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150A - 나트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나트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150A
KR20200119150A KR1020190041625A KR20190041625A KR20200119150A KR 20200119150 A KR20200119150 A KR 20200119150A KR 1020190041625 A KR1020190041625 A KR 1020190041625A KR 20190041625 A KR20190041625 A KR 20190041625A KR 20200119150 A KR20200119150 A KR 20200119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econdary battery
sod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089B1 (ko
Inventor
엄지용
김성인
강지훈
이다연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41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08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나트륨 이차전지는 NaxMe1O2 (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코팅층; 및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 상에 코팅되되, 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포함하는 희생양극 코팅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나트륨 이차전지{Sodium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나트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방전뿐 아니라 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한다. 이차전지 중 대표적인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활물질에 포함된 리튬이온이 전해질을 거쳐 음극으로 이동한 후 음극활물질의 구조 내로 삽입되며(충전), 이 후 음극활물질의 구조 내로 삽입되었던 리튬 이온이 다시 양극으로 되돌아가는(방전) 원리를 통해 작동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현재 상용화되어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전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대형 전원으로도 사용가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그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리튬 이차전지에서 양극활물질로 주로 사용되는 복합금속산화물은 리튬 등의 희소금속원소를 포함하고 있어, 수요증대에 부응하지 못할 염려가 있다. 이에 따라, 공급량이 풍부고 값싼 나트륨을 양극활물질로 사용하는 나트륨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트륨 이차전지도 1970년대부터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리튬 전지가 먼저 상용화되어 관심을 끌지 못하다가 비 리튬계 전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나트륨 이차전지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33300호는 양극활물질로서 AxMnPO4F(A=Li 또는 Na, 0 < x ≤ 2)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킨 나트륨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나트륨 이차전지는 NaxMe1O2 (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코팅층; 및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 상에 코팅되되, 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포함하는 희생양극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나트륨 이차전지에서,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은 상기 NaxMe1O2, 슈퍼 피(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가 혼합된 제 1 코팅층이며,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은 상기 LiyMe2O2, 슈퍼 피(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가 혼합된 제 2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나트륨 이차전지에서,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과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조성이 서로 구별되는 층일 수 있다.
상기 나트륨 이차전지에서,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은 중량비로 NaxMe1O2 (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 89 내지 91%, 슈퍼 피(Super P) : 4 내지 6%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4 내지 6%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나트륨 이차전지에서,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은 중량비로 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 69 내지 71%, 슈퍼 피(Super P) : 19 내지 21%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9 내지 11%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나트륨 이차전지에서,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LiyMe2O2 의 중량비는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NaxMe1O2 의 중량비의 10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나트륨 이차전지는 중량비로 Na0.9[Ni0.25Fe0.25Mn0.5]O2 : 90%, 슈퍼 피(Super P) : 5%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5% 로 이루어진 양극 활물질 코팅층; 및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 상에 코팅되되, 중량비로 Li1[Ni0.8Co0.1Mn0.1]O2 : 70%, 슈퍼 피(Super P) : 20%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10% 로 이루어진 희생양극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킨 나트륨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서 양극 활물질 코팅층 및 희생양극 코팅층으로 구성된 이중 코팅층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서 양극 활물질 코팅층 및 희생양극 코팅층으로 구성된 이중 코팅층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NaxMe1O2 (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 및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 상에 코팅되되, 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포함하는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을 포함한다. 상기 활물질 코팅층과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조성이 서로 구별되는 층이다.
상기 NaxMe1O2 화합물의 조성에서 상기 x가 1 보다 큰 경우 Na 이온전지 양극이 합성되지 않아 양극으로 만들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LiyMe2O2 화합물의 조성에서 상기 y가 1 보다 작을 경우 나트륨 이차전지의 충전양이 현저하게 부족하며, 상기 y가 2 보다 클 경우 양극 합성이 되지 않으며, 설사 합성이 된다고 하더라도 비가역 용량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 및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으로 구성된 이중 코팅층은 양극 집전체 상에 코팅되어 양극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을 코팅하고,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 상에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을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이중 코팅층을 구비하는 나트륨 이차전지가 완전 전지(full cell) 내 음극 비가역 용량을 보전하여 고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을 구성하는 NaxMe1O2(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에서 상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NaxMe1O2을 구성하는 산소의 원자비는 상기 Me1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원자비 총합의 두 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 활물질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NaxMe1O2 는 Na0.9[Ni0.25Fe0.25Mn0.5]O2 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은 상기 NaxMe1O2 외에 슈퍼 피(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은 NaxMe1O2, 슈퍼 피(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가 혼합된 제 1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은 중량비로 NaxMe1O2 (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 89 내지 91%, 슈퍼 피(Super P) : 4 내지 6%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4 내지 6%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은 중량비로 NaxMe1O2 (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 90%, 슈퍼 피(Super P) : 5%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5%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 의한 구체적인 예로서,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은 중량비로 Na0.9[Ni0.25Fe0.25Mn0.5]O2 : 90%, 슈퍼 피(Super P) : 5%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5%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을 구성하는 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에서 상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LiyMe2O2을 구성하는 산소의 원자비는 상기 Me2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원자비 총합의 두 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양극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LiyMe2O2 는 Li1[Ni0.8Co0.1Mn0.1]O2 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은 상기 LiyMe2O2 외에 슈퍼 피(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은 LiyMe2O2, 슈퍼 피(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가 혼합된 제 2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은 중량비로 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 69 내지 71%, 슈퍼 피(Super P) : 19 내지 21%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9 내지 11%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은 중량비로 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 70%, 슈퍼 피(Super P) : 20%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10%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 의한 구체적인 예로서,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은 중량비로 Li1[Ni0.8Co0.1Mn0.1]O2 : 70%, 슈퍼 피(Super P) : 20%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10% 로 이루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LiyMe2O2 의 중량비는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NaxMe1O2 의 중량비의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LiyMe2O2 의 중량비가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NaxMe1O2 의 중량비의 10% 보다 작은 경우, 희생양극 코팅층의 방전용량이 낮아 음극의 비가역(30%) 용량을 커버하지 못해 완전 전지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LiyMe2O2 의 중량비가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NaxMe1O2 의 중량비의 30% 보다 큰 경우, 희생양극 코팅층의 두께가 높으므로 최종 양극 중량값이 높아 전지 셀에 대한 중량이 증대되어 완전 전지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희생양극 코팅층이 두꺼우면 충전 방전 거동 중 희생양극 코팅층의 두께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고, 나트륨 이온보다 리튬 이온의 충방전 용량이 증가하므로 충방전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술한 조성에서, 슈퍼 피(Super P)는 본 실시예에서 도전재의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나트륨 이차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다른 물질로도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슈퍼 피(Super P)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슈퍼 씨(super C),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덴카(Denka) 블랙, 오일-퍼니스 블랙, 콜럼비아 탄소, 그래핀(graphene), 탄소 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및 탄소 나노튜브(CNT)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는 본 실시예에서 바인더의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바인더로서, 다른 물질을 적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ilate), 에틸렌프로필렌 디엔공중합체(EPDM),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활물질(NaxMe1O2 (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희생양극(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도전재, 바인더를 한 번에 혼합하여 양극 집전체 상에 코팅하는 구조를 상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초기 충전용량 개선 효과가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와 같이, 양극 집전체 상에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과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조성이 서로 구별되는 층으로 구성할 경우, 어플리케이터 갭(applicator gap) 조절을 통한 이중코팅 층 두께 및 LiyMe2O2 함량을 제어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알루미늄 양극 집전체 상에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만을 형성하여 양극 구조체를 구현한 나트륨 이차전지이다. 이 경우, 나트륨 이차전지의 양극 구조체는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 상에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을 형성하지 않은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양극 구조체는 집전체인 알루미늄 포일 상에 Na0.9[Ni0.25Fe0.25Mn0.5]O2 활물질과 도전재, 바인더를 한 번에 혼합한 슬러리를 단면 코팅하여 구현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은 중량비로 Na0.9[Ni0.25Fe0.25Mn0.5]O2 : 90%, 슈퍼 피(Super P) : 5%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5%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용량이 증가할수록 전압이 증가하는 그래프(A)는 충전 과정에 해당하며, 충전용량이 증가할수록 전압이 감소하는 그래프(B)는 방전 과정에 해당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으로는 고에너지밀도의 완전 전지 설계가 제한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에서의 음극은 비가역적인 반응으로 초기 양극 활물질의 나트륨 손실(loss)을 야기하여 충방전 중 전지용량을 급격하게 감소시키고, 나트륨 손실로 인한 과도한 스트레스로 양극 활물질 입자의 깨짐 및 결정구조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는 알루미늄 양극 집전체 상에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을 코팅하고, 양극 활물질 코팅층(1st layer) 상에 희생양극 코팅층(2nd layer)을 코팅한 양극 구조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 이차전지의 양극 구조체는 집전체인 알루미늄 포일 상에 중량비로 Na0.9[Ni0.25Fe0.25Mn0.5]O2 : 90%, 슈퍼 피(Super P) : 5%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5% 로 이루어진 양극 활물질 코팅층을 코팅한 후,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 상에 중량비로 Li1[Ni0.8Co0.1Mn0.1]O2 : 70%, 슈퍼 피(Super P) : 20%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10% 로 이루어진 희생양극 코팅층을 형성하여 구현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용량이 증가할수록 전압이 증가하는 그래프(A)는 충전 과정에 해당하며, 충전용량이 증가할수록 전압이 감소하는 그래프(B)는 방전 과정에 해당한다.
상술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전 전지(full cell)에서의 초기 방전 용량 대비 충전용량을 더 높임으로써 완전 전지내 음극 비가역 용량을 보전하여 고에너지 밀도(Wh/kg)를 가지는 완전 전지 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나트륨 이차전지를 실험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비교예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조성범위를 가지는 희생양극 코팅층의 구성을 도입하였다. 즉, 활물질(Na0.9[Ni0.25Fe0.25Mn0.5]O2) 단면 양극 위에 희생양극(Li1[Ni0.8Co0.1Mn0.1]O2)을 코팅하는 이중 코팅 구조의 전극을 도입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나트륨 이차전지의 전극은 중량비로 Na0.9[Ni0.25Fe0.25Mn0.5]O2 : 90%, 슈퍼 피(Super P) : 5%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5% 로 이루어진 양극 활물질 코팅층; 및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 상에 코팅되되, 중량비로 Li1[Ni0.8Co0.1Mn0.1]O2 : 70%, 슈퍼 피(Super P) : 20%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10% 로 이루어진 희생양극 코팅층;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어플리케이터 갭(applicator gap) 조절을 통한 이중 코팅층의 두께 및 희생양극 코팅층의 조성 함량을 제어가 가능하여, 초기 충전용량 및 초기효율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완전 전지(full cell)에서의 초기 방전 용량 대비 충전용량을 더 높임으로써 완전 전지내 음극 비가역 용량을 보전하여 고에너지 밀도(Wh/kg)를 가지는 완전 전지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NaxMe1O2 (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코팅층; 및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 상에 코팅되되, 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포함하는 희생양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은 상기 NaxMe1O2, 슈퍼 피(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가 혼합된 제 1 코팅층이며,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은 상기 LiyMe2O2, 슈퍼 피(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가 혼합된 제 2 코팅층인,
    나트륨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과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조성이 서로 구별되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은 중량비로 NaxMe1O2 (단, 0 < x ≤ 1이며, Me1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 89 내지 91%, 슈퍼 피(Super P) : 4 내지 6%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4 내지 6%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인,
    나트륨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은 중량비로 LiyMe2O2 (단, 1 ≤ y ≤ 2이며, Me2는 Co, Ni, Mn, Al 및 F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 : 69 내지 71%, 슈퍼 피(Super P) : 19 내지 21%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9 내지 11% 으로 이루어진 코팅층인,
    나트륨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양극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LiyMe2O2 의 중량비는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을 구성하는 상기 NaxMe1O2 의 중량비의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7. 중량비로 Na0.9[Ni0.25Fe0.25Mn0.5]O2 : 90%, 슈퍼 피(Super P) : 5%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5% 로 이루어진 양극 활물질 코팅층; 및
    상기 양극 활물질 코팅층 상에 코팅되되, 중량비로 Li1[Ni0.8Co0.1Mn0.1]O2 : 70%, 슈퍼 피(Super P) : 20%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 10% 로 이루어진 희생양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KR1020190041625A 2019-04-09 2019-04-09 나트륨 이차전지 KR102246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25A KR102246089B1 (ko) 2019-04-09 2019-04-09 나트륨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25A KR102246089B1 (ko) 2019-04-09 2019-04-09 나트륨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50A true KR20200119150A (ko) 2020-10-19
KR102246089B1 KR102246089B1 (ko) 2021-04-29

Family

ID=7304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625A KR102246089B1 (ko) 2019-04-09 2019-04-09 나트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2930A1 (zh) * 2021-11-29 2023-06-01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钠离子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钠离子电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393A (ko) * 2005-04-22 2006-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용량 비가역 물질을 포함하는 새로운 시스템의 리튬 이온전지
JP2011134551A (ja) * 2009-12-24 2011-07-07 Sumitomo Chemical Co Ltd 電極活物質、電極およびナトリウム二次電池
KR20140000910A (ko) * 2012-06-26 2014-0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 소자
KR20180019686A (ko) * 2015-06-19 2018-02-26 상뜨로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쉐 샹띠피크 Na-이온 배터리용 양극 복합 재료의 생산 방법
KR20180029866A (ko) * 2016-09-13 2018-03-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나트륨 전지용 양극 첨가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393A (ko) * 2005-04-22 2006-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용량 비가역 물질을 포함하는 새로운 시스템의 리튬 이온전지
JP2011134551A (ja) * 2009-12-24 2011-07-07 Sumitomo Chemical Co Ltd 電極活物質、電極およびナトリウム二次電池
KR20140000910A (ko) * 2012-06-26 2014-0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 소자
KR20180019686A (ko) * 2015-06-19 2018-02-26 상뜨로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쉐 샹띠피크 Na-이온 배터리용 양극 복합 재료의 생산 방법
KR20180029866A (ko) * 2016-09-13 2018-03-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나트륨 전지용 양극 첨가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2930A1 (zh) * 2021-11-29 2023-06-01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钠离子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钠离子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089B1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7440B1 (ko) 전리튬화 필름 및 그 제조방법과 응용
JP6196329B2 (ja) カソード活性材料、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移動度及び電池容量が改良された二次バッテリー
CN104752695B (zh) 锂硫电池的硫正极及其生产方法
KR101734642B1 (ko) 리튬이온전지용 양극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전지
WO2006109909A1 (en) Hybrid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JP7128290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負極活物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8171816A (ja) リチウム電池用アノード及びそ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KR10144569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음극으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50124301A (ko) 리튬황 배터리 양극 구조
KR20140147699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KR102260425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4448B1 (ko) Si계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60118597A (ko) 산화 그래핀이 적용된 전고체 리튬황 이차전지 양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8159A (ko) 코어-쉘 구조의 황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23134606A (ja) バインダ分布が最適化した二次電池用負極及びこれを含む二次電池
CN102077398A (zh) 锂二次电池用阴极活性物质及其制造方法,以及以该阴极活性物质为阴极的锂二次电池
JP7118235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及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
KR101999473B1 (ko) 표면이 코팅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활물질 및 그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2246089B1 (ko) 나트륨 이차전지
KR20140070258A (ko)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80035602A (ko) 다공성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용 전극 복합체
KR102246088B1 (ko) 나트륨 이차전지
KR102621786B1 (ko) Si계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10073664A (ko)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KR20160123548A (ko) 리튬황 전고체 전지 양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