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186A -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186A
KR20110041186A KR1020090098245A KR20090098245A KR20110041186A KR 20110041186 A KR20110041186 A KR 20110041186A KR 1020090098245 A KR1020090098245 A KR 1020090098245A KR 20090098245 A KR20090098245 A KR 20090098245A KR 20110041186 A KR20110041186 A KR 20110041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dentifier
designated space
elderl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062B1 (ko
Inventor
정보은
이현철
신수호
유동열
최우철
김진희
이정희
정세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정세희
(주)디에이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정세희, (주)디에이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90098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062B1/ko
Priority to PCT/KR2009/005990 priority patent/WO2011046241A1/ko
Publication of KR2011004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69Inferred or constrained positioning, e.g. employing knowledge of the physical or electromagnetic environment, state of motion or other contextual information to infer or constrain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공원, 박물관, 관청과 같은 한정된 지정공간을 이용하는 노약자의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는, 크게 노약자가 휴대하고 RFID가 포함되어 개별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는 식별기와, 상기 식별기와 무선통신으로 식별기를 인식하도록 지정장소 내에 다수로 배치되는 리더기와, 지정공간에 입장하는 식별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리더기가 수집한 여러 식별기의 식별정보와 인식한 리더기의 정보를 전송받아 지정장소 내의 정확한 위치와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관제기와, 상기 관제기로부터 얻어지는 각 식별기의 위치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은, 관제기가 지정공간으로 입장하는 개별 노약자의 식별기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기가 포함하는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는 단계와, 지정공간에 다수로 배치되어 구성된 리더기 중 대응되는 일 리더기가 지정공간 내에서 이동하거나 위치하는 개별 노약자의 식별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일 리더기가 인식된 식별기의 식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리더기 자신의 위치정보 및 식별기의 식별시간정보를 관제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제기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들을 취합하여 개별 식별기들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와, 관제기가 생성한 개 별 식별기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 각각에 송신하는 단계와, 지정공간에 다수로 배치되어 설치된 정보단말기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보조단말기가 관제기로부터 개별 식별기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미리 포함된 지정공간의 맵(MAP)정보에 개별 식별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지피에스, 네비게이션, 노약자, 놀이공원, 미아, 경로추적

Description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LD AND FEEBLE PERRSON SEARCH IN A SPECIFIED SPACE}
본 발명은 놀이공원, 박물관, 관청과 같은 한정된 지정공간을 이용하는 노약자의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화생활의 확대로 인하여 가족은 물론 노인들이 여가시간을 위하여 주말이나 휴일 및 휴가 등을 이용하여 야외로 여행을 떠나거나 유원지, 공원, 백화점 등 사람이 붐비는 곳을 자주 찾고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이 붐비는 장소에서는 주위 인식이 부족한 노약자의 경우, 약간의 부주의로 무리에서 이탈되거나 목적지를 잃고 배회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어린이들은 호기심이 왕성하고 지각능력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많은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는 장소나 자신에게 낯선 장소에서는 쉽게 보호자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게 되며, 이 경우 미아가 되어 버리기도 한다. 노인들의 경우 또한 신체 능력이 저하되고 이에 따른 인지증력의 저하로 인해 무리에서 이탈되기 도 한다.
현재, 대단위 위락시설에서는 이러한 미아나 길잃은 노약자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보호자에게 찾아 주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서비스되고 있다.
실제 이러한 종래의 사람찾기 서비스에서는 통신망을 통한 노약자 미아 방지 센터에서 미리 노약자나 어린이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 후, 이렇게 등록한 사람에게 바코드와 일련번호가 찍힌 태그를 부착해 두게 된다.
이 후 노약자 미아 방지 센터에 등록한 사람이 실제 미아가 되었을 경우, 그 보호자가 노약자 미아 방지 센터에 연락을 취하면, 일정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이동 도우미들의 단말기로 미아 발생과 등록된 정보가 통지되게 되어, 이동 도우미들이 그 정보에 따라서 해당 미아나 노인을 찾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방법은 미리 이동 도우미들이 배치되어 있는 지역 내에서만 서비스가 가능 한 방법이기 때문에, 만일 미아나 길을 잃은 노인이 도우미들이 배치된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이를 찾을 수 없게 되고, 또한, 미아나 길을 잃은 노인이 도우미들이 배치된 지역 내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들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도우미들이 일정한 지역을 일일이 살펴야 하는 심각한 인력낭비와 시간 지연 그리고 낮은 매칭 성공률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놀이공원, 박물관, 관청과 같은 한정된 지정공간을 이용하는 노약자의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약자가 휴대하고 RFID가 포함되어 개별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는 식별기와, 상기 식별기와 무선통신으로 식별기를 인식하도록 지정장소 내에 다수로 배치되는 리더기와, 지정공간에 입장하는 식별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리더기가 수집한 여러 식별기의 식별정보와 인식한 리더기의 정보를 전송받아 지정장소 내의 정확한 위치와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관제기와, 상기 관제기로부터 얻어지는 각 식별기의 위치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로 구성된 한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놀이공원, 박물관, 관청과 같은 한정된 지정공간을 이용하는 노약자의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별기, 리더기, 관제기,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로 구성되는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로서, 노약자가 휴대하며, 고유의 개별 식별정보를 가지는 RFID 태그를 포함하여 리더기들에게 무선 통신으로 해당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식별기와; 상기 지정공간 내에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식별기가 지정공간에서 주기적으로 발신하는 개별 식별정보를 선택된 하나가 수신하여 이에 자신의 위치정보 및 식별시간정보를 더 포함시켜 관제기로 전송하는 리더기와; 지정공간의 입구에 마련되어 노약자가 입장시 휴대한 식별기를 확인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식별기의 식별정보를 중앙관리부로 전송하는 출입등록부와, 상기 출입등록부로부터 전송받은 입장된 식별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리더기로부터 전송되는 식별기의 식별정보 및 리더기의 위치정보와 식별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각 식별기를 휴대한 노약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로 전송하는 중앙관리부를 포함하는 관제기와; 지정공간의 맵(MAP)정보 및 이를 시각화하는 디스플레이와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공간 내에 다수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관리부로부터 수신된 해당 식별기를 가지는 노약자들의 개별 위치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지정공간의 맵정보 상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정보단말기와; 지정공간의 맵정보 및 이를 시각화하는 디스플레이와 조작부를 포함하며 개별 노약자가 휴대 가능하며, 상기 중앙관리부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해당 식별기를 가지는 노약자들의 개별 위치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지정공간의 맵정보 상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보조단말기로 이루어져, 노약자가 지정공간에서 이동시 현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특정 이용자를 검색하며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단말기는, 그 기능이 프로그램되어 탑재된 통상의 휴대전화 또는 PD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관제기가 지정공간으로 입장하는 개별 노약자의 식별기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기가 포함하는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는 단계; 지정공간 에 다수로 배치되어 구성된 리더기 중 대응되는 일 리더기가 지정공간 내에서 이동하거나 위치하는 개별 노약자의 식별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일 리더기가 인식된 식별기의 식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리더기 자신의 위치정보 및 식별기의 식별시간정보를 관제기로 전송하는 단계; 관제기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들을 취합하여 개별 식별기들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관제기가 생성한 개별 식별기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 각각에 송신하는 단계; 지정공간에 다수로 배치되어 설치된 정보단말기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보조단말기가 관제기로부터 개별 식별기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미리 포함된 지정공간의 맵(MAP)정보에 개별 식별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은, 관제기가 관리자 또는 특정된 노약자의 요청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다수의 식별기를 그룹화하는 단계; 관제기는 상기 그룹화된 다수의 식별기를 가상의 하나의 식별기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은, 관제기가 그룹화를 이루는 다수의 식별기간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다수의 식별기간의 상호 간의 거리를 한정하여 지정된 상호 간의 거리 보다 멀어지는 경우, 정보단말기 또는 보조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 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약자가 지정공간내에서 이동시 현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동행자나 특정 이용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또한 서비스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한정된 지정공간에 입장하는 노약자에게 고유한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이를 지정공간 내에서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확인하여 지정공간 내에 다수로 설치된 정보단말기나 휴대 가능한 보조단말기에 표시를 하여 해당 노약자 자신은 물론 그룹화된 다른 사람이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지정공간 내의 미아나 길잃은 노인의 실종 사고를 미리 방지하고 안정적이고 신뢰감 있는 공간 운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놀이공원, 박물관, 관청과 같은 한정된 지정공간을 이용하는 노약자의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의 설치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에 의한 그룹화 식별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는 놀이공원, 박물관, 관청과 같은 한정된 지정공간을 이용하는 노약자의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별기(100), 리더기(200), 관제기(300), 정보단말기(400) 및 보조단말기(50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노약자가 휴대하고 RFID가 포함되어 개별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는 식별기(100)와, 상기 식별기와 무선통신으로 식별기를 인식하도록 지정장소 내에 다수로 배치되는 리더기(200)와, 지정공간에 입장하는 식별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리더기가 수집한 여러 식별기의 식별정보와 인식한 리더기의 정보를 전송받아 지정장소 내의 정확한 위치와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관제기(300)와, 상기 관제기로부터 얻어지는 각 식별기의 위치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정보단말기(400) 및 보조단말기(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식별기(100)는 노약자가 휴대하는 장치로서, 고유의 개별 식별정 보를 가지는 RFID 태그를 포함하여 리더기(200)들에게 무선 통신으로 해당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식별기(100)의 형태는 휴대시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팔치와 같은 형상이나, 옷핀이나 고리 등이 더욱 구성되어 의복에 걸어 장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별을 위한 공지 기술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면, 물체나 동물 또는 사람 등을 식별하기 위해 전자기 스펙트럼 부분의 무선주파수 내에 전자기 또는 정전기 커플링 사용을 통합시킨 기술로써,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상에 스캐닝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서 산업계에서의 사용이 점차 늘고 있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안테나 트랜시버 그리고 트랜스폰더라고도 불리는 태그로 이루어지게 된다. 안테나는 트랜스폰더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전파를 사용한다. 그리고 트랜스폰더가 활성화되면, 트랜스폰더는 가지고 있던 데이터를 안테나로 전송한다. 이러한 처리에는 문을 통과하는 정도의 단순한 것에서부터,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된 판매 거래 행위처럼 복잡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것들이 포함된다.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30KHz ~ 500KHz를 사용하는 저주파 RFID 시스템은 약 1.8m 이하의 짧은 전송 영역에서 사용되며, 850KHz ~ 950KHz 및 2.4GHz ~ 2.5GHz를 사용하는 고주파 RFID 시스템은 원거리 전송 능력을 제공한다.
상기의 식별기(100)를 하는 리더기(200)는, 상기 놀이공원과 같은 지정공간 내에 다수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리더기(200)의 배치를 간단히 살펴보면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특정된 한정공간인 지정공간을 세부적으로 구역화한 가상의 구역(Cell)중 일 구역에 대응하여 일 리더기(200)를 설치되도록 하여 해당 리더기(200)의 구역에서 식별기(100)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별기(100)가 지정공간에서 주기적으로 발신하는 개별 식별정보를 선택된 일 리더기(200)가 수신하고, 이에 리더기(200) 자신의 위치정보 및 식별시간정보를 더 포함시켜 관제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관제기(300)는 크게 출입등록부(310)와, 중앙관리부(32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식별기(100) 각각을 등록하고 수신된 여러 정보(식별기의 식별정보, 리더기의 위치정보, 리더기가 해당 식별기를 인식한 시간정보)를 모아 가공하여 개별 식별기(100) 각각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관제기(300)의 출입등록부(310)는 지정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도록 하여 지정공간에 입장하는 노약자 즉, 노약자가 소지하는 식별기(100)를 확인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이렇게 등록된 식별기(100)의 식별정보를 중앙관리부(320)로 전송한다.
중앙관리부(320)는 상기 출입등록부(310)로부터 전송받은 입장된 식별기(100)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리더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식별기(100)의 식별정보 및 리더기(200)의 위치정보와 식별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각 식별기(100)를 휴대한 노약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개별 식별기(100) 각각의 위치정보를 정보단말기(400)와 보조 단말기(500)로 전송하여 노약자 자신의 위치나 동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정보단말기(400)와 보조단말기(500) 각각은 해당 지정공간의 맵(MAP)정보 및 이를 시각화하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와 조작을 위한 키보드, 버튼부,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정보단말기(400)는 상기 지정공간 내에 다수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관리부(320)로부터 수신된 해당 식별기(100)를 가지는 노약자들의 개별 위치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지정공간의 맵정보 상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는 정보의 형태는 지리적 정보 상에 자신의 위치정보 및 다른 식별기(100)의 위치정보, 그리고 목적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선정하면 목적지까지의 방면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단말기(500)는 노약자 각각이 휴대 가능하도록 통상 모바일 기기의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에 상기 보조단말기(500)는 그 기능이 프로그램되어 탑재된 통상의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사용할 수도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보조단말기(500) 또한 상술한 정보단말기(400)와 동일한 기능으로 구성되면 충분하다.
이에, 노약자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를 이용하여 지정공간 내에서 이동시 현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동행자나 특정 이용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또한 서비스받을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은 크게 노약자가 휴대하고 RFID가 포함되어 개별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는 식별기와, 상기 식별기와 무선통신으로 식별기를 인식하도록 지정장소 내에 다수로 배치되는 리더기와, 지정공간에 입장하는 식별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리더기가 수집한 여러 식별기의 식별정보와 인식한 리더기의 정보를 전송받아 지정장소 내의 정확한 위치와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관제기와, 상기 관제기로부터 얻어지는 각 식별기의 위치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로 구성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먼저, 관제기가 지정공간으로 입장하는 개별 노약자의 식별기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기가 포함하는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한다. 통상 지정공간의 출입구에 식별기를 등록하기 위하여 관제기와 연결된 안테나(리더기) 등을 설치하여 구성하면 충분하다. 상기 식별기는 RFID 태그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정공간에 다수로 배치되어 구성된 리더기 중 대응되는 일 리더기가 지정공간 내에서 이동하거나 위치하는 개별 노약자의 식별기를 인식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일 리더기가 인식된 식별기의 식별정보, 즉 고유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리더기 자신의 위치정보 및 식별기의 식별시간정보를 관제기로 전송한다.
이에, 관제기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들을 취합하여 개별 식별기들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를 생성한다. 이는 각각의 리더기가 지정공간 내에 설치 된 위치정보를 알고 있고 해당 리더기의 위치에 근접하여 인식된 식별기의 위치를 알아내며 인식된 시간으로 현재 위치와 과거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관제기가 생성한 개별 식별기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 각각에 송신하면, 지정공간에 다수로 배치되어 설치된 정보단말기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보조단말기가 관제기로부터 개별 식별기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미리 포함된 지정공간의 맵(MAP)정보에 개별 식별기의 위치를 표시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정보단말기(400)와 보조단말기(500) 각각은 해당 지정공간의 맵(MAP)정보 및 이를 시각화하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와 조작을 위한 키보드, 버튼부,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정보단말기(400)는 상기 지정공간 내에 다수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관리부(320)로부터 수신된 해당 식별기(100)를 가지는 노약자들의 개별 위치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지정공간의 맵정보 상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는 정보의 형태는 지리적 정보 상에 자신의 위치정보 및 다른 식별기(100)의 위치정보, 그리고 목적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선정하면 목적지까지의 방면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단말기(500)는 노약자 각각이 휴대 가능하도록 통상 모바일 기기의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에 상기 보조단말기(500)는 그 기능이 프로그램되어 탑재된 통상의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사용할 수도 있 도록 구성한다. 이에 보조단말기(500) 또한 상술한 정보단말기(400)와 동일한 기능으로 구성되면 충분하다.
한편, 관제기는 관리자 또는 특정된 노약자의 요청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다수의 식별기를 그룹화할 수 있다. 이는 동행이 있는 경우 이동 경로가 동일하기 때문에 그룹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관제기는 상기 그룹화를 이루는 다수의 식별기간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다수의 식별기간의 상호 간의 거리를 한정하여 지정된 상호 간의 거리 보다 멀어지는 경우, 정보단말기 또는 보조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도록 하여 동행의 무리에 이탈되는 경우 즉시 다른 동행에게 이와 같은 사실을 주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에 의한 그룹화 식별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별기 200 : 리더기
300 : 관제기 310 : 출입등록부
320 : 중앙관리부 400 : 정보단말기
500 : 보조단말기

Claims (5)

  1. 놀이공원, 박물관, 관청과 같은 한정된 지정공간을 이용하는 노약자의 해당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별기(100), 리더기(200), 관제기(300), 정보단말기(400) 및 보조단말기(500)로 구성되는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로서,
    노약자가 휴대하며, 고유의 개별 식별정보를 가지는 RFID 태그를 포함하여 리더기(200)들에게 무선 통신으로 해당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식별기(100)와;
    상기 지정공간 내에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식별기(100)가 지정공간에서 주기적으로 발신하는 개별 식별정보를 선택된 하나가 수신하여 이에 자신의 위치정보 및 식별시간정보를 더 포함시켜 관제기(300)로 전송하는 리더기(200)와;
    지정공간의 입구에 마련되어 노약자가 입장시 휴대한 식별기(100)를 확인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식별기(100)의 식별정보를 중앙관리부(320)로 전송하는 출입등록부(310)와, 상기 출입등록부(310)로부터 전송받은 입장된 식별기(100)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리더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식별기(100)의 식별정보 및 리더기(200)의 위치정보와 식별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각 식별기(100)를 휴대한 노약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정보단말기(400) 및 보조단말기(500)로 전송하는 중앙관리부(320)를 포함하는 관제기(300)와;
    지정공간의 맵(MAP)정보 및 이를 시각화하는 디스플레이와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공간 내에 다수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관리부(320)로부터 수신된 해당 식별기(100)를 가지는 노약자들의 개별 위치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지정공간의 맵정 보 상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정보단말기(400)와;
    지정공간의 맵정보 및 이를 시각화하는 디스플레이와 조작부를 포함하며 개별 노약자가 휴대 가능하며, 상기 중앙관리부(32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해당 식별기(100)를 가지는 노약자들의 개별 위치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지정공간의 맵정보 상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보조단말기(500)로 이루어져, 노약자가 지정공간에서 이동시 현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특정 이용자를 검색하며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단말기는,
    그 기능이 프로그램되어 탑재된 통상의 휴대전화 또는 PD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3. 관제기가 지정공간으로 입장하는 개별 노약자의 식별기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기가 포함하는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는 단계;
    지정공간에 다수로 배치되어 구성된 리더기 중 대응되는 일 리더기가 지정공간 내에서 이동하거나 위치하는 개별 노약자의 식별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일 리더기가 인식된 식별기의 식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리더기 자신의 위치정보 및 식별기의 식별시간정보를 관제기로 전송하는 단계;
    관제기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들을 취합하여 개별 식별기들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관제기가 생성한 개별 식별기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정보단말기 및 보조단말기 각각에 송신하는 단계;
    지정공간에 다수로 배치되어 설치된 정보단말기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보조단말기가 관제기로부터 개별 식별기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미리 포함된 지정공간의 맵(MAP)정보에 개별 식별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은,
    관제기가 관리자 또는 특정된 노약자의 요청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다수의 식별기를 그룹화하는 단계;
    관제기는 상기 그룹화된 다수의 식별기를 가상의 하나의 식별기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은,
    관제기가 그룹화를 이루는 다수의 식별기간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다수의 식별기간의 상호 간의 거리를 한정하여 지정된 상호 간의 거리 보다 멀어지는 경우, 정보단말기 또는 보조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KR1020090098245A 2009-10-15 2009-10-15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KR10109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245A KR101092062B1 (ko) 2009-10-15 2009-10-15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PCT/KR2009/005990 WO2011046241A1 (ko) 2009-10-15 2009-10-16 지정 공간 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245A KR101092062B1 (ko) 2009-10-15 2009-10-15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186A true KR20110041186A (ko) 2011-04-21
KR101092062B1 KR101092062B1 (ko) 2011-12-12

Family

ID=4387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245A KR101092062B1 (ko) 2009-10-15 2009-10-15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2062B1 (ko)
WO (1) WO20110462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15B1 (ko) * 2011-07-01 2013-07-03 송종문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0242A (ko) * 2019-04-12 2020-10-21 (주) 넥스트솔루션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CN112749586A (zh) * 2019-10-30 2021-05-04 厦门立达信照明有限公司 一种用户识别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60B1 (ko) 2017-02-28 2019-06-24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다기능 유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05Y1 (ko) 2004-02-10 2004-04-30 장지민 확장된 rfid를 이용한 유동 타겟의 공간내 위치검색시스템
KR20050082247A (ko) * 2004-02-18 2005-08-2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Rfid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070105806A (ko) * 2006-04-27 2007-10-31 조용균 미아 찾기 시스템
KR101033200B1 (ko) * 2006-10-20 2011-05-06 주식회사 케이티 Rfid와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체 위치 확인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6639B1 (ko) * 2007-12-06 2009-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미아 찾기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15B1 (ko) * 2011-07-01 2013-07-03 송종문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0242A (ko) * 2019-04-12 2020-10-21 (주) 넥스트솔루션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고령노인을 포함한 보호대상의 실종 방지 및 수색 관리 시스템
CN112749586A (zh) * 2019-10-30 2021-05-04 厦门立达信照明有限公司 一种用户识别方法及系统
CN112749586B (zh) * 2019-10-30 2023-08-11 厦门立达信数字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用户识别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6241A1 (ko) 2011-04-21
KR101092062B1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4684B1 (en) Beacon deployment for use with location based services (LBS)
US79241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ing notification and real-time, critical emergency information to occupants in a building or emergency designed area and evacuation guidance system to and in the emergency exit route
US9602193B1 (en) Transportation support network utilized fixed and/or dynamically deployed wireless transceivers
KR100993733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위치확인 시스템
US773785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oning emergency personnel
US200900857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 rfid reader using rfid tags
US2009003350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oning emergency personnel using rfid tags deployed at a site
CN101809600A (zh) 公共设施管理系统
CN101300504A (zh) 射频定位器系统
KR101092062B1 (ko) 지정 공간내의 노약자 위치검색 방법
Chu A RFID-based hybrid building fire evacuation system on mobile phone
KR20120044747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KR101625907B1 (ko) 어린이 안심 등하원 관리 및 알림 관제 방법
KR101334656B1 (ko) 스마트 폴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JP2008294863A (ja) 無線タグシステム
Cimellaro et al. Improving post-earthquake emergency response using indoor tracking
CN104966110A (zh) 信息统计方法、无线数据采集终端及无线信号发射装置
KR101791639B1 (ko) 비콘과 휴대 단말을 이용한 비상호출 시스템
KR100578250B1 (ko) 확장된 rfid를 이용한 유동 타겟의 공간내 위치검색시스템 및 방법
KR100957595B1 (ko) 유비쿼터스기반 어린이 보호 시스템
Applewhite What knows where you are?
KR101400492B1 (ko) 근거리 위치 추적 서비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사용자 위치 추적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806544B1 (ko)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
KR200361351Y1 (ko) 공간내 사용자 위치검색을 위한 혼합형 듀얼밴드휴대단말기
US9020526B1 (en) Extensible tra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