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957A - 부재 연결구 - Google Patents

부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957A
KR20200118957A KR1020190041135A KR20190041135A KR20200118957A KR 20200118957 A KR20200118957 A KR 20200118957A KR 1020190041135 A KR1020190041135 A KR 1020190041135A KR 20190041135 A KR20190041135 A KR 20190041135A KR 20200118957 A KR20200118957 A KR 20200118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 connector
coupling
support plate
built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976B1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이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102019004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9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4Connections between open and closed section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부재 연결구는 폐쇄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단부 결합부와 일측이 단부 결합부의 양단에서 대칭되게 수직 연장되고 타측은 개방되며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는 한 쌍의 측면 결합부를 포함한다. 측면 결합부는 수평 방향의 일측을 일정 폭으로 개방하는 함몰 형태의 내장 슬릿과 내장 슬릿의 수평 가장자리 일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재 연결구{Connecting Tool}
본 발명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에서 부재, 예를들어 각재 파이프와 H 형강, H 형강과 H 형강을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빌딩, 아파트의 철골 구조를 보면, 기둥과 보의 경우, H 형강, 각재 파이프 등을 연결하여 골격을 구성하는데, 그 연결 구조를 보면 H 형강, 각재 파이프 등을 격자 형태로 결합하고 있다.
특허공개 2011-0138309호는 기둥 단면과 동일한 두께와 외경을 갖는 원형 강관에 보 연결구를 용접하여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기둥과 보를 완전하게 또는 임시로 연결할 때 대부분 용접을 이용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철사로 묶어 연결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기둥과 보를 영구 결합하는 경우는 용접을 이용할 수도 있겠으나, 임시로 연결하는 경우까지 용접으로 하면 추후 분리할 때 분리 작업을 별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 비용 등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둥과 보를 영구 결합하는 경우에도, 결합의 견고성만 담보된다면 용접보다는 임시 연결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출원인은 특허공개 제2018-0051034호의 부재 연결 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특허공개 제2018-0051034호를 보면, 일측에는 폐쇄되어 파이프 또는 제1 H 형강을 내장 결합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개방되어 제2 H 형강의 일측 플랜지와 결합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연장부에는 일 측방으로 개방되어 제2 H 형강의 일측 플랜지의 일부를 삽입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특허공개 제2018-0051034호는 H 형강과 각재 파이프를 연결했을 때, 외부에서 예기치 못한 힘이 가해지면, H 형강과 각재 파이프 사이에 틀어짐이 발생하였다. 또한, 특허공개 제2018-0051034호는 부재 연결 장치가 각재 파이프에서 유동 또는 이동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특허공개 제2018-0051034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연결된 H 형강과 각재 파이프 사이에 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 내지 최소화할 수 있고,
둘째, 부재 연결 장치가 각재 파이프 또는 H 형강에서 유동 또는 이동하여 결합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차단 내지 최소화할 수 있는, 부재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재 연결구는 단부 결합부, 측면 결합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부 결합부는 폐쇄형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측면 결합부는 한 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측면 결합부는 일측이 단부 결합부의 양단에서 대칭되게 수직 연장할 수 있다. 측면 결합부는 타측을 개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측면 결합부는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측면 결합부는 내장 슬릿, 지지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장 슬릿은 수평 방향의 일측을 일정 폭으로 개방하는 함몰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지지판은 내장 슬릿의 수평 가장자리 일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재 연결구에서, 지지판은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 결합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볼트 결합공은 내면에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재 연결구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너트는 지지판의 볼트 결합공과 연통되게 지지판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재 연결구에서, 측면 결합부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바 결합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재 연결구에서, 단부 결합부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핀 결합공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핀 결합공은 측방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부재 연결구에 의하면, 격자 형태로 맞물리는 H 형강과 각재 파이프의 연결에서, 부재 연결구의 내장 슬릿이 H 형강 등을 내장 결합할 때, 지지판이 H 형강 등의 측면을 추가적으로 밀착 고정함으로써, 연결된 H 형강과 각재 파이프가 틀어지는 것을 차단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재 연결구에 의하면, 단부 결합부의 고정핀 결합공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부재 연결구를 각재 파이프에 고정함으로써, 부재 연결구가 각재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차단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연결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1c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연결구의 제1 실시예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연결구의 제2 실시예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연결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부재 연결구는 단부 결합부(110), 측면 결합부(121,122), 내장 슬릿(S11,S12), 지지판(131,132)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부재 연결구는 각재 파이프나 H 형강을 내장 결합하는 것으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을 'ㄷ' 자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단부 결합부(110)는 내장 결합물과 면결합하면서 타측 방향, 즉 측면 결합부(121,122)의 외측 개방구 방향으로 끌어당겨, 내장 결합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단부 결합부(110)는 각재 파이프, H 형강, 원형 파이프 등과 같은 내장 결합물의 외형에 따라 형상을 달리 할 수 있는데, 내장 결합물과 접촉면을 최대로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들어, 원형 파이프를 내장 결합할 경우에는, 도 1a와 달리, '⊂' 자 형태의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단부 결합부(110)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핀 결합공(H11,H12)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핀 결합공(H11,H12)은 폐쇄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방이 개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고정핀 결합공(H11,H12)에는 고정핀(도 1b의 P11,P12,P21,P22)이 삽입 고정되어, 부재 연결구, 특히 단부 결합부(111)가 내장 결합물을 따라 유동 또는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고정핀(도 1b의 P11,P12,P21,P22)은 나사못, 리벳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측면 결합부(121,122)는 단부 결합부(110)의 양단에서 수직되게 연장하는 것으로, 2개를 이격시켜 대칭되게 구성할 수 있다.
측면 결합부(121,122)는 일측이 단부 결합부(110)에 결합하여 단부 결합부(110)에서 먼쪽은 개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측면 결합부(121,122)는 시작 부분을 내장 결합물의 외형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내장 결합물이 각형 파이프 또는 H 형강이면 평면 형태로, 내장 결합물이 원형 파이프이면 적어도 원형 파이프와 면접촉하는 부분을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내장 결합물이 원형 파이프인 경우에도, 측면 결합부(121,122) 전체를 도 1a와 같이 평면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측면 결합부(121,122)는 고정바 결합공(H21,H22), 내장 슬릿(S11,S12), 지지판(131,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 결합공(H21,H22)은, 2개의 부재 연결구로 각재 파이프와 H 형강을 결합할 때, 2개의 부재 연결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고정바 결합공(H21,H22)은 측면 결합부(121,122)의 일측, 예를들어 내장 슬릿(S11,S12)의 개방구 방향에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대칭되게 구성할 수 있다. 고정바 결합공(H21,H22)에는 바(bar) 형태의 고정바(도 1b,1c의 410,4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내장 슬릿(S11,S12)은 수평 방향의 일측 단부를 일정 폭으로 절결 개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내장 슬릿(S11,S12)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 및 상하부는 폐쇄되고 외측 단부는 개방되는, 예를들어 'ㄷ'자 형상의 함몰 슬릿일 수 있다.
내장 슬릿(S11,S12)은 외측 결합물의 일측을 내장 결합할 수 있다. 외측 결합물로는 H 형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내장 슬릿(S11,S12)은 H 형강의 일측 플랜지의 일측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내장 슬릿(S11,S12)은 함몰 폭을 플랜지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지지판(131,132)은 내장 슬릿(S11,S12)의 수평 가장자리, 즉 상하부 폐쇄부 일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수평 연장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지지판(131,132)은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지지판(131,132)은, 내장 슬릿(S11,S12)에 H 형강이 삽입되어 결합할 때, H 형강의 플랜지를 밀착 지지할 수 있고, 그 결과 H 형강이 내장 슬릿(S11,H12)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나아가 H 형강이 내장 슬릿(S11,H12) 내에서 틀어지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판(131,132)은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 결합공(H31,H32)을 구비할 수 있다. 볼트 결합공(H31,H32)에는 볼트(도 1c의 B11,B12)가 나사 결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볼트 결합공(H31,H32)의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b,1c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연결구의 제1 실시예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부재 연결구는 내장 결합물로 각재 파이프(200)를 사용하고 외측 결합물로 H 형강(300)을 사용할 수 있다.
부재 연결구는 2개를 소정간격 이격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소정 간격은 H 형강(300)의 플랜지의 수평 폭일 수 있다.
부재 연결구는, 'ㄷ'자 형상으로 결합된 단부 결합부(110)와 측면 결합부(121,122)가 각재 파이프(200)를 내장하고, 측면 결합부(121,122)의 'ㄷ'자 내장 슬릿(S11,S12)에는 H 형강(300)의 일측 플랜지를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재 연결구는 각재 파이프(200)와 H 형강(300)에 각각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데, 그 결과 결합, 분리가 용이하고, 현장에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내장 슬릿(S11,S12)에 삽입되는 H 형강(300)의 플랜지 하면이 지지판(131,132)에 의해 밀착 지지됨으로써, H 형강(300)이 내장 슬릿(S11,S12)에서 틀어지는 것이 방지 내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지지판(131,132)의 볼트 결합공(H31,H32)에는 볼트(B11,B12)가 추가로 나사 결합하면, H 형강(300)은 더 견고하게 내장 슬릿(S11,S12)에 내장 고정될 수 있다.
고정바 결합공(H21,H22)에는 고정바(410,420)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2개의 부재 연결구의 사이가 벌어지거나 유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핀 결합공(H11,H12)에 고정핀(P11,P12,P21,P22)이 삽입 고정되면, 단부 결합부(110)가 각재 파이프(200)에 고정될 수 있고, 그 결과 부재 연결구가 각재 파이프(200)에서 유동 또는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부재 연결구의 결합 고정력을 대폭 높일 수 있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2a,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부재 연결구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너트(N11,N12)는 지지판(131,132)의 하면에 추가 결합할 수 있는데, 이때 너트(N11,N12)의 관통공은 볼트 결합공(H31,H32)과 일치시켜 연통되게 할 수 있다. 너트(N11,N12)는 지지판(131,132)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부재 연결구에서, 볼트 결합공(H31,H32)은, 제1 실시예와 달리,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연결구의 제2 실시예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부재 연결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장 결합물로 각재 파이프(200)를 사용하고 외측 결합물로 H 형강(300)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지지판(131,132)이 H 형강(300)의 하면과 밀착 결합할 때, 볼트(B11,B12)가 너트(N11,N12)에 나사 결합하면서 H 형강(300)의 플랜지 하면을 가압 고정하면, H 형강(300)은 더 견고하게 내장 슬릿(S11,S1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나머지 결합은 제1 실시예의 결합과 동일하므로, 제2 실시예의 결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결합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위에서 설명한 부재 연결구는 건설 현장에서 기둥과 보, 보와 보를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는데, 결합 부위마다 2개씩 쌍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수의 부재 연결구를 사용하더라도, 용접이 아닌 끼움 방식이어서 결합,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재 연결구는 필요에 따라 볼트 결합을 병행할 수 있어, 강한 결합력이 필요한 현장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부재 연결구는 임시 결합은 물론 영구 결합에도 적용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부재 연결구를 각재 파이프와 H 형강을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H 형강과 H 형강의 결합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로 설명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 실시 형태를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10 : 단부 결합부 H11,H12 : 고정핀 결합공
P11,P12,P21,P22 : 고정핀 121,122 : 측면 결합부
H21,H22 : 고정바 결합공 S11,S12 : 내장 슬릿
131,132 : 지지판 H31,H32 : 볼트 결합공
B11,B12 : 볼트 N11,N12 : 너트
200 : 각재 파이프 300 : H 형강
410,420 : 고정바

Claims (7)

  1. 부재 연결구에 있어서,
    폐쇄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단부 결합부; 및
    일측은 상기 단부 결합부의 양단에서 대칭되게 수직 연장되고, 타측은 개방되며,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는, 한 쌍의 측면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측면 결합부는
    수평 방향의 일측을 일정 폭으로 개방하는 함몰 형태의 내장 슬릿; 및
    상기 내장 슬릿의 수평 가장자리 일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부재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 결합공을 구비하는, 부재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볼트 결합공의 내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부재 연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볼트 결합공과 연통되게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부재 연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결합부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바 결합공을 구비하는, 부재 연결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결합부는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핀 결합공을 구비하는, 부재 연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결합공은
    측방이 개방되는, 부재 연결구.
KR1020190041135A 2019-04-09 2019-04-09 부재 연결구 KR10223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35A KR102230976B1 (ko) 2019-04-09 2019-04-09 부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35A KR102230976B1 (ko) 2019-04-09 2019-04-09 부재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957A true KR20200118957A (ko) 2020-10-19
KR102230976B1 KR102230976B1 (ko) 2021-03-22

Family

ID=7304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135A KR102230976B1 (ko) 2019-04-09 2019-04-09 부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876A (ko) * 2022-01-21 2023-07-28 (주)석환산업 인도교를 이루는 각재 파이프와 각재 파이프의 하단 상에 배치되는 h 형강을 결합하는 부재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752A (ko) * 1997-05-26 1998-12-05 최병규 비계용 클램프
KR20130039476A (ko) * 2011-10-12 2013-04-22 이윤정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JP2013152014A (ja) * 2011-12-28 2013-08-08 Nojima Kakusei Seisakusho:Kk 吊り金具
KR20180051034A (ko) * 2016-11-08 2018-05-16 이상진 부재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752A (ko) * 1997-05-26 1998-12-05 최병규 비계용 클램프
KR20130039476A (ko) * 2011-10-12 2013-04-22 이윤정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JP2013152014A (ja) * 2011-12-28 2013-08-08 Nojima Kakusei Seisakusho:Kk 吊り金具
KR20180051034A (ko) * 2016-11-08 2018-05-16 이상진 부재 연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876A (ko) * 2022-01-21 2023-07-28 (주)석환산업 인도교를 이루는 각재 파이프와 각재 파이프의 하단 상에 배치되는 h 형강을 결합하는 부재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976B1 (ko)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767B1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MX2012005600A (es) Refuerzo estructural.
KR20190129784A (ko) 모멘트 프레임 커넥터
KR10211992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912226B1 (ko) H빔 보강부재
EP1977487A2 (de) Geräteträger
EP3320162B1 (en) Assembly for adjustable attachment of pole, beam or similar to a fundament
KR102230976B1 (ko) 부재 연결구
KR101439744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물
US8276345B2 (en) Jamb stud connec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EP2369082B1 (de) Verbindungssystem für zwei kreuzende C-Profile
KR20180051034A (ko) 부재 연결 장치
CA2771106C (en) Length profile device
EP2612789B1 (de) Verfahren zur Verbindung von Stromschienen
JP2012188890A (ja) 連結部材及びフェンス
DE4310071C2 (de) Isolierstoffgehäuseanordnung
DE10035795A1 (de) Klemmschuh
JP2012164564A (ja) 導電接続金物及び導電接続方法
DE102008052291A1 (de) Montageschiene
EP3363953B1 (de) Halter für einen abstandstab und platte für eine schalung und/oder isolierung eines streifenfundaments mit einem solchen halter
GB2437603A (en) Hoarding
EP0028606A1 (de) Verbindungsvorrichtung für flächenkonstruktionselemente oder dgl.
JP7340435B2 (ja) 鋼管柱の継手構造
EP3252896A1 (de) Stromschienenmodul mit vergossenen leitungsstäben und stromschienensystem
JP2017155576A (ja) 開口補強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