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332A -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332A
KR20200119332A KR1020207026797A KR20207026797A KR20200119332A KR 20200119332 A KR20200119332 A KR 20200119332A KR 1020207026797 A KR1020207026797 A KR 1020207026797A KR 20207026797 A KR20207026797 A KR 20207026797A KR 20200119332 A KR20200119332 A KR 20200119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band
filter
signal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895B1 (ko
Inventor
모토지 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11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Correlator structure
    • H04B1/7093Matched filte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Abstract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은 송신 증폭 회로(61 및 62)와, 공통 단자(110)와 송신 증폭 회로(61) 사이에 접속되어 밴드 A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송신 필터(11T)와,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어 소정 통신 밴드의 수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의 송신 신호와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의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가 상기 통과 대역과 중복되는 수신 필터(11R)와, 송신 증폭 회로(61)의 출력 단자와 송신 필터(11T)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1)에 배치되어 밴드 A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또한 밴드 B의 송신 대역을 감쇠 대역으로 하는 대역 제거 필터(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주파수 대역(통신 밴드)을 동시에 사용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방식을 멀티 밴드화 및 멀티 모드화에 대응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에 적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2B)에는 제 1 송신 회로와 제 2 송신 회로를 갖는 전자 시스템(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의 회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송신 회로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제 1 주파수 대역군)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전력 증폭기와, 제 1 안테나 스위치와, 제 1 전력 증폭기와 제 1 안테나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 1 신호 경로에 배치된 제 1 대역 선택 스위치와, 제 1 대역 선택 스위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필터(듀플렉서)를 갖고 있다. 제 2 송신 회로는 다른 주파수 영역(제 2 주파수 대역군)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전력 증폭기와, 제 2 안테나 스위치와, 제 2 전력 증폭기와 제 2 안테나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 2 신호 경로에 배치된 제 2 대역 선택 스위치와, 제 2 대역 선택 스위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2 필터(듀플렉서)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송신 회로로부터 출력된 제 1 고주파 송신 신호와, 제 2 송신 회로로부터 출력된 제 2 고주파 송신 신호를 동시 송신하는, 소위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7-17691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실행될 경우 제 2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제 2 고주파 송신 신호가 제 1 신호 경로를 전파(傳搬)하고, 상기 제 2 고주파 송신 신호와, 제 1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되어 제 1 신호 경로를 전파하는 제 1 고주파 송신 신호에 의하여 제 1 필터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상호 변조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가 제 1 필터에 포함되는 하나의 수신 필터의 통과 대역과 중복될 경우 상기 상호 변조 왜곡이 상기 하나의 수신 필터를 통과하고, 상기 하나의 수신 필터가 배치된 수신 경로에 있어서의 수신 감도가 열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송신 신호의 상호 변조 왜곡에 의한 수신 감도의 열화가 억제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은 제 1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의 제 1 송신 신호의 송신과, 상기 제 1 통신 밴드와 상이한 제 2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신호의 송신과, 소정 통신 밴드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이며, 공통 단자와,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갖고, 상기 입력 단자에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해서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제 1 송신 증폭 회로와, 고주파 신호를 증폭해서 출력하는 제 2 송신 증폭 회로와,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1 송신 필터와, 상기 공통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소정 통신 밴드의 수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1 수신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신 필터의 상기 통과 대역은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송신 신호와 상기 제 2 송신 증폭 회로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와 중복되고, 상기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제 1 송신 필터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 2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감쇠 대역으로 하는 대역 제거 필터를 구비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송신 신호의 상호 변조 왜곡에 의한 수신 감도의 열화가 억제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통신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에 의한 통신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의 변형예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의 변형예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3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의 회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모두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어지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및 접속 형태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구성 요소의 크기 또는 크기의 비는 반드시 엄밀하지는 않다.
(실시형태 1)
[1.1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 및 통신 장치(5)의 구성]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통신 장치(5)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5)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과, 안테나 회로(2)와, RF 신호 처리 회로(RFIC)(3)와,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회로(BBIC)(4)를 구비한다.
RFIC(3)는 안테나 회로(2)에서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RF 신호 처리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RFIC(3)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의 수신 신호 경로를 통해 입력된 고주파 수신 신호를 다운 컨버터 등에 의해 신호 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해서 생성된 수신 신호를 BBIC(4)로 출력한다. 또한, RFIC(3)는 BBIC(4)로부터 입력된 송신 신호를 업 컨버터 등에 의해 신호 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해서 생성된 고주파 송신 신호를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의 송신 신호 경로에 출력한다.
BBIC(4)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을 전파하는 고주파 신호보다 저주파의 중간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신호 처리하는 회로이다. BBIC(4)에서 처리된 신호는, 예를 들면 화상 표시를 위한 화상 신호로서 사용되고, 또는 스피커를 통한 통화를 위해 음성 신호로서 사용된다.
또한, RFIC(3)는 사용되는 통신 밴드(주파수 대역)에 의거하여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이 갖는 스위치 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RFIC(3)는 제어 신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이 갖는 스위치 회로의 접속을 스위칭한다. 또한, 제어부는 RFIC(3)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 또는 BBIC(4)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안테나 회로(2)는 안테나 소자(21 및 22)를 갖는다. 안테나 소자(21)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의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어 후술하는 밴드 A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 신호를 우선적으로 방사 송신하고 또한 수신한다. 안테나 소자(22)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의 공통 단자(120)에 접속되어 후술하는 밴드 B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 신호를 우선적으로 방사 송신하고 또한 수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장치(5)에 있어서 안테나 회로(2) 및 BBIC(4)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이어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은 공통 단자(110 및 120)와, 송신 증폭 회로(61 및 62)와, 수신 증폭 회로(71 및 72)와, 송신 필터(11T 및 12T)와, 수신 필터(11R 및 12R)와, 대역 제거 필터(50)를 구비한다.
공통 단자(110)는 안테나 소자(21), 송신 필터(11T)의 출력단, 및 수신 필터(11R)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공통 단자(120)는 안테나 소자(22), 송신 필터(12T)의 출력단, 및 수신 필터(12R)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 증폭 회로(61)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송신 증폭 회로이며, 후술하는 밴드 A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을 갖는 전력 증폭 회로이다. 또한, 송신 증폭 회로(62)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송신 증폭 회로이며, 후술하는 밴드 B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을 갖는 전력 증폭 회로이다.
수신 증폭 회로(71)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수신 증폭 회로이며, 후술하는 밴드 A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 및 잡음 지수를 갖는 저잡음 증폭 회로이다. 또한, 수신 증폭 회로(72)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수신 증폭 회로이며, 후술하는 밴드 B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 및 잡음 지수를 갖는 저잡음 증폭 회로이다.
송신 필터(11T)는 출력 단자가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송신 증폭 회로(61)와 공통 단자(11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1)에 배치되고,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에 포함되는 제 1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밴드 A(제 1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A-T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1 송신 필터이다. 또한, 송신 필터(12T)는 출력 단자가 공통 단자(120)에 접속되고, 송신 증폭 회로(62)와 공통 단자(12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2)에 배치되고,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에 포함되는 제 2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밴드 B(제 2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B-T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송신 필터이다.
수신 필터(11R)는 입력 단자가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수신 증폭 회로(71)와 공통 단자(11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41)에 배치되고, 밴드 A(소정 통신 밴드 또는 제 1 통신 밴드)의 수신 대역(A-R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1 수신 필터이다. 여기에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송신 신호와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는 수신 필터(11R)의 통과 대역과 중복되어 있다. 또한, 수신 필터(12R)는 입력 단자가 공통 단자(120)에 접속되고, 수신 증폭 회로(72)와 공통 단자(12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42)에 배치되고, 밴드 B(제 2 통신 밴드)의 수신 대역(B-R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수신 필터이다.
송신 필터(11T)와 수신 필터(11R)는 밴드 A를 통과 대역으로 하는 듀플렉서를 구성하고 있으며, 송신 필터(12T)와 수신 필터(12R)는 밴드 B를 통과 대역으로 하는 듀플렉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은 통신 밴드 A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A의 수신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통신 밴드 A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A의 수신 신호의 수신이 동시에 실행될 경우 신호 경로(31)에 있어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된 제 1 송신 신호에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된 제 2 송신 신호가 중첩되는 것이 상정된다. 특히, 신호 경로(31 및 32)가 근접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신호 경로(31)를 전파하는 제 2 송신 신호가 커진다. 예를 들면,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이 송신 증폭 회로(61)와 송신 증폭 회로(62)를 동일 기판 내에 배치하는 것과 같이 1 모듈화되었을 경우 신호 경로(31)에 있어서 제 1 송신 신호에 중첩되는 제 2 송신 신호가 커진다.
상기와 같이 중첩된 고주파 신호가 송신 필터(11T)에 입력되면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제 1 송신 신호와 제 2 송신 신호의 상호 변조 왜곡이 발생한다. 이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가 수신 필터(11R)의 통과 대역과 중복될 경우 상기 상호 변조 왜곡이 공통 단자(110)를 경유해서 수신 필터(11R)를 통과하여 수신 경로(41)를 전파한다. 수신 경로(41)를 전파하는 수신 신호는 송신 신호와 비교해서 미약하기 때문에 상기 수신 신호에 상기 상호 변조 왜곡이 중첩되면 밴드 A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감도를 열화시키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은 밴드 A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A의 수신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통 단자(110)와,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증폭 회로(61 및 62)와, 출력 단자가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된 제 1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밴드 A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송신 필터(11T)와, 입력 단자가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제 1 송신 신호와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된 제 2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가 통과 대역과 일부 중복되는 수신 필터(11R)와, 송신 증폭 회로(61)의 출력 단자와 송신 필터(11T)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1)에 배치되고, 밴드 A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또한 밴드 B의 송신 대역을 감쇠 대역으로 하는 대역 제거 필터(50)를 구비한다. 즉,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은 송신 증폭 회로(61)의 출력 단자와 송신 필터(11T) 사이의 신호 경로(31) 상에 배치되고, 밴드 A(제 1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또한 밴드 B(제 2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감쇠 대역으로 하는 대역 제거 필터(50)를 갖고 있다.
이 대역 제거 필터(50)의 배치에 의하면 송신 필터(11T)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필터(11R)를 통과하는 밴드 A의 고주파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역 제거 필터(50)는 송신 증폭 회로(61)의 출력 단자와 송신 필터(11T) 사이의 신호 경로(31)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송신 필터(11T)를 향하는 제 1 송신 신호는 누락 없이 대역 제거 필터(50)를 통과한다. 따라서,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을 고효율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멀티 업링크가 실행될 경우에 있어서의 상호 변조 왜곡에 의한 수신 감도의 열화가 억제된 통신 장치(5)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역 제거 필터(50)는, 예를 들면 밴드 B(제 2 통신 밴드) 송신 대역에 복수의 감쇠극을 갖는 필터이지만 상기 송신 대역에 1개의 감쇠극을 갖는 노치 필터이어도 좋다. 또한, 대역 제거 필터(50)는 상기 송신 대역 이외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필터이지만 상기 통과 대역으로서 적어도 밴드 A(제 1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에서는 밴드 A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동일한 밴드 A의 수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수신 필터(11R)에 상기 상호 변조 왜곡이 통과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는 필터 중 수신 필터(11R)가 송신 필터(11T)와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었을 경우이어도 상기 상호 변조 왜곡의 성분이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의 수신 감도의 억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밴드 A에 대응한 신호 경로(31)가 형성되고, 밴드 B에 대응한 신호 경로(32)가 형성된 회로 구성을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송신 증폭 회로(61)와 공통 단자(110) 사이에 추가로 밴드 A 이외의 타밴드에 대응한 신호 경로가 형성되거나, 또는 송신 증폭 회로(62)와 공통 단자(120) 사이에 추가로 밴드 B 이외의 타밴드에 대응한 신호 경로가 형성된 회로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 및 실시형태 2에 의해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에 있어서 수신 필터(12R), 송신 필터(12T), 수신 증폭 회로(71 및 72)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회로(2)는 2개의 안테나 소자(21 및 22)를 갖는 구성으로 했지만 안테나 회로(2)를 구성하는 안테나 소자는 1개이어도 좋다. 즉, 공통 단자(110)와 공통 단자(120)가 동일한 1개의 안테나 소자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 내에서 공통 단자(110 및 120)가 1개의 공통 단자로서 결합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송신 필터(11T 및 12T), 수신 필터(11R 및 12R), 및 대역 제거 필터(50)로서는 탄성 표면파 필터, BAW(Bulk Acoustic Wave)를 사용한 탄성파 필터, LC 공진 필터, 및 유전체 필터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 필터의 재료 및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송신 증폭 회로(61 및 62) 및 수신 증폭 회로(71 및 72)는, 예를 들면 CMOS 또는 GaAs를 재료로 하는 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FET), 헤테로바이폴러 트랜지스터(HBT)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은,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각 필터 및 각 증폭 회로가 실장 기판에 실장된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에 있어서 송신 증폭 회로(61 및 62)는 동일 기판 또는 동일 패키지 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제 2 송신 신호가 신호 경로(31)에 전파하기 용이한 구성이 된다. 그러나 본 구성이어도 신호 경로(31) 상에 대역 제거 필터(5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송신 필터(11T)에 입력되는 고주파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증폭 회로(61 및 62)가 동일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을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수신 필터(11R)를 통과하는 고주파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1.2 변형예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A) 및 통신 장치(5A)의 구성]
도 2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에 의한 통신 장치(5A)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5A)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A)과, 안테나 회로(2)와, RFIC(3)와, BBIC(4)를 구비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어진 통신 장치(5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통신 장치(5)와 비교해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A)의 회로 구성만이 상이하다.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A)은 공통 단자(110 및 120)와, 송신 증폭 회로(61, 62, 및 63)와, 수신 증폭 회로(71, 72, 및 73)와, 송신 필터(11T, 12T, 및 13T)와, 수신 필터(11R, 12R, 및 13R)와, 대역 제거 필터(50)를 구비한다.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A)은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과 비교해서 송신 증폭 회로(63), 수신 증폭 회로(73), 송신 필터(13T), 수신 필터(13R)가 부가되어 있는 점이 구성으로서 상이하다. 이하,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A)에 대해서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과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송신 증폭 회로(63)는 후술하는 밴드 C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을 갖는 전력 증폭 회로이다. 수신 증폭 회로(73)는 후술하는 밴드 A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 및 잡음 지수를 갖는 저잡음 증폭 회로이다.
송신 필터(13T)는 출력 단자가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송신 증폭 회로(63)와 공통 단자(11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3)에 배치되고, 송신 증폭 회로(63)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밴드 C의 송신 대역(C-T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필터이다.
수신 필터(13R)는 입력 단자가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수신 증폭 회로(73)와 공통 단자(11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43)에 배치되고, 밴드 C(소정 통신 밴드)의 수신 대역(C-R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1 수신 필터이다. 여기에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송신 신호와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는 수신 필터(13R)의 통과 대역과 중복되어 있다. 수신 필터(13R)는 밴드 A와 상이한 밴드 C의 수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필터이다.
송신 필터(11T)와 수신 필터(11R)는 밴드 A를 통과 대역으로 하는 듀플렉서를 구성하고 있으며, 송신 필터(13T)와 수신 필터(13R)는 밴드 C를 통과 대역으로 하는 듀플렉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송신 필터(11T), 수신 필터(11R), 송신 필터(13T), 및 수신 필터(13R)는 모두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어 밴드 A 및 밴드 C의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쿼드플렉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A)은 밴드 A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C의 수신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상술한 밴드 A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C의 수신 신호의 수신이 동시에 실행될 경우 신호 경로(31)에 있어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된 제 1 송신 신호에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된 제 2 송신 신호가 중첩되는 것이 상정된다. 상기 중첩된 고주파 신호가 송신 필터(11T)에 입력되면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제 1 송신 신호와 제 2 송신 신호의 상호 변조 왜곡이 발생한다. 이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가 수신 필터(13R)의 통과 대역의 주파수와 중복될 경우 상기 상호 변조 왜곡이 공통 단자(110)를 경유해서 수신 필터(13R)를 통과하여 밴드 C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우려된다.
이에 대하여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A)에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송신 증폭 회로(61)의 출력 단자와 송신 필터(11T) 사이의 신호 경로(31) 상에 배치되고, 밴드 A(제 1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또한 밴드 B(제 2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감쇠 대역으로 하는 대역 제거 필터(50)를 갖고 있다.
이렇게 대역 제거 필터(50)를 배치함으로써 송신 필터(11T)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필터(13R)를 통과하는 밴드 C의 고주파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에서는 밴드 A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동일한 밴드 A의 수신 대역의 수신 감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A)에서는 밴드 A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상이한 밴드 C의 수신 대역의 수신 감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1.3 변형예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B)의 구성]
도 3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B)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B)은 공통 단자(110 및 120)와, 송신 증폭 회로(64 및 62)와, 수신 증폭 회로(71 및 72)와, 송신 필터(11T 및 12T)와, 수신 필터(11R 및 12R)와, 대역 제거 필터(50)를 구비한다.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B)은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과 비교해서 송신 증폭 회로(61)가 송신 증폭 회로(64)로 교체되어 있는 점이 구성으로서 상이하다. 이하,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B)에 대해서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과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송신 증폭 회로(64)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송신 증폭 회로이며, 밴드 A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을 갖는 전력 증폭 회로이다. 송신 증폭 회로(64)는 송신 증폭 회로(64)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서로 종속 접속(직렬 접속)된 증폭기(64a 및 64b)를 갖고 있다. 증폭기(64a 및 64b) 중 증폭기(64b)는 송신 증폭 회로(64)의 최후단에 배치된 증폭기이며, 송신 증폭 회로(64)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증폭기가 종속 접속된 송신 증폭 회로에서는 잡음 특성을 효율 좋게 개선하기 위해 소신호 레벨의 단계에서 제 2 송신 신호를 감쇠시키는 대역 제거 필터를 배치하는 것이 상정된다. 즉, 전단의 증폭기(64a)와 후단의 증폭기(64b) 사이에 상기 대역 제거 필터가 배치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전단의 증폭기(64a)로부터의 출력 시점에서의 제 2 송신 신호의 중첩 성분은 상기 대역 제거 필터에 의해 감쇠할 수 있지만, 후단의 증폭기(64b)로부터의 출력 시점에서의 제 2 송신 신호의 중첩 성분은 상기 대역 제거 필터에서는 감쇠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변형예에 의한 대역 제거 필터(50)는 송신 증폭 회로(64)의 최후단의 증폭기(64b)와 송신 필터(11T) 사이에 배치되므로 모든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시점에서의 제 2 송신 신호의 중첩 성분을 빠짐없이 감쇠할 수 있으므로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을 고효율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에 대하여 밴드 선택용의 스위치가 부가 배치된 구성을 갖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을 나타낸다.
[2.1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의 구성]
도 4는 실시형태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은 공통 단자(110 및 120)와, 송신 증폭 회로(61 및 62)와, 수신 증폭 회로(71, 72, 및 74)와, 송신 필터(11T, 12T, 및 14T)와, 수신 필터(11R, 12R, 및 14R)와, 대역 제거 필터(50)와, 스위치(81 및 82)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은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과 비교해서 수신 증폭 회로(74), 송신 필터(14T), 수신 필터(14R), 및 스위치(81 및 82)가 부가되어 있는 점이 구성으로서 상이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에 대해서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과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수신 증폭 회로(74)는 후술하는 밴드 D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 및 잡음 지수를 갖는 저잡음 증폭 회로이다.
송신 필터(14T)는 출력 단자가 스위치(82)를 통해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송신 증폭 회로(61)와 공통 단자(11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4)에 배치되고,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된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밴드 D(제 3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D-T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2 송신 필터이다. 또한, 밴드 D는 밴드 A 및 밴드 B와 상이하다.
수신 필터(14R)는 입력 단자가 스위치(82)를 통해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수신 증폭 회로(74)와 공통 단자(11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44)에 배치되고, 밴드 D(제 3 통신 밴드)의 수신 대역(D-R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필터이다. 여기에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와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는 수신 필터(14R)의 통과 대역과 일부 중복되어 있다.
송신 필터(11T)와 수신 필터(11R)는 밴드 A를 통과 대역으로 하는 듀플렉서(11)를 구성하고 있으며, 송신 필터(14T)와 수신 필터(14R)는 밴드 D를 통과 대역으로 하는 듀플렉서(14)를 구성하고 있다.
스위치(81)는 대역 제거 필터(50)와 송신 필터(11T) 사이, 또한 대역 제거 필터(50)와 송신 필터(14T) 사이에 배치된 제 1 스위치이다. 스위치(81)는 공통 단자(81a), 선택 단자(81b 및 81c)를 갖고, 공통 단자(81a)가 대역 제거 필터(50)에 접속되고, 선택 단자(81b)가 송신 필터(11T)에 접속되고, 선택 단자(81c)가 송신 필터(14T)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81)는 대역 제거 필터(50)와 송신 필터(11T)의 접속 및 대역 제거 필터(50)와 송신 필터(14T)의 접속을 스위칭한다.
스위치(82)는 안테나 소자(21)와 듀플렉서(11) 사이, 또한 안테나 소자(21)와 듀플렉서(14) 사이에 배치된 밴드 선택용 스위치이다. 스위치(82)는 공통 단자(82a), 선택 단자(82b 및 82c)를 갖고, 공통 단자(82a)가 공통 단자(110)를 통해 안테나 소자(21)에 접속되고, 선택 단자(82b)가 듀플렉서(11)에 접속되고, 선택 단자(82c)가 듀플렉서(14)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82)는 안테나 소자(21)와 듀플렉서(11)의 접속 및 안테나 소자(21)와 듀플렉서(14)의 접속을 스위칭한다. 또한, 스위치(82)는 없어도 좋고,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밴드 A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A의 수신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밴드 D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D의 수신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밴드 A 및 밴드 D를 스위칭하는 스위치(81)는 비선형 동작에 의해 상호 변조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스위치(81)의 전단에 대역 제거 필터(5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송신 필터(11T) 및 송신 필터(14T)에서의 상호 변조 왜곡의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81)에서의 상호 변조 왜곡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에 의하면 수신 필터(11R)를 통과하는 밴드 A의 고주파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의 저하 및 수신 필터(14R)를 통과하는 밴드 D의 고주파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의 저하의 쌍방을 억제할 수 있다.
[2.2 변형예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D)의 구성]
도 5는 실시형태 2의 변형예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D)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D)은 공통 단자(110 및 120)와, 송신 증폭 회로(61 및 62)와, 수신 증폭 회로(71, 72, 및 74)와, 송신 필터(11T, 12T, 및 14T)와, 수신 필터(11R, 12R, 및 14R)와, 대역 제거 필터(50)와, 스위치(81 및 82)를 구비한다.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D)은 실시형태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과 비교해서 대역 제거 필터(50)의 배치 위치가 구성으로서 상이하다. 이하,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D)에 대해서 실시형태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과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위치(81)는 송신 증폭 회로(61)와 대역 제거 필터(50) 사이, 또한 송신 증폭 회로(61)와 송신 필터(14T)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위치이다. 스위치(81)는 공통 단자(81a), 선택 단자(81b 및 81c)를 갖고, 공통 단자(81a)가 송신 증폭 회로(61)에 접속되고, 선택 단자(81b)가 대역 제거 필터(50)에 접속되고, 선택 단자(81c)가 송신 필터(14T)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81)는 송신 증폭 회로(61)와 대역 제거 필터(50) 및 송신 필터(11T)의 접속, 및 송신 증폭 회로(61)와 송신 필터(14T)의 접속을 스위칭한다.
즉, 대역 제거 필터(50)는 스위치(81)의 선택 단자(81b)와 송신 필터(11T)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1)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1) 밴드 A(제 1 통신 밴드)의 송신 신호의 송신, 밴드 B(제 2 통신 밴드)의 송신 신호의 송신, 및 밴드 A의 수신 신호의 수신의 동시 실행 및 (2) 밴드 D(제 3 통신 밴드)의 송신 신호의 송신,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 및 밴드 D의 수신 신호의 수신의 동시 실행을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81)의 후단과 송신 필터(11T) 사이에 대역 제거 필터(50)가 배치되고, 스위치(81)의 후단과 송신 필터(14T) 사이에 대역 제거 필터(50)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송신 필터(14T)를 통과하는 고주파 송신 신호의 전파 손실을 억제하면서 송신 필터(11T)에서의 상호 변조 왜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2.3 변형예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의 구성]
도 6은 실시형태 2의 변형예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은 공통 단자(110, 120, 및 130)와, 송신 증폭 회로(61, 62, 및 65)와, 수신 증폭 회로(71, 72, 74, 75, 76, 및 77)와, 송신 필터(11T, 12T, 14T, 15T, 16T, 및 17T)와, 수신 필터(11R, 12R, 14R, 15R, 16R, 및 17R)와, 대역 제거 필터(51 및 57)와, 스위치(86, 87, 88, 및 89)를 구비한다.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은 실시형태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과 비교해서 3개의 송신 증폭 회로에 접속된 6개의 신호 경로를 갖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하,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에 대해서 실시형태 2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과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공통 단자(110)는 안테나 소자(21), 송신 필터(11T)의 출력단, 수신 필터(11R)의 입력단, 송신 필터(15T)의 출력단, 및 수신 필터(15R)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공통 단자(120)는 안테나 소자(22), 송신 필터(12T)의 출력단, 수신 필터(12R)의 입력단, 송신 필터(14T)의 출력단, 및 수신 필터(14R)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공통 단자(130)는 안테나 소자(23), 및 스위치(89)의 공통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 증폭 회로(65)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고, 후술하는 밴드 G 및 F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을 갖는 전력 증폭 회로이다.
수신 증폭 회로(75)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고, 후술하는 밴드 E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 및 잡음 지수를 갖는 저잡음 증폭 회로이다. 또한, 수신 증폭 회로(76)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고, 후술하는 밴드 F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 및 잡음 지수를 갖는 저잡음 증폭 회로이다. 또한, 수신 증폭 회로(77)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고, 후술하는 밴드 G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이득 및 잡음 지수를 갖는 저잡음 증폭 회로이다.
송신 필터(15T)는 출력 단자가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송신 증폭 회로(62)와 공통 단자(11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5)에 배치되고,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밴드 E의 송신 대역(E-T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송신 필터이다. 또한, 송신 필터(16T)는 출력 단자가 공통 단자(130)에 접속되고, 송신 증폭 회로(65)와 공통 단자(13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6)에 배치되고, 송신 증폭 회로(65)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밴드 F의 송신 대역(F-T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송신 필터이다. 또한, 송신 필터(17T)는 출력 단자가 공통 단자(130)에 접속되고, 송신 증폭 회로(65)와 공통 단자(13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37)에 배치되고, 송신 증폭 회로(65)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밴드 G의 송신 대역(G-T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송신 필터이다.
수신 필터(15R)는 입력 단자가 공통 단자(110)에 접속되고, 수신 증폭 회로(75)와 공통 단자(11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에 배치되고, 밴드 E의 수신 대역(E-R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수신 필터이다. 또한, 수신 필터(16R)는 입력 단자가 스위치(89)를 통해 공통 단자(130)에 접속되고, 수신 증폭 회로(76)와 공통 단자(13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에 배치되고, 밴드 F의 수신 대역(F-R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수신 필터이다. 또한, 수신 필터(17R)는 입력 단자가 스위치(89)를 통해 공통 단자(130)에 접속되고, 수신 증폭 회로(76)와 공통 단자(130)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에 배치되고, 밴드 G의 수신 대역(G-Rx)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수신 필터이다. 여기에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송신 신호와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는 수신 필터(11R)의 통과 대역과 중복되어 있다. 또한, 송신 증폭 회로(65)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와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는 수신 필터(17R)의 통과 대역과 중복되어 있다.
대역 제거 필터(51)는 스위치(86)의 선택 단자와 송신 필터(11T) 사이의 신호 경로(31)에 배치되고, 밴드 B(제 2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감쇠 대역으로 하는 필터이다. 대역 제거 필터(57)는 스위치(88)의 선택 단자와 송신 필터(17T) 사이의 신호 경로(37)에 배치되고, 밴드 E의 송신 대역을 감쇠 대역으로 하는 필터이다.
스위치(86)는 공통 단자가 송신 증폭 회로(61)에 접속되고, 일방의 선택 단자가 대역 제거 필터(51)에 접속되고, 타방의 선택 단자가 송신 필터(14T)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87)는 공통 단자가 송신 증폭 회로(62)에 접속되고, 일방의 선택 단자가 송신 필터(12T)에 접속되고, 타방의 선택 단자가 송신 필터(15T)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88)는 공통 단자가 송신 증폭 회로(65)에 접속되고, 일방의 선택 단자가 대역 제거 필터(57)에 접속되고, 타방의 선택 단자가 송신 필터(16T)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89)는 공통 단자가 공통 단자(130)를 통해 안테나 소자(23)에 접속되고, 일방의 선택 단자가 듀플렉서를 구성하는 송신 필터(17T) 및 수신 필터(17R)에 접속되고, 타방의 선택 단자가 듀플렉서를 구성하는 송신 필터(16T) 및 수신 필터(16R)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은 밴드 A 및 D의 일방, 밴드 B 및 E의 일방, 밴드 G 및 F의 일방 중 적어도 2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CA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중에서도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은 (1) 밴드 A의 송신 신호의 송신,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 및 밴드 A의 수신 신호의 수신의 동시 실행 및 (2) 밴드 G의 송신 신호의 송신, 밴드 E의 송신 신호의 송신, 및 밴드 G의 수신 신호의 수신의 동시 실행을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상기 (1)이 실행될 경우 신호 경로(31)에 있어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출력된 제 1 송신 신호에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된 밴드 B의 제 2 송신 신호가 중첩되는 것이 상정된다. 상기 중첩된 고주파 신호가 송신 필터(11T)에 입력되면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제 1 송신 신호와 제 2 송신 신호의 상호 변조 왜곡이 발생한다. 이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가 수신 필터(11R)의 통과 대역의 주파수와 중복될 경우 상기 상호 변조 왜곡이 공통 단자(110)를 경유해서 수신 필터(11R)를 통과하여 밴드 A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감도를 열화시키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상기 (2)가 실행될 경우 신호 경로(37)에 있어서 송신 증폭 회로(65)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송신 신호에 송신 증폭 회로(62)로부터 출력된 밴드 E의 고주파 송신 신호가 중첩되는 것이 상정된다. 상기 중첩된 고주파 신호가 송신 필터(17T)에 입력되면 송신 필터(17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중첩된 고주파 송신 신호에 의한 상호 변조 왜곡이 발생한다. 이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가 수신 필터(17R)의 통과 대역의 주파수와 중복될 경우 상기 상호 변조 왜곡이 수신 필터(17R)를 통과하여 밴드 G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감도를 열화시키는 것이 우려된다.
이에 대하여 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에서는 대역 제거 필터(51 및 57)를 갖고 있으므로 송신 필터(11T)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에 있어서의 밴드 B의 고주파 송신 신호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송신 필터(17T)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에 있어서의 밴드 E의 고주파 송신 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송신 필터(17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필터(11R)를 통과하는 밴드 A의 고주파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수신 필터(17R)를 통과하는 밴드 G의 고주파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멀티 업링크를 실행하는 CA와, 단일 밴드의 송신, 수신, 또는 송수신을 실행하는 비 CA를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을 나타낸다.
도 7은 실시형태 3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F)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F)은 공통 단자(110 및 120)와, 송신 증폭 회로(61 및 62)와, 수신 증폭 회로(71 및 72)와, 송신 필터(11T 및 12T)와, 수신 필터(11R 및 12R)와, 대역 제거 필터(50)와, 스위치(9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F)은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과 비교해서 신호 경로(31)에 스위치(90)가 부가되어 있는 점이 구성으로서 상이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F)에 대해서 실시형태 1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과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위치(90)는 신호 경로(31) 상에 배치된 대역 제거 필터(50)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 3 스위치이다. 즉, 스위치(90)는 대역 제거 필터(50)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90)는 신호 경로(31)에 있어서 대역 제거 필터(50)를 통과하는 경로 및 대역 제거 필터(50)를 바이패스하는 경로를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는 밴드 A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B의 송신 신호의 송신과, 밴드 A의 수신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 업링크가 실행될 경우에는 스위치(90)는 비도통 상태이며, 밴드 A의 송신 신호 및 밴드 B의 송신 신호 중 밴드 A의 송신 신호만을 송신할 경우에는 스위치(90)는 도통 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F)에 의하면 CA가 실행될 경우에는 대역 제거 필터(50)가 기능함으로써 송신 필터(11T)의 비선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을 억제할 수 있고, 수신 필터(11R)를 통과하는 고주파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밴드 A의 송신 신호만을 송신할 경우에는 대역 제거 필터(50)는 기능하지 않으므로 송신 증폭 회로(61)로부터 송신 필터(11T)를 통과하는 고주파 송신 신호의 전파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실시형태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에 대해서 실시형태 1~3 및 그 변형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성 요소를 조합해서 실현되는 별도의 실시형태나,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생각해낼 수 있는 각종 변형을 실시해서 얻어지는 변형예나, 본 개시의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를 내장한 각종 기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실시형태 1~3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는, 예를 들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 등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실시형태 1~3 및 그 변형예에서 나타낸 밴드 A, 밴드 B, 밴드 D, 밴드 E, 및 밴드 G는, 예를 들면 LTE(Long Term Evolution)의 각 밴드에 적용된다.
표 1에 실시형태 1~3 및 그 변형예에서 나타낸 밴드 A, 밴드 B, 밴드 D, 밴드 E, 및 밴드 G와 LTE의 밴드의 대응예 및 그 상호 변조 왜곡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예 1에서는 밴드 A로서 LTE의 밴드 1(송신 대역: 1920-1980㎒, 수신 대역: 2110-2170㎒)이 적용되고, 밴드 B로서 LTE의 밴드 3(송신 대역: 1710-1785㎒, 수신 대역: 1805-1880㎒)이 적용된다. 이때 밴드 1의 송신 신호(fTx1: 1950㎒)와 밴드 3의 송신 신호(fTx2: 1760㎒)의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2fTx1-fTx2: 2140㎒)가 밴드 1의 수신 대역과 중복된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Tx1은 밴드 A, D 또는 G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의 소정 채널의 주파수이며, Tx2는 밴드 B 또는 E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의 소정 채널의 주파수이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Rx1은 밴드 A, D 또는 G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소정 채널의 주파수이며, Rx2는 밴드 B 또는 E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소정 채널의 주파수이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1~3 및 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에 의하면 밴드 1의 신호 경로 상에 밴드 3의 송신 대역을 감쇠 대역으로 하는 대역 제거 필터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밴드 1의 송신 필터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2fTx1-fTx2: 2140㎒)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 1의 수신 감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 1에 있어서의 밴드 1은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C, 1D, 1E)에 있어서의 밴드 D,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에 있어서의 밴드 G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예 1에 있어서의 밴드 3은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1E)에 있어서의 밴드 E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표 1의 예 2~예 6에 있어서의 LTE 밴드의 조합에 있어서도 상기 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1~3 및 그 변형예에서 나타낸 밴드 A, 밴드 B, 밴드 D, 밴드 E, 및 밴드 G에 적용된다.
또한, 2개의 고주파 송신 신호(Tx1 및 Tx2)에 의한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로서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는 2fTx1-fTx2, 2fTx2-fTx1, fTx1-fTx2, 및 fTx2-fTx1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mfTx1±nfTx2 및 mfTx2±nfTx1(m, n은 자연수)로 규정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2개의 상이한 통신 밴드를 동시 사용하는 CA의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의 구성은 3개 이상의 상이한 통신 밴드를 동시 사용하는 CA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3개 이상의 상이한 통신 밴드를 동시 사용하는 CA를 실행하는 구성이며,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또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포함하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또는 통신 장치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에 있어서 도면에 개시된 각 회로 소자 및 신호 경로를 접속하는 경로 사이에 별도의 고주파 회로 소자 및 배선 등이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의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에 있어서 「A와 B가 접속된」이란 A와 B가 다른 고주파 회로 소자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된 실시형태뿐만 아니라, A와 B가 인덕터 및 커패시터 등으로 구성된 수동 회로 또는 스위치 회로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된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방식을 채용하는 멀티 밴드/멀티 모드 대응의 프런트엔드 모듈로서 휴대 전화 등의 통신 기기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 1A, 1B, 1C, 1D, 1E, 1F: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2: 안테나 회로
3: RF 신호 처리 회로(RFIC)
4: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회로(BBIC)
5, 5A: 통신 장치
11, 14: 듀플렉서
11R, 12R, 13R, 14R, 15R, 16R, 17R: 수신 필터
11T, 12T, 13T, 14T, 15T, 16T, 17T: 송신 필터
21, 22, 23: 안테나 소자
31, 32, 33, 34, 35, 36, 37, 41, 42, 43, 44: 신호 경로
50, 51, 57: 대역 제거 필터
61, 62, 63, 64, 65: 송신 증폭 회로
64a, 64b: 증폭기
71, 72, 73, 74, 75, 76, 77: 수신 증폭 회로
81, 82, 86, 87, 88, 89, 90: 스위치
81a, 82a, 110, 120, 130: 공통 단자
81b, 81c, 82b, 82c: 선택 단자

Claims (9)

  1. 제 1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의 제 1 송신 신호의 송신과, 상기 제 1 통신 밴드와 상이한 제 2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신호의 송신과, 소정 통신 밴드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로서,
    공통 단자와,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갖고, 상기 입력 단자에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해서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제 1 송신 증폭 회로와,
    고주파 신호를 증폭해서 출력하는 제 2 송신 증폭 회로와,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1 송신 필터와,
    상기 공통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소정 통신 밴드의 수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1 수신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신 필터의 상기 통과 대역은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송신 신호와 상기 제 2 송신 증폭 회로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송신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변조 왜곡의 주파수와 중복되고,
    상기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은,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제 1 송신 필터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 2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감쇠 대역으로 하는 대역 제거 필터를 더 구비하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는,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서로 종속 접속된 복수의 증폭기를 갖고,
    상기 대역 제거 필터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최후단에 배치된 증폭기와 상기 제 1 송신 필터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 및 상기 제 2 송신 증폭 회로는 동일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통신 밴드는 상기 제 1 통신 밴드인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통신 밴드는 상기 제 1 통신 밴드와 상이한 통신 밴드인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와 상기 공통 단자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통신 밴드 및 상기 제 2 통신 밴드와 상이한 제 3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2 송신 필터와,
    상기 대역 제거 필터와, 상기 제 1 송신 필터 및 상기 제 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역 제거 필터와 상기 제 1 송신 필터의 접속 및 상기 대역 제거 필터와 상기 제 2 송신 필터의 접속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와 상기 공통 단자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통신 밴드 및 상기 제 2 통신 밴드와 상이한 제 3 통신 밴드의 송신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제 2 송신 필터와,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와 상기 대역 제거 필터 사이, 또한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와 상기 제 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와 상기 대역 제거 필터 및 상기 제 1 송신 필터의 접속, 및 상기 제 1 송신 증폭 회로와 상기 제 2 송신 필터의 접속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제거 필터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더 갖고,
    상기 대역 제거 필터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대역 제거 필터를 통과하는 경로 및 상기 대역 제거 필터를 바이패스하는 경로를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송신 신호의 송신과, 상기 제 2 송신 신호의 송신과,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할 경우에는 상기 제 3 스위치는 비도통 상태이며, 상기 제 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 2 송신 신호 중 상기 제 1 송신 신호만을 송신할 경우에는 상기 제 3 스위치는 도통 상태인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과,
    상기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에서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RF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KR1020207026797A 2018-06-04 2019-05-17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 KR102403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6933 2018-06-04
JP2018106933 2018-06-04
PCT/JP2019/019713 WO2019235181A1 (ja) 2018-06-04 2019-05-17 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332A true KR20200119332A (ko) 2020-10-19
KR102403895B1 KR102403895B1 (ko) 2022-05-31

Family

ID=6877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797A KR102403895B1 (ko) 2018-06-04 2019-05-17 고주파 프런트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01632B2 (ko)
KR (1) KR102403895B1 (ko)
CN (1) CN112236946A (ko)
WO (1) WO2019235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3817B2 (ja) * 2017-05-18 2020-08-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マルチプレクサ、高周波回路および通信装置
JP2021044654A (ja) 2019-09-10 2021-03-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回路および通信装置
CN114257702B (zh) * 2021-11-04 2024-02-13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音视频处理电路、控制方法、控制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930B1 (ko) * 2010-07-05 2011-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신 시스템의 입력 회로부
US20140321339A1 (en) * 2013-04-29 2014-10-30 Skyworks Solutions, Inc. Duplexer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enabling additional signal path
JP2017017691A (ja) 2015-06-26 2017-01-19 スカイワー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kyworks Solutions, Inc.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システム、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を用いる電力増幅器システム、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回路、キャリアアグリゲート信号の個別のキャリアと関連付けられる電力を検出する方法、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およびモバイルワイヤレス通信装置
US20170302328A1 (en) * 2015-01-21 2017-10-1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igh-frequency power amplifying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8061974A1 (ja) * 2016-09-29 2018-04-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回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1655B (zh) * 2012-01-21 2014-12-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干扰对消的方法、装置和一种滤波器
US9762274B2 (en) * 2014-05-29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receive path with RF filter
US9450623B2 (en) * 2014-09-19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Noise canceler for use in a transceiver
US10284235B2 (en) * 2015-07-22 2019-05-07 Skyworks Solutions, Inc. Wireless transceiver with switch to reduce harmonic leakage
US20170063427A1 (en) * 2015-08-27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Analog interference cancelation for shared antennas
CN110011638A (zh) * 2017-12-07 2019-07-12 英飞凌科技股份有限公司 声耦合谐振器陷波和带通滤波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930B1 (ko) * 2010-07-05 2011-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신 시스템의 입력 회로부
US20140321339A1 (en) * 2013-04-29 2014-10-30 Skyworks Solutions, Inc. Duplexer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enabling additional signal path
US20170302328A1 (en) * 2015-01-21 2017-10-1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igh-frequency power amplifying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7017691A (ja) 2015-06-26 2017-01-19 スカイワー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kyworks Solutions, Inc.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システム、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を用いる電力増幅器システム、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回路、キャリアアグリゲート信号の個別のキャリアと関連付けられる電力を検出する方法、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およびモバイルワイヤレス通信装置
WO2018061974A1 (ja) * 2016-09-29 2018-04-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895B1 (ko) 2022-05-31
CN112236946A (zh) 2021-01-15
WO2019235181A1 (ja) 2019-12-12
US11201632B2 (en) 2021-12-14
US20210075450A1 (en)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8727B2 (en) Diversity modules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s
US10886951B2 (en) Front-end module
KR102137776B1 (ko) 고주파 프론트 엔드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0861565B1 (ko) 멀티밴드의 멀티모드 통신 엔진을 위한 프론트엔드토폴로지
US11201632B2 (en) High-frequency front-end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10608677B2 (en) High-frequency front 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21048503A (ja) 高周波回路および通信装置
US11336323B2 (en) Front-end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3396542B (zh) 高频模块以及通信装置
US20210336640A1 (en) Radio 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496162B2 (en) Radio-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10146787A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US11483019B2 (en) Radio-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5250095A (zh) 功率放大模块
US20240097719A1 (en) Radio-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0226119A1 (ja) 高周波回路および通信装置
WO2023037978A1 (ja) 高周波回路およ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