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167A -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 - Google Patents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1167A KR20200121167A KR1020190043883A KR20190043883A KR20200121167A KR 20200121167 A KR20200121167 A KR 20200121167A KR 1020190043883 A KR1020190043883 A KR 1020190043883A KR 20190043883 A KR20190043883 A KR 20190043883A KR 20200121167 A KR20200121167 A KR 202001211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ugated
- core material
- cardboard
- manufacturing
- plywoo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11087 paperboard Substances 0.000 title 2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4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1111 cardboar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8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8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538 functional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096 corrugated fiberboard Substances 0.000 abstract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WEHNKRNPOVVGH-UHFFFAOYSA-N Methyl eth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corrugated board 24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09 Kieselg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HCLUNTQKBZGK-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C(C)=O UIHCLUNTQKB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74 Styrene-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XKVLQRXCPHEJC-UHFFFAOYSA-N acetic acid trimethyl ester Natural products COC(C)=O KXKVLQRXCPH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9 antifou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QXBYHZEEUGOBF-UHFFFAOYSA-N but-3-enoic acid;ethene Chemical compound C=C.OC(=O)CC=C DQXBYHZEEUGO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TAZNLWOLGHBHU-UHFFFAOYSA-N butadiene-styrene rubber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 MTAZNLWOLGHB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VALZJMUIHGIMD-UHFFFAOYSA-H magne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Mg+2].[Mg+2].[Mg+2].[O-]P([O-])([O-])=O.[O-]P([O-])([O-])=O GVALZJMUIHGIMD-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37 magnes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261 magnesium phosph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57 magne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94 magnes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64 oss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0 polystyr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3 potass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THWMYGWWRZVTN-UHFFFAOYSA-N sod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Na+].[Na+].[O-][Si]([O-])=O NTHWMYGWWRZV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5 styrene 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92 styrene-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66 varni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8—Corrugated paper or card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2—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longitudinal with the web feed
- B31F1/225—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longitudinal with the web feed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 to flat webs; Making corrugated-web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5/00—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지 가공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행되는 골게터를 이용하여 골판지 합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지에 골을 형성하여 골심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심지를 포함하는 골판지를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골판지 스트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상기 골게터의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전면 또는 후면에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의 전면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의 후면을 접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골판지 심재를 연장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판지 심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골판지 심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표면 부재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게터 상에서 상기 골판지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골판지를 절단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보다 큰 규격의 골판지 심재를 포함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보다 큰 규격의 골판지 심재를 포함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큰 규격의 수직 골판지 합판을 단일한 공정으로 제조하여 제조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외장재 및 내장재, 가구의 마감재 등으로 목재, 대리석, 화강암, 샌드스톤 등 다양한 질감의 천연소재가 사용된다. 그러나 원가 절감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합판이 합리적인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종이 소재로 형성된 합판은 원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이 소재는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골판지를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시킴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킨 골판지 합판 기술이 제시되었다.
구체적으로 골판지 합판은 복수의 골심지를 적층하여 접합시킨 골판지 심재, 골판지 심재의 상하부면에 접합된 라이너지를 포함한다. 이때 골판지 심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골심지는 지면에 수직으로 적층되고, 각 골심지의 골 방향은 지면과 평행을 이룬다. 이하에서는 이런 형상의 골심지를 수평 골심지라고 하고, 수평 골심지로 만들어진 골판지 심재를 수평 골판지 심재라 칭한다.
수평 골판지 심재는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서로 대면하는 수평 골심지의 골의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골심지의 골이 지면과 평행을 이루므로 여전히 수직 방향의 강도를 보완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직 방향의 강도를 보완시킨 수직 골판지 심재를 규격의 제한 없이 제조할 수 있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은 원지 가공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행되는 골게터를 이용하여 골판지 합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지에 골을 형성하여 골심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심지를 포함하는 골판지를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골판지 스트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상기 골게터의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전면 또는 후면에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의 전면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의 후면을 접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골판지 심재를 연장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판지 심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골판지 심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표면 부재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게터 상에서 상기 골판지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골판지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상기 골게터의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는, 장방형을 이루는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일 변을 중심으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90˚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일 변은 원지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골판지 스트랩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골판지 스트랩은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부재는 원지, 라이너지, 석고 보드, 대리석 보드, 목재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심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지에 파형의 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 심재는 서로 인접한 골판지에 포함된 상기 골심지의 골이 서로 대칭을 이루어 트러스(truss)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심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지에 사다리꼴의 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 심재는 소로 인접한 골판지에 포함된 상기 골심지의 골이 서로 대칭을 이루어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된 골판지 심재를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다른 골판지 심재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접합된 복수의 골판지 심재 중 서로 대면하는 골판지 심재에 포함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된 골판지 심재를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지면에 수평 방향의 골이 형성된 수평 골판지 심재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 심재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 부재를 접합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심재 및 상기 표면 부재 각각을 경화 용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 용액은 경화형 결합수지, 무기 화합물,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 용액은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 심재를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에 형성된 골과 골 사이에 발포 조성물을 충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은 두께나 길이의 제한 없이 큰 규격의 골판지 심재를 단일 공정에 의해 제조하여, 골판지 합판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심지 형성 단계, 골판지 형성 단계 및 골판지 스트랩 형성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 및 골판지 스트랩 접착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심재 절단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골판지 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 골심지 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골판지 합판을 함침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포 조성물로 충진시킨 골판지 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심지 형성 단계, 골판지 형성 단계 및 골판지 스트랩 형성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 및 골판지 스트랩 접착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심재 절단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골판지 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 골심지 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골판지 합판을 함침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포 조성물로 충진시킨 골판지 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식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은 골판지 심재(20) 및 골판지 심재(20)의 상하부면에 접합되는 표면 부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골판지 심재는 골심지(22)의 골이 지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골판지 심재와 골심지(22)의 골이 지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골판지 심재(20)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은 수직 골판지 심재(20)를 포함하는 골판지 합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직 골판지 심재(20)에 포함된 골판지(24)는 골 방향이 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골 방향이 지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수평 골판지 심재(20)에 비하여 강한 수직 방향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수평 골판지 심재는 복수의 수평 골판지를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 골판지 심재의 높이는 하나의 수평 골판지의 높이의 배수로 결정되는 바, 골판지 심재의 높이를 임의로 결정할 수 없다. 반면 수직 골판지 심재(20)는 수직 골판지 형성시 골판지(24)의 절단 간격(T)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골판지 심재(2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 골판지 심재와 대비되는 수직 골판지 심재(20)를 골판지 심재(20)라 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은 원지(21) 가공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행(a방향)되는 골게터를 이용하여 골판지 합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지(21)에 골을 형성하여 골심지(22)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심지(22)를 포함하는 골판지(24)를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골판지 스트랩(25)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판지 스트랩(25)을 상기 골게터의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상기 골판지 스트랩(25)의 전면 또는 후면에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25)의 전면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25)의 후면을 접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골판지 심재(20)를 연장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판지 심재(20)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골판지 심재(2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표면 부재(10)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골판지 스트랩(25)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게터 상에서 상기 골판지(24)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골판지를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은, 원지(21)의 가공이 전방에서 후방으로(a방향) 진행되는 골게터(corrugator, 미도시)를 이용하여 골판지 심재(20)를 제조하는 과정(s110 내지 s17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골게터 상에서 원지(21)의 가공 방향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후술할 골판지 심재 제조 과정에서 원지의 가공이 일 방향으로 통일되기만 한다면, 이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배제할 것은 아니다. 골판지 심재(20)의 제조가 완료된 후 골판지 심재(20)가 골게터에 이탈되면, 골판지 심재(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표면 부재(10)를 접착하여 골판지 합판을 형성한다(s180). 이하에서는 골판지 심재(20)를 제조하는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심지 형성 단계, 골판지 형성 단계 및 골판지 스트랩 형성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골심지 형성 단계(s110)는 원지(21) 공급부의 롤러에 의해 풀려져 나오는 원지(21)를 공급받아, 원지(21)에 골을 형성하여 골심지(2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원지(21) 형성되는 골은 원지(21)의 이동방향과 평행을 이루고, 원지(21)의 폭(W)과는 수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골게터의 골심지(22) 형성부에 의해 골이 형성된다. 골 형성부는 제1 골 형성 롤러(121) 및 제2 골 형성 롤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골 형성 롤러(121) 및 제2 골 형성 롤러(122)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원기둥의 축이 원지(21)의 폭(W)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 골 형성 롤러(121) 및 제2 골 형성 롤러(122)의 외주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된다. 원지(21) 공급부에서 풀려나온 원지(21)는 제1 골 형성 롤러(121)와 제2 골 형성 롤러(122)의 사이를 지나게 되고, 제1 골 형성 롤러(121) 및 제2 골 형성 롤러(122)가 회전함에 따라 원지(21)에 골이 형성된다. 제1 골 형성 롤러(121) 및 제2 골 형성 롤러(122) 각각에 형성된 그루브는, 제1 골 형성 롤러(121) 및 제2 골 형성 롤러(122)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골 형성 롤러(121) 및 제2 골 형성 롤러(122)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골 형성 롤러(121)의 형상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골 형성 롤러(12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그루브는, 제1 골 형성 롤러(121)의 축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환형을 가진다. 따라서 복수의 그루브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1 골 형성 롤러(121)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횡단면은 원형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골 형성 롤러(122)의 형상은 제1 골 형성 롤러(121)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제1 골 형성 롤러(121)와 제2 골 형성 롤러(122)의 형상에 의해, 골심지(22) 형성부를 지나는 원지(21)에는 원지(2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복수의 골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골 형성 방향은 후술할 골판지 스트랩 형성 단계(s130)의 절단 방향과 조합되어 골판지 심재(20)의 규격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골 형성 롤러에 의해 원지(21)에 골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해 원지(21)에 골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골판지 형성 단계(s120)는 골심지 형성단계(s110)에서 형성된 골심지(22)의 일 면에 간지(23)를 접합시켜 골판지(24)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간지(23)는 골판지 심재(20)에서 어느 한장의 골심지(22)와 인접한 다른 한장의 골심지(22) 사이에 위치하는 종이이다. 일반적으로 인접한 두 골심지(22)를 접합시킬 때 원지(21)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골심지(22)로 가공되는 원지(21)와 구분하기 위해 이를 간지(23)라 칭한다.
골판지 형성 단계(s120)에서는 골심지(22)와 대향하는 간지(23)의 일면 또는 간지(23)와 대향하는 골심지(22)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간지(23)와 골심지(22)를 접촉시킴으로써 골판지(24)를 형성할 수 있다. 간지(23)와 골심지(22)의 접촉은 간지(23)와 골심지(22)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간지(23) 또는 골심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압 롤러(131)에 의해 간지(23)를 골심지(22)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의해 간지(23)나 골심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력을 가하여 간지(23)와 골심지(22)를 접촉시키는 다른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골판지 심재(20)의 사용 목적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골심지(22)에 간지(23)를 접합시키지 않고 골심지(22) 만으로 골판지 심재(20)를 제작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 칭하는 골판지(24)에는 간지(23)의 접합을 생략한 채로 가공되는 골심지(22)도 포함한다.
골판지 스트랩 형성 단계(s130)는 골판지 형성 단계(s120)에서 형성된 골판지(24)를, 골판지(24)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절단하여 골판지 스트랩(25)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골판지(24)가 이동하는 방향과 골판지(24)의 절단 방향이 수직을 이루므로, 골판지(24)의 절단선(CL)은 골판지(24)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골심지(22)의 골의 방향과는 수직을 이룬다. 골판지(24) 절단시 절단 간격(T)은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때 절단 간격 이후 형성되는 골판지 심재(20)의 두께가 된다.
골심지(22)의 골 방향과 지면이 수직을 이루어야 기준의 수평 골판지 심재(20)에 비해 골판지 심재(2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골심지(22)의 골의 방향과 골판지 스트랩(25) 형성을 위한 절단 방향(이하, ‘골판지 스트랩(25) 절단 방향’이라 함)이 수직을 이루어야 한다.
만약, 골심지 형성 단계(s110)에서 골심지(22)의 골의 방향이 골심지(22)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면, 골의 방향과 골판지 스트랩(25) 절단 방향이 수직이 되기 위해서는 골판지(24)를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절단해야한다. 이경우 골판지 스트랩(25)을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우기 전에, 골판지(24)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골판지(24)를 한번 더 절단해주어야 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골판지 심재(20)를 제조하면 골판지 스트랩(25)을 세워주기 전 골판지 심재(20)의 길이가 결정되므로, 골판지 스트랩(25) 기립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골판지 심재(20)의 길이(L)를 확장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아울러 골판지 스트랩(25) 절단 폭에 의해 골판지 심재(20)의 두께(T)가 결정된는데, 이때 골판지 심재(20)의 절단 폭이 확정되면 한정된 원지(21)의 폭 범위 내에서 골판지 심재(20)의 너비(W)도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골판지 심재(20)의 두께(T) 및 너비(W)를 증대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에 의할 경우, 골판지 심재(20)의 너비(W)는 원지(21)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보다 넓은 너비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골판지 스트랩(25) 형성시 골판지(24)의 절단 간격 T를 조절함으로써 골판지 심재(20)의 두께(T)도 제한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골판지(24)는 원지(21) 공급부에서 원지(21)가 풀려나옴에 따라 계속하여 연장 형성되므로, 골판지(24)의 연장 형성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골판지 스트랩(25)을 중첩하여 접합시킴으로써 골판지 심재(20)의 길이(L)도 자유롭게 연장할 연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에 의할 경우 보다 큰 규격을 갖는 골판지 심재(20)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골판지 심재(20)의 두께(T)나 길이(L)를 제한 없이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큰 규격의 골판지 심재(20)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골판지 심재(20)를 수직이나 수평으로 접합시키던 종래의 방법에 비해, 골판지 심재(2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종국적으로는 골판지 합판의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 및 골판지 스트랩 접착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s140)는 일정 간격(T)으로 절단된 골판지 스트랩(25)을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워주는 단계이다. 골판지 스트랩(25)은 장방형으로 절단되는데, 이때 가로길이는 골판지(24)의 폭 W, 세로 길이는 절단 간격 T가 된다.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s140)에서는 일면이 작업면과 대향하고 있는 골판지 스트랩(25)을, 골판지 스트랩(25)의 가로 변(W)을 회전축으로 하여 90˚회전시킨다. 골판지 스트랩(25)이 작업면에 수직으로 기립하면 골판지 스트랩(25)은 세로 방향의 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골판지 스트랩(25)은 수직 골판지 심재(20)의 기본 단위가 된다.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s140)에서 각 골판지 스트랩(25)은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골판지 심재(20)에서 인접하는 골심지(22)의 골 모양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인접하는 골판지 스트랩(25)이 각각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회전하여, 골판지 심재(20)에서 인접하는 골심지(22)의 골 모양을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골판지 스트랩 접착 단계(s150)는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각 골판지 스트랩(25)을 접합시켜 골판지 심재(20)를 연장형성하는 단계이다.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s140)를 거쳐 골판지 스트랩(25)이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후에는, 골판지 스트랩(25)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는 스프레이 분사 등의 방식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접착제를 먼저 도포한 후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s140)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접착제 도포가 완료된 후, 골판지 심재(20) 형성부의 전방에서 골판지 심재(20)를 향해 이동하는 골판지 스트랩(25)이 골판지 심재(20)의 최전방에 위치한 골판지 심재(20)를 가압함으로써 골판지 스트랩(25)의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속도 차이에 의한 가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골판지 스트랩(25)의 접착은 서로 상이한 속도를 가지는 무빙 유닛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무빙 유닛(161)과 제2 무빙 유닛(162)은 서로 인접하여 구비되고, 같은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골판지 스트랩(25)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전방에 위치한 제1 무빙 유닛(161)의 속도 V1은 후방에 위치한 제2 무빙 유닛(162)의 속도 V2 보다 빠르다. 따라서, 제1 무빙 유닛(161)에서 제2 무빙 유닛(162)으로 이동하는 구간에서 골판지 심재(20)가 적체되고, 이를 통해 골판지 스트랩(25)의 접착이 수행된다. 제1 무빙 유닛(161) 및 제2 무빙 유닛(162)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밸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판지 스트랩(25)은 제1 무빙 유닛(161)의 상부에서 제2 무빙 유닛(162)의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무빙 유닛(161)의 속도 V1은 제2 무빙 유닛(162)의 속도 V2보다 빠르므로, 일정 간격(T) 이격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골판지 스트랩(25)은 제1 무빙 유닛(161)에서 제2 무빙 유닛(162)으로 이동하는 지점에서 적체되게 된다. 가공되는 원지(21)의 이동방향을 전방에서 후방이라고 할 때, 정체 지점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25)은 적체 지점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인접 골판지 스트랩(25)에 의해 가압되고, 이 과정에서 적체되어 있던 어느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25)과 인접 골판지 스트랩(25)은 접착될 수 있다. 접착이 완료된 복수의 골판지 스트랩(25)은 제2 무빙 유닛(16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정체 지점의 전방에서는 제1 무빙 유닛(161)을 따라 골판지 스트랩(25)의 유입이 이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골판지 스트랩(25)의 접착은 계속하여 이루어지고 그 결과 골판지 심재(20)가 연장 형성된다.
골판지 심재 건조 단계(s160)는 골판지 스트랩(25) 접착 단계에서 연장 형성된 골판지 심재(20)를 고온의 환경에 노출시켜, 각 골판지 스트랩(25)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이 과정을 통하여 골판지 심재(20)를 구성하는 골판지 스트랩(25)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심재 절단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골판지 심재 절단 단계(s170)는 건조가 완료된 골판지 심재(20)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골판지 심재(20)는, 골판지 스트랩(25) 접착부에서부터 골판지 심재(20) 절단부에 이르는 동안 연속된 판재 형상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골판지 합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골판지 심재(2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해야만 한다. 골판지 심재(20)의 절단선(CL)은 골판지 심재(2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룬다. 골판지 심재(20)의 절단이 완료되면 골판지 심재(20)는 골게터에서 이탈하고, 골판지 심재(20) 제조 단계는 끝이 난다.
골판지 심재 절단 단계(s170)에서 절단된 골판지 심재(20)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 너비는 공정 초기에 공급된 원지(21)의 너비 W, 길이는 골판지 심재 절단 단계(s170)에서의 골판지 심재(20) 절단 길이 L, 두께는 골판지 스트랩 형성 단계(s130)에서의 골판지(24) 절단 간격 T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골판지 심재(20)의 절단 길이 L 및 골판지(24) 절단 간격 T를 변경함으로써 골판지 심재(20)의 규격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큰 규격의 골판지 심재(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복수의 골판지 심재(20)를 적층시키지 않고도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골판지 심재(20)를 형성함으로써 골판지 심재(20)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복수의 골판지 심재(20)를 적층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골판지 심재(20)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 접착면이 분리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재할 수 없는데, 본 발명의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골판지 심재(20)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골판지 심재(20)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접착시킬 필요 없이 보다 큰 규격의 골판지 심재(20)를 형성할 수 있는 바, 대형 골판지 심재(20) 제조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표면 부재 접착 단계(s180)는, 골판지 심재 제조 단계(s110 내지 s170)를 거치며 골게터로부터 이탈된 골판지 심재(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표면 부재(10)를 접착시켜 골판지 합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면 부재(10)는 골심지(22)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외관을 보호하고 미관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표면 부재(10)는 원지(21), 라이너지, 골판지(24), 석고보드, 대리석 보드, 목재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소재를 가진 판상 형태의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골판지 합판의 사용 환경에 따라 라이너지 등의 종이 소재의 표면 부재(10)를 사용할 수도 있고, 종이소재의 표면 부재(10)와 더불어 석고보드 등의 강화 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강화보드의 사용뿐 아니라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골판지 합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골판지 합판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다양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우선 골판지 심재(20)의 골 모양을 변형시킴으로써 골판지 합판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심지 형성 단계(s110)에서 형성되는 골심지(22)는 파형의 골을 가질 수 있다. 파형의 골을 가지는 골심지(22)로 골판지 스트랩(25)을 형성하고(s120, s130),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s140)에서 인접한 골판지 스트랩(25)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접착시키면, 인접하는 파형의 골심지(22)가 서로 대칭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골판지 심재(미도시)는 트러스(truss)형상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골 모양을 가지게 된다. 인접한는 골심지(22)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때와 비교하면, 트러스 형상의 골판지 심재는 외력을 고르게 전달하여 더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골판지 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골심지 형성 단계(s110)에서 형성되는 골심지는 사다리꼴의 골을 가질 수 있다. 사다리꼴의 골을 가지는 골심지(34)로 골판지 스트랩을 형성하고(s120, s130), 골판지 스트랩 기립 단계(s140)에서 인접한 골판지 스트랩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접착시키면, 인접하는 사각 톱니형의 골심지(34)가 서로 대칭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골판지 심재(30)는 허니콤(honeycomb) 형상을 가지게 된다. 허니콤 형상의 골판지 심재(30) 역시 외력을 고르게 전달하여 더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 골심지 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층의 골판지 심재(40, 50)를 형성함으로써 골판지 합판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도 있다. 복층의 골판지 심재(40, 50)는 둘 이상의 골판지 심재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하여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서로 인접한 골판지 심재(41, 42 및 51, 52)의 골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골판지 심재(20)를 구성하는 각 골판지 스트랩(25)의 골 방향은 일정하게 형성되므로, 단층의 골판지 심재(20)는 특정 방향의 외력에 대해서 취약할 수 있다. 그러나, 복층의 골판지 심재(40, 50)는 서로 상이한 골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골판지 심재(41, 42 및 51, 52)를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두께(T)를 가지는 단층의 골판지 심재(20)와 비교할 때 복층의 골판지 심재(40, 50)는 더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골판지 심재(41)와 수직 골판지 심재(42)를 접합시켜 복층의 골판지 심재(40)를 형성할 수도 있고, 수직 골판지 심재(51)와 수평 골판지 심재(52)를 접합시켜 복층의 골판지 심재(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수직 골판지 심재(41, 42))를 접합시키는 경우 인접하는 수직 골판지 심재(41, 42)에 포함된 골판지 스트랩의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골판지 합판을 함침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골판지 심재(20) 및 표면 부재(10) 각각을 경화용액에 함침시킴으로써 골판지 합판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판지 합판의 함침은 골판지 심재(20)를 경화 용액에 함침시키는 단계(s210), 표면 부재(10)를 경화 용액에 함침시키는 단계(s220), 골판지 심재(20) 및 표면 부재(10)를 건조시키는 단계(s230) 및 건조된 골판지 심재(20) 및 표면 부재(10)를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골판지 심재(20) 및 표면 부재(10)의 함침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표면 부재(10)를 골판지 심재(20)보다 먼저 함침시키거나, 표면 부재(10)와 골판지 심재(20)를 동시에 함침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판지 심재(20) 및 표면 부재(10)를 분리된 상태에서 함침시킴으로써 골판지 심재(20)의 전 면적에 경화 용액이 골고루 함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골판지 합판의 전 면적에 있어서 균등하게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골판지 심재(20) 및 표면 부재(10)를 분리된 상태에서 건조시킴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골판지 심재(20) 및 표면 부재(10)를 함침시킬 때 사용되는 경화 용액은 경화형 결합수지, 무기 화합물,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형 결합수지는 유기경화형 결합수지 또는 무기경화형 결합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유기경화형 결합수지는 멜라민수지, 우레탄수지, 요소수지, 에나멜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졸, 폴리비닐알콜, 폴리스티렌 수지, 불포화 에스테르계 수지, 절연바니쉬, 초산비닐 수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및 스티렌-아크릴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경화형 결합수지는 물유리, 석고, 인산마그네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은 라임스톤(Lime stone), 맥반석, 제올라이트, 티타니아, 알루미나, 실리카, 클레이,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페라이트, 마사토, 규조토, 난석, 플라이에쉬, 활성탄, C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IPA), 톨루엔, 자일렌, 메탄올, 벤젠,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경화 용액은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첨가제는 발수성 첨가제, 난연성 첨가제, 오염방지제, 및 항균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경화 용액은 건조된 후의 골판지 합판의 강도를 강화시킬 뿐 아니라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골판지 합판으로부터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포 조성물로 충진시킨 골판지 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골게터로부터 이탈된 골판지 심재(60)의 골과 골 사이에 발포 조성제를 충진시킴으로써 골판지 합판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골판지 심재(60)의 골과 골 사이가 모두 발포 조성제로 채워짐으로써 골판지 심재(60)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골판지 심재(60)의 골과 골 사이를 플라이 애쉬 등의 친환경 물질로만 충진시키는 경우, 강도 강화와 함께 유해물질의 방출 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는 있지만, 골판지 심재(60)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친환경 소재와 발포 조제를 혼합한 발포 조성물을 충진재로 사용하면, 원가가 높은 친환경 소재의 함량은 줄이면서도 골판지 심재(60)의 강도 강화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골판지 심재(60)의 충진 역시 표면 부재(10)와 분리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골판지 심재(60)의 충진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골판지 심재(20) 및 표면 부재(10)를 경화 용액에 침지시킴과 더불어, 골판지 심재(20)에 발포 조성물을 충진시킴으로써, 골판지 합판의 강도 강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표면 부재
20, 30, 40, 50, 60: 골판지 심재
21: 원지
22: 골심지
23: 간지
24: 골판지
25: 골판지 스트랩
20, 30, 40, 50, 60: 골판지 심재
21: 원지
22: 골심지
23: 간지
24: 골판지
25: 골판지 스트랩
Claims (22)
- 원지 가공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행되는 골게터를 이용하여 골판지 합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지에 골을 형성하여 골심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심지를 포함하는 골판지를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골판지 스트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상기 골게터의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전면 또는 후면에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의 전면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골판지 스트랩의 후면을 접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골판지 심재를 연장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판지 심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골판지 심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표면 부재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게터 상에서 상기 골판지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골판지를 절단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상기 골게터의 작업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는,
장방형을 이루는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일 변을 중심으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을 90˚회전시키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일 변은 원지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골판지 스트랩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골판지 스트랩은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두개의 골판지 스트랩이 접합되는 접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이동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서로 인접한 두개의 골판지 스트랩을 접합시키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이동 속도는,
상기 접합부의 후방에서의 속도가 상기 접합부의 전방에서의 속도보다 느리게 형성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는 간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지는 상기 골심지의 하부면에 접착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심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게터 상에서 상기 원지가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골을 형성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부재는 원지, 라이너지, 석고 보드, 대리석 보드, 목재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심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지에 파형의 골이 형성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 심재는 서로 인접한 골판지에 포함된 상기 골심지의 골이 서로 대칭을 이루어 트러스(truss) 구조를 형성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심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지에 사다리꼴의 골이 형성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 심재는 소로 인접한 골판지에 포함된 상기 골심지의 골이 서로 대칭을 이루어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형성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골판지 심재를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다른 골판지 심재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복수의 골판지 심재 중 서로 대면하는 골판지 심재에 포함된 상기 골판지 스트랩의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골판지 심재를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지면에 수평 방향의 골이 형성된 수평 골판지 심재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 심재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 부재를 접합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골판지 심재 및 상기 표면 부재 각각을 경화 용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용액은 경화형 결합수지, 무기 화합물, 용매를 포함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용액은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 심재를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된 골판지 심재에 형성된 골과 골 사이에 발포 조성물을 충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3883A KR20200121167A (ko) | 2019-04-15 | 2019-04-15 |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3883A KR20200121167A (ko) | 2019-04-15 | 2019-04-15 |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1167A true KR20200121167A (ko) | 2020-10-23 |
Family
ID=7303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3883A KR20200121167A (ko) | 2019-04-15 | 2019-04-15 |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116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61784A (zh) * | 2021-11-29 | 2022-03-11 | 太原理工大学 | 一种不锈钢极薄带的轻质多向缓冲吸能结构及制备方法 |
CN115610017A (zh) * | 2022-10-20 | 2023-01-17 | 昆山佳合纸制品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防水阻燃瓦楞纸盒的生产方法 |
KR20230032812A (ko) * | 2021-08-30 | 2023-03-07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치수안정성이 증진된 골판지 마루판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6709B1 (ko) | 2017-05-29 | 2018-08-07 | 주식회사 지앤택 | 골판지 합판 및 그 제조 방법 |
-
2019
- 2019-04-15 KR KR1020190043883A patent/KR2020012116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6709B1 (ko) | 2017-05-29 | 2018-08-07 | 주식회사 지앤택 | 골판지 합판 및 그 제조 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2812A (ko) * | 2021-08-30 | 2023-03-07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치수안정성이 증진된 골판지 마루판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4161784A (zh) * | 2021-11-29 | 2022-03-11 | 太原理工大学 | 一种不锈钢极薄带的轻质多向缓冲吸能结构及制备方法 |
CN114161784B (zh) * | 2021-11-29 | 2024-04-23 | 太原理工大学 | 一种不锈钢极薄带的轻质多向缓冲吸能结构及制备方法 |
CN115610017A (zh) * | 2022-10-20 | 2023-01-17 | 昆山佳合纸制品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防水阻燃瓦楞纸盒的生产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21167A (ko) | 골판지 합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합판 | |
US9909304B2 (en) | Sound damping wallboard and method of forming a sound damping wallboard | |
JP5038440B2 (ja) | トリムパネル | |
JP2013541439A5 (ko) | ||
WO2006076238A3 (en) | Multilayer reflective insulation roll product | |
KR101491129B1 (ko) | 경량성 다층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
JP2015508467A (ja) | 複合材コーナービード | |
CN105835435A (zh) | 一种复合装饰板材 | |
KR102343986B1 (ko) | 건축용 단열흡음 표면 장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 |
JPH10115026A (ja) | 竹製複合ボード | |
CN201133057Y (zh) | 复合地板 | |
CN105774175A (zh) | 一种新型板材 | |
KR20200105361A (ko) | 골판지 합판 | |
JP2013018280A (ja) | バイアスコア木製パネル | |
CN100350115C (zh) | 衬入式嵌板 | |
US20070023118A1 (en) | Building material | |
TWM513903U (zh) | 蜂巢板結構改良 | |
WO2013058703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sandwich material board | |
JP2015017372A (ja) | 床材 | |
KR101511318B1 (ko) | 기능성 물질이 충진된 친환경 보드 | |
KR101243365B1 (ko) | 구조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 |
KR20200121166A (ko) | 골판지 심재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 심재 | |
RU184792U1 (ru) |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й плитный материал | |
CN203654089U (zh) | 一种阻燃纸 | |
CN217455178U (zh) | 材料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