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597A -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597A
KR20200118597A KR1020190040694A KR20190040694A KR20200118597A KR 20200118597 A KR20200118597 A KR 20200118597A KR 1020190040694 A KR1020190040694 A KR 1020190040694A KR 20190040694 A KR20190040694 A KR 20190040694A KR 20200118597 A KR20200118597 A KR 20200118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oor
frame
blocking
advan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하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하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하기업
Priority to KR1020190040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8597A/ko
Publication of KR2020011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과 케이스를 나사(screw)의 사용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기판(100)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110); 및 상기 삽입공(110)을 관통하여 기판(100)에 걸리도록 케이스(200)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부(21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삽입공(110)에 삽입되는 기둥부(211); 상기 기둥부(211)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를 벗어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판(100)의 표면과 접하게 되는 걸림면(212a)과, 상기 걸림면(212a)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212b)을 갖는 걸림부(212); 및 상기 경사면(212b)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면(212a)이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 안으로 위치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21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Gap blocking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와 바닥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되는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와 바닥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6383호(2017.04.03.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도어용 갭 차단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바디고정수단과 작동수단이 결합할 수 있는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의 하부 양측에 차단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차단레일과, 상기 차단레일 사이에 차단수단과 작동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하여 도어의 하단에 밀착되는 장치바디와; 고정수단으로 도어와 고정할 수 있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장치바디의 어퍼레일 양단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게 한 결합판을 형성하여 장치바디를 도어의 하단과 밀착시켜 유지하는 바디고정수단과; 상기 장치바디의 하측에 결합되어 도어 하단부와 바닥 사이의 갭을 차단하는 차단수단과; 상기 장치바디와 차단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차단수단을 하강 또는 승강시켜 차단수단이 갭을 차단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갭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바디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도어용 갭 차단장치를 도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바디고정수단이 차단장치의 양단부에 국부적으로 형성되어 도어와 결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단장치가 도어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차단장치가 길수록 더욱 두드러질 것이며, 특히 차단장치가 샌드위치 패널과 같이 강도가 낮은 재료로 된 도어에 적용될 경우 그 결합력이 더욱 미흡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별도의 바디고정수단을 제작하여 장치바디에 조립해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6383호(2017.04.0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도가 낮은 재료로 된 도어에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는,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고, 내측에 하방 개방된 수용공간부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시 상기 수용공간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바닥과 접하게 되는 차단부; 및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부에 설치되고,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차단부를 하강시키게 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판, 상기 상판의 양단부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판과 함께 도어의 내부에 삽입되는 두 측판, 상기 두 측판의 하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고 도어의 하면에 접하게 되는 두 하판, 그리고 상기 두 하판의 외측 단부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도어의 측면 하단부에 접하게 되는 두 결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상판, 측판, 하판 및 결합판은 압출에 의해 상호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판의 외면에는 상하로 반복되고 각각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차단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진퇴부재; 상기 차단부의 상측에 상기 진퇴부재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진퇴부재와 고정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이 상기 차단부에 고정되게 하는 결합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진퇴부재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차단부의 상측에 상기 고정부재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보조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보조고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고정된 보조결합부재; 및 상기 보조고정부재와 보조결합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조판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차단부의 상측에 고정부재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진퇴부재; 상기 차단부의 상측에 상기 보조진퇴부재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보조고정부재; 상기 보조진퇴부재와 보조고정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조판스프링; 상기 보조판스프링의 중앙이 상기 차단부에 고정되게 하는 보조결합부재; 및 상기 진퇴부재와 보조진퇴부재가 연동되도록 진퇴부재와 보조진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는, 샌드위치 패널과 같이 강도가 낮은 재료로 된 도어에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차단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차단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의 측단면도로서 도 4의 [가]는 차단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 4의 [나]는 차단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는 도어(10)의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10)와 바닥(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0), 차단부(200) 및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도어(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판(110), 상가 상판(110)의 양단부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된 두 측판(120), 상기 두 측판(120)의 하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두 하판(130), 그리고 상기 두 하판(130)의 외측 단부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된 두 결합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을 압출함으로써 일정한 단면을 갖는 형태로 제작되며, 이에 의해 프레임(100)을 이루는 상판(110), 측판(120), 하판(130) 및 결합판(140)은 상호 일체로 형성된다. 프레임(100)은 도어(10)의 폭과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프레임(100)의 두 측판(120)은 상판(110)의 폭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00)의 내측에는 하방 개방된 수용공간부(S)가 형성된다.
상판(110)과 두 측판(120)은 도어(10)와의 결합시 도어(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하판(130)은 도어(10)의 하면에 접하게 되고, 결합판(140)은 도어(10)의 측면 하단부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프레임(100)은 결합판(140)을 관통하여 도어(10)에 체결되는 나사(30) 또는 리벳에 의해 도어(10)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20)의 외면에는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요철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50)는 다수가 상하로 반복되게 형성된다. 프레임(100)을 도어(10)에 장착할 때 상기 요철부(150)가 도어(10)의 내부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프레임(100)이 도어(10)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나사 또는 리벳을 체결하기 전까지 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임시고정될 수 있다.
차단부(200)는 프레임(100)의 수용공간부(S)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프레임(100)의 수용공간부(S)에 삽입된 고정바(210), 그리고 상기 고정바(210)의 하부에 결합된 패킹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바(210)와 패킹부재(220)는 프레임(100)과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고정바(210)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을 압출함으로써 일정한 단면을 갖는 형태로 제작되며, 패킹부재(220)는 고무를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성형함으로써 제작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210)와 패킹부재(220)는 도브테일 이음(dovetail joint)과 같은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바(210)의 하부에는 도브테일 홈(dovetail groove) 형상의 결합부(211)가 형성되고, 패킹부재(22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2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211)에 삽입되는 대응결합부(221)가 형성된다.
차단부(200)는 하강시 상기 패킹부재(220)가 수용공간부(S)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바닥(20)과 접하게 됨으로써 도어(10)와 바닥(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20)은 도어(10)가 설치되는 곳에 따라, 실내의 바닥, 지면, 클린룸(clean room)의 바닥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문지방의 상면이 될 수도 있다.
작동부(300)는 프레임(100)의 수용공간부(S)에 설치되어 도어(10)의 폐쇄 시 차단부(200)를 하강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차단부(2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수용공간부(S)에 설치된 진퇴부재(310), 차단부(200)의 상측에 상기 진퇴부재(310)에서 이격되게 배치된 고정부재(320), 상기 진퇴부재(310)와 고정부재(3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330), 상기 판스프링(330)의 중앙이 차단부(200)에 고정되게 하는 결합부재(340), 그리고 상기 진퇴부재(310)에 결합된 작동부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진퇴부재(310)는 사각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용공간부(S)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진퇴부재(310)가 상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서 두 측판(120)의 내면에는 진퇴부재(310)의 하면 가장자리를 받치게 되는 걸림턱(160)이 돌출 형성된다. 즉, 진퇴부재(310)는 프레임(100)의 상판(110)과 걸림턱(160)의 사이에서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게 된다. 진퇴부재(310)와 판스프링(330)은 판스프링(330)의 단부가 진퇴부재(310)의 일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판스프링(330)을 관통하도록 진퇴부재(310)에 삽입되는 핀(370) 또는 나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320)는 사각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용공간부(S) 내에서 프레임(100) 측에 고정된다. 고정부재(320)와 판스프링(330)은 판스프링(330)의 단부가 고정부재(320)의 일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판스프링(330)을 관통하도록 고정부재(320)에 삽입되는 핀(370) 또는 나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320)와 프레임(100)은 이들을 연결하도록 삽입되는 핀(미도시) 또는 나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340)는 판스프링(330)의 중앙에 결합되되 수용공간부(S) 내에서 차단부(200) 측에 고정됨으로써 판스프링(330)의 중앙을 차단부(200)에 고정하게 된다. 결합부재(340)는 사각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차단부(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결합부재(340)와 차단부(200)의 사이로 판스프링(330)의 중앙부가 개재된다. 이 상태에서 차단부(200)의 고정바(210)와 판스프링(330)과 결합부재(340)를 연결하도록 삽입되는 핀 또는 나사(380)에 결합부재(340), 차단부(200) 및 판스프링(330)의 중앙부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결국, 판스프링(330)은 고정부재(320)와 연결된 측이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중앙이 결합부재(340)에 의해 차단부(200)에 고정되며, 진퇴부재(310)와 연결된 측이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작동부재(350)는 일단부가 진퇴부재(310)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작동부재(350)의 일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진퇴부재(310)에는 상기 수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결국, 작동부(300)는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작동부재(350)의 타단부가 도어(10)의 폐쇄시 도어프레임(door frame)과 접하며 가압되는 것에 의해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퇴부재(310)를 수용공간부(S)의 내측으로 전진 동작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판스프링(330)이 휘어지며 차단부(200)를 하방으로 밀어내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00)가 바닥(20)과 접하여 도어(10)와 바닥(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작동부(300)는 기다란 차단부(200)가 하강시 바닥(20)에 고르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작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작동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00)의 상측에 고정부재(32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수용공간부(S) 내에서 프레임(100) 측에 고정된 보조고정부재(320'), 상기 고정부재(320)와 상기 보조고정부재(3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수용공간부(S) 내에서 차단부(200) 측에 고정된 보조결합부재(340'), 그리고 상기 보조고정부재(320')와 보조결합부재(3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조판스프링(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고정부재(320') 및 보조결합부재(340')는 각각 상기 고정부재(320) 및 결합부재(3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보조작동수단에 의하면,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330)이 휘어질 때에 차단부(200)가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소 이동되면서 보조결합부(340')를 보조고정부재(320') 측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보조판스프링(330')이 휘어지게 되고, 결국 차단부(200)가 하강시 두 곳(결합부재가 고정된 부분과 보조결합부재가 고정된 부분)에서 하방 가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닥(20)에 더욱 고르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는, 샌드위치 패널과 같이 강도가 낮은 재료로 된 도어에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작동수단이 적용된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의 측단면도로서, 도 5의 [가]는 차단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 5의 [나]는 차단부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작동수단은 차단부(200)의 상측에 고정부재(32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수용공간부(S)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진퇴부재(310'), 차단부(200)의 상측에 상기 보조진퇴부재(31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수용공간부(S) 내에서 프레임(100) 측에 고정된 보조고정부재(320'), 상기 보조진퇴부재(310')와 보조고정부재(3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조판스프링(330'), 상기 보조판스프링(330')의 중앙이 차단부(200)에 고정되게 하는 보조결합부재(340'), 그리고 상기 진퇴부재(310)와 보조진퇴부재(310')가 연동되도록 진퇴부재(310)와 보조진퇴부재(3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진퇴부재(310'), 보조고정부재(320'), 보조판스프링(330') 및 보조결합부재(340')는 각각 상기 진퇴부재(310), 고정부재(320), 판스프링(330) 및 결합부재(34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부재(360')는 진퇴부재(310)의 일측면과 보조진퇴부재(310')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된 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출성형 등에 의해 진퇴부재(310)와 보조진퇴부재(310')를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보조작동수단에 의하면,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폐쇄시 작동부재(350)에 의해 진퇴부재(310)와 보조진퇴부재(310')가 함께 전진 동작하여 판스프링(330) 및 보조판스프링(330')이 동시에 휘어지게 됨으로써, 차단부(200)가 판스프링(330) 및 보조판스프링(330')의 변형에 의해 바닥(20)에 더욱 고르게 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기판 110 : 삽입공
120 : 개구부 200 : 케이스
210 : 결합부 211 : 기둥부
212 : 걸림부 212a : 걸림면
212b : 경사면 213 : 공간부
214 : 대응고정부 220 : 지지부
300 : 공구 310 : 대응경사면
320 : 고정부

Claims (5)

  1.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와 바닥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고, 내측에 하방 개방된 수용공간부(S)를 갖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수용공간부(S)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시 상기 수용공간부(S)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바닥과 접하게 되는 차단부(2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수용공간부(S)에 설치되고, 도어의 폐쇄 시 상기 차단부(200)를 하강시키게 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0)은 상판(110), 상기 상판(110)의 양단부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판(110)와 함께 도어의 내부에 삽입되는 두 측판(120), 상기 두 측판(120)의 하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고 도어의 하면에 접하게 되는 두 하판(130), 그리고 상기 두 하판(130)의 외측 단부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도어의 측면 하단부에 접하게 되는 두 결합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00)을 이루는 상판(110), 측판(120), 하판(130) 및 결합판(140)은 압출에 의해 상호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20)의 외면에는 상하로 반복되고 각각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요철부(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차단부(2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S)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진퇴부재(310);
    상기 차단부(200)의 상측에 상기 진퇴부재(31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된 고정부재(320);
    상기 진퇴부재(310)와 고정부재(3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330);
    상기 판스프링(330)의 중앙이 상기 차단부(200)에 고정되게 하는 결합부재(340); 및
    일단부가 상기 진퇴부재(310)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부재(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차단부(200)의 상측에 상기 고정부재(32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된 보조고정부재(320');
    상기 고정부재(320)와 상기 보조고정부재(32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단부(200)에 고정된 보조결합부재(340'); 및
    상기 보조고정부재(320')와 보조결합부재(3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조판스프링(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차단부(200)의 상측에 고정부재(32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부(S)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진퇴부재(310');
    상기 차단부(200)의 상측에 상기 보조진퇴부재(31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된 보조고정부재(320');
    상기 보조진퇴부재(310')와 보조고정부재(3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조판스프링(330');
    상기 보조판스프링(330')의 중앙이 상기 차단부(200)에 고정되게 하는 보조결합부재(340'); 및
    상기 진퇴부재(310)와 보조진퇴부재(310')가 연동되도록 진퇴부재(310)와 보조진퇴부재(3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KR1020190040694A 2019-04-08 2019-04-08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KR20200118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94A KR20200118597A (ko) 2019-04-08 2019-04-08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94A KR20200118597A (ko) 2019-04-08 2019-04-08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597A true KR20200118597A (ko) 2020-10-16

Family

ID=7303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694A KR20200118597A (ko) 2019-04-08 2019-04-08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85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83A (ko) 2015-09-24 2017-04-03 이승철 도어용 갭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83A (ko) 2015-09-24 2017-04-03 이승철 도어용 갭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4095B1 (de)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abdeckteil und profilelementbaugruppe
JP2017074351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レールキット
CA2577993A1 (en) Crumple element comprising a guiding mechanism
CN103270237A (zh) 门底自动下拉式密封装置
ITTO20060434A1 (it) "gruppo di azionamento per serramenti"
CN103448519B (zh) 车门装饰件上部结构
US20170144512A1 (en) Slider window assembly with two piece end stop
JP6643801B2 (ja) 窓ステー
KR20200118597A (ko) 도어용 틈새 차단장치
KR100746267B1 (ko) 코어금형용 가이드블럭 어셈블리
JP4646979B2 (ja) 成型プレス及び横材からなるプレスのための金型保持横材
CN106122206B (zh) 自调整式卡锁连接装置
WO2014131480A1 (de) Dichtungsprofil
CN105025757B (zh) 连接组件
JP2007092484A (ja) 建具
CN105082951B (zh) 包括车辆门窗的框部件和复合部件的系统与复合部件
JP2009255669A (ja) 車両用ドア
JP2010518288A (ja) シート状部材用ファスナ
KR100955226B1 (ko) 천정재 고정구
KR101682124B1 (ko) 도어프레임
JP6492620B2 (ja) 車両ドアの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6233055B2 (ja) インナウェ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CN202220509U (zh) 一种汽车玻璃导轨
JP6713725B2 (ja) 窓ステー
GB2504305A (en) Threshold stri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