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766A -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766A
KR20200117766A KR1020190040391A KR20190040391A KR20200117766A KR 20200117766 A KR20200117766 A KR 20200117766A KR 1020190040391 A KR1020190040391 A KR 1020190040391A KR 20190040391 A KR20190040391 A KR 20190040391A KR 20200117766 A KR20200117766 A KR 20200117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or
electronic device
sens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명
신성영
신현호
허용구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766A/ko
Priority to PCT/KR2020/004308 priority patent/WO2020204519A1/ko
Publication of KR2020011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766A/ko
Priority to US17/450,059 priority patent/US2022002698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1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in combination with active ranging signals, e.g. using light or sound signals emitted towar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센서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모듈의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의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SENSOR DISPOSED UNDER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기 위해 크기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화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화면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베젤(bezel)이 점차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일면 대부분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은 시각적으로 사라질 수 있다. 제한된 크기 내에서 화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최대화됨에 따라, 다양한 센서들이 화면(예: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센서들이 시각적으로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일면 전체에 대응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상기 화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 사물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거나, 사물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특정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특정 영상의 재생에 따른 조도값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영상이 재생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감지 성능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외부 환경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 전체가 화면으로 표시된 전자 장치(예: 풀 스크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감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는 다른 종류의 장치(예: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감지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센서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모듈의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의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모듈의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의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풀 스크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다른 종류의 장치(예: 카메라 모듈)를 함께 활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대한 감지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일면에 대응하여 풀 스크린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화면의 표시 영역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하여 센싱 모듈의 센싱 기능을 보완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하여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에 대한 센싱 기능을 보완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드의 실행 여부에 따라, 센싱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예: 이미지, 영상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일면에 대응하여 풀 스크린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여 화면을 끌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60)는 적어도 일부 영역(예: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76)이 배치된 센싱 영역)에 대한 화면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장치(16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화면을 출력하는 동안, 근접 센서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하는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고, 조도 센서를 사용하여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이미지 센서를,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외부의 오브젝트를 감지하고, 상기 오브젝트와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주변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이미지의 명암 및 채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신호 또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 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일면(예: 전면, 앞면)의 대부분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앞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전자 장치(201)의 앞면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베젤(bezel)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아래에 센서 모듈(22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센서 모듈(2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의해, 시각적으로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조도 센서(221) 및/또는 근접 센서(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20)은 센싱 영역(240)을 기반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센싱 영역(240)은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센싱 영역(24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의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아래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일 영역(230)은 외부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예: 배선)가 제거되거나,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의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일 영역(230)을 통해 외부 광을 수광할 수 있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일 영역(230)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아래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도 센서(221) 및 근접 센서(22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도 센서(221) 및 근접 센서(223)는 센서 모듈(220)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센서 모듈(220)이 전자 장치(201)의 화면 상단 부분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아래에 센서 모듈(220)이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20)이 배치되어 센싱 기능이 수행되는 영역이 센싱 영역(24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아래에 배치됨에 따라, 센싱 기능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센서 모듈(2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져 센싱 기능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센서 모듈(32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330)(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메모리(340)(예: 도 1의 메모리(130)) 및 표시 장치(35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3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예: 센서 모듈(320), 카메라 모듈(330), 메모리(340) 및 표시 장치(3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명령이 수행됨에 따라서,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센서 모듈(3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조도 센서(321) 및/또는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주변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밝기를 기반으로 화면의 밝기(예: 명암 및 채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밝기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35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라이트(backlight)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301)에 대한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오브젝트가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표시 장치(35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경우 상기 근접 센서(323)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310)는 표시 장치(35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301)의 화면을 끄거나(turn off), AOD(always on display) 기능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하여, 촬영 대상에 해당하는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듈(33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거나, 촬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주변의 밝기 및 상기 촬영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오브젝트에 대한 촬영 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촬영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명령어를 확인하고, 상기 명령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예: 센서 모듈(320), 카메라 모듈(330) 및/또는 표시 장치(3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40)는 센서 모듈(320)에 대한 센싱 값(예: 조도 값 및 오브젝트까지의 거리)과 주변의 밝기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표시 장치(35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반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센서 모듈(320)을 사용하여, 주변의 밝기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확인된 밝기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350)에 대한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350)), 카메라 모듈(330), 상기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센서 모듈(320),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카메라 모듈(330) 및 상기 센서 모듈(320)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310), 및 상기 프로세서(31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상기 센서 모듈(320)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모듈(320)의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의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의한 제 2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모듈(320)은 조도 센서(321) 및 근접 센서(3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 센서(321) 및 상기 근접 센서(32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조도 센서에 대한 수광량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주변의 휘도값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통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측정된 데이터의 변화가 지속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송신된 발광 신호 및 수신된 수광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뎁스(depth) 획득 방법을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뎁스 획득 방법은 초점 조절 방법, 스테레오 비전 방법, TOF(time of flight) 방법, structured light 방법, 및/또는 자이로 센서에 기반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통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AOD(always on display)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AOD 모드인 경우 상기 AOD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AOD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OFF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카메라 모듈(330)을 통해 카메라 모드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카메라 모드가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센싱 모듈(320)이 배치된 센싱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OFF하고, 상기 센싱 모듈(320)의 센싱 기능에 의한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카메라 모드가 미실행 중인 경우 상기 센싱 모듈(320)의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의한 제 2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하여 센싱 모듈의 센싱 기능을 보완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센서 모듈(예: 도 3의 센서 모듈(320))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320)은 조도 센서(예: 도 3의 조도 센서(321)) 및 근접 센서(예: 도 3의 근접 센서(323))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프로세서(310)는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주변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고,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301)에 대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301)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가 불안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제 1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서 수시로 변경되면, 상기 제 1 데이터가 불안정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가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상기 제 1 데이터가 안정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다면, 상기 제 1 데이터가 불안정적인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상기 제 1 데이터가 안정적인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제 1 데이터가 불안정하다면, 동작 407에서 프로세서(310)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 모듈(330))에 의한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사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데이터가 주변의 밝기에 대응하여 측정된 데이터라면, 프로세서(310)는 카메라의 주변 밝기를 측정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데이터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한 데이터라면, 프로세서(310)는 카메라의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409에서 프로세서(310)는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예: 도 3의 표시 장치(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한 화면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제 1 데이터가 안정적이라면, 동작 411에서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3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350)의 밝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0)는 센서 모듈(320)을 사용하여 측정된 제 1 데이터가 불안정한 경우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하여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에 대한 센싱 기능을 보완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a는 조도 센서에 기반하여 측정된 제 1 데이터 및 카메라 모듈에 기반하여 측정된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b는 근접 센서에 기반하여 측정된 제 1 데이터 및 카메라 모듈에 기반하여 측정된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센싱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예: 도 3의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통해 주변의 밝기(예: 조도, 명암 및 채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에 대한 수광량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통상적인 수광량에 대응하여 설정된 설정 범위(예: 기준값)을 기반으로, 수광량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조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량을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의 변화량이 상기 설정 범위보다 낮으면, 수광량이 제한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 센서(321)에 대한 수광량이 제한되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외에 다른 장치(예: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카메라 모듈(330))를 사용하여 주변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조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의 변화가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데이터의 변화가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되면, 조도 센서(321)외에 다른 장치(예: 카메라 모듈)를 사용하여 주변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는 기 설정된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수준의 변화일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조도 센서에 대한 수광량이 제한되면, 동작 505에서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통한 제 1 데이터(예: 밝기 값)를 측정할 수 있고, 동작 507에서 프로세서(310)는 저전력 모드의 카메라(예: 카메라 모듈(330))를 통한 제2 데이터(예: 휘도 값)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하여, 주변의 밝기와 관련된 데이터(예: 휘도 값)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509에서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측정한 제 1 데이터 및/또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측정한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밝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제 1 데이터가 불안정한 경우에 제 2 데이터를 사용하여 밝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제 1 데이터가 불안정한 경우에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통합하여 밝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밝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 센서(321)는 표시 장치(예: 도 3의 표시 장치(35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350)에 의해 센싱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가 표시 장치(350)를 통해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조도 센서(321)는 정확한 조도 값을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조도 센서(321)를 통해 측정된 제 1 데이터가 불안정한 상황일 수 있고,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밝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511에서 프로세서(310)는 상기 결정된 밝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350)(예: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상기 결정된 밝기 데이터와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밝기 데이터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임계값은 외부 밝기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일 수 있고, 프로세서(310)는 상기 임계값을 기준으로 화면의 밝기를 상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값은 외부 환경(예: 시간(오전/오후/밤), 전자 장치의 위치(예: 실내 및/또는 실외) 및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일정 범위에 해당하는 범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이 외부 환경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의 밝기 데이터가 레벨 1(예: 약 1~10룩스(lux)의 밝기)로 측정되면, 디스플레이의 밝기는 상기 설정된 임계값과 밝기 데이터(레벨1)를 기반으로, 제 1 밝기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이 외부 환경에 기반하여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의 밝기 데이터가 레벨 2(예: 약 11~20룩스(lux)의 밝기)로 측정되면, 디스플레이의 밝기는 상기 설정된 임계값과 밝기 데이터(레벨2)를 기반으로, 제 2 밝기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상기 결정된 밝기 데이터와 상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정된 밝기 데이터가 상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화면이 보다 밝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밝기 데이터가 상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화면이 보다 어둡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값은 일정 범위에 해당하는 범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밝기 데이터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프로세서(310)는 화면이 보다 밝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밝기 데이터가 설정된 범위 미만이면, 프로세서(310)는 화면이 보다 어둡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밝기 데이터가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프로세서(310)는 현재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조도 센서(321)에 대한 수광량이 제한되지 않으면, 동작 513에서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통한 밝기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321)만을 사용하여 밝기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프로세서(310)는 다른 장치(예: 카메라 모듈(330))를 통한 보완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고, 조도 센서(321)에 기반하여 밝기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현재 시간이 낮 시간(예: 아침~ 이른 저녁)일 때,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측정한 조도 값이 설정된 임계값 보다 낮은 경우 카메라 모듈(330)에 의한 휘도 값을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측정된 제 1 데이터(예: 조도 값) 및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측정된 제 2 데이터(예: 휘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밝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결정된 밝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350)(예: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통해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획득한 GPS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301)의 위치가 실외인지, 실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301)가 실외에 위치함에도 조도 센서(321)에 의한 조도값이 설정된 임계값 보다 낮은 경우 카메라 모듈(330)에 의한 휘도값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1)가 오후 시간 대에 실외에 위치하면, 강한 태양광으로 인해,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만을 사용하여 조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1)가 오전/저녁 시간 대에 실내에 위치하면,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측정된 제 1 데이터(예: 조도 값) 및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측정된 제 2 데이터(예: 휘도 값)를 기반으로 밝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결정된 밝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350)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센싱 주기에 따라 조도 센서(321)에 의한 조도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조도값에 대한 감도차가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범위 보다 크게 변동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330)에 의한 휘도값을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측정된 제 1 데이터(예: 조도 값) 및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측정된 제 2 데이터(예: 휘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밝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결정된 밝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350)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동작 551에서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0)는 근접 센서(예: 도 3의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근접 센서(323)를 통해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553에서 프로세서(310)는 근접 센서(323)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가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323)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가 지속되는 상황은 근접 센서(323)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표시 장치(예: 도 3의 표시 장치(350))에서 영상이 재생중인 상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323)에 대한 데이터가 수시로 변화하여, 정확한 근접 데이터를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 프로세서(310)는 근접 센서(323)외에 다른 장치(예: 카메라 모듈(330))를 사용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측정된 데이터의 변화가 지속되는 경우 다른 장치인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근접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30)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근접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323)에 대한 데이터의 변화는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수준의 변화일 수 있다.
동작 555에서 프로세서(310)는 근접 센서(323)의 발광부를 통해 신호(예: 발광 신호,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557에서 프로세서(310)는 근접 센서(323)의 수광부를 통해 신호(예: 수광 신호,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를 통해 송신된 제1 신호가 피사체(예: 사용자)에 대응하여 반사될 수 있고, 상기 반사된 신호가 제2 신호일 수 있다. 근접 센서(323)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에 의한 제 1 신호 및 상기 수광부에 의한 제 2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559에서 프로세서(310)는 수광부로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제1 데이터(예: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측정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561에서 프로세서(310)는 저전력 모드로 기능하는 카메라 모듈(330)을 통한 Depth 획득 방법(예: 초점 조절 방법, 스테레오 비전 방법, ToF(time of flight) 방법, structured light 방법, 및/또는 자이로 센서에 기반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점 조절 방법은 자동 초점 조절 방법(AF: auto focus) 및 수동 초점 조절 방법(MF: manual focus))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초점 조절 방법은 위상차 AF 기능, contrast AF 기능, 및 DFD(defocus from defocus)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63에서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듈(330)을 통해, Depth 획득 방법을 기반으로 제2 데이터(예: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측정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듈(330)의 Depth 획득 방법(예: 초점 조절 방법, 스테레오 비전, ToF(time of flight) 방법, structured light 방법, 및/또는 자이로 센서에 기반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Depth 획득 방법을 사용하여, 센싱 가능한 최지근 거리보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가까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Depth 획득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근접하고 있는 상황인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65에서 프로세서(310)는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근접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근접 센서(323)의 센싱 주기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330)을 저전력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근접 센서(323)는 설정된 시간 간격(예: 센싱 주기)에 따라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상기 센싱 주기를 기반으로, 수광 신호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변경된다고 판단하는 임계값에 해당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330)에 대한 저전력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323)는 발광부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수광부로 수신된 상기 제 2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줄어들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근접 센서(323)에 의한 제 1 데이터(예: 사용자와의 거리) 및 저전력 모드에서 카메라에 의한 제 2 데이터(예: 사용자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근접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323)는 표시 장치(35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350)에 의해 센싱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가 표시 장치(350)를 통해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근접 센서(323)는 정확한 근접 데이터를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350)가 켜지고, 상기 표시 장치(350)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이 밝은 경우 근접 센서(323)는 근접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350)를 통해 밝기의 변화가 큰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에도 근접 센서(323)는 근접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부정확하게 측정된 근접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330)의 Depth 획득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근접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567에서 프로세서(310)는 상기 결정된 근접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301)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임계값이 전자 장치(301)의 메모리(34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310)는 상기 결정된 근접 데이터와 상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근접 데이터가 상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31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301)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67에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301)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동작 569에서 프로세서(310)는 표시 장치(350)(예: 디스플레이, 화면)을 끌(turn off) 수 있다. 동작 567에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301)에 근접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프로세서(310)는 시작으로 회귀하여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301)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301)가 전화 모드(예: 전화 착/발신 모드)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모드는 전자 장치(301)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 중인 상황(예: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화 중인 경우 전자 장치(301)의 표시 장치(350)는 사용자의 얼굴, 특히 귀, 볼 또는 입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가 전화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301)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으로 인한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표시 장치(350)를 비활성화(예: 화면을 끔(turn off))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301)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301)가 AOD(always on display)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OD 모드는 전자 장치(301)가 표시 장치(3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활성화하는 모드이며,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해 설정된 일부 정보만을 표시 장치(350)를 통해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전자 장치(301)가 AOD 모드라면, 프로세서(310)는 AOD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표시 장치(35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활성화된 적어도 일부 영역을 기반으로 AOD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가 AOD 모드가 아니라면, 프로세서(310)는 신체 접촉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 장치(350)를 비활성화(예: 화면을 끔(turn off))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드의 실행 여부에 따라, 센싱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드의 실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드는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예: 오브젝트(object))를 촬영하는 모드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듈(330)을 활성화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카메라 모듈(330)을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드가 실행 중이라는 것은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드가 실행 중이 아니라는 것은 저전력 모드에서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 기능이 활성화 중이라는 의미일 수 있다.
동작 601에서 카메라 모드가 실행 중이라면, 동작 603에서 프로세서(310)는 센싱 영역(예: 도 2의 센싱 영역(240))에서의 화면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예: 도 2의 센서 모듈(220), 도 3의 센서 모듈(320))이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여, 센싱 영역(240)이 결정될 수 있다. 센서 모듈(320)은 전자 장치(310)의 표시 장치(35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센싱 영역(240)에 대응하여 화면이 표시되지 않도록, 표시 장치(35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프로세서(310)는 센서 모듈(320)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영역(240)에 대응하여 화면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센서 모듈(320)은 센싱 기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07에서 프로세서(310)는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609에서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예: 도 3의 표시 장치(350),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601에서 카메라 모드가 실행되지 않으면, 동작 611에서 프로세서(310)는 센싱 영역(240)에서의 화면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드가 실행되지 않는 상태는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동작 613에서 프로세서(310)는 센서 모듈(320)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 영역(240)에서도 화면이 표시되고 있으므로, 센서 모듈(320)은 센싱 기능을 다소 불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15에서 프로세서(310)는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617에서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가 불안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제 1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서 수시로 변경되면, 상기 제 1 데이터가 불안정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가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상기 제 1 데이터가 안정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617에서 제 1 데이터가 불안정적이라면, 동작 619에서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듈(330)에 의한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일부 기능(예: Depth 획득 방법)을 사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621에서 프로세서(310)는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350)(예: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617에서 제 1 데이터가 안정적이라면, 동작 623에서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350)(예: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0)는 카메라 모드의 실행 여부에 따라, 센싱 영역(240)에 대한 화면 표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드가 실행 중이면, 프로세서(310)는 센싱 영역(240)에 대한 화면 표시를 중단할 수 있고, 센싱 영역(240)에 배치된 센서 모듈(320)을 기반으로 제 1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드가 실행 중이 아니라면, 프로세서(310)는 센싱 영역(240)에 대한 화면 표시를 유지할 수 있고, 센싱 영역(240)에 배치된 센서 모듈(320)을 기반으로 제 1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가 불안정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하여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센서 모듈(예: 도 3의 센서 모듈(320))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모듈(320)의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의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의한 제 2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센서 모듈(320)에 포함된 조도 센서(321)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조도 센서에 대한 수광량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주변의 휘도값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센서 모듈(320)에 포함된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측정된 데이터의 변화가 지속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33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근접 센서(323)를 사용하여, 송신된 발광 신호 및 수신된 수광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330)을 사용하여, 뎁스 획득 방법을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AOD(always on display)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AOD 모드인 경우 상기 AOD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AOD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OFF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1, 301 : 전자 장치 210 : 디스플레이 패널
220, 320 : 센서 모듈 221, 321 : 조도 센서
223, 323 : 근접 센서 230, 330 : 카메라 모듈
240 : 센싱 영역 310 : 프로세서
340 : 메모리 350 : 표시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센서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모듈의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의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의한 제 2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 센서 및 상기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조도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조도 센서에 대한 수광량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주변의 휘도값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통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근접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데이터의 변화가 지속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근접 센서를 사용하여, 송신된 발광 신호 및 수신된 수광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뎁스(depth) 획득 방법을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 획득 방법은 초점 조절 방법, 스테레오 비전 방법, TOF(time of flight) 방법, structured light 방법, 및/또는 자이로 센서에 기반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통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AOD(always on display)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AOD 모드인 경우 상기 AOD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AOD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OFF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카메라 모드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카메라 모드가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센싱 모듈이 배치된 센싱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OFF하고,
    상기 센싱 모듈의 센싱 기능에 의한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 모드가 미실행 중인 경우 상기 센싱 모듈의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의한 제 2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방법에 있어서,
    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센서 모듈의 센싱 기능에 의한 제 1 데이터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을 측정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의 변화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의한 제 2 데이터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포함된 조도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제 1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조도 센서에 대한 수광량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주변의 휘도값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를 측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데이터의 변화가 지속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를 사용하여, 송신된 발광 신호 및 수신된 수광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뎁스 획득 방법을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를 측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AOD(always on display)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AOD 모드인 경우 상기 AOD 모드를 유지하는 동작; 및
    상기 AOD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OFF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40391A 2019-04-05 2019-04-05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7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91A KR20200117766A (ko) 2019-04-05 2019-04-05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04308 WO2020204519A1 (ko) 2019-04-05 2020-03-30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7/450,059 US20220026983A1 (en) 2019-04-05 2021-10-05 Method for supplementing performance of sensor disposed under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91A KR20200117766A (ko) 2019-04-05 2019-04-05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766A true KR20200117766A (ko) 2020-10-14

Family

ID=7266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391A KR20200117766A (ko) 2019-04-05 2019-04-05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26983A1 (ko)
KR (1) KR20200117766A (ko)
WO (1) WO20202045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0302B2 (en) * 2011-08-24 2014-09-09 Lg Electronics Inc. Gesture-based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US9628843B2 (en) * 2011-11-21 2017-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ing gestures
US9282127B1 (en) * 2014-07-31 2016-03-08 Anthony Nicholas Burns Mobile dating application utilizing social media, facial recognition and GPS-based user pairing
US9478157B2 (en) * 2014-11-17 2016-10-25 Apple Inc. Ambient light adaptive displays
US9794461B2 (en) * 2015-01-13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activation and illuminance
EP3440895A1 (en) * 2016-04-08 2019-02-13 Philips Lighting Holding B.V. An ambience control system
KR20180024299A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24618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24526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8170612A (ja) * 2017-03-29 2018-11-0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519A1 (ko) 2020-10-08
US20220026983A1 (en)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044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보정하는 방법
US11295641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n basis of remaining battery capacity, transmittance of transparent member and output luminance of projector, and operation method
KR20200101180A (ko)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295871B (zh) 根据外部附件的连接控制麦克风的设备和方法
KR102623342B1 (ko)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610558B2 (en) Method of acquiring outside luminance using camera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the method
KR20190105949A (ko) 디스플레이의 컬러를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580639B2 (en)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of us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460507B1 (ko) 센서의 측정 값을 보정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552923B1 (ko) 복수의 카메라들 또는 깊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KR20200089593A (ko)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조도를 획득하는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치
KR102512839B1 (ko) 외부 장치의 자세 조정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601590B2 (en) Interface connected to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terfaces connected among plurality of processors
KR20200101263A (ko)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20190132033A (ko) 주변 조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콘텐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90107901A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44709B1 (ko) 외부 조도에 기반하여 복수개의 카메라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
KR20190031064A (ko) 제 1 이미지 센서에서 제공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이미지 센서에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083059A (ko)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068877A (ko) 카메라 전환에 따른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KR20200131488A (ko)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50582A (ko)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터치 데이터의 보상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17766A (ko)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20018466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depth information of object by using the same
KR20210101416A (ko) 이미지 센서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