉킴 공정 전에 돌출부 층(166)의 예비 접합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을 수 있다. 멜트블로운 및 스펀본드 공정에서 생성되는 섬유들(흔히, 스테이플 길이 섬유들과 구분하도록 연속 섬유들이라 칭함)이 길어지면, 섬유들을 Z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통상적으로 약 100mm 미만이며 통상적으로 10 내지 60mm 범위의 섬유 길이를 갖는 짧은 스테이플 길이 섬유들보다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역으로, 카디드 웹과 에어레이드 웹 등의 단섬유 웹들은 짧은 길이 때문에 섬유들의 소정의 정도의 예비 접합 또는 엉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짧은 섬유들은, 섬유들을 Z 방향으로 이동시켜 돌출부들(162)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유체 엉킴 스트림들로부터의 유체력을 덜 필요로 한다. 그 결과, 필요하지 않다면 지면 구역들(188) 또는 돌출부들(162)에 천공을 형성하지 않고서, 또는, 일부 최종 용도 분야를 위해 너무 많은 물질을 돌출부들(162)의 내부 공간(196) 내에 강제로 두어 돌출부들(162)을 너무 단단하게 하지 않고서, 돌출부들(162)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섬유 길이, 예비-섬유 접합의 정도, 유체력, 웹 속도 및 체류 시간 간에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부 층(166)은 약 10gsm 내지 약 6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스펀본드 웹들은, 통상적으로, 돌출부 층(166)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약 15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섬유 직경의 범위는 약 5 내지 약 20μm일 수 있다. 섬유들은, 단일 고분자 조성물로 형성된 단일 성분 섬유들일 수 있고, 또는, 이성분이나 다성분 섬유들일 수 있고, 여기서, 섬유의 한 부분은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한 섬유간 접합이 가능하도록 나머지 성분들보다 낮은 용점 융합을 가질 수 있다. 중공 섬유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들은, 스펀본드 웹들을 사용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고분자 배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및 폴리락틴산("PLA")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펀본드 웹들은, 돌출부 형성 공정을 거치기 전에 웹의 처리성을 개선하도록 필요하다면 후 형성 접합 및 엉킴 기술들을 거칠 수 있다.
멜트블로운 웹들은, 통상적으로, 돌출부 층(166)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약 20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섬유 직경의 범위는 약 0.5 내지 약 5μm일 수 있다. 섬유들은, 단일 고분자 조성물로 형성된 단일 성분 섬유들일 수 있고, 또는, 이성분이나 다성분 섬유들일 수 있고, 여기서, 섬유의 한 부분은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한 섬유간 접합이 가능하도록 나머지 성분들보다 낮은 용점 융합을 가질 수 있다. 섬유들은, 스펀본드 웹들을 사용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고분자 배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의 예로는, PP, PET, PA, PE, PLA가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카디드 및 에어레이드 웹들은, 통상적으로 약 10 내지 약 10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 단섬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데니어 범위는 특정한 최종 용도에 따라 약 0.5 내지 약 6 데니어일 수 있다. 평량 범위는 약 20 내지 약 60gsm일 수 있다. 단섬유들은, PP, PET, PA, PE, PLA, 코튼, 레이온, 아마, 양모, 마, 및 비스코스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등의 다양한 고분자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섬유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이성분 섬유들과 단일 성분 섬유들의 혼합물, 및 고체 섬유들과 중공 섬유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접합이 필요한 경우, 통기 접합, 칼렌더 접합, 지점 접합, 화학적 접합, 및 분말 접합 등의 접착제 접합을 비롯한 많은 방식으로 접합을 달성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돌출부 형성 공정 전에 돌출부 층(166)의 무결성과 가공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돌출부 층(166)을 예비-엉킴 공정을 거치게 하여, 돌출부들(162)의 형성 전에 돌출부 층(166) 내에서의 섬유 엉킴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력엉킴이 유리할 수 있다.
적층체 웹(160) 및 적층체 웹(16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예들은 Kirby 등에 의한 미국 9,474,660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인용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
흡수성 코어(38)는 흡수 용품(10)의 상면시트층(30)과 액체 불투과층(3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는 일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압축성, 순응성을 보여줄 수 있는 임의의 단일층 구조 또는 층 구성요소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적일 수 있고 액체 그리고 다른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38)는 다양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개수의 원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38)는 셀룰로오스 섬유(예를 들어, 목재 펄프 섬유), 다른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직조 또는 부직 시트, 스크림 편직(scrim netting)이나 기타 안정화 구조체, 초흡수성 물질, 결합 물질, 계면활성제, 선택된 소수성 및 친수성 물질, 안료, 로션, 냄새 억제제 등 및 이들 조합의 흡수성 웹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예를 들어, 2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웹 물질은 셀룰로오스 플러프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초흡수성 물질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플러프는 목재 펄프 플러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목재 펄프 플러프의 예는 Weyerhaeuser Corp.에서 입수 가능한 NB 416이라는 상표로 확인될 수 있으며, 주로 연목재 섬유들을 함유하는 표백된 고흡수성 목재 펄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필요하다면, 흡수성 코어(38)는 선택적인 양의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성 물질의 예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와 α-올레핀을 갖는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모폴리논), 폴리(비닐 알콜) 그리고 염과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초흡수성 물질은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그래프트된 녹말, 아크릴산 그래프트된 녹말, 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알지네이트, 잔탄 검, 로커스 빈 검과 같은 천연 검 등과 같은 미개질된 천연 중합체와 개질된 천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초흡수성 중합체와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합성 초흡수성 물질의 혼합물도 유용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흡수성 코어(38)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질의 조합에 상관없이, 종래의 다양한 방법들과 기술들을 채택함으로써 흡수성 물질은 웹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웹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건식 형성 기술, 공기 형성 기술, 습식 형성 기술, 폼 형성 기술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과 같은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코폼 부직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38)의 형상은, 필요시 달라질 수 있으며, 삼각형, 직사각형, 개뼈형, 타원형, 사다리꼴형, T-형상, I-형상 및 모래시계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38)는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10)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의 치수는 흡수 용품(10)의 치수와 사실상 유사할 수 있지만, 흡수성 코어(38)의 치수는 유사하지만, 내부에 적절하게 포함되도록 전체 흡수 용품(10)의 치수보다 종종 작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흡수성 코어(38)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의도된 착용자의 크기 및 흡수 용품(10)의 의도된 용도에 의해 부여된 액체 하중과 호환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흡수성 코어(38)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영아에서 성인까지의 범위의 착용자들을 수용하도록 다양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는 약 120, 125, 13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25,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또는 350mm 내지 약 355, 360, 380, 385, 390, 395, 400, 410, 415, 420, 425, 440, 450, 460, 480, 500, 510, 520, 530, 540, 550, 600, 610, 620, 또는 630mm 범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는 약 30, 40, 50, 55, 60, 65, 또는 70mm 내지 약 75,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 125, 130, 140, 150, 160, 170 또는 180mm 범위의 중앙 영역(16) 폭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10)의 전방 영역(12) 및/또는 후방 영역(14) 내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38)의 폭 범위는, 약 50, 55, 60, 65, 70, 75, 80, 85, 90, 또는 95mm 내지 약 100, 105, 110, 115, 120, 125 또는 130m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38)는 흡수 용품(10)의 길이 및 폭 이하일 수 있는 길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 흡수성 코어(38)의 다음과 같은 범위의 길이 및 폭을 갖는 기저귀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의 길이는 약 170, 180, 190, 200, 210, 220, 225, 240 또는 250mm 내지 약 260, 280, 300, 310, 320, 330, 340, 350, 355, 360, 380, 385, 또는 390mm 범위일 수 있고; 중앙 영역(16) 내의 흡수성 코어(38)의 폭은 약 40, 50, 55, 또는 60mm 내지 약 65, 70, 75, 또는 80mm 범위일 수 있고; 전방 영역(12) 및/또는 후방 영역(14) 내의 흡수성 코어(38)의 폭은 약 80, 85, 90, 또는 95mm 내지 약 100, 105, 또는 110mm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 흡수성 코어(38)의 다음과 같은 범위의 길이 및 폭을 갖는 훈련용 팬티 또는 청소년용 팬티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의 길이는 약 400, 410, 420, 440 또는 450mm 내지 약 460, 480, 500, 510 또는 520mm 범위일 수 있고; 중앙 영역(16) 내의 흡수성 코어(38)의 폭은 약 50, 55, 또는 60mm 내지 약 65, 70, 75, 또는 80mm 범위일 수 있고; 전방 영역(12) 및/또는 후방 영역(14) 내의 흡수성 코어(38)의 폭은 약 80, 85, 90, 또는 95mm 내지 약 100, 105, 110, 115, 120, 125, 또는 130mm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흡수성 코어(38)의 다음과 같은 범위의 길이 및 폭을 갖는 성인 실금 의복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의 길이는 약 400, 410 또는 415 내지 약 425 또는 450mm 범위일 수 있고; 중앙 영역(16) 내의 흡수성 코어(38)의 폭은 약 90, 또는 95mm 내지 약 100, 105, 또는 110mm 범위일 수 있다. 성인 실금 의복의 흡수성 코어(38)가 흡수 용품(10)의 전방 영역(12) 또는 후방 영역(14) 내로 연장될 수도 있고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 흡수체(40)의 다음과 같은 범위의 길이와 폭을 갖는 여성 위생 제품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38)의 길이는 약 150, 160, 170, 또는 180mm 내지 약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또는 320mm 범위일 수 있고; 중앙 영역(16) 내의 흡수성 코어(38)의 폭은 약 30, 40, 또는 50mm 내지 약 60, 70, 80, 90, 또는 100mm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38)에 적절한 물질 및/또는 구조는 Weisman 등의 미국특허 제4,610,678호, Yahiaoui 등의 제6,060,636호, Latimer 등의 제6,610,903호, Krueger 등의 제7,358,282호 및 Di Luccio 등의 미국특허 출원공개 제2010/0174260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문헌 각각은 전체가 참고로 원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38)는 단일층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플러프 및 초흡수성 물질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38)는 신체 대향층과 의복 대향층과 같은 적어도 2개의 물질층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층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층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2개의 층은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상이한 흡수 특성을 흡수 용품(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38)의 신체 대향층은 에어레이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흡수성 코어(38)의 의복 대향층은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에어레이드 물질은 약 40 내지 약 20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으며,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는 티슈 캐리어(tissue carrier)로 둘러싸이면서 약 40 내지 약 400gsm의 평량을 갖는 셀룰로오스 펄프와 SAP의 조합일 수 있는 셀룰로오스 플러프 기반 물질일 수 있다.
액체 불투과층:
액체 불투과층(36)은 일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고 착용자의 의복을 향하는 흡수 용품(10)의 부분이다. 액체 불투과층(36)은, 액체의 통과는 여전히 차단하면서 흡수 용품(10)을 벗어나는 공기 또는 증기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액체 불투과성 재료를 이용하여 액체 불투과층(36)을 형성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층(36)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층 자체는 유사한 또는 서로 다른 물질들을 포함한다. 이용될 수도 있는 적절한 물질은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부직 적층체 및 필름/부직 적층체 같은, 미세다공성 중합체 필름일 수 있다. 액체 불투과층(36)의 구체적인 구조와 조성은 알려져 있는 다양한 필름들 및/또는 직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때, 구체적인 물질은, 액체 장벽, 강도, 내마모성, 촉각성, 심미성 등의 원하는 수준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0.2 내지 0.5밀 내지 약 3.0 또는 5.0밀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층(36)의 예는, 미국 일리노이주 샴버그의 Pliant Corp.에서 구입가능한 것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탄산칼슘 충전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불투과층(36)은 부직 적층체 같은 수분 장벽 특성을 가지는 소수성 부직 재료일 수 있으며, 그 예는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4층 적층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체 불투과층(36)은 예를 들면 함께 접합될 수 있는 외부층 물질 및 내부층 물질을 포함하는, 2층 구성일 수 있다. 외부층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일 수 있고, 착용자에게 일반적으로 옷과 같은 질감 또는 외관을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물질의 일례는, 30gsm Sawabond 4185® 또는 균등물 등의 독일 Sandler A.G.에서 시판되고 있는 다이아몬드 접합 패턴을 갖는 100% 폴리프로필렌 접합-카디드 웹일 수 있다. 외부층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다른 물질의 예는 20gsm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 웹일 수 있다. 내부층은 증기 투과성(즉, "통기성") 또는 증기 불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내부층은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다른 유연한 액체 불투과성 물질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내부층은 액체 신체 삼출물이 흡수 용품(10) 밖으로 누출되는 것과 침대 시트 및 의복과 같은 용품, 뿐만 아니라 착용자 및 돌보는 사람을 젖게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내부층에 대한 물질의 예는 미국 인디애나주 에반스빌의 Berry Plastics Corporation에서 시판하고 있는 인쇄된 19gsm Berry Plastics XP-8695H 필름 또는 균등물일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불투과층(36)은 다중 필름층 또는 필름의 적층체 및 부직 섬유상 층의 구성과 같은 단일 또는 다중 층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액체 불투과층(36)은 Whitehead 등의 미국 특허 제4,578,069호, Tusim 등의 미국 특허 제4,376,799호, Shawver 등의 미국 특허 제5,695,849호, McCormack 등의 미국 특허 제6,075,179호, 및 Cheung 등의 미국 특허 제6,376,095호에 기재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삼출물 관리층: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상면시트층(30)과 유체 연통하는 삼출물 관리층(4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도 2a, 도 2b,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상면시트층(30)의 신체 대향면(3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상면시트층(30)과 흡수성 코어(3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깊이 방향(Z)으로, 상면시트층(30)에 전달되는 신체 삼출물을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양한 물질들 중 어느 것이 삼출물 관리층(40)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물질은 합성 물질, 셀룰로오스 물질 또는 합성 물질과 셀룰로오스 물질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직조 또는 부직포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출물 관리층(40)은 에어레이드 또는 TABCW 물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레이드 셀룰로오스 티슈가 삼출물 관리층(40)에 사용하기에 적당할 수 있다. 에어레이드 셀룰로오스 티슈는 약 10 또는 100gsm 내지 약 250 또는 300gsm 범위에 걸친 평량을 가질 수도 있다. 에어레이드 셀룰로오스 티슈는 경질목 및/또는 연질목 섬유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에어레이드 셀룰로오스 티슈는 미세한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생리혈에 대해 우수한 흡수(wicking) 용량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하기 위해 폼 물질(foam material)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개방 셀 또는 다공성 폼일 수 있다. 폼 물질의 물성 및 그의 습윤성 및 유체 관리 특성은, 흡수 용품(10)에서 폼 물질의 사용에 요구되는 특이적인 특징을 충족하도록 맞춤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수분에 안정적일 수 있고, 저하되거나 붕괴되지 않을 수 있신체 삼출물에 노출될 때 구조 및 유체 관리 특성을 잃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개방 셀 폼, 폐쇄 셀 폼, 또는 열가소성이거나 열경화성 물질인 부분 개방 셀 폼일 수 있다. 폼 물질은 포말형 폼, 기포형 폼 및 에멀젼 폼 방법을 포함하는 압출 또는 캐스팅 및 코팅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폼은 상이한 중합체 화학물질로부터 제조되어서, 흡수 용품(10)에서 사용될 때 폼 물질의 원하는 부드러움, 유연성 및 탄력성을 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유기 또는 무기 화학물질에 기초할 수 있고 또한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진 폼 물질에 기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폴리우레탄 폼, 폴리올레핀 폼,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폼, 폴리(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폼 또는 실리콘 기재 폼일 수 있는 중합체 화학물질일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중합체 화학물질은 가소제, 불투명제, 착색제, 항산화제 및 안정화제와 같은 첨가제와 함께 사용되어 원하는 폼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점탄성 특성은,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메모리 폼 물질이라고 부르는 것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적용된 하중에 대한 원하는 반응을 폼 물질로부터 얻도록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의 푸아송 비(Poisson's ratio)는, 가해진 응력에 대한 원하는 반응을 폼 물질로부터 얻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 성장 촉진 특성을 지닌 폼 물질이 고려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을 위해 폼 물질이 이용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 산업에서 클릭형 폼(clickable foam)으로 지칭되는 폼 물질과 같은, 기계 다이를 이용하여 폼 물질의 절단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레이저 다이 절단 및 워터 제트 절단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폼 물질 절단 방법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기계 다이 및 절단 또는 구멍 펀칭 장치를 이용하여 폼 물질을 천공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고, 초음파 공정을 이용하여 천공을 달성할 수도 있다.
다공성 폼 물질은 크기 및/또는 분포가 가변될 수 있는 기공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의 기공 크기는 약 10μm 내지 약 350μ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신체 삼출물 내의 다양한 성분을 취급하기 위해 다중모드 기공 크기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중모드 기공 크기 분포는 동일한 단일체형 폼 구조 내에서 달성될 수 있거나, 단일 폼 물질 내로 조합될 때 다중모드 기공 크기 분포가 층들의 조합에 대해 달성될 수 있게 하는 좁은 기공 크기 분포를 갖는 폼 물질의 층들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폼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의 평균 셀 크기는 약 100, 150, 또는 200μm 내지 약 250, 300, 또는 350μm일 수 있다. 폼 물질 내의 개방 셀의 수는 폼 물질의 기공도의 측정으로 폼 물질에 제공할 수 있다. 폼 물질의 기공도는 선형 인치당 기공(ppi)으로 측정되고 2차원 평면 폼 물질 표면의 1 선형 인치 내의 기공의 수를 나타내며 폴리우레탄 폼 협회에 의해 기술된다. 선형 인치당 기공은 격자를 사용하여 현미경 하에서 시각적으로 기공을 계수함으로써 측정된다. 폼 물질의 ppi 값이 작을수록 기공 크기는 더 커지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약 20 또는 40 ppi 내지 약 55, 65, 또는 90 ppi의 기공도를 가질 수 있다. 개방 셀 폼 물질이 이용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실질적으로 개방-셀이거나 완전히 망상 구조일 수 있다. 폼 물질의 망상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폼 형성 동안 원 위치(in-situ) 망상 공정에 의해 제조된 폼을 포함한다. 또한, 망상 폼 물질은 실질적으로 개방-셀 폼 물질을 고압 유체 스트림으로 처리하여 폼 물질의 셀 벽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폼 물질은 신축할 수 있지만,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감소된 신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예를 들어, 200% 미만의 파단시 신장율과 같이, 낮은 신장율을 가진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약 80 또는 100% 내지 약 150 또는 200%의 파단시 신장율을 가진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의 평량은 약 45gsm 내지 약 50 또는 55gs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의 밀도는 약 0.01, 0.02 또는 0.03g/cc 내지 약 0.05 또는 0.08g/cc일 수 있다. 폼 물질은 또한 흡수 용품에 사용될 때 부드럽고 유연할 수 있게 하는 압축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약 0.5 또는 0.6 psi 내지 약 0.8 또는 1.0 psi의 25% 편향(deflection)에서의 압축력 편향을 가질 수 있다.
폼 물질은, 흡수 용품(10) 내의 폼 물질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친수성 또는 소수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친수성 폼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소수성일 수 있고 계면활성제로 처리되어 친수성 폼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은 약 0.3% 또는 0.8% 내지 약 1.6, 2.0 또는 3.0%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소수성, 개방 셀, 폴리우레탄 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BASF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LUTENSOL® A65N와 같은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또는 펜실베니아주 앨런타운 소재의 Air Products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SURFYNOL® 465와 같은 에톡실화된 아세틸렌계 디올과 같은, 적어도 에톡실화된 선형 올레오화학 알코올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계면활성제 처리의 결과로서, 폼 물질의 친수성은, 폼 물질의 길이방향(X) 및 가로방향(Y)으로 균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계면활성제 처리의 결과로서, 폼 물질의 친수성은, 길이방향(X)으로, 가로방향(Y)으로, 또는 길이방향(X)과 가로방향(Y) 모두로 다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을 제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합체는 원하는 친수성 특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는 수성 유체에 의해 습윤가능한 본질적으로 친수성 중합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폼 물질의 형성 동안 중합체에 첨가제를 포함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폼 물질의 베이스 중합체가 소수성이더라도 폼 물질이 수성 유체에 습윤성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비한정적인 예는 소수성 중합체를 갖는 첨가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폼 물질은 소수성일 수 있고 폼 물질 내에 삽입되어 친수성 폼 및 섬유 복합재를 생성하도록 친수성 섬유를 가질 수 있다. 폼 물질 내의 친수성 섬유는 폼 물질을 통한 친수성 경로를 제공하여 폼 물질을 통해 신체 삼출물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1은 삼출물 관리층(40)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폼 및 섬유 복합재(100)의 일부분의 단면도의 (100X 배율로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해 찍힌) 현미경사진이고, 도 12는 섬유상 물질이 관찰자에게 보일 수 있도록 도 11의 폼 및 섬유 복합재(100)의 평면도의 (40X 배율로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해 찍힌) 현미경사진이고, 도 13은 폼 물질의 제2 평면 및 섬유들의 부분이 관찰자에게 보일 수 있도록 도 11의 폼 및 섬유 복합재(100)의 평면도의 (40X 배율로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해 찍힌) 현미경사진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3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폼 및 섬유 복합재(100)는 개방 셀 폼 물질(110)과 섬유상 물질(120)로 형성될 수 있다. 폼 물질(110)은 제1 평면(112) 및 제2 평면(114)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서 각각의 평면(112 및 114)은 시각적 명료성을 위해 해당하는 파선에 의해 묘사되었다. 섬유상 물질(120)의 층은 폼 물질(110)의, 평면(112)과 같은, 평면들 중 하나와 접촉한다. 섬유상 물질(120)의 층은 복수의 개별적인 섬유들(122)로부터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폼 및 섬유 복합재(100)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개별적인 섬유들(122)의 일부분은 섬유상 물질(120)의 층으로부터 폼 물질(110)을 통하여 폼 물질(110)의 제1 평면(112)으로부터 폼 물질(110)의 제2 평면(114)으로 뻗어 있다. 폼 및 섬유 복합재(100)는 약 20gsm 내지 약 250gsm의 총 평량을 가질 수 있다. 폼 물질 내에 있는 개별 섬유들(122)을 포함한, 섬유상 물질(120)의 양은 폼 및 섬유 복합재(100)의 총 평량의 적어도 약 10%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2, 5, 10, 15, 20, 30, 40, 50, 60 또는 70gsm의 섬유상 물질(120)은 폼 물질(110)의, 평면(112)과 같은 평면과 접촉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섬유상 물질(120)은 복수의 개별적인 섬유들(122)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섬유상 물질(120)의 개별적인 섬유들(122)은, 예컨대 섬유상 물질(120)의 습식-레잉(wet-laying) 또는 에어-레잉(air-laying)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느슨한 형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섬유상 물질(120)의 개별적인 섬유들(122)은, 예를 들어 카디드 부직 웹(carded nonwoven web)과 같은 물질의 부직 웹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섬유상 물질(120)은 예컨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에어-레잉, 습식-레잉, 및 카딩과 같은 다양한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섬유상 물질(120)을 형성하는 섬유들(122)은 친수성일 수 있다. 섬유들(122)은 자연적으로 친수성일 수 있거나 자연적으로 소수성이지만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에 의한 처리를 통해 친수성이 되도록 처리된 섬유들일 수 있다. 친수성 섬유들(122)을 제공하는 것은 폼 물질(110)을 통한 친수성 경로를 가질 수 있는 폼 및 섬유 복합재(100)를 허용할 수 있다. 폼 물질(110)이 소수성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친수성 섬유들(122)에 의해 제공된 친수성 경로는 흡수 용품(10)의 폼 및 섬유 복합재(100)가 신체 삼출물을 (친수성 섬유 경로를 통해) 흡수하고 신체 삼출물이 소수성 폼 물질(110)을 통해 쉽게 통과할 수 없게 됨에 따라 흡수 용품(10)의 상면시트층(30)으로부터 먼 위치에 신체 삼출물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섬유상 물질(120)을 형성하는 섬유들(122)은 셀룰로오스 섬유, 예컨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면, 모시, 마포, 대마, 아마, 바가스(bagasse), 북부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northern softwood kraft pulp), 뿐만 아니라 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예컨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레이온, 비스코스,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섬유상 물질(120)을 형성하는 섬유들(122)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와 같은 중합체로부터 만들어진 합성 섬유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섬유들(122)은 매우 낮은 표면 에너지 및 낮은 젖음성(wettability)으로부터 높은 표면 에너지 및 높은 젖음성까지의 범위의 다양한 정도의 표면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해 첨가제들로 처리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은, 상술한 물질들 중 임의의 것과 같은, 물질의 베이스 시트로부터 형성되며, 흡수성 코어(38) 및 제1 구성요소(50)에 연결된 제2 구성요소(60) 내로 신체 삼출물의 직접 통과를 위한 개구(4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제1 구성요소(50)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1 구성요소(50)는 삼출물 관리층(40)에 제1 높이 치수(76)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40)에 제1 높이 치수(72)보다 클 수 있는 제2 높이 치수(78)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의 적어도 일부분은 흡수 용품(10)의 착용자의 회음부 내에 맞는다.
여성 신체의 외음부 영역 및 주변 영역을 더 잘 이해하려면,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Henry Gray에 의한 The Illustrated Running Press Edition of the American Classis Gray's Anatomy (1974) 및 Stanley W. Jacob, M.D., F.A.C.S.에 의한 Structure and Function in Man (1974)에서 찾을 수 있으며 관련 부분들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일반적인 형태는 Eliot Goldfinger에 의한 Anatomy for an Artist: Elements of Form에서 찾을 수 있으며 관련 부분들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러한 영역들을 덮고 있는 음모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Woman's Body: A Manual for Life에서 찾을 수 있으며 관련 부분들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아래 골반문으로부터 미골의 골 구조까지 연장되는, 회음부 영역은, 2개의 부위, 비뇨생식 삼각 및 항문 부위 또는 산과적 회음부로 구성된다. 영역은 외부 생식 기관을 포함한다; 치구, 대음순 및 소음순, 음핵, 요도구 및 질로의 개구부. 영역은 일반적으로 앞쪽은 하복부 선에 의해, 옆쪽들은 대퇴부 선에 의해, 뒤쪽은 둔부 선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복부 선은 치골의 최상부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선이다. 둔부 라인은 대퇴부 라인을 둔부 틈에 연결하는 라인이다. 회음부 영역에서 형태 및 생성된 공간을 기술함에 있어서 편의상, 이 영역은 3개의 영역으로 세분될 것이며: 치구를 포함하는 전방 영역, 대음순 및 소음순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 및 후방 영역. 전방 영역은 앞쪽은 하복부 선에 의해, 뒤쪽은 전교련(anterior commissure)에 의해, 옆쪽들은 음순 선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중앙 영역은 앞쪽은 전교련(anterior commissure)에 의해, 뒤쪽은 후교련(posterior commissure)에 의해, 옆쪽들은 음순 라인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후방 영역은 앞쪽은 음순 선에 의해, 뒤쪽은 둔부 선에 의해, 옆쪽들은 대퇴부 선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외음부 영역은 여성의 외부 생식기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회음부의 전방 및 중앙 영역을 포함한다. 불두덩(또는 치구)는 일반적으로 포피 아래의 치골 지방 패드(periic fat pad)를 포함하는 지방 조직의 집합에 의해 형성된, 치골 결합(symphysis pubis) 앞의 둥근 두덩이며, 일반적으로 음모로 덮인다. 대음순(labia majora)은 일반적으로, 치구로부터 회음부의 전방 경계로 하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현저한 길이방향 피부 접힘부이며,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비뇨성 구멍을 둘러싸고 있다. 2개의 접힘부 사이의 공간은 음순 틈새이다. 각각의 음순은 일반적으로 2개의 표면을 가지며, 착색되고, 일반적으로 강하고, 빳빳한 음모로 덮인 외부 표면, 및 매끄럽고 큰 피지샘 모낭과 함께 이어지는, 음순 틈새 내부의 내부 표면을 가지며, 비뇨생식기 점액관과 연속적이다; 2개 사이에는 상당한 양의 성근 조직(areolar tissue), 음순 지방 패드를 포함하는 지방, 및 혈관 이외에, 전교련을 만나는 조직이 있다. 뒤쪽으로 그들은 통상적으로 결합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이웃하는 포피에서 손실되고, 서로에게 가깝게 거의 평행하게 종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사이의 결합 피부와 함께, 이들은 외음부 오리피스의 후교련 또는 후방 경계를 형성한다.
후교련과 항문 사이의 간격은 회음부 영역을 구성한다. 음순소대(fourchette)는 회음부의 앞쪽 가장자리이고, 그리고 그것과 처녀막 사이에 오목부, 주상오목(fossa navicularis)이 있다. 음순 선은 음순 및 회음부 영역을 분리한다. 회음부 몸체를 덮는 회음부 영역의 피부는 중간 대퇴부의 피부와 연속적이고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질감이 있으며 다른 구역의 유사한 피부보다 얇으며 회음부 솔기(perineal raphe)에 의해 양분된다.
소음순(labia minor)은 2개의 작은 피부 접힘부이며, 일반적으로 대음순 내에 위치하며, 음핵으로부터 질 오리피스의 각 측면 상에서 비스듬히 아래쪽, 바깥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고 있다.
회음부, 둔부 및 상부 대퇴부 영역의 형태는 매우 복잡한 피부 표면형태와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대략 2개의 반구-유사 형태의 둔부, 대략 가늘어지는 원통-유사 형태의 상부 대퇴부, 분할-물방울-유사 형태의 외음부 영역은 교차부들을 갖는 복잡한 대략 볼록한 표면형태를 생성해서 일련의 오목부를 형성하게 된다. 둔부, 외음부 영역, 및 상부 대퇴부의 대략 볼록한 표면형태는 2개의 대퇴부 선을 따라 2개의 내측 대퇴부 홈, 뒤쪽 회음부 영역의 오목부, 및 음순 및 둔부 틈을 통해 연장되는 틈새를 포함하는 공간을 생성하도록 결합한다. 홈, 오목부, 및 틈새는 표면형태에서 상호연결된 오목부들과 유사하다. 중앙 영역은 일반적으로 음순 틈새에 의해 생성된 원위 표면에 의해 분리된 측방향 측면을 가지며, 음순 틈새를 포함한다.
음모가 일반적으로 이들 영역 중 일부를 덮고 이들 오목부의 일부분, 특히 음순 틈새 및 음순 틈새에 평행한 대퇴부의 홈 부분을 채워서 모발 표면 표면형태를 생성한다. 모발 표면형태는 모발에 의해 생성된 가상 원위 표면의 표면 형태이다. 회음부의 오목부, 둔부 틈에 평행한 대퇴부 홈부, 및 둔부 틈새는 일반적으로 음모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피부 표면형태는 모발 표면형태와 합쳐서 전체 신체 표면형태를 생성한다.
신체의 이 영역에서 복잡한 신체 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이 복잡한 공간은 크기 및 형태 모두에서 여성들 사이에 다양하며, 여성의 위치와 움직임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변형들 중 일부는 Jillian Lloyd 등에 의한 "Female genital appearance: 'normality' unfolds",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5년 5월, 112권, 643-646페이지에 요약되어 있고,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는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52),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54), 및 가로방향 말단 에지들(52, 54)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 에지(56)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52)는 흡수 용품(10)의 전방 영역(12)에서 흡수 용품(10)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0)에 가장 가까운 제1 구성요소(50)의 선단 에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54)는 흡수 용품(10)의 후방 영역(14)에서 흡수 용품(1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22)에 가장 가까운 제1 구성요소(50)의 후단 에지일 수 있다.
제1 구성요소(50)는 일반적으로 요망되는 어떠한 형상 및/또는 크기든지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50)는 직사각형 형상, 만곡된 직사각형 형상, 달갈형 형상, 타원 형상, 원형 형상, 모래시계 형상, 정사각형 형상, 또는 만곡된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에지들(52, 54, 56)의 각각은 직선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에지들(52, 54, 또는 56) 중 적어도 하나는 아치형일 수 있고, 나머지 에지들은 직선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에지들(52, 54, 또는 56) 중 적어도 2개는 아치형일 수 있고, 나머지 에지들은 직선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56)은 직선형일 수 있고, 가로방향 말단 에지들(52 및 54)은 아치형일 수 있다. 도 1 및 도 3은 직선형 길이방향 측면 에지(56) 및 아치형 가로방향 말단 에지(52 및 54)를 갖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3에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 말단 에지(52)는 2개의 에지(52 및 54)가 함께 가져오게 되는 경우 가로방향 말단 에지(54)와 상보적 구성을 형성할 수 있는 아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에지들(52, 54, 또는 56) 중 적어도 3개는 아치형일 수 있고, 나머지 에지는 직선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모든 에지(52, 54 및 56)는 아치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는 흡수 용품(10)의 전체 길이보다 작을 수 있는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52)로부터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54)까지 측정되는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50)는 약 20, 30, 40, 50 또는 60mm 내지 약 100, 150, 175, 200, 250 또는 300mm의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는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길이의 약 15, 20, 25, 30, 35 또는 40% 내지 약 50, 55, 60, 70, 75, 80, 85, 또는 90%인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구성요소(50)는 흡수 용품(10)의 전체 폭 이하일 수 있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56)로부터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56)까지 측정되는 가로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50)는 약 10, 15, 20 또는 30mm 내지 약 60, 80, 100, 110, 115, 120, 125, 130, 140 또는 150mm의 가로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는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 폭의 약 15, 20, 25, 30, 35 또는 40% 내지 약 50, 55, 60, 70, 75, 80, 85, 또는 90%인 가로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가로방향 폭은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제1 구성요소(50)의 가로방향 폭이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가로방향 폭은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14e 및 도 14f는 제1 구성요소(50)가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54)에서의 가로방향 폭보다 넓은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52)에서의 가로방향 폭을 갖는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제1 구성요소(50)는 신체 대향면(72) 및 의복 대향면(74)을 갖는다. 제1 구성요소(50)는 삼출물 관리층(40)의 깊이 방향(Z)으로 제1 높이 치수(76)를 삼출물 관리층(4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높이 치수(76)는 약 0.5, 0.75, 1, 1.5, 2 또는 3.5mm에서 약 3, 3.5, 4, 4.5, 5, 6 또는 10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52)는 흡수 용품(10)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0)로부터 약 15mm 내지 약 150mm일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깊이 방향(Z)으로 신체 삼출물을 전달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삼출물 관리층(40)이 굴곡 능력을 기초로 착용자의 신체에 순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는 예를 들어, 달걀형,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모래시계형, 삼각형, 기타 등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 있는, 개구(42)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개구(42)의 형상은, 예를 들어, 잎, 동물, 별, 하트, 눈물 방울, 달, 또는 추상적 구성의 외부 형상 같은 물리적 물체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개구(42)는 세장형일 수 있고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X)으로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개구(4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변부(44)에 의해 경계를 이룰 수 있고, 이는 제1 구성요소(50)의 내부 경계 또는 내부 에지를 형성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제2 구성요소(60)에 연결하는 일차 접힘부(70)에 의해 경계를 이룰 수 있다. 개구(42)는 제1 구성요소의 신체 대향면(72)으로부터 제1 구성요소(50)의 의복 대향면(74)으로 제1 구성요소(50)를 통과한다. 개구(42)는 신체 삼출물을 보유하고 신체 삼출물이 흡수 용품(10)의 영역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흡수 용품(10)의 에지들을 향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컵 또는 우물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42)는 흡수 용품(10) 내에서의 신체 삼출물 흡수의 주요 위치에 의존하여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설정의 다양성은, 개구(42)가 신체 삼출물 배출의 주요 지점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서 개구가 흡수 용품(10)을 위한 주요 신체 삼출물 수용 구역으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 및 가로방향 중심선(80)을 가질 수 있다. 길이방향 중심선(18)은 길이방향 측면 에지(24)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며 길이방향(X)으로 흡수 용품(10)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는 한편, 가로방향 중심선(80)은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0) 및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22)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며 가로방향(Y)으로 흡수 용품(10)의 폭을 따라 이어진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중심선(18) 및 가로방향 중심선(80)과 대칭적으로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는 개구(42)가 흡수 용품(10) 내에 중앙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흡수 용품(10) 내에서 개구(42)의 중앙 집중형 위치 설정은 요구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흡수 용품(10) 내에서 신체 삼출물 흡수가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치에 따라,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 또는 가로방향 중심선(80) 중 어느 하나와만 대칭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0)는 길이방향 중심선(18) 또는 가로방향 중심선(80) 중 어느 하나와 대칭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각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고,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고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 말단 에지(20, 22) 쪽으로 길이방향(X)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가 가로방향 중심선(80)과 대칭적으로 정렬되지 않게 된다. 흡수 용품(10)이 길이방향 중심선(18) 및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각에 대하여 대칭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되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길이방향 중심선(18) 및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각에 대하여 대칭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 각각에 대하여 비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으며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고,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말단 에지(20 또는 22) 쪽으로 길이방향(X)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가 가로방향 중심선(80)과 대칭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은 개구(42)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중심선(18) 상에 대칭적으로 위치하지만, 개구(42)가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 중심선(80) 위로 교차하는 동안, 개구(42)가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이 되지 않는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고,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각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이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되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이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비대칭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되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비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이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고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각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이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이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이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되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이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 각각에 대하여 비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이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고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 및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각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 각각에 대하여 비대칭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되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비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 각각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비대칭되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이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 각각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 각각에 대하여 비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의 부분들은 개구(42)가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반드시 대칭일 필요 없이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 중심선(80)과 전방 영역(12) 가로방향 말단 에지(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약 15, 20, 30 또는 50mm 내지 약 60, 75, 100 또는 150mm의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약 10, 15, 20 또는 30mm 내지 약 40, 60 또는 80mm 가로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길이방향(X)으로의 제1 구성요소(50)의 전체 길이방향 길이의 약 15, 20 또는 25% 내지 약 70, 75 또는 80%인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가로방향(Y)으로의 제1 구성요소(50)의 전체 폭의 약 20, 25 또는 30% 내지 약 70, 75 또는 80%일 수 있는 가로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성요소(50)에 더하여, 삼출물 관리층(40)은, 제1 구성요소(50)와 연결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구성에 있는 제2 구성요소(60)를 갖는다.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물질의 동일한 베이스 시트로부터 형성되고,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하는 물질에서 일차 접힘부(70)를 통해 제1 구성요소(5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는 흡수 용품(10)의 후방 영역(14)을 향하는 방향으로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X)으로 일차 접힘부(70)로부터 연장된다. 제2 구성요소(60)는, 흡수 용품(10)을 형상화하고, 신체-밀착 착용감을 생성하며, 착용자의 둔부 영역으로부터 유체를 흡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의 적어도 일부분은 흡수 용품(10)의 착용자의 회음부 내부에 맞춰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제1 구성요소(5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54) 너머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제1 구성요소(5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54) 너머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제1 구성요소(50)에 연결하는 일차 접힘부(70)와 동연하는 것일 수 있는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62)를 가질 수 있다. 제2 구성요소(60)는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64) 및 가로방향 말단 에지들(62 및 64)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대향하는 한 쌍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66)를 더 가질 수 있다. 제2 구성요소(60)는 일반적으로 요망되는 어떠한 형상 및/또는 크기든지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물질로부터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물질을 절단, 펀칭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분리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구성요소(60)를 제1 구성요소(50)로부터 절단, 펀칭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분리하는 것은, 개구(42)를 제1 구성요소(5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주변부(44)를 생성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물질은, 일차 접힘부(70)를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하는 물질 내로 포함함으로써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구성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들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제1 구성요소(5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차 접힘부(70)를 통해 제1 구성요소(50)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의 형성이 개구(42)의 형성을 초래함에 따라, 제2 구성요소(60)는, 개구(42)의 형상과 크기와 짝을 이루며 상보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에 중첩되는 구성에 있지 않을 때,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 내에 전체적으로 끼워질 수 있고, 제2 구성요소(60)의 에지(64 및 66)는 제1 구성요소(50)의 주변부(44)에 인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예를 들어, 제2 구성요소(60)가 크기 치수가 더 감소되는 경우와 같이, 개구(42)보다 치수가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 내에 완전히 끼워질 수 있지만, 제2 구성요소(60)의 에지들은 제1 구성요소(50)의 주변부(44)에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의 일부분은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 또는 펀칭의 일부로서 제2 구성요소(60)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제2 구성요소(60)가 개구(42)의 형상 및 크기와 완벽한 짝을 이루지 않거나 정확하게 상보적인 상태가 아니게 된다.
제2 구성요소(60)는 약 15, 20, 30 또는 50mm 내지 약 60, 75, 100 또는 150mm의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약 10, 15, 20 또는 30mm 내지 약 40, 60, 또는 80mm 가로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 길이의 약 15, 20, 25, 30, 35 또는 40% 내지 약 50, 55, 60, 70, 75, 80, 85, 또는 90%인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제1 구성요소(50)의 가로방향 폭의 약 15, 20, 25, 30, 35 또는 40% 내지 약 50, 55, 60, 70, 75, 80, 85, 또는 90%인 가로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의 제2 가로방향 에지(64)는 흡수 용품(10)의 제2 가로방향 에지(22)로부터 약 15mm 내지 약 75mm일 수 있다.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40)에 제2 높이 치수(78)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높이 치수(78)는, 깊이 방향(Z)으로, 약 0.5, 0.75, 1, 1.5, 2,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9.5 또는 10mm 내지 약 10.5, 11, 11.5, 12, 12.5, 13, 13.5, 14, 14.5, 15, 15.5, 16, 16.5, 17, 17.5, 18, 18.5, 19, 19.5 또는 20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 및 제2 구성요소(60)는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에 중첩되는 구성에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제1 구성요소(50)의 일부분과 위에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제2 구성요소(60)의 일부분은 예를 들어, 접착제 접합, 열 접합, 초음파 접합 등과 같은 것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도 1, 도 2a, 도 2b, 도 6a, 및 도 6b는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의 일부분과 위에 중첩되는 실시예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의 의복 대향면(74)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제1 구성요소(50)의 일부분과 아래에 중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의복 대향면(74)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제2 구성요소(60)의 일부분은 예를 들어, 접착제 접합, 열 접합, 초음파 접합 등과 같은 것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도 3, 도 4a, 도 4b, 도 7a, 및 도 7b는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의 의복 대향면(74)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의 일부분을 아래에 중첩하는 실시예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흡수 용품(10)의 상면시트층(30)과 유체 연통하는 삼출물 관리층(40)을 갖는 흡수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상면시트층(30)의 신체 대향면(32) 상에 위치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개구(42)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이지만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이 되지 않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개구(42)의 부분들은, 개구(42)가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면서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60)는 가로방향 말단 에지(52 및 54)를 가지고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아치형이고 서로 상보적이다. 제1 구성요소(50)는 또한 직선 길이방향 측면 에지(56)를 가지고 구성된다. 제1 구성요소(50)의 가로방향 폭은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다. 삼출물 관리층은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에 중첩되는 구성에 있도록 구성되어 제2 구성요소(60)의 일부분이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의 일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 및 제2 구성요소(60)는 각각 대략 달걀 형상이다.
도 3, 도 4a 및 도 4b는 흡수 용품(10)의 상면시트층(30)과 유체 연통하는 삼출물 관리층(40)을 갖는 흡수 용품(10)의 예시적인 도면을 제공한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상면시트층(30)의 신체 대향면(32) 상에 위치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개구(42)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이지만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이 되지 않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개구(42)의 부분들은, 개구(42)가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면서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60)는 가로방향 말단 에지(52 및 54)를 가지고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아치형이고 서로 상보적이다. 제1 구성요소(50)는 또한 직선 길이방향 측면 에지(56)를 가지고 구성된다. 제1 구성요소(50)의 가로방향 폭은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다. 삼출물 관리층은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래에 중첩하는 구성에 있도록 구성되어 제2 구성요소(60)의 일부분이 제1 구성요소(50)의 의복 대향면(74)의 일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 및 제2 구성요소(60)는 각각 대략 달걀 형상이다.
도 5는 흡수 용품(10)의 상면시트층(30)과 유체 연통하는 삼출물 관리층(40)을 갖는 흡수 용품(10)의 예시적인 예시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은 흡수 용품(10)의 상면시트층(30)과 흡수성 코어(38) 사이에 위치한다. 삼출물 관리층(40)은 상면시트층(30)의 의복 대향면(34)과 접촉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는 개구(42)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이지만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이 되지 않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개구(42)의 부분들은, 개구(42)가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면서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 중심선(80)의 각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60)는 가로방향 말단 에지(52 및 54)를 가지고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아치형이고 서로 상보적이다. 제1 구성요소(50)는 또한 직선 길이방향 측면 에지(56)를 가지고 구성된다. 제1 구성요소(50)의 가로방향 폭은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흡수 용품(10)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일 실시예의 예시적인 도시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출물 관리층은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에 중첩되는 구성에 있도록 구성되어 제2 구성요소(60)의 일부분이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의 일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 및 제2 구성요소(60)는 각각 대략 달걀 형상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흡수 용품(10)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일 실시예의 예시적인 도시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출물 관리층은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래에 중첩하는 구성에 있도록 구성되어 제2 구성요소(60)의 일부분이 제1 구성요소(50)의 의복 대향면(74)의 일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 및 제2 구성요소(60)는 대략 달걀 형상이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14a 내지 도 14f에 도시한 실시예들은 제2 구성요소(60)의 일부분이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에 중첩되는 구성으로 제2 구성요소(60)를 예시하지만,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50)의 일부분이 제1 구성요소(50)의 의복 대향면(74)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제2 구성요소(60)가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래에 중첩하는 구성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4a는 대략 만곡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구성요소(50) 및 각각 대략 달걀형인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를 갖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제공한다. 도 14b는 대략 만곡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구성요소(50) 및 각각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를 갖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제공한다. 도 14c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구성요소를 갖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제공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는 각각 세장형이고 다수의 아치형 부위를 갖는다. 도 14d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구성요소(50)을 갖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제공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는 각각 세장형이고, 각각의 주변부가 90o 각도를 형성하는 다수의 부위를 갖는다. 도 14e는 제1 구성요소(50)가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으로 가로방향 폭이 불균일한 삼출물 관리층(4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제공한다. 제1 구성요소(50)는 아치형이고, 역시 아치형인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54)에 상보적일 수 있는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52)를 갖는다.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는 각각 대략 달걀 형상이다. 도 14f는 제1 구성요소(50)가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으로 가로방향 폭이 불균일한 삼출물 관리층(4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제공한다. 제1 구성요소(50)는 아치형인 가로방향 말단 에지(52)를 갖는다.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는 각각 대략 달걀 형상이다.
본원에서 설명한 대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물질로부터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물질을 절단, 펀칭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분리함으로써,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2 구성요소(60)를 제1 구성요소(50)로부터 절단, 펀칭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분리하는 것은, 개구(42)를 제1 구성요소(5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주변부(44)를 생성할 것이다.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물질은 일차 접힘부(70)를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하는 물질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구성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5a는 물질(58)의 베이스 시트로부터 삼출물 관리층(40)을 생성하는 방법(44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5b는 도 15a의 방법(440)의 단면 측면도를 제공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 물질(58)이 방법(440)에 제공될 수 있고, 방법(440)을 통해 가공 방향(442)으로 진행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은, 예를 들어,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예비-형성부(450A, 450B, 450C, 450D)와 같은,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450)의 개별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들은 최종적으로 개별적인 삼출물 관리층(40)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58)을 예비-형성부(450)의 개별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물질(58)을 예비-형성부(450A)로 분할하는 것은 베이스 물질(58)을 예비-형성부(450C) 등으로 분할하기 전에 일어날 수 있는 예비-형성부(450B)로 베이스 물질(58)을 분할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비-형성부들(450)을 개별 세그먼트들로 베이스 물질을 분할하는 것은, 하나보다 많은 예비-형성부(450)가 베이스 물질(58) 내에서 동시에 분할되는 배치(batch)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을 예비-형성부(450)의 개별 세그먼트로 분할하기 위해, 취약선들(444)이 베이스 물질 내에 통합된다. 각각의 취약선(444)은 베이스 물질(58)의 제1 측면 에지(446A)로부터 제2 측면 에지(446B)로 일반적으로 교차 가공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 내에 통합된 각각의 취약선(444)은 궁극적으로 (가공 방향(442)으로) 선도하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제2 말단 에지(54) 및 가공 방향(442)으로 베이스 물질(58)로부터 형성된 (가공 방향(442)으로) 다음 연속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제1 말단 에지(52)를 각각 형성할 것이다. 각각의 취약선(444)은 2개의 연속하는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450)를 결합한다(conjoin). 각각의 취약선(444)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제1 말단 에지(52) 및 제2 말단 에지(54)를 위해 궁극적으로 바람직한 형상으로 베이스 물질(58)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취약선(444)은 파선 또는 점선의 절단, 천공, 접합, 기계적 얇아짐 또는 엠보싱에 의해 베이스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취약선(444)은 베이스 물질(58) 그 자체가 형성되는 동안 베이스 물질(5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을 예비-형성부(450)의 개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는 것 이외에, 베이스 물질(58)은 또한, 궁극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 내에 개구(42)의 주변부(44)를 형성하게 될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나타내고, 궁극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나타내도록 분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의 주변부(44)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분할은 예비-형성부(450)로 베이스 물질(58)의 분할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의 주변부(44)를 나타내도록 베이스 물질(58)을 분할하는 것은 베이스 물질(58)을 예비-형성부(450)로 분할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의 주변부(44)를 나타내도록 베이스 물질(58)을 분할하는 것은 베이스 물질(58)을 예비-형성부(450)로 분할한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의 주변부(44)를 나타내도록 베이스 물질(58)을 분할하는 것은 취약선(452) 및 분리선(454)을 베이스 물질(58) 내에 통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을 개별 예비-형성부(450)로 분할 전, 분할 중, 또는 분할 후에, 취약선(452)과 분리선(454)의 베이스 물질(58) 내로 통합되는지 여부에 따라, 궁극적으로 베이스 물질(58)을 개별 예비-형성부(450)로 분할하는 2개의 연속하는 취약선(444) 사이 위치에서 베이스 물질(58) 내에 취약선(452)과 분리선(454)이 통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물질(58)을 개별 예비-형성부(450)로 분할하기 위해 베이스 물질(58) 내에 통합된 각각의 취약선(444)은 궁극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제1 말단 에지(52) 및 제2 말단 에지(54)를 형성할 것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궁극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이 베이스 물질(58)의 측면 에지들(446A 및 446B), 및 한 쌍의 취약선(444)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예비-형성부(450D)의 예시를 제공한다. 예비-형성부(450D)의 한 쌍의 취약선(444) 사이에서, 예비-형성부(450D)는 또한 제2 구성요소(60)와 개구(42)의 주변부(44)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취약선(452) 및 분리선(454)을 그것의 베이스 물질(58) 내에 통합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약선(452)은 베이스 물질(58) 내로 파선 또는 점선의 눈금, 굽힘, 절단, 천공, 접합, 기계적 얇아짐, 또는 엠보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약선(452)은 베이스 물질(58) 그 자체가 형성되는 동안 베이스 물질(5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취약선(452)은 교차 가공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취약선(452)은 궁극적으로 제1 구성요소(50)와 제2 구성요소(60) 사이의 삼출물 관리층(40) 내에 일차 접힘부(70)를 형성하는 데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형상 및 구성으로 베이스 물질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분리선(454)은 분리선(454)을 베이스 물질(58) 내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분리선(454)은 베이스 물질(58)의 재료를 베이스 물질(58)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베이스 물질(58)의 하부 표면으로 파열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분리선(454)을 절단하는 것은 나이프 커터, 워터 커터, 레이저 커터, 또는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다른 절단 방법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분리선(454)은 베이스 물질(58) 그 자체가 형성되는 동안 베이스 물질(5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분리선(454)은 직선으로서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되어 있고 (도 15a와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약선(452)과 조합될 때 궁극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낼 수 있다. 분리선(454)은 궁극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의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는 데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형상 및 구성으로 베이스 물질(58)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베이스 물질(58)을 예비-형성부(450)의 개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는 동안 그리고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의 주변부(44)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서 베이스 물질(58)을 분할하는 동안, 베이스 물질(58)은 지지면(미도시) 상에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베이스 물질(58) 아래의 진공을 활용하여 베이스 물질(58)을 지지면에 맞대어 당기는 것, 베이스 물질(58)을 지지면 상으로 밀어내기 위해 강제 공기를 활용하는 것, 그리고/또는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기계적 구조물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지지면 상에 베이스 물질(58)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이 가공 방향(442)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궁극적으로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고, 취약선(452)과 분리선(454)에 의해 경계지어진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은 베이스 물질(58)의 평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의 이러한 부분을 분리하는 것은, 예를 들어, 한정되지는 않지만, 강제 공기를 활용하여 베이스 물질(58)의 이러한 부분에 맞대어 상향으로 밀거나 기계적 구조물을 활용하여 베이스 물질(58)의 이러한 부분 상에서 상향으로 당기는 것과 같은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임의의 방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5a와 도 15b는 궁극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이 궁극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한 베이스 물질(58)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되어 베이스 물질(58)로부터 평면 밖으로 이동된 예비-형성부(450C)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궁극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나머지 부분에 수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으로부터 궁극적으로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분리하게 되면 개구(42)의 존재를 야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 동안, 제1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은 예를 들어 진공을 활용하여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당기는 것, 강제 공기를 활용하여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미는 것, 그리고/또는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기계적 구조물을 활용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방법을 활용해 지지면에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이 가공 방향(442)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고,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은 2개의 연속하는 예비-형성부(450)를 분할하는 취약선(444)과 제2 구성요소(6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취약선(452) 사이에 위치된 베이스 물질(58)의 부분과 중첩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의 이러한 부분은 궁극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60)의 섹션을 형성할 것이다.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과 중첩되는 구성으로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물질의 이동을 이루기 위해, 진공은 제2 구성요소(60)를 원하는 구성으로 당기기 위해 활용될 수 있고, 강제 공기는 원하는 구성으로 제2 구성요소(60)를 밀어내기 위해 활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기계적 구조는 제2 구성요소(60)를 원하는 구성으로 밀고/밀거나 당길 수 있다. 제2 구성요소(60)를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하는 원하는 구성으로 배치하는 동안,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은, 예를 들어 진공 압력, 강제 공기 압력, 및/또는 기계적 구조와 같은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방법을 통해 지지면 상에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의 크기 및 형상은 개별 예비-형성부(450)의 제2 구성요소(60)의 일부가 연속적인 개별 예비-형성부(450)의 일부와 중첩되는 치수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예비-형성부(450B)의 제2 구성요소(60)는 예비-형성부(450C)의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 뿐만 아니라 예비-형성부(450C)의 개구(42)의 일부분과 중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개별 예비-형성부(450)는 가공 방향(442)으로 정렬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가질 수 있다. 예비-형성부(450)의 베이스 물질(58)로부터 제2 구성요소(60)로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분리하기 전에, 제2 구성요소(60)로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은 또한 가공 방향(442)으로 또한 정렬된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한 후, 제2 구성요소(6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개별 예비-형성부(450)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정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한 후, 제2 구성요소(6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예비-형성부(45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의 20, 15, 10 또는 5도 내에 정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한 후, 개구(42)는 예비-형성부(45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42)는 가공 방향(442)으로 정렬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한 후, 제2 구성요소(6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개구(42)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정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한 후, 제2 구성요소(6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예비-형성부(450)의 개구(42)의 길이 방향 중심선의 20, 15, 10 또는 5도 내에 정렬된다.
제2 구성요소(60)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위치시킨 후, 일차 접힘부(70)는 제2 구성요소(60)를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에 연결하는 예비-형성부(450) 내에 존재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과 중첩 구성으로 안정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진공 압력, 강제 공기 압력, 및/또는 기계적 구조를 통해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과 중첩 구성으로 안정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예를 들어, 접착제 접합, 열 접합, 압력 접합, 초음파 접합, 또는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다른 접합을 통해,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에 접합됨으로써 안정화될 수 있다.
개별적인 예비-형성부(450)는 연속적인 개별 예비-형성부(450)로부터 분리되어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예비-형성부(450)는 취약선(452) 및/또는 분리선(454)을 베이스 물질(58) 내에 통합하기 전에 연속적인 예비-형성부(4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과 중첩 구성되게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분리 및/또는 접힘 전 삼출물 관리층(40)의 예비-형성부(450)는 연속 예비-형성부(4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을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한 후, 예비-형성부(450)는 연속적인 예비-형성부(4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을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위치시킨 후, 예비-형성부(450)는 연속하는 예비-형성부들(450)로부터 분리되어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연속하는 예비-형성부(450)로부터 하나의 예비-형성부(450)의 분리는 2개의 연속하는 예비-형성부(450)를 결합시킨 취약선(444)을 파단함으로써 일어난다. 취약선(444)의 파단은, 예를 들어, 진공 당김 또는 기계적 구조를 활용하여 선도 예비-형성부(450)를 당기거나 예비-형성부(450)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다른 이송 롤러 또는 흡수 용품(10)의 구성요소)로 선도 예비-형성부를 이송하는 것과 같은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방법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삼출물 관리층(40)은, 제1 말단 에지(52)를 갖는 제1 구성요소(50), 제2 말단 에지(54)를 갖는 제1 구성요소(50), 제1 구성요소(50)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 구성된 제2 구성요소(60),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차 접힘부(70)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변부(44)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개구(42)를 갖는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형성부(450A)와 같이, 다음에 연속하는 예비-형성부는 제1 말단 에지(52)를 갖는 제1 구성요소(50)를 갖는다.
도 16 내지 도 18은,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이 삼출물 관리층의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구성으로 배치되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400)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6은 흡수 용품(10)에서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40)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장치(4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장치(400)에 사용되는 절단 롤러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는 절단 패턴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장치(400)에 활용되는 이송 롤러의 외부 표면 내의 공기 시스템 개구의 패턴의 개략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을 위해 베이스 물질(58)을 장치(400)에 제공하는 단계,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와 제2 구성요소(60) 모두를 형상화할 수 있는 베이스 물질(58)로 취약선 및 분리선을 통합함으로써 베이스 물질(58)을 분할하는 단계, 및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구성되게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제조 방법 및 장치(40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을 위해 이용되는 베이스 물질(58)이 장치(400)에 공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58)은 컨베이어 시스템(410)과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58)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전체 원하는 길이방향 길이보다 큰 기계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58)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원하는 가로방향 폭 치수인 교차 기계 방향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58)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원하는 가로방향 폭 치수보다 큰 교차 기계 방향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은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450)의 개별 세그먼트들로 분할될 수 있고, 또한, 삼출물 관리층(40) 내에 개구(42)의 주변부(44)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을 나타내도록 분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58)을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450)의 개별 세그먼트로 분할하기 위해서, 베이스 물질(58)은 절단 롤러(402)와 모루 롤러(404)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58)을 예비-형성부(450)로 분할하는 것에 더하여, 절단 롤러(402)는 또한 삼출물 관리층(40) 내 개구(42)의 주변부(44)를 형성할 부분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도록 베이스 물질(58)을 분할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을 개별 예비-형성부(450)로 분할하기 위해, 절단 롤러(402)는 취약선(444)을 베이스 물질(58) 내에 통합할 수 있는 제1 절단 공구(420)를 롤러의 외부 표면에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약선(444)은 천공선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약선(444)은 서로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예비-형성부(450)를 결합된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개구(42)의 주변부(44)를 형성할 제1 부분을 나타내고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낼 베이스 물질(58)을 분할하기 위해서, 절단 롤러(402)는 베이스 물질(58) 내에 분리선(454)을 통합시킬 수 있는 제2 절단 공구(422) 및 베이스 물질(58) 내에 취약선(452)을 통합시킬 수 있는 눈금 바(crease bar, 428)를 롤러의 외부 표면에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절단 공구(420)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제1 및 제2 가로 방향 말단 에지(52 및 54)의 원하는 형상 및 구성의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절단 공구(422)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 및 개구(42)의 주변부(44)의 원하는 형상과 구성의 형상과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절단 공구(422) 및 눈금 바(428)는 연속하는 제1 절단 공구들(4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절단 공구는 절단 롤러(402)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절단 공구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로서 나타낸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의 형상과 구성을 변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비한정적 예로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의 크기 및/또는 형상보다 작은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제2 구성요소(6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3 절단 공구는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을 더 작은 형상 및/또는 크기 구성으로 절단하는 데 이용될 수 있어서, 궁극적인 제2 구성요소(60)로부터 이격되게 트리밍될 수 있고 궁극적인 삼출물 관리층(40)으로부터 이격되게 트리밍될 수 있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을 생성한다.
도 17은 절단 롤러(402)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는 제1 절단 공구(420) 및 제2 절단 공구(422)의 패턴의 예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절단 공구(420 및 422)의 패턴은 일련의 제1 절단 공구(420) 및 일련의 제2 절단 공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단 공구(422)는 한 쌍의 연속하는 제1 절단 공구(420) 사이에 기계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1 절단 공구(420)는 교차 기계 방향으로 대략 연장될 수 있고, 베이스 물질(58)이 제1 절단 공구(420)로 분할될 때,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제1 및 제2 가로 방향 말단 에지(52 및 54)의 형상 및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이 제2 절단 공구(422)로 분할될 때, 제2 절단 공구(422)는 개구(42)의 주변부(44)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의 형상과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절단 공구들(420) 사이에 위치되고 제1 절단 공구들을 분리하는 제2 절단 공구(422)의 패턴을 갖는 절단 롤러(402)를 사용하면, 단일 절단 단계가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할 때 베이스 물질(58)의 분할시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베이스 물질(58)이 절단 롤러(402)와 모루 롤러(404)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분할은 베이스 물질(58)의 분할 사이에 위치하여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제1 및 제2 가로 방향 말단 에지들(52 및 54)이 되는 것을 형성한다. 그러나, 베이스 물질(58)을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들(450)에 분할하고, 제2 구성요소(60)와 개구(42)의 주변부(44)를 나타내기 위한 베이스 물질(58)의 분할은, 예를 들어, 절단 공구들(420, 422)을 별도의 절단 롤러들 상에 배치함으로써 단일 단계보다는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삼출물 관리층(40)의 베이스 물질(58)이 흡수 용품(10)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삼출물 관리층(40)의 원하는 최종 가로방향 폭을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절단 공구(420)의 사용은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450)를 베이스 물질(58)으로부터 완전히 분할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의 베이스 물질(58)이 흡수 용품(10)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삼출물 관리층(40)의 원하는 최종 가로방향 폭보다 넓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속하는 제1 절단 공구(420)는, 일반적으로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추가 쌍의 절단 공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베이스 물질(58)을 분할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 방향 측면 에지(56)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의 삼출물 관리층(40)의 제조 방법 및 장치(400)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물질(58)의 분할 후, 베이스 물질(58)은 이송 롤러(406)로 이행되기 전에 절단 롤러(402)와 연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절단 롤러(402)는 분할된 베이스 물질(58)(예를 들어, 개별 예비-형성부(450) 뿐만 아니라, 개구(42)의 주변부(44)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58)의 부분 및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을 나타내는 분할된 베이스 물질(58))에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절단 롤러(402)의 외부 표면을 향하여 분할된 베이스 물질(58)을 당길 수 있는 진공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절단 롤러는, 공기가 절단 롤러(402)의 외부 표면과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연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절단 롤러(402) 내로 당겨질 수 있는 복수의 제1 개구(424)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절단 롤러(402)는, 공기가 절단 롤러(402)의 외부 표면과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연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절단 롤러(402) 내로 당겨질 수 있는 제2 복수의 개구(426)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주변부는 개구(42)의 주변부(44)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주변부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6의 삼출물 관리층(40)의 제조 방법 및 장치(400)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베이스 물질(58)은 절단 롤러(402)로부터 이송 롤러(406)로 이행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송 롤러(406)는, 진공이 공기를 흡인할 수 있고 분할 롤러(402)로부터 이송 롤러(406) 상으로 분할된 베이스 물질(58)을 추가로 흡인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43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롤러(406)는 절단 롤러(402)로부터 이송 롤러(406)로 분할-베이스 물질(58)의 연관성을 변경하기 위해 절단 롤러(402)의 진공 당김보다 더 강한 진공 당김을 가질 수 있는 진공 시스템과 연관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430)는 일반적으로 이송 롤러(406)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여기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은 이송 롤러(406)와 접촉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개구(430)는 이송 롤러(406)의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들(430)의 열뿐만 아니라 이송 롤러(406)의 교차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들의 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제조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흡수 용품(10)의 상면시트층(30)을 형성하고 별도의 컨베이어 시스템(412) 상에서 운반되는 물질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일부분과 중첩되는 구성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의 일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60)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는 삼출물 관리층(40)을 구성하기 위하여, 이송 롤러(406)는 공기 송풍 시스템과 연관될 수 있고, 공기가 이송 롤러(406)의 내부로부터 이송 롤러(406)의 외부로 송풍될 수 있는 제2 복수의 개구(432)를 가질 수 있다. 제2 복수의 개구(432)는 절단 롤러(402)로부터 이송 롤러(406)로 분할된 베이스 물질(58)의 연관성의 변화에 따라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 아래에 있는 위치에서 이송 롤러(406)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복수의 개구(432)는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고 진공이 이송 롤러(406) 내로 공기를 끌어당기는 2 열의 개구들(430) 사이에 위치된 개구(432)의 열일 수 있다. 공기의 양은 제2 복수의 개구(432)를 통해 송풍될 수 있고,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를 이송 롤러(406)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밀어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기계 방향으로 이송 롤러(406)의 회전과 조합하여, 이송 롤러(406)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2 구성요소(60)의 이러한 송풍은, 제2 구성요소(60)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적어도 일부분 뒤로 그리고 위로 접힐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송 롤러(406)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2 구성요소(60)를 송풍하는 것에 더하여, 제2 구성요소(60)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구성으로 제2 구성요소(60)를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시스템(408)이 장치(400)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시스템(408)은, 제2 구성요소(60)를 이송 롤러(406)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분리된 구성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하지만, 이송 롤러(406)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을 당기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은 당김 압력을 제2 구성요소(60)에 가하는 진공 시스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시스템(408)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딩 보드일 수 있다. 개별 삼출물 관리층(40)이 예를 들어 진공 시스템 및/또는 슬라이딩 보드와 같은 가이드 시스템(408)을 지나 이동함에 따라, 제2 구성요소(60)에 대한 가이드 시스템(408)의 작동은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적어도 일부분 뒤로 그리고 위로 접히도록 제2 구성요소(60)를 가이드할 수 있어서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성요소(60)는 일차 접힘부(70)를 통해 제1 구성요소(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일차 접힘부(70)는 또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 내에 개구(42)의 주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 위에 제2 구성요소(60)를 접기 전에, 따라서, 일차 접힘부(70)를 삼출물 관리층에 통합하기 전에, 궁극적으로 일차 접힘부(70)가 될 베이스 물질(58)의 부분 내에 취약선(45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차 접힘부(70)가 될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에 취약선(452)을 포함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의 눈금, 새김, 천공, 및/또는 얇아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차 접힘부(70)의 위치에서 베이스 물질(58)의 이러한 눈금, 새김, 천공 및/또는 얇아짐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 위로 제2 구성요소(60)를 뒤로 접기 전,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과 제2 구성요소(6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 사이에 힌지점을 생성할 수 있다. 일차 접힘부(70)의 위치에서의 베이스 물질(58)의 이러한 눈금, 새김, 천공, 및/또는 얇아짐은 절단 롤러(402)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2 절단 공구(442)의 기계 방향으로 후행 말단 근처에, 제2 절단 공구(422) 근처의 위치에 눈금 바(428)가 도시되어 있다. 절단 롤러(402)가 기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리고 베이스 물질(58)이 절단 롤러(402)와 모루 롤러(404)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베이스 물질(58)은 제1 절단 공구(420)에 의한 분할, 제2 절단 공구(422)에 의한 분할, 눈금 바(428)에 의한 베이스 물질(58)의 눈금을 받게 될 것이고, 이어서 다른 제1 절단 공구(420)에 의한 추가 분할을 받게 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 물질(58)의 눈금은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으로부터 제2 구성요소(60)를 나타내는 베이스 물질(58)의 부분의 분할 후에 그리고 제2 구성요소(60)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섹션을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의 일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구성으로 제2 구성요소(60)의 위치를 조정하기 전 발생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의 구성을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제2 구성요소(60)를 제1 구성요소(50)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접합은, 예를 들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접착제 접합, 열 접합 및/또는 초음파 접합 등의 임의의 알려져 있는 접합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제1 구성요소(50)를 형성하는 베이스 물질(58)과 중첩 구성되게 제2 구성요소(60)를 위치결정한 후,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450)가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4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2개의 연속하는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450)를 결합하는 취약선(444)을 파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취약선(444)의 파단은 제조 방법에서 진공, 기계적, 또는 속도 변화의 사용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는 삼출물 관리층(60)의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과 부분적으로 중첩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런 다음 제1 구성요소(50)의 신체 대향면(72)의 일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 구성에 있는 제2 구성요소(60)를 갖는 삼출물 관리층(40)은 흡수 용품(10)의 상면시트층(30)을 형성하는 물질과 중첩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삼출물 관리층(40)을 상면시트층(30)을 형성하는 물질 이외의 재료 층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삼출물 관리층(40)은 흡수 용품(10)의 흡수성 코어(38)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상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도 1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장치(400) 및 방법을 사용하면, 제2 구성요소(60)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삼출물 관리층(40)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60)의 적어도 일부분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일부분의 의복 대향면(78)과 접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60)의 구성을 제1 구성요소(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2 구성요소(60) 및/또는 제1 구성요소(50)를 흡수 용품(10)의 다른 층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구성요소(60) 및/또는 제1 구성요소(50)는, 흡수 용품(10)의 흡수성 코어(38)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상면시트층(30) 및/또는 물질에 접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접합은, 예를 들어,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접착제 접합, 열 접합, 및/또는 초음파 접합과 같은 임의의 알려져 있는 접합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엠보싱: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하나 이상의 엠보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엠보싱 영역은 흡수 용품(10)의 층(들)의 변형으로 인해 흡수 용품(10)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설명될 수 있다. 엠보싱 영역은 임의의 적절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표면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흡수 용품(10) 내의 원하는 위치를 향하여 신체 삼출물을 퍼넬링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엠보싱 영역은 또한 신체 삼출물을 받기 전 및 후 모두에, 흡수 용품(10)의 맞춤 성질의 일관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엠보싱 영역은 대칭 또는 비대칭 방식으로 흡수 용품(1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영역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공지된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기술로는, 예를 들어, 상승된 요소들을 사용하여 흡수 용품(10)의 층(들)에 원하는 엠보싱 패턴을 부여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공정은 하나가 엠보싱 패턴으로 새겨지고 다른 하나는 평평한 2개의 롤 (예, 강철, 고무 등)을 흡수 용품(10)이 통과하는 열 접합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양쪽 롤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열 및/또는 초음파 접합 기술을 사용하여 엠보싱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엠보싱 영역은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10) 전체 주위에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엠보싱 영역은 삼출물 관리층(40)을 형성하는 물질 내로 침투하지 않고 삼출물 관리층(40)을 둘러쌀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을 엠보싱 영역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거리는 약 1, 1.5, 2, 2.5 또는 3mm 내지 약 3.5, 4, 4.5, 5 또는 5.5mm일 수 있다.
도 18은 다수의 엠보싱 영역을 갖는 흡수 용품(10)의 일 실시예의 예시적인 도시이다. 엠보싱 영역은 다수의 개별 엠보싱 지점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 엠보싱 영역은 연속적인 양각된 채널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흡수 용품(10)은 흡수 용품(10)의 후방 영역(14)에 엠보싱 영역(150)을 가질 수 있다. 엠보싱 영역(150)은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엠보싱 영역(150)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54)를 넘어서 연장되는 제2 구성요소(60)의 임의의 부분의 위치설정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엠보싱 영역(150)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또한 흡수 용품(10)의 사용 중에 흡수 용품(10)의 착용자의 신체를 구부리고 순응하는 능력을 흡수 용품(10)의 후방 영역(14)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제2 엠보싱 영역(152) 및 대향하는 제3 엠보싱 영역(154)을 더 가질 수 있다. 제2 엠보싱 영역(152) 및 제3 엠보싱 영역(154)은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Y)으로 삼출물 관리층(4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엠보싱 영역(152) 및 제3 엠보싱 영역(154)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와 길이방향(X)으로 동일한 길이일 수 있거나, 또는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짧거나 긴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흡수 용품(10)의 전방 영역(12)에서 흡수 용품(10)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0) 부근에서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4 엠보싱 영역(156)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내부 엠보싱 영역(158)이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 내에 위치되도록 내부 엠보싱 영역(158)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 엠보싱 영역(158)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 엠보싱 영역(158)은 제1 구성요소(50)의 주변부(44) 근처에 위치할 수 있고, 삼출물 관리층(40)의 개구(42)의 길이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하여 길이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8은 5개의 엠보싱 영역(150, 152, 154, 156, 158)을 갖는 흡수 용품(10)의 예시를 제공하지만, 흡수 용품(10)은 더 많거나 적은 엠보싱 영역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엠보싱 영역은 흡수 용품(10)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날개: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이 흡수 용품(10)으로부터 가로방향(Y)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28)를 가질 수 있다. 날개(28)는, 이 날개(28)가 착용자의 속옷의 가장자리와 대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착용자의 속옷의 가장자리 위를 덮을 수 있다. 날개(28)는 적어도 2가지의 목적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로, 날개(28)는 속옷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속옷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로, 날개(28)에는, 흡수 용품(10)을 속옷 안에 확실하고 적절하게 위치시켜 유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의복 부착 접착제 또는 후크와 같은 부착 보조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날개(28)는 사용시에 착용자의 속옷에 흡수 용품(10)을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서 착용자의 속옷의 가랑이 영역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 각 날개(28)는 착용자의 속옷의 가랑이 영역 아래로 접힐 수 있고, 부착 보조부는 대향하는 날개(28)에 또는 직접 착용자의 속옷의 표면에 확실한 부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날개(28)는, 상면시트층(30) 및/또는 액체 불투과층(36)을 형성하는 물질들의 연장부일 수 있고, 밀봉된 주변 영역(26)을 따라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28)는 흡수 용품(10)의 주요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날개(28)는 상면시트층(30), 액체 불투과층(36)과 유사한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날개(28)는 흡수 용품(10)의 본체에 접합되는 별개 요소일 수 있다. 흡수 용품(10) 및 날개(28)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예는 Richards의 미국 특허 제4,059,114호, Hassim 등의 미국 특허 제4,862,574호, Heindel 등의 미국 특허 제5,342,647호, Alcantara 등의 미국 특허 제7,070,672호, Venturino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4/0040650호 및 Emenaker 등의 국제 공개 WO1997/040804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날개(28)는 선택적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날개(28) 없이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9는 날개(28) 없는 흡수 용품(1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제공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삼출물 관리층(40)은,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출물 관리층(40) 내의 개구(42)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도록 흡수 용품(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길이방향 중심선(18) 및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이지만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다. 도 19에 도시된 흡수 용품(1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길이방향 중심선(18) 및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대칭인 반면, 날개(28) 없이 제조된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에 대하여 대칭이고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 중심선(18)과 가로방향 중심선(80) 각각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샘방지 플랩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0은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을 갖는 흡수 용품(1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시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은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24)의 측방향으로 안쪽으로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흡수 용품(10)의 상면시트층(30)에 고정될 수 있어, 흡수 용품(10)의 가로방향(Y)으로 신체 삼출물의 흐름에 대한 장벽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은 흡수 용품(10)의 전방 영역(12)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흡수 용품(10)의 중앙 영역(16)을 통해 후방 영역(14)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은 상면시트층(30)을 형성하는 물질과 유사할 수 있는 섬유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 필름과 같은 통상적인 물질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샘방지 플랩(210 및 212)은 플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원위 말단(214)을 가질 수 있다. 플랩 탄성체를 위한 적합한 탄성 물질들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들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 탄성체들은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의 원위 말단(214)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중합체 물질의 2개의 가닥을 가질 수 있다. 탄성 가닥들은, 이 가닥들의 수축이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의 원위 말단(214)을 모으고 단축시키도록 하는 탄성 수축 가능한 조건에 있는 동안에,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 내에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탄성 가닥들은 각각의 샘방지 플랩(210 및 212)의 원위 말단(214)을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향해서 바이어싱할 수 있어, 흡수 용품(10)이 착용자에게 맞을 때,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은 특히 흡수 용품(10)의 중앙 영역(16)에서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의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으로 상면시트층(30)으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의 원위 말단(214)은, 플랩 탄성체들을 둘러싸기에 충분할 수 있는 양만큼 스스로 뒷받침하는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 물질을 부분적으로 이중화함으로써 플랩 탄성체들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은 탄성중합체 물질의 임의의 수의 가닥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흡수 용품(10)으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상면시트층(30)의 신체 대향면(32) 상에 위치된 삼출물 관리층(40)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삼출물 관리층(40)의 제1 구성요소(5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56)이 흡수 용품(10)의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 아래에 위치하도록 크기를 가지고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56)의 적어도 부분들과 같은 제1 구성요소(50)의 부분들이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이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의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으로 상면시트층(30)으로부터 멀리 연장될 때, 삼출물 관리층(40)은 상면시트층(30)으로부터 멀리 상승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에 흡수 용품(10)의 신체 밀착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50)의 가로방향 말단 에지들(52, 54)은, 흡수 용품(10)의 사용 동안 샘방지 플랩들(210 및 212)이 대체로 직립 배향에 있을 때 삼출물 관리층(40)이 상면시트층(30)으로부터 멀리 상승될 때, 신체 삼출물을 위한 포켓을 생성하도록 상면시트층(30)에 접합될 수 있다.
취득층: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취득층을 가질 수 있다. 취득층은, 상면시트층(30)을 관통하는 신체의 액체 삼출물의 분출이나 급증을 감속 및 확산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삼출물 관리층(40)은 상면시트층(30)의 신체 대향면(32)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취득층은 상면시트층(30)과 흡수성 코어(3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은 상면시트층(30)의 신체 대향면(32)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삼출물 관리층(40)은 취득층의 신체 대향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삼출물 관리층(40)과 흡수성 코어(38) 사이에 위치한 취득층을 가지면서 상면시트층(30)과 흡수성 코어(38) 사이에 위치한 삼출물 관리층(40)을 가질 수 있다.
취득층은 적절한 경우 임의의 길이방향 길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의 길이방향 길이는 흡수성 코어(38)의 길이방향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의 길이방향 길이는 흡수성 코어(38)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은 흡수성 코어(38)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임의의 소망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례로, 흡수 용품(10)은, 통상적으로 흡수 용품(10)에서 액체 급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타겟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구역의 구체적인 위치는 흡수 용품(10)의 착용자의 나이와 성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은 흡수 용품(10)의 더욱 전방 영역을 향하여 소변을 보는 경향이 있고, 타겟 구역은 흡수 용품(10) 내에서 전방으로 향할 수 있다. 여성 타겟 구역은 흡수 용품(10)의 중앙 영역(16)의 중심에 더욱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 용품(10) 내의 취득층의 상대적인 길이방향 배치를, 착용자들의 모든 카테고리 또는 어느 한쪽 카테고리의 타겟 구역에 가장 잘 상응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초흡수성 물질, 직조 물질, 부직 물질, 습식-레이드(wet-laid) 섬유상 웹, 실질적으로 미접합된 에어레이드(airlaid) 섬유상 웹, 동작 가능하게 접합된 안정화된-에어레이드 섬유상 웹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취득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부직 웹과 같이,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득층은 스테이플 또는 다른 길이의 컨쥬게이트형 이성분 그리고 동종중합체 섬유 그리고 이러한 섬유와 다른 유형의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득층은 약 5보다 큰 데니어를 가질 수 있는 섬유들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득층은 약 5보다 작은 데니어를 가질 수 있는 섬유들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득층은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에어레이드 웹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디드 카디드 웹은, 예를 들어 분말 본디드 카디드 웹, 적외선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스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득층의 평량은 적어도 약 10 또는 20gs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득층의 평량은, 약 10, 20, 30, 40, 50, 또는 60gsm 내지 약 65, 70, 75, 80, 85, 90, 100, 110, 120, 또는 130gs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취득층의 평량은, 약 130, 120, 110, 100, 90, 85, 80, 75, 70, 65, 60, 또는 50gsm 미만일 수 있다.
추가 흡수 용품 실시예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기저귀, 훈련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 팬티, 또는 성인용 실금 팬티와 같은 실금 제품과 같은 용품일 수 있다. 도 21은 기저귀와 같은 흡수 용품(10)의 측면도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제공한다. 도 22는 명확성을 위해 부분들이 절단된 개방 구성에 있는 도 21의 흡수 용품, 기저귀의 평면도의 도면을 제공한다. 도 23은 예를 들면, 아동 팬티 또는 성인용 실금 팬티와 같은, 팬티와 같은 흡수 용품(10)의 사시도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제공한다. 흡수 용품(10)이 기저귀, 훈련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지, 또는 성인 실금 팬티와 같은 실금 제품인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착용자의 하반신 둘레에 착용될 수 있고, 허리 개구(230) 및 다리 개구(232)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저귀, 훈련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지 팬티, 또는 성인용 실금 팬츠와 같은 실금 제품 등의 흡수 용품(10)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상면시트층(30), 흡수성 코어(38), 액체 불투과층(36), 및 삼출물 관리층(40)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저귀, 훈련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용 팬티, 또는 성인용 실금 팬티와 같은 실금 제품과 같은 흡수 용품(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샘방지 플랩들(210, 212)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저귀, 훈련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 팬티, 또는 성인용 실금 팬티와 같은 실금 제품과 같은 흡수 용품(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취득층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저귀, 훈련용 팬티, 아동 팬티, 수영 팬티, 또는 성인용 실금 팬티와 같은 실금 제품 등의 흡수 용품(10)은 다리 탄성체, 허리 탄성체, 체결 시스템, 및/또는 측면 패널을 가질 수도 있다.
다리 탄성체들:
다리 탄성 부재들(240 및 242)은, 예를 들어, 액체 불투과층(36)의 측방향 외측 에지들에 일반적으로 인접하여,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액체 불투과층(36)에 접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리 탄성 부재들(240 및 242)은 흡수 용품(10)의 다른 층들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광범위한 탄성 물질들이 다리 탄성 부재들(240 및 242)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탄성 물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 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들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물질들은 신축되고 기재에 고정될 수 있거나, 주름진 기재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기재에 고정되고 나서 예를 들면 열 인가로 탄성화 또는 수축될 수 있어, 탄성 수축력이 기재에 부여된다.
허리 탄성 부재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임의의 적합한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허리 탄성 부재들(244 및 246)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적합한 탄성 물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고분자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물질은 신축되고 기재에 접합될 수 있거나, 주름진 기재에 접합될 수 있거나, 또는 기재에 접합되고 나서 예를 들면 열 인가로 탄성화 또는 수축될 수 있어, 탄성 수축력이 기재에 부여된다. 그러나, 허리 탄성 부재들(244 및 246)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흡수 용품(10)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체결 시스템: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체결기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기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후면 체결기구(250) 및 하나 이상의 전면 체결기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기구 시스템 부분은, 전방 영역(12), 후방 영역(14), 또는 양측 영역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체결기구 시스템은,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흡수 용품(10)을 고정하고 흡수 용품(10)을 사용시 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면 체결기구(250)는, 함께 접합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해서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듯이 복합재 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재 체결기구는 신축 성분(254), 부직포 캐리어 또는 후크 기재(256), 및 체결 성분(25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면 패널들:
흡수 용품(10)이 배변연습용 팬티, 아동 팬티, 기저귀 팬티, 또는 성인 실금 팬티일 수 있는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10)은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을 가질 수 있다. 도 23은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과 같은 측면 패널들을 가질 수 있는 흡수 용품(10)의 비한정적 도면을 제공한다. 흡수 용품(10)의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은 각각의 전방 및 후방 허리 영역들(12 및 14)에서 흡수 용품(10)에 접합될 수 있고,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24)을 넘어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은, 접착제에 의해, 압력 접합에 의해, 열 접합에 의해 또는 초음파 접합에 의해 접합되는 것과 같이, 액체 불투과층(36)에 접합될 수 있다.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은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액체 불투과층(36)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은 흡수 용품(10)의 액체 불투과층(36), 상면시트층(30) 또는 다른 층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과 같이, 흡수 용품(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향상된 맞춤 및 외관을 위해서,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은, 적절하게는 길이방향 중심선(18)에 평행하게 측정된 흡수 용품(10)의 전체 길이의 약 20% 이상, 보다 적절하게는 약 25% 이상인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중심선(18)에 평행하게 측정된 평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54cm의 전체 길이,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을 갖는 흡수 용품들(10)은 적절하게는 약 10cm 이상의 평균 길이를 갖고, 보다 적절하게는 약 15cm의 평균 길이를 갖는다. 각각의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은 물질의 하나 이상의 개개의 구별된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전방 패널(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264 및 266)은 탄성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부분들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이음부(도시하지 않음)에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 부분(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개개의 전방 측면 패널(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264 및 266)은 중간 접힘선(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그 자체 위로 접히는 물질의 단일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은 각각 체결 이음부(272)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된 외부 에지(270),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서 배치된 다리 말단 에지(274), 및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말단을 향해서 배치된 허리 말단 에지(276)를 가질 수 있다. 다리 말단 에지(274) 및 허리 말단 에지(276)는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24)로부터 외부 에지들(270)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의 다리 말단 에지들(274)은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24)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흡수 용품(10)의 다리 말단 에지들(274)은 착용자의 다리들 주위에 보다 양호한 맞춤을 제공하도록 가로방향 중심선(80)에 대하여 만곡 및/또는 경사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후방 영역(14)의 다리 말단 에지(274)와 같은, 다리 말단 에지들(274) 중 하나만이 만곡 또는 경사질 수 있거나, 또는 다리 말단 에지들(274) 모두가 만곡 또는 경사질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한다. 허리 말단 에지들(276)은 가로방향 중심선(80)에 평행할 수 있다.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의 허리 말단 에지들(276)은 흡수 용품(10)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0)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의 허리 말단 에지들(276)은 흡수 용품(1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22)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264 및 266)은 측방으로 신축할 수 있는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의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을 흡수 용품(10) 내에 포함시키기 위한 설명된 공정 뿐만 아니라, 적합한 탄성 물질들이, 1990년 7월 10일자로 발행된 Van Gompel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4,940,464호, 1993년 7월 6일자로 발행된 Pohjola에 의한 미국 특허 제5,224,405호, 1992년 4월 14일자로 발행된 Pohjola에 의한 미국 특허 제5,104,116호, 및 1991년 9월 10일자로 발행된 Vogt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046,272호에 설명되어 있고, 이들 모두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일례로서, 적합한 탄성 물질들은 스트레치-서멀 적층체(stretch-thermal laminate (STL)), 넥-본디드 적층체(NBL), 반대의 넥 적층체(reversibly necked laminate), 또는 스트레치-본디드 적층체(SBL)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들이 당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1987년 5월 5일자로 발행된 Wisneski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4,663,220호, 1993년 7월 13일자로 발행된 Morman에 의한 미국 특허 제5,226,992호, 및 Taylor 등의 이름으로 1987년 4월 8일자로 공개된 유럽 특허출원 EP 0 217 032호, 및 Welch 등의 이름의 PCT 출원 WO 01/88245호에 설명되어 있고, 이들 모두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물질들은 Welch 등에 의한 미국 특허공개 제12/649,508호, 및 Lake 등에 의한 미국 특허공개 제12/023,447호에 설명되어 있고, 이들 모두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전방 측면 패널들(260 및 262) 및 후방 측면 패널들(264 및 266)은, 액체 불투과층(36)에 적합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다른 직조 또는 부직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구역 퍼센트 결정 방법:
개방 구역의 백분율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화상 분석 측정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방 구역은 광원으로부터 전송된 광이 관심 있는 물질에 미차단된 그러한 영역들을 직접 통과하는 물질 내의 영역들이라고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화상 분석 방법은 면적과 같은 특정 화상 분석 측정 변수들을 통해 물질을 위한 개방 구역 퍼센트의 수치를 결정한다. 개방 구역 퍼센트 방법은, 통상적인 광학 화상 분석 기술들을 사용하여 지면 구역들과 돌출부들 양쪽 내의 개방 구역 영역들을 별개로 검출하고, 그런 다음 그들의 백분율을 각각 계산하여 수행된다. 후속하는 검출 및 측정을 위한 지면 구역들 및 돌출부들을 분리하기 위해서, 화상 처리 단계들과 함께 입사 광이 사용된다.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되는 화상 분석 시스템은 검출, 화상 처리 및 측정을 수행하고, 또한 데이터를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에 디지털적으로 송신한다. 산출된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면 구역들 및 돌출부들을 갖는 물질들의 개방 구역 퍼센트를 결정한다.
주어진 물질의 지면 구역들과 돌출부들 양쪽 내의 개방 구역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물질의 2개의 별개의 디지털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예시적인 셋업이 도 24에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CCD 비디오 카메라(300)(예를 들면, 그레이 스케일 모드로 작동되고 스위스 히어브루그(Heerbrugg)의 Leica Microsystems로부터 입수 가능한 라이카 (Leica) DFC 310 FX)를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내의 Polaroid Resource Center로부터 입수 가능한 폴라로이드 MP-4 랜드 카메라 (Polaroid MP-4 Land Camera) 표준 지지체 또는 등가물과 같은 표준 지지체(302) 상에 탑재한다. 표준 지지체(302)를 미국 오클라호마주 빅스비에 사무소를 둔 Dunning Photo Equipment,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KREONITE 마크로-뷰어(macro-viewer)와 같은 마크로-뷰어(304)에 부착한다. 마크로-뷰어(304)의 상부 표면(306) 상에 오토 스테이지(308)를 배치한다. 오토 스테이지(308)는 카메라(300)로 보기 위해 주어진 물질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적합한 오토 스테이지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록랜드에 사무소를 둔 Prior Scientific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Model H112이다.
지면 구역들 및 돌출부들을 구비한 물질은 4의 f-스톱 설정치를 갖는 60mm Nikon AF Micro Nikkor lens(310)의 광학축 하에 있는 오토 스테이지(308) 상에 배치되어 있다. 니콘 렌즈(310)는 c-마운트 어댑터(c-mount adaptor)를 사용하여 라이카 DFC 310 FX 카메라(300)에 부착된다. 니콘 렌즈(310)의 전방면(312)으로부터 물질까지의 거리(D1)는 21cm이다. 물질을 오토 스테이지(308) 위에 편평하게 놓고 그 외부 에지에서 투명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해서 그것을 오토 스테이지(308) 표면까지 부드럽게 신장 및/또는 체결해서 모든 주름을 제거한다. 물질을 기계 방향(MD)이 생성되는 화상의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배향한다. 16인치 직경, 40W, GE Circline 형광 램프(314)에 의해 제공되는 입사 형광 조명을 물질 표면에 조사한다. 물질 위와 비디오 카메라 아래로 중심이 향하고 물질 표면 위로 3인치 거리(D2)가 되도록 위치하는 고정구 속에 램프(314)를 포함시킨다. 램프(314)의 조도는 오하이오주 데이톤에 사무소를 둔 Staco Energy Products Co.로부터 입수 가능한 Variable Auto-transformer, type 3PN1010로 제어한다. 투과광은 또한 확산판(318)로 덮혀 있는 5개의 20 와트 형광 조명들(316)로 오토 스테이지(308) 아래로부터 물질에도 제공된다. 확산판(318)을 삽입하고, 매크로 뷰어(304)의 일부분인 상부면(306)을 형성한다. 확산판(318)을 3in X 3in 구멍(322)을 보유하는 블랙 마스크(320)로 덧씌운다. 구멍(322)을 라이카 카메라와 렌즈 시스템의 광학축 아래에 중심이 오도록 배치한다. 구멍(322)으로부터 오토 스테이지(308)의 표면까지 거리(D3)는 대략 17cm이다. 형광 조명들(316)의 조도도 개별 Variable Auto-transformer로 제어한다.
개방 구역 퍼센트 측정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화상 분석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스위스 히어브루그에 사무소를 둔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로부터 입수 가능한 QWIN Pro(Version 3.5.1)이다. 상기 시스템 및 화상들은 또한 QWIN 소프트웨어, 및 측량 표시가 적어도 1mm 정도로 작은 표준 자를 이용하여 보정된다. 보정은, 비디오 카메라 화상의 수평 차원으로 수행된다. 픽셀 당 mm 단위를 상기 보정을 위해 사용된다.
주어진 물질의 개방 구역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입사 및 투과광 화상들 양쪽 모두로부터 수개의 구역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분석 알고리즘은 콴티메트 유저 인터액티브 프로그래밍 시스템(QUIPS) 언어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화상을 수득하고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이 재현된다.
NAME = % Open Area - Land vs Projection Regions-1
PURPOSE = Measures % open area on 'land' and 'projection' regions via 'sandwich' lighting technique
DEFINE VARIABLES & OPEN FILES
Open File ( C:\Data\39291\% Open Area\data.xls, channel #1 )
MFLDIMAGE = 2
TOTCOUNT = 0
TOTFIELDS = 0
SAMPLE ID AND SET UP
Configure ( Image Store 1392 x 1040, Grey Images 81, Binaries 24 )
Enter Results Header
File Results Header ( channel #1 )
File Line ( channel #1 )
Image Setup DC Twain [PAUSE] ( Camera 1, AutoExposure Off, Gain 0.00,
ExposureTime 34.23 msec, Brightness 0, Lamp 38.83 )
Measure frame ( x 31, y 61, Width 1330, Height 978 )
Image frame ( x 0, y 0, Width 1392, Height 1040 )
-- Calvalue = 0.0231 mm/px
CALVALUE = 0.0231
Calibrate ( CALVALUE CALUNITS$ per pixel )
Clear Accepts
For ( SAMPLE = 1 to 1, step 1 )
Clear Accepts
File ( "Field No.", channel #1, field width: 9, left justified )
File ( "Land Area", channel #1, field width: 9, left justified )
File ( "Land Open Area", channel #1, field width: 13, left justified )
File ( "%Open Land Area", channel #1, field width: 15, left justified )
File ( "Proj. Area", channel #1, field width: 9, left justified )
File ( "Proj. Open Area", channel #1, field width: 13, left justified )
File ( "% Open Proj. Area", channel #1, field width: 15, left justified )
File ( "Total % Open Area", channel #1, field width: 14, left justified )
File Line ( channel #1 )
Stage ( Define Origin )
Stage ( Scan Pattern, 5 x 1 fields, size 82500.000000 x 82500.000000 )
IMAGE ACQUISITION I - Projection isolation
For ( FIELD = 1 to 5, step 1 )
Display ( Image0 (on), frames (on,on), planes (off,off,off,off,off,off), lut 0, x 0, y 0, z 1, Reduction off )
PauseText ( "Ensure incident lighting is correct (WL = 0.88 - 0.94) and acquire image." )
Image Setup DC Twain [PAUSE] ( Camera 1, AutoExposure Off, Gain 0.00,
ExposureTime 34.23 msec, Brightness 0, Lamp 38.83 )
Acquire ( into Image0 )
DETECT - Projections only
PauseText ( "Ensure that threshold is set at least to the right of the left gray-level histogram peak which corresponds to the 'land' region." )
Detect [PAUSE] ( whiter than 127, from Image0 into Binary0 delineated )
BINARY IMAGE PROCESSING
Binary Amend (Close from Binary0 to Binary1, cycles 10, operator Disc, edge erode on)
Binary Identify ( FillHoles from Binary1 to Binary1 )
Binary Amend (Open from Binary1 to Binary2, cycles 20, operator Disc, edge erode on)
Binary Amend (Close from Binary2 to Binary3, cycles 8, operator Disc, edge erode on )
PauseText ("Toggle <control> and <b> keys to check bump detection and correct if necessary." )
Binary Edit [PAUSE] ( Draw from Binary3 to Binary3, nib Fill, width 2 )
Binary Logical ( copy Binary3, inverted to Binary4 )
IMAGE ACQUISITION 2 - % Open Area
Display ( Image0 (on), frames (on,on), planes (off,off,off,off,off,off), lut 0, x 0, y 0, z 1, Reduction off )
PauseText ( "Turn off incident light & ensure transmitted lighting is correct (WL = 0.97) and acquire image." )
Image Setup DC Twain [PAUSE] ( Camera 1, AutoExposure Off, Gain 0.00,
ExposureTime 34.23 msec, Brightness 0, Lamp 38.83 )
Acquire ( into Image0 )
DETECT - Open areas only
Detect ( whiter than 210, from Image0 into Binary10 delineated )
BINARY IMAGE PROCESSING
Binary Logical ( C = A AND B : C Binary11, A Binary3, B Binary10 )
Binary Logical ( C = A AND B : C Binary12, A Binary4, B Binary10 )
MEASURE AREAS - Land, projections, open area within each
-- Land Area
MFLDIMAGE = 4
Measure field ( plane MFLDIMAGE, into FLDRESULTS(1), statistics into FLDSTATS(7,1) ) Selected parameters: Area
LANDAREA = FLDRESULTS(1)
-- Projection Area
MFLDIMAGE = 3
Measure field ( plane MFLDIMAGE, into FLDRESULTS(1), statistics into FLDSTATS(7,1) ) Selected parameters: Area
BUMPAREA = FLDRESULTS(1)
-- Open Projection area
MFLDIMAGE = 11
Measure field ( plane MFLDIMAGE, into FLDRESULTS(1), statistics into FLDSTATS(7,1) ) Selected parameters: Area
APBUMPAREA = FLDRESULTS(1)
-- Open land area
MFLDIMAGE = 12
Measure field ( plane MFLDIMAGE, into FLDRESULTS(1), statistics into FLDSTATS(7,1) ) Selected parameters: Area
APLANDAREA = FLDRESULTS(1)
-- Total % open area
MFLDIMAGE = 10
Measure field ( plane MFLDIMAGE, into FLDRESULTS(1), statistics into FLDSTATS(7,1) ) Selected parameters: Area%
TOTPERCAPAREA = FLDRESULTS(1)
CALCULATE AND OUTPUT AREAS
PERCAPLANDAREA = APLANDAREA/LANDAREA*100
PERCAPBUMPAREA = APBUMPAREA/BUMPAREA*100
File ( FIELD, channel #1, 0 digits after '.' )
File ( LANDAREA, channel #1, 2 digits after '.' )
File ( APLANDAREA, channel #1, 2 digits after '.' )
File ( PERCAPLANDAREA, channel #1, 1 digit after '.' )
File ( BUMPAREA, channel #1, 2 digits after '.' )
File ( APBUMPAREA, channel #1, 4 digits after '.' )
File ( PERCAPBUMPAREA, channel #1, 5 digits after '.' )
File ( TOTPERCAPAREA, channel #1, 2 digits after '.' )
File Line ( channel #1 )
Stage ( Step, Wait until stopped + 1100 msecs )
Next ( FIELD )
PauseText ( "If no more samples, enter '0.'" )
Input ( FINISH )
If ( FINISH=0 )
Goto OUTPUT
Endif
PauseText ( "Place the next replicate specimen on the auto-stage, turn on incident light and turn-off and/or block sub-stage lighting." )
Image Setup DC Twain [PAUSE] ( Camera 1, AutoExposure Off, Gain 0.00,
ExposureTime 34.23 msec, Brightness 0, Lamp 38.83 )
File Line (channel #1)
Next ( SAMPLE )
OUTPUT:
Close File ( channel #1 )
END
QUIPS 알고리즘은 QWIN Pro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처음에는 분석자가 엑셀 파일로 송부되는 물질 세트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다음으로, 분석자는 재료를 오토 스테이지(308) 상에 배치하도록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상의 라이브 화상 설정 윈도우에 의해 유도한다. 존재 가능한 임의의 미세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이의 에지에 적용되는 균일하고 약한 힘이 물질에 가해져야 한다. 또한 화상에서 기계 방향이 수평으로 이어지도록 화상을 배열해야 한다. 동시에, 써클라인 형광 램프(314)는 재료를 배치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켜져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자는 가변 자동 변압기를 경유하여 약 0.9의 백색 밝기 판독값(white level reading)까지 입사 써클라인 형광 램프(314)를 조정하도록 유도한다. 서브-스테이지 투과광 뱅크(316)는 3인치Х3인치 크기의 구멍(322) 상부에 배치된 1장의 광 차단용 흑색 판지를 이용하여 동시에 끄거나 마스킹되어야 한다.
이제 분석자는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에 표시되어 있는 검출 윈도우를 이용하여 돌출부들의 검출을 위해 검출 임계값이 적절한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도록 유도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임계값은 8-비트 회색조 범위(예를 들어, 127)의 대략적으로 중간 정도의 지점에서 있는 백색 모드를 이용하여 설정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임계값 수준은 얻어진 검출 2진수가 주위의 지면 구역과 이들의 경계에 대하여 획득된 화상에 도시된 돌출부들을 최적으로 포함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이 돌출부들의 검출된 2진수에 대하여 몇몇 2진수 화상 처리 단계를 자동적으로 수행한 후, 돌출부 검출을 다시 검토하고 임의의 오류들을 보정하기 위한 기회가 분석자에게 주어질 것이다. 분석자들은 기저의 획득된 회색조 화상에 대한 돌출부 검출을 다시 검토하기 위해 동시에 '제어' 및 'b' 키 둘 모두를 동시에 토글링(toggling)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분석자는 임의의 미세한 조정을 하기 위해 한 세트의 2진수 편집 도구들(예를 들어, 그리기, 거부 등)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에서 적절한 조명 및 검출을 확실케 하기 위해 주의하는 경우, 이 시점에 보정은 거의 필요하지 않아야 한다.
다음으로, 분석자는 입사 써클라인 형광 램프(314)를 끄고, 서브-스테이지 투과광 뱅크를 켜거나 광 차단 마스크를 제거하도록 유도한다. 서브-스테이지 투과광 뱅크는 가변 자동 변압기에 의해 약 0.97의 백색 밝기 판독값까지 조정된다. 이 시점에, 화상 포커스는 물질의 지면 구역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돌출부, 지면 구역 및 개방 구역에 대한 얻어진 별개의 2진수 화상에 대하여 부가적인 연산을 수행한 이후에 알고리즘은 이후에 자동적으로 측정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지정된 엑셀 스프레드시트 파일 내로 출력할 것이다. 하기 측정 매개변수 데이터는 측정 및 데이터 전달이 일어난 이후에 엑셀 파일에 위치할 것이다:
지면 구역
지면 개방 구역
지면 개방 구역 %
돌출부 구역
돌출부 개방 구역
돌출부 개방 구역 %
총 개방 구역 %
데이터의 전달 이후, 상기 알고리즘은 오토 스테이지(308)가 다음 시계로 이동하도록 지시할 것이고, 입사 써클라인 형광 램프(314)를 켜고 투과된 서브-스테이지 광 뱅크(316)을 차단하는 공정을 다시 시작할 것이다. 이러한 공정은 단일의 물질 복사 당 5개의 별개의 시계 화상(field-of-view image)으로부터의 5세트의 데이터가 존재하도록 4회 반복할 것이다.
단일 물질로부터 복제되는 다중 샘플링은 QUIPS 알고리즘의 단일 실행 중에 수행될 수 있다(주: 알고리즘에서 REPLICATE For-Next 라인은 시편당 수행될 샘플 복제 분석의 수를 반영하기 위해 조정될 필요가 있다). 최종 물질의 평균 확산값은 일반적으로 5개 별개의 물질 하위샘플 복사로부터 N=5 분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상이한 물질들 사이의 비교는 90%의 신뢰 수준에서의 스튜던트 T 분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돌출부 높이 결정 방법 시험 방법:
돌출부들의 높이는 본원에 개시된 화상 분석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화상 분석 방법은 샘플 중에서 지면 구역들, 및 기저의 지면 구역을 갖는 돌출부 둘 모두의 특정 화상 분석 측정을 이용하여 돌출부들의 치수의 수치 높이 값을 결정한 후, 상기 둘 사이의 차이에 의해 돌출부 높이만을 산정한다. 돌출부 높이 방법은 지면 구역들 및 돌출부 구조들 둘 모두의 단편 영역을 검출한 후, 입사 조명을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측하는 경우에 각각에 대한 평균 선형 높이 값을 측정하기 위해 통상적인 광학 화상 분석 기법들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얻어진 측정 데이터는 상이한 유형의 물질의 돌출부 높이 특징들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다.
화상 분석 측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돌출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대표적인 단면의 시각화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관심 있는 샘플을 준비해야 한다. 단면 측량은 3M에 의해 생산된 ¾인치 SCOTCH® Magic™ 테이프와 같은 테이프 스트립을 갖는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 상의 그의 교차 기계 주행 직선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 위에 샘플의 대표적인 조각을 고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단면 측량은, 이전에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단일 에지 카본 스틸 블루 블레이드(PAL)를 사용하여, 고정된 에지에 직교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돌출부가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행들 내에 배열되는 경우 더 많은 돌출부의 중심을 통해 조심스럽게 절단함으로써 수행된다. 돌출부들의 단면 표면의 이면에 위치한 임의의 돌출부의 잔류 열들은 관심 있는 단면 돌출부들만이 존재하도록 장착 이전에 절단되거나 제거되어야 한다. 단면 측량을 위한 이 같은 블레이드들은 펜실바니아 주 해트필드 소재의 Electron Microscopy Sciences(Cat. #71974)로부터 얻을 수 있다. 단면 측량은 샘플의 기계 방향에서 수행되며,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블레이드가 각각의 새로운 단면 절개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이제 단면 표면은 광학 렌즈를 구비한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측되도록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돌출부들이 판대로부터 상부로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자체, 및 카메라에 의해 관측될 샘플 이면에 있는 임의의 배경은 무반사 흑색 테이프 및 흑색 구성 판지(346)(도 25에 도시됨)를 각각 이용하여 어둡게 만들어야 한다. 전형적인 샘플에 있어서, 충분한 단면들이 절단되고, 개별적으로 장착되며, 이들로부터 총 6개의 높이 값이 결정된다.
화상들을 수득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은 도 25에 대표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CCD 비디오카메라(330)(예를 들어, 회색조 모드로 작동되는 라이카 DFC 310 FX 비디오카메라는 스위스 히어브루그 소재의 Leica Microsystems 로부터 이용 가능함)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소재의 Polaroid Resource Center 로부터 이용 가능한 폴라로이드 MP-4 랜드 카메라 표준 지지체 또는 등가물과 같은 표준 지지체(332) 사에 장착된다. 표준 지지체(332)는 오클라호마주 빅스비에 사무실이 있는 Dunning Photo Equipment, Inc.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KREONITE 마크로-뷰어와 같은 마크로-뷰어(334)에 부착되어 있다. 오토 스테이지(336)는 마크로-뷰어(334)의 상부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오토 스테이지(336)는 카메라(330)에 의한 관측을 위해 소정의 샘플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적절한 오토 스테이지(336)는 모델 H112로서, 매사추세츠주 록랜드에 사무실이 있는 Prior Scientific Inc.으로부터 이용 가능하다.
지면 구역들 및 돌출부들을 구비한 샘플 단면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암흑 처리된 샘플 받침대(338)는 2.8의 f-스톱 설정치를 갖는 50mm 니콘 렌즈(340)의 광축 하에 있는 오토 스테이지(336) 상에 배치되어 있다. 니콘 렌즈(340)은 30mm 확장 튜브(342) 및 c-장착 어댑터를 이용하여 라이카 DFC 310 FX 카메라(330)에 부착된다. 샘플 받침대(338)는 샘플 단면이 카메라(330)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향하고 판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돌출부들을 갖는 얻어진 화상의 수평 방향으로 이어져 있도록 배향되어 있다. 단면 표면은 2개의 150와트 GE 리플렉터 플러드(Reflector Flood) 램프에 의해 제공되는 입사 백열등(344)으로 조사된다. 상기 2개의 플러드 램프는 화상에서 그 하부에 있는 샘플 받침대(338)에 대해서 보다 단면 표면에 대해 더 많은 조명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330) 및 기저의 단면 샘플 받침대(338) 상부 바로 위로부터 관측하는 경우, 플러드 램프(344)들은 카메라(330)를 통해 이어져 있는 수평면에 대해 약 30도 및 150도로 배치될 것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카메라 지지대는 90도의 위치에 있을 것이다. 램프의 조도는 오하이오 주 데이튼(Dayton)에 사무실이 있는 Staco Energy Products Co.로부터 이용 가능한 가변 자동 변압기(유형: 3PN1010)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상 분석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스위스 히어브루그에 사무소가 있는 Leica Microsystems로부터 입수 가능한 QWIN Pro(버전 3.5.1)이다. 상기 시스템 및 화상들은 또한 QWIN 소프트웨어, 및 측량 표시가 적어도 1mm 정도로 작은 표준 자를 이용하여 보정된다. 보정은, 비디오 카메라 화상의 수평 차원으로 수행된다. 픽셀 당 mm 단위를 상기 보정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소정의 샘플의 돌출부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몇몇 치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분석 알고리즘은 콴티메트 유저 인터액티브 프로그래밍 시스템(QUIPS) 언어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화상을 수득하고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이 재현된다.
NAME = Height - Projection vs Land Regions - 1
PURPOSE = Measures height of projection and land regions
DEFINE VARIABLES & OPEN FILES
-- The following line is set to designate where measurement data will be stored.
Open File (C:\Data\39291\Height\data.xls, channel #1)
FIELDS = 6
SAMPLE ID AND SET UP
Enter Results Header
File Results Header ( channel #1 )
File Line ( channel #1 )
Measure frame ( x 31, y 61, Width 1330, Height 978 )
Image frame ( x 0, y 0, Width 1392, Height 1040 )
-- Calvalue = 0.0083 mm/pixel
CALVALUE = 0.0083
Calibrate ( CALVALUE CALUNITS$ per pixel )
For ( REPLICATE = 1 to FIELDS, step 1 )
Clear Feature Histogram #1
Clear Feature Histogram #2
Clear Accepts
IMAGE ACQUISITION AND DETECTION
PauseText ( "Position sample, focus image and set white level to 0.95." )
Image Setup DC Twain [PAUSE] ( Camera 1, AutoExposure Off, Gain 0.00,
ExposureTime 200.00 msec, Brightness 0, Lamp 49.99 )
Acquire ( into Image0 )
ACQOUTPUT = 0
-- The following line can be optionally set-up for saving image files to a specific location.
ACQFILE$ = "C:\Images\39291 - for Height\Text.
2H_"+STR$(REPLICATE)+"s.jpg"
Write image ( from ACQOUTPUT into file ACQFILE$ )
Detect ( whiter than 104, from Image0 into Binary0 delineated )
IMAGE PROCESSING
Binary Amend (Close from Binary0 to Binary1, cycles 4, operator Disc, edge erode on)
Binary Amend (Open from Binary1 to Binary2, cycles 4, operator Disc, edge erode on)
Binary Identify (FillHoles from Binary2 to Binary3)
Binary Amend (Close from Binary3 to Binary4, cycles 15, operator Disc, edge erode on)
Binary Amend (Open from Binary4 to Binary5, cycles 20, operator Disc, edge erode on)
PauseText ( "Fill in projection & land regions that should be included, and reject over detected regions." )
Binary Edit [PAUSE] ( Draw from Binary5 to Binary6, nib Fill, width 2 )
PauseText ( "Select 'Land' region for measurement." )
Binary Edit [PAUSE] ( Accept from Binary6 to Binary7, nib Fill, width 2 )
PauseText ( "Select 'Projection' region for measurement." )
Binary Edit [PAUSE] ( Accept from Binary6 to Binary8, nib Fill, width 2 )
-- Combine land and projection regions with measurement grid.
Graphics ( Grid, 30 x 0 Lines, Grid Size 1334 x 964, Origin 21 x 21, Thickness 2,
Orientation 0.000000, to Binary15 Cleared )
Binary Logical ( C = A AND B : C Binary10, A Binary7, B Binary15 )
Binary Logical ( C = A AND B : C Binary11, A Binary8, B Binary15 )
MEASURE HEIGHTS
-- Land region only
Measure feature ( plane Binary10, 8 ferets, minimum area: 8, grey image: Image0 )
Selected parameters: X FCP, Y FCP, Feret90
Feature Histogram #1 ( Y Param Number, X Param Feret90, from 0.0100 to 5., logarithmic, 20 bins )
Display Feature Histogram Results ( #1, horizontal, differential, bins + graph (Y axis linear), statistics ) Data Window ( 1278, 412, 323, 371 )
-- Projection regions only (includes any underlying land material)
Measure feature ( plane Binary11, 8 ferets, minimum area: 8, grey image: Image0 )
Selected parameters: X FCP, Y FCP, Feret90
Feature Histogram #2 ( Y Param Number, X Param Feret90, from 0.0100 to 10., logarithmic, 20 bins )
Display Feature Histogram Results ( #2, horizontal, differential, bins + graph (Y axis linear), statistics ) Data Window ( 1305, 801, 297, 371 )
OUTPUT DATA
File ( "Land Height (mm)", channel #1 )
File Line ( channel #1 )
File Feature Histogram Results ( #1, differential, statistics, bin details, channel #1 )
File Line ( channel #1 )
File Line ( channel #1 )
File ( "Projection + Land Height (mm)", channel #1 )
File Line ( channel #1 )
File Feature Histogram Results ( #2, differential, statistics, bin details, channel #1 )
File Line ( channel #1 )
File Line ( channel #1 )
File Line ( channel #1 )
Next ( REPLICATE )
Close File (channel #1)
END
QUIPS 알고리즘은 QWIN Pro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처음에는 분석자는 측정 데이터가 또한 후속적으로 송부될 지정된 엑셀 파일에 송부되는 샘플 식별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된다.
이어 분석자는 단면 표면이 상부로 향하고 있는 돌출부들, 및 비디오 모니터 스크린 상에 표시된 라이브 화상에서 수평으로 이어져 있는 너비가 구비된 카메라(330)와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암흑 처리된 배경을 포함하는 오토 스테이지(336) 상의 장착 샘플 단면을 배치하도록 유도된다. 다음으로, 분석자는 단면 표면의 포커스를 최적화하기 위해 비디오 카메라(330) 및 렌즈(340)를 수직 위치로 조절한다. 조도는 또한 분석자에 의해 가변 자동 변압기를 경유하여 약 0.95의 백색 밝기 판독값으로 조절된다.
일단 분석자가 상기 단계들을 완료하고 명령어를 계속 실행하는 경우, QUIPS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적으로 화상이 획득되고, 검출되고, 처리될 것이다. 분석자는 컴퓨터 마우스를 이용하여 기저의 회색조 화상에 도시된 단면 구조의 경계를 넘어선 검출된 영역에 대해 임의의 것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이전 검출 및 화상 처리 단계들에 의해 포함되었던 단면 화상에 도시된 임의의 돌출부 및/또는 지면 구역들의 검출된 2진수 화상을 채우도록 유도될 것이다. 이러한 편집 공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분석자는 2진수가 단면에 도시된 샘플의 경계와 얼마나 밀접하게 일치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위에 가로놓인 2진수 화상을 켜거나 끄기 위해 키보드 상의 '제어' 및 'B' 키를 동시에 토글링 할 수 있다. 초기 단면 측량 샘플 준비가 잘 수행되는 경우, 수동 편집은 약간은 요구되지만 거의 요구되지 않아야 한다.
이제 분석자는 컴퓨터 마우스를 이용하여 "측정을 위한 '지면' 영역을 선택"하도록 유도된다. 이러한 선택은 돌출부들 사이에 위치하거나 이들에 인접하게 위치한 단일의 지면 구역의 일면을 통해 직선을 하부로 조심스럽게 그린 후, 좌측 마우스 버튼을 여전히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지면 구역 아래의 커서를 이의 맞은편으로 이동시키고, 이어 다른 직선을 상부로 그림으로써 수행된다. 일단 이런 상황이 일어나면, 좌측 마우스 버튼을 해제하고, 측정될 지면 구역은 녹색으로 채워야 한다. 상기 얻어진 선택 영역의 수직 에지들이 임의의 방식으로 편향되어 있는 경우, 분석자는 바이너리 에디트(Binary Edit) 윈도우 내에 위치한 '취소'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초기 검출된 2진수로 재설정할 수 있고, 선택된 지면 구역의 양면 상의 직전 수직 에지가 수득될 때까지 선택 공정을 시작한다.
유사하게, 다음으로 분석자는 "측정을 위한 '돌출부' 영역을 선택"하도록 유도될 것이다. 이제 이전에 선택된 지면 구역에 부착된 돌출부 영역의 상부 부분은 지면 구역 선택을 위해 이전에 개시된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어, 상기 알고리즘이 선택된 영역들 둘 모두에 대한 측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를 막대그래프 형식으로 지정된 엑셀 스프레드시트 파일 내로 출력할 것이다. 엑셀 파일에서, 지면 및 돌출부 영역들에 대한 막대그래프들은 "지면 높이(mm)" 및 "돌출부+지면 높이(mm)" 각각으로 라벨링될 것이다. 별개의 세트의 막대그래프들은 지면 및 돌출부 영역 쌍의 각각의 선택을 위해 생성될 것이다.
이어, 분석자는 샘플을 배치하고, 상이한 지면 및 돌출부 영역들을 선택하는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 다시 유도될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 분석자는 오토 스테이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새로운 하위샘플링 위치에 동일한 단면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동일한 샘플로부터 수득된 전적으로 상이한 장착된 단면은 측정을 위해 오토 스테이지(306)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샘플을 위치시키고 측정을 위한 지면 및 돌출부 영역들을 선택하기 위한 공정은 QUIPS 알고리즘의 각각의 실행을 위해 6회 이루어질 것이다.
이어, 단일의 돌출부 높이 값은 단일의 측정 쌍 각각에 대한 별개의 지면 및 돌출부 영역의 막대그래프의 평균값 사이의 수치적 차이를 산정함으로써 결정된다. QUIPS 알고리즘은 샘플 당 6개의 돌출부 높이 값이 생성되도록 단일 샘플에 대한 지면 및 돌출부 영역 둘 모두의 6개의 복사 측정 세트를 제공할 것이다. 최종 샘플 평균 확산값은 통상적으로 6개의 별개의 하위샘플 측정으로부터의 N=6 분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90% 신뢰도에서 스튜던트 T 분석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샘플들 간의 비교를 수행한다.
간략함과 간결함을 위하여, 발명에서 설명하는 값들의 임의의 범위는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고려하며, 문제의 특정 범위 내의 모두 수치 값들인 종말점을 갖는 임의의 부범위를 인용하는 청구범위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가상적인 예로서, 1 내지 5 범위의 개시 내용은 다음과 같은 범위 1 내지 5; 1 내지 4; 1 내지 3; 1 내지 2; 2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3; 3 내지 5; 3 내지 4; 및 4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청구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들은 인용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밀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대신,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 각각은 인용된 값 및 이 값 주변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범위 모두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40㎜"라고 개시된 치수는 "약 40㎜"를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되며; 임의의 문헌 인용이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원에서 기재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서 통합된 문헌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상충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에 할당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다른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요소들 또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입할 때, "한", "하나", "그", "상기" 라는 구는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며, 열거된 요소들 외의 다른 추가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8)

  1. 제1 구성요소 및 제2 구성요소를 갖는 삼출물 관리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 상기 삼출물 관리층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장치는,
    i. 절단 롤러의 교차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절단 공구들 및 상기 한 쌍의 제1 절단 공구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절단 공구들을 분리하는 제2 절단 공구가 위치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 절단 롤러로서, 상기 제2 절단 공구는 상기 제1 절단 공구들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절단 롤러는 제1 진공 시스템과 연관된, 상기 절단 롤러;
    ii. 모루 롤러; 및
    iii. 제2 진공 시스템 및 공기 송풍 시스템과 연관된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단계;
    b) 베이스 물질을 상기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베이스 물질을 적어도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
    d)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내의 베이스 물질을 분할해서 상기 제1 구성요소 내의 개구의 주변부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1 부분을 나타내고 상기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
    e) 상기 베이스 물질을 상기 이송 롤러로 이행시키는 단계;
    f)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섹션을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3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를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부터 분리해서 상기 삼출물 관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물질을 적어도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는 적어도 제1 취약선 및 제2 취약선을 상기 베이스 물질 내에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취약선은 천공선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물질을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물질을 분할하여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와 동시에 일어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물질을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물질을 분할하여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 전에 일어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물질을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물질을 분할하여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 후에 일어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물질을 분할하여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계는 제3 취약선과 분리선을 상기 베이스 물질 내에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취약선은 압축 선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취약선은 눈금 바에 의해 생성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1 구성요소의 섹션을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3 부분에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는 제1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가지고,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은 제2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가지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1 구성요소의 섹션을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3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길이 방향 중심선을 상기 제2 길이 방향 중심선의 20도 이내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제1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가지고, 상기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은 제2 길이 방향 중심선을 가지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섹션을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3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길이방향 중심선을 상기 제2 길이방향 중심선의 20도 이내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삼출물 관리층의 제1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3 부분과 중첩 구성되게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중첩 구성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중첩 구성으로 안내하는 단계는 제3 진공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를 형성할 상기 베이스 물질의 제2 부분을 상기 중첩 구성으로 안내하는 단계는 슬라이딩 보드를 활용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를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 및 상기 제2 삼출물 관리층 예비-형성부를 결합하는 취약선을 파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29252A 2018-03-29 2018-03-29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 KR102274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8/025073 WO2019190520A1 (en) 2018-03-29 2018-03-29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udate management layer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377A true KR20200121377A (ko) 2020-10-23
KR102274817B1 KR102274817B1 (ko) 2021-07-08

Family

ID=6805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252A KR102274817B1 (ko) 2018-03-29 2018-03-29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33438B2 (ko)
KR (1) KR102274817B1 (ko)
CN (1) CN111787893B (ko)
BR (1) BR112020017325B1 (ko)
DE (1) DE112018007153T5 (ko)
MX (1) MX2020008945A (ko)
RU (1) RU2743649C1 (ko)
WO (1) WO2019190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4110B (zh) 2017-03-31 2022-07-1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流出物管理层的吸收制品
KR102164776B1 (ko) * 2017-03-31 2020-10-1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삼출물 관리층을 구비한 흡수 용품
AU2018244777B2 (en) 2017-03-31 2023-0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DE112018007153T5 (de) 2018-03-29 2020-11-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xsudatmanagementschicht für die verwendung in einem absorbierenden artikel
MX2020009339A (es) * 2018-03-29 2020-10-14 Kimberly Clark Co Metodo de fabricacion de capa de manejo de exudados para su uso en articulo absorben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3307A (ja) * 2001-07-05 2004-11-04 エスシーエ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改善された適合性と強化された吸収容量を持つ吸収性物品及びこの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WO2013185800A1 (en) * 2012-06-11 2013-12-1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KR20150004865A (ko) * 2012-04-25 2015-01-1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별 부분에 종방향으로 배향된 층을 갖는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
WO2016183709A1 (en) * 2015-05-15 2016-11-24 Kimberly-Clark (China) Co. Ltd. Absorbent article with contoured fit
WO2017151490A1 (en) * 2016-02-29 2017-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at-back protection feature
WO2018004564A1 (en) * 2016-06-29 2018-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absorbent system having an openin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6071A (en) 1992-05-19 1994-03-22 Label Technologies, Inc. Method of printing and cutting heavy stock on flexographic press
JPH11509458A (ja) 1996-05-08 1999-08-2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内部サイドラッピング要素を有する吸収体
SE511903C2 (sv) * 1996-06-28 1999-12-1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en absorptionskropp med förbättrade vätskeinsläppsegenskaper
US6022432A (en) 1998-06-19 2000-0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prefasten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KR20020059363A (ko) * 1999-08-16 2002-07-12 웰피엘드 마크 흡수성 생리대
SE0101393L (sv) 2001-04-20 2002-10-21 Sca Hygiene Prod Ab Sätt att forma en fiberbana för användning i absorberande alster samt enligt sättet framställd fiberbana
US20020169428A1 (en) 2001-05-11 2002-11-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 blended core and a method of forming
US7601415B2 (en) * 2001-12-03 2009-10-13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Absorbent device using an apertured nonwoven as an 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US8241543B2 (en) * 2003-08-07 2012-08-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pertured web
SE0303066D0 (sv) 2003-11-20 2003-11-20 Sca Hygiene Prod Ab Ett absorberande alster såsom en dambinda, en blöja, ett inkontinensskydd eller ett trosskydd
EP1776940B1 (en) * 2005-09-23 2012-06-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ertured liquid acquisition dual layer
WO2007040606A2 (en) 2005-09-28 2007-04-12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with c-foldedd moisture barri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FR2912330B1 (fr) 2007-02-13 2011-03-04 Georgia Pacific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impregnation de produit realise par decoupe d'une nappe continue.
US8292862B2 (en) 2007-08-03 2012-10-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ynamic fitting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821360B2 (en) 2009-02-03 2014-09-02 Zuik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worn articl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KR101651675B1 (ko) * 2009-10-30 2016-08-2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환형의 흡수부재를 구비하는 흡수제품
US8426671B2 (en) 2011-02-11 2013-04-23 Polymer Group, Inc. Liquid management layer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ITBO20110512A1 (it) 2011-09-08 2013-03-09 Gdm Spa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articoli assorbenti igienici
US8915899B2 (en) * 2012-03-05 2014-1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raised body conforming structure
US10059015B2 (en) 2012-10-23 2018-08-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cutting apparatus
US9327473B2 (en) 2012-10-31 2016-05-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uid-entangled laminate webs having hollow projections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9480608B2 (en) * 2012-10-31 2016-1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uid-entangled body fac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 projections
EP2928433B1 (en) * 2012-12-04 2020-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 absorbent article with a multi-layered topsheet
JP5898150B2 (ja) * 2013-09-02 2016-04-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5073812A1 (en) 2013-11-15 2015-05-21 Covidien Lp Folded core absorbent article and related method
JP6715822B2 (ja) * 2014-07-09 2020-07-01 インテルコス エッセ.ピ.ア.INTERCOS S.p.A. 化粧品組成物
CN107072839B (zh) 2014-11-26 2019-04-02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手指拉片的吸收制品和其制造方法
US10765566B2 (en) * 2014-12-30 2020-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partially separable, skin-contacting topsheet layer
EP3058911B1 (en) 2015-02-17 2018-11-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forming a three-dimensional basin
DE112018007153T5 (de) 2018-03-29 2020-11-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xsudatmanagementschicht für die verwendung in einem absorbierenden artikel
KR102274820B1 (ko) 2018-03-29 2021-07-0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
MX2020009339A (es) 2018-03-29 2020-10-14 Kimberly Clark Co Metodo de fabricacion de capa de manejo de exudados para su uso en articulo absorben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3307A (ja) * 2001-07-05 2004-11-04 エスシーエ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改善された適合性と強化された吸収容量を持つ吸収性物品及びこの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KR20150004865A (ko) * 2012-04-25 2015-01-1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별 부분에 종방향으로 배향된 층을 갖는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
WO2013185800A1 (en) * 2012-06-11 2013-12-1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O2016183709A1 (en) * 2015-05-15 2016-11-24 Kimberly-Clark (China) Co. Ltd. Absorbent article with contoured fit
WO2017151490A1 (en) * 2016-02-29 2017-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at-back protection feature
WO2018004564A1 (en) * 2016-06-29 2018-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absorbent system having an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43649C1 (ru) 2021-02-20
US20210007902A1 (en) 2021-01-14
CN111787893A (zh) 2020-10-16
MX2020008945A (es) 2022-04-11
DE112018007153T5 (de) 2020-11-26
BR112020017325A2 (pt) 2020-12-15
WO2019190520A1 (en) 2019-10-03
CN111787893B (zh) 2021-10-08
US11033438B2 (en) 2021-06-15
BR112020017325B1 (pt) 2023-10-31
KR102274817B1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555B1 (ko) 삼출물 관리층을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274817B1 (ko)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
KR102308496B1 (ko)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
US11969322B2 (en)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US20230190544A1 (en)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KR102274820B1 (ko)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삼출물 관리층 제조 방법
BR112019017908B1 (pt) Artigo absorv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