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170A - 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 Google Patents

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170A
KR20200119170A KR1020190041659A KR20190041659A KR20200119170A KR 20200119170 A KR20200119170 A KR 20200119170A KR 1020190041659 A KR1020190041659 A KR 1020190041659A KR 20190041659 A KR20190041659 A KR 20190041659A KR 20200119170 A KR20200119170 A KR 20200119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achine tool
unit
ca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6227B1 (en
Inventor
주태환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227B1/en
Publication of KR2020011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3Construction of the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4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crew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23Q11/0833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with a non-rectilinear sh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 unloader apparatus of a machine tool, which comprises: a fixing unit; a spline installed on the fixing unit to move straight or rotate; a first arm unit connected to a part of the spline to move straight or rotate by being interlocked with the spline; a second arm unit connected to a part of the first arm unit to rotate by being interlocked with the first arm unit; a bucket unit connected to a part of the second arm unit so as to recover processed materials from a spindle and discharge the materials to a conveyor; a cam box unit including a cam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am; and a link unit of which one end is engaged with the spline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cam box unit. The rotary movement of the first arm unit and the second arm unit by the straight movement of the spline and the rotation of the spline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rotation of the cam. The part unloader apparatus of a machine tool is able to improve productivity and reduce cost for maintenance and manufacture.

Description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개의 구동부와 캠박스만으로 파트 언로더의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의 다양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operations of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vement of a part unloader with only one driving unit and a cam box. will be.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In general, a machine tool refers to a machine used for the purpose of processing a metal/non-metal workpiece into a desired shape and dimension using a suitable tool by various cutting or non-cutting processing methods.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including turning centers, vertical/horizontal machining centers, gate type machining centers, Swiss turns, electric discharge machines, horizontal NC boring machines, and CNC lath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to suit the purpose of their work.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currently used have a control panel to which numerical control (NC) or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technology is applied. This operation panel is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and a monitor.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achine tool is a table on which the workpiece is placed and transported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pallet to prepare the workpiece before processing, a spindle that rotates by combining a tool or workpiece, a tailstock to support the workpiece, etc. Etc.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In general, in a machine tool, a table, a tool rest, a main shaft, a tailstock, a vibration isolator, etc. have a conveying unit that conveys along a conveying axis to perform various processing.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나 터렛이 사용된다. In addition, in general, machine tools use a number of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or a turret is used in the form of a tool storage area storing and storing a number of tools.

이러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툴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 사용된다.Such a machine tool uses a number of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is used in the form of a tool storage area storing a number of tools.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치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한 공구를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다시 수납하기 위한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 Tool Changer)를 구비한다.In addition, in general, machine tools are equipped with an automatic tool changer (ATC) for withdrawing or receiving a specific tool from a tool magazine according to a command from a numerical control unit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비가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 Automatic Palette Changer)를 구비한다.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는 팔레트를 공작물 가공 영역과 공작물 설치 영역 간에 자동으로 교환한다. 팔레트에는 공작물이 탑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machine tools are equipped with an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to minimize non-processing time. The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automatically exchanges pallets between the workpiece processing area and the workpiece installation area. Workpieces can be mounted on pallets.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achine tool is a table on which the workpiece is placed and transported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pallet to prepare the workpiece before processing, a spindle that rotates by combining a tool or workpiece, a tailstock to support the workpiece, etc. Etc.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작기계는 모재 양측을 각각 클램핑하기 위해 고정된 좌측 스핀들 및 이송 가능한 우측 스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재의 일측을 클램핑하기 위한 고정 스핀들과 모재의 타측을 고정하기 위해 이송 가능한 심압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such a machine tool may include a fixed left spindle and a transferable right spindle to clamp both sides of the base material, respectively, and a fixed spindle to clamp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and a transferable tailstock to fix the other side of the base material. Can include.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은 가공품 또는 파트라고 하는데, 이러한 파트를 스핀들에서 외부로 이송하기 위해 종래의 공작기계는 파트 언로더와 파트 컨베이어가 공작기계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nished workpiece is referred to as a workpiece or a part, and in a conventional machine tool, a part unloader and a part conveyor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tool to transfer such parts from the spindle to the outside.

종래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는 파트(50)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4개 이상이 액츄에이터로 다양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구동해야 함에 따라 파트 언로딩 시간이 증가하고, 장비가 복잡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으며, 잦은 고장으로 유지보수 시간이 증가하였다.Conventional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1 requires more than four actuators to sequentially drive various motions in order to discharge the part 50 to the outside, increasing the part unloading time and reducing the size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equipment. And maintenance time has increased due to frequent failures.

즉, 도 2 도시된 것처럼, 종래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는 스핀들(30)의 척(31)에 장착된 파트(50)를 회수하여 컨베이어(40)에 배출하기 위해 1차적으로 제1 액츄에이터(5)에 의해 샤프트(2)를 직선이동(A 동작)시킨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part unloader device of a conventional machine tool collects the part 50 mounted on the chuck 31 of the spindle 30 and discharges it to the conveyor 40 by the first actuator. By (5), the shaft 2 is moved linearly (A operation).

이후,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2차적으로 제2 액츄에이터(6)에 의해 암(3)을 회전이동(B동작)시킨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3, the arm 3 is rotated (operation B) by the second actuator 6 secondarily.

이후,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3 액츄에이터(7)에 의해 버켓(4)을 하강이동(C 동작) 시키고, 제4 액츄에이터(8)에 의해 버켓(4)을 개방시켜(D동작) 파트(50)를 컨베이어(30)에 안전하게 이동시키고, 컨베이어를 작동하여 파트(50)를 공작기계의 외부로 반출하였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4, the bucket 4 is moved downward (C operation) by the third actuator 7 and the bucket 4 is opened by the fourth actuator 8 (D operation). (50) was safely moved to the conveyor 30, and the part 50 was taken out of the machine tool by operating the conveyor.

결국, 파트(50)를 스핀들의 척에서 회수하여 컨베이어로 이동시키기 위해 A, B, C, D의 4개의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As a result, four operations of A, B, C, and D are required to retrieve the part 50 from the chuck of the spindle and move it to the conveyor.

이처럼, 종래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는 4개 이상의 액츄에이터로 4가지의 동작을 각각 구현함에 따라 스핀들에서 공작물을 회수하여 컨베이어로 반납하기 위한 다수의 동작과 이동순서 및 이동동선의 최적화를 구현하지 못해 파트 언로딩 시간이 증가하고 파트의 가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the conventional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implements four motions with four or more actuators, so it does not implement a number of motions to retrieve the workpiece from the spindle and return it to the conveyor, and to optimize the moving sequence and movement line.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art unloading time increased and the machining cost of the part increased.

또한, 종래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는 각 동작의 최적화를 달성하지 못하여 파트 언로딩 시간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비가공시간의 증가함에 따라 공작기계의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ha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decreases as the part unloading time increases due to the failure to achieve optimization of each operation, and accordingly, the non-processing time increases.

더욱이, 종래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는 스핀들에서 파트를 회수하여 컨베이어로 반납하기 위해 4가지 이상의 동작을 구현하고, 이러한 동작구현을 위해 4개 이상의 액츄에이터를 설치해야 함에 따라 파트 언로더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고, 공간활용도가 저감하며, 최종적으로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 conventional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implements four or more operations to collect parts from the spindle and return them to the conveyor, and as a result of the need to install four or more actuators to implement these operations, the part unloader device is miniaturiz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achieve, the space utilization was reduced, and finally the miniaturization of the machine tool could not be achieved.

게다가, 종래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는 장비가 복잡하고, 다수의 부품을 구비하고, 동작이 복잡함에 따라 파트 언로더 장치의 유지보수 비용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is a problem that the equipment is complicated, has a number of parts, and the operation is complicated, the maintenance cost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part unloader device increase,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operator. There was this.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11335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13356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6688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6688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핀들로부터 가공이 완성된 파트를 회수하여 컨베이어로 반납하기 위해 스플라인의 병진운동과 제1 암부와 제2 암부의 회전운동 및 버켓부의 개폐를 오직 1개의 구동부와 캠박스에 장착된 캠의 회전만으로 구현함에 따라 최적화를 통해 파트 언로딩 시간과 비용을 감소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며, 유지비용과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ranslational motion of the splin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and a bucket in order to recover the finished part from the spindle and return it to the conveyor. As the negative opening and closing is realized with only one driving part and the rotation of the cam mounted in the cam box, the part unloading time and cost are reduced through optimization, productivity is improved, maintenance and manufacturing costs are reduced, and miniaturization is achieved. It is to provide a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capable of.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플라인; 상기 스플라인과 연동하여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스플라인의 일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1 암부; 상기 제1 암부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암부의 일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 암부; 가공된 소재를 스핀들로부터 회수하여 컨베이어에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2 암부의 일부에 연결 설치되는 버켓부; 캠과 상기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캠박스부; 및 일단은 상기 스플라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캠박스부에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인의 직선이동과 상기 스플라인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의 회전이동은 상기 캠의 회전만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A spline installed to be linearly movable and rotatable on the fixed part; A first arm part connected to a part of the spline so as to be linearly moved and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spline; A second arm part connected to a part of the first arm part to be rota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arm part; A bucket part connected to a part of the second arm part to collect the processed material from the spindle and discharge it to the conveyor; A cam box unit having a cam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am; And a link uni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plin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am box unit, wherein linear movement of the spline and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by rotation of the spline It can be performed only by rotating the cam.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스플라인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한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 및 회전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시 샤프트부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상기 샤프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샤프트부를 동회전시키도록 상기 샤프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로켓;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line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is linearly moved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am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 A stopper portion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to limit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portion at all times;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shaft part; And a first sprocket that penetrates the shaft portion so as to rotate the shaft portion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stopp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캠박스부는 상기 캠의 상부에 형성되는 조인트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동력을 상기 캠에 전달하여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입력축부; 상기 캠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축부; 상기 출력축부와 동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로켓; 및 상기 제1 스프로켓과 상기 제2 스프로켓을 동회전시키기 상기 제1 스프로켓과 상기 제2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box par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includes a joint part formed on the cam; An input shaft part for rotating the cam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part to the cam; An output shaft portion rotating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am; A second sprocke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put shaft to rotate cooperatively with the output shaft; And a coupl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to rotate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in the same mann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캠박스부는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box par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링크부의 일단이 상기 스토퍼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부가 병진운동함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가 직선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link portion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is coupled to the stopper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joint portion, and the driving portion As the link unit is translated by rotation of the cam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unit, the shaft unit may be linearly m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제1 암부의 일단에 상기 샤프트부의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샤프트부와 동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암부의 타단에 상기 제2 암부의 일단과 결합되게 설치되는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기어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rm portion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portion at one end of the first arm portion and the shaft portion A first gear unit installed to rotate synchronously; A second gear uni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arm;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to rotate the second gear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캠이 회전하고,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스프로켓과 결합부로 연결되어 동회전하는 상기 제2 스프로켓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가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가 회전운동을 수행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is rotated by driving the driving uni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nd the first sprocke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am. The shaft portion rotates as the second sprocket, which is connected by a coupling portion and rotates cooperatively, rotates, and the first arm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may perform rotational motion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암부의 회전각도가 상기 제1 암부의 회전각도보다 크도록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arm portion is greater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rm portion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portion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apparatus. The first gear portion and the second gea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larg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제1 기어부의 기어비와 상기 제2 기어부의 기어비는 2:1이 되도록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ear ratio of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is 2:1. A gear portion and the second gear portion may be form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고정부는 공작기계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샤프트부를 관통하여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comprises a base part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tool; It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that is received through the shaft portion and is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직선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is a sensing part spaced apart from the base part to detect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part.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의 상기 버켓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선회 가능하게 개폐되는 개폐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의 선회 동작을 차단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연동되는 롤러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상기 롤러부와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개페부를 선회시켜 상기 버켓부를 개방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et portion of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body portion; An opening/closing part pivotally opened and closed on the main body; An elastic member block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by an elastic force; A roller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interlocked with the elastic member; And a pressing par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pressing the roller part and the elastic member by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one side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o open the bucket part.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는 스핀들로부터 가공이 완성된 파트를 회수하여 컨베이어로 반납하기 위해 스플라인의 병진운동과 제1 암부와 제2 암부의 회전운동 및 버켓부의 개폐를 오직 1개의 구동부와 캠박스만으로 구현함에 따라 파트의 언로딩에 필요한 동작의 최적화를 통해 파트 언로딩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translational motion of the splin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ucket part in order to collect the finished part from the spindle and return it to the conveyor. By implementing only the driving unit and the cam box, it is possible to reduce part unloading time and cost by optimizing the operation required for part unload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는 동작의 최적화로 인해 파트 언로딩 시간 감소에 따라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여 공작기계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overall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by minimizing the non-processing time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part unloading time due to the optimization of the operation.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는 동작의 최적화와 불필요한 액츄에이터와 부품을 제거하여 파트 언로더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며,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the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operation and eliminates unnecessary actuators and parts, thereby miniaturizing the part unloader device,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and promot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There is.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는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 및 제조비용을 감소하며,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tool parts unloa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reducing maintenance cost, time and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safety and reliability.

도 1은 종래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는 종래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로 공작물을 스핀들에서 회수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반출하기 작동과정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로 공작물을 스핀들에서 회수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반출하기 작동과정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캠선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I-I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버켓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버켓부의 개폐 작동원리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2 to 4 show a conceptual diagram of an operation process of collecting a work piece from a spindle and carrying it out through a conveyor by a part unloader device of a conventional machine tool.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show a conceptual diagram of an operation process of collecting a work piece from a spindle and carrying it out through a conveyor with the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show a cam diagram of a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side view of a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1.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et portion of a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rinciple of the bucket part of the part unloader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a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drawings,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refor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and/or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로 공작물을 스핀들에서 회수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반출하기 작동과정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캠선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12는 도 11의 I-I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버켓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버켓부의 개폐 작동원리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to 8 are a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retrieve a workpiece from a spindle and take it out through a conveyor. It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operation process. 9 to 10 show a cam diagram of a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of a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line II of FIG. Shows a cross-sectional view.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et portion of a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opening and closing a bucket portion of a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일측"과 "타측"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으로 양쪽의 어느 한쪽 선단을 의미한다. 즉, "일측"이란 도 5 내지 도 12에서 가로방향 왼쪽을 선단을 의미하고, "타측"이란 가로방향 오른쪽 선단을 의미한다. "일단"과 "타단"이란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으로 양쪽의 어느 한쪽 선단을 의미한다. 즉, "일단"이란 도 5 내지 도 12에서 세로방향 위쪽 선단을 의미하고, "타단"이란 세로방향 아래쪽 선단을 의미한다. 다만, 해당 도면의 배치와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는 일단과 타단 또는 일측과 타측이 변경될 수 있다.The 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The term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mean either end of the same memb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one side" means the left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FIGS. 5 to 12, and the "other side" means the right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mean either end of the sam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one end" means the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S. 5 to 12, and the "other end" means the low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if the arrangement and location of the drawing is changed, one end and the other end, or one and the other side may be changed.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는 고정부(100), 스플라인(200), 제1 암부(300), 제2 암부(400), 버켓부(500), 캠박스부(600), 및 링크부(700)를 포함한다. A part unloader device 10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4. As shown in Figures 5 to 14, the part unloader device 10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part 100, a spline 200, a first arm part 300, a second arm part 400, It includes a bucket part 500, a cam box part 600, and a link part 700.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작기계의 내부에 스핀들과 함께 베드 또는 공작기계의 커버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 unloader device 10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installed movably inside a bed or a cover of a machine tool together with a spindle inside the machine tool.

즉, 지면, 베이스 또는 바닥에 베드가 설치되어 나머지 구성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That is, a bed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base, or floor to support the remaining components.

스핀들(30)은 베드에 이동 가능하게 또는 고정 설치된다. 스핀들(30)은 가공 소재인 공작물(workpiece)을 클램핑하기 위해 전방에 척(31)이 설치되고, 척(31)에 공작물이 클램핑된 상태에서 주축이나 터렛 등에 의해 공작물이 가공되고, 가공이 완료된 파트(50)는 파트 언로더 장치(10)에 의해 컨베이어(40)로 배출된다.The spindle 30 is movably or fixedly installed on the bed. The spindle 30 has a chuck 31 installed in the front to clamp a workpiece, which is a workpiece, and the workpiece is processed by a spindle or a turret while the workpiece is clamped to the chuck 31, and the machining is completed. The part 50 is discharged to the conveyor 40 by the part unloader device 10.

스핀들(30)은 베드 상에서 이송을 위해 볼스크류와 이송너트를 포함할 수 잇고, 이러한 볼스크류를 서보모터가 회전시켜 가공 상태에 따라 스핀들(3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spindle 30 may include a ball screw and a feed nut for transport on the bed, and the servo motor rotates the ball screw to easily move the spindle 30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ate.

도 5 내지 도 7에 스핀들(30)이 1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스핀들(30)의 회전 중식축이 동일하도록 반대편에 다른 스핀들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러한 스핀들의 척에 장착된 공작물의 가공시에 공작물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 심압대 또는 방진구가 베드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one spindle 30 is shown in FIGS. 5 to 7, another spindle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spindle 30 is the same. In addition, if necessary, a tailstock or a vibration isolato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bed in order to safely support the work when processing the work mounted on the chuck of such a spindle.

컨베이어(40)는 파트 언로더 장치(10)에 인접하도록 스핀들(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트 언로더 장치(10)로부터 배출된 파트(50)를 공작기계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이러한 컨베이어(40)는 파트(50)가 유입되는 유입부(41), 파트(50)가 이송되는 이송부(42), 및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파트(50)를 공작기계의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부(43)로 형성된다. 즉, 이송부(42)의 일측에 유입부(41)가 형성되고, 이송부(42)의 타측에 유출부(43)가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유입부(41)의 일부는 공작기계의 커버 외측까지 연장 형성되고, 이에 따라 유출부(43)를 통해 공작기계의 외부로 파트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The conveyor 4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indle 3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part unloader device 10 to discharge the part 50 discharged from the part unloader device 10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That is, the conveyor 40 discharges the inlet 41 into which the part 50 is introduced, the transfer part 42 through which the part 50 is transferred, and the part 50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part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It is formed with an outlet 43. That is, the inlet part 4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rt 42, and the outlet part 4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part 42. In addition, if necessary, a part of the inlet part 41 is forme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of the machine tool, and accordingly, the part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through the outlet part 43.

또한, 파트 언로더 장치(10)는 공작기계의 커버의 내측에 스핀들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 unloader device 1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spindle on the inside of the cover of the machine tool, and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transportable by a conveying means if necessary.

고정부(100)는 공작기계의 커버 내측 또는 베드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고정부(100)는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스핀들을 구비하는 공작기계에서도 1개의 파트 언로더 장치만으로 파트를 용이하게 공작기계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송수단은 볼스크류, 서보모터, 리니어 가이드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이동할 수 정밀하고 신속하게 공작기계의 내부에서 파트 언로더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xing part 10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or on the bed of the machine tool. In addition, the fixing unit 100 is installed to be movable by a transfer means, and even in a machine tool having a plurality of spindles, a part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with only one part unloader device. In addition, the transfer means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ll screw, a servo motor, and a linear guide, and can be moved through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precisely and quickly move the part unloader device inside the machine tool.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의 고정부(100)는 베이스부(110), 체결부(120), 및 센싱부(13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 to 7, the fixing part 100 of the part unloader device 10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110, a fastening part 120, and a sensing part 130 ).

베이스부(110)는 파트 언로더 장치의 기본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공작기계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베이스부(110)는 공작기계의 커버의 내측이나 베드에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base portion 110 forms the basic external shape of the part unloader devic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tool. That is, the base unit 110 is installed to be fixed or movable inside the cover or on the bed of the machine tool.

체결부(120)는 스플라인(200)의 샤프트부(210)를 관통하여 수용하고 베이스부(110)에 설치된다. 즉, 체결부(120)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베이스부(1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스플라인(200)의 샤프트부(210)가 이러한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부(1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후술하는 구동부와 캠박스부에 의해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체결부(120)의 관통홀의 내측에는 스플라인이 직선이동과 회전시에 스플라인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마찰과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120 is received through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spline 200 and is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110. That is, the fastening part 120 has a through hole and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110, and the shaft part 210 of the spline 200 passes through this through hole and is stable by the fastening part 120. It is supported by a driving unit and a cam box unit to be described later to perform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vements. If necessary, a bearing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hrough hole of the fastening part 120 to stably support the spline during linear movement and rotation and to minimize friction, vibration, and noise.

센싱부(130)는 샤프트부(210)의 직선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베이스부(110)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센싱부(130)는 파트 샤프트부(210)의 직선운동(도 5 내지 도 8에서 A 동작) 중에 전진상태(왼쪽으로 이동)와 후진상태(오른쪽으로 이동)를 감지하기 위해 베이스부(110)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센싱된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러한 센싱부(130)는 근접센서, 적외선 센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부(130)에 의해 파트 언로더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파트 또는 다른 장치와의 충돌을 방지하여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unit 110 in order to detect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unit 210. That is, the sensing unit 130 is a base unit (moving to the right) and a forward state (moving to the left) and a reversing state (moving to the right) during the linear motion of the part shaft part 210 (operation A in FIGS. 5 to 8). 110), and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The sensing unit 130 may be formed of a proximity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The sensing unit 130 prevents a malfunction of the part unloader device, thereby preventing a collision with a part or other device,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and safety,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스플라인(200)은 고정부(100)에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스플라인(200)은 고정부(200)에 대해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부(120)에 삽입되게 설치된다.The spline 200 is installed to be linearly movable and rotatable on the fixing part 100. That is, the spline 200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120 so as to be linearly moved and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200.

도 5 내지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의 스플라인(200)은 샤프트부(210), 스토퍼부(220), 지지부(230), 및 제1 스프로켓(2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 to 8 and 11 to 12, the spline 200 of the part unloader device 10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part 210, a stopper part 220, and a support part ( 230), and a first sprocket 240.

샤프트부(210)는 구동부(640)의 작동에 의한 캠(620)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 및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부(210)는 축방향으로 균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원형 금속바 형태로 형성되고, 샤프트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가로방향)으로 외주면에 회전방향 구동 토크를 지지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해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르부는 샤프트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주면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shaft part 210 is linearly moved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am 620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640. Specifically, the shaft part 2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metal bar having a uniform cross-sectional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rotational driving torqu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one side of the shaft part to the other (horizontal direction), and for solid coupling Grooves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such roll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part.

스토퍼부(220)는 샤프트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샤프트부(210)의 직선이동을 제한한다. 즉, 스토퍼부(220)는 샤프트부의 일부인 타측에 형성되어 구동부(640)의 구동과 캠(620)의 회전에 의해 하는 샤프트부가 직선 이동할 때에 샤프트부(210)가 체결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topper part 22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aft part to limit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part 210. That is, the stopper part 2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hich is a part of the shaft part, so that the shaft part 210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art 120 when the shaft part form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part 640 and the rotation of the cam 620 moves linearly. Prevent it.

지지부(240)는 샤프트부(210)를 지지하도록 샤프트부(210)의 외측에 형성된다. 지지부(230)는 구동부의 작동에 따른 캠의 회전에 의한 직선이동(A동작)과 회전이동(B동작)을 제1 암부와 제2 암부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샤프트부의 강성을 보완하여 샤프트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예방한다.The support part 240 is formed outside the shaft part 210 to support the shaft part 210. The support 230 stably transmits the linear movement (A operation) and rotational movement (B operation) by the rotation of the ca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to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and supplements the rigidity of the shaft part. Prevent damage or breakage.

제1 스프로켓(230)은 구동부(640)의 구동에 따라 캠과 입력축부와 출력축부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부를 동회전시키도록 샤프트부(210)를 관통하여 스토퍼부(220)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된다.The first sprocket 230 is installed between the stopper part 220 and the support part through the shaft part 210 so as to rotate the shaft part by rotation of the cam, the input shaft part and the output shaft part as the driving part 640 is driven. .

제1 암부(300)는 스플라인(200)과 연동하여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스플라인의 일부인 일측에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암부(300)는 스플라인(200)이 직선이동(A 동작)할 때에 제1 암부(300)도 스플라인과 동일한 거리만큼 전진 또는 후진 이동(A 동작)하고, 스플라인(200)이 회전(B 동작) 할때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플라인의 일측에 결합 설치된다. The first arm 3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line so as to be linearly moved and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pline 200. That is, when the spline 200 is linearly moved (operation A), the first arm 300 moves forward or backward (operation A) by the same distance as the spline, and the spline 200 rotates.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line so that 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during (B operation).

도 5 내지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의 제1 암부(300)는 제1 기어부(310), 제2 기어부(320), 및 연결부(3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 to 8 and 11 to 12, the first arm part 300 of the part unloader device 10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ear part 310, a second gear part (320), and a connection portion (330).

제1 기어부(310)는 제1 암부(300)의 일단에 샤프트부(210)의 일측과 결합하여 샤프트부(210)와 동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 기어부(310)는 제1 암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의 내부 일단에 샤프트부(210)의 일측과 결합하여 샤프트부(210)와 동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irst gear part 31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arm part 300 to rotate cooperatively with the shaft part 210 by coupling with one side of the shaft part 210. That is, the first gear part 310 is installed to be co-rotating with the shaft part 210 by being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shaft part 210 to an inner end of the body part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arm part.

제2 기어부(320)는 제1 암부(300)의 타단에 제2 암부(400)의 일단과 결합되게 설치된다. 즉, 제2 기어부(320)는 제1 암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의 내부 타단에 제1 기어부와 마주하면서 제2 암부(400)의 일단과 결합되게 설치된다.The second gear part 32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part 300 to be coupled with one end of the second arm part 400. That is, the second gear part 320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arm part 400 while facing the first gear part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arm part.

연결부(330)는 제1 기어부(310)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부(3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1 기어부(310)와 제2 기어부(320)를 연결한다. 즉, 연결부(330)는 체인형태로 형성되고, 제1 암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의 내부에 제1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부가 회전하도록 설치된다.The connection part 330 connects the first gear part 310 and the second gear part 320 to rotate the second gear part 3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part 310. That is, the connection part 330 is formed in a chain shape, and is installed in the body part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arm so that the second gear par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part.

따라서, 제2 기어부는 샤프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1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가 회전하고, 이러한 연결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제2 암부를 회전시킨다. Accordingly, the second gear unit rotates the connection unit by rotation of the first gear unit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unit, and rotates the second arm unit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unit.

도 5 내지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의 제1 암부(300)의 제1 기어부(310)와 제2 기어부(320)는 샤프트부(210)의 회전에 의해 제2 암부(400)의 회전각도가 제1 암부(300)의 회전각도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부의 회전에 의해 제1 암부(300)와 제2 암부가 동시에 회전할 때에 제1 암부(300)의 회전각도보다 제2 암부(400)의 회전각도가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C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도 C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척에 장착된 파트를 다른 장치와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8 and 11 to 12, the first gear part 310 and the second gear part of the first arm part 300 of the part unloader device 10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20 is formed such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arm part 400 is greater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rm part 300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part 210. Accordingly, when the first arm part 300 and the second arm part rotate at the same tim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part,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arm part 400 is larger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rm part 300. Likewise, the C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actuator for performing the C operation, so that the part mounted on the chuck can be easily recovered without interference with other devices.

바람직하게는 제1 기어부(310)와 제2 기어부(320)의 기어비는 2:1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기어부의 회전각도보다 제2 기어부의 회전각도가 2배가 되도록 제1 기어부의 기어치가 제2 기어부의 기어치보다 2배 많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 회전동작(B 동작)과 동시에 버켓부를 하강시키거나 승강시키는 동작(C 동작)을 구현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하고, 파트 언로딩 시간 감소와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ear ratio of the first gear part 310 and the second gear part 320 is formed to be 2:1. That is, the gear teeth of the first gear portion are formed twice as large as the gear teeth of the second gear portion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gear portion is twice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gear por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operation of lowering or raising the bucket part (operation C)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operation (operation B) without a separate actuator, thereby achieving miniaturization, reducing part unloading time and maximizing productivity.

제2 암부(400)는 제1 암부(300)와 연동하여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암부(300)의 타단에 연결 설치된다. 즉, 제2 암부(400)는 스플라인(200)이 직선이동(A 동작)할 때에 스플라인(200) 및 제1 암부(300)와 동일한 거리만큼 전진 또는 후진 이동(A 동작)하고, 스플라인(200)이 회전(B 동작) 할때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암부(300)와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암부(300)의 타단에 결합 설치된다. The second arm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part 300 to enable linear movement and rotation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arm part 300. That is, when the spline 200 moves linearly (operation A), the second arm 400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same distance as the spline 200 and the first arm 300 (operation A), and the spline 200 )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300 so as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or in a different direction as the first arm 300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when rotating (operation B).

버켓부(500)는 가공된 소재인 파트(50)를 스핀들(30)의 척(31)으로부터 회수하여 컨베이어(40)의 유입구(41)에 배출하기 위해 제2 암부(400)의 타단에 연결 설치된다. 즉, 버켓부(500)는 스플라인(200)이 직선이동(A 동작)할 때에 스플라인(200), 제1 암부(300) 및 제2 암부(400)와 동일한 거리만큼 전진 또는 후진 이동(A 동작)하고, 스플라인(200)이 회전(B 동작) 할때에 스플라인과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암부(400)의 타단에 결합 설치된다. The bucket part 5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part 400 in order to collect the processed material part 50 from the chuck 31 of the spindle 30 and discharge it to the inlet 41 of the conveyor 40 Installed. That is, the bucket part 500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same distance as the spline 200, the first arm part 300, and the second arm part 400 when the spline 200 moves linearly (operation A). ), and when the spline 200 rotates (operation B), i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400 tha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line or in a different direction.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구동부와 캠박스부에 의해 스플라인(200)이 직선이동(A동작, 전후진 이동)을 하게 되고, 스플라인(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암부(300)와 제2 암부(400)는 스플라인에 대해 별도로 직선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스플라인의 직선이동(A동작)에 따라 스플라인과 함께 이동만 하는 것이다. 다만, 구동부와 캠박스부에 의해 스플라인(200)이 회전이동(B 동작)을 하게 될 때에, 스플라인(200)이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암부(300)는 스플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하고, 제2 암부(400)는 제1 암부와 다른 방향으로 제1 암부도다 더 많은 각도로 회전한다. 버켓부(500)는 스플라인이나 제1 암부 또는 제2 암부와 별도로 직선이동(A 동작)이나 회전이동(B동작)을 하지 않고 스플라인의 직선이동에 따라 함께 직선이동하고, 제2 암부의 회전이동에 의해 회전이동하여 버켓부의 별도의 하강이동 없이 B동작과 C동작을 동시에 구현하여, 후술하는 버켓부의 가압부에 의해 버켓부의 개폐동작(D동작)까지 별도의 액츄에이터 없이 1개의 구동부와 캠박스만으로 구현하여 파트(50)를 스핀들의 척에서 회수하여 컨베이어로 반납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spline 200 performs linear movement (A operation, forward/reverse movement) by a driving unit and a cam box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arm part 300 and the second arm part (which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line 200) 400) does not perform a separate linear motion with respect to the spline, but only moves with the spline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A motion) of the spline. However, when the spline 200 rotates (operation B) by the driving part and the cam box part, the first arm part 300 on which the spline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rotates by the same ang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line. And, the second arm 400 rotates at a greater angle than the first arm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arm. The bucket part 500 does not perform linear movement (A operation) or rotational movement (B operation) separately from the spline, the first arm, or the second arm, but moves linearly along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spline, and rotates the second arm. By rotating and moving the bucket part, B operation and C operation are simultaneously implemented without separate downward movement of the bucket pa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bucket part (D operation) by the pressing part of the bucket part to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with only one driving part and the cam box without a separate actuator. By implementing, the part 50 is recovered from the chuck of the spindle and returned to the conveyor.

캠박스부(600)는 캠(620)과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640)를 구비하고, 베드, 스핀들, 고정부 또는 컨베이어에 설치된다. The cam box part 600 includes a cam 620 and a driving part 640 for rotating the cam, and is installed on a bed, a spindle, a fixed part, or a conveyor.

도 5 내지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의 캠박스부(600)는 하우징부(610), 캠(620), 조인트부(630), 구동부(640), 입력축부(650), 출력축부(660), 제2 스프로켓(670), 결합부(680), 및 가이드부(69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 to 8 and 11 to 12, the cam box part 600 of the part unloader device 10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610, a cam 620, and a joint A unit 630, a driving unit 640, an input shaft unit 650, an output shaft unit 660, a second sprocket 670, a coupling unit 680, and a guide unit 690 are included.

하우징부(610)는 캠박스부(6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부(610)는 베드, 스핀들(30), 고정부(100) 또는 컨베이어(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캠박스부(600)를 구성하는 캠(620), 조인트부(630), 구동부(640), 입력축부(650), 출력축부(660), 제2 스프로켓(670), 결합부(680), 및 가이드부(690)가 하우징부(610)이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housing part 6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am box part 600. The housing part 6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ed, the spindle 30, the fixing part 100 or the conveyor 40, and the cam 620 constituting the cam box part 600, the joint part 630, the driving part (640), the input shaft part 650, the output shaft part 660, the second sprocket 670, the coupling part 680, and the guide part 690 is a space in which the housing part 610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o provide.

캠(620)은 원판의 디스크 형태로 하우징부(610)의 내부에 구동부(6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캠(620)의 측면에는 기어치와 같은 형태의 톱니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am 6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a disk in the form of a disk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unit 61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640. The side of the cam 620 may have a toothed shape such as a gear tooth.

조인트부(630)는 캠(62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다.The joint part 630 is formed to protrude above the cam 620.

구동부(640)는 하우징부(6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구동부(64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캠(620)과 입력축부(650)가 회전한다. 구동부(640)는 서보모터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작동한다.The driving unit 640 is fixedly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unit 610. The cam 620 and the input shaft 650 rotate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640. The driving unit 640 is formed of a servo motor and operates through the control of a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입력축부(650)는 구동부(640)의 회전동력을 캠(620)에 전달하여 캠(620)을 회전시킨다.The input shaft unit 650 transmit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unit 640 to the cam 620 to rotate the cam 620.

출력축부(660)는 캠(65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The output shaft portion 660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am 650.

제2 스프로켓(670)이 출력축부(660)와 동회전하도록 출력축부(660)의 일측에 설치된다.The second sprocket 67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put shaft portion 660 so as to rotate co-rotating with the output shaft portion 660.

결합부(680)는 제1 스프로켓(230)과 제2 스프로켓(670)을 동회전시키기 제1 스프로켓과 제2 스프로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부는 고무 벨트, 타이밍 벨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680 is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to rotate the first sprocket 230 and the second sprocket 670 at the same time. This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rubber belt, a timing belt, or the like.

가이드부(690)는 결합부(68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부(690)는 하우징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 설치되어 결합부(680)의 회전 이동시에 결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가이드하여 결합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한다.The guide part 690 guides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part 680. That is, the guide unit 690 is coupl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housing unit to stably support and guide the coupling unit when the coupling unit 680 rotates, thereby minimizing damage or damage to the coupling unit.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는 종래 파트 언로더 장치와 달리 오직 1개의 구동부(640)의 구동에 의해 캠(620)이 회전하고, 캠의 회전에 의해 제1 스프로켓(230)과 결합부(680)로 연결되어 동회전하는 제2 스프로켓(670)이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부(210)가 회전하고, 샤프트부(210)의 회전과 연동하여 제1 암부(300)와 제2 암부(400)가 회전운동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art unloader device 10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art unloader device, the cam 620 is rotated by the drive of only one driving unit 640, and the first As the second sprocket 670, which is connected to the sprocket 230 and the coupling part 680 and rotates cooperatively, rotates, the shaft part 210 rotates, and the first arm part 30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part 210 ) And the second arm 400 perform rotational motion.

더욱 구체적으로 캠(620)의 측면에는 기어치와 같은 형태의 톱니 형태가 형성될 수 있고, 출력축부(650)의 일부에 이러한 기어치와 치합하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640)가 회전하면, 입력축부가 회전하고, 입력축부의 회전에 의해 캠이 회전하고, 캠의 상부에 형성된 조인트부에 연결된 링크부가 회전에 의해 샤프트부를 전후진 이동시키고, 캠의 측면에 연결된 출력축부가 회전하여 제2 스프로켓을 회전시키고, 제2 스프로켓의 회전에 의해 결합부가 회전하며,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결합부와 연결된 제1 스프로켓이 회전하고, 제1 스프로켓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부가 회전하여 종래와 동일한 B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부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부가 회전하고, 제1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가 회전하며, 연결부의 회전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2 기어부가 회전하고, 제2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제2 암부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암부의 회전에 의해 종래 기술과 달리 버켓부를 승하강시키는 C 동작을 위해 별도의 액츄에이터가 필요없이 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 gear tooth shape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cam 620, and a gear tooth that meshes with the gear tooth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output shaft portion 650.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unit 640 rotates, the input shaft portion rotates, the cam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portion, and the link portion connected to the joint portion formed on the cam rotates to move the shaft portion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side of the cam The output shaft connected to is rotated to rotate the second sprocket, the coupling par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rocket, the first sprocket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part, and the shaft par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sprocket. By rotat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ame B operation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the first gear part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part, the connection part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finally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arm par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part. Will rotate. Unlike the prior art,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arm, the C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actuator for the C opera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bucket.

링크부(700)는 직선 형태의 금속바 형태로 형성된다. 링크부(700)의 일단은 스플라인(200)의 샤프트부(210)에 결합되고, 링크부(700)의 타단은 캠박스부(600)의 조인트부(630)에 결합됨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를 통한 구동부(640)의 회전에 따른 캠(620)의 회전에 의해 링크부(700)가 병진운동함에 따라 샤프트부(210)가 직선이동(A 동작)을 수행한다.The link part 7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ght metal bar. As one end of the link unit 700 is coupled to the shaft portion 210 of the spline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unit 700 is coupled to the joint unit 630 of the cam box unit 600,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s the link unit 700 moves in translation by the rotation of the cam 6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640 through the shaft unit 210, the shaft unit 210 performs a linear movement (operation A).

구체적으로 구동부(640)에 의해 입력축부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캠이 회전하면 조인트부(630)에 연결된 링크부(700)의 선단이 선회동작을 하게 되고, 링크부의 일단에 연결된 샤프트부(210)가 도 8과 같이 직선이동(A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input shaft portion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640, and the cam rotates accordingly, the front end of the link unit 700 connected to the joint unit 630 is rotated, and the shaft unit 21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nk unit 8 performs a linear movement (operation A).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는 종래의 파트 언로더 장치의 A 동작, B 동작, 및 C 동작을 오직 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캠의 회전을 통해 구현하고, D 동작은 버켓부의 가압부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오직 1개의 액츄에이터만으로 구현함에 따라 파트의 언로딩에 필요한 동작의 최적화를 통해 파트 언로딩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A, B, and C operations of the conventional part unloader device only through the rotation of the cam by driving the driving unit, and the D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bucket unit. As it is performed by the pressurizing unit, it is implemented with only one actuator, reducing part unloading time and cost, maximizing productivit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miniaturization through optimization of the operation required for part unloading. I can.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의 버켓부(500)는 본체부(510), 개폐부(520), 탄성부재(530), 롤러부(540), 및 가압부(550)를 포함한다.13 to 14, the bucket part 500 of the part unloader device 10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510, an opening and closing part 520, an elastic member 530, a roller part (540), and a pressing portion (550).

본체부(510)는 버켓부(500)의 외형을 형성하고, 회전 동작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body portion 5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bucket portion 500 and maintains a fixed state without a rotation operation.

개폐부(520)는 본체부(510)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된다. 파트 언로더 장치의 구동중에 본체부(510)와 개폐부(5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파트(50)가 본관된다.The opening/closing part 520 is pivot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510 to be opened and closed. During the driving of the part unloader device, the part 50 is main in the space formed by the main body 5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20.

탄성부재(530)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520)의 선회 동작을 차단단다. 탄성부재(530)는 인장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530 blocks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20 by an elastic force. The elastic member 530 may be formed of a tension spring.

롤러부(540)는 탄성부재(5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탄성부재(530)와 연동한다.The roller part 54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530 and interlocks with the elastic member 530.

가압부(550)는 본체부(510)에 돌출 설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551)에 의해 롤러부와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개페부를 선회시켜 버켓부를 개방한다.The pressing part 550 is installed protruding from the body part 510 and presses the roller part and the elastic member by an inclined surface 551 formed on one side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o open the bucket part.

구체적으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샤프트부의 회전과 제1 암부 및 제2 암부의 회전과 샤프트부의 직선이동에 의해 스핀들의 척에 클램핑된 파트를 회수하기 위해 버켓부가 척 또는 컨베어이의 유입부에 인접하게 되면 가압부(550)가 가압되고, 가압부에 형성된 경사면(551)에 의해 롤러부(540)가 어느 한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롤러부와 연동하는 탄성부재(530)가 늘어나게 되면서 개폐부(520)가 선회하면서 본체부와 멀어지면서 버켓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후, 버켓부가 스핀들의 척이나 컨베이어의 유입부에서 멀어지게 되면 가압부(550)가 가압되지 않고,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롤러부가 원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개폐부가 선회동작을 통해 본체부와 함께 버켓부의 폐쇄된 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3 and 14, in order to retrieve the part clamped by the chuck of the spindle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part,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part, the bucket part enters the chuck or conveyor. When adjacent to the part, the pressing part 550 is pressed, the roller part 540 is pushed in any one direction by the inclined surface 551 formed in the pressing part, and the elastic member 530 interlocking with the roller part is increased. A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20 rotates, the bucket part is opened as it moves away from the main body part. Thereafter, when the bucket part is moved away from the chuck of the spindle or the inlet part of the conveyor, the pressing part 550 is not pressed, and the roller part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ogether with, the closed state of the bucket part is automatically maintained.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는 종래 파트 언로더 장치와 같이 버켓부를 개폐시키는 동작(D 동작)을 위해 별도의 액츄에이터가 없이 탄성부재, 롤러부, 및 가압부에 의해 버켓부가 스핀들의 척이나 컨베이어의 유입부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동작만으로 자동으로 D 동작을 구현함에 따라 소형화를 도모하고, 제조비용과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언로딩 시간 감소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such, the part unloader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eparate actuator for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bucket part (D operation) like the conventional part unloader device, and the bucket part by the elastic member, the roller part, and the pressing part. By automatically implementing D operation only by moving the spindle chuck or the inlet part of the conveyor to or away from it, it is possible to achieve miniaturizatio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and maximize productivity by reducing unloading tim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파트 언로더 장치(10)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art unloader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제어부는 스핀들의 척에 클램핑된 가공이 완료된 소재인 파트를 회수한 후에 컨베이어로 반납하기 위해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to return the part to the conveyor after collecting the part, which is the finished material clamped to the chuck of the spindle.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주조작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주조작부는 화면표시 프로그램과 화면표시 선택에 따른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화면표시 프로그램의 출력에 따라 표시화면에 소프트웨어 스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소프트웨어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인식하여 기계 동작의 입출력 명령을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asting unit, and this casting unit includes a screen display program and a data input program according to screen display selection, and a screen display program It displays the software switch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output of and executes the function of giving input/output commands for machine operation by recognizing the software switch's ON/OFF.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조작부는 공작기계의 하우징, 케이스, 또는 일측에 설치되어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asting unit is provided in a housing, a case, or one side of a machine tool and includes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and various information.

또한, 제어부는 수치제어부를 포함하고, 수치제어부는 공작기계의 가공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된 가공프로그램에 따라 현재 스핀들과 척에 장착된 공작물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판단한다. 수치제어부는 NC(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를 포함하고, 각종 수치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즉, 수치제어부는 구동부의 구동프로그램 등이 내장되고, 수치제어부의 구동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로딩되어 작동한다. 이러한 수치제어부는 구동부, 공작기계의 제어유닛, 스핀들, 이송유닛이나 이송수단, 컨베이어, PLC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numerical control unit, and the numerical control unit determine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workpiece currently mounted on the spindle and the chuck according to the machining program stored in the machining program storage unit of the machine tool. The numerical control unit includes numerical control (NC) or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and various numerical control programs are built-in. That is, the numerical control unit includes a driving program of the driving unit, and the corresponding program is automatically load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numerical control unit. This numerical control unit communicates with a drive unit, a control unit of a machine tool, a spindle, a transfer unit or transfer means, a conveyor, and a PLC by a predetermined protocol.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부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포함하고, PLC는 가공프로그램, 구동부, 컨베이어, 공작기계의 제어유닛, 이송유닛 등과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고, 이러한 통신을 통해 제어명령을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PLC는 수치제어부 또는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받아 작동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PLC는 구동부의 엔코더를 이용하여 회전수, 토크의 작동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트 언로더 장치와 샤프트부, 제1 암부, 및 제2 암부, 및 버켓부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가공프로그램에 따라 다음 공작물을 수납하기 위해 대기위치나 회수위치, 반납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거나 상태에 따라 구동부를 빠르게 작동시킬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동부는 모터 또는 서보모터(SERVO MOTOR)로 형성되고, PLC와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and the PLC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processing program, a drive unit, a conveyor, a control unit of a machine tool, a transfer unit, et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and such communica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executing control commands through. That is, the PLC operates by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numerical control unit or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preferably, the PLC may measure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rque using the encoder of the driving unit, and accordingl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art unloader device and the shaft part, the first arm part, and the second arm part, and the bucket part. Can be detected and automatically moved to a standby position, a collection position, or a return position to receive the next work piece according to the machining program, or the driving unit can be quickly operat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driving unit is formed of a motor or a servo motor, and the driving is controlled by a PLC and a control unit.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는 입력부와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입력부는 조작반 등에 스위치 또는 터치 버튼 등의 형태로 설치되어 댜양한 데이터나 정보, 프로그램 등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switch or a touch button on the operation panel, etc.,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input various data, information, and programs.

표시부는 제어부의 판단부의 결과, 현재 파트의 위치, 컨베이어의 구동 상태, 구동부의 위치, 캠의 위치나 상태, 현재 구동중인 가공프로그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육안으로 현재 장비의 상태를 확인하고, 장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검사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표시부는 LCD, LED, PDP 모니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of the control unit, the position of the current part, the driving state of the conveyor,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the position or state of the cam, and the processing program currently being driven. Accordingly, as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current state of the equipmen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equipment, and inspects it,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an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display unit may be composed of an LCD, LED, PDP monitor, or the like.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10)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art unloader device 10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4.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척(31)에 공작물을 가공중에는 파트 언로더 장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부(640)가 작동하고,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입력축부(650)가 회전하고, 입력축부(650)의 회전에 의해 캠(620)이 회전한다. 이때에 캠(620)의 회전에 의한 각도와 이동거리 등은 도 9 내지 도 10의 캠선도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캠이 설계된다.As shown in Fig. 5, the part unloader device maintains a standby state while machining a work piece on the chuck 31. The driving unit 640 operates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input shaft unit 650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cam 620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input shaft unit 650. At this time, the cam is designed such that the angle and the moving distance by rotation of the cam 620 are made according to the cam diagrams of FIGS. 9 to 10.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캠의 회전에 의해 캠의 상부에 형성된 조인트부(630)에 연결된 링크부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링크부와 연결된 샤프트부(210)가 직선이동(A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플라인(200)이 직선이동(A 동작)한다.As shown in FIG. 8, the link part connected to the joint part 630 formed on the cam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am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part, and accordingly, the shaft part 210 connected to the link part moves linearly (A Action).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the spline 200 moves linearly (operation A).

이와 동시에,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캠의 회전에 의해 캠의 측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된 출력축부(66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출력축부이 일측에 형성된 제2 스프로켓(670)이 회전한다.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8, the output shaft portion 660 engaged with the gear teeth formed on the side of the cam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am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accordingly, the output shaf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procket ( 670) rotates.

제2 스프로켓(670)의 회전에 의해 결합부(680)가 회전하고,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제1 스프로켓(230)이 동회전한다. 제1 스프로켓(230)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부(210)가 동회전한다.The coupling portion 680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rocket 670, and the first sprocket 230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The shaft part 210 rotates cooperatively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sprocket 230.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샤프트부의 회전에 의해 스플라인이 회전하고 스플라인과 연결된 제1 암부(300)가 회전하여 B 동작이 수행된다. 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7, the spline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portion, and the first arm portion 300 connected to the spline rotates to perform the B operation.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암부(300)가 회전시에 샤프트부와 연결된 제1 기어부(310)가 회전하고, 제1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330)가 회전하며, 연결부(330)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부(320)가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기어부와 제2 기어부의 기어비가 제1 암부보다 제2 암부가 더 큰각도로 회전하도록 2:1로 형성됨에 따라 제2 기어부에 연결된 제2 암부가 제1 암부의 회전각도보다 크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버켓부의 승하강 동작인 C동작을 샤프트부와 제1 암부 및 제2 암부의 단순한 회전동작(B 동작)만으로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12, when the first arm part 300 rotates, the first gear part 310 connected to the shaft part rotates, and the connection part 330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part, The second gear part 320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part 330. As described above, as the gear ratio of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is formed to be 2:1 so that the second arm part rotates at a larger angle than the first arm part, the second arm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part It rotates larger than the rotation angle. Accordingly, the C operation, which is an elevating operation of the bucket unit,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only by a simple rotation operation (operation B) of the shaft unit, the first arm unit, and the second arm unit.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스핀들의 척이나 컨베이어의 유입부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버켓부(500)의 가압부(550)가 샤프트부의 직선이동에 의해 가압되고, 롤러부(540)와 연동하는 탄성부재(530)가 늘어나면서 개폐부(520)가 선회하여 버켓부가 개방되고, 이후 버켓부가 척이나 컨베이어에서 멀어지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부가 선회하여 원상태로 돌아와서 버켓부가 폐쇄되는 개폐동작(D 동작)이 수행된다.13 and 14, the pressing portion 550 of the bucket portion 500 moving adjacent to the inlet portion of the spindle chuck or the conveyor is pressed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portion, and the roller portion 540 and As the interlocking elastic member 530 increase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20 rotates to open the bucket, and when the bucket part moves away from the chuck or convey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utomatically rotat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nd the bucket part is close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peration D) is performed.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는 종래 파트 언로더 장치와 다르게 단 1개의 액츄에이터인 구동부이 구동에 의한 캠의 회전동작을 통해 스플라인의 직선이동인 A동작과 샤프트에 따른 제1 암부의 회전인 B동작과 버켓부의 승하강 동작인 제2 암부의 회전인 C동작을 동시에 구현하고, 스플라인의 직선이동인 A동작에 따라 버켓부의 개폐동작인 D동작도 동시에 수행됨에 따라 파트의 언로딩에 필요한 동작의 최적화를 통해 파트 언로딩 시간과 비용을 감소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제조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rt unloader devic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arm part according to the shaft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spline throug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by driving the drive part, which is only one actuator, unlike the conventional part unloader device. The B operation, which is the rotation of the bucket part, and the C operation, which is the rotation of the second arm part, which i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ucket part, are simultaneously implemented. By optimizing the operation required for the part, it is possible to maximize productivity by reducing part unloading time and cost, an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 : 파트 언로더 장치, 30 : 스핀들,
40 : 컨베이어, 50 : 파트,
100 : 고정부, 110 : 베이스부,
120 : 지지부, 130 : 센싱부,
200 : 스플라인, 210 : 샤프트부,
220 : 스토퍼부, 230 : 제1 스프로켓,
240 : 서포트부, 300 : 제1 암부,
310 : 제1 기어부, 320 : 제2 기어부,
330 : 연결부, 400 : 제2 암부,
500 : 버켓부, 510 : 본체부,
520 : 개폐부, 530 : 탄성부재,
540 : 롤러부, 550 : 가압부,
600 : 캠박스부, 610 : 하우징부,
620 : 캠, 630 : 조인트부,
640 : 구동부, 650 : 입력축부,
660 : 출력축부, 670 : 제2 스프로켓,
680 : 결합부, 690 : 가이드부,
700 : 링크부.
10: part unloader device, 30: spindle,
40: conveyor, 50: part,
100: fixed portion, 110: base portion,
120: support, 130: sensing,
200: spline, 210: shaft portion,
220: stopper part, 230: first sprocket,
240: support portion, 300: first arm portion,
310: first gear portion, 320: second gear portion,
330: connection part, 400: second arm part,
500: bucket part, 510: body part,
520: opening and closing part, 530: elastic member,
540: roller part, 550: pressing part,
600: cam box part, 610: housing part,
620: cam, 630: joint,
640: drive unit, 650: input shaft unit,
660: output shaft part, 670: second sprocket,
680: coupling portion, 690: guide portion,
700: link part.

Claims (12)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플라인;
상기 스플라인과 연동하여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스플라인의 일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1 암부;
상기 제1 암부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암부의 일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 암부;
가공된 소재를 스핀들로부터 회수하여 컨베이어에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2 암부의 일부에 연결 설치되는 버켓부;
캠과 상기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캠박스부; 및
일단은 상기 스플라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캠박스부에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인의 직선이동과 상기 스플라인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의 회전이동은 상기 캠의 회전만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Fixed part;
A spline installed to be linearly movable and rotatable on the fixed part;
A first arm part connected to a part of the spline so as to be linearly moved and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spline;
A second arm part connected to a part of the first arm part to be rota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arm part;
A bucket part connected to a part of the second arm part to collect the processed material from the spindle and discharge it to the conveyor;
A cam box unit having a cam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am;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pline, the other end is a link portion coupled to the cam box portion; Including,
A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movement of the spline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by rotation of the spline are performed only by rotation of the c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한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 및 회전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시 샤프트부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상기 샤프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샤프트부를 동회전시키도록 상기 샤프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로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line,
A shaft part which linearly moves and rotates by rotation of the cam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A stopper portion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to limit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portion at all times;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shaft part; And
A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comprising: a first sprocket that penetrates the shaft portion so as to rotate the shaft portion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stopp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박스부는,
상기 캠의 상부에 형성되는 조인트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동력을 상기 캠에 전달하여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입력축부;
상기 캠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축부;
상기 출력축부와 동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로켓; 및
상기 제1 스프로켓과 상기 제2 스프로켓을 동회전시키기 상기 제1 스프로켓과 상기 제2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am box part,
A joint portion formed on the cam;
An input shaft part for rotating the cam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part to the cam;
An output shaft portion rotating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am;
A second sprocke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put shaft to rotate cooperatively with the output shaft; And
And a coupl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to rotate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in the same man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박스부는,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am box part,
A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comprising: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이 상기 스토퍼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부가 병진운동함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가 직선이동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link portion is coupled to the stopper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joint portion,
The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part is performed as the link part translates by rotation of the cam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제1 암부의 일단에 상기 샤프트부의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샤프트부와 동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암부의 타단에 상기 제2 암부의 일단과 결합되게 설치되는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기어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rm part,
A first gear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unit at one end of the first arm unit to rotate cooperatively with the shaft unit;
A second gear uni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arm; An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to rotate the second gear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캠이 회전하고,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스프로켓과 결합부로 연결되어 동회전하는 상기 제2 스프로켓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가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가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am rotates by driving the driving unit,
The shaft portion rotates as the second sprocket,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procket and rotates cooperatively by rotation of the cam, rotates,
A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perform rotational mo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암부의 회전각도가 상기 제1 암부의 회전각도보다 크도록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wherein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are formed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arm part is greater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rm part by rotation of the shaft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의 기어비와 상기 제2 기어부의 기어비는 2:1이 되도록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are formed so that a gear ratio of the first gear part and a gear ratio of the second gear part is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공작기계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샤프트부를 관통하여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part,
A base part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tool;
A part unloader device for a machine tool comprising a; a fastening part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shaft part and is installed on the base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직선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xing part,
A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comprising: a sensing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unit to detect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선회 가능하게 개폐되는 개폐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의 선회 동작을 차단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연동되는 롤러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상기 롤러부와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개페부를 선회시켜 상기 버켓부를 개방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트 언로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cket part,
Body part;
An opening/closing part pivotally opened and closed on the main body;
An elastic member block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by an elastic force;
A roller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interlocked with the elastic member; And
A machine tool part unloader device comprising: a pressing par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pressing the roller part and the elastic member by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one side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o open the bucket part.
KR1020190041659A 2019-04-09 2019-04-09 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KR102616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59A KR102616227B1 (en) 2019-04-09 2019-04-09 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59A KR102616227B1 (en) 2019-04-09 2019-04-09 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70A true KR20200119170A (en) 2020-10-19
KR102616227B1 KR102616227B1 (en) 2023-12-20

Family

ID=7304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659A KR102616227B1 (en) 2019-04-09 2019-04-09 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22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02A (en)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CN117943848A (en) * 2024-03-27 2024-04-30 厦门市文忠不锈钢制品有限公司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base
CN117943848B (en) * 2024-03-27 2024-05-31 厦门市文忠不锈钢制品有限公司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bas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466A (en) * 2000-07-13 2002-01-29 김재복 a carrying out machine for a workpiece of a lathe
KR200356822Y1 (en) * 2004-04-14 2004-07-19 윤종철 Horizontal Arm Loader
KR20070066888A (en) 2005-12-22 2007-06-2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The part unloader device including a spline shaft
KR20090067256A (en) * 2007-12-21 2009-06-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Automatic tools changer of machine tool
KR101235443B1 (en) * 2005-12-27 2013-02-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Bucket in Parts Unloader for Working machine
KR101508206B1 (en) * 2014-11-18 2015-04-07 한라인더스트리 주식회사 CNC heavy automatic feed and take-off of the shelf
KR20180113356A (en) 2017-04-06 2018-10-16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Cutting oil supplying device for a tool pos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466A (en) * 2000-07-13 2002-01-29 김재복 a carrying out machine for a workpiece of a lathe
KR200356822Y1 (en) * 2004-04-14 2004-07-19 윤종철 Horizontal Arm Loader
KR20070066888A (en) 2005-12-22 2007-06-2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The part unloader device including a spline shaft
KR101235443B1 (en) * 2005-12-27 2013-02-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Bucket in Parts Unloader for Working machine
KR20090067256A (en) * 2007-12-21 2009-06-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Automatic tools changer of machine tool
KR101508206B1 (en) * 2014-11-18 2015-04-07 한라인더스트리 주식회사 CNC heavy automatic feed and take-off of the shelf
KR20180113356A (en) 2017-04-06 2018-10-16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Cutting oil supplying device for a tool pos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02A (en)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CN117943848A (en) * 2024-03-27 2024-04-30 厦门市文忠不锈钢制品有限公司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base
CN117943848B (en) * 2024-03-27 2024-05-31 厦门市文忠不锈钢制品有限公司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227B1 (en)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302B2 (en) Self-loading machining apparatus with two vertical workpiece spindles
KR100287973B1 (en) Industrial Robot
US3742791A (en) Lathe
KR102598071B1 (en) Auto toool chan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achine tool having the same
US6257108B1 (en) Work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in machine tool with movable spindle and machining system
JPH03170246A (en) Device to process work piece on pallet using machine tool equipped with one pallet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pallet between work station and its adjacent pallet loading/unloading station
KR102616227B1 (en) 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KR20150100217A (en) Door of automatic tool changer of machine
JP5843452B2 (en) Robot and workpiece machining system
US8967925B2 (en) Machine tool
KR102435067B1 (en) Spindle driving device of machine tool
JPH0596403A (en) Tool device of machine tool
US20220097188A1 (en) Machine tool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208179124U (en) A kind of numerically-controlled machine tool being oppositely arranged
JP4100645B2 (en) Machine tool pallet changer
CN209737185U (en) Full-automatic numerical control multi-shaft mechanical processing machine
JP3922606B2 (en) Work feeder with centering device for spindle type vertical machine tool
KR101850758B1 (en) machine tool having a multiple spindle head
KR101689199B1 (en) Pallet exchange device comprising a cam drive box
US20210178544A1 (en) Cnc machining centre
JPH11170101A (en) Workpiece replacing device for spindle moving type vertical machine tool
KR20190096015A (en) Door apparatus
JP4502155B2 (en) Machine tool pallet changer
JP2016055410A (en) Work automatic replacing device
KR20180109943A (en)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