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693A -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693A
KR20200118693A KR1020190040971A KR20190040971A KR20200118693A KR 20200118693 A KR20200118693 A KR 20200118693A KR 1020190040971 A KR1020190040971 A KR 1020190040971A KR 20190040971 A KR20190040971 A KR 20190040971A KR 20200118693 A KR20200118693 A KR 20200118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isplay
operation mode
processor
ope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265B1 (ko
Inventor
한병훈
김미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265B1/ko
Priority to US16/674,250 priority patent/US11170683B2/en
Priority to CN202010258062.8A priority patent/CN111798781A/zh
Publication of KR2020011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3Arrangements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동작 모드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제1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내부의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제2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DISPLAY DRIVING IC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랩톱 컴퓨터, 모니터 및 모바일 기기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에 이용되는 평판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evice, LCD),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이 있다.
평판 표시 장치는 복수의 픽셀들을 갖는 패널과, 복수의 픽셀들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장치가 복수의 픽셀들에 제공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평판 표시 장치는, 구동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프로세서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패널에 표시할 수 있고, 또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동작 모드에 따라 영상 보정용 룩업 테이블 기능과 영상 저장용 버퍼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동작 모드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제1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내부의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제2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은,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제1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를 제2 영상 데이터로서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소정의 갱신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3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내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프로세서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타이밍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일반 모드에서 영상 보정용 룩업 테이블로서 이용되는 내부 메모리를 휴면 모드에서는 영상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로서 이용함으로써, 휴면 모드에서 별도의 디스플레이 버퍼 없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동작 모드에 따라 내부 메모리를 영상 보정용 룩업 테이블 또는 디스플레이 버퍼로서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사이즈 및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 및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가 적용된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를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가 모드전환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가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가 적용된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모바일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우징(1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전자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0)은 제1 면,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및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제1 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 및 커버 글래스(cover glass)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커버 글래스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display driving IC, DDI)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등의 각종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0)을 구동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제2 면에는 후면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측면은 안테나 방사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는 사용 상태에 따라 다양한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는 활성 모드(wake-up mode) 또는 휴면 모드(sleep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활성 모드에서, 전자 장치(1)는 전자 장치(1)에 포함된 각종 하드웨어 모듈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활성 모드에서, 전자 장치(1)는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는,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원본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한 데이터일 수 있다.
휴면 모드에서, 전자 장치(1)는 전자 장치(1)에 포함된 각종 하드웨어 모듈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중 적어도 일부를 비활성화하여 제한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휴면 모드에서, 전자 장치(1)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 날씨, 배터리 잔량 등의 제한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1)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영상 데이터(21) 및 현재 날짜를 나타내는 제2 영상 데이터(22)를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상 데이터(21) 및 제2 영상 데이터(22)는 전자 장치(1)가 휴면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제1 영상 데이터(21) 및 제2 영상 데이터(22)는, 일정한 주기마다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등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현재 정보를 갖도록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제1 영상 데이터(21)는 '05시 23분' 부터 1분 간격으로 갱신되며, 제2 영상 데이터(22)는 현재 날짜가 '1월 1일 월요일' 로 같으므로 갱신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내부 메모리는 전자 장치(1)의 활성 모드와 휴면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활성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내부 메모리는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룩업 테이블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반면, 휴면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내부 메모리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버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하나의 내부 메모리를 동작 모드에 따라 영상 보정용 메모리 또는 버퍼 메모리로서 이용함으로써, 사이즈 및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2)은 프로세서(30) 및 디스플레이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 및 디스플레이 패널(6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시스템(2)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프로세서(3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2)이 데스크톱이나 랩톱 컴퓨터에 적용되는 경우, 프로세서(30)는 중앙 처리 장치(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3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2)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0)는 디스플레이 패널(60)을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통신 모듈 등으로부터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와 디스플레이 패널(6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는 프로세서(30)가 전송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60)에 입력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및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소스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타이밍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드라이버 및 소스 드라이버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신호는 프로세서(30)에 의해 생성되어 전달될 수도 있고, 타이밍 컨트롤러에 의해 자체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는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프로세서(3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등과 같은 고속의 직렬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프로세서(30)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가 MIPI를 통해 프로세서(30)와 통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는 프로세서(30)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제어 신호를 모두 수신하는 비디오 모드(video mode), 및 프로세서(30)로부터 영상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커맨드 모드(command mode)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비디오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는 프로세서(30)로부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커맨드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는 TE(tearing effect) 신호의 제어에 따라 프로세서(30)로부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로 전송될 수 있다. 커맨드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50)는 수신된 정지 영상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내부 메모리에서 정지 영상을 리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7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80)와 디스플레이 패널(9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80)는 타이밍 컨트롤러(81), 게이트 드라이버(82), 및 소스 드라이버(8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9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 및 복수의 소스 라인들(S1-Sm)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픽셀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70)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수직 주기로 정의될 수 있으며, 수직 주기는 디스플레이 장치(70)의 주사율(scan rat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70)의 주사율이 60Hz인 경우, 수직 주기는 1/60초, 약 16.7msec 일 수 있다.
하나의 수직 주기 동안 게이트 드라이버(82)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 각각을 스캔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82)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 각각을 스캔하는 시간은 수평 주기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수평 주기 동안 소스 드라이버(83)는 픽셀들(PX)에 영상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수평 주기와 수직 주기는 타이밍 컨트롤러(8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80)가 외부의 프로세서와 MIPI로 연결되는 경우, 커맨드 모드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81)가 수평 주기와 수직 주기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비디오 모드에서는 프로세서가 생성하여 MIPI를 통해 전송하는 수평 주기 및 수직 주기가 타이밍 컨트롤러(81)에 의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를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일반 모드, 디스플레이 작동 대기 모드, 저전력 모드 등 다양한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일 수 있고, 제2 동작 모드는 휴면 모드일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프로세서(1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00)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은 충분한 전력을 공급받아 제한 없이 동작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프로세서(1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내부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일부가 비활성화되며 제한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소정의 내부 메모리 갱신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영상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100)는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가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내부 메모리에서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메모리 갱신 조건은, 버튼이나 터치 패널을 통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푸시(push) 메시지 수신 등과 같이 전자 장치 상에서 인터럽트 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소정의 주기가 도래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는 매시 정각마다 활성화되어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외부 데이터, 예컨대 SMS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활성화되어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메모리 갱신 조건은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인터페이스(210), 이미지 프로세서(220), 컨트롤러(230), 타이밍 컨트롤러(240), 게이트 드라이버(250) 및 소스 드라이버(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내부 메모리로서 제1 메모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프로세서(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프로세서(100)로부터 타이밍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신호는 게이트 드라이버(250) 및 소스 드라이버(260)에 대한 수평 주기 및 수직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레인(data lane)과 타이밍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클럭 레인(clock lan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210)은 고속의 직렬 인터페이스, 예컨대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10)는 MDDI(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임베디드 디스플레이 포트(Embedded Display Port) 등과 같은 다양한 규격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클럭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제1 클럭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상기 제1 클럭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제2 클럭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제1 동작 모드에서 64 MHz로 동작하고, 제2 동작 모드에서 32 MHz로 동작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송률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의 경우보다 높은 전송률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210)의 전송률은 제1 동작 모드에서 500 Mbps이고, 제2 동작 모드에서 400 Mbps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의 경우보다 낮은 전송률로 동작함으로써, 내부 메모리에서 영상 데이터를 갱신하는 속도가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는 속도보다 빨라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테어링 효과(tearing effect)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컨트롤러(230)의 제어 하에 인터페이스 모듈(210)의 클럭 및 전송률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40)는 동작 모드 전환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인터페이스 모듈(210)의 클럭 및 전송률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컨트롤러(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10)을 비활성화하기 전에 인터페이스 모듈(210)의 제1 클럭을 제2 클럭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컨트롤러(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10)을 활성화하기 전에 인터페이스 모듈(210)의 제2 클럭을 제1 클럭으로 변경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동작 모드 전환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인터페이스 모듈(210)의 클럭 및 전송률을 변경함으로써,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프로세서(220)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제어 신호는 타이밍 컨트롤러(250)에 입력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는 소정의 동작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소정의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220)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열화를 보상하여 영상 데이터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미지 프로세서(220)는 픽셀 데이터 프로세싱 회로(pixel data processing circuit), 전처리 회로(pre-processing circuit), 감마 보정 회로(gamma correction circu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에서, 이미지 프로세서(220)는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8 비트, 10 비트, 16 비트 등 일정한 범위의 디지털 값일 수 있으며, 보정 데이터는 화질 개선을 위해 변경되어야 할 영상 데이터의 비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정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값들 중에서 변경되어야 하는 비트들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패널 특성이나 공정 변수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어 제2 메모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메모리(40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외부 메모리로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제2 메모리(400)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1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 내부의 제1 메모리(270)로 카피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소정의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동작 모드에서, 컨트롤러(23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도록 이미지 프로세서(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30)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입력하도록 타이밍 컨트롤러(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생성된 타이밍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50) 및 소스 드라이버(2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컨트롤러(23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1 메모리(2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30)는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입력하도록 타이밍 컨트롤러(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직접 결정한 수평 주기 및 수직 주기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50) 및 소스 드라이버(2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소정의 내부 메모리 갱신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컨트롤러(23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1 메모리(2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메모리 갱신 조건은 메시지 수신 등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또는 일정한 주기가 도래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소정의 내부 메모리 갱신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컨트롤러(230)는 프로세서(100) 및 인터페이스(210)를 일시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2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1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00)는 갱신될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는 영상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압축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FVC(Future Video Coding)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압축된 후,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동작 모드는 소정의 모드전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전환 조건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패턴을 갖는 경우, 터치 패널 등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의 출력 프레임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컨트롤러(240)는 모드전환 신호(MODE_CTRL)를 이용하여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전환 신호(MODE_CTRL)가 하이 논리값에서 로우 논리값으로 천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동작 모드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모드전한 신호(MODE_CTRL)가 로우 논리값에서 하이 논리값으로 천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동작 모드는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 모드전환 신호(MODE_CTRL)의 천이 시점을 동작 모드전환 요청이 발생한 시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모드전환 신호(MODE_CTRL)와 동작 모드 전환 과정과의 관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1 동작 모드, 제2 동작 모드 및 제1 동작 모드 순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동작 모드에서 모드전환 신호(MODE_CTRL)는 하이 논리값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100) 등에 의해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a), 모드전환 신호(MODE_CTRL)는 하이 논리값에서 로우 논리값으로 천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40)는 디스플레이를 턴-오프(b)하고,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1 메모리(270)에 저장(c)한 후, 인터페이스(210)를 비활성화(d)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0)가 비활성화되면, 모드전환 과정은 완료되고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e)하게 된다.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100) 등에 의해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f), 모드전환 신호(MODE_CTRL)는 로우 논리값에서 하이 논리값으로 천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40)는 디스플레이를 턴-오프(g)하고, 제2 메모리(400)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제1 메모리(280)에 카피(h)한 후, 인터페이스(210)를 활성화(i)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0)가 활성화되면, 모드전환 과정은 완료되고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j)하게 된다.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게이트 드라이버(250) 및 소스 드라이버(260)를 제어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픽셀들에 입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타이밍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50) 및 소스 드라이버(26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에서, 타이밍 제어 신호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생성되어 타이밍 컨트롤러(240)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제2 동작 모드에서, 타이밍 제어 신호는 타이밍 컨트롤러(24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즉, 제2 동작 모드에서,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직접 결정한 수평 주기 및 수직 주기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50) 및 소스 드라이버(2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컨트롤러(230)와 타이밍 컨트롤러(240)를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230)와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 및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활성화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프로세서(220)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제2 메모리(400)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는 제1 메모리(270)로 카피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메모리(270)는 화질 개선을 위해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는, 컨트롤러(230)의 제어 하에 이미지 프로세서(220)로 입력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220)는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정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들 중에서 값이 변경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패널 특성이나 공정 변수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 외부의 제2 메모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220)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컨트롤러(240)로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50) 및 소스 드라이버(2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 및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의 일부 구성요소들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0) 및 인터페이스(210)는 제2 동작 모드에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2 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제1 메모리(270)로 카피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메모리(270)는 디스플레이 버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내부 메모리 갱신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제1 메모리(28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갱신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주기가 도래하거나 메시지 수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컨트롤러(230)는 인터페이스(210)를 일시적으로 활성화하고,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1 메모리(27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미지 프로세서(220)를 통해 타이밍 컨트롤러(240)로 전달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직접 결정한 수평 주기 및 수직 주기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50) 및 소스 드라이버(260)를 제어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가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가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컨트롤러(23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30)는 모드전환 신호(MODE_CTRL)의 천이 여부를 확인하여 동작 모드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30)는 모드전환 신호(MODE_CTRL)가 하이 논리값에서 로우 논리값으로 천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판단한 결과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예'), 단계 S820에서 제1 메모리(27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계 S8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는 모드전환 신호(MODE_CTRL)의 천이 시점에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데 이용되는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270)는, 제2 동작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버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용도가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프레임들 중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프레임들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 보다 나중에 수신된 영상 데이터가 제1 메모리(28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모리(280)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는 영상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압축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HEVC, FVC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압축된 후,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판단한 결과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컨트롤러(23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계속해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컨트롤러(230)는 인터페이스(21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0)가 비활성화된 경우,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절차는 완료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서(100) 및 인터페이스(210)는 소정의 내부 메모리 갱신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일시적으로 활성화된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프로세서(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메모리(27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며, 제1 메모리(27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와 별도의 휴면 모드용 디스플레이 버퍼를 갖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각각의 소비전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시 패턴 별도의 휴면 모드용
디스플레이 버퍼
포함 여부
1.5 V
디지털
전원(mW)
1.8 V
인터페이스
전원(mW)
3.0 V
아날로그
전원 1(mW)
7.6 V
아날로그
전원 2(mW)
DDI의
총 소비전력
(mW)
All White 포함 20.57 7.70 4.70 46.55 79.52
불포함 15.64 0.24 4.67 46.44 66.99
All Black 포함 19.07 7.67 4.92 43.13 74.79
불포함 14.70 0.24 4.91 43.02 62.86
Checker
Board
(2 X 2)
포함 31.37 8.33 4.83 75.96 120.48
불포함 23.23 0.26 4.79 75.54 103.81
User
Interface
포함 22.56 8.91 4.76 56.81 93.04
불포함 19.01 0.28 4.74 56.62 80.65
표 1은, 1.2 Gbps 및 30 fps의 동작 조건 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표시 패턴을 4가지('All White', 'All Black', '2 X 2 Checker Board', 'User Interface')로 달리하면서, 각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소비전력을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1에서, 'All White'는 흰색 배경을 나타내고, 'All Black'은 검은색 배경을 나타내고, '2 X 2 Checker Board'는 '2 X 2' 사이즈를 갖는 검은색 및 흰색의 체커 보드를 나타내며, 'User Interface'는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4가지 표시 패턴들 모두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에 포함되는 각 내부 전원의 소비전력 및 총 소비전력은, 별도의 휴면 모드용 디스플레이 버퍼를 불포함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10 %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별도의 휴면 모드용 디스플레이 버퍼를 포함하지 않고 보정 데이터 저장용 내부 메모리를 휴면 모드용 디스플레이 버퍼로서 이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10에서 컨트롤러(23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판단한 결과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예'), 단계 S920에서 컨트롤러(240)는 제2 메모리(400)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제1 메모리(270)로 카피하고, 단계 S9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270)는, 제1 동작 모드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데 이용되는 룩업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도록 용도가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하나의 내부 메모리(270)를 동작 모드에 따라 영상 보정용 메모리 또는 버퍼 메모리로 이용함으로써, 사이즈 및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판단한 결과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컨트롤러(23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계속해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컨트롤러(230)는 인터페이스(2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0)가 활성화된 경우,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절차는 완료될 수 있다.
단계 S94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며,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0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3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연속해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1010), 메모리(1020), 통신 모듈(1030), 센서 모듈(1040), 및 프로세서(10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컴퓨터 등의 모바일 기기 외에, 텔레비전, 데스크톱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0), 메모리(1020), 통신 모듈(1030), 센서 모듈(1040) 및 프로세서(1050) 등의 구성 요소는 버스(106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0)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일반 모드에서 영상 보정용 룩업 테이블로서 이용되는 내부 메모리를 휴면 모드에서는 영상 데이터 저장용 디스플레이 버퍼로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디스플레이 버퍼 없이도 휴면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내부 메모리를 동작 모드에 따라 영상 보정용 룩업 테이블 또는 디스플레이 버퍼로서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사이즈 및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 동작 모드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제1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내부의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제2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제3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동작 클럭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동작 클럭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의 동작 클럭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의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외부의 제2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로 카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데이터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보정하기 위한 비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9.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제1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를 제2 영상 데이터로서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소정의 갱신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3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의 타이밍 제어 하에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타이밍 제어 하에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제2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조건은, 소정의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및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5.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내부 메모리로부터 획득한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보다 먼저 수신된 데이터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제3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상 데이터의 전송률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의 전송률보다 낮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모드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 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 신호는, 로우 논리값에서 하이 논리값으로 천이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40971A 2019-04-08 2019-04-08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9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71A KR102593265B1 (ko) 2019-04-08 2019-04-08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6/674,250 US11170683B2 (en) 2019-04-08 2019-11-05 Display driving IC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2010258062.8A CN111798781A (zh) 2019-04-08 2020-04-03 显示驱动集成电路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71A KR102593265B1 (ko) 2019-04-08 2019-04-08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93A true KR20200118693A (ko) 2020-10-16
KR102593265B1 KR102593265B1 (ko) 2023-10-25

Family

ID=7266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71A KR102593265B1 (ko) 2019-04-08 2019-04-08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70683B2 (ko)
KR (1) KR102593265B1 (ko)
CN (1) CN1117987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1716B (zh) * 2020-11-17 2023-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ddic芯片、ap、显示屏模组及终端
US11615735B1 (en) * 2021-09-02 2023-03-28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display panel
US11705082B1 (en) * 2021-09-14 2023-07-18 Fitbit Llc Method for reducing or eliminating tearing effect of an image on a display of wearable computing device
CN116564227B (zh) * 2023-07-10 2023-09-29 禹创半导体(深圳)有限公司 Oled驱动显示芯片及其存储器控制方法、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1039A (ja) *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8180316A (ja) * 2017-04-14 2018-11-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16787A (ko) * 2017-08-09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을 변경시키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3610A1 (en) * 1984-12-06 1986-06-19 Dainippon Screen Mf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image data
WO1993017380A1 (en) * 1992-02-25 1993-09-02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4045748A (ja) 2002-07-11 2004-02-12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4287351A (ja) 2003-03-25 2004-10-14 Seiko Epson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2007225873A (ja) 2006-02-23 2007-09-06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JP2008139861A (ja) * 2006-11-10 2008-06-1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有機発光素子を用いた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有機発光素子を用いた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8165052A (ja) 2006-12-28 2008-07-17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5471090B2 (ja) * 2008-09-03 2014-04-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EP3627299A1 (en) * 2009-04-30 2020-03-25 Wacom Co., Ltd. Control circuitry and method
US8314632B1 (en) * 2011-07-29 2012-11-20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integrated circuits into predominantly ultra-low voltage mode for standby purposes
TWI483231B (zh) 2013-01-24 2015-05-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顯示驅動裝置及其顯示驅動方法
KR20140108843A (ko) * 2013-03-04 2014-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US9734775B2 (en) 2014-02-13 2017-08-15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 power saving utilizing non volatile memory
US9947277B2 (en) * 2015-05-20 2018-04-17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timing controller of a display
EP3324388B1 (en) * 2015-07-14 2022-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riving circuit, display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0755622B2 (en) 2016-08-19 2020-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for supporting low power mode of display panel
KR102606476B1 (ko) 2016-08-19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전력 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KR102473790B1 (ko) 2016-08-30 2022-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8126B1 (ko) 2016-11-01 2023-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
KR102374710B1 (ko) 2017-03-28 202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저전력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373622B2 (en) * 2018-06-26 2022-06-28 Nvidia Corporation Dynamic display switch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1039A (ja) *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8180316A (ja) * 2017-04-14 2018-11-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16787A (ko) * 2017-08-09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을 변경시키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70683B2 (en) 2021-11-09
CN111798781A (zh) 2020-10-20
US20200320917A1 (en) 2020-10-08
KR102593265B1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3265B1 (ko)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246504A1 (en) Display screen frequency conversion method, ddic chip, display screen module, and terminal
EP4089666A1 (en) Display screen frequency conversion method, ddic chip, display screen module, and terminal
JP6085739B1 (ja) 低消費電力表示装置
KR101727792B1 (ko) 수신장치, 비디오 리프레쉬 주파수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860168B1 (ko) 정지화상 변경방법, 정지화상 갱신방법, 표시 시스템 및 휴대전화기
KR102170246B1 (ko)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7012310A1 (zh) 降低移动终端功耗的方法和系统
US6903732B2 (en) Image display device
US9230476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display
RU2656729C2 (ru)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жидких кристал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CN110890059B (zh) 图像数据处理方法及其图像处理装置
JP2005326859A (ja) デュアルパネルの駆動システム及び駆動方法
JP2002323881A (ja) 表示ドライバ、表示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US11037518B2 (en) Display driver
JP2017009833A (ja)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画像データの処理方法
KR20050043273A (ko) 메모리 갱신 동작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타이밍컨트롤러, 이를 구비하는 lcd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데이터 출력방법
CN112419973A (zh) 数据补偿电路、显示装置和电子装置
US8120599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recovering bit values of control register and LCD drive integrated circuit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480630B1 (ko) 소스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US2009027883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US954272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85085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display
KR10244932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30278589A1 (en) Display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