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549A -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 Google Patents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549A
KR20200119549A KR1020190041852A KR20190041852A KR20200119549A KR 20200119549 A KR20200119549 A KR 20200119549A KR 1020190041852 A KR1020190041852 A KR 1020190041852A KR 20190041852 A KR20190041852 A KR 20190041852A KR 20200119549 A KR20200119549 A KR 20200119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weight
parts
repellent sheet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식
남기성
최용혁
손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델
Priority to KR102019004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549A/ko
Publication of KR2020011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549A/ko
Priority to KR1020220007610A priority patent/KR10257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100 중량부 및 마스터배치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터배치는 합성수지, 적색안료, 자외선 차단제, 활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방충시트는 곤충이 인지할 수 있는 파장영역인 자외선과 400 내지 580 나노미터의 가시광선 파장을 차단하여, LED 램프와 같은 조명의 커버로 적용되면 우수한 곤충기피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INSECT REPELLENT SHEET WHICH SHOWS A REPELLING EFFECT BY BLOCKING THE INSECT RECOGNITION WAVELENGTH}
개시된 내용은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곤충이 인지할 수 있는 파장영역인 자외선과 400 내지 580 나노미터의 가시광선 파장을 차단하여, LED 램프와 같은 조명의 커버로 적용되면 우수한 곤충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에 관한 것이다.
유해 해충 또는 동물들(모기, 파리, 바퀴벌레, 쥐, 진드기 및 개미 등)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피부 가려움증 등과 같은 피부병을 일으키며, 다양한 전염병을 매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해충들은 주거공간을 포함한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생활공간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체는 이러한 해충들에게 쉽게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각종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으로는 살충제 등의 독극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살충제 등의 독극물을 사용하는 방법은 해충을 살상함을 물론 인체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취급 및 사용에 많은 주의를 기울어야 된다.
해충을 방제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고압 나트륨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고압 나트륨등은 수명이 8천 시간 정도로 적고, 빛의 효율이 적으며, 고압방전형식이고, 빛의 연색성의 나쁜 단점이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 매우 높고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 사용량이 많아지면 주기적으로 램프를 교체해주어야 하고, 일정한 출력이 나오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381010(2014.03.27)
개시된 내용은 곤충이 인지할 수 있는 파장영역인 자외선과 400 내지 580 나노미터의 가시광선 파장을 차단하여, LED 램프와 같은 조명의 커버로 적용되면 우수한 곤충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합성수지 100 중량부 및 마스터배치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터배치는 합성수지, 적색안료, 자외선 차단제, 활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마스터배치는 합성수지 100 중량부, 적색안료 10 내지 5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 활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는 곤충이 인지할 수 있는 파장영역인 자외선과 400 내지 580 나노미터의 가시광선 파장을 차단하여, LED 램프와 같은 조명의 커버로 적용되면 우수한 곤충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시트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된 비교예 1 내지 2 및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방충시트의 곤충기피 효과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내용은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100 중량부 및 마스터배치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1 내지 5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방충시트의 두께가 1 밀리미터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곤충인지 대역의 파장을 흡수하는 성능이 저하되며, 상기 방충시트의 두께가 5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방충시트의 투명도가 저하되고 중량이 지나치게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합성수지는 개시된 방충시트에 주재료가 되는 성분으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터배치는 합성수지, 적색안료, 자외선 차단제, 활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 100 중량부, 적색안료 10 내지 5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 활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개시된 방충시트에 해충기피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마스터배치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와 상기 방충시트에 주재료가 되는 합성수지는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를 사용하면, 투명성이 우수한 방충시트가 제공되기 때문에, LED 램프의 커버용으로 방충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광량의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적색안료는 상기 마스터배치에 함유된 합성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50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가시광선 영역에서 400 내지 580 나노미터의 가시광선 파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적색안료는 RED-VIO-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적색안료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적색안료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방충시트의 투명도가 지나치게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상기 마스터배치에 함유된 합성수지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15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곤충이 감지할 수 있는 250 내지 400 나노미터 영역의 파정을 차단하여 곤충 기피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활제는 5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되며, 개시된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공성능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상기 활제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 적용될 수 있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상기 분산제는 5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되며, 개시된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를 구성하는 각 성분이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히,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적색안료와 상기 자외선 차단제가 상기 합성수지와 고르게 혼합되어 균질한 물성을 나타내는 방충시트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방충시트의 곤충기피 효과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마스터배치의 제조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적색안료(RED-VIO-R) 25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3 중량부, 활제 7 중량부 및 분산제 7 중량부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와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마스터배치 10 중량부를 압출기로 압출하여 두께가 2.5 밀리미터인 방충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활제 0.7 중량부 및 분산제 0.7 중량부를 압출기로 압출하여 두께가 2.5 밀리미터인 방충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0.3 중량부, 활제 0.7 중량부 및 분산제 0.7 중량부를 압출기로 압출하여 두께가 2.5 밀리미터인 방충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방충시트를 LED 램프의 커버로 적용한 후에 곤충기피 효과를 촬영하여 아래 도 1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방충커버는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방충커버에 비해 곤충기피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는 곤충이 인지할 수 있는 파장영역인 자외선과 400 내지 580 나노미터의 가시광선 파장을 차단하여, LED 램프와 같은 조명의 커버로 적용되면 우수한 곤충기피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합성수지 100 중량부 및 마스터배치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터배치는 합성수지, 적색안료, 자외선 차단제, 활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배치는 합성수지 100 중량부, 적색안료 10 내지 5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 활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KR1020190041852A 2019-04-10 2019-04-10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KR20200119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52A KR20200119549A (ko) 2019-04-10 2019-04-10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KR1020220007610A KR102576186B1 (ko) 2019-04-10 2022-01-19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52A KR20200119549A (ko) 2019-04-10 2019-04-10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610A Division KR102576186B1 (ko) 2019-04-10 2022-01-19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549A true KR20200119549A (ko) 2020-10-20

Family

ID=730255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852A KR20200119549A (ko) 2019-04-10 2019-04-10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KR1020220007610A KR102576186B1 (ko) 2019-04-10 2022-01-19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610A KR102576186B1 (ko) 2019-04-10 2022-01-19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195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010B1 (ko) 2007-04-03 2014-04-04 (주)엘지하우시스 인체에 무해한 천연성분을 이용하여 해충을 기피시키는플라스틱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490A (ko) * 1987-05-02 1988-12-21 김진구 함성수지 갓
JP5261319B2 (ja) * 2008-09-10 2013-08-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照明カバー
KR20140005060A (ko) * 2012-07-04 2014-01-14 이영규 야행성 해충 퇴치용 형광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300620B1 (ko) * 2012-07-19 2013-08-28 최종운 해충접근방지 기능을 갖는 발광유닛
KR20150062454A (ko) * 2013-11-29 2015-06-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크릴계 자외선 차단 고분자 및 이의 용도
KR20200107514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에스엠디텍 해충방지용 발광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010B1 (ko) 2007-04-03 2014-04-04 (주)엘지하우시스 인체에 무해한 천연성분을 이용하여 해충을 기피시키는플라스틱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186B1 (ko) 2023-09-08
KR20220015476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5443B (zh) 害虫防除装置
TWI719157B (zh) 殺蟲劑薰蒸器
JP2007000031A (ja) 生物誘引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生物誘引方法
KR102576186B1 (ko) 곤충인지 파장을 차단하여 기피효과를 나타내는 방충시트
DE112012001063T5 (de) LED-Reflektorlampe
DE102007014881A1 (de) Ultraviolett-Sperrmaterial, Ultraviolett-Sperrfilter, Entladungslampe und Beleuchtungsvorrichtung
JP6282131B2 (ja) 害虫誘引阻止方法
CN107331740A (zh) 一种具有驱虫效果的led光源用荧光粉、led光源及制备方法
DE202016101294U1 (de) Wellenlängenfilter,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und Beleuchtungs-Einrichtung
JP5213255B2 (ja) 害虫防除装置
KR20200107514A (ko) 해충방지용 발광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50639A (ja) 害虫誘引阻止シート
KR20160050466A (ko) 해충접근방지용 발광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EP1274300B1 (de) Insektenfang- und vernichtungssysteme
KR102658833B1 (ko) 방충 조성물
JP6600347B2 (ja) 建屋の出入口閉鎖用建具
JP4224612B2 (ja) 防虫用光源及び防虫用光源の作製方法
JP2009254333A (ja) 防虫光源の作成方法
CN107205370A (zh) 防虫膜及防虫罩
JP2021158936A (ja) 光を利用した虫除け
JP2010193750A (ja) 害虫防除装置
KR102492204B1 (ko) 해충 기피 조명기구
Yu-Ping et al. Phototaxis of Dendroctonus armandi adults to LED lights.
JP2009039128A (ja) 防虫用光源の作製方法
JP2004180616A (ja) 害虫の行動抑制フィルム及び行動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