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242A -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242A
KR20200120242A KR1020190042876A KR20190042876A KR20200120242A KR 20200120242 A KR20200120242 A KR 20200120242A KR 1020190042876 A KR1020190042876 A KR 1020190042876A KR 20190042876 A KR20190042876 A KR 20190042876A KR 20200120242 A KR20200120242 A KR 20200120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ed
protection
search
target
protec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255B1 (ko
Inventor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주) 넥스트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넥스트솔루션 filed Critical (주) 넥스트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4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25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들 또는 가정에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가정보호자가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보호대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보호대상이 보호범위를 벗어나 이탈하거나 실종된 경우,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빠른 시간 내에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보호대상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보호대상이 휴대하는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 관리시설에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보호대상의 가족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가정보호자가 휴대하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며, 보호대상이 휴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보호자용관리앱; 및 각 보호대상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코드와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보호대상의 이름, 주소, 사진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정보가 저장되며,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보호대상의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가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을 포함하여 외부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보호대상관리서버를 포함하고, 보호대상이 휴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을 통해 전송되는 보호대상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알림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며, 보호자용관리앱을 활성화하면, 보호대상관리서버에 저장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가 보호자용관리앱으로 자동으로 전송되어 보호자용관리앱에 전송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의 고유식별코드와 보호대상관리서버에서 전송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를 서로 매칭시켜 각각의 보호대상들이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각 보호대상이 개별적으로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하고, 보호자용관리앱에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전송하는 신호는 지도 상에서 표시될 수 있고,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신호의 세기 정도에 따라 이를 수신하는 보호자용관리앱의 지도 상에서 다른 색깔로 차별적으로 표시되며, 각 색깔 별로 관리자가 이탈된 보호대상의 수색여부를 결정하거나 수색 범위를 달리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Prevention and search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tection person including dementia patients,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and elderly people}
본 발명은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들 또는 가정에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가정보호자가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보호대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보호대상이 보호범위를 벗어나 이탈하거나 실종된 경우,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빠른 시간 내에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매환자나 지적장애인(이하, 보호대상이라고 함) 또는 고령의 노인은 의사소통의 애로 또는 정상적 사고 부족으로 돌발 행동 가능성이 높아 일반인에 비해 배회, 실종사건 발생 가능성 높다.
이러한 보호대상들은 인지 능력이 일반인보다 떨어지고, 실종 사고 발생시 정확한 의사전달 능력이 부족하여 더 큰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고, 일반인에 비해 가정 복귀 가능성 낮으며, 실종사고 초기에는 발견 확률이 높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발견 가능성이 낮아진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대상들을 전문으로 관리하는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요양원을 포함한 관리시설에서는 전담인력이 부족하여 인력에 의한 보호대상의 관리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가 실시간으로 보호대상이 보위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안전하게 보호대상을 보호할 수 있고, 보호대상이 실종시 초기 단계에서 다수의 관리자들이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실종된 보호대상을 수색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225호(2017.10.1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들 또는 가정에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가정보호자가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보호대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보호대상이 보호범위를 벗어나 이탈하거나 실종된 경우,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빠른 시간 내에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은 각 보호대상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보호대상이 휴대하는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 관리시설에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보호대상의 가족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가정보호자가 휴대하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며, 보호대상이 휴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보호자용관리앱; 및 각 보호대상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코드와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보호대상의 이름, 주소, 사진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정보가 저장되며,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보호대상의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가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을 포함하여 외부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보호대상관리서버를 포함하고, 보호대상이 휴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을 통해 전송되는 보호대상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알림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며, 보호자용관리앱을 활성화하면, 보호대상관리서버에 저장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들 모두가 보호자용관리앱으로 자동 전송되고,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보호자용관리앱으로 전송된 고유식별코드와 보호대상관리서버에서 전송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를 서로 매칭시켜 각 보호대상들이 개별적으로 식별되고, 각 보호대상이 개별적으로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하고, 보호자용관리앱에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전송하는 신호는 지도 상에서 표시될 수 있고,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신호의 세기 정도에 따라 이를 수신하는 보호자용관리앱의 지도 상에서 다른 색깔로 차별적으로 표시되며, 각 색깔 별로 관리자가 이탈된 보호대상의 수색여부를 결정하거나 수색 범위를 달리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보호자용관리앱은 보호대상이 보호범위를 이탈하거나 실종될 경우, 이탈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와 다수의 다른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가 함께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탈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가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다수의 다른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들의 보호자용관리앱으로 함께찾기를 요청하고, 다수의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들이 이를 수락하여 이탈된 보호대상을 함께 수색할 수 있는 함께찾기서비스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용관리앱의 함께찾기서비스 기능에서 함께찾기를 요청받은 관리자는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요청된 함께찾기에 대해 수락할 수도 있고, 이를 거절할 수도 있으며, 함께찾기를 수락하여 함께 수색을 하고 있는 관리자들 중에서 어느 한 사람이 이탈된 보호대상을 발견한 경우, 보호자용관리앱의 함께찾기서비스 상에서 이탈 보호대상을 찾았다는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함께찾기를 신청한 관리자 및 함께찾기를 수락한 관리자들 모두에게 메시지, 진동, 및 소리를 포함한 알림서비스가 전송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보호대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대상이 보호범위를 벗어나 이탈하거나 실종된 경우, 관리자들 또는 보호자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빠른 시간 내에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하여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 보호자용관리앱(20), 보호대상관리서버(30), 관리시설용프로그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은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 보호대상관리서버(30), 관리시설에 종사하는 관리자과 보호대상의 가족을 포함한 가정보호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보호자용관리앱(20), 및 관리시설에 구비되는 관리시설용프로그램(50)이 일방향 또는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보호대상이 보호범위를 벗어나 이탈하거나 실종된 경우, 관리시설에 종사하는 관리자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빠른 시간 내에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하여 찾을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시설은 보호대상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보호대상복지관, 요양원, 노인복지관,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하여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시설을 포괄하여 명칭하는 것이며, 관리시설의 관리자는 보호대상을 전문으로 관리하는 사회복지사, 교직원 등을 포괄하는 명칭이고, 가정보호자는 가정에서 보호대상을 보호하는 가족, 친족, 후견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보호대상에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의 노인 등을 포함하여 인지능력이 부족하거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와 그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는 도 1을 참조하면, 비콘, 와이파이 통신기기를 포함하여 중장거리 무선통신기능이 포함된 통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아래에 서술된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보호자용관리앱(2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 즉,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의 유효통신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감지하기 위해 보호대상이 휴대한다.
여기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는 각 보호대상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고유식별코드는 아래에 서술된 보호대상관리서버(30)에도 저장된다.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서 전송된 신호는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20)으로 전송된다.
보호대상관리서버(30)는 각 보호대상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코드와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보호대상의 이름, 주소, 사진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정보가 저장되며,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와 연동하여 보호대상의 위치, 보호대상이 정기적으로 치료 받거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전담병원 등의 응급기관(40)을 포함하여 보호대상의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가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20) 또는 관리시설용프로그램(50)을 포함하여 외부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보호자용관리앱(20)은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보호대상의 가족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가정보호자가 휴대하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며, 보호대상이 휴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관리시설용프로그램(50)은 보호대상을 관리하기 위해 관리시설에서 운영하는 PC 등의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이며, 보호대상의 이름, 주소, 보호대상이 전문적으로 치료받거나 진료를 받으러 가는 전문병원 등 보호대상의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보호대상관리서버(30)로 전송하거나 보호대상관리서버(30)로부터 보호대상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한다.
한편, 보호대상이 휴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을 통해 전송되는 보호대상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관리자의 보호자용관리앱(20)으로 실시간 알림서비스로 제공된다.
여기서, 보호대상이 휴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서 송신하는 위치 신호는 보호자용관리앱(20)에서 전송받아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보호대상관리서버(30)에 저장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도 보호자용관리앱(20)로 전송되어 보호대상들 각각의 개별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호자용관리앱(20)을 활성화하면, 보호대상관리서버(30)에 저장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들 모두가 보호자용관리앱(20)으로 자동 전송되고,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서 보호자용관리앱(20)으로 전송된 고유식별코드와 보호대상관리서버(30)에서 전송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들을 서로 매칭을 시킨다.
이때, 보호대상관리서버(30)에서 전송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들 중에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서 보호자용관리앱(20)으로 전송된 고유식별코드가 서로 매칭이 될 경우에는 각 보호대상들이 개별적으로 식별되고, 각 보호대상이 개별적으로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만약, 보호자용관리앱(20)에 보호대상관리서버(30)에서 전송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들은 있으나,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서 보호자용관리앱(20)으로 전송된 고유식별코드가 없을 경우에는 두 고유식별코드가 매칭이 되지 않으므로 이때에는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가 보호자용관리앱(20)에 인식되지 않는 상황에 있게 된다.
한편, 보호대상관리서버(30) 또는 관리시설용프로그램(50)에는 보호대상 별로 지정된 전담병원을 포함한 응급기관(40)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보호대상의 부상을 포함하여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보호대상관리서버(30) 또는 관리시설용프로그램(50)으로 응급상황을 전송하면, 보호대상관리서버(30) 또는 관리시설용프로그램(50)에서는 저장된 해당 보호대상의 응급기관으로 응급상황을 전송하여 긴급 후송조치 등의 응급상황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보호대상이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의 보호범위를 벗어나 이탈하거나 실종된 경우, 본원발명에 의해 이탈된 보호대상을 찾기 위한 초기대응 방식은 다음과 같다
보호자용관리앱(20)에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서 전송하는 신호는 지도 상에서 표시될 수 있고,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신호의 세기 정도에 따라 이를 수신하는 보호자용관리앱(20)의 지도 상에서 다른 색깔로 차별적으로 표시되며, 각 색깔 별로 관리자가 이탈된 보호대상의 수색여부를 결정하거나 이탈된 보호대상의 수색 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가 스캔되지 않아 보호대상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보호자용관리앱(20)의 지도 상에서 회색으로 표시되고,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의 송신 신호가 끊겼다 연결되었다 할 경우 또는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의 송신 신호가 약할 경우 노란색으로 표시되며 이 경우에는 해당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을 소지한 보호대상에 대해 인근지역의 수색이 필요하다.
또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의 송신 신호가 강할 경우, 보호자모바일앱의 지도 상에서 초록색으로 표시되며, 이때 해당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 신호를 송신하는 보호대상이 인근에 있다고 판단되어 수색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보호대상이 관리범위를 이탈된 경우, 이탈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보호대상의 리스트에서 보호범위를 이탈한 보호대상을 선택하여 이탈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만을 보호자용관리앱(20)을 통해 스캔할 수 있다.
관리자는 보호자용관리앱(20)에서 이탈된 보호대상만을 스캔하는 기능은 이탈된 보호대상에 대한 간단한 정보와 함께 해당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 스캔 현황을 볼 수 있다.
한편, 보호자용관리앱(20)에는 함께찾기서비스 기능이 포함되며, 이 함께찾기서비스는 보호대상이 보호범위를 이탈하거나 실종될 경우, 이탈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와 다수의 다른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가 함께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탈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가 보호자용관리앱(20)을 통해 다수의 다른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들의 보호자용관리앱(20)으로 함께찾기를 요청하고, 다수의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들이 이를 수락하여 이탈된 보호대상을 함께 수색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때,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보호자용관리앱(20)에 다수의 다른 관리자들의 리스트가 표시되며, 표시되는 다수의 다른 관리자들의 리스트 중에서 다른 관리자들을 선택하여 함께찾기를 요청할 수 있다.
보호자용관리앱(20)의 함께찾기서비스 기능에서 함께찾기를 요청받은 관리자는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20)을 통해 요청된 함께찾기에 대해 수락할 수도 있고, 이를 거절할 수도 있다.
함께찾기는 알림서비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푸쉬 알람, 메인화면 진입 시 팝업알람, 우체통 확인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함께찾기서비스를 신청한 관리자는 다른 관리자의 신청수락현황을 조회 할 수 있고, 응답이 없는 관리자들에게는 재신청을 할 수 있다.
다른 관리자가 함께찾기를 수락했을 경우, 수락한 관리자는 보호자용관리앱(20)을 통해 이탈한 보호대상의 정보를 받아 해당 보호대상의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관리자가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20)을 통해 스캔하여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하게 된다.
한편, 함께찾기를 수락한 관리자들은 수색 반경이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수색 반경을 달리하며 이탈된 보호대상의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를 스캔하며 수색을 하게 된다.
보호자용관리앱(20)의 함께찾기서비스는 보호자용관리앱(20)의 지도상에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하기 위해 참여 중인 관리자들의 위치와 이탈한 보호대상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수색에 참여중인 관리자들의 리스트는 조회가 가능하며, 이때 보호대상 수색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소정시간 까지의 수색현황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만일, 함께찾기를 수락하여 함께 수색을 하고 있는 관리자들 중에서 어느 한 사람이 이탈된 보호대상을 발견한 경우, 보호자용관리앱(20)의 함께찾기서비스 상에서 이탈 보호대상을 찾았다는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함께찾기를 신청한 관리자 및 함께찾기를 수락한 관리자들 모두에게 메시지, 진동, 및 소리를 포함한 알림서비스가 전송된다.
이때, 함께찾기를 신청한 관리자는 이탈한 보호대상이 발견된 것을 확인한 후 함께찾기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이탈된 보호대상을 찾지 못해도 함께찾기를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보호자용관리앱(20)의 함께찾기서비스는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활성화 상태는 함께찾기서비스를 선택하여 함께찾기서비스가 시작될 때부터 종료될 때 까지를 말한다.
활성화 상태의 경우, 이탈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의 스캔이 가능한 상태이며, 이때 새로운 관리자의 추가가 가능하다.
비활성화 상태는 함께찾기서비스가 종료된 상태를 말하며, 비활성화 상태의 경우 새로운 관리자을 추가할 수 없고 이탈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의 스캔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관리자가 이탈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를 스캔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함께찾기서비스에 초대되어 함께찾기서비스가 생성된 활성화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또한, 함께찾기에 초대되어 함께찾기를 수락한 관리자는 다른 관리자을 초대 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
함께찾기서비스는 여려 명의 보호대상이 이탈된 경우에도 동시에 이탈된 보호대상 모두를 수핵할 수 있으며, 보호자용관리앱(20)의 지도 상에 이탈된 보호대상의 이름이 함께 표시되어 이탈된 보호대상들 중 누구를 찾았는지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보호자용관리앱(20)에는 이탈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을 마지막으로 스캔한 이력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10)을 마지막으로 스캔한 이력 조회 기능은 이탈된 보호대상이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가 어디인지를 나타내어 보호대상의 위치를 추측하고 수색 범위를 특정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탈된 보호대상을 스캔한 기록이 있는 관리자들의 마지막 스캔 위치를 보호자용관리앱(20)에의 지도상에 나타내어 직관적으로 수색범위를 특정하여 보여준다.
함께찾기를 수락한 관리자들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20)에서는 스캔된 이탈 보호대상의 인식 데이터 검색이 가능하며, 다른 관리자들이 스캔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함께찾기서비스 수락 시 다른 관리자의 스마트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스캔로그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 검색된다.
스캔 로그파일 요청을 할 경우, 명시적으로 함께 찾기에 동의한 관리자의 로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캔 로그파일이 전송된 관리자과 다른 관리자는 함께찾기 동의 유무를 보며 분간해 볼 수 있고, 전송이 안 된 관리자는 함께찾기 재전송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 20 - 보호자용관리앱
30 - 보호대상관리서버 40 - 응급기관
50 - 관리시설용프로그램

Claims (3)

  1. 각 보호대상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보호대상이 휴대하는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
    관리시설에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보호대상의 가족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가정보호자가 휴대하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며, 보호대상이 휴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보호대상이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보호자용관리앱; 및
    각 보호대상을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코드와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보호대상의 이름, 주소, 사진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정보가 저장되며,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보호대상의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가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을 포함하여 외부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보호대상관리서버
    를 포함하고,
    보호대상이 휴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을 통해 전송되는 보호대상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알림서비스로 제공되는 것
    을 포함하며,
    보호자용관리앱을 활성화하면, 보호대상관리서버에 저장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들 모두가 보호자용관리앱으로 자동 전송되고,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보호자용관리앱으로 전송된 고유식별코드와 보호대상관리서버에서 전송된 보호대상의 고유식별코드를 서로 매칭시켜 각 보호대상들이 개별적으로 식별되고, 각 보호대상이 개별적으로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
    을 포함하고,
    보호자용관리앱에서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전송하는 신호는 지도 상에서 표시될 수 있고, 보호대상이 소지한 보호대상휴대용식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신호의 세기 정도에 따라 이를 수신하는 보호자용관리앱의 지도 상에서 다른 색깔로 차별적으로 표시되며, 각 색깔 별로 관리자가 이탈된 보호대상의 수색여부를 결정하거나 수색 범위를 달리할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
  2. 제1항에 있어서,
    보호자용관리앱은 보호대상이 보호범위를 이탈하거나 실종될 경우, 이탈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와 다수의 다른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가 함께 이탈된 보호대상을 수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탈된 보호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가정보호자가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다수의 다른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들의 보호자용관리앱으로 함께찾기를 요청하고, 다수의 관리자들 또는 가정보호자들이 이를 수락하여 이탈된 보호대상을 함께 수색할 수 있는 함께찾기서비스 기능
    을 포함하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
  3. 제2항에 있어서,
    보호자용관리앱의 함께찾기서비스 기능에서 함께찾기를 요청받은 관리자는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보호자용관리앱을 통해 요청된 함께찾기에 대해 수락할 수도 있고, 이를 거절할 수도 있으며, 함께찾기를 수락하여 함께 수색을 하고 있는 관리자들 중에서 어느 한 사람이 이탈된 보호대상을 발견한 경우, 보호자용관리앱의 함께찾기서비스 상에서 이탈 보호대상을 찾았다는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함께찾기를 신청한 관리자 및 함께찾기를 수락한 관리자들 모두에게 메시지, 진동, 및 소리를 포함한 알림서비스가 전송되는 것
    을 포함하는,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
KR1020190042876A 2019-04-12 2019-04-12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KR10217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76A KR102170255B1 (ko) 2019-04-12 2019-04-12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76A KR102170255B1 (ko) 2019-04-12 2019-04-12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42A true KR20200120242A (ko) 2020-10-21
KR102170255B1 KR102170255B1 (ko) 2020-10-26

Family

ID=7300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876A KR102170255B1 (ko) 2019-04-12 2019-04-12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503B1 (ko) * 2020-11-20 2022-03-04 (주) 경성테크놀러지 스마트 헬스 케어 기술을 기반 복지시설 차량 운행 보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49354A (ko)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치매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104A (ko) 2022-05-13 2023-11-21 울산과학기술원 공공 협력을 통한 실종 치매환자 발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658A (ko) * 2006-04-11 2007-10-17 박건우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1186A (ko) * 2009-10-15 2011-04-21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30098060A (ko) * 2012-02-27 2013-09-04 허필연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6494A (ko) * 2013-07-08 2015-01-19 권형석 위급상황(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658A (ko) * 2006-04-11 2007-10-17 박건우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1186A (ko) * 2009-10-15 2011-04-21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30098060A (ko) * 2012-02-27 2013-09-04 허필연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6494A (ko) * 2013-07-08 2015-01-19 권형석 위급상황(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503B1 (ko) * 2020-11-20 2022-03-04 (주) 경성테크놀러지 스마트 헬스 케어 기술을 기반 복지시설 차량 운행 보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49354A (ko)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치매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255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255B1 (ko)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JP6374949B2 (ja) 遭難状況おける支援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4119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subjects
JP5514562B2 (ja) 位置管理方法及び携帯端末
US20200346751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emergency dispatch and diagnostics data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160110833A1 (en) Occupancy Indicator
US2017019317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igning locations to devices
US20160189514A1 (en) Emergency monitoring of tagged objects
US11869672B2 (en) Contact tracing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of shipboard pathogen transmission
CN111343577A (zh) 一种用于传染病人跟踪及感染风险检测的方法
KR20170050328A (ko)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KR102074454B1 (ko) 장애아동 발열상태 감지와 실종 방지 및 수색이 가능한 장애아동 관리 시스템
JP2017004213A (ja) 避難誘導装置、避難誘導方法、及び避難誘導プログラム
JP2014044641A (ja) 犯罪情報管理装置および犯罪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30222893A1 (en) Home occupancy information system
JP6106352B2 (ja) 分散型で通信する周辺状況通知携帯情報端末、周辺状況通知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周辺状況通知システム
JP6220816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332667B1 (ko) 야외활동을 하는 아동의 실종 방지와 발열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아동 관리 시스템
US202202380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signalling unit user
KR102191645B1 (ko) 야외활동을 위한 아동 관리 시스템
KR102625673B1 (ko) 영유아시설을 위한 야외활동 아동 실종방지 시스템
CN109218532B (zh) 一种陌生人社交线下活动的用户安全监控方法和系统
KR101993307B1 (ko) 이웃을 이용한 독거인의 위험상황 처리방법
KR20210014405A (ko) 장애인 도움 시스템
KR102608663B1 (ko) 환경에 따른 아동 발열추이 분석과 실종 방지 및 수색이 가능한 아동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