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443A -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443A
KR20200119443A KR1020190041339A KR20190041339A KR20200119443A KR 20200119443 A KR20200119443 A KR 20200119443A KR 1020190041339 A KR1020190041339 A KR 1020190041339A KR 20190041339 A KR20190041339 A KR 20190041339A KR 20200119443 A KR20200119443 A KR 20200119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issue
adipose tissue
hole
biological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석
이레이 콥쿠
Original Assignee
이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석 filed Critical 이준석
Priority to KR102019004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443A/ko
Publication of KR2020011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2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mechanical forces; Stirring; Trituration; Comminu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5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entrifug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원에 기재된 모든 사항

Description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METHOD FOR SEPARATING TARGET MATERIAL FROM BIOLOGICAL TISSUE}
이하, 실시예들은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조직은 재생치료 및 미용목적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조직, 세포,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분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지방조직의 경우 일반적으로 효소를 이용하여 지방조직을 분해하고 원심분리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적절한 의료용 효소가 없고, 사용되는 효소에 독성이 있어 효소를 이용해 분해된 지방조직으로부터 획득한 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에, 효소를 사용하지 않고 지방조직으로부터 재생치료 및 미용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얻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다.
미국특허공보 제6,139,757호 (2000.10.31. 등록)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생체조직으로부터 유래하는 줄기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생체조직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생체조직을 긁고 찢음으로써, 생체조직으로부터 유래하는 타겟 물질을 충분히 확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교환 장치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교환 장치를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교환 장치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교환 장치를 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교환 장치의 일부 구조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교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크린 교환 장치를 B-B 선을 따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스크린 교환 장치를 B-B 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교환 장치(10)는 하우징(110), 디스크(120), 제1밀봉부(130), 제2밀봉부(140), 제1커버(150), 제2커버(160), 제1핸들(170), 제2핸들(180) 및 고정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디스크(120)가 결합되고 하우징(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111), 제1커버(150)가 결합되고 제1결합부(111)를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제1측에 형성된 제2결합부(112), 제2커버(160)가 결합되고 제1결합부(111)를 기준으로 제1측의 맞은편인 하우징(110)의 제2측에 형성된 제3결합부(113), 제1핸들(170)이 결합되고 제2결합부(112) 위로 하우징(110)의 제1측에 형성된 제4결합부(114) 및 제2핸들(180)이 결합되고 제3결합부(113) 위로 하우징(110)의 제2측에 형성된 제5결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120)는 축(X-X)을 구비하는 플레이트(121) 및 축(X-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생체조직을 미세화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스크린(122a, 122b, 122c, 122d, 122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밀봉부(130)는 디스크(120) 및 제1커버(150)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제1측을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제2밀봉부(140)는 디스크(120) 및 제2커버(160)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제2측을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제1커버(150)는 제1커버 플레이트(151), 제1시린지(C1)와 접속하기 위한 제1접속부(152)와 제2접속부(153) 및 제1체결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160)는 제2커버 플레이트, 제2시린지(C2)와 접속하기 위한 제3접속부와 제4접속부 및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120)와 제1커버(150) 사이 또는 디스크(120)와 제2커버(160) 사이에는 생체조직이 머무르는 여유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1핸들(170)은 제1체결부(154)와 결합하는 개구(1711)를 갖는 제1중심부(171), 제1중심부(171)로부터 제1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연장부(172), 제1중심부(172)로부터 제2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연장부(173), 제1연장부(172)의 단부에 형성된 제1플랜지(174) 및 제2연장부(173)의 단부에 형성된 제2플랜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랜지(174)는 제1원주 방향 결합 부재(1741) 및 제1길이 방향 결합 부재(17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랜지는 제2원주 방향 결합 부재 및 제2길이 방향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핸들(180)은 제2체결부와 결합하는 개구를 갖는 제2중심부, 제2중심부로부터 제3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연장부, 제2중심부로부터 제4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4연장부, 제3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3플랜지 및 제4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4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플랜지는 제3원주 방향 결합 부재 및 제3길이 방향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4플랜지는 제4원주 방향 결합 부재 및 제4길이 방향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90)는 제1핸들(170)의 제1중심부(171)의 개구(1711), 제1커버(150)의 제1체결부(154)의 개구(1541), 디스크(120)의 플레이트(121)의 개구(1211), 제2커버(160)의 제2체결부의 개구 및 제2핸들(180)의 제2중심부의 개구를 통과하는 제1고정 부재(191) 및 제2핸들(180)의 제2중심부의 개구에서 제1고정 부재(191)와 결합하는 제2고정 부재(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부재(191) 및 제2고정 부재(192)는 제1핸들(170), 제1커버(150), 디스크(120), 제2커버(160) 및 제2핸들(180)을 하우징(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시린지(C1)의 제1선단부(C12)를 제1접속부 또는 제2접속부에 접속시키고, 제2시린지(C2)의 제2선단부(C21)를 제3접속부 또는 제4접속부에 접속시킨 후, 제1핸들(170) 및 제2핸들(180) 중 적어도 하나를 축(X-X)에 대해 회전시켜 복수 개의 스크린(122a, 122b, 122c, 122d, 122e) 중 원하는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푸쉬 로드(C13) 및 제2푸쉬 로드(C23)를 제1시린지(C1)의 제1용기(C11) 및 제2시린지(C2)의 제2용기(C21) 안으로 삽입되도록, 번갈아가며 푸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용기(C11)의 생체조직이 선택된 스크린을 통해 긁히고 찢어져 그로부터 타겟 조직, 세포 및 물질이 분리되며, 생체조직이 제2용기(C21)로 전달되고, 다시 제2용기(C21)의 생체조직이 선택된 스크린을 통해 긁히고 찢어져 조직, 세포 및 타겟 물질이 추가로 분리되며, 나머지 생체조직이 제1용기(C11)로 전달될 수 있다. 반복적인 푸쉬 작용에 의해, 원하는 조직, 세포 및 타겟 물질을 충분히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조직, 세포 및 타겟 물질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1핸들(170) 및 제2핸들(180) 중 적어도 하나를 축(X-X)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스크린(122a, 122b, 122c, 122d, 122e) 중 원하는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생체조직으로부터 조직, 세포 및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을 지방조직으로부터 기질혈관분핵(stromal vascular fraction; SVF)을 분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생체조직 및 조직, 세포 및 타겟 물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과정 1] 먼저, 획득한 지방조직에 대해 저속(RCF 50g~300g)으로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과정 2] 원심분리 후 혈액요소 및 수액 등의 물질층을 제거한다.
[과정 3] 이후, 지방조직을 긁고 찢음으로써 지방조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지방조직을 이루는 조직, 세포 및 물질들의 결합을 분리한다. 이 때, 지방조직을 긁고 찢는 장치는 앞서 설명한 스크린 교환 장치를 선택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과정 4] 이후, 지방조직 및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조직, 세포 및 물질들을 다시 한번 분리하기 위해 이 물질들에 대해 고속(RCF 500g~2000g)으로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과정 5] 원심분리 후 지방조직층보다 회전 중심에서 먼 곳에 모인 기질혈관분핵(SVF)가 포함된 물질층을 분리한다.
[과정 6] 과정 3에서, 300㎛ 내지 4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통과시켜 지방조직을 긁고 찢을 수 있다.
[과정 7] 과정 6에서, 3000㎛ 내지 4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1단계, 이후 2000㎛ 내지 3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2단계, 이후 1000㎛ 내지 2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3단계, 이후 500㎛ 내지 1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4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8] 과정 7에서 제4단계 이후 300㎛ 내지 5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5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단계 9] 과정 7 및 과정 8의 각 단계별로 5회 내지 50회 지방조직을 스크린의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왕복해 이동시키며 생체조직을 미세화할 수 있다.
[단계 10] 과정 5를 수행한 후, 50㎛ 내지 200㎛의 관통공을 가지는 필터 내지 스크린으로 분리된 물질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단계 11] 과정 5를 수행한 후, 식염수 또는 증류수를 분리된 물질층과 혼합한 후, 500㎛ 내지 1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혼합된 물질층을 미세화할 수 있다.
[단계 12] 과정 11에서, 5회 내지 50회 혼합된 물질층을 스크린의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왕복해 이동시키며 생체조직을 미세화할 수 있다.
[단계 13] 과정 11이후, 혼합 물질층 및 그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고속(RCF 500g~3000g)으로 원심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4] 과정 13이후, 원심분리 후 회전중심에서 가장 먼 곳에 모인 기질혈관분핵(SVF)가 포함된 물질층을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2
[과정 1] 먼저, 획득한 지방조직에 대해 저속(RCF 50g~300g)으로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과정 2] 원심분리 후 혈액요소 및 수액 등의 물질층을 제거한다.
[과정 3] 이후, 지방조직을 긁고 찢음으로써 지방조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지방조직을 이루는 조직, 세포 및 물질들의 결합을 분리한다. 이 때, 지방조직을 긁고 찢는 장치는 앞서 설명한 스크린 교환 장치를 선택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과정 4] 이후 미세화된 지방조직을 압착하여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조직, 세포 및 물질들을 얻는다.
[과정 5] 이후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조직, 세포 및 물질들을 다시 한번 분리하기 위해 이 물질들에 대해 고속(RCF 500g~2000g)으로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과정 6] 원심분리 후 회전 중심에서 가장 먼 곳에 모인 기질혈관분핵(SVF)가 포함된 물질층을 분리한다.
[과정 7] 과정 3에서, 300㎛ 내지 4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통과시켜 지방조직을 긁고 찢을 수 있다.
[과정 8] 과정 7에서, 3000㎛ 내지 4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1단계, 이후 2000㎛ 내지 3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2단계, 이후 1000㎛ 내지 2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3단계, 이후 500㎛ 내지 1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4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9] 과정 8에서 제4단계 이후 300㎛ 내지 5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지방조직을 미세화하는 제5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단계 10] 과정 8 및 과정 9의 각 단계별로 5회 내지 50회 지방조직을 스크린의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왕복해 이동시키며 생체조직을 미세화할 수 있다.
[단계 11] 과정 6를 수행한 후, 50㎛ 내지 200㎛의 관통공을 가지는 필터내지 스크린으로 분리된 물질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단계 12] 과정 6를 수행한 후, 식염수 또는 증류수를 분리된 물질층과 혼합한 후, 500㎛ 내지 1000㎛의 관통공을 가지는 스크린으로 혼합된 물질층을 미세화할 수 있다.
[단계 13] 과정 12에서, 5회 내지 50회 혼합된 물질층을 스크린의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왕복해 이동시키며 혼합된 물질에 포함된 조직, 세포 및 물질을 미세화할 수 있다.
[단계 14] 과정 12이후, 혼합된 물질층 및 그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고속(RCF 500g~3000g)으로 원심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5] 과정 14이후, 회전중심에서 가장 먼 곳에 모인 기질혈관분핵(SVF)가 포함된 물질층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생체조직으로부터 유래하는 줄기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생체조직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생체조직을 긁고 찢음으로써, 생체조직으로부터 유래하는 조직, 세포 및 타겟 물질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

  1. 본원에 기재된 모든 사항
KR1020190041339A 2019-04-09 2019-04-09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KR20200119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39A KR20200119443A (ko) 2019-04-09 2019-04-09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39A KR20200119443A (ko) 2019-04-09 2019-04-09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443A true KR20200119443A (ko) 2020-10-20

Family

ID=7302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339A KR20200119443A (ko) 2019-04-09 2019-04-09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94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883A3 (ko) * 2021-10-22 2024-01-11 이준석 스크린 변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조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757A (en) 1996-03-28 2000-10-31 Terumo Kabushiki Kaisha Method of separating cells from blood using a filter having a changeable poros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757A (en) 1996-03-28 2000-10-31 Terumo Kabushiki Kaisha Method of separating cells from blood using a filter having a changeable poros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883A3 (ko) * 2021-10-22 2024-01-11 이준석 스크린 변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조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1463B2 (en) Multilayered blood product
KR20200119443A (ko)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Kobayashi et al. Immunohistological study of endothelin-1 and endothelin-A and B receptors in two patients with scleroderma renal crisis
KR102291728B1 (ko) 생체조직으로부터 타겟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Von Orfila et al. IgA nephropathy complicating diabetic glomerulosclerosis
WO2014104640A1 (ko) 버피코트 추출키트
JP5668075B2 (ja) 幹細胞の分離方法
CN101862564A (zh) 一种微量血样预处理系统及其制备工艺
Mor et al. Thrombotic microangiopathy early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hemolytic uremic syndrome or vascular rejection?
US20080044403A1 (en) Immune Markers Used for Diagnosis and Therapy in Connection With Transplant Reactions
Feroz et al. Cadaveric renal transplantation: Our experience at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s & research centre, institute of transplantation sciences, Ahmedabad
EP0824213B1 (en) Method for fractionating red blood cells and antibacterial materials or bacterial proliferation inhibitors produced thereby
Meunier et al. Liver transplantation for severe Lepiota helveola poisoning
Wilms et al. Desoxyribonucleinsäure-Polymerase in menschlichen Leukocyten: Enzymaktivität bei Leukämien und Virusinfektionen
WO2014158836A2 (en) Bone marrow concentrator
Acree et al. Coccidioidomycosis of the knee diagnosed by fine‐needle aspiration: A case report
JP5258765B2 (ja) 血小板富化血漿およびこれらの濃縮物を調製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20230405610A1 (en) Centrifugal piston and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having same
CN201658893U (zh) 微量血样预处理系统
KR102234849B1 (ko) 대변세균총이식액을 제조하기 위한 대변 전처리용 키트
KR101982175B1 (ko) 지방기질세포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기질세포 추출방법
Lei et al. Double Filtration Plasmapheresis (DFPP) in Severe Hypertriglyceridemia Patients-a Pilot Study.
CN105294475A (zh) 广谱的去乙酰化酶抑制剂乙酰化赖氨酸及其应用
TR2023005659T2 (tr) Ekran deği̇şti̇rme ci̇hazi ve bunu kullanarak bi̇yoloji̇k dokunun boyutunu küçültmeye yöneli̇k si̇stem ve yöntem
CN117320815A (zh) 筛网变更装置及利用其的减小活体组织大小的系统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