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777B1 -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777B1
KR100704777B1 KR1020050049250A KR20050049250A KR100704777B1 KR 100704777 B1 KR100704777 B1 KR 100704777B1 KR 1020050049250 A KR1020050049250 A KR 1020050049250A KR 20050049250 A KR20050049250 A KR 20050049250A KR 100704777 B1 KR100704777 B1 KR 100704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based information
us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916A (ko
Inventor
이득우
권광석
임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스티
Priority to KR102005004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777B1/ko
Publication of KR2006013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4W4/185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by embedding added-value information into content, e.g. geo-ta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3차원 공간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정보 등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및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3차원 공간상의 위치에 설치되는 무선태그로부터 고유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정보 등의 위치기반정보가 사용자에게 출력되도록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3차원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정밀한 위치 파악 및 그에 따른 정보제공이 가능하고, GPS 음영 지역인 지하공간 및 실내에서도 저렴한 인프라 구성으로 위치측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3차원 위치, 지도정보, 무선태그, 공간정보, 위치기반서비스, 3차원지도

Description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using wireless tag and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지도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위치기반정보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의 사용자가 위치를 획득하고, 그에 기반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 및 정보통신의 발달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지도를 보여주는 등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분야에 네비게이션 서비스나 사용자의 위치를 관제하고 추적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등이 활 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등은 일반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정보를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정보 중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도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GPS를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정밀한 위치 추적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오차가 크므로 작은 공간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정밀하게 추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은 평면적인, 즉 2차원적인 추적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층 빌딩에 있는 경우와 같이 3차원적인 추적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지하공간이나 건물의 실내공간과 같은 다수의 음영지역에서는 위치정보를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정밀한 3차원 위치정보 획득 및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정밀한 3차원 위치정보 획득 및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태그로부터 상기 무선태그 고유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부;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되는 위치기반정보저장부; 식별정보와 상기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식별정보저장부;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기반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위치기반정보추출부; 및 상기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위치기반정보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선택된 지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임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정보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역정보에 기초하는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에서의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태그로부 터 상기 무선태그 고유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선택된 지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지역정보에 기초하는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 또는 도로 등에는 소정의 위치마다 무선태그(200-1, 200-2; 이하 '2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태그란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무선통신을 통하여 이 식별정보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모든 장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무선태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수동형 RF 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가 있다.
수동형 RF ID 태그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전원을 이용하여 태그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수동형 RF ID 태그 기술이 이용되는 예로는 교통카드 등이 있으며, 이 기술은 이미 실용화되어 널리 알려진 기술의 하나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수동형 RF ID 태그 외에도 능동형 RF ID 태그도 사용이 가능하다. 능동형 RF ID 태그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보유하여 무선신호의 수신 없이도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동형 RF ID 태그와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무선 태그로는 상기한 RF ID 태그 외에도 무선으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태그가 포함된다. 통신 방식도 RF ID 태그에서와 같은 방식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무선랜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태그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능동형 무선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그 신호의 세기가 강해서 한 장소에서 복수개의 무선태그가 송출하는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가 많아서 정확한 위치판단을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 있고, 또한 일반적으로 수동형 무선 태그의 경우 능동형 무선 태그의 경우보다 저렴하므로 수동형 무선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무선태그(200)로부터 그 무선태그의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소정 거리(201-1, 201-2) 내에 들어서면,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는 무선태그(200)로부터 그 무선태그의 고유의 식별정보를 전송받는다.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에는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전송받은 무선태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기반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위치기반정보에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의 지도정보, 위치와 관련한 각종 공지사항,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과 관련되는 각종 광고,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과 관련되는 각종 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지도정보, 각종 공지사항, 광고, 뉴스 등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위치기반정보의 종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지도정보만이 전송될 수도 있고, 지도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한 광고 등이 지도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OO백화점에 있는 경우, 매장2의 신청을 받아 '전품목 40% 세일'이라는 광고문구가 출력되는 지도상에 표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앞의 예에서는 제공되는 대표적인 예로, 지도정보를 들었지만, 지도정보의 제공없이 다른 위치기반정보, 예를 들어 지도정보에 포함되는 건물명, 도로명, 건물 내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층의 위치, 상점, 매장 등의 이름, 판매되는 물건의 종류 등의 지도의 속성정보만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 부근의 상점 또는 매장의 광고정보가 지도정보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위치기반정보로 제공되는 지도정보는 2차원 지도정보일 수도 있고, 3차원 지도정보일 수도 있으며, 양자가 모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특정 건물 내에만 적용되어질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거리, 도로 상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백화점, 대형 매장 등 특정 건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 내에 저장되는 위치기반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에 설치되는 메모리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또한 저장되는 매장 위치의 변화, 새로운 광고, 매장 공지사항 등 그때그때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정보들을 매장주 등이 직접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더욱 유용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는 대형 매장의 쇼핑용 카트 등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고객에게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매장의 위치를 찾아 헤매야 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치된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확인 및 지도정보 등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하고, 무선태그의 3차원 위치정보가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을 통해서는 하기 어려운 3차원적인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2의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는 무선신호송신부(110), 식별정보수신부(120), 식별정보저장부(130),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 임시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는 하나의 독립된 시스템일 수도 있으며,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 무선통신기능이 있는 무선통신장치와 연결되거나, 이러한 무선통신장치 내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장치의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무선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2의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가 독립된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신호의 송수신이나 위치기반정보의 출력은 자체적으로 보유한 송수신수단 및 화면출력수단 등을 이용하여 수행되지만, 도 2의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가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에 연결되어 사용되거나, 휴대폰이나 노트북 등에 내장되는 형식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휴대폰, 노트북 등 연결되어 사용되는 무선통신장치에서 지원하는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식별정보를 받으며, 무선통신장치의 화면을 통하여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가 무선태그에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무선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는 표현 및 위치기반정보를 출력한다는 표현은 특별한 언급이 없어도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자체에 무선통신기능 및 화면출력기능이 있어서 직접 상기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와 연결된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의미로도 통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무선신호송신부(110)는 무선태그로 사용되는 태그가 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해 무선신호의 수신이 필요한 수동형 태그인 경우에 필요한 구성요소로서, 무선태그(200)가 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무선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무선신호의 송신은 항상 또는 소정의 주기 간격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무선신호의 송신을 요청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무선신호의 송신이 사용자가 요청할 때에만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새로운 위치기반정보를 보고 싶을 때만 무선신호의 송신을 지시할 수 있으며, 무선신호송신부(110)는 그 경우에만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 설치된 무선태그로부터 식별정보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는 경우,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의 전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RF ID 태그를 이용한 통신의 통신가능거리는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며, 고주파일수록 좀 더 긴 거리를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무선신호송신부(110)에서 무선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설치된 무선태그(200)의 간격에 따라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식별정보수신부(120)는 무선태그(200)로부터 무선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태그 고유의 식별정보가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발생된 전원을 이용하여(수동형 태그의 경우), 또는 자체 보유한 전원을 이용하여(능동형 태그의 경우) 송신되는 경우 이를 수신한다.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무선태그로부터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정해진 방법에 따라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를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 설치된 무선태그의 식별정보인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식별정보가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가장 세기가 강한 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서비스되는 지역의 지도정보 등의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되는 지도정보에는 단순히 거리의 지형, 건물 내의 복도 등의 단순 정보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치한 곳이 백화점인 경우 매장의 이름, 판매되는 물품의 종류 등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지도에 표시되는 매장 등의 신청을 받아 그 매장의 광고 정보가 지도정보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는 점은 이미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매장 등 지도상에 표시되는 각종 업체의 업주들로부터 소정의 요금을 받고 광고신청을 받아 이 광고정보가 출력되는 지도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주는 경우, 지도 제작, 시스템 운영 등에 관한 경비를 자체적으로 충당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에게는 별도의 요금을 부과하지 않아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지도정보 외의 다른 위치기반정보만이 저장될 수 있음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저장되는 지도정보로는 2차원 지도정보가 이용될 수도 있고, 3차원 지도정보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양자가 다 저장되어질 수 있다.
식별정보저장부(130)는 각 무선태그(200)의 식별정보 및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에서 그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메모리 상의 주소정보)가 저장된다.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는 수신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식별정보저장부(130)에서 그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주소정보)를 추출하고,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에서 그 위치정보(주소정보)에 기해 출력될 위치기반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되는 지도정보는 반드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에 설치된 무선태그가 중심이 되는 화면일 필요는 없으며, 단지 출력되는 화면에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에 설치된 무선태그가 포함되기만 하면 된다.
출력될 위치기반정보에 지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출력될 지도정보가 2차원 지도정보인지 3차원 지도정보인지가 프로그램의 설정에 의하여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종류가 특정되는 경우에는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는 이에 따라 선택되는 지도정보를 추출한다.
프로그램 설정에 의하여 지도정보가 선태되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등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3차원 지도정보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2차원 지도정보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식별정보저장부(130)와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를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두고, 식별정보저장부(130)에서 해당되는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검색하여, 검색된 주소에서 해당되는 위치기반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위치기반정보를 추출되는 예를 들었으나, 식별정보저장부(130) 없이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 내에 식별정보 및 그에 해당되는 위치기반정보가 일대일 대응이 되도록 저장하여 둘 수도 있다.
즉, 어느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그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전송될 위치기반정보가 일대일 대응이 되도록 매칭이 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인접한 무선태그에 해당되는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지도정보 등이 중복이 되어 저장되므로 저장되는 데이터 양이 많아진다는 단점은 있으나, 어느 특정한 건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와 같이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시스템이 보다 간단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는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에 추출된 위치기반정보가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위치기반정보가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출력되는 지도정보는 2차원 지도정보일 수도 있으며, 3차원 지도정보일 수도 있으며, 양자를 다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에 2차원 지도정보와 3차원 지도정보가 모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용자가 현재 있는 층의 위치를 중심으로 평면도를 나타내는 2차원 지도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고, 전체 건물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3차원 지도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혹은 출력되는 화면을 분할하여 일부 화면에서는 3차원 지도정보가 출력되고, 일부 화면에서는 2차원 지도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도정보가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에 의해 출력되는 경우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는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수단(미도시)의 조작에 의하여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의 확대, 축소, 또는 이동 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도정보를 추출한다.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는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임시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지역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임시저장부(170)를 설명하면서 보충한다.
임시저장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선택된 지역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되는 지역정보란 사용자가 지정한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지역정보의 예로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역에 위치한 무선태그의 식별정보, 주차장의 구획번호, 특정 매장의 매장이름, 아파트의 동 호수와 같은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 등일 수도 있으며, 단순히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가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일 수도 있다.
지역정보의 선택을 입력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그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이 현재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에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키를 누름으로써 현재 수신되는 식별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지도를 확대, 축소, 이동 등의 작업을 수행한 후 출력되는 지도상에서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는 방법 등으로 선택된 지역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출력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는 방법은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의 출력화면을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상의 커서를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키 입력 또는 화면 중에 문자인식을 할 수 있는 부분에 직접 필기를 함으로써 특정지역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지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주차장의 구획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특정지역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임시로 저장되는 지역정보가 선택되도록 시스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무선태그가 설치되는 지역에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특정지역의 정보(예: '주차 제20구역' 등)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보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특정지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 내의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나 식별정보저장부(130) 등에 저장되어 있어서, 이 입력받은 특정지역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에 해당하는 지도정보 등의 위치기반정보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임시저장부(170)에 저장된 지역정보는 후에 사용자가 그 지역정보에 기초한 지도정보 등의 위치기반정보를 원하는 경우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에 의해 그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는데 이용된다.
임시저장부(170)에 저장된 지역정보가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서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된 위치인 위치정보(주소정보)인 경우,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는 단순히 그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가 위치기반정보를 추출하도록 하여 추출된 위치기반정보를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면 된다.
임시저장부(170)에 저장된 지역정보가 무선태그의 식별정보, 특정지역정보 등인 경우,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는 그 식별정보 등을 이용하여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에서 해당되는 지역의 지도정보 등의 위치기반정보가 추출되도록 하여 추출된 위치기반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임시로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자신이 주차한 위치,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위치 등 사용자가 다시 그 위치로 돌아오기를 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따라서, 임시저장부(170)에 저장된 지역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공되는 위치기반정보는 지도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는 단순히 지도정보만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임시저장부(170)에 저장한 지역정보에 의한 위치까지의 길안내를 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길안내를 하도록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지도가 출력되도록 하고 그 지도상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길을 찾기 위해 향해야 하는 방향 등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지도의 출력없이 단순히 사용자가 향해야 하는 방향, 향해야 하는 방향에 위치한 매장정보 등만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GPS를 이용한 일반적인 길안내 프로그램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의 무선신호송신부(110)는 무선태그(200)가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무선신호를 송신한다(401). 이 단계는 사용되는 무선 태그가 수동형 태그인 경우에만 포함되는 단계이다. 무선신호가 항상 또는 소정의 주기간격으로 송신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에만 송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식별정보수신부(120)는 새로운 식별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식별정보를 수신한다(402).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는 수신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식별정보저장부(130)에서 그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주소정보)를 추출하고,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에서 그 위치정보(주소정보)에 기해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에 전송할 지도정보 등의 위치기반정보를 추출한다(403).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100)가 식별정보저장부(130) 없이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 내에 식별정보 및 그에 해당되는 위치기반정보가 일대일 대응이 되도록 저장되어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는 경우, 위치기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403)에서는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가 수신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위치기반정보저장부(140)를 검색하여 전송될 위치기반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는 추출된 위치기반정보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404).
한편, 사용자가 자신이 주차한 위치, 특정 상품을 파는 매장의 위치 등 특정한 위치를 기억하고자 하는 등의 이유로 지역정보의 저장을 입력하면(405),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대한 지역정보가 임시저장부(170)에 저장된다(406).
여기서, 저장되는 지역정보란 사용자가 지정한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정한 지역에 위치한 무선태그의 식별정보 또는 주차장의 구획번호와 같은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 등일 수도 있으며, 단순히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가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일 수도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지역정보의 선택을 입력하는 방법도 키입력, 화면상에서의 위치의 특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그 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없음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가 임시저장부(170)에 저장된 지역정보에 기반한 위치기반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면(407),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는 이를 출력한다(408).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는 임시저장부(170)에 저장된 지역정보가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서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된 위치인 위치정보(주소정보)인 경우, 단순히 그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가 위치기반정보를 추출하도록 하여 추출된 위치기반정보를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고, 지역정보가 무선태그의 식별정보 등인 경우 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위치기반정보추출부(150)에서 해당되는 지역의 지도정보 등의 위치기반정보가 추출되도록 하여 추출된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위치기반정보출력부(160)는 단순히 지도정보만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임시저장부(170)에 저장한 지역정보에 의한 위치까지의 길안내를 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음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정밀한 위치 파악 및 그에 따른 정보제공이 가능하고, GPS 음영 지역인 지하공간 및 실내에서도 저렴한 인프라 구성으로 위치측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3)

  1.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인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태그로부터 상기 무선태그 고유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수신부;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되는 위치기반정보저장부;
    식별정보와 상기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식별정보저장부;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기반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위치기반정보추출부; 및
    상기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위치기반정보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선택된 지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임시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기반정보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역정보에 기초하는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되는 지역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태그의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되는 지역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가 상기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서 저장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정보에 기초하는 위치기반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으로의 길안내를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는
    상기 무선태그에서 전원을 발생하는데 이용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는 2차원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는 3차원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는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는 지도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는 쇼핑용 카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
  13.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인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단말기에서의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태그로부터 상기 무선태그 고유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무선태그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선택된 지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지역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지역정보에 기초하는 위치기반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되는 지역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태그의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되는 지역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의 위치기반정보가 상기 위치기반정보저장부에서 저장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정보에 기초하는 위치기반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으로의 길안내를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은
    상기 무선태그에서 전원을 발생하는데 이용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는 2차원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는 3차원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는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정보는 지도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23.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49250A 2005-06-09 2005-06-09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단말기 KR10070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250A KR100704777B1 (ko) 2005-06-09 2005-06-09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250A KR100704777B1 (ko) 2005-06-09 2005-06-09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916A KR20060130916A (ko) 2006-12-20
KR100704777B1 true KR100704777B1 (ko) 2007-04-09

Family

ID=3781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250A KR100704777B1 (ko) 2005-06-09 2005-06-09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122A2 (ko) * 2010-08-30 2012-03-08 엔에이치엔비지니스플랫폼 주식회사 Ip 주소에 대한 지역 정보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475078B1 (ko) 2008-06-20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296B1 (ko) * 2007-11-15 2009-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정보 산출 장치 및 방법
PL2691331T3 (pl) * 2011-03-29 2015-06-30 Inventio Ag Kierowanie użytkownika za pomocą mobilnych urządzeń elektronicznych
KR101413605B1 (ko) * 2012-11-23 2014-07-0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098699B1 (ko) * 2013-05-31 2020-04-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604367B1 (ko) * 2021-04-29 2023-11-23 주식회사 유토비즈 확장현실을 포함한 가상현실 공간 서비스를 위한 고정밀 위치 움직임 획득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385A (ja) 2000-05-29 2001-12-07 Lintec Corp 位置処理システム
JP2004212074A (ja) 2002-12-27 2004-07-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案内システム
KR20050027291A (ko) * 2003-09-15 2005-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밀 측위응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4579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주파수 식별 코드의 구조, 이를 이용한 텔레매틱스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60024552A (ko) * 2004-09-14 2006-03-17 주식회사 팬택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위치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385A (ja) 2000-05-29 2001-12-07 Lintec Corp 位置処理システム
JP2004212074A (ja) 2002-12-27 2004-07-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案内システム
KR20050027291A (ko) * 2003-09-15 2005-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밀 측위응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4579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주파수 식별 코드의 구조, 이를 이용한 텔레매틱스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60024552A (ko) * 2004-09-14 2006-03-17 주식회사 팬택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위치 추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78B1 (ko) 2008-06-20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WO2012030122A2 (ko) * 2010-08-30 2012-03-08 엔에이치엔비지니스플랫폼 주식회사 Ip 주소에 대한 지역 정보 결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2030122A3 (ko) * 2010-08-30 2012-05-31 엔에이치엔비지니스플랫폼 주식회사 Ip 주소에 대한 지역 정보 결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916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380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104700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updating waypoint information in real time
US8896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updating real time navigation waypoint
JP4763810B2 (ja) 携帯装置を用いた方向探知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491584B1 (en) Hospitality venue navigation, guide, and local based services applications utilizing RF beacons
TWI391632B (zh) 利用識別標籤之定位導航系統與應用於其上之定位導航方法
CN102576063B (zh) Rfid定位系统
KR100704777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단말기
CN102054026A (zh) 一种旅游信息服务系统
CN104221404A (zh) 用户终端设备和使用其的信息提供方法
KR10076612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파악시스템 및 그 방법
JP5534761B2 (ja) 案内連動広告システム
TW589856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sending/receiving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KR20160015414A (ko) 단말과 서버,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340199B1 (ko) 위치정보와 지리정보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KR101135447B1 (ko) 휴대 단말의 부가 정보 서비스 장치와 방법 및 그 기록매체와 부가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350808A1 (en) Retail promotion system based on physical proximity entry and reward
JP5522876B1 (ja) 情報処理方法、携帯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870787B1 (ko) 위치추정을 통한 최적경로 안내방법 및 그 장치
KR101806544B1 (ko) 경로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시스템 및 단말
CN202134158U (zh) 一种旅游信息服务系统
JP5247743B2 (ja) 動線調査支援システム
KR102098699B1 (ko) 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JP2007109144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Upadhyaya Need Of NFC technology for helping blind and short come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