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476A -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476A
KR20130039476A KR1020110104052A KR20110104052A KR20130039476A KR 20130039476 A KR20130039476 A KR 20130039476A KR 1020110104052 A KR1020110104052 A KR 1020110104052A KR 20110104052 A KR20110104052 A KR 20110104052A KR 20130039476 A KR20130039476 A KR 20130039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fixing
fixing member
structural beam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이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정 filed Critical 이윤정
Priority to KR102011010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9476A/ko
Publication of KR2013003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5Load-supporting elements with reinforcement at the connection point other than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이치(H) 빔이나 아이(I) 빔과 같은 구조용 빔에 설치되어, 일정 이상의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구조용 빔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티프너와, 상기 스티프너가 구조용 빔의 플랜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stiffener and structure for fixing stiffener}
본 발명은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이치(H) 빔이나 아이(I) 빔과 같은 구조용 빔에 설치되어, 일정 이상의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구조용 빔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 등의 구조용 빔으로 사용되는 빔(Beam)은 통상 I형 단면 또는 H형 단면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조용 빔으로서 교량용 거더의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10)는 강재 플레이트 거더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부플랜지(11), 복부(12) 및 하부 플랜지(13)로 이루어져, 상부,하부플랜지와 복부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거더(10)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수직보강부재(20)가 설치되는데, 이를 통상적으로 수직 스티프너(Stiffener)로 지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직 스티프너는 주로 횡 방향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가로빔과 연결하여 설치되는데,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이러한 가로빔과 수직 스티프너 사이의 거리는 국부좌굴에 대한 유효지간장(L)이 되며, 이러한 유효지간장을 최적화하는 것은 결국 거더(10) 제작에 있어서 그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스티프너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70234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미끄럼 방지구와 나사부(2,2')가 형성된 간격 조절봉 내입구(3,3')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4,4')에, 볼트 내입공(5,5')이 형성된 밀판(6,6')을 형성하여, 밀판(6,6')의 볼트 내입공(5,5')이 연통될 수 있도록 결합한 후, 고정볼트(7)와 양방향 나사부(8,8')가 양측으로 형성된 간격 조절봉(9)으로 결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등록실용신안 제20-0270234호에 기재된 기술은 I 빔이나 H 빔과 같은 구조용 빔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에이치 빔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외부에서 일정 이상의 충격이 전해질 경우 스티프너 잭이 구조용 빔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형상의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면에 각각 제2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 제2가압볼트를 구비하여 에이치(H) 빔 또는 아이(I) 빔의 플랜지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일정 이상의 외부 충격에도 임으로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에이치(H) 빔 또는 아이(I) 빔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제3고정부재를 형성하고, 구조용 빔의 중심부 일측면에 상기 제3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제4고정부재를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티프너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스티프너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형상의 본체에 형성된 제3고정부재와 에이치(H) 빔 또는 아이(I) 빔에 형성되는 제4고정부재에 서로 대응되도록 고정공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양측 단부에 구조용 빔의 플랜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양측에 상기 플랜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볼트를 구비함으로써, 스티프너를 보다 견고하게 구조용 빔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는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의 양측에는 제1가압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는 제2고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제2가압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제3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몸체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티프너와, 상기 스티프너가 구조용 빔의 플랜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제3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구조용 빔의 중심부 일측면에는 상기 제3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제4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3,4고정부재에는 각각 고정공이 형성되어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제3고정부재와 제4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판형상의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면에 각각 제2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 제2가압볼트를 구비하여 에이치(H) 빔 또는 아이(I) 빔의 플랜지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일정 이상의 외부 충격에도 임으로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에이치(H) 빔 또는 아이(I) 빔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제4고정부재를 형성하고, 구조용 빔의 중심부 일측면에 상기 제4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제5고정부재를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티프너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판형상의 본체에 형성된 제2,4고정부재와 에이치(H) 빔 또는 아이(I) 빔에 형성되는 제3,5고정부재에 서로 대응되도록 고정공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양측 단부에 구조용 빔의 플랜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양측에 상기 플랜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볼트를 구비함으로써, 스티프너를 보다 견고하게 구조용 빔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티프너 설치된 거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스티프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에이치(H) 빔 또는 아이(I) 빔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용 빔(100)과 상기 구조용 빔(10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조용 빔(100)은 판형상의 중심부(110)와 상기 중심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플랜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티프너(200)는 판형상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2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고정부재(220)의 하부에는 삽입홈(222)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용 빔(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12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222)의 양측에는 제1가압볼트(22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가압볼트(224)는 상기 삽입홈(222)의 내부로 삽입되는 플랜지(120)의 양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티프너(200)를 상기 구조용 빔(100)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구조용 빔(100)으로 형성된 구조물에 외력이 작용하여 구조물이 뒤틀리는 등 일시적으로 변형될 때, 상기 구조용 빔(100)의 플랜지(120)가 상기 제1고정부재(220)에 형성된 삽입홈(222)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플랜지(120)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상기 스티프너(200)가 구조용 빔(100)에서 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티프너(2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구조용 빔(100)의 플랜지(120)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등의 좌굴을 방지하게 되어, 외력이 작용하여도, 구조용 빔(10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220)는 상기 몸체(210)의 양측 단부에 별도의 체결볼트(226)를 사용하여 체결하거나, 용접에 의해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티프너(200)의 양측에 형성된 제1고정부재(220)의 하부, 즉, 몸체(210)의 양측부에는 제2고정부재(2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고정부재(230)는 상기 몸체(210)에 용접에 의한 결합 방법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230)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재(230)의 중심부에는 상기 구조용 빔(10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고정공(23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235)에는 제2가압볼트(237)가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제2가압볼트(237)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제2고정부재(230)와 접하는 구조용 빔(100)의 플랜지(120)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스티프너(200)를 보다 더 견고하게 구조용 빔(10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치(H) 빔 또는 아이(I) 빔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용 빔(100)의 내측에 상기 구조용 빔(10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2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티프너(200)는 판형상의 몸체(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삽입홈(222)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220)의 하부에는 바 형상의 제2고정부재(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10)의 하부에는 제3고정부재(240)가 형성되는데, 상기 구조용 빔(100)의 중심부(110) 일측면에는 상기 제3고정부재(240)에 대응되는 제4고정부재(1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고정부재(240)와 제4고정부재(130)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고정공(245,135)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3고정부재(240)과 제4고정부재(130)는 고정볼트(150)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스티프너(200)는 상기 구조용 빔(100)에 외력이 작용하 더라도 상기 구조용 빔(100)에서 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구조용 빔(100)이 보다 큰 내력을 가지게 된다.
한편,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의 양측에 제1고정부재(220)가 형성되는 데, 상기 제1고정부재(220)는 상기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이치(H) 빔이나 아이(I) 빔과 같은 구조용 빔에 설치되어, 일정 이상의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구조용 빔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0 : 구조용 빔 110 : 중심부
120 : 플랜지 130 : 제4고정부재
135, 235, 245 : 고정공 150 : 고정볼트
200 : 스티프너 210 : 몸체
220 : 제1고정부재 222 : 삽입홈
224 : 제1가압볼트 226 : 체결볼트
230 : 제2고정부재 237 : 제2가압볼트
240 : 제3고정부재

Claims (7)

  1.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의 양측에는 제1가압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는 제2고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제2가압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제3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몸체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6.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티프너와,
    상기 스티프너가 구조용 빔의 플랜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고정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제3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구조용 빔의 중심부 일측면에는 상기 제3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제4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3,4고정부재에는 각각 고정공이 형성되어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제3고정부재와 제4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프너 고정 구조.
KR1020110104052A 2011-10-12 2011-10-12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KR20130039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052A KR20130039476A (ko) 2011-10-12 2011-10-12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052A KR20130039476A (ko) 2011-10-12 2011-10-12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476A true KR20130039476A (ko) 2013-04-22

Family

ID=4843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052A KR20130039476A (ko) 2011-10-12 2011-10-12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94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957A (ko) * 2019-04-09 2020-10-19 이상진 부재 연결구
KR20230112876A (ko) * 2022-01-21 2023-07-28 (주)석환산업 인도교를 이루는 각재 파이프와 각재 파이프의 하단 상에 배치되는 h 형강을 결합하는 부재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957A (ko) * 2019-04-09 2020-10-19 이상진 부재 연결구
KR20230112876A (ko) * 2022-01-21 2023-07-28 (주)석환산업 인도교를 이루는 각재 파이프와 각재 파이프의 하단 상에 배치되는 h 형강을 결합하는 부재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589B1 (ko) 볼트 조임력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강재 보의 제작방법
US9097004B2 (en) Combined pre-embedded anchoring slot system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US20070062135A1 (en) Corrugated shear panel and anchor interconnect system
KR101364787B1 (ko) 약축보강형 비좌굴 가새
SG11201907181SA (en) Web connected type steel composite concrete column-beam joint structure
KR20130039476A (ko)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KR101933989B1 (ko) 교각 지점부 강재 i빔 겹보 제작방법
KR101160763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470135B1 (ko) 변단면 플랜지 철골 보를 이용한 철골 라멘 골조
KR20180062357A (ko) 보와 기둥의 연결 방법
KR101556858B1 (ko) 가새 플레이트 보강용 좌굴방지 브라켓
KR101579269B1 (ko) 탈부착형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구조체
CN107386677B (zh) 钢结构多截面通用装配式加固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386508Y1 (ko) 상하부 거더의 하부거더에 압축력을 도입하면서 상부거더에도 인장력이 도입되도록 하면서 상하부거더를강결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강재보
KR20130039474A (ko) 스티프너 및 스티프너 고정 구조
KR100360377B1 (ko)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KR20120018028A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100641662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262079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합성기둥 구조물
KR101953016B1 (ko)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KR100657745B1 (ko) 선인장 압축재
JP2014037706A (ja) 薄板軽量形鋼造の上下階の連結構造
KR20100010152A (ko) 구조물용 빔
KR20110065731A (ko)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