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047A -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047A
KR20200120047A KR1020190042423A KR20190042423A KR20200120047A KR 20200120047 A KR20200120047 A KR 20200120047A KR 1020190042423 A KR1020190042423 A KR 1020190042423A KR 20190042423 A KR20190042423 A KR 20190042423A KR 20200120047 A KR20200120047 A KR 20200120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reinforcing bar
housing
key unit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905B1 (ko
Inventor
장성만
Original Assignee
현대금속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금속산업(주) filed Critical 현대금속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42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90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철근의 양 단부의 끝단이 삽입시켜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진동, 충격등에 의한 풀림과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속력을 가지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Steel Connecting coupler}
본 발명은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철근의 양 단부의 끝단을 삽입시켜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진동, 충격등에 의한 풀림과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속력을 가지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설현장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철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 및 길이(높이)에 따라 배열되는 형태 및 개수가 결정된다.
이러한 철근은 일정한 길이 및 직경을 가지는 규격화된 제품으로, 다수개가 하나의 묶음으로 공급되며,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길이 또는 높이에 맞춰 절단하여 다수의 철근을 철사 등을 이용하여 묶어서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철사 고정방식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결합된 철근의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철사에 의해 결속된 부위가 약하기 때문에 결합된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작업이 어렵고 위험상황이 발생하며, 많은 인원이 필요한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철근 이음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이음결합되는 양 철근에 한 쌍의 절개편을 결합하여 이를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이음커플러와 결합커플러의 테이퍼공 내주연에 내입시켜 이음커플러와 결합커플러가 나사 체결되면서 양 철근의 단부를 밀착되도록 하여 이음 결합시킨 철근이 흔들림 없이 이음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철근의 압축 및 굽힘 대한 강성을 향상시켜 콘크리트구조물의 정하중 및 동하중에 대한 변형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양 철근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함에 따라 양 철근을 연결작업이 어려우며, 사전 작업이 필요하여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철근이 정중앙에 배치되지 않아 철근의 하중, 흔들림 등이 발생하여 용이하게 결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1183호(2003.07.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에서 하중 및 흔들림 등에 어려움 없이 삽입하는 간편한 방식을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며, 연결된 철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음부분에서 철근의 흔들림 및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의 경사면과 테이퍼를 통해 탄성력에 의해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되며,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삽입되는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입부분이 확장되며, 철근이 삽입된 후 용이하게 밀착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 및 제작이 편리한 구조로 설계하여 순차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조립이 용이하고, 내부 구조가 견고하여 철근의 하중에 의한 이탈 및 유격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이종철근의 규격에 맞춰 조립이 이루어져 용도 및 목적에 맞게 이종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서 철근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중공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중앙부분을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을 고정하는 키유닛; 상기 구획판과 상기 키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키유닛에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중공의 일면이 개방된 결합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몸체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과 연결되는 인입공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구획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을 지나 타면방향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가 구비되며, 상기 인입공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판은 "ㄷ" 단면의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중공을 구획하며, 양측면에 상기 탄성부재가 밀착되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의 외면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공에 지지되는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유닛은, 상기 중공에 밀착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철근을 삽입 고정하는 내입공이 형성되되, 하나 이상의 절개홈을 통해 다수개로 분할된 절편과, 상기 절편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분할된 다수개의 상기 절편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연결하는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따르면, 양측에서 하중 및 흔들림 등에 어려움 없이 삽입하는 삽입 동작의 간편한 방식을 통해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며, 연결된 철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음부분에서 철근의 흔들림 및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장부재를 통해 키유닛의 입구부분을 확장시켜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되며, 철근이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키유닛을 테이퍼에 의해 수축시켜 용이하게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며,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 및 제작이 편리하도록 각각의 구성을 설계하여 이를 순차적인 조립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철근을 삽입 고정시켜 하중, 충격 등에 의한 이탈 및 유격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조립시 키유닛의 규격을 변경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철근을 연결할 수 있어 용도 및 목적에 맞춰 단일 규격의 철근 또는 이종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의 구획된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 위치, 용도 등에 따라 설치 중 또는 설치 전 규격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철근의 양 단부의 끝단이 삽입시켜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진동, 충격 등에 의한 풀림과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속력을 가지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두 철근의 양 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10), 구획판(20), 키유닛(30) 및 탄성부재(40)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양측에서 철근(100)이 삽입되는 중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중공(13)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중앙부분을 구획한다.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구획판(2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0)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100)을 고정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구획판(20)과 상기 키유닛(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키유닛(30)에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즉,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구획판(2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상기 키유닛(30)과 상기 탄성부재(40)가 배치되어 양측에서 삽입된 각각의 상기 철근(100)을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구획판(20), 상기 키유닛(30) 및 상기 탄성부재(40)가 배치되도록 하우징(11)과 커버(1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중공(13)의 일면이 개방된 결합공(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는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결합공(14)에 결합되는 결합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13)과 연결되는 인입공(15)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1)은 일정한 길이방향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13)이 형성된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공(14)이 형성된 일면에 접촉되는 상기 중공(13)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12)의 상기 결합부(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13)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인입공(15)은 철근이 삽입되어 상기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공(13)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구획판(20)이 안착되는 안착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6)을 지나 타면방향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T)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16)은 상기 결합공(14)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하우징(11)의 가공시, 내부에 돌출되는 부분없이 상기 중공(13)을 가지는 파이프형상으로 금형, 사출, 주물, 성형 등의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형상을 구현화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공(13)은 내부로 돌출된 별도의 구성이 없어 규격 변경이 용이하며, 사용량에 맞춰 소량생산 및 대량생산으로 제작 시 다양한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비용 및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의 상기 인입공(15)은 상기 하우징(11)에 삽입되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T)가 구비된다.
즉, 상기 중공(13) 및 상기 인입공(15)은 상기 본체(10)의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T)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테이퍼(T)는 상기 키유닛(30)이 상기 본체(10)의 중심으로 이동하며, 외측으로 이동시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철근(1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공(13)과 상기 인입공(15)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져, 양측에서 삽입되는 상기 철근(100)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에 상기 철근(100)이 삽입되면, 상기 인입공(15)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100)은 상기 하우징(11)에 삽입된 상기 철근(100)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기 철근(100)이 삽입가능하다.
즉, 양측은 서로 다른 직경 및 규격을 가지는 이종철근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후술되는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철근(100)의 규격에 따라 상기 하우징(11) 내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철근(100)의 직경 및 사용 위치에 따라 상기 하우징(11) 내부의 구획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상기 철근(100)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하우징(11)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여 구획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판(20)은 "ㄷ" 단면의 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11)의 중공을 구획하며, 양측면에 상기 탄성부재(40)가 밀착되는 구획부재(21)와, 상기 구획부재(21)의 외면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공(13)에 지지되는 안착부재(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안착홈(16)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커버(12)의 조립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판(20)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상기 안착홈(16)에 밀착되는 밀착부(23)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6)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16)의 깊이 및 형상에 따라 상기 하우징(11)의 중앙부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판(2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밀착부(23)를 통해 고정되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6)이 상기 결합공(14)의 나사산 내측부터 중앙부분까지 형성된 경우, 상기 구획판(20)은 "ㄷ" 단면의 상기 구획부재(21)의 외면에 밀착부(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23)는 상기 구획부재(21)의 외면의 테두리 부분으로써 상기 안착홈(16)의 단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안착홈(16)에 상기 구획판(20)을 삽입한 후 상기 커버(12)를 통해 결합하면, 상기 구획부재(21)의 상기 밀착부(23)가 상기 안착홈(16)의 단부(16a)에 밀착되고, 상기 안착부재(22)는 상기 커버(12)의 결합부(12)의 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안착부재(22)는 상기 안착홈(16)의 길이에 맞춰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12)의 조립시 양단이 각각 밀착되어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6)은 상기 결합공(14)의 나사산 내측에 단부로 형성된 경우, 상기 구획판(20)은 "ㄷ" 단면의 상기 안착부재(22)의 끝단의 테두리부분에서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밀착부(23)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밀착부(23)는 상기 안착부재(22)의 상기 구획부재(21)가 위치한 반대편의 끝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돌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안착홈(16)의 단부에 상기 밀착부(23)가 밀착되면,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12)를 결합하여 상기 밀착부(23)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구획부재(21)는 상기 안착부재(22)의 길이에 따라 중앙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커버(12)의 조립시 상기 밀착부(23)의 양단이 밀착되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안착부재(22)의 길이에 따라 상기 구획부재(21)를 상기 하우징(11)의 중앙 또는 양측방향 중 어느 한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판(20)의 상기 안착부재(22)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부 중 선택되는 위치를 구획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하며,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상기 구획부재(21)가 상기 하우징(11)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는, 골조를 이루는 상기 철근(100)의 용도, 구성 등에 따라 상기 철근(10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의 구획되는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본체(10)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100)의 위치, 직경 및 용도에 따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6) 또는 상기 안착부재(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구획부재(21)가 상기 하우징(11)내의 중앙 또는 한쪽으로 치우치게 설치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하우징(11)에 삽입되어 상기 철근(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중공(13)에 밀착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철근(100)을 삽입 고정하는 내입공(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입공(31)은 상기 철근(100)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모깍기 등의 가공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키유닛(30)은 하나 이상의 절개홈(33)을 통해 다수개로 분할된 절편(32)과, 상기 절편(3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분할된 다수개의 절편(32)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연결하는 브릿지(3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키유닛(30)은 다수개의 상기 절편(32)이 상기 브릿지(34)를 통해 연결하여 원통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내입공(31)이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내입공(31)에는 상기 철근(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1a)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절개홈(33)을 통해 3개의 상기 절편(32)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할된 상기 절편(32)은 동심원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원형상을 가지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브릿지(34)는 상기 키유닛(30)에 삽입된 상기 철근(100)이 노출되는 타면에서 돌출되어 분할된 상기 절편(32)을 연결하며, 3개의 상기 절개홈(33)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개방공(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공(35)은 상기 절편(32)이 상기 중공(13)의 테이퍼(T)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내입공(31)이 수축하여 상기 철근(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34)는 상기 절편(32)을 지지하되, 탄성력에 의해 확장 또는 수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키유닛(30)의 외주면은 상기 철근(100)이 삽입되는 일면에서 타면방향으로 확장되는 테이퍼(T)가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테이퍼(T)는 상기 중공에 형성된 테이퍼(T)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키유닛(30)의 테이퍼(T)는 상기 중공(13)에 형성된 테이퍼(T)와 밀착되어 상기 키유닛(30)이 상기 중공(13)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확장 또는 수축된다.
그리고 상기 키유닛(30)의 상기 내입공(31)에는 상기 키유닛(30)을 확장시키는 확장부재(36)가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확장부재(36)는 삽입되는 상기 철근(100)과 동일 또는 약간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근(100)이 삽입되는 상기 키유닛(30)의 일측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부재(36)는 상기 키유닛(30)에 상기 철근(10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키유닛(30)의 일측을 확장시키며, 상기 키유닛(30)이 확장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상기 철근(10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로 이탈되어 상기 철근(100)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확장부재(36)에 의해 일측이 확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일정부분 이동하여 상기 철근(100)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키유닛(30)을 상기 중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탄성부재(40)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으로써, 일단이 상기 구획부재(21)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키유닛(30)의 타면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키유닛(30)을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탄성력을 발생한다.
아룰러 상기 탄성부재(40)는 내측에 상기 철근(100)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철근(100)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조립상태 및 고정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커버(12)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10) 내에 상기 구획판(20), 상기 키유닛(30) 및 상기 탄성부재(40)를 끼워 결합한다.
즉, 상기 하우징(11)의 개방된 상기 결합공(14)을 통해 상기 키유닛(30)을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철근(100)이 삽입되는 방향에 맞춰 키유닛의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중공(13)의 테이퍼(T)와 상기 키유닛(30)이 테이퍼(T)가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를 삽입하여 상기 키유닛(30)의 타면에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안착홈(16)에 상기 구획판(20)을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분을 기점으로 양측을 구획한다.
이때, 상기 구획판(20)에 의해 삽입된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획판(20)을 통해 상기 하우징(11)의 중앙이 구획된 상태에서 반대편에 상기 탄성부재(40)와 상기 키유닛(30)의 동일한 구성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며,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철근(100)이 삽입되는 방향에 맞춰 배치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우징(11)에 상기 커버(12)를 결합하여 내부에 삽입된 상기 구획판(20), 상기 키유닛(30) 및 상기 탄성부재(4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12)를 상기 하우징(11)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커버(12)에 측에 위치하는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커버(12)의 상기 인입공(15)에 형성된 테이퍼(T)에 상기 키유닛(30) 외면의 테이퍼(T)가 밀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구획판(20)에서 상기 탄성부재(4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상기 키유닛(30)은 외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내입공(31)의 직경이 수축된다.
이때, 상기 내입공(31)에는 상기 확장부재(36)을 결합하여 상기 내입공(31)이 일정 직경 이하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확장부재(36)는 상기 철근(1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되, 상기 철근(100)이 상기 내입공(3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직경을 유지하며, 상기 하우징(11)에서 탄성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상기 구획판(20), 상기 키유닛(30) 및 상기 탄성부재(40)를 결합한 상태에서 양측에 상기 철근(100)을 삽입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상기 철근(100)을 연결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100)을 연결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1)의 중공으로 상기 철근(100)을 유입시켜 상기 키유닛(3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철근(100)이 삽입되면서 상기 키유닛(30)에 고정된 상기 확장부재(36)을 밀어 상기 구획판(20)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100)에 의해 상기 확장부재(36)이 이탈되면, 상기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키유닛(30)이 상기 중공(13) 내에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테이퍼(T)에 의해 상기 내입공(31)이 수축되어 상기 철근(100)을 고정한다.
이렇게 상기 하우징(11) 측에서 상기 철근(100)을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12) 측의 상기 인입공(15)에 다른 상기 철근(100)을 삽입하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키유닛(30) 및 상기 탄성부재(40)에 의해 양측에서 상기 철근(100)을 고정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2)의 상기 인입공(15), 상기 키유닛(30)의 직경을 변경하여 상기 하우징(11)에 삽입된 상기 철근(100)과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기 철근(100)을 연결되어 이종철근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이종철근을 연결할 때 상기 구획판(20)은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11) 내에서 위치를 이동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철근(100)을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본체 11: 하우징 12: 커버
13: 중공 14: 결합공
15: 인입공 16: 안착홈
16a: 단부
20: 구획판 21: 구획부재 22: 안착부재
23: 밀착부
30: 키유닛 31: 내입공 31a: 고정돌기
32: 절편 33: 절개홈
34: 브릿지 35: 개방부
36: 확장부재
40: 탄성부재
100: 철근
T: 테이퍼

Claims (5)

  1. 양측에서 철근(100)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중공(13)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중앙부분을 구획하는 구획판(20);
    상기 구획판(2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0)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100)을 고정하는 키유닛(30);
    상기 구획판(20)과 상기 키유닛(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키유닛(30)에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중공(13)의 일면이 개방된 결합공(14)이 형성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결합공(14)에 결합되는 결합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13)과 연결되는 인입공(15)이 형성된 커버(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13)은 상기 하우징(11)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구획판(20)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6)을 지나 타면방향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T)가 구비되며,
    상기 인입공(15)은 상기 하우징(11)에 삽입되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20)은 "ㄷ" 단면의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중공(13)을 구획하며, 양측면에 상기 탄성부재(40)가 밀착되는 구획부재(21)와, 상기 구획부재(21)의 외면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공(13)에 지지되는 안착부재(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유닛(30)은,
    상기 중공(13)에 밀착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철근(100)을 삽입 고정하는 내입공(31)이 형성되되,
    하나 이상의 절개홈(33)을 통해 다수개로 분할된 절편(32)과, 상기 절편(3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분할된 다수개의 상기 절편(32)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연결하는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20190042423A 2019-04-11 2019-04-11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2186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23A KR102186905B1 (ko) 2019-04-11 2019-04-11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23A KR102186905B1 (ko) 2019-04-11 2019-04-11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47A true KR20200120047A (ko) 2020-10-21
KR102186905B1 KR102186905B1 (ko) 2020-12-04

Family

ID=7303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423A KR102186905B1 (ko) 2019-04-11 2019-04-11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9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83Y1 (ko) 2003-05-02 2003-07-25 공대식 철근 이음장치
KR101741178B1 (ko) * 2016-08-12 2017-05-29 현대금속산업(주) 철근 이음장치
KR101860698B1 (ko) * 2018-01-09 2018-05-23 조석현 철근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83Y1 (ko) 2003-05-02 2003-07-25 공대식 철근 이음장치
KR101741178B1 (ko) * 2016-08-12 2017-05-29 현대금속산업(주) 철근 이음장치
KR101860698B1 (ko) * 2018-01-09 2018-05-23 조석현 철근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905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KR102324815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KR20170000386U (ko) 고강도 철근 커플러
KR101942993B1 (ko) 재가압식 철근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플러
KR102069667B1 (ko)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KR102027640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175306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186905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20190033370A (ko) 반자동 철근 커플러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102019441B1 (ko) 철근용 커플러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220110882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019442B1 (ko) 철근용 커플러
KR102079030B1 (ko) 트러스형 거푸집 서포트 어셈블리
US20220018133A1 (en) Sleeve for connecting steel bar
JP3138522U (ja) プレキャスト梁の継手構造
KR102064558B1 (ko) 철근 결합 구조를 개선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788650B1 (ko) 이중 안전 고정 서포트
KR102328136B1 (ko) 철근 커플러의 제조방법
KR10230169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KR102189193B1 (ko) 철근 커플러
KR20190091913A (ko) 철근이음장치
KR101746489B1 (ko) 조립식 기둥
KR200286102Y1 (ko) 철근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