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302A -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 Google Patents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302A
KR20230121302A KR1020220017994A KR20220017994A KR20230121302A KR 20230121302 A KR20230121302 A KR 20230121302A KR 1020220017994 A KR1020220017994 A KR 1020220017994A KR 20220017994 A KR20220017994 A KR 20220017994A KR 20230121302 A KR20230121302 A KR 2023012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achine tool
chuck
shaft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2001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302A/en
Publication of KR2023012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30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6Ej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공작기계의 파트 캐쳐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서보모터와 감속기로 구성하고, 감속기의 선단에 회전축과 회전암을 설치하고, 회전암의 선단에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주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자력을 형성하는 바 형태의 파트 캐쳐를 구비하여, 주축에서 공작물 가공이 완료되었을 때 전자석을 여자시켜 파트 캐쳐에 공작물을 부탁하여 공자기계의 외측에 설치된 공작물 배출구로 배출함으로써, 공작기계의 주축으로부터 공작물을 부착하여 배출하는 과정에 자력에 의해 공작물을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회수함으로써 공작물과 공작기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작물의 크기에 크게 구애 받지 않고 공작물을 척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작물 배출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공작기계의 크기를 줄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rotary drive unit that rotates and drives the part catcher of the machine tool is composed of a servo motor and a reducer, and a rotary shaft and a rotary arm ar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educer. By having a part catcher in the form of a bar that forms a magnetic force, when the workpiece processing is completed on the main shaft, the electromagnet is excited and the workpiece is attached to the part catcher and discharged to the workpiece outlet installed outside the gongja machine, from the main shaft of the machine tool. In the process of attaching and ejecting the workpie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workpiece and machine tools by safely collecting the workpiece without dropping it by magnetic force, and it is easy to discharge the workpiece from the chuck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orkpiece.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is simple, the size of the machine tool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Description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주축에 파지되어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공작기계의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ischarging a workpiece that is gripped by a spindle of a machine tool and has been processed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터닝센터와 같은 공작기계에서 회전하는 주축에 공작물을 파지하여 가공을 완료한 후에는 공작물을 주축의 척 클램프 상태에서 해제하여 공작기계 외부로 배출하여야 한다. 이 때 공작물의 외형이 비교적 작고 가벼운 공작물을 연속 가공하기 위해서는 공작기계의 일측에 공작물 배출장치를 장착하여,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주축으로부터 수납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In a machine tool such as a turning center, after gripping a workpiece on a rotating spindle and completing machining, the workpiece must be released from the chuck clamp state of the spindl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At this time, in order to continuously process a relatively small and light workpiece, a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chine tool to receive the processed workpiece from the main shaft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이러한 공작물 배출장치는 공지된 바와 같이, 공작기계의 주축 인근 프레임에 설치되며, 주축과 공작물 배출구 사이에서 회동하는 링크 메커니즘과, 링크의 선단에 공작물을 수납하는 박스를 장착하여, 주축에서 공작물의 가공이 완료 되면 공작물을 수납하는 박스를 공작물의 하부로 회동시켜, 주축의 공작물 파지 해지 동작에 의해 낙하하는 공작물을 박스에 수납하고, 다시 수납 박스를 회동시켜 수납 박스에 수납된 공작물을 배출구로 하역한다. As known in the art, such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is installed on a frame near the main axis of a machine tool, and a link mechanism that rotates between the main axis and a workpiece discharge port, and a box for housing the workpiece is mounted at the tip of the link to process the workpiece on the main axis. When this is completed, the box for storing the workpiece is rotated to the lower part of the workpiece, the workpiece falling by the workpiece gripping release operation of the main shaft is stored in the box, and the workpiece stored in the storage box is unloaded to the discharge port by rotating the storage box again. .

그러나 이러한 공작물 배출 장치는 주축으로부터 공작물을 안전하게 수납하고, 또한 수납 박스를 배출구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 수납 박스에 수납된 공작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수납 박스의 자세를 중력 방향으로 유지하여야 하며, 또한 배출구에 도달해서는 공작물을 하역하기 위해 수납 박스를 회동 시켜야 하므로 복잡한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또한,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수납 박스의 크기나 모양도 특별이 고려 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납 박스의 크기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must safely store the workpiece from the main shaft and maintain the posture of the storage box in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the workpiece stored in the storage box does not spill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storage box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Since the storage box must be rotated in order to unload the workpiece, it has no choice but to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storage box should be specially conside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orkpiec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storage box increases and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한편, 이러한 공작물 배출 장치는, 아래에서 소개하는 특허문헌들에 공지된 바 있다. 이하 특허문헌들의 소개는 해당 특허문헌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을 원용한 것이므로, 각 특허문헌 별로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들과도 그 표현이 다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is known from patent documents introduced below.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is based on the terms used in the patent documents, each patent documen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express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terms used in this invention.

먼저 특허문헌 1은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플라인에 연동하여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암부와, 상기 제1 암부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제2 암부를 설치하고, 제2 암부의 선단에는 버켓부를 설치하여 가공된 소재를 스핀들로부터 회수하여 컨베이어에 배출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버켓부는 개폐가능한 박스 형태로 공작물을 내부에 수납하여 배출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버켓부를 직선 이동 및 회동 시키기 위해서 캠과 상기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캠박스부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공작물을 수납하는 버켓부를 개폐 가능한 구조로 제조함에 따라 지나치게 버켓이 커지고 이를 구동하는 메커니즘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First, Patent Document 1 provides a first arm to be linearly movable and rotatable in conjunction with a spline installed to be linearly movable and rotatable, and a second arm to be rotatably interlocked with the first arm, and the tip of the second arm.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bucket part is installed to recover the processed material from the spindle and discharge it to the conveyor. Here, the bucket un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workpiece is stored and discharged in the form of an openable box. In addition, the structure includes a cam and a cam box for rotating the cam to linearly move and rotate the bucket. Therefore, as the bucket unit for accommodating the workpiece is manufactured in an openable structure, the bucket becomes excessively large and the mechanism for driving the bucket becomes complicated.

또한, 특허문헌 2는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버켓 하부에 흰지와 스프링에 의해 개폐되는 하부커버를 구비하고, 버켓을 수직 상태로 유지하며 회동하게 연결되는 제1,2회전축을 구비한 공작물 회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특허문헌 1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버켓에서 공작물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부커버를 형성하고, 이를 개폐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고 버켓의 크기가 제한되는 부득이한 한계가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workpiece recovery device having a lower cove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white paper and a spring at the bottom of a bucket for moving a workpiec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pivotally connected while maintaining the bucket in a vertical state. are doing However, this device forms a lower cover to prevent the workpiece from escaping from the bucket, as in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and has an unavoidable limitation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size of the bucket is limited by providing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it.

또한, 또 다른 특허문헌 3에서는 공작기계 몸체에 유압모터에 의해 회동하는 링크 구조의 회전 지지대와 지지바를 설치하고 지지바 선단에 공작물을 부품받이 케이스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부품받이 케이스의 내부에는 공작물을 수납하였을 때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중량체를 내장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부품받이 케이스가 중량체로 인해 항시 수직을 유지하기 때문에 수납된 공작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부품받이 케이스를 경사지게 기울이는 부가적인 구조가 있어야 하므로 역시 구조적으로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another patent document 3, a rotation support and a support bar having a link structure that rotates by a hydraulic motor are installed on a machine tool body, and a part receiving case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tip of the support bar to rotate the workpiece, and inside the parts receiving case It is a structure with a built-in weight body that holds the center of gravity when the workpiece is stored. In this structure, since the component receiving case always maintains a vertical position due to the weight, an additional structure for tilting the component receiving case is required in order to discharge the stored workpiece, so there is also a problem of structural complexity.

한국 공개특허 10-2020-011917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9170 한국 공개특허 10-2011-001375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3754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117935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17935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작기계의 주축으로부터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배출하는 과정에 공작물이 낙하하지 않으며, 공작물의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배출 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한 공작물 배출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at the workpiece does not fall dur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machined workpiece from the main axis of the machine tool, can be discharg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orkpiece, and has a simple structure. It aims to implement an exhaust devi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는, 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of the machin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공작기계 주축의 일측 공작기계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와,A rotation dri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chine tool frame of the machine tool spindle;

상기 회전 구동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회전축과,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the rotation drive unit;

상기 회전축의 선단에 직교형으로 연결되는 링크와,A link orthogonally connected to the tip of the rotating shaft;

상기 링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고 상기 공작기계의 주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자력을 형성하여 외측 표면에 상기 주축의 척에서 공작물을 부착하여 배출하는 바 형태의 파트 캐쳐와,A bar-shaped part catcher rotatable at the tip of the link,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in shaft of the machine tool, and selectively forming a magnetic force to attach and discharge a workpiece from the chuck of the main shaft to an outer surface;

공작기계의 외측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파트 캐쳐가 공작기계의 바깥쪽으로 회동했을 때 상기 파트 캐쳐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공작물을 공작기계의 외부로 회수하는 공작물 배출구를 포함한다.It is installed on the outer frame of the machine tool and includes a workpiece outlet for recovering the workpiece attached to the part catcher by a magne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when the part catcher is rotated outward of the machine tool.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회전 구동부는 공작기계의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파트 캐쳐가 상기 척과 상기 공작물 배출구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은 감속시키고 회전력은 증가시키는 감속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속기의 출력단은 상기 회전축과 직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otary driving unit includes a servo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so that the part catcher rotates between the chuck and the workpiece outlet according to a command provided from a control unit of a machine tool, and rotation of the servomotor is reduced and rotational force is reduced. is made of a speed reducer that increases, and the output end of the speed reduc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회전축은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도록 다단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를 내장하며, 상기 실린더는 공작기계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척에 파지된 공작물의 길이와 축 방향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otating shaft has a built-in cylinder operating in multiple stages to adjust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ylinder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rotation according to the length and axi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piece gripped by the chuck provided from the machine tool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is adjusted.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링크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선단이 상기 주축의 척에 파지된 공작물과 상기 공작물 배출구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링크의 길이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위치로부터 상기 주축의 축선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s the rotating shaft rotates, the link rotates between a workpiece gripped by the chuck of the main shaft and the workpiece outlet, and the length of the link is the axis of the main shaft from a position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stance to.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파트 캐쳐는 베어링을 삽입하여 상기 링크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전자석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원주방향 외측은 공작물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rt catch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ip of the link by inserting a bearing, an electromagnet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out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ntact the workpiece.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접촉부는 공작물과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lygonal shape to enlarge the contact area with the workpiece.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접촉부는 공작물과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요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cave shape to enlarge the contact area with the workpiece.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자석은 공작기계의 제어부로부터 공작물 가공이 완료되었다는 신호와 함께 척에 파지된 공작물을 배출하는 지령이 인가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자장을 형성하게 되어 자성체인 공작물을 상기 접촉부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ectromagnet is supplied with power to form a magnetic field when a command to eject the workpiece gripped by the chuck is applied together with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machine tool that processing of the workpiece is completed, thereby moving the workpiece, which is a magnetic material, to the contac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attachment.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접촉부는 공작물이 자력에 의해 부착될 때 충격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의 탄성피복을 덧씌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act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coating made of synthetic resin capable of absorbing shock is overlai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processing surface of the workpiece due to impact when the workpiece is attached by magnetic force.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공작물 배출구는 공작물을 공작물 배출구의 외부로 유도하는 입구가 공작기계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workpiece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let leading the workpiece to the outside of the workpiece outlet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machine tool.

본 발명의 공작물 배출 장치는 공작기계의 주축으로부터 공작물을 취득하여 배출하는 과정에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공작물을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회수함으로써 공작물과 공작기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하는 공작물의 크기에 크게 구애 받지 않고 공작물을 척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작물 배출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공작기계의 크기를 줄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the workpiece and the machine tool by safely recovering the workpiece without dropping i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during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discharging the workpiece from the main shaft of the machine too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discharge the workpiece from the chuck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orkpiece to be dischar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machine tool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is si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작물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작물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작물 배출 장치에 적용되는 여러 유형의 공작물 캐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작물 배출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installed in a machine tool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installed in the machine tool viewed from another angle.
3 is a perspective view of various types of workpiece catchers applied to a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작물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작물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작물 배출 장치에 적용되는 여러 유형의 공작물(22) 캐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작물 배출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installed in a machine tool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installed in the machine tool viewed from another angle. 3 is a perspective view of various types of workpiece 22 catchers applied to a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2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공작물 배출 장치는 공작기계 주축(20)의 일측 공작기계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30)와, 상기 회전 구동부(3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의 선단에 직교형으로 연결되는 회전암(50)과, 상기 회전암(5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고 상기 공작기계의 주축(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자력을 형성하여 외측 표면에 상기 주축(20)의 척(21)에서 공작물(22)을 부착하여 배출하는 바(bar) 형태의 파트 캐쳐 (parts catcher)(6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otary drive unit 30 installed in the machine tool frame 10 on one side of the machine tool spindle 20 and the output end of the rotation drive unit 30. A rotary shaft 40 that is, a rotary arm 50 orthogon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otary shaft 40, rotatable at the front end of the rotary arm 50 and parallel to the main shaft 20 of the machine tool A bar-type parts catcher 60 installed in the direction and selectively forming a magnetic force to attach and discharge the workpiece 22 from the chuck 21 of the main shaft 20 to the outer surface do.

또한, 본 발명의 공작물 배출 장치는 공작기계의 외측 프레임(10)에 상기 파트 캐쳐(60)가 공작기계의 바깥쪽으로 회동했을 때 상기 파트 캐쳐(6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공작물(22)을 공작기계의 외부로 회수하는 공작물 배출구(70)를 설치한다. In addition,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workpiece 22 attached to the outer frame 10 of the machine tool by magnetic force when the part catcher 60 rotates outwardly of the machine tool. Install a workpiece discharge port 70 that is recovered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본 발명 공작물 배출 장치의 상기 회전 구동부(30)는 서보모터(31)와 감속기(32)로 이루어지며 감속기(32)의 출력단은 상기 회전축(40)과 직결된다. 이와 같이 회전 구동부(30)를 서보모터(31)로 구성함으로써, 회전 구동부(30)에 의해 회동하는 파트 캐쳐(60)를 주축(20)의 척(21)에 파지된 공작물(22)과 공작물(22)을 배출하는 공작물 배출구(70)에 근접 시킬 수 있다. 즉, 주축(20)의 척(21)에 파지된 공작물(22)의 외경 크기에 따라 파트 캐쳐(60)가 공작물(22)에 접근할 수 있는 거리가 달라 질 수 있으며, 이 때 서보모터(31)의 회전을 제어하여 파트 캐쳐(60)를 회동시키는 회전암(50)과 연결된 회전축(40)의 회동 각도를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파트 캐쳐(60)와 주축(20)에 파지된 공작물(22)의 접근 거리를 가장 가깝게 제어할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30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rvo motor 31 and a reducer 32, and an output end of the reducer 3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0. In this way, by configuring the rotary driving unit 30 with the servo motor 31, the part catcher 60 rotated by the rotary driving unit 30 is gripped by the chuck 21 of the main shaft 20 and the work 22 and the workpiece 22 can be brought close to the workpiece discharge port 70. That i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workpiece 22 gripped by the chuck 21 of the main shaft 20, the distance at which the part catcher 60 can approach the workpiece 22 may vary, and at this time, the servomotor ( 31) by precisely adjus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40 connected to the rotating arm 50 that rotates the part catcher 60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part catcher 60 and the workpiece 22 gripped by the main shaft 20 ) can be controlled as close as possible.

또한, 회전 구동부(30)의 서보모터(31) 출력단에 감속기(32)를 배치함으로써 서보모터(31)의 회전은 감속시키고 회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disposing the reducer 32 at the output end of the servomotor 31 of the rotation drive unit 30, the rotation of the servomotor 31 can be reduced and the rotational force can be increased.

한편, 회전 구동부(30)는 서보모터(31) 대신에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텝핑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driving unit 30 may use a stepping motor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instead of the servo motor 31 .

한편, 이와 같이 회전 두동부를 구성하는 서보모터(31)나 스텝핑모터는 회전을 제어하는 드라이버(미도시)를 구비하여 공작기계의 제어부 또는 수치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척(21)에 파지된 공작물(22)의 직경 정보에 따라 파트 캐쳐(60)를 척(21)에 파지된 공작물(22)의 외경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공작물 배출구(70) 사이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o motor 31 or the stepping motor constituting the rotating head unit in this way has a driv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workpiece gripped by the chuck 21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or numerical control device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diameter information of (22), the part catcher 60 can be rotated between the workpiece outlet 70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outer diameter side of the workpiece 22 gripped by the chuck 21.

또한, 본 발명 공작물 배출 장치의 상기 회전 구동부(3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회전축(40)은 상기 주축(20)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감속기(32)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서보모터(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40)의 길이는 선단이 상기 주축(20) 척(21)에 파지되는 공작물(22)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40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the rotation drive unit 30 of 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the main shaft 20, and is transmitted via the reducer 32 I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rvomotor 31 to be.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rotary shaft 40 extends to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22 gripped by the chuck 21 of the main shaft 20 .

또한, 상기 회전축(40)은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 조절수단은 회전축(40)의 내부에 다단으로 작동하는 실린더(41)를 내장하여 회전축(4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회전축(40)의 길이 조절수단은 공작기계 제어부 또는 수치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척(21)에 파지된 공작물(22)의 길이와 축 방향 위치 정보에 따라 내부의 실린더(41)를 제어하여 주축(20)의 척(21)에 파지되는 공작물(22)의 축방향 위치에 대응하여 회전축(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40 includes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therein. The length adjusting means adjusts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40 by incorporating a cylinder 41 operating in multiple stages inside the rotating shaft 40.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rotary shaft 40 controls the internal cylinder 41 according to the length and axi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piece 22 gripped by the chuck 21 provided from the machine tool control unit or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main shaft.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40 may be adjus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xial position of the workpiece 22 gripped by the chuck 21 of (20).

또한, 본 발명 공작물 배출 장치의 상기 회전축(40)의 선단에 직교형으로 연결되는 회전암(50)은 상기 회전축(40)이 회전함에 따라 그 선단이 상기 주축(20)의 척(21)에 파지된 공작물(22)과 상기 공작물 배출구(70)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회전암(50)의 길이는 상기 회전축(40)에 결합된 위치로부터 상기 주축(20)의 축선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작게 형성한다. 즉, 상기 회전축(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암(50)이 상기 척(21)에 파지된 공작물(22) 방향으로 회동할 때 회전암(50)의 선단 위치가 공작물(22)의 중심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tary arm 50 orthogon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otation shaf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piece discharge device has its front end attached to the chuck 21 of the main shaft 20 as the rotation shaft 40 rotates. It rotates between the gripped workpiece 22 and the workpiece outlet 70, and the length of the rotary arm 50 is the same as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coupled to the rotary shaft 40 to the axis of the main shaft 20, or form small That is, when the rotary arm 50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workpiece 22 held by the chuck 2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40, the tip of the rotary arm 5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workpiece 22. do not deviate from

또한, 본 발명 공작물 배출 장치에서 상기 회전암(50)의 선단에는 상기 공작기계의 주축(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자력이 형성되는 바 형태의 파트 캐쳐(6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베어링(61)을 삽입하여 상기 회전암(50)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전자석(62)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 형태의 파트 캐쳐(60)에서 공작물(22)과 접촉하는 원주방향 외측의 접촉부(63)는 환봉 또는 원통 형상의 공작물(22)과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다각형의 구조나 공작물(22)의 곡률과 유사한 요홈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r-shaped part catcher 60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in shaft 20 of the machine tool at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arm 50 and selectively generating magnetic force is shown in FIG. As shown, a bearing 61 is insert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otary arm 50, and an electromagnet 62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In addition, the outer contact portion 6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ntacting the workpiece 22 in the bar-shaped part catcher 60 is a polygonal structure or workpiece 22 in order to exp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round bar or cylindrical workpiece 22. ) can be configured in a concave shape similar to the curvature of

한편, 상기 전자석(62)은 공작기계의 제어부 또는 수치제어장치로부터 공작물(22) 가공이 완료되었다는 신호와 함께 척(21)에 파지된 공작물(22)을 배출하는 지령이 인가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자장을 형성하게 되어 자성체인 공작물(22)을 파트 캐쳐(60)의 원주 방향 외측 접촉부(63)에 부착시키게 된다.Mean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62 when a command to eject the workpiece 22 held by the chuck 21 is applied together with a signal indicating that processing of the workpiece 22 is completed from the control unit or numerical control device of the machine tool. A magnetic field is formed to attach the workpiece 22, which is a magnetic material, to the outer contact portion 6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art catcher 60.

또한, 상기 파트 캐쳐(60) 선단에 삽입되는 베어링(61)은 미끄럼베어링이나 구름베어링을 사용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파트 캐쳐(60)의 접촉부(63)에 부착된 공작물(22)이 자중에 의해 파트 캐쳐(60)와 함께 중력 방향인 아래로 회전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earing 61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part catcher 60 uses a sliding bearing or a rolling bearing, so that the workpiece 22 attached to the contact portion 63 of the part catcher 60 is moved by its own weight by its own force. Together with the part catcher 60, it rotates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한편, 상기 파트 캐쳐(60)의 접촉부(63)는 공작물(22)이 자력에 의해 부착될 때 충격에 의해 공작물(22)의 가공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의 탄성피복을 덧씌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portion 63 of the part catcher 60 is made of synthetic resin capable of absorbing shock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processing surface of the workpiece 22 due to impact when the workpiece 22 is attached by magnetic force. can be overlaid with an elastic sheath.

또한, 본 발명 공작물 배출 장치에서 공작기계의 외측 프레임(10)에 상기 파트 캐쳐(60)가 공작기계의 바깥쪽으로 회동했을 때 공작물(22)을 공작기계의 외부로 회수하는 상기 공작물 배출구(70)는, 도 1, 2, 4에 도시한 것처럼, 파트 캐쳐(60)에 부착된 공작물(22)이 투입될 때 공작물(22)을 공작물 배출구(70)의 외부로 유도하는 입구(71)가 공작기계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piece discharge port 70 for recovering the workpiece 22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when the part catcher 60 is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on the outer frame 10 of the machine tool As shown in FIGS. 1, 2, and 4, when the workpiece 22 attached to the part catcher 60 is input, the inlet 71 that guides the workpiece 22 to the outside of the workpiece outlet 70 is the workpiece. It is formed by protruding into the machine.

한편, 상기 실시예 구성과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공작물(22) 회수 장치의 동작은,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device for recovering the workpiece 22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is,

상기 서보모터(31)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40)과 회전암(50)을 회동시키며, 회전암(50)의 선단에 장착된 파트 캐쳐(60)가 주축(20)의 척(21)에 파지된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22)에 접근하면, 제어부나 수치제어장치에 의해 척(21)이 공작물(22) 파지와 동시에 파트 캐쳐(60) 내부의 전자석(62)에 자력을 인가하여 공작물(22)을 파트 캐쳐(60) 접촉부(63)에 부착시킨다.The servo motor 31 rotates to rotate the rotary shaft 40 and the rotary arm 50, and the part catcher 60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rotary arm 50 is attached to the chuck 21 of the main shaft 20. When approaching the gripped workpiece 22 that has been processed, the chuck 21 grips the workpiece 22 by the control unit or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applies magnetic force to the electromagnet 62 inside the part catcher 60 at the same time as the workpiece ( 22) is attached to the contact portion 63 of the part catcher 60.

이어서 파트 캐쳐(60)에 부착된 공작물(22)은 자중에 의해 파트 캐쳐(60) 선단의 베어링(61)이 회전하면서 중력 방향인 아래로 회동한다. Subsequently, the workpiece 22 attached to the part catcher 60 rotates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while the bearing 61 at the front end of the part catcher 60 rotates by its own weight.

이어서 상기 서보모터(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40)이 회전하면서 회전축(40) 선단의 회전암(50)을 회동시키고, 상기 회전암(50)의 회동에 의해 파트 캐쳐(60)는 자력을 유지한 채로 부착된 공작물(22)을 공작물 배출구(70)의 입구(71) 상부로 이동 시킨다.Subsequently, the rotary shaft 4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rvomotor 31 to rotate the rotary arm 50 at the tip of the rotary shaft 40, and the part catcher 6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arm 50 While maintaining the magnetic force, the attached workpiece 22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let 71 of the workpiece outlet 70.

이 때 파트 캐쳐(60)의 축방향 위치가 상기 공작물 배출구(70)의 입구(71) 위치와 상이할 경우, 상기 제어부 또는 수치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회전축(40) 내부의 실린더(41)가 신축되어 상기 회전축(40)을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하여 파트 캐쳐(60)의 위치가 상기 공작물 배출구(70)의 입구(71) 위치와 일치하게 조정한다. 이 때 회전축(40) 내부의 실린더(41)의 신축 거리는 상기 제어부 또는 수치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척(21)에 파지된 공작물(22)의 위치에 따라 제어된다. At this time, when the axial position of the part catcher 60 is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e inlet 71 of the workpiece outlet 70, the cylinder 41 inside the rotary shaft 40 is stretched and contracted by the controller or numerical control devic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tary shaft 40 in the axial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part catcher 60 is adjust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inlet 71 of the workpiece outlet 70. At this time, the extension distance of the cylinder 41 inside the rotary shaft 4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22 gripped by the chuck 21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or numerical control device.

이어서 상기 제어부 또는 수치제어장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파트 캐쳐(60) 내부의 전자석(62)에 자장을 제거하여 파트 캐쳐(60)에 매달린 형태로 부착되어 있던 공작물(22)은 파트 캐쳐(60)로부터 낙하시켜 상기 공작물 배출구(70)의 입구(71)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공작물(22)을 회수되게 된다.Then, by removing the magnetic field in the electromagnet 62 inside the part catcher 6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or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the work 22 attached to the part catcher 60 in a suspended form is part catcher 60 The workpiece 22 is recovered by dropping from the workpiece outlet 70 into the inlet 71 of the workpiece outlet 70.

상기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작물 배출 장치는 공작기계의 주축(20)으로부터 공작물(22)을 취득하여 배출하는 과정에 전자석(62)의 자력에 의해 공작물(22)을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회수함으로써 공작물(22)과 공작기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하는 공작물(22)의 크기에 크게 구애 받지 않고 공작물(22)을 척(2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작물 배출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공작기계의 크기를 줄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rop the workpiece 22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62 in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discharging the workpiece 22 from the main shaft 20 of the machine tool.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workpiece 22 and the machine tool by safely recovering it withou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discharge the workpiece 22 from the chuck 21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orkpiece 22 to be dischar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machine tool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is simple.

10 프레임
20 주축
21 척
30 회전 구동부
31 서보모터
32 감속기
40 회전축
41 실린더
50 링크
60 파트 캐쳐
61 베어링
62 전자석
63 접촉부
70 공작물 배출구
71 입구
10 frames
20 main axis
21 ships
30 rotary drive
31 Servo Motor
32 reducer
40 axis of rotation
41 cylinder
50 links
60 Part Catcher
61 bearing
62 electromagnet
63 contact
70 workpiece outlet
71 entrance

Claims (10)

공작기계 주축의 일측 공작기계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 구동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선단에 직교형으로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고 상기 공작기계의 주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자력을 형성하여 외측 표면에 상기 주축의 척에서 공작물을 부착하여 배출하는 바 형태의 파트 캐쳐와,
공작기계의 외측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파트 캐쳐가 공작기계의 바깥쪽으로 회동했을 때 상기 파트 캐쳐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 공작물을 공작기계의 외부로 회수하는 공작물 배출구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
A rotary dri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chine tool frame of the machine tool spindle;
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the rotation drive unit;
A link orthogonally connected to the tip of the rotating shaft;
A bar-shaped part catcher rotatable at the tip of the link,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in shaft of the machine tool, and selectively forming a magnetic force to attach and discharge a workpiece from the chuck of the main shaft to an outer surface;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frame of the machine tool and includes a workpiece discharge port for recovering the workpiece attached to the part catcher by magne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when the part catcher rotates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ool.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machine to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공작기계의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파트 캐쳐가 상기 척과 상기 공작물 배출구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은 감속시키고 회전력은 증가시키는 감속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속기의 출력단은 상기 회전축과 직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tary driving unit includes a servo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so that the part catcher rotates between the chuck and the workpiece outlet according to a command provided from a control unit of a machine tool, and rotation of the servomotor is reduced. The workpiece discharge device of the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made of a reducer that increases, and the output end of the reduc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도록 다단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를 내장하며, 상기 실린더는 공작기계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척에 파지된 공작물의 길이와 축 방향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tary shaft has a built-in cylinder that operates in multiple stages to adjust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ylinder is provided from the machine tool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length and axi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piece gripped by the chuck.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선단이 상기 주축의 척에 파지된 공작물과 상기 공작물 배출구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링크의 길이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위치로부터 상기 주축의 축선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k rotates between a workpiece gripped by the chuck of the main shaft and the workpiece outlet as the rotating shaft rotates, and the length of the link is the length of the main shaft from a position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for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stance to the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 캐쳐는 베어링을 삽입하여 상기 링크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전자석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원주방향 외측은 공작물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rt catch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ip of the link by inserting a bearing, an electromagnet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with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workpiece. Workpiece ejection device for machine tool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공작물과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6] The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contact portion has a polygonal shape to enlarge an area of contact with the workpie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공작물과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요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6] The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contact portion has a concave shape to enlarge a contact area with the workpie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공작기계의 제어부로부터 공작물 가공이 완료되었다는 신호와 함께 척에 파지된 공작물을 배출하는 지령이 인가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자장을 형성하게 되어 자성체인 공작물을 상기 접촉부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lectromagnet is supplied with power to form a magnetic field when a command to eject the workpiece gripped by the chuck is applied along with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machine tool that processing of the workpiece is completed, thereby moving the workpiece, which is a magnetic body, to the contact portion. A workpiece discharge device for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공작물이 자력에 의해 부착될 때 충격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의 탄성피복을 덧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6. The work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act part is covered with an elastic coating made of synthetic resin capable of absorbing shock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machined surface of the workpiece due to impact when the workpiece is attached by magnetic force. The machine's workpiece ej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배출구는 공작물을 공작물 배출구의 외부로 유도하는 입구가 공작기계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workpiece discharge port has an inlet protruding into the inside of the machine tool to guide the workpiece to the outside of the workpiece discharge port.
KR1020220017994A 2022-02-11 2022-02-11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KR202301213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94A KR20230121302A (en) 2022-02-11 2022-02-11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94A KR20230121302A (en) 2022-02-11 2022-02-11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302A true KR20230121302A (en) 2023-08-18

Family

ID=8780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994A KR20230121302A (en) 2022-02-11 2022-02-11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302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935Y1 (en) 1994-09-05 1998-06-01 석진철 Apparatus for collecting works in a machine tool
KR20110013754A (en) 2009-08-03 2011-02-10 현대위아 주식회사 Part catcher for machine tool
KR20200119170A (en) 2019-04-09 2020-10-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935Y1 (en) 1994-09-05 1998-06-01 석진철 Apparatus for collecting works in a machine tool
KR20110013754A (en) 2009-08-03 2011-02-10 현대위아 주식회사 Part catcher for machine tool
KR20200119170A (en) 2019-04-09 2020-10-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arts unloader device of machine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7109360A1 (en) machine tool
CN108237422B (en) Machine tool
JP7122221B2 (en) Machine Tools
CN113226672B (en) End effector and robot provided with same
JP6599107B2 (en) Machine tool workpiece dispensing device
JP2008110447A (en) Workpiece discharge device and machine tool provided with the same
JPS63109936A (en) Program control type universal milling machine and tool exchanger for boring machine
CN113146326A (en) Machine tool
JP6298512B1 (en) Loading device and processing device
JP3231671B2 (en) Billet feeder for forging press
KR20230121302A (en) Workpiece unloading device of machine tool
JP5265963B2 (en) Machine Tools
CN217618989U (en) Fan head assembling machine
JP4303810B2 (en) Lathe work discharging device
JP2000153425A (en) Workpiece discharge device for two-spindle opposed lathe
JP3892267B2 (en) Work discharging device
JP2005118942A (en) Work reversing device
JP3780144B2 (en) Work reversing device
JPH0749179B2 (en) Gear loading device
JPH0259244A (en) Metalcutting machine tool
JPS5949144B2 (en) automatic tool changer
ITTO20010865A1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OOLS IN AND FROM THE TOOL MAGAZINE OF A MACHINE TOOL.
JP6761259B2 (en) Processing equipment
JP3261269B2 (en) Machine tool with tool changer
EP1473104A1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