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269A -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Google Patents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0269A KR20200120269A KR1020190042946A KR20190042946A KR20200120269A KR 20200120269 A KR20200120269 A KR 20200120269A KR 1020190042946 A KR1020190042946 A KR 1020190042946A KR 20190042946 A KR20190042946 A KR 20190042946A KR 20200120269 A KR20200120269 A KR 202001202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
- divided
- height adjustment
- noise reduction
- lif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47B2013/006—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to hollow tubular profi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판이 상,하로 승강되게 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면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방사상으로 구비된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로 삽입되는 다각단면의 승강지주를 각기 구비하고, 이들 하부지주와 승강지주의 사이에는 승강지주의 단면 형태에 따라 분할 형성된 베어링체를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각종 테이블의 상판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판과 함께 승강지주가 상,하로 승강하는 과정에서 하부지주와의 마찰이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상호 간의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름베어링은 상기 승강지주가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하 승강 작용시 수직 방향으로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겸하게 되므로 높낮이 조절식 테이블에 대한 사용 편리성은 물론 사용 과정에서의 정숙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각종 테이블의 상판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판과 함께 승강지주가 상,하로 승강하는 과정에서 하부지주와의 마찰이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상호 간의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름베어링은 상기 승강지주가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하 승강 작용시 수직 방향으로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겸하게 되므로 높낮이 조절식 테이블에 대한 사용 편리성은 물론 사용 과정에서의 정숙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판이 상,하로 승강되게 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에 결합된 승강지주가 가스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과정에서 하부지주와의 간섭으로 인해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분할형 구름베어링에 의해 방지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상기 승강지주가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상,하 승강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의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테이블이나 소형 책상 또는 다양한 보조 테이블의 경우 상판과 지주 및 하부지지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상판은 평면상 사각이나 원형으로 만들어져 있고 상기의 지주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하부지지체는 테이블이 견고하게 세워 설치될 수 있을 정도의 폭과 형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하부지지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캐스터는 상기 테이블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목적 및 형태의 테이블은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성인의 키를 기준으로 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판의 높이가 적당하지 않을 수 있고, 테이블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도 상판의 높이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빈번하여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다양한 승강수단을 통해 상기의 테이블 내 상판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테이블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가장 최선의 상판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식 테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즉, 등록특허 제10-1200827호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된 마루와, 상기 마루의 중앙에 구비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승하강이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루의 관통홀에 안착되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바닥고정판과 일체로 된 양측면 상,하에 랙핀이 삽입되는 랙핀홀을 이룬 사각통 형상의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부 일단이 고정된 승강수단과, 상기 고정체의 상부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하강 할 수 있는 사각통 형상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하단에 고정되며 중앙에 축홀과 양측에 승강수단가이드홀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며 중앙에 랙과 피니온기어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이룬 양측면에 랙가이드홀과 승강수단 가이드홀이 형성된 랙가이드판과, 상기 피니온기어와 일체로 되게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와 결합되며 중앙에 형성된 축홀을 통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회전레버가 안착되는 레버홈을 이룬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승강 테이블 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3-0049655호와 같이 상판의 하측에 볼팅 결합되는 상판 브라켓과, 상판 브라켓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다리부재와, 다리부재에 기립되게 연결되는 내측 포스트와, 내측 포스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판과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내측 포스트의 내부에 배치된 실린더의 스트로크 동작에 따라 상,하 승강되는 외측 포스트와, 상기 상판 브라켓에 배치되어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기 위한 레버 작동부로 구성된 테이블이 안출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355604호와 같이 상판과 높낮이지주 및 받침대에 설치되는 완충밴드를 통해 급강하는 상판의 저면과 하부지주의 상단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로 인한 소음 및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테이블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적용된 승강수단은 통상적으로 가스실린더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의 가스실린더의 선단에 돌출되어 있는 작동핀을 가압하게 되면 가스실린더에 압축 삽입되어 있던 실린더축이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결국 상기 실린더축에 결합되어 있는 상판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핀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의 상판을 하향 가압함에 따라 상기의 상판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기존의 높낮이 조절 테이블은, 캐스터(201)가 결합된 하부지지체(200)의 상부에 하부지주(210)가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주(210)의 상부 내측으로는 승강지주(22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승강지주(220)의 선단에는 커버체(230)를 이용하여 상판(240)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지주(210) 및 승강지주(220)의 내부에는 가스실린더(250)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스실린더(250)의 하단은 하부지주(210)의 바닥 또는 하부지지체(200) 상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축(251)의 선단은 커버체(230) 내의 고정구(260)를 통해 커버체(230) 및 상판(240)과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실린더축(251)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의 승강지주(220)를 포함하여 상판(240)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판(240)의 저면 일측에는 힌지 고정된 작동레버(27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작동레버(270)는 상기 고정구(260)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회전가압구(280)와 케이블(290)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작동레버(270)를 가압 회전시키면 상기의 케이블(290)이 당겨지면서 상기의 회전가압구(280)를 하향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가압구(280)로 인해 가스실린더(250)의 작동핀(252)이 눌리게 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핀(252)의 눌림으로 인해 상기 실린더축(251) 및 상판(240)이 상승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270)를 가압하여 상판(240)이 상승하는 동안 적정한 높이가 되었을 때 작동레버(270)의 가압력을 해제하여 상판(240)의 상승 작용이 멈추도록 하고, 상승된 상판(240)을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판(240)을 강력하게 가압하는 동시에 작동레버(270)를 작동시켜 실린더축(251)이 인위적인 힘에 의해 가스실린더(250) 내부로 삽입 및 압축되도록 하여 상기의 상판(240)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높낮이 조절 테이블은 상판의 높이 조절 과정에서 하부지지체에 결합된 하부지주와 상판이 결합된 승강지주 간의 마찰 및 간섭으로 인해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승강지주는 하부지주의 선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조립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 승강지주와 하부지주는 서로 긴밀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상기 하부지주와 승강지주 간의 간격이나 틈새가 큰 경우에는 테이블의 사용 과정에서 혹은 상판의 높낮이 조절 과정에서 상호 간의 간격으로 인해 상판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상호 간의 긴밀한 밀착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더욱 안정적인 사용 및 높낮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부지주와 승강지주가 상호 간의 틈새 없이 또는 상호 면접된 상태에서 가스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승강지주의 상,하 출몰이 일어나게 되면, 상호 간의 마찰이나 간섭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 금속 개체 간의 상호 마찰이나 간섭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소음 및 귀에 거슬리는 작동 마찰음이 발생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이와 같은 마찰 및 간섭음을 제거하고자 하부지주와 승강지주 간의 틈새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스페이서를 결합 구성하기도 하나 상기의 스페이서에서의 마찰 및 간섭 소음이 여전히 발생하는 것은 물론 상기 스페이서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결국 유지 및 관리에 불필요한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내면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방사상으로 구비된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로 삽입되는 다각단면의 승강지주를 각기 구비하고, 이들 하부지주와 승강지주의 사이에는 승강지주의 단면 형태에 따라 분할 형성된 베어링체를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하부지주로부터 승강지주가 상,하로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어링체의 구름베어링은 각 지주 간의 마찰이나 간섭을 방지하여 그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지주가 더욱 부드럽고 원활히 수직 승강되게 하는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지지체의 상측으로 가스실린더가 내장된 하부지주가 결합되고, 하부지주의 상부 내측으로는 상단에 상판이 결합된 승강지주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지주의 내측 선단이 가스실린더의 실린더축에 고정되게 함에 따라 상기 승강지주 및 상판이 가스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게 구성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하부지주의 내면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이들 가이드홈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의 내평면부를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평면상 다각형상에 의한 수직의 외평면부가 방사상으로 구성된 승강지주는 상기 하부지주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되,
상기 하부지주와 승강지주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지주의 내평면부 및 승강지주의 외평면부의 개체수에 따라 분할된 베어링체를 삽입하여, 상기 베어링체의 각 분할개체에 결합되어 있는 구름베어링이 상기 내평면부 및 외평면부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로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테이블의 상판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판과 함께 승강지주가 상,하로 승강하는 과정에서 하부지주와의 마찰이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상호 간의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름베어링은 상기 승강지주가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하 승강 작용시 수직 방향으로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겸하게 되므로 높낮이 조절식 테이블에 대한 사용 편리성은 물론 사용 과정에서의 정숙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대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하부결합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승강지주 및 베어링체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베어링체에 대한 분리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하부결합체 평단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하부결합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 확대도
도 2는 종래의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하부결합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승강지주 및 베어링체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베어링체에 대한 분리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하부결합체 평단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하부결합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 확대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하부결합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승강지주 및 베어링체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베어링체에 대한 분리 확대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은 기존과 같이 저면에 캐스터(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가 장착된 하부지지체(110)의 상측으로 수직의 하부지주(100)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하부지주(100)의 내측으로는 별도 구비의 가스실린더(12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의 가스실린더(120)는 하단이 상기 하부지지체(110) 또는 하부지주(100)에 고정되고 가스실린더(120)의 상측으로는 실린더축(121)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축(121)이 상,하 방향으로 출몰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하부지주(100)의 상부 내측으로는 별도의 승강지주(20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지주(200)의 선단에는 별도의 고정체 등을 이용하여 상판(210)이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가스실린더(120)는 승강지주(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지주(200)의 선단 또는 상판에 실린더축(121)이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가스실린더(120)의 작동에 의한 실린더축(121)의 출몰 작용시 상기의 승강지주(200) 및 상판(210)이 상,하 방향으로 함깨 승강되면서 상판(210)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하부지주(100) 내면에 다방향의 가이드홈(101)(101')과 이들 가이드홈(101)(101') 사이에 위치하는 내평면부(102)(102')를 수직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들 가이드홈(101)(101')과 내평면부(102)(102')의 분할 개체수는 상기 승강지주(200)의 다각 형상에 따라 가변 적용되는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지주(200)가 육각 단면 형상인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상기 하부지주(100)의 가이드홈(101)(101')은 수직 길이방향으로 3분할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내평면부(102)(102')는 각각의 가이드홈(101)(101') 사이에 역시 3방향으로 수직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어, 상기의 승강지주(200)는 전기한 바와 같이 육각의 외평면부(201)(201')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의 가스실린더(120)가 끼워지기 위한 삽입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지주(100)의 선단에는 별도의 상단캡(400)이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단캡(400)의 중앙에는 승강지주(200)의 다각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크기의 삽입공(40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401)의 주변으로는 하부지주(100)의 가이드홈(101)(101')과 대응하는 체결공(402)(402')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체결공(402)(402')으로 별도의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하부지주(100)의 가이드홈(101)(101')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상단캡(400)에 대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지주(200)의 외평면부(201)(201') 하단에는 외향 돌출의 이탈방지턱(202)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결국 후술하는 베어링체(300)는 상단캡(400)과 이탈방지턱(202)의 사이에서만 상,하로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베어링체(300)는 일반적인 베어링 결합구조와는 달리 상기 베어링체(300)가 비고정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베어링체(300)는 하부지주(100)와 승강지주(200)의 사이에 삽입되어, 승강지주(200)의 승강 작용에 따라 함께 승강하면서 상호 간의 마찰 소음이나 간섭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의 베어링체(300)는 6면체로 된 승강지주(200)에 대하여 3분할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분할개체(310)(310')에는 수직 방향으로 볼 또는 롤러 형태의 구름베어링(311)(311')이 반복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각각의 분할개체(310)(310') 측부에는 상호 대응의 끼움돌부(312)와 끼움홈부(3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분할개체(310)(310')의 끼움돌부(312)와 끼움홈부(313)를 서로 대응하여 결합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6각형의 베어링체(300)가 만들어지는 것이고, 각 분할개체(310)(310')의 구름베어링(311)(311')은 상기 3면체로 된 승강지주(200)의 외평면부(201)(201')와 대응하는 동시에 상기 하부지주(100)의 3방향 내평면부(102)(102')와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하부지주(100)와 승강지주(200)의 사이에 상기와 같은 조립구조의 베어링체(300)를 삽입하게 되면 각 분할개체(310)(310')의 구름베어링(311)(311')은 하부지주(100)의 내평면부(102)(102')와 승강지주(200)의 외평면부(201)(201')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를 갖는 것으로, 볼 베어링인 경우에는 점 접촉 상태가 이루어지고 롤러 베어링인 경우에는 선 접촉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부지주(100)와 승강지주(200)의 사이에 삽입된 베어링체(300)는 하부지주(100)의 선단에 결합된 상단캡(400)과 승강지주(200) 하단의 이탈방지턱(202)의 사이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는 비고정식 조립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가스실린더(120)의 작동에 의해 하부지주(100)로부터 승강지주(20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베어링체(300)로 인해 승강지주(200)는 부드럽고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베어링체(300)는 비고정 상태이므로 상기 승강지주(200)와 함께 상승할 수도 있을 것이고, 상호 간의 마찰계수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베어링체(300)의 상승없이 승강지주(200)만 상승할 수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일부 구간만 승강지주(200)와 함께 상승할 수도 있는 등 비고정 형태의 베어링체(300)는 상기 상단캡(400)과 이탈방지턱(202)의 사이 범위 내에서 승강지주(200)와의 마찰 저항에 따라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각 분할개체(310)(310')에는 수직으로 연속하여 배열된 구름베어링(311)(3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 구름베어링(311)(311')은 하부지주(100)에 대하여 승강지주(200)가 수직 직선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체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 승강지주(200)는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상,하 출몰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각 분할개체(310)(310')의 일측단에는 상기 하부지주(100)의 가이드홈(101)(10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부(314)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하부지주(100)와 승강지주(200)의 사이에 베어링체(300)를 삽입하게 되면 각 분할개체(310)(310')의 가이드부(314)는 3방향의 가이드홈(101)(101')에 각각 삽입된 형태를 연출하게 된다.
이에 상기의 가이드부(314)는 분할개체(310)(310')가 회전되거나 횡방향으로 유동되려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수직 유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의 승강지주(200)는 흔들림없이 수직 방향으로 승강 및 출몰될 수 있어 테이블 상판(210)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음저감구조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사각단면의 하부지주(100)와 사각단면의 승강지주(200)의 결합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의 하부지주(100)는 내면에 사방으로의 내평면부(102)(102')가 형성되고 이들 내평면부(102)(102')의 사이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의 가이드홈(101)(101')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의 승강지주(200)는 사방으로의 외평면부(201)(201')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주(100)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베어링체(300)는 4분할의 분할개체(310)(310')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분할개체(310)(310')는 상기 하부지주(100)의 내평면부(102)(102') 및 승강지주(200)의 외평면부(201)(201')와 대응하여 각각의 구름베어링(311)(311')이 내평면부(102)(102') 및 외평면부(201)(201')에 동시에 접촉되어 있는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고, 각 분할개체(310)(310')의 일측 가이드부(314)는 상기 하부지주(100) 내의 가이드홈(101)(101')에 삽입되게 구성함으로써, 4각 단면의 하부지주(100) 및 승강지주(200)에 대응하는 베어링체(300)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삼각 혹은 8각 단면의 승강지주(200)를 구비하여 대응하는 형태의 하부지주(100) 내부 형상 및 베어링체(300)를 분할 구성함에 따라 더욱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된 소음방지구조를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소음방지구조는 가스실린더(120)에 의한 상판(210)의 높이 조절 작용에 있어 승강지주(200)가 하부지주(100)로부터 출몰하는 과정에서의 상호 간섭이나 마찰에 의한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상기 승강지주(200)에 대한 출몰 직진성을 높이는 동시에 더욱 부드럽고 원활한 출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하부지주
101,101' : 가이드홈
102,102' : 내평면부
110 : 하부지지체
120 : 가스실린더 121 : 실린더축
200 : 승강지주 201,201' : 외평면부
202 : 이탈방지턱
210 : 상판
300 : 베어링체
310,310' : 분할개체 311,311' : 구름베어링
312 : 끼움돌부 313 : 끼움홈부
314 : 가이드부
400 : 상단캡 401 : 삽입공
402,402' : 체결공
102,102' : 내평면부
110 : 하부지지체
120 : 가스실린더 121 : 실린더축
200 : 승강지주 201,201' : 외평면부
202 : 이탈방지턱
210 : 상판
300 : 베어링체
310,310' : 분할개체 311,311' : 구름베어링
312 : 끼움돌부 313 : 끼움홈부
314 : 가이드부
400 : 상단캡 401 : 삽입공
402,402' : 체결공
Claims (6)
- 하부지지체(110)의 상측으로 가스실린더(120)가 내장된 하부지주(100)가 결합되고, 하부지주(100)의 상부 내측으로는 상단에 상판(210)이 결합된 승강지주(200)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지주(200)의 내측 선단이 가스실린더(120)의 실린더축(121)에 고정되게 함에 따라 상기 승강지주(200) 및 상판(210)이 가스실린더(12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게 구성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하부지주(100)의 내면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01)(101')과 이들 가이드홈(101)(101')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의 내평면부(102)(102')를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평면상 다각형상에 의한 수직의 외평면부(201)(201')가 방사상으로 구성된 승강지주(200)는 상기 하부지주(10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되,
상기 하부지주(100)와 승강지주(200)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지주(100)의 내평면부(102)(102') 및 승강지주(200)의 외평면부(201)(201')의 개체수에 따라 분할된 베어링체(300)를 삽입하여, 상기 베어링체(300)의 각 분할개체(310)(310')에 결합되어 있는 구름베어링(311)(311')이 상기 내평면부(102)(102') 및 외평면부(201)(201')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로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지주(200)의 외평면부(201)(201') 하단에는 상기 베어링체(300)의 분할개체(310)(310')와 간섭되게 한 이탈방지턱(202)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부지주(100)의 선단에는 승강지주(2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태의 삽입공(401)이 형성된 상단캡(400)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 상단캡(400)에는 하부지주(100)의 가이드홈(101)(101')과 대응하는 체결공(402)(40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402)(402')을 통해 가이드홈(101)(101')으로 볼트 체결되게 구성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체(300)는 상단캡(400)과 이탈방지턱(202)의 사이에서만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분할개체(310)(310')는 볼 또는 롤러 형태의 구름베어링(311)(311')이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2개체 이상 구비되도록 구성하되,
일측에는 끼움돌부(312)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끼움홈부(313)를 형성하여, 서로 이웃하는 분할개체(310)(310') 간 서로 대응하는 끼움돌부(312)와 끼움홈부(313)에 의해 상호 계지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분할개체(310)(310')의 일측단에는 하부지주(100)의 가이드홈(101)(101')으로 삽입되게 한 가이드부(314)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지주(200)는 평면상 6각의 외평면부(201)(201')로 구성하고, 하부지주(100)에는 상기 6각 외평면부(201)(201')에 각기 대응하도록 3방향으로의 가이드홈(101)(101')과 이들 가이드홈(101)(101') 사이로 내평면부(102)(102')가 순차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체(300)의 분할개체(310)(310')는 3분할 형태로 구성되어, 3분할된 각 분할개체(310)(310')의 구름베어링(311)(311')은 3방향의 내평면부(102)(102') 및 대응 방향의 외평면부(201)(201')와 동시에 접촉되게 삽입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지주(200)는 평면상 4각의 외평면부(201)(201')로 구성하고, 하부지주(100)에는 상기 4각 외평면부(201)(201')에 각기 대응하도록 4방향으로의 내평면부(102)(102')와 이들 내평면부(102)(102') 사이의 가이드홈(101)(101')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베어링체(300)의 분할개체(310)(310')는 4분할 형태로 구성되어, 4분할된 각 분할개체(310)(310')의 구름베어링(311)(311')은 4방향의 내평면부(102)(102') 및 대응 방향의 외평면부(201)(201')와 동시에 접촉되게 삽입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946A KR102270061B1 (ko) | 2019-04-12 | 2019-04-12 |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946A KR102270061B1 (ko) | 2019-04-12 | 2019-04-12 |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0269A true KR20200120269A (ko) | 2020-10-21 |
KR102270061B1 KR102270061B1 (ko) | 2021-06-28 |
Family
ID=7303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2946A KR102270061B1 (ko) | 2019-04-12 | 2019-04-12 |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0061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67371A (ja) * | 2005-12-22 | 2007-07-05 | Okamura Corp | 昇降テーブルの支柱 |
KR101200827B1 (ko) | 2012-03-27 | 2012-11-13 | 남궁동우 | 승강 테이블 장치 |
KR20130049655A (ko) | 2011-11-04 | 2013-05-14 | 주식회사 퍼시스 | 승강수단이 구비된 테이블 |
KR101355604B1 (ko) | 2011-12-20 | 2014-01-27 | 주식회사 네오퍼스 | 사용이 편리한 테이블 |
CN107928107A (zh) * | 2017-12-25 | 2018-04-20 | 江阴市高奕机械工业有限公司 | 双柱办公桌 |
JP3219935U (ja) * | 2017-12-29 | 2019-01-31 | 江蘇捷爾特智能気動系統有限公司Jiangsu Jelt Lifting System Co., Ltd | 昇降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19935B2 (ja) * | 1994-06-24 | 2001-10-15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故障診断装置 |
-
2019
- 2019-04-12 KR KR1020190042946A patent/KR1022700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67371A (ja) * | 2005-12-22 | 2007-07-05 | Okamura Corp | 昇降テーブルの支柱 |
KR20130049655A (ko) | 2011-11-04 | 2013-05-14 | 주식회사 퍼시스 | 승강수단이 구비된 테이블 |
KR101355604B1 (ko) | 2011-12-20 | 2014-01-27 | 주식회사 네오퍼스 | 사용이 편리한 테이블 |
KR101200827B1 (ko) | 2012-03-27 | 2012-11-13 | 남궁동우 | 승강 테이블 장치 |
CN107928107A (zh) * | 2017-12-25 | 2018-04-20 | 江阴市高奕机械工业有限公司 | 双柱办公桌 |
JP3219935U (ja) * | 2017-12-29 | 2019-01-31 | 江蘇捷爾特智能気動系統有限公司Jiangsu Jelt Lifting System Co., Ltd | 昇降機構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0061B1 (ko) | 2021-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13536C (en) | Free-standing table device | |
US10342327B2 (en) | Device for table elevation | |
JP6768052B2 (ja) | 二本柱事務机 | |
US20200240575A1 (en) | Liftable screen stand | |
DE3750172T2 (de) | Tragestruktur für Büro- und Schreibtische, einschliesslich solcher mit mehreren Stützebenen. | |
AU2001288145A1 (en) | Free-standing table device | |
CN107208695A (zh) | 轴承组合件和方法 | |
KR102149107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 |
KR20200120269A (ko) |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
CN211154411U (zh) | 一种基于角度调节技术的服装设计台 | |
KR101419034B1 (ko) | 가변형 놀이기구 | |
CN111248620A (zh) | 一种升降桌 | |
KR20180000250U (ko) | 평상 겸용 테이블 | |
DE10228341A1 (de) | Höhenverstellbare Trägerplatte für einen Bildschirm | |
CN212024646U (zh) | 一种升降平台支撑腿 | |
JP7149102B2 (ja) | 昇降装置 | |
CN212307147U (zh) | 升降桌 | |
KR102112718B1 (ko) |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
CN108497698A (zh) | 一种升降桌 | |
US9101214B2 (en) | Incrementally extendable telescopic mounting | |
KR101855574B1 (ko) |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 |
KR101578793B1 (ko) | 분할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 |
KR20200120268A (ko) |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 |
EP3424366A1 (de) | Vorrichtung zur abstützung und zur beweglichen führung eines stuhles | |
KR102544930B1 (ko) | 테이블 다리용 높낮이 조절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