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544B1 -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 - Google Patents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544B1
KR101806544B1 KR1020110004290A KR20110004290A KR101806544B1 KR 101806544 B1 KR101806544 B1 KR 101806544B1 KR 1020110004290 A KR1020110004290 A KR 1020110004290A KR 20110004290 A KR20110004290 A KR 20110004290A KR 101806544 B1 KR101806544 B1 KR 101806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radio sign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789A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5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의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 등에 관한 것으로서, 양방향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메인 고정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고정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 단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경로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상기 메인 고정 단말은 서브 고정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 간 거리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메인 고정 단말 또는 외부 서버가 이동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네비게이션에 의한 정확한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METHOD FOR PROVIDING ROUTE INFORMATION,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경로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의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 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R-UWB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실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 위치 추적(Mobile Positioning, Mobile Locating) 과 같은 이동성에 기반한 기술들이 응용되고 있다. 예컨대,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던 GPS 를 카 네비게이션에 활용하거나, 셀 기반의 모바일 폰의 위치를 인식하여 사람을 찾거나 위치 기반 게임을 할 수 있다. 또한, 관심 대상이 중요한 기술 중 RFID 기술을 이용한 위치 기반 기술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인식함으로써 실시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RTLS(Real Time Locationing System)을 제공할 수 있다. RTLS 에 의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원리 중에서는 와이파이(Wi-Fi) 신호를 이용한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TOA(Time of Arrival)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a는 TDOA 에 의한 위치 인식 기술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송신기(1)에서 신호를 송출한 시간 T0와 수신기(2)에서 신호를 수신한 시간 T1을 측정하고 이들의 차를 구하여 송신기(1)와 수신기(2)간 거리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10m 내외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할 때에 측정되는 시간 차이(time difference)는 불과 30 ms 내외이기 때문에 1ms 이상의 시간 오차도 허용되어서는 안된다.
도 1b(는 TOA 에 의한 위치 인식 기술의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b를 참조하면 RFID 를 장착한 리더기(b1, b2, b3)에서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RFID 태그를 소지한 물체(A1, A2)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3개의 리더기에서 송출한 신호의 도착 시간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으로부터 물체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물체의 위치는 삼각 측량 기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각 리더기(b1, b2, b3)의 위치를 초기 단계에서 정확히 측정하여야 하고 리더기의 배치 변경 또는 추가에 의해 전체 시스템을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CES, 독일의 하노버 기술 박람회와 같은 대규모의 국제 전시회장에서도 RTLS의 기술적 차별화와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관람객과 참석 부스 업체의 정보 활용, 전시 주최자의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행사 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박람회, 전시 회장과 같은 복잡한 구조에서도 정확하고 효율적인 스마트 가이드(smart guide)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2.4 GHz 대역의 와이파이(Wi-Fi) 신호를 이용한 RTLS 시스템에서는 그 오차 범위가 10m 내외이기 때문에 좁은 구역에 배치된 각각의 부스(booth)의 위치 및 이에 따른 방문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길 안내를 제공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참석 부스들이 IR-UWB(Impulse Radio Ultra-wideband)과 같은 양방향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정 단말을 구비하고, 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 최적화한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참석 부스 업체 및 방문 관람객 간의 정보 교환을 간편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낮은 소비 전력으로 넓은 측정 범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고정 단말; 및 상기 고정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경로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단말 중 하나는 다른 고정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고정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까지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경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단말은, 경로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양방향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 및 상기 수신한 거리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정보를 음향 또는 영상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정보 제공 방법은, 경로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 신호 및 상기 수신한 거리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경로 정보를 음향 또는 영상으로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협소하고 복잡한 공간에서의 고정 부스의 위치 및 관람객의 위치 정보, 및 동선 관리를 제공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부스 및 관람객 간에 양방향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전달받음으로써 간편하게 정보를 전달하고 페이퍼 전단지로 인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RTLS 시스템의 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양방향 무선 통신, 예컨대 IR-UWB(Impulse Radio UltraWideband)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BASESTATION), 접속점(Access Point), 라우터, 게이트웨이, 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말에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고정 단말(10, 11, 12, 13..),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20)을 포함하는 시나리오1(senario1)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복수의 부스로 예시되는 고정 단말들(10, 11, 12, 13,...)로 구성된 장소에 이동 단말(20)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경로 정보를 제공받고 있다.
이동 단말(20)은 고정 단말들(10, 11, 12, 13..)간에 양방향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고정 단말(10, 11, 12, 13..)는 양방향 무선 신호, 예컨대, IR-UWB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말(10, 11, 12, 13..)은 이동 단말(20)로부터 양방향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고정 단말(10, 11, 12, 13..)은 송수신한 양방향 무선 신호에 의거하여 이동 단말(20)과 고정 단말(10, 11, 12, 13..) 간의 각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고정 단말(10, 11, 12, 13..)은 기지국(base station), 접속점(Access Point),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양방향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고정 단말 중 하나가 메인 고정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고정 단말(10)이 메인 고정 단말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메인 고정 단말(10) 이외의 고정 단말(11, 12, 13,..)은 서브 단말로 동작할 수 있다.
메인 고정 단말(10) 및 서브 고정 단말(11, 12, 13...) 공통적으로 이동 단말(20)과 양방향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이동 단말(20)간 거리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고정 단말(10)은 서브 고정 단말(11, 12, 13..)로부터 이동 단말(20)과 서브 고정 단말들 간의 거리 정보를 수신, 취합할 수 있다. 메인 고정 단말(10)은 수신한 거리 정보 및 이동 단말로부터(20)의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의 위치 정보는, 예컨대, 삼각 측량법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또한, 메인 고정 단말(10)는 이동 단말(20)의 위치 정보 및 서브 고정 단말들(11, 12, 13..)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의 경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서브 고정 단말들(11, 12, 13,...)의 위치 정보는 메인 고정 단말(10)과 서브 고정 단말들(11, 12, 13,...)간의 양방향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산출되거나, 시스템의 초기 단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동 단말(20)의 경로 정보는 이동 단말(20)이 복수의 고정 단말을 경유하기 위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시나리오1에 의한 경로 제공 시스템에서는 메인 고정 단말(10)이 해당 이동 단말(20)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이동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은 음향 또는 영상으로서 경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메인 고정 단말(10)과 이동 단말(20)간 경로 정보의 송수신은 양방향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질 수 있고, 와이파이(Wi-Fi), WLAN 등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도 행해질 수 있다. 이동 단말(20)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20)을 중심으로 하는 지도 및 지도상의 경로에 대한 영상으로서 경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 단말(20)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다른 휴대용 단말(40)에 경로 정보에 관한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영상과 관련된 음성이 전송될 수도 있다.
경로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메인 고정 단말(10)은 소정 주기 동안 서브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메인 고정 단말(10)은 실시간 측정되는 이동 단말(20)의 위치 정보에 따라 경로 정보를 재산출하여 갱신된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정보는 해당 이동 단말(20)이 특정 고정 단말을 방문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도 갱신될 수 있다.
특정 고정 단말의 방문 여부는 이동 단말(20)이 특정 고정 단말을 경유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말들 중 하나의 고정 단말과 이동 단말(20)사이의 거리 및 이동 단말(20)이 하나의 고정 단말에 소정 거리 이내에서 임계 시간 이상 체류한 경우에 기초하여, 특정 고정 단말을 경유한 경우로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고정 단말의 방문 여부는 특정 고정 단말과 이동 단말(20) 간의 데이터 송수신 이력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고정 단말이 배포하고자 하는 전자 카달로그과 이동 단말(20)에 저장된 사용자 속성 정보와 같은 전자 명함이 서로 교환되는 경우, 이동 단말(20)이 특정 고정 단말을 방문한 경우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고정 단말(10, 11, 12, 13..),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20)에 더하여 서버(30)를 더 포함하는 시나리오2로도 구성될 수 있다. 시나리오2에서는, 시나리오1에서 메인 고정 단말(10)이 이동 단말(20)의 위치 정보, 경로 정보를 산출하고 이동 단말(20)에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대비하여, 서버(30)가 경로 정보를 사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시나리오2에서의 메인 고정 단말(10)은, 서브 고정 단말들로부터의 거리 정보를 수신, 취합하여 서버(30)에 전송하는 라우터(router) 또는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할 수 있다.
서버(30)는 양방향 무선 통신 송수신기(31)를 통하여 메인 고정 단말(1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 고정 단말(10)과 통신할 수도 있다. 시나리오1의 메인 고정 단말(10)을 대신하여 서버(30)가 데이터 처리를 하고 해당 데이터를 이동 단말(20) 또는 휴대용 단말(40)에 전송하는 구성을 제외하고 시나리오2의 동작은 시나리오1의 그것과 동일하다.
도 2에서 예시되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20)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 단말과 양방향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태그(Tag), 단말(Terminal)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은 복수개의 이동 단말(20) 각각에 대한 경로 정보를 산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20)과 고정 단말(10) 간 데이터 송수신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에서 예시되는 데이터의 송수신은 복수의 고정 단말들(10, 11,...) 중 하나에 사용자가 이동 단말(20)을 구비하고 방문하였을 경우 발생될 수 있다. 고정 단말의 방문에 대해서는 전술한바 있다.
도 3에서, 예컨대, 이동 단말(20)이 복수의 고정 단말들 중 고정 단말(10)을 방문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20)은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명함(51)을 해당 고정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고정 단말(10)은 고정 단말(10)에서 배포하는 전자 카달로그(52)를 이동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명함(51)은 사용자의 이름, 주소, 직업,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이동 단말(20)을 교부받을 때 전자적 기록 매체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전자 명함(51)에 포함된 정보는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될 수도 있다. 전자 명함(51)에 포함된 정보는 갱신 또는 소멸될 수 있다.
전자 카달로그(52)는 각각의 고정 단말(10)의 고유한 식별 정보(Identification), 속성 정보(Attribute), 고정 단말(10)을 일시적으로 대여받는 사업자 정보, 해당 사업의 광고 정보와 같은 전자 카달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카달로그(52)에 포함된 정보는 전자적 기록 매체에 의해 저장되거나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전자 카달로그(52)에 포함된 정보는 갱신 또는 소멸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카달로그(52)와 전자 명함(51)의 교환은 양방향 무선 신호, 예컨대 IR-UWB 방식에 의한 신호 송수신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20)을 구비하여 전시회장을 방문한 경우를 예로 들어 시나리오2에 의한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전시회장의 입구에 접근하면 복수의 부스(booth) 각각에 설치된 고정 단말들(10, 11, ...)과 이동 단말(20)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고정 단말들(10, 11, ..)은 사용자와 각각의 고정 단말의 거리를 측정하여 메인 고정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고정 단말(10)은 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메인 고정 단말(10)과 이동 단말(20) 간의 거리도 측정하여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해당 거리 정보로부터 이동 단말(20)의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는 이동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최적으로 판단되는 경로(60)를 이동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이 디스플레이가 없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미도시)에 무선 인터넷 등의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고정 단말들은 이동 단말(20)간 거리를 실시간 측정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이를 기초로 경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말들은 각각의 고정 단말에 이동 단말(20)이 방문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전자 카달로그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동 단말(20)의 방문 여부를 서버에 통보할 수 있다. 서버는 특정 고정 단말에 이동 단말(20)이 방문한 지 여부를 수신하여 경로 정보를 갱신하거나, 이동 단말이 해당 경로를 완료하였는 지도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이 제공받은 경로를 완료하는 지는 이동 단말(20)이 전시회장에 설치된 복수의 고정 단말들을 모두 방문하였거나,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경로를 모두 경유하였는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소정 버튼, 예컨대, 안내 중지 또는 안내 종료 버튼을 선택하는 지에 따라 이동 단말이 제공받은 경로를 완료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에서 예시되는 경로 정보 제공 방법은 시나리오1에 의한 경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메인 고정 단말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단계(S11)에서, 서브 고정 단말들로부터 이동 단말간 거리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은 양방향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고정 단말과 이동 단말간 거리도 측정할 수 있다.
단계(S12)에서, 메인 고정 단말은 서브 고정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거리 정보를 취합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예컨대 삼각측량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단계(S13)에서, 메인 고정 단말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 정보를 산출한다. 경로 정보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방문한 고정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경로 정보일 수 있다. 경로 정보는 경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전시회장의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4)에서, 이동 단말이 특정 고정 단말을 방문 또는 경유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방문 여부에 관한 정보는 방문한 특정 고정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단계(S15)에서, 특정 고정 단말을 방문하였을 경우 해당 단말을 방문 지점 또는 방문 고정 단말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방문한 특정 고정 단말과 이동 단말간에는 전자 명함 또는 전자 카달로그와 같은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단계(S16)에서 이동 단말(20)의 복수의 고정 단말 모두에 대한 방문을 완료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또는 이동 단말(20)이 제공받은 경로를 모두 경유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방문 완료 또는 경로를 모두 경유하였을 때 경로 제공 방법을 종료한다.
단계(S16)에서 방문을 완료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고정 단말들로부터 거리 정보를 수신,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 경로 정보를 계속적으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에서 설명되는 고정 단말은 시나리오1의 경로 제공 시스템에 의한 메인 고정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단말은 양방향 통신부(110), 제어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부터 양방향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에 양방향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통신부(110)는 다른 고정 단말로부터 이동 단말간 거리에 관한 정보도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무선 신호는 예컨대 IR-UWB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가능한,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쓰(Bluetooth) 및 WL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무선 신호 및 상기 수신한 거리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경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서버에 상기 수신한 거리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시나리오1에 의한 고정 단말에서는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고정 단말과 이동 단말간 전자 카달로그와 사용자 속성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 속성 정보,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동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도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외부 서버와의 접속 정보, 이동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무선 프로토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기지국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로 제공 방법에 따르면, 협소하고 복잡한 실내 전시 환경에서의 실내 네비게이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제공 방법 및 기지국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로 제공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폰 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상에서 실행될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11, 12, 13 : 고정 단말
20 : 이동 단말
30 : 서버
40 : 휴대용 단말

Claims (17)

  1.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인 고정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고정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 단말; 및
    상기 메인 고정 단말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경로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고정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고정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까지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은 상기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고정 단말은 상기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에 송신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이 상기 복수의 고정 단말을 경유하기 위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IR-UWB(Impulse Radio Ultra-wideband) 신호인 경로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이 상기 복수의 고정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을 경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이 방문 지점으로서 저장되는 경로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은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 단말은 상기 복수의 고정 단말 각각에서 송신하는 전자 카달로그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을 경유하는 경우,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의 전자 카달로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
  8. 경로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신호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를 경유하기 위한 경로를 포함하는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IR-UWB신호인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를 경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를 방문 지점으로서 저장하고 상기 경로 정보를 갱신하는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 각각에서 송신하는 전자 카달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은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이 고정 단말을 경유하는 경우,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전자 카달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말.
  13. 경로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를 경유하기 위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IR-UWB 신호인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를 경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를 방문 지점으로서 저장하고, 상기 경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 각각에서 송신하는 전자 카달로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를 경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의 전자 카달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정보 제공 방법.
KR1020110004290A 2011-01-14 2011-01-14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 KR101806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90A KR101806544B1 (ko) 2011-01-14 2011-01-14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90A KR101806544B1 (ko) 2011-01-14 2011-01-14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789A KR20120082789A (ko) 2012-07-24
KR101806544B1 true KR101806544B1 (ko) 2017-12-07

Family

ID=4671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290A KR101806544B1 (ko) 2011-01-14 2011-01-14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4865B (zh) * 2015-06-01 2017-09-22 济南大学 一种面向室内行人导航的ahrs/uwb无缝组合导航方法
KR102644559B1 (ko) * 2023-06-26 2024-03-08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Uwb 기반의 음성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도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는 음성안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789A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4244B2 (en) Determining a location or position using information from multiple location and position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using such a determined location or position
US9277524B2 (en) Cooperative local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750380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11555B1 (ko)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객체 위치 인식 장치 및그 방법
US20140324590A1 (en) Location guid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994785A2 (en) System and methods for direction finding using a handheld device
CN102711035A (zh) 改进的设备位置检测
KR101600190B1 (ko) 환경 변수를 고려한 실내 측위 장치 및 그 방법
CN115361040A (zh) 一种nfc应用的调用方法、电子设备及nfc装置
KR20130056738A (ko)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위치 정보 획득 및 처리 방법과 그 장치
Jain et al. A study on Indoor navigation techniques using smartphones
KR20160090199A (ko) 무선 신호를 이용한 실내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704777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806544B1 (ko)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
JP2018125572A (ja) 位置検知システム、そのサーバ装置、携帯端末
CN104457765A (zh) 定位方法、电子设备和服务器
KR101809444B1 (ko) 위치추적 기반의 전시관 정보 제공 시스템
Bahillo et al. WAY: seamless positioning using a smart device
KR20150044572A (ko)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7838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9232203A (ja) 位置誘導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携帯電話端末およびルート情報配信サーバ
KR10113614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KR20160113898A (ko)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005339A (ko)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194801A (ja) 端末位置情報の統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