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875A - 인버터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세트-백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인버터 - Google Patents

인버터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세트-백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875A
KR20200117875A KR1020200038126A KR20200038126A KR20200117875A KR 20200117875 A KR20200117875 A KR 20200117875A KR 1020200038126 A KR1020200038126 A KR 1020200038126A KR 20200038126 A KR20200038126 A KR 20200038126A KR 20200117875 A KR20200117875 A KR 2020011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casing
vehicle
housing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에 질렛
앤서니 라마르쉐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지멘스 이오토모티브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지멘스 이오토모티브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발레오 지멘스 이오토모티브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0011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7Physical arrangements or structures of drive train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pulsion motors of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6Structural association of a motor or generator with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에 탑재되도록 구성된 인버터(200)에 관한 것으로서,
-DC 전기 에너지를 AC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특히 차량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25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컴포넌트; 및
-상기 인버터(200)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며, 제 1 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전력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제 1 부분(110), 및 제 2 하우징을 형성하며 특히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 컴포넌트에 공급되는 DC 전기 에너지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필터링 컴포넌트(125)를 수용하는 제 2 부분(120)을 포함하는 케이싱(10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은 상기 제 1 부분(110)에 포함된 케이싱의 외부면(114)으로부터 상기 제 1 부분(110)에 대해 세트-백(12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인버터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세트-백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인버터{INVERTER COMPRISING A PART FORMING A SET-BACK FROM A FIRST PART OF THE INVERTER}
본 발명은 자동차,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되도록 특히 구성된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자동차의 바퀴를 구동하도록 특히 구성된 상기 인버터 및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관련된 기술은 최근에 급속하게 발전해왔다. 전형적으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 모터, 상기 전기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 전력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전기 모터로부터 차량의 바퀴에 토크를 전달하는 기어 박스를 포함한다. 차량내에서 그 컴포넌트의 크기 또는 부피(bulk)를 한정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이들 컴포넌트를 차량내에 배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차량 내의 공간을 최적화하고 차량내에서 거리를 커버하는 케이블을 회피하기 위해, 이들 컴포넌트가 서로 장착된 통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의 컴포넌트를 다른 컴포넌트에 간단히 장착한다고 해서 차량에서 충분한 공간을 절약하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각 컴포넌트, 특히 인버터의 내부 배열은 조립체의 부피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차량의 구동 시스템을 특히 형성하는 조립체의 다른 컴포넌트에 장착하기에 유리한 내부 배열을 갖는 인버터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특히 차량에 탑재되도록 구성된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DC 전기 에너지를 AC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특히 차량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컴포넌트;
상기 인버터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며, 다음의 구성요소들:
제 1 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전력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제 1 부분, 및
제 2 하우징을 형성하며, 특히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 컴포넌트에 공급되는 DC 전기 에너지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필터링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포함된 케이싱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세트-백(back-back)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에 대하여, 특히 수직인 횡 방향을 따라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인버터가 차량에 장착될 때, 케이싱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차량의 다른 컴포넌트, 특히 인버터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 전기 모터를 수용할 수 있고, 이는 차량에서 컴포넌트의 통합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세트-백은 제 2 부분에 포함된 케이싱의 외부면을 형성하고, 제 1 부분에 포함된 케이싱의 외부면에 대해 횡 방향을 따라, 특히 수직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제 2 부분의 외부면은 인버터를 DC 전기 에너지 원, 특히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인버터의 제 1 외부 커넥터를 포함한다.
대안에 따르면,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는 케이싱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원위(distal) 위치에 있으며, 상기 필터링 컴포넌트는 이 원위 위치와, 케이싱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세트-백 포인트 사이에 위치된다.
대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제 1 부분의 외부면으로부터 세트-백을 형성하는 제 2 부분의 외부면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인버터를 충전기, 특히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전기 충전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2 외부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싱 내부의 통로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 사이의 연통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부분은 인버터가 차량, 특히 차량의 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차축에 장착될 때, 차량의 구동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대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세트-백에 형성된다.
대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제 2 하우징의 외부에 있으며, 필터링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제 2 부분의 일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 모터는 케이싱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간, 특히 제 1 부분의 외부면과 세트-백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대안에 따르면, 전기 모터의 개구부와 인버터의 개구부는 케이싱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서로 맞닿아서, 인버터와 전기 모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누설 방지 통로를 가능하게 한다.
특정 대안에 따르면, 전기 모터의 고정자를 포함하는 케이싱의 개구부와 인버터의 케이싱의 개구부는 케이싱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서로 맞닿아서, 인버터와 모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누설 방지 통로를 가능하게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세부 사항, 특징 및 장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다음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인버터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인버터의 필터링 컴포넌트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인버터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인버터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인버터의 대안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면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세한 방식으로 본 발명을 개시하며, 상기 도면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잘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시적인 인버터(200)는 인버터(200)의 컴포넌트가 수용되는 케이싱(100)을 포함한다. 케이싱(100)은 제 1 하우징을 형성하며, 인버터(200)의 전력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제 1 부분(110), 및 제 2 하우징(122)을 형성하며, 인버터(200)의 필터링 컴포넌트(125)를 수용하는 제 2 부분(120)을 포함한다. 제 2 부분(120)은 제 1 부분(110)에 포함된 케이싱(100)의 외부면(114)으로부터 세트-백(124, set-back)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부분(120)은 제 1 부분(110)에 대해 횡단(transversal) 방향 또는 심지어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 1 부분(110)으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케이싱(100)은 제 1 부분(110)과 제 2 부분(120) 사이의 공간을 획정하는데(delimit), 이는 인버터가 장착될 때, 차량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차량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조립체의 다른 컴포넌트를 수용할 수 있다. 특히, 세트-백(124)은 케이싱(100)의 외부면을 형성하고, 이 외부면은 케이싱(100)의 제 2 부분(120)에 포함된다.
특히, 케이싱(100)은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한정하는 외벽(102)을 포함한다. 이들 외벽(102)의 에지는 특히 컴포넌트를 하우징 내로 도입할 수 있게 하는 개구부를 정의한다(define). 이들 개구부는 다음에 벽(102)의 에지에 맞닿는 커버(10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특히, 제 1 부분(110)의 외벽(102)은 인버터(200)의 전력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을 정의한다. 다음으로, 커버(104)는 상기 제 1 하우징을 폐쇄한다. 특히, 외벽(102)은 세트-백(124)으로부터 연장되어, 인버터(100)의 필터링 컴포넌트(125)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122)을 정의한다. 커버(124)는 제 2 부분의 이들 외벽(102)의 에지에 맞닿아서, 제 2 부분(120)의 하우징(122)을 폐쇄한다.
전력 컴포넌트는 인버터(200)의 제 1 하우징에 수용된다.
전력 컴포넌트는 인버터(200)에 의해 전력 공급받는 전기 모터에 전력 공급하도록, DC 전기 에너지를 AC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전력 컴포넌트는 다이오드 및/또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이는 특히 전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통과시킨다. 제 1 하우징은 전자 전력 컴포넌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가 장착된 전자 보드; 또는 DC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전력 컴포넌트의 입력에 연결된 DC 링크 커패시터이다.
필터링 컴포넌트(125)는 전력 컴포넌트에 공급되는 DC 전기 에너지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필터링 컴포넌트(125)는 DC 소스에 연결된 인버터(200)의 입력과 전력 컴포넌트의 입력 사이에 전류를 전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기 연결 바(126)를 포함한다. 전기 연결 바(126)는 예를 들어 전기 연결 바(126)의 전기 단자의 레벨을 제외하고 전기 절연 피복이 구비된 전기 전도성 바를 포함한다. 필터링 컴포넌트(125)는 코어(127) 및 커패시터(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트-백(124)은 인버터(200)를 DC 전기 에너지 원, 특히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커넥터(123)를 포함한다. 이 커넥터(123)는 제 2 부분(120)의 다른 외부면, 예를 들어 외벽(102) 또는 제 2 부분(120)의 커버(104) 상에 있을 수 있다. 제 1 커넥터(123)는 특히 케이싱의 제 1 부분(110)으로부터 원위(distal) 위치에 있다. 필터링 컴포넌트(125)는 이 원위 위치와, 케이싱의 제 1 부분(110)과 제 2 부분(120) 사이의 세트-백 포인트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커넥터(123)는 케이싱의 제 1 부분(1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배터리와의 연결은 케이싱의 제 1 부분(110)의 규모 또는 부피(bulk)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은 인버터(200)를 전기 충전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2 외부 커넥터(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충전기는 특히 차량에 탑재되어 있으며, 차량 외부의 전기 네트워크로부터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배터리는 또한 제 1 커넥터(123) 및 필터링 컴포넌트(125)를 통해 인버터(200)에 전력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커넥터(129)는 필터링 컴포넌트(125)의 전기 연결 바(126)와 충전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제 2 커넥터(129) 덕분에, 충전기는 제 2 커넥터(129), 전기 연결 바(126) 및 제 1 커넥터(123)를 통해 배터리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통로(115)는 케이싱(100) 내부에 배치되어,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122) 사이에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필터링 컴포넌트(125)와 전력 컴포넌트 사이의 연결은 케이싱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이 통로(115)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122)에 공통인 케이싱(100)의 내벽에 배치된다.
세트-백(124)은 특히 인버터(200)가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의 구동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부(12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구부(121)는 기어 박스로부터 오는 구동축을 수용한다. 따라서, 인버터(200)는 차량의 구동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는 차량에서 소형화를 향상시킨다. 또한, 인버터(200)의 케이싱(100)은 구동축의 지지에 기여한다. 개구부(121)는 제 2 부분(120)의 다른 곳에, 예를 들어 제 2 부분(120)의 커버(104)의 이상돌출물(excrescence) 또는 세트-백(124)으로부터 연장된 이상돌출물에 있을 수 있다. 특히, 개구부(121)는 제 2 하우징(122) 외부에 있다. 개구부(121)는 제 2 하우징(122) 내로 나오지 않아서, 제 2 하우징(122)을 밀봉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인버터(200)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조립체(300)를 형성하기 위해 전기 모터(250)와 연관될 수 있다. 전기 모터(250)는 인버터(200)의 케이싱(100)의 제 1 부분(110)과 제 2 부분(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제 1 부분(110)과 제 2 부분(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인버터(200)는 전기 모터(250)의 대응하는 개구부와 맞닿는 개구부(112)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인버터(200)와 전기 모터(25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인버터(200)의 개구부(112)는 특히 케이싱의 제 1 부분(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트-백(124)으로 연장되는 케이싱의 제 1 부분(110)의 외부면(114)에 포함된다. 따라서, 조립체(300)에서 인버터(200)와 전기 모터(250)의 통합이 개선된다. 특히, 전기 모터(250)의 대응 개구부는 전기 모터(250)의 케이싱(255)의 외벽에 포함된다. 이러한 케이싱(255)은 전기 모터(250)의 고정자 및 회전자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인버터(200)는 전력 컴포넌트를 냉각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냉각 회로는 특히 케이싱의 제 1 부분(110)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30)는 냉각 액체를 냉각 회로의 채널과 교환하기 위해,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의 반대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튜브(130)는 세트-백(124)에 대향하는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의 외부면에 대향하여 연장된다. 특히, 튜브(130)는 냉각 회로에 연결된 제 1 단부(131) 및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의 에지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 2 단부(132)를 포함한다. 특히, 튜브(130)의 제 2 단부(132), 제 1 커넥터(123) 및 제 2 커넥터(129)는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의 주변 또는 그 반대쪽에 위치되어, 인버터(200)와 다른 요소의 연결에 의해 그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조립체(300)는 특히 인버터(200)의 제 1 커넥터(123)에 연결된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차량을 구동하기 위해 특히 차량에 탑재된다. 특히, 조립체(300)는 기어 박스, 인버터(200)의 케이싱(100)의 제 2 부분(120)의 개구부(121)내로 들어가는 기어박스의 구동축과 함께 장착될 수 있다.

Claims (12)

  1. 차량에 탑재되도록 특히 구성된 인버터(200)에 있어서,
    -DC 전기 에너지를 AC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특히 차량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25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컴포넌트; 및
    -상기 인버터(200)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며,
    ● 제 1 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전력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제 1 부분(110), 및
    ● 제 2 하우징을 형성하며, 특히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 컴포넌트에 공급되는 DC 전기 에너지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필터링 컴포넌트(125)를 수용하는 제 2 부분(120)을 포함하는 케이싱(100);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은 상기 제 1 부분(110)에 포함된 케이싱의 외부면(114)으로부터 상기 제 1 부분(110)에 대해 세트-백(12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인버터(2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백(124)은 상기 제 2 부분(120)에 포함된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면을 형성하고, 횡단 방향을 따라, 특히 상기 제 1 부분(110)에 포함된 케이싱의 외부면(1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인버터(2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의 외부면(124)은 상기 인버터(200)를 DC 전기 에너지 원, 특히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인버터(200)의 제 1 외부 커넥터(123)를 포함하는 인버터(2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커넥터(123)는 상기 케이싱의 제 1 부분(110)으로부터 원위(distal) 위치에 있고, 상기 필터링 컴포넌트(125)는 이 원위 위치와, 제 1 부분(110)과 제 2 부분(120) 사이의 세트-백(124) 포인트 사이에 위치되는 인버터(200).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은 인버터(200)를 전기 충전기와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2 외부 커넥터(129)를 더 포함하는 인버터(200).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 내부의 통로(115)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122) 사이의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인버터(200).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120)은 인버터(200)가 차량, 특히 차량의 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차축에 장착될 때, 차량의 구동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부(121)를 포함하는 인버터(200).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21)는 상기 세트-백(124)에 형성되는 인버터(200).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21)는 상기 제 2 하우징(122)의 외부에 있으며, 상기 필터링 컴포넌트(125)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제 2 부분(120)의 일부에 형성되는 인버터(200).
  10.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버터(200) 및 상기 인버터(200)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250)를 포함하는 조립체(3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250)는 케이싱의 제 1 부분(110)과 케이싱의 제 2 부분(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 특히 제 1 부분(110)의 외부면(114)과 세트-백(12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조립체(30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250)의 개구부와 상기 인버터(200)의 개구부(112)는 케이싱의 제 1 부분(110)과 케이싱의 제 2 부분(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서로 맞닿아서, 상기 인버터(200)와 상기 전기 모터(25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누설 방지 통로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체(300).


KR1020200038126A 2019-04-05 2020-03-30 인버터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세트-백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인버터 KR20200117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3710A FR3094851B1 (fr) 2019-04-05 2019-04-05 Onduleur comprenant une partie formant un decrochement depuis une premiere partie de l’onduleur
FRFR1903710 2019-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875A true KR20200117875A (ko) 2020-10-14

Family

ID=6787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126A KR20200117875A (ko) 2019-04-05 2020-03-30 인버터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세트-백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인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09183B2 (ko)
EP (1) EP3719978A1 (ko)
JP (1) JP2020174520A (ko)
KR (1) KR20200117875A (ko)
CN (1) CN111800019A (ko)
FR (1) FR3094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3317260T (lt) 2016-09-21 2020-01-27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Acesulfamo kalio kompozicijos ir jų gamybos būdai
DK3322695T3 (da) 2016-09-21 2020-09-28 Celanese Int Corp Acesulfam-kalium-sammensætninger og fremgangsmåder til fremstilling af disse
JP7169977B2 (ja) 2016-09-21 2022-11-11 セラニー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コーポレーション アセスルファムカリウ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T3319949T (lt) 2016-09-21 2020-11-10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Kalio acesulfamo kompozicijos ir jų gamybos būda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63026A3 (en) * 2002-04-26 2004-09-01 Denso Corporation Invertor integrated motor for an automotive vehicle
JP5107013B2 (ja) * 2007-12-13 2012-1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107133B2 (ja) * 2008-05-14 2012-1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427429B2 (ja) * 2009-02-10 2014-0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393324B2 (ja) * 2009-07-30 2014-01-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2013115904A (ja) * 2011-11-28 2013-06-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機電一体型の電動駆動装置
JP6037809B2 (ja) * 2012-12-07 2016-1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FR3029709B1 (fr) * 2014-12-05 2018-01-19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Dispositif d'alimentation et convertisseur de tension continue ameliore
FR3029732B1 (fr) * 2014-12-08 2018-03-02 Renault S.A.S Architecture compacte de groupe motopropulseur electr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WO2016098646A1 (ja) * 2014-12-15 2016-06-2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CN105958717B (zh) * 2015-02-27 2019-03-22 博泽沃尔兹堡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机结构组件
KR101927625B1 (ko) * 2017-06-27 2019-03-07 현대위아 주식회사 감속기 및 인버터가 일체로 구비된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94851B1 (fr) 2021-06-04
US20200321885A1 (en) 2020-10-08
US11509183B2 (en) 2022-11-22
FR3094851A1 (fr) 2020-10-09
EP3719978A1 (fr) 2020-10-07
CN111800019A (zh) 2020-10-20
JP2020174520A (ja)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7875A (ko) 인버터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세트-백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인버터
EP2808982B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with integrated driving apparatus
JP3941423B2 (ja) 車両用パワー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US10381902B2 (en) Integrated system
CN101873076B (zh) 电力变换装置
US8742709B2 (en) Integrated-inverter electric compressor
US11509196B2 (en) Motor vehicle and power converter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220173641A1 (en) Motor unit
US9531232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incorporating drive device
US20100284838A1 (en) Vehicle-air-conditioner electric compressor
US11858327B2 (en) Vehicle drive device
US10759365B2 (en) Power electronics module and hybrid module with an electrical signal and/or clutch actuator connection
KR20190034339A (ko) 자동차용 변속기
KR102363983B1 (ko) 전기 자동차용 전기 구동부 구조체
WO2016186101A1 (ja) 電力変換装置
JP7452758B2 (ja) 車両駆動装置
CN113459792B (zh) 电力控制单元
WO2023127154A1 (ja) 電動駆動装置
CN116670409A (zh) 车用驱动装置
CN117294083A (zh) 电驱动总成系统、车辆以及电驱动总成系统的装配方法
CN110789346A (zh) 电力授受系统
JP2019024041A (ja) 車載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