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603A - 케이블 타이 체결기 - Google Patents

케이블 타이 체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603A
KR20200119603A KR1020190041992A KR20190041992A KR20200119603A KR 20200119603 A KR20200119603 A KR 20200119603A KR 1020190041992 A KR1020190041992 A KR 1020190041992A KR 20190041992 A KR20190041992 A KR 20190041992A KR 20200119603 A KR20200119603 A KR 20200119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cable tie
tightening
protrus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226B1 (ko
Inventor
손인수
김성재
백석준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도
Priority to KR102019004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2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힌지를 포함하고 케이블 타이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힌지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가동부; 상기 고정부의 힌지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2 가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동부 또는 상기 제 2 가동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축 변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타이 체결기{CABLE TIE FASTENER}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cable tie) 체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선 또는 케이블 등을 케이블 타이를 매개로 간편하게 결속시키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 설비 제조라인을 비롯하여 선박, 자동차, 항공기 조립 라인 등에서 다수의 각종 전선 및 케이블들을 배설하는 바, 이러한 케이블들을 묶어서 정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케이블 타이가 사용되고 있다.
즉, 여러개의 케이블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설한 후, 각 케이블이 외부력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고 그 배설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케이블을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케이블 타이로 묶어서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키고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케이블을 묶을 때 작업자가 직접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케이블 타이를 당겨주게 되는데, 케이블 타이를 충분한 힘으로 당겨주지 못할 경우, 케이블 타이의 결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간편함과 편리함으로 인해 다양한 곳에서 이용되고 있는 케이블 타이는, 일반적으로 두 손을 사용하여 작업하게 되는데, 두 손이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협소한 공간, 한 손만 겨우 닿는 높은 공간 등 작업 환경에 따라 케이블 타이의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더하여, 자동으로 케이블 타이를 결속시켜주는 장치가 존재하나, 이러한 자동 결속장치는 모터나 건전지 등을 통한 별도의 전력을 공급받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케이블 타이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케이블 타이의 사용성 증가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 타이가 출시되면서, 케이블 타이의 다양한 규격을 유연하게 수용하여 결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 체결장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10-1449566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 환경에 의한 제약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자세히, 본 발명은, 가위 형상을 기반으로 구현되어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물체 고정과 케이블 타이 결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건전지 등을 통한 별도의 전력 공급이 없어도 케이블 타이 결속작업을 높은 완성도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케이블 타이 규격에 맞추어 세밀한 조정이 가능한 조립식 설계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힌지를 포함하고 케이블 타이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힌지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가동부; 상기 고정부의 힌지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2 가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동부 또는 상기 제 2 가동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축 변환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힌지의 일측에서 장방형 판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고정부 몸체와, 상기 힌지의 타측에 상기 축 변환부와 결합되는 결합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 몸체는, 상기 제 2 가동부의 조임연계나사와 맞물리는 원통홀 형태의 조임연계나사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연계나사가 회전함에 따라서 스트랩 헤드 고정홈의 크기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 몸체의 상측에 형성된 타이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 결속부는, 스트랩 헤드가 고정되는 홈을 포함하는 스트랩 헤드 고정홈과, 상기 스트랩 헤드 고정홈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 1 스트랩 관통홀과, 상기 타이 결속부의 상측에 형성된 제 3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 변환부는, 상기 결합축이 삽입되는 결합홈과, 상기 제 2 가동부의 제 1 걸림턱과 맞물려 고정되는 제 1 걸림돌기 및 상기 제 1 가동부의 제 2 걸림턱과 맞물려 고정되는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 변환부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턱에 맞물려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 2 가동부를 결합시키고,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2 걸림턱에 맞물려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 1 가동부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제 1 가동부는, 상기 힌지와 조립되는 제 1 힌지홀과, 상기 제 1 힌지홀을 기준으로 아래에 형성되는 제 1 손잡이 및 상기 제 1 힌지홀을 기준으로 위에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랩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손잡이는,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 1 축 조정부와, 상기 제 1 축 조정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 변환부의 제 2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 2 걸림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 안내부는, 상기 갈고리 형태를 따라 음각되어 형성된 제 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 말단에서 형성된 스트랩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 안내부는, 상기 스트랩 안내부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길이조절버튼 및 상기 길이조절버튼에 일단이 연결되고 나선형 홈을 가지는 길이조절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나사는, 상기 길이조절버튼의 일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스트랩 안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트랩 안내부의 내부측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동부는, 상기 힌지와 조립되는 제 2 힌지홀과, 상기 제 2 힌지홀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 2 손잡이 및 상기 제 2 힌지홀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형성되는 스트랩 견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손잡이는,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 2 축 조정부와, 상기 제 2 축 조정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 변환부의 제 1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 1 걸림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 견인부는, 상기 스트랩 견인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 2 스트랩 관통홀과, 상기 제 2 스트랩 관통홀의 아래에 배치되어 래칫 구조를 형성하는 제 2 조임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 견인부는, 상기 스트랩 견인부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조임조절버튼과, 상기 조임조절버튼에 일단이 연결되는 조임연계나사 및 상기 조임연계나사와 상기 제 2 조임돌기를 연결하는 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연계나사는, 상기 조임조절버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트랩 견인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트랩 견인부의 내부측으로 진입하며, 상기 조임조절버튼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 체결 헤드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가위 형상을 가지는 가동부; 및 상기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의 일단을 스트랩 관통홀로 이동시키는 제 1 모드와, 상기 케이블 타이를 조이는 제 2 모드를 선택하는 축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작업 환경에 의한 제약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케이블 타이 체결작업을 손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가위 형상에 기초해 구현되어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물체 고정과 케이블 타이 결속작업을 수행하게 하여, 두 손이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좁은 공간, 한 손만 겨우 닿는 높은 공간 등의 작업 환경에서도 케이블 타이 체결작업을 원활히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여, 나머지 한 손을 자유롭게 사용해 보다 안정성 높은 케이블 타이 결속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축 기반의 운동에 기초하여 작업 중인 케이블 타이를 강하게 당겨주어, 케이블 타이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별도의 전력 공급이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여, 전력을 공급받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제약없이 높은 퀄리티의 케이블 타이 결속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다양한 케이블 타이 규격에 맞추어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고 조립식으로 구현되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케이블 타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의 외형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의 고정부 및 축 변환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의 일 구성요소인 제 1 가동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의 일 구성요소인 제 2 가동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케이블 타이 체결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별도의 전력공급이 없어도 복수의 전선 또는 케이블 등을 케이블 타이를 매개로 단단하고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케이블 타이는, 요철 형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톱니 돌기를 가지는 스트랩(strap)과, 스트랩의 길이 방향 말단에 연결된 스트랩 체결 헤드(head)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은, 복수의 톱니 돌기를 가지는 몸체와 꼬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꼬리부는,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 체결 헤드와 대칭되는 말단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 체결 헤드는, 스트랩이 꼬리부를 시작으로 관통될 수 있는 헤드홀(head-hole)과, 스트랩의 톱니 돌기와 맞물려 간단한 래칫(ratchet) 구조를 형성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타이 체결기는, 위와 같은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선 또는 케이블 등에 대한 결속작업을 손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의 외형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는, 중심 축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힌지(130)를 통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가동부(300)와 제 2 가동부(400) 및 상기 고정부(100)의 결합축(140)을 통해 연결되어 상하운동을 통한 고정축(즉, 고정부(100)와 결합되는 축) 변환을 수행하는 축 변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가동부(300)는, 상기 힌지(130)가 결합되는 제 1 힌지홀(310)을 경계로 상부측에 갈고리형 곡선 형태를 가지며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이 삽입되는 스트랩 안내부(330)를 포함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스트랩을 헤드홀로 안내하며, 하부측에는 제 1 손잡이(320)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동부(400)는, 상기 힌지(130)가 결합되는 제 2 힌지홀(410)을 경계로 상부측에 형성되어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파지하고 회전에 따라 스트랩을 당길 수 있는 스트랩 견인부(43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측에는 제 2 손잡이(420)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및 2 가동부(300, 400)는, 상기 고정부(100)의 힌지(130)를 통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및 2 힌지(130)홀을 경계로 상부측에 케이블 타이 체결을 위한 구성을 구비한 가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 체결 헤드가 상기 고정부(100)의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이 상기 제 1 가동부(300)의 갈고리형 곡선을 따라 스트랩 안내부(33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 안내부(330)의 단부를 초과하여 빠져나온 초과 스트랩은, 상기 제 1 가동부(300) 회전에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100)에 고정된 스트랩 체결 헤드의 헤드홀을 꼬리부를 시작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때, 헤드홀을 관통한 스트랩은, 상기 고정부(100)의 제 1 스트랩 관통홀(122) 및 상기 제 2 가동부(400)의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을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트랩 관통홀(431)로 상기 스트랩을 수용한 제 2 가동부(400)는, 수용된 상기 스트랩을 파지할 수 있고, 제 1 및 2 손잡이(320, 420)를 통해 가해진 힘에 의해 상기 제 2 가동부(4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파지된 스트랩을 잡아당겨 상기 케이블 타이를 단단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는, 고정부(100), 축 변환부(200), 제 1 가동부(300) 및 제 2 가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의 고정부(100) 및 축 변환부(2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고정부(100)는, 장방형 판상에 기초하여 형성된 고정부 몸체(110)와, 상기 고정부 몸체(110)의 상측에 형성된 타이 결속부(120)와, 상기 고정부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130) 및 상기 힌지(130) 하부에 배치된 결합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고정부 몸체(110)는, 고정부(100)의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중심부로서, 상측 단부에 타이 결속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 몸체(110)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축(1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몸체(110)의 하부에는 고정부 몸체(110)를 고정부 몸체(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원통형의 힌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몸체(110)는, 고정부 몸체(110)의 내측(즉, 고정부 몸체(110)가 제 1 가동부(300)의 스트랩 안내부(330)를 향하는 측) 상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레일(111)과, 고정부 몸체(110)의 외측(즉, 고정부 몸체(110)가 제 2 가동부(400)의 스트랩 견인부(430)를 향하는 측) 상에 제 2 가동부(400)의 조임연계나사(434)와 맞물리는 원통홀 형태로 형성되는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고정부 몸체(110)는,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과 제 1 조임돌기(123) 및/또는 고정홈 조정돌기(124)를 연결하는 밴딩부(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여기서 제 1 가이드 레일(111)은, 고정부 몸체(110)의 내측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레일(111)은, 타이 결속부(120)의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하측면과 직접 연결되어 고정부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제 1 가이드 레일(111)의 단부는, 제 1 가동부(300)의 제 2 가이드 레일(331)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 1 가이드 레일(111)은,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에 고정된 스트랩 체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이,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 상에서 가장 먼저 안착되는 경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이드 레일(111)을 통과한 스트랩은, 제 1 가이드 레일(111) 단부의 곡선을 따라 제 2 가이드 레일(331)로 자연스럽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은, 제 2 가동부(400) 상에 배치된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운동을 전달받기 위하여 고정부(100) 상에 형성된 원통형 홈으로서, 고정부 몸체(110)의 외측면 상에서 제 2 가동부(400)의 조임연계나사(434)와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의 입구는, 조임연계나사(434)가 진입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입구에서 고정부 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홈은, 밴딩부(435)를 통해 제 1 조임돌기(123) 및/또는 고정홈 조정돌기(124)와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타이 결속부(120)는, 장방형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과, 상기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외측(즉, 제 2 가동부(400)의 스트랩 견인부(430)를 향하는 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 1 스트랩 관통홀(122)과, 상기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의 하측(즉, 고정부 몸체(110)측)면 상에 배치되며 스트랩의 톱니 돌기와 맞물려 간단한 래칫 구조를 형성하는 제 1 조임돌기(123)와, 상기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하측(즉, 고정부 몸체(110)측)면 상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홈 조정돌기(124) 및 상기 타이 결속부(120)의 내부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을 침범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 정방형 판상의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3 가이드 레일(125)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여기서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은,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 체결 헤드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장방형의 홈이며, 하측면(즉, 고정부 몸체(110) 측으로 형성된 면)이 제 1 가이드 레일(111)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은,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의 스트랩 안내부(330)를 따라 삽입된 스트랩이 스트랩 안내부(330)의 단부를 초과한 부분인 초과 스트랩을 수용할 수 있다.
자세히, 스트랩 안내부(330)의 단부를 초과하여 빠져나온 초과 스트랩은,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에 고정된 스트랩 체결 헤드의 헤드홀을 꼬리부를 시작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때, 헤드홀을 관통한 스트랩은, 이후 헤드홀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을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은, 타이 결속부(120)와 스트랩 견인부(430)가 접촉한 경우, 스트랩 견인부(430)의 제 2 스트랩 관통홀(431)과 연결되어 하나의 홀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은,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초과 스트랩이, 해당 케이블 타이의 헤드홀을 통과한 이후 제 2 가동부(400)의 제 2 스트랩 관통홀(431)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임돌기(123)는,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에 유입된 스트랩의 톱니 돌기와 맞물리는 요철 형태의 돌기로서 래칫 구조를 형성하며, 유입된 스트랩을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서 보다 단단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홈 조정돌기(124)는, 장방형의 돌기 형태로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하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에 삽입하려는 스트랩 체결 헤드의 규격에 따라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크기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제 1 조임돌기(123)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작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 3 가이드 레일(125)은, 타이 결속부(120)의 내부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을 침범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 정방형 판상의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로서, 제 3 가이드 레일(125)의 하부면과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3 가이드 레일(125)의 하부면은, 타이 결속부(120)와 스트랩 안내부(330)가 접촉한 경우, 스트랩 안내부(330)의 제 2 가이드 레일(331) 상부면에서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3 가이드 레일(125)은, 제 2 가이드 레일(331)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초과 스트랩이, 타이 결속부(120)에 고정된 스트랩 체결 헤드의 헤드홀과 제 1 스트랩 관통홀(122)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힌지(130)는, 고정부 몸체(110)의 하부를 상기 고정부 몸체(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통형 막대로서, 힌지(130)의 일단에는 제 1 가동부(300)가 제 1 힌지홀(3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단에는 제 2 가동부(400)가 제 2 힌지홀(4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힌지(130)는, 고정부(100)와 제 1 가동부(300) 및 제 2 가동부(400)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의 손잡이에 가해진 힘에 의해 고정부(100)를 축으로한 제 1 가동부(300) 및/또는 제 2 가동부(400)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축(140)은, 고정부 몸체(110)의 하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장방형 막대로서, 축 변환부(200)의 결합홈(210)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결합홈(210) 내에서 고정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을 진행할 수 있다.
즉, 결합축(140)은, 축 변환부(200)의 결합홈(210)이 결합축(140)을 따라 상하운동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결합축(140)을 통해 고정부(100)와 연결되고, 상하운동을 통한 고정축 변환을 수행하는 축 변환부(200)는, 장방형 판상의 몸체 내부로 형성되는 결합홈(210)과, 몸체 말단의 내측(즉, 제 1 가동부(300)를 향하는 방향) 및 외측(즉, 제 2 가동부(400)를 향하는 방향)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걸림돌기(221) 및 제 2 걸림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결합홈(210)은, 고정부(100)의 결합축(140)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맞물린 결합축(140)과 결합홈(210)이 제공하는 한도 내에서 축 변환부(200)가 상하 움직임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걸림돌기(221)는, 축 변환부(200) 몸체 말단의 내측면 상에서 하측 방향을 향하는 직각 형태로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걸림돌기(221)는, 사용자의 컨트롤에 의한 축 변환부(200)의 상하운동에 의해 제 2 가동부(400)의 제 1 걸림턱(421)과 맞물릴 수 있고, 제 1 걸림돌기(221)와 제 1 걸림턱(421)이 맞물린 경우, 고정부(100)와 제 2 가동부(400)가 걸림돌기와 걸림턱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 2 걸림돌기(222)는, 축 변환부(200) 몸체 말단의 내측면 상에서 상측 방향을 향하는 직각 형태로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걸림돌기(222)는, 사용자의 컨트롤에 의한 축 변환부(200)의 상하운동에 의해 제 1 가동부(300)의 제 2 걸림턱(322)과 맞물릴 수 있고, 제 2 걸림돌기(222)와 제 2 걸림턱(322)이 맞물린 경우, 고정부(100)와 제 1 가동부(300)가 걸림돌기와 걸림턱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축 변환부(200)는, 제 1 또는 2 걸림돌기에 의해 축 변환부(200)가 제 1 가동부(300) 및 제 2 가동부(400) 중 어디에 맞물려 있는지에 따라서, 고정부(100)와 함께 동작하는 가동부(고정부(100)와 결합되어 이격될 수 없는 가동부)와 별도로 동작하는 가동부(고정부(100)와 이격될 수 있는 가동부)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의 일 구성요소인 제 1 가동부(3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100)와 힌지(130)를 통해 결합되어 동작하는 제 1 가동부(300)는, 원통형 기둥의 힌지(130)가 제 1 가동부(300)에 조립되는 원형홀인 제 1 힌지홀(310)과, 상기 제 1 힌지홀(310)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홀을 포함하는 제 1 손잡이(320) 및 상기 제 1 힌지홀(310)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상기 제 1 손잡이(320)의 형성 위치와 대칭되는 위치에 갈고리 형태 이루며 형성되는 스트랩 안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제 1 힌지홀(310)은, 고정부(100)의 힌지(130)와 조립되어 고정부(100)와 제 1 가동부(300)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상의 가위에 구비되는 손잡이의 형상과 재질과 같이 형성되는 제 1 손잡이(320)는, 상기 제 1 손잡이(32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파지될 때 상호 접촉하는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 1 축 조정부(321)와, 상기 제 1 축 조정부(321)의 내부에서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걸림턱(32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여기서 제 1 축 조정부(321)는, 상기 내부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정방형의 양방향 입구를 가지는 홀(hole)로서, 제 1 가동부(300)와 결합된 고정부(100)의 결합축(140)과 맞물려 있는 축 변환부(200)의 제 2 걸림돌기(222)를, 고정부(100) 측에서 제 1 손잡이(320) 측 방향으로 내부에 진입하게 하여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축 조정부(321)로 진입된 제 2 걸림돌기(222)의 길이 방향 외면은, 제 1 축 조정부(321)의 내면측 정방형 입구를 통해 제 1 가동부(300)와 고정부(1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축 조정부(321)를 통해 노출된 제 2 걸림돌기(222)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정부(100)와 함께 동작하는 가동부와 별도로 회전할 가동부를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걸림턱(322)은, 상측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직각 형태의 돌기인 제 2 걸림돌기(222)와 맞물리는 형태로, 제 1 축 조정부(321) 내부의 상측 천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즉, 제 2 걸림턱(322)은, 사용자의 컨트롤에 의한 축 변환부(200)의 상측 이동에 의하여 제 2 걸림돌기(222)와 맞물릴 수 있고, 제 2 걸림턱(322)과 제 2 걸림돌기(222)가 맞물린 경우, 고정부(100)와 제 1 가동부(300)가 걸림돌기와 걸림턱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 1 축 조정부(321)를 통해 노출된 제 2 걸림돌기(222)가, 사용자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 2 걸림턱(322)과 맞물린 경우, 제 1 가동부(300)와 고정부(100)가 결합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힌지홀(310)을 경계로 상부측에 갈고리형 곡선 형태를 가지며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이 삽입되는 스트랩 안내부(330)는, 갈고리형 곡선 형태를 따라 스트랩 안내부(330)의 일측 외면에서 내면으로 소정의 폭(예컨대,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의 폭을 수용하는 너비)만큼 음각하여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레일(331)과,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331) 말단(즉, 타이 결속부(120)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장방형 판상의 스트랩 지지부(332)와, 상기 스트랩 안내부(330) 외면 상에 배치되는 길이조절버튼(333) 및 상기 길이조절버튼(333)에 일단이 연결되며 나선형 홈을 가지는 길이조절나사(3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먼저 제 2 가이드 레일(331)은,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에 고정된 스트랩 체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이, 제 1 가이드 레일(111)을 지나 진입하게 되는 스트랩 경로일 수 있다.
자세히, 제 2 가이드 레일(331)은, 고정부 몸체(110)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레일(111)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은, 제 1 가이드 레일(111) 단부의 곡선을 따라 제 2 가이드 레일(331)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이드 레일(331)의 상부면은, 스트랩 안내부(330)와 타이 결속부(120)가 접촉한 경우, 제 3 가이드 레일(125)의 하부면에서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가이드 레일(331)은, 스트랩 체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이 제 1 가이드 레일(111)을 지나 제 3 가이드 레일(125)로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지지부(332)는, 스트랩 안내부(330) 말단(즉, 타이 결속부(120)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제 2 가이드 레일(331)의 상부면을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형성된 장방형 판상으로서, 스트랩 안내부(330)의 일면이 음각되어 형성된 제 2 가이드 레일(331)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 스트랩이, 제 3 가이드 레일(125)로 진입하기 위한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버튼(333)은, 스트랩 안내부(330) 외면 상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한 버튼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길이조절버튼(333)은, 일면에 스트랩 안내부(330)를 관통하는 길이조절나사(334)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나사(334)는, 나선형 홈을 가지는 나사로서, 길이조절버튼(33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스트랩 안내부(330)를 관통하여 스트랩 안내부(330) 내부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버튼(333)과 길이조절나사(334)는,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이 스트랩 안내부(330)의 단부(즉, 힌지(130)측에서 시작된 제 2 가이드 레일(331)이 절단되는 부분, 타이 결속부(120)와 접촉하는 부분)를 초과하여 빠져나온 부분인 초과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길이조절버튼(333)은, 사용자에 의해 제 1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버튼(333)의 일면에 연결된 길이조절나사(334)는, 길이조절버튼(333)의 제 1 회전운동에 의해 나선형 홈을 따라 동일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때, 길이조절나사(334)는, 나선형 홈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제 1 수직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수직운동을 기반으로 길이조절나사(334)가 스트랩 안내부(330) 내부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돌출된 길이조절나사(334)와 접촉하게 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스트랩은, 접촉된 길이조절나사(334)의 돌출 정도에 따라 내측 방향(즉, 고정부(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려나거나 그 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길이조절나사(334)는,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하부면에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이 스트랩의 일부가 길이조절나사(334)에 의해 상기 내측 방향으로 밀려나거나 역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서, 해당 스트랩이 스트랩 안내부(330)의 단부를 초과한 부분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의 일 구성요소인 제 2 가동부(4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100)와 힌지(130)를 통해 결합되어 동작하는 제 2 가동부(400)는, 원통형 기둥의 힌지(130)가 제 2 가동부(400)에 조립되는 원형홀인 제 2 힌지홀(410)과, 상기 제 2 힌지홀(410)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통상의 가위에 구비되는 손잡이 형상과 재질과 같이 형성되는 제 2 손잡이(420) 및 상기 제 2 힌지홀(410)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상기 제 2 손잡이(420)의 형성 위치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트랩 견인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제 2 힌지홀(410)은, 고정부(100)의 힌지(130)와 조립되어 고정부(100)와 제 2 가동부(400)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상의 가위에 구비되는 손잡이 형상과 재질과 같이 형성되는 제 2 손잡이(420)는, 상기 제 2 손잡이(42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파지될 때 상호 접촉하는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 2 축 조정부(422)와, 상기 제 2 축 조정부(422)의 내부에서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걸림턱(42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여기서 제 2 축 조정부(422)는, 상기 내부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정방형의 양방향 입구를 가지는 홀(hole)로서, 제 2 가동부(400)와 결합된 고정부(100)의 결합축(140)과 맞물려 있는 축 변환부(200)의 제 1 걸림돌기(221)를, 고정부(100) 측에서 제 2 손잡이(420) 측 방향으로 내부에 진입하게 하여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축 조정부(422)로 진입된 제 1 걸림돌기(221)의 길이 방향 외면은, 제 2 축 조정부(422)의 내면측 정방형 입구를 통해 제 2 가동부(400)와 고정부(1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2 축 조정부(422)를 통해 노출된 제 1 걸림돌기(221)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정부(100)와 함께 동작하는 가동부와 별도로 동작하는 가동부를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걸림턱(421)은, 하측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직각 형태의 돌기인 제 1 걸림돌기(221)와 맞물리는 형태로, 제 2 축 조정부(422) 내부의 하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즉, 제 1 걸림턱(421)은, 제 1 가동부(300)의 제 2 걸림턱(322)과 역방향으로 대칭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2 걸림턱(322)은, 사용자의 컨트롤에 의한 축 변환부(200)의 하측 이동에 의하여 제 1 걸림돌기(221)와 맞물릴 수 있고, 제 1 걸림턱(421)과 제 1 걸림돌기(221)가 맞물린 경우, 고정부(100)와 제 2 가동부(400)가 걸림돌기와 걸림턱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 2 축 조정부(422)를 통해 노출된 제 1 걸림돌기(221)가, 사용자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 1 걸림턱(421)과 맞물린 경우, 제 2 가동부(400)와 고정부(100)가 결합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힌지홀(410)을 경계로 상부측에 형성되어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파지하고 당길 수 있는 스트랩 견인부(430)는, 내측 상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 2 스트랩 관통홀(431)과, 상기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의 하측(즉, 고정부 몸체(110)측)면 상에 배치되며 스트랩의 톱니 돌기와 맞물려 간단한 래칫 구조를 형성하는 제 2 조임돌기(432)와, 상기 스트랩 견인부(430) 외면 상에 배치되는 조임조절버튼(433)과, 상기 조임조절버튼(433)에 일단이 연결되는 조임연계나사(434) 및 상기 조임연계나사(434)와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연결하는 밴딩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은,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스트랩이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을 통과한 이후, 최종적으로 해당 스트랩을 파지하여 잡아당기는 스트랩 견인부(430)에 해당 스트랩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히, 스트랩 안내부(330)의 단부를 초과하여 빠져나온 초과 스트랩은,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에 고정된 스트랩 체결 헤드의 헤드홀을 꼬리부를 시작으로 관통할 수 있고, 헤드홀을 관통한 스트랩은, 이후 헤드홀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을 연속하여 통과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은, 타이 결속부(120)와 스트랩 견인부(430)가 접촉한 경우, 제 1 스트랩 관통홀(122)과 연결되어 하나의 홀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케이블 타이의 초과 스트랩이, 해당 케이블 타이의 헤드홀을 통과한 이후 제 2 가동부(400)의 스트랩 견인부(430)로 유입되어 파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조임돌기(432)는,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에 유입된 스트랩의 톱니 돌기와 맞물리는 요철 형태의 돌기로서 래칫 구조를 형성하며, 유입된 스트랩을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서 단단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즉, 제 2 스트랩 관통홀(431)과 제 2 조임돌기(432)는, 타이 결속부(120)와 스트랩 견인부(430)가 접촉한 경우,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에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이 연장되어 하나의 홀 통로를 이루며, 제 1 조임돌기(123)의 연장선 상에 제 2 조임돌기(4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임조절버튼(433)은, 스트랩 견인부(430) 외면 상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한 버튼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조임조절버튼(433)은, 일면에 스트랩 견인부(430)를 관통하는 조임연계나사(434)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조임조절버튼(433)의 일단에 연결된 조임연계나사(434)는, 타단이 스트랩 견인부(430)를 관통하여 스트랩 견인부(430) 내부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밴딩부(435)는, 조임연계나사(434)와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밴딩부(435)는, 조임연계나사(434)와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의 이격된 거리가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딩부(435)는, 고무 따위의 탄성력 있는 소재로 형성된 밴드(band) 따위로 구현되어, 조임연계나사(434)와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밴딩부(435)는, 일단측이 조임연계나사(434)에 복수 번 감기는 형태로 랩핑(wrapping)되고, 타단측이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밴딩부(435)는,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따라서 조임연계나사(434)에 랩핑된 밴드가 풀어지는 경우, 조임연계나사(434)와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의 이격된 거리가 증가하게 할 수 있다.
즉, 밴딩부(435)의 이완으로 조임연계나사(434)와 돌기 간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승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밴딩부(435)는,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따라서 조임연계나사(434)에 랩핑된 밴드가 감겨지는 경우, 조임연계나사(434)와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의 이격된 거리가 감소하게 할 수 있다.
즉, 밴딩부(435)의 수축으로 조임연계나사(434)와 돌기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강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밴딩부(435)는, 조임조절버튼(433)의 회전에 따른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력을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전달하여 수직운동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임조절버튼(433), 조임연계나사(434) 및 밴딩부(435)는,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기반하여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에 대한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임조절버튼(433), 조임연계나사(434) 및 밴딩부(435)는, 1) 제 2 조임돌기(432)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여,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의 굵기 등에 따라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2) 제 1 조임돌기(123)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여,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의 굵기 등에 따라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3)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여,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 체결 헤드의 크기 등에 따라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히, 1)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의 너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먼저 조임조절버튼(433)은, 사용자에 의해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또는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행되는 제 2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임조절버튼(433)의 일면에 연결된 조임연계나사(434)는, 조임조절버튼(433)의 제 2 회전운동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조임조절나사와 제 2 조임돌기(432)를 연결하는 제 1 밴딩부(435-1)는,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의하여 제 2 조임돌기(432)의 수직운동(제 2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제 3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밴딩부(435-1)는,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의하여 이완 또는 수축함으로써, 제 2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제 3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임연계나사(434)의 제 2 회전운동이 제 1 밴딩부(435-1)의 제 3 회전운동으로 연결되고, 제 3 회전운동으로 인해 제 2 조임돌기(432)의 제 2 수직운동이 발생함으로써,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에서 제 2 조임돌기(432)의 돌출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조임돌기(432)의 돌출 정도가 조정됨으로써,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의 굵기 등에 맞추어 제 2 스트랩 관통홀(431)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2)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의 너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먼저 제 2 가동부(400)의 조임연계나사(434)는, 제 2 가동부(400)와 고정부(100)의 결합 시, 고정부(100)의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임조절버튼(433)은, 사용자에 의해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또는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행되는 제 2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임조절버튼(433)의 일면에 연결된 조임연계나사(434)는, 조임조절버튼(433)의 제 2 회전운동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조임연계나사(434)가 고정되어 있는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은,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을 전달받아 동일하게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조임조절나사와 제 1 조임돌기(123)를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을 통해 연결하는 제 2 밴딩부(435-2)는,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조임돌기(123)의 수직운동(제 3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제 4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밴딩부(435-2)는,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의한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의 회전에 따라서 이완 또는 수축함으로써, 제 3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제 4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조임연계나사(434)의 제 2 회전운동이 제 2 밴딩부(435-2)의 제 4 회전운동으로 연결되고, 제 4 회전운동으로 인해 제 1 조임돌기(123)의 제 3 수직운동이 발생함으로써,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에서 제 1 조임돌기(123)의 돌출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조임돌기(123)의 돌출 정도가 조정됨으로써,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의 굵기 등에 맞추어 제 1 스트랩 관통홀(122)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3)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먼저 제 2 가동부(400)의 조임연계나사(434)는, 제 2 가동부(400)와 고정부(100)의 결합 시, 고정부(100)의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임조절버튼(433)은, 사용자에 의해 제 1 조임돌기(123), 제 2 조임돌기(432) 및/또는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행되는 제 2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임조절버튼(433)의 일면에 연결된 조임연계나사(434)는, 조임조절버튼(433)의 제 2 회전운동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조임연계나사(434)가 고정되어 있는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은,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을 전달받아 동일하게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조임조절나사와 고정홈 조정돌기(124)를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을 통해 연결하는 제 3 밴딩부(435-3)는,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수직운동(제 4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제 5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밴딩부(435-3)는,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의한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의 회전에 따라서 이완 또는 수축함으로써, 제 4 수직운동을 발생시키는 제 5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조임연계나사(434)의 제 2 회전운동이 제 3 밴딩부(435-3)의 제 5 회전운동으로 연결되고, 제 5 회전운동으로 인해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제 4 수직운동이 발생함으로써,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에서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돌출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돌출 정도가 조정됨으로써,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 체결 헤드의 크기 등에 맞추어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임조절버튼(433), 조임연계나사(434) 및 밴딩부(435)는, 제 2 스트랩 관통홀(431), 제 1 스트랩 관통홀(122) 및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비 및/또는 크기를 함께 조절할 수도, 각각 따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축 변환부(200)의 제 2 걸림돌기(222)에 의해 제 2 가동부(400)와 고정부(100)가 결합된 경우, 조임조절버튼(433)의 제 2 회전운동에 따라서 조임연계나사(434) 및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이 회전할 수 있고, 제 1 내지 3 밴딩부(435)의 제 3 내지 5 회전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 3 내지 5 회전운동에 의해 제 2 조임돌기(432)의 제 2 수직운동, 제 1 조임돌기(123)의 제 3 수직운동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제 4 수직운동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즉, 제 2 조임돌기(432), 제 1 조임돌기(123)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의 돌출 정도가 동시에 조절되어 제 2 스트랩 관통홀(431), 제 1 스트랩 관통홀(122) 및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너비 및/또는 크기가 함께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 2 조임돌기(432), 제 1 조임돌기(123)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더 이상 상승 수직운동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너비 및/또는 크기가 감축된 경우, 해당하는 돌기를 제외한 나머지 돌기만 개별적으로 제 2 회전운동에 따른 상승 수직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조임돌기(432), 제 1 조임돌기(123)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더 이상 하강 수직운동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너비 및/또는 크기가 증가된 경우, 해당하는 돌기를 제외한 나머지 돌기만 개별적으로 제 2 회전운동에 따른 하강 수직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별적 수직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조임연계나사(434) 및/또는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은, 돌기별 밴딩부(435)가 각각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섹션(Secti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섹션은, 밴딩부(435)의 이완 또는 수축 상태, 제 2 스트랩 관통홀(431), 제 1 스트랩 관통홀(122) 또는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잔여 공간 상태 등에 따라 개별적인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조임연계나사(434) 및 조임연계나사 수용홈(112)에 형성된 섹션들의 개별적인 회전운동에 의하여, 제 2 조임돌기(432), 제 1 조임돌기(123) 및 고정홈 조정돌기(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각각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제 2 가동부(400)와 고정부(100)가 이격된 경우, 제 2 가동부(400)에 배치되어 있는 조임조절버튼(433)은, 제 2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제 2 가동부(400)에 함께 배치된 조임연계나사(434)를 회전시킬 수 있고, 조임연계나사(434)의 회전에 의해 제 2 가동부(400)에 함께 형성되어 있는 제 2 조임돌기(432)만을 조정하여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의 너비만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의 사용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부(100)와 제 2 가동부(400)를 밀착하고, 밀착된 상태에서 축 변환부(2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 1 걸림돌기(221)와 제 1 걸림턱(421)이 맞물리게 한다. 즉, 제 1 걸림돌기(221)와 제 1 걸림턱(421)에 의하여 고정부(100)와 제 2 가동부(40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된 고정부(100)의 고정부 몸체(110) 및 제 2 가동부(400)의 스트랩 견인부(430)와, 이와는 별개로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움직이는 제 1 가동부(300)의 스트랩 안내부(330) 간의 거리를 손잡이를 이용해 벌려준다.
계속해서, 케이블 타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태를 갖춘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는, 고정부(100)의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에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 체결 헤드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스트랩 체결 헤드의 규격 등에 맞추어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크기 조정이 필요한 경우, 조임조절버튼(433)을 이용하여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된 스트랩 체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은, 제 1 가이드 레일(111)을 따라 제 2 가이드 레일(331)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스트랩이 제 2 가이드 레일(331)의 단부를 초과한 부분인 초과 스트랩에 대하여 길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길이조절버튼(333)을 이용하여 초과 스트랩에 대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손잡이를 이용하여 제 1 가동부(300) 및 제 2 가동부(400)를 조정해 고정부 몸체(110)와 스트랩 안내부(330)를 밀착시킨다.
그리고 고정부 몸체(110)와 스트랩 안내부(330)가 밀착함에 따라 초과 스트랩은, 제 3 가이드 레일(125)로 진입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 3 가이드 레일(125)을 통과한 스트랩은, 스트랩 헤드 고정홈(121)에 고정되어 있는 스트랩 체결 헤드를 거쳐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을 통과하게 된다.
또한, 스트랩은, 제 1 스트랩 관통홀(122)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을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이때 스트랩은, 제 1 및 2 스트랩 관통홀에 형성된 제 1 및 2 조임돌기에 의하여,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파지될 수 있다.
다만, 상황에 따라서 스트랩은, 제 1 및 2 조임돌기 둘 다에 의해 파지될 수도 있고, 제 2 조임돌기(432)에 의해서만 파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동부(400)와 고정부(100)가 결합된 상황일 경우, 제 1 및 2 조임돌기를 모두 이용하여 유입된 스트랩을 파지해 보다 단단하게 고정시킨 후, 해당 스트랩을 잡아당겨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제 1 가동부(300)와 고정부(100)가 결합된 상황일 경우, 제 2 조임돌기(432)만을 이용해 스트랩을 파지하여, 제 2 가동부(400)가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잡아당겨 체결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가동부(300)와 고정부(100)가 결합된 상황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제 1 및/또는 2 조임돌기의 파지 조절은, 조임조절버튼(433)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각 조임돌기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의 굵기 등에 따라 제 1 스트랩 관통홀(122) 및/또는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의 너비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조임조절버튼(433)을 이용하여 제 1 스트랩 관통홀(122) 및/또는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계속해서, 고정부 몸체(110)와 스트랩 안내부(330)가 밀착된 이후, 축 변환부(20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 2 걸림돌기(222)와 제 2 걸림턱(322)이 맞물리게 한다. 즉, 제 2 걸림돌기(222)와 제 2 걸림턱(322)에 의하여 고정부(100)와 제 1 가동부(30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동시에, 고정부(100)와 제 2 가동부(400)는 이격되어 별개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결합된 고정부(100)의 고정부 몸체(110) 및 제 1 가동부(300)의 스트랩 안내부(330)와, 이와는 별개로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움직이는 제 2 가동부(400)의 스트랩 견인부(430) 간의 거리를 손잡이를 이용해 벌려준다.
그리하면, 제 2 가동부(400)의 제 2 스트랩 관통홀(431)에서 제 2 조임돌기(432)에 의해 파지되어 있던 스트랩이, 스트랩 견인부(430)의 진행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에 삽입된 케이블 타이에 대한 결속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는, 작업 환경에 의한 제약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케이블 타이 체결작업을 손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는, 가위 형상에 기초해 구현되어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물체 고정과 케이블 타이 결속작업을 수행하게 하여, 두 손이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좁은 공간, 한 손만 겨우 닿는 높은 공간 등의 작업 환경에서도 케이블 타이 체결작업을 원활히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는,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여, 나머지 한 손을 자유롭게 사용해 보다 안정성 높은 케이블 타이 결속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는, 축 기반의 운동에 기초하여 작업 중인 케이블 타이를 강하게 당겨주어, 케이블 타이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는, 별도의 전력 공급이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여, 전력을 공급받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제약없이 높은 퀄리티의 케이블 타이 결속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체결기(500)는, 다양한 케이블 타이 규격에 맞추어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고 조립식으로 구현되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케이블 타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하여,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힌지를 포함하고 케이블 타이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힌지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가동부;
    상기 고정부의 힌지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2 가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동부 또는 상기 제 2 가동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축 변환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힌지의 일측에서 장방형 판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고정부 몸체와, 상기 힌지의 타측에 상기 축 변환부와 결합되는 결합축을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몸체는, 상기 제 2 가동부의 조임연계나사와 맞물리는 원통홀 형태의 조임연계나사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연계나사가 회전함에 따라서 스트랩 헤드 고정홈의 크기가 조절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 몸체의 상측에 형성된 타이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 결속부는,
    스트랩 헤드가 고정되는 홈을 포함하는 스트랩 헤드 고정홈과, 상기 스트랩 헤드 고정홈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 1 스트랩 관통홀과, 상기 타이 결속부의 상측에 형성된 제 3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변환부는,
    상기 결합축이 삽입되는 결합홈과, 상기 제 2 가동부의 제 1 걸림턱과 맞물려 고정되는 제 1 걸림돌기 및 상기 제 1 가동부의 제 2 걸림턱과 맞물려 고정되는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변환부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턱에 맞물려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 2 가동부를 결합시키고,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2 걸림턱에 맞물려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 1 가동부를 결합시키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부는,
    상기 힌지와 조립되는 제 1 힌지홀과, 상기 제 1 힌지홀을 기준으로 아래에 형성되는 제 1 손잡이 및 상기 제 1 힌지홀을 기준으로 위에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랩 안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는,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 1 축 조정부와, 상기 제 1 축 조정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 변환부의 제 2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 2 걸림턱을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안내부는,
    상기 갈고리 형태를 따라 음각되어 형성된 제 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 말단에서 형성된 스트랩 지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안내부는,
    상기 스트랩 안내부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길이조절버튼 및 상기 길이조절버튼에 일단이 연결되는 길이조절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나사는,
    상기 길이조절버튼의 일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스트랩 안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트랩 안내부의 내부측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케이블 타이 체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부는,
    상기 힌지와 조립되는 제 2 힌지홀과, 상기 제 2 힌지홀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 2 손잡이 및 상기 제 2 힌지홀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형성되는 스트랩 견인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손잡이는,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 2 축 조정부와, 상기 제 2 축 조정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 변환부의 제 1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 1 걸림턱을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견인부는,
    상기 스트랩 견인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 2 스트랩 관통홀과, 상기 제 2 스트랩 관통홀의 아래에 배치되어 래칫 구조를 형성하는 제 2 조임돌기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견인부는,
    상기 스트랩 견인부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조임조절버튼과, 상기 조임조절버튼에 일단이 연결되는 조임연계나사 및 상기 조임연계나사와 상기 제 2 조임돌기를 연결하는 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연계나사는,
    상기 조임조절버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트랩 견인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트랩 견인부의 내부측으로 진입하며, 상기 조임조절버튼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15.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 체결 헤드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가위 형상을 가지는 가동부; 및
    상기 케이블 타이의 스트랩의 일단을 스트랩 관통홀로 이동시키는 제 1 모드와, 상기 케이블 타이를 조이는 제 2 모드를 선택하는 축 변환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체결기.
KR1020190041992A 2019-04-10 2019-04-10 케이블 타이 체결기 KR10223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992A KR102234226B1 (ko) 2019-04-10 2019-04-10 케이블 타이 체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992A KR102234226B1 (ko) 2019-04-10 2019-04-10 케이블 타이 체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603A true KR20200119603A (ko) 2020-10-20
KR102234226B1 KR102234226B1 (ko) 2021-03-31

Family

ID=7302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992A KR102234226B1 (ko) 2019-04-10 2019-04-10 케이블 타이 체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986B1 (ko) *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0434B1 (en) * 1989-03-30 1992-05-20 Bowthorpe-Hellermann Limited Automatic tie gun
JP2005343538A (ja) * 2004-06-04 2005-12-15 Sumihiro Yokoyama 挟み型結束装置を用いた結束方法
KR101449566B1 (ko) 2014-03-13 2014-10-10 주식회사 테크랜드 케이블타이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타이의 밴딩방법
KR101708877B1 (ko) * 2015-06-12 2017-02-28 장안하이텍주식회사 다용도 집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0434B1 (en) * 1989-03-30 1992-05-20 Bowthorpe-Hellermann Limited Automatic tie gun
JP2005343538A (ja) * 2004-06-04 2005-12-15 Sumihiro Yokoyama 挟み型結束装置を用いた結束方法
KR101449566B1 (ko) 2014-03-13 2014-10-10 주식회사 테크랜드 케이블타이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타이의 밴딩방법
KR101708877B1 (ko) * 2015-06-12 2017-02-28 장안하이텍주식회사 다용도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986B1 (ko) *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226B1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393B2 (en) Hand tool for wires
CN102271572B (zh) 内镜弯曲段控制机构
US8739387B1 (en) Reusable cable tie
US7126064B1 (en) Connector for affixing cables within junction boxes
US10926929B2 (en) Releasable cable tie
US6769669B2 (en) Pulling apparatus
US8429948B1 (en) Twisting device for a plurality of electrical wires and method of use thereof
DE2615821A1 (de) Kunststoffklemme
KR102234226B1 (ko) 케이블 타이 체결기
USRE31689E (en) Cable tie
KR20200113188A (ko) 해제 가능 케이블 타이
CN112171568A (zh) 手持式捆扎工具
KR101599346B1 (ko) 케이블 포설장치
JP5858412B1 (ja) 整線用器具
DE102007013644B4 (de) Zugentlastung eines Kabels für ein elektromotorisch betriebenes,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JP2016052213A (ja) 配設装置、操作具及び操作方法
US5887855A (en) Electronics installation hand tool system
US10343799B2 (en) Triggerless cable tie tension and cut tool
KR20060089049A (ko) 클램프
CN211577204U (zh) 一种升流仪接线夹辅助装置
GB2463499A (en) Two piece cable tie
CN216643783U (zh) 可手持急停装置、手柄卡托和康复训练设备
JP3541301B2 (ja) ケーブル束線具
KR101969680B1 (ko) 로프 장력 조절 연결 구조체
JPH0648915Y2 (ja) ケーブル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