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640B1 - 원터치 철근 커플러 - Google Patents

원터치 철근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640B1
KR102027640B1 KR1020170046462A KR20170046462A KR102027640B1 KR 102027640 B1 KR102027640 B1 KR 102027640B1 KR 1020170046462 A KR1020170046462 A KR 1020170046462A KR 20170046462 A KR20170046462 A KR 20170046462A KR 102027640 B1 KR102027640 B1 KR 10202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outer circumferential
horizontal portion
angle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595A (ko
Inventor
하재식
Original Assignee
하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식 filed Critical 하재식
Priority to KR1020170046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64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서 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되어 좌,우 입구측에 철근이 삽입되며, 내부는 수평부와 상기 입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된 커플러바디와;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 사이에 고정되는 기준판과; 상기 기준판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커플러바디 내부에 각각 이등분된 분할편이 한쌍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철근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웨지;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편은 외주면은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게 외주수평부와 외주경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분할편의 내주면은 내측에 치형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내측 입구단은 일정길이로 테이퍼져 상기 철근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게 하는 내측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철근 커플러{One touch type steel reinforcing coupler}
본 발명은 원터치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철근을 삽입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원터치 커플러에 관한 기술이다.
철근은 건축이나 토목 분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뼈대로써 사용하고 있다. 철근은 일정한 길이로 규격 생산되므로 구조물의 길이에 따라 철근을 상호 이음해서 구조물의 길이에 맞춤해서 사용고 있다.
철근의 이음 방법에는 맞대기이음과 겹치기이음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철근 맞대기이음은 길이방향을 맞춰 용접에 의해 이음하고, 철근 겹치기이음은 상호 겹쳐서 철사로 이음하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수고를 덜기 위해 철근을 상호 이어주도록 하는 부품인 철근 커플러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철근을 한번 가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원터치 철근 커플러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602399호 '원터치 철근 커플러'에 그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커플러바디(100a,b)의 내측에 받침판(200)이 형성되고, 받침판(200)에 설치된 스프링(600)의 탄성가압력이 커플러바디 내부에 구비된 체결부(300)에 가해져 철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체결부(300)가 여러 개로 분할된 단위부재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단위부재가 결합 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는 간격유지구(440)가 구비되어야 하며 외부에는 오링(500)이 필요하여 부품 가지 수가 많아 제품이 복잡하게 되어 생산단가 상승과 조립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KR 10-160239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근을 고정하는 부분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철근을 고정할 수 있는 원터치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서 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되어 좌,우 입구측에 철근이 삽입되며, 내부는 수평부와 상기 입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된 커플러바디와;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 사이에 고정되는 기준판과; 상기 기준판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커플러바디 내부에 각각 이등분된 분할편이 한쌍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철근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웨지;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편은 외주면은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게 외주수평부와 외주경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분할편의 내주면은 내측에 치형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내측 입구단은 일정길이로 테이퍼져 상기 철근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게 하는 내측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경사부는, 경사 길이가 5 ~ 2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주경사부의 경사각도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도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분할편은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서 일정각도 유격여유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주경사부의 경사각도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도보다 1 ~ 2°로 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지의 상기 분할편 외주수평부의 외경은 상기 커플러바디의 수평부 내경보다 작게형성되고 틈새가 1.5 ~ 4mm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쐐기의 분할편을 2개로 분할되게 하고, 형상 유지를 위한 간격유지구와 오링의 부품 없이 간단하게 구성하여 철근을 쉽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편 입구측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초기 철근 삽입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분할편의 외주면 경사 각도가 커플러바디 내부 경사 각도를 달리하여 분할편이 커플러바디 내부와 유격이 있어 철근 삽입시에는 쐐기 입구 부분이 확장가능하여 철근 삽입이 용이하게 하며, 철근 삽입 완료 후 스프링에 의해 쐐기 입구 부분을 축소되어 철근을 강하게 물림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단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에서 커플러바디에 웨지가 삽입된 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단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커플러바디(10a,10b), 기준판(20), 스프링(30), 웨지(40)로 구성되게 된다.
먼저, 상기 커플러바디(10a,10b)는 커플러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한 쌍으로 형성되어 암수 형태로 나사 결합에 의해 일체로 되게 되며, 일체 결합에 의해 좌,우 입구(110a,110b)가 형성되어 양쪽에서 철근이 삽입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으로 상기 기준판(20), 스프링(30), 웨지(40)가 설치된다.
상기 커플러바디(10a,10b)의 내부공간은 상세하게 상기 커플러바디(10a,10b) 각각은 내부가 길게 관통되게 형성되며, 내부공간에는 상호 커플러바디(10a,10b)가 결합되는 부분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일정한 수평부(12a,12b)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1a,11b)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부(14a,14b)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기준판(20)은 상기 커플러바디(10a, 10b)의 내부에 고정되어 구획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판(20)은 원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플러바디(10a, 10b)의 결합면측에 형성되어 양측으로 스프링(3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기준판(2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되게 되며, 상기 쐐기(40)를 상기 커플러바디(10a,10b)의 입구(11a,11b)로 가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웨지(40)는 철근을 물림하는 구성이다.
상기 웨지(40)는 상기 커플러바디(10a,10b) 내부에 각각 이등분된 분할편(410)이 한쌍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되어 웨지(40) 내부로 수용된 상기 철근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웨지(40)의 분할편(41)은 이등분으로 구성하여 결합시 쉽게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내부공간을 확보하는 간격유지구와, 외형 이탈을 방지하는 오링이 따로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
즉, 작업자는 이등분된 분할편(41)을 파지하여 상기 커플러바디(10a, 10b)의 내부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웨지(40)의 분할편(41)은 외주면은 상기 수평부(12a,12b)와 상기 경사부(14a,14b)에 대응되게 외주수평부(42)와 외주경사부(43)로 형성되며, 상기 분할편(41)의 내주면은 내측에 치형(4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내측 입구단은 일정길이로 테이퍼져 상기 철근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게 하는 내측경사부(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할편(41)이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바디(10a,10b)의 내부에 결합된 쐐기(40)의 입구측 끝단은 내경이 확장된 형태가 되므로 상기 철근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경사부(46)는 경사 길이가 5 ~ 2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경사 길이가 긴 만큼 경사 각도가 완만해져 상기 철근이 자연스럽게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위와같이 범위를 정하는 이유는 상기 내측경사부(46)는 경사 길이가 5mm 이내인 경우에 경사각도가 커져서 철근 삽입이 잘 되지 않으며, 25mm 초과한 경우에 내부 치형(44)이 형성되는 개수가 적어져 물림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철근 규격이 지름 10mm ~ 57mm에 대응되게 위의 경사 길이를 5~ 25mm를 적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주경사부(43)의 경사각도는 상기 경사부(14a,14b)의 경사각도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분할편(41)은 상기 커플러바디(10a,10b)의 내부에서 일정각도 유격여유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유격여유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할편(41)은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분할편(41)의 회전각도 변화는 철근이 삽입시 철근의 가압에 의해 분할편(41)의 입구측의 각도가 커지게 되고 쐐기(40)의 내경이 확장되어 철근 삽입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철근이 삽입된 후에는 스프링(30)의 탄성 가압에 의해 분할편(41)의 입구측 각도가 작아지게 되고 쐐기(40)의 내경이 축소되어 철근의 물림률을 강하게 하여 철근 삽입과 고정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3에서처럼, 상기 외주경사부(43)의 경사각도(B)는 상기 경사부(14a)의 경사각도(A)보다 1 ~ 2°로 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들어 상기 경사부(14a)의 각도를 9°로 하는 경우 상기 외주경사부(43)의 각도를 10°~ 11°가 되게 가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도 차이는 상기 분할편(41)의 각도를 1 ~ 2°로 회전각도 변화를 줄 수 있다.
상기 웨지(40)의 분할편(41) 외주수평부(42)의 외경(D)은 상기 커플러바디(10a)의 수평부(12a) 내경(d)보다 작게 형성되고 틈새가 도 4에서처럼 1.5 ~ 4mm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지(40)의 분할편(41) 외주수평부(42)와 상기 커플러바디(10a,10b)의 수평부(12a)의 틈새를 주는 것은 유격여유를 주기 위한 것인데, 이는 앞서 상기 왜지(40)의 분할편(41)의 외주경사부(43)의 각도 변화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원터치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a,10b: 커플러바디 11a,11b: 입구
12a,12b: 수평부 14a,14b: 경사부
20: 기준판 30: 스프링
40: 웨지 41: 분할편
42: 외주수평부 43: 외주경사부
44: 치형 46: 내측경사부

Claims (5)

  1. 한 쌍으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서 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되어 좌,우 입구(11a,11b)측에 철근이 삽입되며, 내부는 수평부(12a,12b)와 상기 입구(11a,11b)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부(14a,14b)가 형성된 커플러바디(10a, 10b)와;
    상기 커플러바디(10a, 10b)의 내부 사이에 고정되는 기준판(20)과;
    상기 기준판(2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30)과;
    상기 커플러바디(10a,10b) 내부에 각각 이등분된 분할편(41)이 한쌍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철근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웨지(40);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편(41)은 외주면은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게 외주수평부(42)와 외주경사부(43)로 형성되며, 상기 분할편(41)의 내주면은 내측에 치형(4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내측 입구단은 일정길이로 테이퍼져 상기 철근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게 하는 내측경사부(46)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경사부(43)의 경사각도는 상기 경사부(14a,14b)의 경사각도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분할편(41)은 상기 커플러바디(10a,10b)의 내부에서 일정각도 유격여유를 가지며,
    상기 웨지(40)의 분할편(41) 외주수평부(42)의 외경(D)은 상기 커플러바디(10a)의 수평부(12a) 내경(d)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왜지(40)의 분할편(41)의 외주경사부(43)의 각도 변화를 허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경사부(46)는,
    경사 길이가 5 ~ 2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 커플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경사부(43)의 경사각도는 상기 경사부(14a,14b)의 경사각도보다 1 ~ 2°로 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 커플러.

  5. 삭제
KR1020170046462A 2017-04-11 2017-04-11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02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462A KR102027640B1 (ko) 2017-04-11 2017-04-11 원터치 철근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462A KR102027640B1 (ko) 2017-04-11 2017-04-11 원터치 철근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595A KR20180114595A (ko) 2018-10-19
KR102027640B1 true KR102027640B1 (ko) 2019-10-01

Family

ID=6410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462A KR102027640B1 (ko) 2017-04-11 2017-04-11 원터치 철근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38B1 (ko) 2019-12-23 2020-09-10 김윤수 조립성을 향상시킨 철근 커플러
KR102163564B1 (ko) 2019-10-22 2020-10-07 (주)호성 원터치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614B1 (ko) * 2019-02-20 2021-03-02 웰시스 주식회사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102163592B1 (ko) * 2019-09-30 2020-10-08 김기창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446331B1 (ko) * 2020-08-14 2022-09-22 김진은 거푸집용 세파타이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4757B2 (ja) * 1996-06-06 2006-07-12 株式会社三ツ知 接続具及びこれを用いた接続方法
JP2004308203A (ja) * 2003-04-04 2004-11-04 Nippon Steel Corp 高強度線材の定着治具構造
KR101602399B1 (ko) 2015-10-13 2016-03-10 하재식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0486476Y1 (ko) * 2017-01-05 2018-05-23 조석현 고강도 철근 커플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564B1 (ko) 2019-10-22 2020-10-07 (주)호성 원터치 커플러
KR102154938B1 (ko) 2019-12-23 2020-09-10 김윤수 조립성을 향상시킨 철근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595A (ko)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640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1039120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942993B1 (ko) 재가압식 철근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플러
KR102069667B1 (ko)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KR102324815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JP7026362B2 (ja) 異形鉄筋つなぎ金具
KR102083652B1 (ko) 반자동 철근 커플러
JP4580355B2 (ja) 合成セグメント
KR101123347B1 (ko) 철근 결속장치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1882358B1 (ko) 마디 철근 커플러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1552321B1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KR102019442B1 (ko) 철근용 커플러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2019441B1 (ko) 철근용 커플러
KR102221614B1 (ko)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20140058076A (ko) 신구콘크리트 연결 시공방법
KR101890678B1 (ko) 철근이음장치
KR100837113B1 (ko) 철근 커플러
KR101443831B1 (ko) 정착헤드가 구비된 철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29453A (ko) 철근 연결구
KR101224542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2083942B1 (ko) 철근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