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424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424A
KR20200119424A KR1020190037892A KR20190037892A KR20200119424A KR 20200119424 A KR20200119424 A KR 20200119424A KR 1020190037892 A KR1020190037892 A KR 1020190037892A KR 20190037892 A KR20190037892 A KR 20190037892A KR 20200119424 A KR20200119424 A KR 20200119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cu
matching
shift le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424A/ko
Priority to US16/687,413 priority patent/US10837549B2/en
Priority to CN201911198975.9A priority patent/CN111791813A/zh
Priority to DE102019133168.4A priority patent/DE102019133168A1/de
Publication of KR2020011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6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vehicl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50Signals to an engine or m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B60K2370/1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with diagnostic check cycles; Monitoring of failures
    • F16H2061/1216Display or indication of detected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50Signals to an engine or motor
    • F16H2063/508Signals to an engine or motor for limiting transmission input torque, e.g. to prevent damage of transmission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변속기; 상기 변속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변속단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변속 레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상기 TCU로 송신하는 변속 레버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제1 신호의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메인 통신부; 상기 제2 신호의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백업 통신부; 및 각각의 변속단에 할당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비(duty ratio)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매칭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고,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적으로 변속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변속 레버의 기계적인 조작에 응답하여 액추에이터가 구동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던 기존의 변속기와 달리,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가 일반화되고 있다.
더 나아가 변속 레버의 기계적인 조작조차 필요없이 변속 레버의 조작과 그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이 모두 전자적으로 이루어지는 쉬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방식의 변속 장치가 일반화되고 있다.
다만, 변속 레버 및 변속기 사이의 통신을 해킹하여 차량을 운전자의 의도와 다르게 제어하려는 시도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변속 제어에 있어 해킹 방지를 위한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변속 레버 및 변속기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한 해킹을 감지하고, 해킹 감지에 따라 변속 레버 및 변속기 사이의 통신 규약을 변경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변속기; 상기 변속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변속단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변속 레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상기 TCU로 송신하는 변속 레버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제1 신호의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메인 통신부; 상기 제2 신호의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백업 통신부; 및 각각의 변속단에 할당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비(duty ratio)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매칭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고,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PWM 듀티비를 갖는 개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요청 신호를 상기 변속 레버 ECU에 송신하도록 상기 TCU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결정 신호를 상기 TCU에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결정 신호는, 상기 매칭 요청 신호와 동일한 PWM 듀티비를 갖거나, 상기 매칭 요청 신호와 미리 설정된 비율 만큼의 차이를 갖는 PWM 듀티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 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한 이후, 상기 차량이 시동을 끈 후 재시동하는 이벤트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매칭 코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광역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외부 서버 또는 운전자의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변속단을 파킹(parking, P)으로 체결하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거나, 시동을 끄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변속기, 상기 변속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변속단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변속 레버, 변속 레버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메인 통신부,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백업 통신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차량의 제어 방법은, 각각의 변속단에 할당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비(duty ratio)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매칭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각각 상기 메인 통신부 및 상기 백업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TCU로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고;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미리 설정된 PWM 듀티비를 갖는 개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요청 신호를 상기 변속 레버 ECU에 송신하도록 상기 TCU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결정 신호를 상기 TCU에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결정 신호는, 상기 매칭 요청 신호와 동일한 PWM 듀티비를 갖거나, 상기 매칭 요청 신호와 미리 설정된 비율 만큼의 차이를 갖는 PWM 듀티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 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한 이후, 상기 차량이 시동을 끈 후 재시동하는 이벤트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매칭 코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광역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외부 서버 또는 운전자의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변속단을 파킹(parking, P)으로 체결하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거나, 시동을 끄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변속 레버 및 변속기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한 해킹을 감지하고, 해킹 감지에 따라 변속 레버 및 변속기 사이의 통신 규약을 변경함으로써, 변속 제어에 대한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인 통신부를 통하여 변속 제어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저장된 복수의 매칭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 중 매칭 코드를 변경하는 경우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인 통신부를 통하여 변속 제어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변속단(파킹(parking, P), 후진(reverse, R), 중립(neutral, N) 및 주행(drive, D))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으로 변속하도록 구성되는 변속기(110)와, 변속기(11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120)와, 운전자로부터 변속단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변속 레버(130)와, 변속단 변경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TCU(120)로 송신하는 변속 레버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차량(10)에 포함된 각종 구성을 제어하며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150)와,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메인 통신부(160) 및 백업 통신부(170)와, 외부 서버 등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80)와, 운전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30)를 통하여 입력된 변속단 변경에 대한 입력을 TCU(120)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TCU(120)는, 변속 레버(130)의 조작 시 발생하는 전기 신호 즉,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변속 레버 ECU(140)로부터 수신하고,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변속기(110)로 출력할 수 있다.
TCU(12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운전자는 노브(135)의 전진 조작 또는 후진 조작을 통해 각각 파킹(P), 후진(R), 중립(N) 및 주행(D)에 해당하는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변속 레버(130)의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속단을 입력할 수 있는 물리 버튼,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ECU(140)는, 변속 레버(130)를 통한 운전자의 변속단 변경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신호를 메인 통신부(160) 및 백업 통신부(170)를 통하여 TCU(120)에 송신할 수 있다.
변속 레버 ECU(14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변속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10)의 변속 시스템은, SBW(shift by wir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SBW 방식의 변속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30)의 조작 시 발생하는 전기 신호가 TCU(120)를 통해 변속기(110)에 전달되어 변속이 이루어진다. SBW 방식의 변속 시스템은, 전기적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가 전달되어 변속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변속 레버의 기계적 움직임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 기존의 변속 시스템과 구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메인 통신부(160)를 통한 변속 제어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는 경우,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사이의 통신 규약을 변경하여 해킹으로 인한 외부의 전기 신호에 의한 변속기(110) 제어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0)은, 변속 제어에 대한 해킹 여부 판단을 위하여,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은, 메인 통신부(160) 및 백업 통신부(170)와 같이 두 개의 통신부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다만, 통신부의 개수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0)은,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둘 이상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10)이 메인 통신부(160) 및 백업 통신부(1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각각의 변속단에 할당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비(duty ratio)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매칭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통신 규약의 일종에 해당하는 매칭 코드 중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각각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각각 메인 통신부(160) 및 백업 통신부(170)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통신부(160)는,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 CAN FD(flexible date-rate) 통신 및 Flex-Ray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메인 통신부(160)가 수행하는 통신 유형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통신 유형에 해당하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업 통신부(170)는, PWM 통신 및 SENT(single edge nibble transmission)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백업 통신부(170)가 수행하는 통신 유형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통신 유형에 해당하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변속 레버 ECU(140)는, 메인 통신부(160)의 통신 유형에 대응하여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메인 통신부(160)를 통하여 TCU(120)에 송신하며, 백업 통신부(170)의 통신 유형에 대응하여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백업 통신부(170)를 통하여 TCU(1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통신부(160)에 해킹 장치(300)가 접속하여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해킹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메인 통신부(160)에 접속할 수 있으며, 메인 통신부(16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대응하는 매칭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해킹 장치(300)는,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마치 변속 레버 ECU(140)에서 송신된 것과 같이 제1 신호를 TCU(120)에 송신함으로써, 변속 제어에 대한 해킹을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10) 외부의 해킹 장치(300)의 동작에 따라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제어부(150)는, 매칭 코드를 변경함으로써 해킹 장치(300)로부터 송신되는 제1 신호가 TCU(120) 상에서 배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통신 규약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사이의 통신 규약을 변경할 수 있다.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사이의 통신 규약을 변경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50)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80)는, 외부 서버 또는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 등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80)는, 광역 통신망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5G(5th Generation),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운전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대시 보드의 중앙에 설치된 센터페시아에 마련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는,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차량(10) 내부에 마련되어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10) 내부에 마련되어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패널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10)의 제어블록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차량(10)이 차량(10)의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사이의 통신 규약에 해당하는 매칭 코드를 변경하는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에 저장된 복수의 매칭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에 포함된 메모리는,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사이의 통신 규약에 해당하는 매칭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는, 각각의 변속단에 할당된 PWM 듀티비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매칭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매칭 코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변속단(파킹(P), 후진(R), 중립(N) 및 주행(D))에 할당된 PWM 듀티비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매칭 코드는, 변속단 파킹(P)에 육십 퍼센트(60%)의 PWM 듀티비를 할당하고, 제2 매칭 코드는, 변속단 파킹(P)에 칠십 퍼센트(70%)의 PWM 듀티비를 할당하고, 제3 매칭 코드는, 변속단 파킹(P)에 팔십 퍼센트(80%)의 PWM 듀티비를 할당하여, 각 매칭 코드에서 변속단 파킹(P)에 할당된 PWM 듀티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는, 복수의 매칭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각각은,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가 무엇인지 식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PWM 듀티비를 갖는 개시 신호(예: 오 퍼센트(5%))를 송신하도록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는, 각각 상대로부터 수신된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매칭 코드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매칭 코드 중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 사이의 통신을 위한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요청 신호를 변속 레버 ECU(140)에 송신하도록 TCU(120)를 제어하고,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결정 신호를 TCU(120)에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매칭 코드는, 매칭 요청 신호 및 매칭 결정 신호에 할당된 PWM 듀티비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매칭 코드는, 매칭 요청 신호에 십 퍼센트(10%)의 PWM 듀티비를 할당하고, 제2 매칭 코드는, 매칭 요청 신호에 십오 퍼센트(15%)의 PWM 듀티비를 할당하고, 제3 매칭 코드는, 매칭 요청 신호에 십 퍼센트(20%)의 PWM 듀티비를 할당하여, 각 매칭 코드에서 매칭 요청 신호에 할당된 PWM 듀티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각 매칭 코드는, 매칭 결정 신호에 각 매칭 코드에서의 매칭 요청 신호와 동일한 PWM 듀티비를 할당하거나, 각 매칭 코드에서의 매칭 요청 신호와 미리 설정된 비율 만큼의 차이(예: 이 퍼센트(2%))를 갖는 PWM 듀티비를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변속 레버 ECU(140)는, TCU(120)로부터 수신된 매칭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매칭 코드가 통신을 위해 결정된 매칭 코드임을 식별할 수 있으며,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결정 신호를 TCU(120)로 송신할 수 있다. TCU(120) 역시, 변속 레버 ECU(140)로부터 수신한 매칭 결정 신호가 통신을 위해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것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는, 결정된 매칭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상호간의 통신 규약으로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개시 신호, 매칭 요청 신호, 매칭 결정 신호 각각은, 메인 통신부(160) 및 백업 통신부(17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송수신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칭 코드 별 각각의 변속단에 할당된 PWM 듀티비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한 바,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대한 해킹이 있는 경우,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로의 변경을 통하여, 해킹에 의한 신호를 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복수의 매칭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하고,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PWM 듀티비를 갖는 개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하고,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요청 신호를 변속 레버 ECU(140)에 송신하도록 TCU(120)를 제어하고,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결정 신호를 TCU(120)에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는,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상호간의 통신 규약으로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10) 외부의 해킹 장치(300)의 동작에 따라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제어부(150)는, 매칭 코드를 변경함으로써 해킹 장치(300)로부터 송신되는 제1 신호가 TCU(120) 상에서 배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외부 서버는, 차량(10)의 경비를 담당하는 사설 경비 업체의 서버에 해당할 수 있으며, 경찰의 신고 접수를 위한 서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즉, 차량(10)은, 외부 서버로 차량(10)에 대한 해킹을 신고함으로써, 해킹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변속단을 파킹(parking, P)으로 체결하도록 변속기(110)를 제어하거나, 시동을 끄도록 차량(10)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 발생에 기초하여 수시로 매칭 코드를 변경함으로써, 단일 매칭 코드로의 통신이 지속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해킹의 위험성을 경감할 수 있다.
이 때,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제어부(150)가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한 이후, 차량(10)이 시동을 끈 후 재시동하는 이벤트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매칭 코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차량(10)의 제어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방법 중 매칭 코드를 변경하는 경우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복수의 매칭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510), 결정된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520).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동일한 경우(530의 예),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나타내는 동작 명령에 따라 변속기(11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TCU(120)를 제어할 수 있다(540).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530의 아니오),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560),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570).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PWM 듀티비를 갖는 개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하고,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요청 신호를 변속 레버 ECU(140)에 송신하도록 TCU(120)를 제어하고,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결정 신호를 TCU(120)에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는,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상호간의 통신 규약으로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10) 외부의 해킹 장치(300)의 동작에 따라 TCU(120)에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제어부(150)는, 매칭 코드를 변경함으로써 해킹 장치(300)로부터 송신되는 제1 신호가 TCU(120) 상에서 배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550의 예)에도,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560), 결정된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TCU(120) 및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할 수 있다(570).
즉, 제어부(150)는,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 발생에 기초하여 수시로 매칭 코드를 변경함으로써, 단일 매칭 코드로의 통신이 지속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해킹의 위험성을 경감할 수 있다.
이 때,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제어부(150)가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변속 레버 ECU(140)를 제어한 이후, 차량(10)이 시동을 끈 후 재시동하는 이벤트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매칭 코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차량 110: 변속기
120: TCU 130: 변속 레버
140: 변속 레버 ECU 150: 제어부
160: 메인 통신부 170: 백업 통신부
180: 통신부 19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20)

  1. 변속기;
    상기 변속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변속단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변속 레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상기 TCU로 송신하는 변속 레버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제1 신호의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메인 통신부;
    상기 제2 신호의 송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백업 통신부; 및
    각각의 변속단에 할당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비(duty ratio)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매칭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고,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PWM 듀티비를 갖는 개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요청 신호를 상기 변속 레버 ECU에 송신하도록 상기 TCU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결정 신호를 상기 TCU에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결정 신호는,
    상기 매칭 요청 신호와 동일한 PWM 듀티비를 갖거나, 상기 매칭 요청 신호와 미리 설정된 비율 만큼의 차이를 갖는 PWM 듀티비를 갖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 를 제어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한 이후, 상기 차량이 시동을 끈 후 재시동하는 이벤트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매칭 코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차량.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광역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외부 서버 또는 운전자의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변속단을 파킹(parking, P)으로 체결하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거나, 시동을 끄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11. 변속기, 상기 변속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변속단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변속 레버, 변속 레버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메인 통신부,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백업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변속단에 할당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비(duty ratio)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매칭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변속단 변경에 대한 동작 명령을 나타내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각각 상기 메인 통신부 및 상기 백업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TCU로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고;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PWM 듀티비를 갖는 개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TCU 및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요청 신호를 상기 변속 레버 ECU에 송신하도록 상기 TCU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대응하는 매칭 결정 신호를 상기 TCU에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결정 신호는,
    상기 매칭 요청 신호와 동일한 PWM 듀티비를 갖거나, 상기 매칭 요청 신호와 미리 설정된 비율 만큼의 차이를 갖는 PWM 듀티비를 갖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매칭 코드 중 다른 하나의 매칭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 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매칭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 ECU를 제어한 이후, 상기 차량이 시동을 끈 후 재시동하는 이벤트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코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매칭 코드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이미지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광역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외부 서버 또는 운전자의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TCU에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 명령이 상이한 경우, 변속단을 파킹(parking, P)으로 체결하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거나, 시동을 끄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90037892A 2019-04-01 2019-04-01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19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92A KR20200119424A (ko) 2019-04-01 2019-04-01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6/687,413 US10837549B2 (en) 2019-04-01 2019-11-18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911198975.9A CN111791813A (zh) 2019-04-01 2019-11-29 车辆及其控制方法
DE102019133168.4A DE102019133168A1 (de) 2019-04-01 2019-12-05 Fahrzeu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92A KR20200119424A (ko) 2019-04-01 2019-04-01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424A true KR20200119424A (ko) 2020-10-20

Family

ID=7260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892A KR20200119424A (ko) 2019-04-01 2019-04-01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37549B2 (ko)
KR (1) KR20200119424A (ko)
CN (1) CN111791813A (ko)
DE (1) DE1020191331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631A (ko) * 2020-10-16 2022-04-25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시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2222A (ja) 1996-09-06 1998-03-31 Miwa Lock Co Ltd トランスミッタ及びトランスミッタ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30001665A (ko) 2001-06-26 2003-01-08 주식회사 미니맥스 소프트웨어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와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관리시스템
JP2005170247A (ja) * 2003-12-11 2005-06-30 Alps Electric Co Ltd ギアシフト装置
JP4856405B2 (ja) * 2005-07-27 2012-01-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変速装置、自動二輪車、及び車両
US8204712B2 (en) * 2008-10-07 2012-06-19 Eaton Corporation Ternary sensor inputs
US8521380B2 (en) * 2009-08-04 2013-08-27 Eaton Corporation Shift rail transmission position sensing with tolerance for sensor loss
EP2909065B1 (en) 2012-10-17 2020-08-26 Tower-Sec Ltd. A device for detection and prevention of an attack on a vehicle
KR102592201B1 (ko) 2016-11-24 2023-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통신 보안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57554B1 (ko) 2017-11-14 2018-05-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에 대한 외부 데이터 침입 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631A (ko) * 2020-10-16 2022-04-25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시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37549B2 (en) 2020-11-17
US20200309257A1 (en) 2020-10-01
CN111791813A (zh) 2020-10-20
DE102019133168A1 (de)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27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Bluetooth connection using Bluetooth dual mode
US8306521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with data reprogrammable vi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452388B2 (en)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for vehicle and the vehicle using of the same
KR2020011942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916992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hifting a transmission gear
CN113169924A (zh) 车辆功能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车辆
EP3796157B1 (en) Apparatus for over the air updat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for
US20120045999A1 (en) Adaptive array antenna device and antenna control method
US20070008305A1 (en) Multiple function radio bezel interface
US20110093196A1 (en) Method for displaying activity information on a navigation device and related navigation device
JP2010233219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の消費電力低減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2242427B1 (ko) 신호 방향 탐지 장치 및 방법
US11443632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491710B2 (ja) DVOR(DopplerVHFOmnidirectionalRadioRange)システム、モニタ装置及びDVOR装置監視方法
CN113631463B (zh) 用于运行机动车辆的方法、机动车辆和电脑程序产品
US66750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for use in an automobile
JP201212355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61837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uiding an operator of a vehicle during a vehicle-sharing session
WO2017221393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11937205B2 (en) Base station device, base-station management system, server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230300575A1 (en) Telematics terminal and method of changing communication setting of telematics terminal
JP2013192133A (ja) 受信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10855772B2 (en) Vehicle, hub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20123932A (ja) 映像受信装置及び映像受信方法
JP4932335B2 (ja) 列車放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