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287A -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287A
KR20200120287A KR1020190043008A KR20190043008A KR20200120287A KR 20200120287 A KR20200120287 A KR 20200120287A KR 1020190043008 A KR1020190043008 A KR 1020190043008A KR 20190043008 A KR20190043008 A KR 20190043008A KR 20200120287 A KR20200120287 A KR 20200120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ascon
assembly
supply unit
mixing
circul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283B1 (ko
Inventor
권영욱
Original Assignee
대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28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아스콘을 가열하여 재생 재료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신규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신재 가열 어셈블리; 및 상기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에 연통되는 사이클론기와, 상기 사이클론기와 상기 신재 가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폐열 순환 배관을 구비하는 폐열 순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는, 폐아스콘을 투입받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분리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한 불꽃을 만들어내기 위해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가열기; 및 상기 불꽃에 의한 상기 폐아스콘에 대한 가열 중 발생한 이물질을 함유하는 혼합 공기를 상기 점화부 측으로 안내하는 혼합 순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혼합 순환 배관;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상기 점화부의 전방에 연통시키는 전방 공급부; 상기 혼합 순환 배관에서 상기 전방 공급부와 독립적으로 분기되고,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 연통시키는 후방 공급부; 및 상기 혼합 순환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전방 공급부 및 상기 후방 공급부를 향해 유동시키는 순환 송풍팬을 포함하는,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PLANT FOR RECYCLING WASTED ASCON AND ASSEMBLY FOR REGENERATING WASTED ASCON USED THEREFOR}
본 발명은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콘은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의 약어로서, 모래, 자갈 등의 골재를 녹인 아스팔트로 결합시킨 혼합물을 말한다. 아스콘은 도로포장 등에 쓰는 건설 자재이다.
도로에 포장된 아스콘은 노후나 파손 등에 의해 도로에서 제거된다. 이렇게 제거된 아스콘은 폐아스콘이라 칭해질 수 있다. 이러한 폐아스콘은 재생되어 새로운 아스콘을 만드는데 골재로서 재활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폐아스콘을 재생하는 과정에서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집진기를 이용하여 포집하기는 하나, 폐아스콘을 재생하는 설비 자체에서도 이물질이 누설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아스콘을 재생하는 설비 자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는, 폐아스콘을 가열하여 재생 재료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신규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신재 가열 어셈블리; 및 상기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에 연통되는 사이클론기와, 상기 사이클론기와 상기 신재 가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폐열 순환 배관을 구비하는 폐열 순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는, 폐아스콘을 투입받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분리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한 불꽃을 만들어내기 위해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가열기; 및 상기 불꽃에 의한 상기 폐아스콘에 대한 가열 중 발생한 이물질을 함유하는 혼합 공기를 상기 점화부 측으로 안내하는 혼합 순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혼합 순환 배관;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상기 점화부의 전방에 연통시키는 전방 공급부; 상기 혼합 순환 배관에서 상기 전방 공급부와 독립적으로 분기되고,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 연통시키는 후방 공급부; 및 상기 혼합 순환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전방 공급부 및 상기 후방 공급부를 향해 유동시키는 순환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전방 공급부에 설치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후방 공급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댐퍼와 독립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제2 댐퍼를 더 포함하여, 상기 혼합 공기는,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 각각의 개방 정도에 따라 상기 점화부의 전방과 후방에 차등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는, 폐아스콘을 투입받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분리기; 불꽃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제공된 연료에 점화하는 점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부에 의해 만들어진 불꽃이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가열기; 및 상기 불꽃에 의한 상기 폐아스콘에 대한 가열 중 발생한 이물질을 함유하는 혼합 공기를 상기 점화부의 후방으로 안내하여 상기 혼합 공기가 상기 점화부의 전방을 향해 유동하며 점화되게 하는 후방 공급부를 구비하는 혼합 순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공급부는,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 연통되는 후방 배관; 및 상기 후방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점화부로 송풍하는 후방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 연통되어,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서 상기 점화부의 전방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제공하는 급기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기 송풍팬은, 상기 후방 배관으로부터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 제공하는 상기 후방 송풍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후방 공급부를 연통시키는 혼합 순환 배관;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상기 점화부의 전방에 연통시키는 전방 공급부; 및 상기 혼합 순환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전방 공급부 및 상기 후방 공급부를 향해 유동시키는 순환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전방 공급부에 설치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후방 공급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댐퍼와 독립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제2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혼합 공기를 감지하는 이물질 센서; 및 상기 이물질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 중 적어도 하나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에 의하면, 폐아스콘이 분리기에 투입되어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함유하는 공기가 혼합 순환기를 통해 가열기의 점화부의 후방으로 공급되게 되고, 이는 이물질을 보다 높은 효율로 연소시키게 된다. 그에 의해,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누설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1000)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에 대한 확대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의 일 변형예에 따른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의 요부에 대한 개념도가다.
도 4는 도 3의 혼합 순환기(15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10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1000)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 공급 어셈블리(200), 믹싱 어셈블리(300), 신재 가열 어셈블리(400), 및 폐열순환 어셈블리(500)를 가질 수 있다.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는 폐아스콘을 가열하여 폐아스콘을 이루는 여러 원료 물질들이 서로 분해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렇게 분해된 원료 물질들은 일정 크기 이하로 선별되어, 신규 아스콘용 재생 재료(재생 골재)로서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는, 분리기(110), 가열기(130), 그리고 혼합 순환기(150)를 가질 수 있다.
분리기(110)는 폐아스콘을 투입받아 작은 사이즈 단위로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분리기(110)는, 드럼(111)과, 회동 모듈(113), 투입 호퍼(115), 그리고 배출 슈트(117)를 가질 수 있다.
드럼(111)은 투입 호퍼(115)를 통해 투입된 폐아스콘을 수용하고, 재생 골재를 배출구(112)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드럼(111)은 폐아스콘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과, 그 내부 공간에 나선형으로 배치된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드럼(111)은 투입 호퍼(115)에서 배출구(112)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폐아스콘이 드럼(111)의 내부 공간에서, 배출구(112) 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회동 모듈(113)은 드럼(111)을 회전시는 구성이다. 회동 모듈(113)은 구체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 기어와, 구동 기어와 드럼(111)을 연결하는 벨트를 가질 수 있다. 드럼(111)의 내부 공간에는 재생 골재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출슈트(117)는 상기 필터에 의해 크기가 기준 이상으로 분류된 폐아스콘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배출슈트(117)는 공급 어셈블리(200)를 향한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형성한다.
가열기(130)는 드럼(111)의 내부 공간에 열기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가열기(130)는 드럼(111)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며, 구체적으로 드럼(111) 중 투입 호퍼(115) 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열기(130)에서는 드럼(111)의 내부 공간을 향한 불꽃을 만들어 내어, 내부 공간에 수용된 폐아스콘이 가열, 나아가 그 중 가연성 물질이 연소되게 한다.
혼합 순환기(150)는 드럼(111)의 내부 공간에서 폐아스콘이 가열되는 중에 발생한 이물질을 함유하는 혼합 공기를 가열기(130) 측으로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혼합 순환기(150)는 가열기(130)와 함께, 도 2 등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급 어셈블리(200)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에 의해 생성된 재생 재료를 믹싱 어셈블리(30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공급 어셈블리(200)는 서지 빈(210), 계량 빈(230), 및 투입 슈트(250)를 가질 수 있다. 서지 빈(210)은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로부터 생성된 재생 재료를 저장하는 통이다. 계량 빈(230)은 서지 빈(210)의 재생 재료 중 믹싱 어셈블리(300)에 투입되어야 할 양을 계량하는 통이다. 투입 슈트(250)는 계량 빈(230)에서 계량된 재생 재료를 믹싱 어셈블리(300)로 안내하는 관체이다.
믹싱 어셈블리(300)는 공급 어셈블리(200)에 의해 제공된 재생 재료와, 신규 재료(기존에 아스콘에 사용된 적 없는)를 혼합하여 새로운 제품으로서의 아스콘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신재 가열 어셈블리(400)는 신규 재료를 가열하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신규 재료는 건조되고 또한 고온 상태가 된다.
폐열순환 어셈블리(500)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의 가열 중에 발생된 온기(폐열)를 신재 가열 어셈블리(400)로 순환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폐열순환 어셈블리(500)는, 사이클론기(510)와, 폐열 순환 배관(530), 그리고 집진 배관(550)을 가질 수 있다.
사이클론기(510)는 드럼(111) 내의 공기 중에 폐아스콘 입자 등의 이물질과 순수 공기를 원심 분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사이클론기(510)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에 연통될 수 있다. 폐열 순환 배관(530)은 사이클론기(510)와 신재 가열 어셈블리(400)를 연결한다. 집진 배관(550)은 사이클론티(510)를 집진기(미도시)에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폐아스콘은 투입 호퍼(115)를 통해 드럼(11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회동 모듈(113)이 드럼(111)을 회전시킴에 의해, 폐아스콘은 드럼(111)의 내부 공간에서 배출구(112) 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가열기(130)가 작동함에 의해, 폐아스콘은 가열되어 그를 이루는 골재들이 서로 분리된다. 이는 골재를 뭉치게 하는 아스팔트가 연소(용해)됨에 의해, 골재들이 서로에게서 이탈됨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폐아스콘은 드럼(111)의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하여, 필터에 도달하게 된다. 도달된 폐아스콘은 상기 필터에 의해 선별된다. 상기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폐아스콘은 배출 슈트(117)를 통해 따로 모아진다.
상기 필터를 통과한 폐아스콘(재생 재료)은 공급 어셈블리(200)를 통해 믹싱 어셈블리(300)로 투입된다. 또한, 신재 가열 어셈블리(400)에서 건조 및 가열된 신규 재료 역시 믹싱 어셈블리(300)에 보내진다.
상기 재생 재료 및 상기 신규 재료가 고온에서 서로 혼합됨에 의해, 새로운 아스콘 제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서,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에서 폐아스콘을 가열하는 중에 데워진 공기는 사이클론기(510)를 거쳐서 폐열 순환 배관(530)을 유동하여, 신재 가열 어셈블리(400)에 공급된다. 그러면, 신재 가열 어셈블리(400) 내의 공기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일정 수준으로 가열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신재 가열 어셈블리(400)에서 버너가 소모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폐열 순환 배관(530)이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에 바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사이클론기(510)에 연결됨에 의해, 드럼(111) 내의 재생 재료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신재 가열 어셈블리(400)에서 연료 소모를 줄이면서도, 고품질의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 특히 가열기(130)와 혼합 순환기(150)에 대해 도 2 등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에 대한 확대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가열기(130)는 점화부(131)와 화구부(135)를 가질 수 있다. 점화부(131)는 그에 공급되는 연료에 점화하는 구성이다. 점화부(131) 내에는 점화 포인트(132)가 위치할 수 있다. 화구부(135)는 점화 포인트(132)에서 연료가 점화됨에 의해 불꽃이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불꽃은 드럼(111)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된다.
혼합 순환기(150)는, 혼합 순환 배관(151), 순환 송풍팬(152), 후방 공급부(153), 및 전방 공급부(157)를 가질 수 있다.
혼합 순환 배관(151)은 드럼(111)의 내부 공간에서 폐아스콘의 연소 중에 발생한 이물질을 포함한 혼합 공기를 점화부(131) 측으로 유동시키는 관이다. 이러한 유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혼합 순환 배관(151)에는 순환 송풍팬(152)이 구비될 수 있다.
후방 공급부(153) 및 전방 공급부(157)는 혼합 순환 배관(151)에 연통된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인 별도의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공급부(153)는 혼합 순환 배관(151)을 유동하는 혼합 공기를 점화부(131)의 후방으로 안내한다. 전방 공급부(157)는 혼합 공기를 점화부(131)의 전방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은 각각 점화 포인트(132)의 앞쪽(도면상 좌측)과 뒤쪽(도면상 우측)을 말한다.
후방 공급부(153)는 후방 배관(154)과 후방 송풍팬(155)을 구비할 수 있다. 후방 배관(154)은 혼합 순환 배관(151)에 연결되어 후방 송풍팬(155)을 거쳐 점화부(131)로 연결되는 관이다. 후방 송풍팬(155)은 후방 배관(154) 내의 혼합 공기를 점화 포인트(132)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송풍한다. 그에 의해, 혼합 공기는 점화부(131) 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점화될 수 있다. 또한, 점화부(131)는 이러한 혼합 공기의 유량 증대에 따라 연료를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방 송풍팬(155)은 점화부(131)와 공기를 공급하여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이는 급기 송풍팬의 기능도 겸하게 된다.
전방 공급부(157)는 후방 공급부(153)와 달리, 단순히 배관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너(111)의 내부 공간에서 폐아스콘을 연소시키는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함유하는 혼합 공기는 혼합 순환 배관(151)을 거쳐서 후방 공급부(153) 및 전방 공급부(157)를 통해 점화부(131)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점화부(131)는 이러한 혼합 공기를 연료와 함께 연소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연소되게 한다. 그 결과,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의 가동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형태의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의 일 변형예에 따른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의 요부에 대한 개념도가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10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에 대비하여, 혼합 순환기(150')에서 차이가 있다. 혼합 순환기(150')는 구체적으로, 제1 댐퍼(161)와 제2 댐퍼(163)를 더 구비한다.
제1 댐퍼(161)는 전방 공급부(157)의 배관에 설치되어, 점화 포인트(132)의 전방에 공급되는 혼합 공기의 양이 조절되게 한다. 그에 반하여, 제2 댐퍼(163)는 후방 공급부(153)의 후방 배관(154)에 설치되어, 점화 포인트(132)의 후방에 공급되는 혼합 공기의 양이 조절되게 한다. 이러한 제1 댐퍼(161)와 제2 댐퍼(163)는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혼합 순환기(15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럭도이다.
본 도면(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댐퍼(161)는 제1 댐퍼 구동부(161a)에 의해 개폐가 조절된다. 제2 댐퍼(163)는 제2 댐퍼 구동부(163a)에 의해 개폐가 조절된다.
제1 댐퍼 구동부(161a)와 제2 댐퍼 구동부(163a)는 각기 제어부(16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65)는 혼합 순환 배관(151, 도 3 참조)로부터 공급되는 혼합 공기의 양에 근거하여, 제1 댐퍼 구동부(161a)와 제2 댐퍼 구동부(163a)를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공기의 유량이 적은 경우라면, 제1 댐퍼 구동부(161a)를 통해 제1 댐퍼(161)는 폐쇄하고, 제2 댐퍼 구동부(163a)를 통해 제2 댐퍼(163)를 개방시킨다. 그에 의해, 혼합 공기의 전부가 후방 공급부(153)를 통해 점화부(131)으로 후방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는 점화부(131)의 후방으로 혼합 공기가 공급될 때 이물질의 연소 효율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혼합 공기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해서, 이물질 센서(167)가 채용될 수 있다. 이물질 센서(167)는 혼합 순환 배관(151)에 설치되어, 혼합 순환 배관(151) 내를 유동하는 혼합 공기 중 이물질의 양(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65)는 이물질 센서(167)를 통해 혼합 공기 중의 이물질의 양을 감지하고, 그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제1 댐퍼(161) 및 제2 댐퍼(163)의 개폐가 조절되게 한다. 이러한 조절에 의해, 후방 공급부(153) 및 전방 공급부(157)에 대해 혼합 공기는 차등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제어부(165) 및 이물질 센서(167)를 채택하지 않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1 댐퍼(161)와 제2 댐퍼(163)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110: 분리기
111: 드럼 115: 투입 호퍼
130: 가열기 131: 점화부
150: 혼합 순환기 151: 혼합 순환 배관
153: 후방 공급부 157: 전방 공급부
200: 공급 어셈블리 300: 믹싱 어셈블리
400: 신재 가열 어셈블리 500: 폐열순환 어셈블리

Claims (8)

  1. 폐아스콘을 가열하여 재생 재료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신규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신재 가열 어셈블리; 및
    상기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에 연통되는 사이클론기와, 상기 사이클론기와 상기 신재 가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폐열 순환 배관을 구비하는 폐열 순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는,
    폐아스콘을 투입받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분리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한 불꽃을 만들어내기 위해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가열기; 및
    상기 불꽃에 의한 상기 폐아스콘에 대한 가열 중 발생한 이물질을 함유하는 혼합 공기를 상기 점화부 측으로 안내하는 혼합 순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혼합 순환 배관;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상기 점화부의 전방에 연통시키는 전방 공급부;
    상기 혼합 순환 배관에서 상기 전방 공급부와 독립적으로 분기되고,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 연통시키는 후방 공급부; 및
    상기 혼합 순환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전방 공급부 및 상기 후방 공급부를 향해 유동시키는 순환 송풍팬을 포함하는,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전방 공급부에 설치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후방 공급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댐퍼와 독립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제2 댐퍼를 더 포함하여,
    상기 혼합 공기는,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 각각의 개방 정도에 따라 상기 점화부의 전방과 후방에 차등적으로 분배되는,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3. 폐아스콘을 투입받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분리기;
    불꽃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제공된 연료에 점화하는 점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부에 의해 만들어진 불꽃이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가열기; 및
    상기 불꽃에 의한 상기 폐아스콘에 대한 가열 중 발생한 이물질을 함유하는 혼합 공기를 상기 점화부의 후방으로 안내하여 상기 혼합 공기가 상기 점화부의 전방을 향해 유동하며 점화되게 하는 후방 공급부를 구비하는 혼합 순환기를 포함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공급부는,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 연통되는 후방 배관; 및
    상기 후방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점화부로 송풍하는 후방 송풍팬을 포함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 연통되어,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서 상기 점화부의 전방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제공하는 급기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기 송풍팬은,
    상기 후방 배관으로부터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점화부의 후방에 제공하는 상기 후방 송풍팬인,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후방 공급부를 연통시키는 혼합 순환 배관;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상기 점화부의 전방에 연통시키는 전방 공급부; 및
    상기 혼합 순환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전방 공급부 및 상기 후방 공급부를 향해 유동시키는 순환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전방 공급부에 설치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후방 공급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댐퍼와 독립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제2 댐퍼를 더 포함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순환기는,
    상기 혼합 순환 배관을 유동하는 상기 혼합 공기를 감지하는 이물질 센서; 및
    상기 이물질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 중 적어도 하나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KR1020190043008A 2019-04-12 2019-04-12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KR102186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08A KR102186283B1 (ko) 2019-04-12 2019-04-12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08A KR102186283B1 (ko) 2019-04-12 2019-04-12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87A true KR20200120287A (ko) 2020-10-21
KR102186283B1 KR102186283B1 (ko) 2020-12-03

Family

ID=7303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008A KR102186283B1 (ko) 2019-04-12 2019-04-12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20584A (zh) * 2024-03-19 2024-04-26 山东华信工业科技有限公司 用于碳化硅陶瓷制备的气流式原料筛选分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91A (ko) * 1994-06-09 1996-01-26 문정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100383058B1 (en) * 2002-01-22 2003-05-16 Hong San Construction Co Ltd Heating treatment apparatus of aggregate for manufacture of ascon
KR101129599B1 (ko) * 2011-10-06 2012-03-27 신인호 폐아스콘 재생설비에서의 폐아스콘 더스트 및 유분 처리장치
KR20160120083A (ko) * 2015-04-07 2016-10-17 대우산업주식회사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791A (ko) * 1994-06-09 1996-01-26 문정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100383058B1 (en) * 2002-01-22 2003-05-16 Hong San Construction Co Ltd Heating treatment apparatus of aggregate for manufacture of ascon
KR101129599B1 (ko) * 2011-10-06 2012-03-27 신인호 폐아스콘 재생설비에서의 폐아스콘 더스트 및 유분 처리장치
KR20160120083A (ko) * 2015-04-07 2016-10-17 대우산업주식회사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20584A (zh) * 2024-03-19 2024-04-26 山东华信工业科技有限公司 用于碳化硅陶瓷制备的气流式原料筛选分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283B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813A (en) Dual drum recycle asphalt drying and mixing method and apparatus
US4477250A (en) Asphalt recycle plant and method
US5174650A (en) Dual drum recycle asphalt drying and mixing method and apparatus
US10094559B2 (en) Regeneration rotary kiln
US4270470A (en)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for burning fuel with a variable heating value
US4189238A (en) Recycled asphalt-aggregate process and apparatus
US4096588A (en) Recycled asphalt-aggregate process and apparatus
KR102186283B1 (ko)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및 그에 사용되는 폐아스콘 재생 어셈블리
KR20200061050A (ko)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용 오염물질 연소 장치
CN109183560B (zh) 沥青混合料厂拌热再生设备的尾气处理系统
KR101644400B1 (ko) 재생아스콘 플랜트용 드라이어
US4130364A (en)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treating asphalt paving material
KR101129599B1 (ko) 폐아스콘 재생설비에서의 폐아스콘 더스트 및 유분 처리장치
USRE31904E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asphalt-aggregate compositions
US4142803A (en) Recycled asphalt-aggregate process and apparatus
USRE31905E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asphalt-aggregate compositions
US42159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asphalt-aggregate compositions
JPH0255683B2 (ko)
KR101096778B1 (ko)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KR101687335B1 (ko) 폐아스콘 재활용 플랜트
CN214882726U (zh) 一种旧沥青混合料再生设备
KR101003007B1 (ko) 2중 원통형 회전드럼을 갖는 폐아스팔트콘크리트 재생 및 순환아스팔트콘크리트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0414243B1 (ko) 고압 에어노즐 분사 및 나선형 연소공기흐름을 이용한 폐아스팔트의 대량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JP2012140784A (ja)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ドライヤ
KR100411691B1 (ko) 폐아스콘을 이용한 재생 혼합물 제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