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754A -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754A
KR20200117754A KR1020190040353A KR20190040353A KR20200117754A KR 20200117754 A KR20200117754 A KR 20200117754A KR 1020190040353 A KR1020190040353 A KR 1020190040353A KR 20190040353 A KR20190040353 A KR 20190040353A KR 20200117754 A KR20200117754 A KR 20200117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application program
platform
desig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다영
Original Assignee
장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다영 filed Critical 장다영
Priority to KR102019004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754A/ko
Publication of KR2020011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패키지 지원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패키지 지원 시스템은 온라인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지원되는 주문 플랫폼을 통해서 사용자가 대상체를 선택하거나 대상체의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기, 관리자가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키지 상품들을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체의 패키지 상품이 설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리자 단말기기, 및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는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해서 응용 프로그램상에 보여지도록 지원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패키지 상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패키징 지원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ONLINE BASED ORDER AND PACKAGING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주문 플랫폼을 통해 주문 또는 업로드한 대상체들의 포장하기 위한 패키징 상품들이 자동으로 제안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패키징 상품으로 안전하게 패키징까지 완료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라인 기반 쇼핑몰 시스템에서는 구매자가 물품을 구매하고 물품의 포장까지 주문하면, 판매자가 직접 물품의 분류 정보와 용량 및 포장 종류를 결정해서 포장하거나 별도의 포장 센터 등에 포장을 의뢰해야 했다.
반면, 구매자가 포장 패키지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배송을 위해서는 판매자가 배송을 위한 기본적인 요건으로 소프트 폼과 패키지 박스 등을 이용해서 직접 포장하거나 별도의 포장 센터 등에 포장을 의뢰하기도 했다.
일 예로, 선행 기술 특허(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3992)로 제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제품 판매자가 대상체의 손상 및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장 용기의 크기와 재질 등을 선택해서 물품을 포장하고, 겉면의 포장지나 매듭 등에 대해서만 구매자 선택 옵션에 따라 적용해주는 방식으로 포장 과정을 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소비자나 구매자가 단수의 제품만이 아닌 다량의 제품들을 주문/판매하거나 배송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깨지거나 손상 가능성 높은 물품을 구매한 경우에는 종래의 포장 시스템으로는 일일이 포장 크기와 포장재 등을 선택해서 적용하기 번거로운 문제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포장 시스템으로는 물품을 주문하거나 배송하고자 하는 구매자(또는 소비자)가 원하는 요건에 따라, 구매자가 직접 포장 옵션을 다양하고 세부적으로 선택해서 적용시키기 어려운 문제들이 있었다.
그리고, 특정 상품들이나 대상체들을 판매하는 판매자 입장에서도 고객의 포장 요청에 따라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2차원 캐드 도면 등으로 포장재의 지기 구조를 설계 및 도면화해서 적용해야 했기 때문에, 그 포장 효율은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특정 상품 등의 대상체를 주문, 배송,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온라인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 등의 주문 플랫폼상에서 해당 대상체를 선택하거나 업로드하면, 해당 대상체를 포장할 수 있는 포장 패키지 상품들이 자동으로 제안되도록 한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패키지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플랫폼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대상체가 선택되거나 업로드되면, 해당 대상체를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재 설계 도면이 2차원 평면 도면으로 자동 생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패키징까지 완료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패키지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패키지 지원 시스템은 온라인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지원되는 주문 플랫폼을 통해서 사용자가 대상체를 선택하거나 대상체의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기, 관리자가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키지 상품들을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체의 패키지 상품이 설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리자 단말기기, 및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는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해서 응용 프로그램상에 보여지도록 지원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패키지 상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패키징 지원서버를 포함한다.
특히, 패키징 지원서버는 주문 플랫폼과 설계 플랫폼이 구축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기 및 관리자 단말기기에서 각각 내려받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응용 프로그램의 주문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업로드한 대상체에 대한 제품 정보와 외형 정보들을 자동으로 분석해서, 해당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패키지 상품들이 상기 응용 프로그램 화면으로 보여지도록 지원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주문 및 포장 패키지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가 주문 플랫폼상에서 선택하거나 업로드한 해당 대상체를 포장할 수 있는 패키징 상품들이 자동으로 제안되도록 하는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포장 패키지를 선택 및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해서 그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플랫폼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대상체가 선택되거나 업로드되면, 해당 대상체를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재 설계 도면이 2차원 평면 도면으로 자동 생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매자가 더욱 용이하게 패키징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도사의 전문적인 캐드능력 없이도 사용자나 판매자가 포장재의 개발 및 설계 변경까지 가능하도록 하는바, 자동화 포장을 위한 비용적, 기술적인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해 보여지는 응용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키징 지원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영상 처리 지원부에서 검출되는 3차원 모델링 정보를 그래픽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관리자 단말기기를 통해 보여지는 응용 프로그램 지원 화면이다.
도 6은 도 1의 관리자 단말기기를 통해 보여지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 지원 화면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보여지는 패키징 상품 제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기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처리되는 포장재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기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된 2차원 평면 형태의 포장재 설계 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기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처리되는 포장재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계 정보 설정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설계 정보 설정을 통해 포장재 모델링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의 기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기(1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기(300), 및 온라인 기반으로 패키징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응용 프로그램(10)을 지원하는 패키징 지원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기(100)는 사용자(또는, 소비자)가 온라인 기반의 주문 플랫폼이 구축된 응용 프로그램(10)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태블릿 패드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기(100)는 온라인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10)으로 지원되는 주문 플랫폼(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을 통해서 사용자가 구매, 배송,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대상체를 선택하거나, 특정 대상체의 이미지들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기(100)를 통해 주문 플랫폼이 구축된 응용 프로그램(10)을 설치, 실행, 회원 가입, 로그인 등을 수행한 다음, 주문, 배송,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특정 대상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10)에 주문, 배송,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대상체에 대한 품목, 분류, 상품명, 크기, 특성 등의 정보들과 다양한 이미지들을 업로드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기기(300)는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가 온라인 기반의 주문 플랫폼이 구축된 응용 프로그램(10)을 실행하고, 응용 프로그램(10)에 대한 다양한 설정 정보 및 옵션 정보들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태블릿 패드 등이 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기(300)는 관리자가 판매, 및 배송하고자 하는 대상체들을 응용 프로그램(10)의 주문 플랫폼상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배송,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대상체들을 각각 패키징할 수 있는 다양한 패키지 상품들 또한 주문 플랫폼 상에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관리자 단말기기(300)는 사용자(또는, 소비자)가 응용 프로그램(10)을 통해 업로드한 대상체에 대한 품목, 분류, 상품명, 크기, 특성 등의 정보들과 다양한 이미지들을 관리자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업로드한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는 다양한 패키지 상품들 또한 주문 플랫폼상에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기(300)는 대상체들을 포장 및 판매하는 관리자가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이용해서 해당 대상체의 패키지 상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주문 플랫폼과 설계 플랫폼이 구축된 응용 프로그램(10)을 사용자 단말기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기(300)에서 각각 내려받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응용 프로그램(10)의 주문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업로드한 대상체에 대한 제품 정보와 외형 정보들을 자동으로 분석해서, 해당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패키지 상품들이 응용 프로그램(10) 화면으로 보여지도록 지원한다.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주문 플랫폼상에 업로드되는 판매 제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대상체들에 대한 패키지 상품 정보들을 빅 데이터 정보로 수집해서 자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패키지 상품 정보들을 자체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때,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주문 플랫폼상에 업로드 및 판매 전시된 대상체들에 대한 각각의 제품 정보와 외형 정보들을 토대로 다양한 쇼핑몰 사이트와 패키지 상품 제조업체, 및 패키지 서비스 지원업체 등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해당 정보들과 자료들을 수집하여 각 대상체별 패키지 상품 정보들을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업그레이드 한다.
또한,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응용 프로그램(10)의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또는, 소비자)들이 선택 및 업로드한 상품이나 대상체들에 대한 이력 정보와 해당 대상체들에 대한 패키징 상품 선택 이력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별로 저장 및 업데이트된 이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별 맞춤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제안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관리자가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대상체들에 대한 패키지 상품들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관리자가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 대상체를 포장하기 위한 패키징 상품의 설계 도면을 2차원 평면 도면으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응용 프로그램(10)의 주문 플랫폼에서 설계 플랫폼으로 전달되는 대상체의 크기, 표면 형태, 부피, 표면적, 외면 치수 등 적어도 하나의 외형 정보를 분석하여 입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패키징 상품 모델의 재질이나 디자인이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한 후, 패키징 상품 모델의 내면에 대상체가 수납 및 포장되도록 하는 수납 공간이 확보되도록 설계한다. 이때,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양각 형태로 분석된 입체 영상 데이터의 모델링 정보를 반전시켜서, 음각 형태로 대상체의 부피 및 치수에 맞는 수납공간을 설정함으로써, 패키징 상품 모델의 내면에 대상체의 수납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어, 수납공간이 확보된 패키징 상품의 지기 구조 및 타입이 설정되도록 한 후, 패키징 상품의 조립 및 설계 도면이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에 2차원 평면 도면으로 도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기(300)의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으로는, 패키징하고자 하는 대상체에 대한 모델링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대상체를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상품 설계 도면을 2차원 평면 도면으로 자동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 패키징 상품에 패키징되는 대상체의 외부면, 및 패키징 상품의 내부 내부면 간의 간격이 관리자가 설정한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패키징 상품의 내부면 구조와 크기를 관리자가 가변해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서는 대상체의 부피 및 치수 등을 포함하는 모델링 정보가 검출되는바,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 대상체의 형상과 부피에 대비해서 패키징 상품의 내부면 구조와 크기 또는 내부 부피(수납공간)에 대한 비율이 추가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설계 플랫폼을 통해 관리자가 패키징 상품에 포장된 대상체와 패키징 상품의 내부 포장면 간의 간격을 설정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관리자가 설계 플랫폼을 통해 대상체의 크기와 외부면의 수치 정보에 대비 패키징 상품 내부 면적의 크기와 수치를 길이 단위(예를 들어, mm, cm)로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관리자가 패키징 상품에 패키징된 대상체와 패키징 상품 내부면 간의 간격을 설정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패키징 상품의 내부면에서 대상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지원함으로써, 대상체의 외부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추가 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에, 포장된 대상체와 패키징 상품 내부면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의해 대상체가 패키징 상품 내부에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대한 구성 개수, 돌출 면적, 돌출 두께, 돌출 모양, 돌출 위치를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서 관리자가 추가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 추출 및 분석되는 대상체의 모델링 정보에는 대상체의 부피 및 치수가 포함되는바, 설계 플랫폼으로는 대상체의 부피 및 치수에 따른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무게 중심이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하고, 계산된 대상체의 무게 중심을 고려해서 무게 중심의 위치와 대응되는 방향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도록 지지부의 추가 설계를 자동으로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의 추가 설계 지원시에는 지지부의 추가 설계 위치에 지지부가 추가된 형태를 도면으로 보여주고, 보여진 상태로 적용 및 설정할 건지 확인 메시지를 보여줌으로써 설계자의 추가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설계 플랫폼으로는 지지부의 추가 설계를 지원 시, 추가 설계된 지지부의 접촉 면적과 두께를 관리자가 미리 설계하거나 적용한 지지부의 접촉 면적과 두께보다 더 크고 두껍게 설계해서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으로는 대상체의 부피 및 치수에 따른 외부 형상 및 구조 형태에 따라 대상체의 돌출면이나 돌출 영역을 고려해서, 돌출면이나 돌출 영역의 위치와 대응되는 측면 방향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의 추가 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으로는 지지부의 추가 설계 지원 시, 지지부의 추가 설계 위치에 지지부가 추가된 형태를 도면으로 보여주고, 보여진 상태로 적용 및 설정할 것인지 확인 메시지를 보여줌으로써 관리자의 추가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추가 설계를 지원 시, 추가 설계된 지지부의 접촉 면적과 두께는 설계자가 미리 설계하거나 적용한 지지부의 접촉 면적과 두께보다 더 크고 두껍게 설계해서 보여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 즉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구조, 실행 파일 형성 및 배치 구조, 지원 프로그램 구조 등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과 동작은 이후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해 보여지는 응용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기(100)는 온라인 쇼핑몰 형태 등의 주문 플랫폼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10)이 실행되도록 하고 주문 플랫폼이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문 또는 배송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선택하거나 해당 대상체의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기(100)를 통해 주문 플랫폼이 구축된 응용 프로그램(10)을 설치하고 실행해서 로그인한 후, 주문 플랫폼을 통해 주문, 배송,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10)에 주문, 배송,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대상체에 대한 품목, 분류, 상품명, 크기, 특성 등의 정보들과 다양한 이미지들을 주문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키징 지원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211), 영상 처리 지원부(221), 포장지기 선택 지원부(222), 사용자 상품 업데이트 지원부(231), 데이터베이스(240), 패키징 상품 수집부(241), 패키징 상품 업데이트 지원부(242)를 포함한다. 또한, 패키징 지원서버(200)는 편집 툴 지원부(251), 음각 변환 지원부(252), 포장재 모델링 지원부(260), 부피 계산 지원부(261), 지지 구조 선택 지원부(270), 내부공간 설정 지원부(271)를 더 포함한다.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211)는 관리자나 설계자 또는 프로그래머가 응용 프로그램(10)을 통해 주문 플랫폼과 설계 플랫폼을 설계 및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211)는 주문 플랫폼과 설계 플랫폼이 구축된 응용 프로그램(10)의 소스파일 및 실행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기(100)와 관리자 단말기기(300)로 지원해서, 응용 프로그램(10)의 주문 플랫폼과 설계 플랫폼 실행을 지원한다.
영상 처리 지원부(221)는 응용 프로그램(10)의 주문 플랫폼에서 설계 플랫폼으로 전달되는 대상체의 크기, 표면 형태, 부피, 표면적, 외면 치수 등 적어도 하나의 외형 정보를 분석하여 입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 영상 처리 지원부(221)는 대상체의 입체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대상체의 각 변에 대한 길이, 넓이 등을 수치화한다. 그리고 수치화된 각 변의 길이와 넓이, 및 면적 등이 포함된 3차원의 모델링 정보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 지원부(221)는 다수의 이미지별로 각각 분석된 대상체의 크기, 표면 형태, 부피, 표면적, 외면 치수를 미리 설정된 동일한 크기의 포맷인 깊이 맵 데이터에 매칭시킨다. 이렇게 영상 처리 지원부(221)는 3차원 모델링 정보와 깊이 맵 데이터의 해상도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영상 처리 및 프레임 변환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 데이터가 깊이 맵 데이터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영상 처리 지원부(221)는 더 작은 해상도의 입체 영상 데이터나 깊이 맵 데이터를 프레임 변환하여, 입체 영상 데이터와 깊이 맵 데이터의 해상도를 서로 동일하게 변환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 지원부(221)는 입체 영상 데이터와 깊이 맵 데이터를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맵핑하여 맵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영상 처리 지원부(221)는 대상체의 맵핑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해당 대상체의 각 변에 대한 길이, 넓이 등을 수치화한다. 그리고 수치화된 각 변의 길이와 넓이, 및 면적 등이 포함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산출한다.
도 4는 도 3의 영상 처리 지원부에서 검출되는 3차원 모델링 정보를 그래픽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 지원부(221)는 서로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입체 영상 데이터와 깊이 맵 데이터를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맵핑하여 맵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 지원부(221)는 입체 영상 데이터를 깊이 맵 데이터의 깊이 공간에 대응되도록 깊이 맵 데이터 정확하게 매칭시켜서, 맵핑 데이터를 적어도 한 프레임 단위로 생성한다.
입체 영상 데이터의 깊이 공간에 대응되도록 깊이 맵 데이터를 맵핑 하는 기능은 깊이 맵 데이터에서 상실된 깊이 정보를 완성(complete)할 수 있게 하는 키넥트 SDK의 매핑 기능에 기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관리자 단말기기를 통해 보여지는 응용 프로그램 지원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자의 로그인 정보를 통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기(300)로 관리자 버젼의 응용 프로그램(10)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기(300)를 통해서는 사용자 상품 업데이트 지원부(231)를 통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된 패키징 상품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상품 업데이트 지원부(231)는 응용 프로그램(10)의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또는, 소비자)들이 선택 및 업로드한 상품이나 대상체들에 대한 이력 정보와 해당 대상체들에 대한 패키징 상품 선택 이력을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고 업데이트한다.
이에, 포장지기 선택 지원부(222)는 사용자가 특정 대상체를 주문 플랫폼에 업로드하면, 해당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별로 각각 저장 및 업데이트된 이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별 맞춤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제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관리자 단말기기를 통해 보여지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 지원 화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의 로그인 정보를 통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기(300)로 관리자 버젼의 응용 프로그램(10)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기(300)를 통해서는 패키징 상품 수집부(241)를 통해 자동으로 수집된 패키징 상품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키징 상품 수집부(241)는 관리자와 사용자들에 의해 주문 플랫폼상에 업로드되는 다양한 제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대상체들에 대한 패키징 상품 정보들을 빅 데이터 정보로 수집해서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한다.
이때, 패키징 상품 수집부(241)는 주문 플랫폼상에 업로드 및 판매 전시된 대상체들에 대한 각각의 제품 정보와 외형 정보들을 토대로 다양한 쇼핑몰 사이트와 패키지 상품 제조업체, 및 패키지 서비스 지원업체 등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해당 정보들과 자료들을 수집하여 각 대상체별 패키지 상품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한다.
패키징 상품 업데이트 지원부(242)는 주문 플랫폼상에 추가로 업로드되는 시리즈 제품이나 업그레이드 제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대상체들에 대한 패키지 상품 정보들을 빅 데이터 정보로 추가 검색한다. 그리고, 추가로 검색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함으로써, 패키지 상품 정보들을 자체적으로 업그레이드한다.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보여지는 패키징 상품 제안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기 선택 지원부(222)는 사용자가 특정 대상체를 주문 플랫폼에 업로드하면, 해당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별로 각각 저장 및 업데이트된 이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별 맞춤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제안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포장지기 선택 지원부(222)는 사용자가 특정 대상체를 주문 플랫폼에 업로드하면, 해당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품이나 대상체별로 각각 연계되어 저장 및 업데이트된 추가 패키징 상품 정보들을 토대로 새로 업그레이드된 패키징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제안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기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처리되는 포장재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기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된 2차원 평면 형태의 포장재 설계 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편집 툴 지원부(251)는 관리자 단말기기(300)에 표시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상에 메뉴 바, 옵션 키, 팝업창 등이 표시되도록 지원하며, 관리자나 설계자가 작업 실행 단계를 선택한 후, 해당 메뉴나 옵션 등을 설정해서 설계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관리자가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 패키징 상품의 설계 과정을 모니터하거나, 설계 플랫폼을 직접 활용할 수 있다.
패키징 지원서버(200)의 음각 변환 지원부(252)는 영상 처리 지원부(221)에서 도출된 대상체(NG)의 모델링 정보(NG), 즉 양각 형태로 검출된 해당 대상체(NG)의 형상, 각 변의 길이, 각 면의 면적, 부피, 치수 등을 기반으로 음각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관리자가 해당 대상체의 형상, 각 변의 길이, 각 면의 면적, 부피, 치수 등에 맞는 수납 공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9를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지기 선택 지원부(222)는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별로 저장 및 업데이트된 이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별 맞춤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제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포장지기 선택 지원부(222)는 패키징 상품(PM)의 지기 구조에 대한 모델링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목록별로 읽어들여서, 설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포장지기 선택 지원부(222)는 패키징 상품(PM)의 포장지기 구조가 선택되면, 대상체의 수납공간을 모두 감싸는 형태로 대상체가 수납되도록 패키징 상품(PM)의 구조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패키징 상품(PM)의 구조에 대한 설계 도면을 2차원 평면 도면으로 생성 및 추출해서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기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처리되는 포장재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계 정보 설정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설계 정보 설정을 통해 포장재 모델링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응용 프로그램(10)의 설계 플랫폼을 이용해서는 패키징 상품(PM)에 포장되는 대상체의 외부면과 패키징 상품(PM)의 내부면 간의 간격(SP)이 설계자가 설정한 간격(SP)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장재의 내부 포장면 구조와 크기를 설계자가 가변해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포장재 모델링 지원부(260)는 도 10의 옵션 설정 화면을 통해 설정되는 관리자의 설정 정보(수치, 및 비율 정보 등)에 따라 대상체(NG)의 외부면과 패키징 상품(PM)의 내부면 간의 간격(SP)이 설정 및 반영되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부피 계산 지원부(261)는 양각 형태로 검출된 해당 대상체(NG)의 형상, 각 변의 길이, 각 면의 면적, 및 치수 등을 기반으로 대상체(NG)의 부피와 전체 형상에 대한 면적을 산출한다. 대상체(NG)의 부피와 전체 형상에 대한 면적 산출식은 부피 계산 지원부(261)에 미리 저장되거나 응용프로그램 지원부(211)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
이에, 포장재 모델링 지원부(260)는 대상체(NG)의 형상과 부피에 대비해서 패키징 상품(PM)의 내부 포장면 구조와 크기 또는 내부 부피(수납공간)에 대한 비율을 설계자가 추가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패키징 상품(PM)에 포장된 대상체(NG)와 패키징 상품(PM)의 내부 포장면 간의 간격(SP)이 조절 및 적용되도록 지원한다.
이와 달리, 포장재 모델링 지원부(260)는 대상체(NG)의 크기와 외부면의 수치 정보에 대비해서 패키징 상품(PM) 내부 면적의 크기와 수치가 길이 단위(예를 들어, mm, cm)로 더 커지는 형태로 추가 설정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패키징 상품(PM)에 포장된 대상체(NG)와 포장재 내부의 포장면 간의 간격(SP)이 설정 및 적용되도록 지원한다.
또한, 도 1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구조 선택 지원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SU)가 포장재의 내부 포장면에서 대상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대상체의 외부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SU) 추가 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에, 포장된 대상체(NG)와 패키징 상품(PM) 내부의 포장면 간의 간격(SP)이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SU)에 의해 대상체(NG)가 포장재(PM) 내부에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지지 구조 선택 지원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SU)에 대한 구성 개수, 돌출 면적, 돌출 두께, 돌출 모양, 돌출 위치를 설계자가 추가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내부 공간 설정 지원부(271)는 양각 형태로 검출된 해당 대상체(NG)의 형상, 각 변의 길이, 각 면의 면적, 치수, 대상체의 부피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체(NG)의 부피 및 치수에 따른 구조 및 형상에 따른 무게 중심(즉, 무게 중심 값과 무게 중심점 좌표 또는 무게 중심점 위치 정보)을 산출한다.
대상체(NG)의 부피 및 치수에 따른 구조 및 형상에 따른 무게 중심 값과 무게 중심점 좌표 또는 무게 중심점 위치 산출식은 내부 공간 설정 지원부(271)에 미리 저장되거나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211)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구조 선택 지원부(270)는 내부 공간 설정 지원부(271)에서 산출된 무게 중심을 고려해서 무게 중심의 위치와 대응되는 방향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SU)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도록 지지부(SU)의 추가 설계를 지원한다. 여기서, 지지부(SU)의 추가 설계 지원시에는 지지부(SU)의 추가 설계 위치에 지지부(SU)가 추가된 형태를 도면으로 보여주고, 보여진 상태로 적용 및 설정할 건지 확인 메시지를 보여줌으로써 설계자의 추가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지지 구조 선택 지원부(270)는 지지부(SU)의 추가 설계를 지원 시, 추가 설계된 지지부(SU)의 접촉 면적과 두께를 설계자가 미리 설계하거나 적용한 지지부의 접촉 면적과 두께보다 더 크고 두껍게 설계해서 적용하고 보여줄 수 있다.
한편, 지지 구조 선택 지원부(270)는 대상체(NG)의 부피 및 치수에 따른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대상체(NG)의 돌출면이나 돌출 영역을 고려해서 돌출면이나 돌출 영역의 위치와 대응되는 측면 방향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SU)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도록 지지부(SU)의 추가 설계를 지원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지지 구조 선택 지원부(270)는 지지부(SU)의 추가 설계 지원 시, 지지부(SU)의 추가 설계 위치에 지지부가 추가된 형태를 도면으로 보여주고, 보여진 상태로 적용 및 설정할 것인지 확인 메시지를 보여줌으로써 설계자의 추가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추가 설계를 지원 시, 추가 설계된 지지부(SU)의 접촉 면적과 두께는 설계자가 미리 설계하거나 적용한 지지부의 접촉 면적과 두께보다 더 크고 두껍게 설계해서 적용하고 보여줄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주문 및 포장 패키지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가 주문 플랫폼상에서 선택하거나 업로드한 해당 대상체를 포장할 수 있는 패키징 상품들이 자동으로 제안되도록 하는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포장 패키지를 선택 및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해서 그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플랫폼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대상체가 선택되거나 업로드되면, 해당 대상체를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재 설계 도면이 2차원 평면 도면으로 자동 생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매자가 더욱 용이하게 패키징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도사의 전문적인 캐드능력 없이도 사용자나 판매자가 포장재의 개발 및 설계 변경까지 가능하도록 하는바, 자동화 포장을 위한 비용적, 기술적인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사용자 단말기기
200: 패키징 지원서버
211: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
221: 영상 처리 지원부
222: 포장지기 선택 지원부
231: 사용자 상품 업데이트 지원부
240: 데이터베이스
241: 패키징 상품 수집부
242: 패키징 상품 업데이트 지원부
300: 관리자 단말기기

Claims (7)

  1. 온라인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지원되는 주문 플랫폼을 통해서 사용자가 대상체를 선택하거나 상기 대상체의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기;
    관리자가 상기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키지 상품들을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대상체의 패키지 상품이 설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리자 단말기기; 및
    상기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는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상에 보여지도록 지원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패키지 상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패키징 지원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지원서버는
    주문 플랫폼과 설계 플랫폼이 구축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기에서 각각 내려받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주문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업로드한 대상체에 대한 제품 정보와 외형 정보들을 자동으로 분석해서, 해당 대상체를 패키징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키지 상품들이 상기 응용 프로그램 화면으로 보여지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지원서버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주문 플랫폼상에 업로드되는 판매 제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대상체들에 대한 패키지 상품 정보들을 빅 데이터 정보로 수집해서 자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패키지 상품 정보들을 자체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지원서버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선택 및 업로드한 상품이나 대상체들에 대한 이력 정보와 해당 대상체들에 대한 패키징 상품 선택 이력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업데이트하고,
    상기 주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별로 저장 및 업데이트된 이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별 맞춤 패키지 상품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제안하는,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지원서버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설계 플랫폼을 이용하는 관리자가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 선택한 대상체들에 대한 패키지 상품들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상기 설계 플랫폼을 2차원 평면 도면 설계 프로그램 형태로 지원하는,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지원서버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 상기 관리자가 상기 패키징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화면을 지원하며, 양각 형태로 검출된 상기 모델링 정보를 반전시켜서 음각 형태로 상기 대상체의 부피 및 치수에 맞는 수납 공간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패키징 상품의 내면에 상기 대상체의 수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지원서버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설계 플랫폼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이 확보된 상기 패키징 상품의 지기 구조 및 타입이 설정되도록 관리자 선택 화면을 지원하며,
    상기 지기 구조 및 타입이 선택적으로 반영된 상기 패키징 상품의 조립 및 설계 도면이 2차원 평면 도면으로 표시 및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KR1020190040353A 2019-04-05 2019-04-05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KR20200117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53A KR20200117754A (ko) 2019-04-05 2019-04-05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53A KR20200117754A (ko) 2019-04-05 2019-04-05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754A true KR20200117754A (ko) 2020-10-14

Family

ID=7284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353A KR20200117754A (ko) 2019-04-05 2019-04-05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561B1 (ko) * 2021-10-01 2022-02-09 브이아이코리아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561B1 (ko) * 2021-10-01 2022-02-09 브이아이코리아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 제공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8620B2 (en) Augmented reality-assis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fit of physical objects in three-dimensional bounded spaces
US11087381B2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one-step filling a virtual shopping cart with many items from one or multiple resources; all items of any type or characteristics from potential resources which have been embodied into a customized list which has been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sourced in one-step then presented visually to user to select items; culminating and resulting acquisition to be simultaneosly placed in a single virtual shpping cart and all are acquired simultaneously from many source
KR102082551B1 (ko) 상품 공급망 자동설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US119081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user interactions in multi-user augmented reality
US202300568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ulti-user augmented reality content
US20220215457A1 (en) Manufacturing ordering assistance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90347866A1 (en) Optimizing viewing assets
JP7213072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選択受付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00117754A (ko) 온라인 기반의 주문 및 포장 지원 시스템
KR102223656B1 (ko) 재고 폰케이스 판매 시스템
US202200271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multi-user augmented reality
US11257297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ufacturing a customized product
CN115062362B (zh) 基于FreeCAD内核的纸盒刀版开发方法、装置及相关设备
JP5540164B1 (ja) 商品販売処理システム
KR102420173B1 (ko) Gis에 기반한 3d 모델링을 통해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40887A (ko)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190010231A (ko) 철제재고거래방법 및 단말기
Guidi et al. Virtual reality for retail
KR101478033B1 (ko) 휴대폰의 판매시스템
KR20170055379A (ko) Erp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한 신규 개발품에 대한 구매가격 예측 방법
RU2595965C2 (ru) Система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етевых технологий
US118477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lighting in three-dimensional models
JP6372802B2 (ja) 布団関連商品販売支援システム
US202300046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ordering and fulfilling architecture, design and construction physical product and product sample requests with bar codes
KR101455828B1 (ko)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