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828B1 -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828B1
KR101455828B1 KR1020120091326A KR20120091326A KR101455828B1 KR 101455828 B1 KR101455828 B1 KR 101455828B1 KR 1020120091326 A KR1020120091326 A KR 1020120091326A KR 20120091326 A KR20120091326 A KR 20120091326A KR 101455828 B1 KR101455828 B1 KR 101455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duct
screen
size
enl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750A (ko
Inventor
김원섭
Original Assignee
김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섭 filed Critical 김원섭
Priority to KR102012009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8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Abstract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와 크기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품 이미지의 크기정보와 해당 상품의 실제 크기와의 비율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비율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실제 크기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입력부를 통해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확대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입력부를 통해 크기정보를 입력받으면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실제 크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size imag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홈쇼핑 등이 활성화되고, 일반구매에서부터 공동구매, 경매 등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때, 판매를 위해 다양한 상품 이미지들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이를 통해 소비자 구매를 도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품을 상세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나, 상품의 실물 크기를 제공하지 않아 실물 크기가 상품 선택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상품의 경우에는 주문에 착오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비자가 신발의 경우 디자인을 선택하고 크기를 선택할 때 265mm, 270mm 라고 나와 있는 치수에 대한 정보를 보고 주문을 하게 되는데, 제조회사나 신발의 종류에 따라 치수가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표시된 치수만 보고 구입했다가 반품하거나 환불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치수가 상품 구매시 선택사항으로 추가되는 경우에는 반품의 위험이 있고, 단지 치수가 맞지 않아 반품된 경우 상품의 품질과는 무관한 요인에 의해 소비자의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기업의 입장에서도 시간을 지연시키고 인력, 비용이 낭비되고, 반품의 위험으로 인해 소비자의 구매욕을 저하시킬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6403호, 2007.11.01. 공개
일 실시 예에 따라, 실물크기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와 크기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품 이미지의 크기정보와 해당 상품의 실제 크기와의 비율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비율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실제 크기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와, 입력부를 통해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확대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입력부를 통해 크기정보를 입력받으면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실제 크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한다.
입력부가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분할영역 선택 및 선택된 분할영역의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이미지 표시부는 수신된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에 따라 선택된 분할영역의 이미지를 확대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 실시 예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와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의 확대 이미지가 각각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입력부가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 표시부는 저장부로부터 확대 이미지를 읽어들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는 저해상도의 이미지이고, 확대 이미지는 고해상도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는 분할 이미지들이 조합된 상품 이미지와, 이 상품 이미지의 확대된 분할 이미지들이 조합된 상품 이미지와, 상품 이미지의 확대 레벨정보와 분할 이미지들 사이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 중 특정 분할영역에 대한 확대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는 상품 이미지의 확대 레벨정보와 분할 이미지들 사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특정 분할영역의 확대된 분할 이미지를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표시한다.
입력부는 확대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상품의 왜곡이 없는 영역에서 크기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품의 이미지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실물크기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품의 치수를 착오 없이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치수가 맞지 않아 반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간, 비용 및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실물 크기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때에 상품 이미지로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자가 실제처럼 입체감이 반영된 상품 이미지를 볼 수 있어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자 입장에서는 상품의 실제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구매욕을 높여 이를 매출과 직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실제 크기의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에 대한 크기정보를 입력받아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정보를 정확하게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크기정보 입력 이전에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고 확대된 이미지를 표시하여 확대된 이미지로부터 크기정보를 입력받는다.
이에 따라, 이미지 제공장치의 성능에 따라 크기정보를 제대로 입력받기 어려운 경우에도 사용자가 확대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크기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입력수단의 사용자 조작이 쉬워지며, 그 정확성 또한 향상되게 된다. 또한, 크기정보 입력이 정확해짐에 따라 입력된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실제 크기의 상품 이미지 또한 그 크기가 정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제공장치가 화면 상의 상품 이미지를 실제 크기(real size)의 상품 이미지로 변환하여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제공장치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상품 이미지와 그에 대응되는 확대 이미지를 도시한 참조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크기정보를 입력받는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제공장치(2)의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제공장치가 화면 상의 상품 이미지(1a)를 실제 크기(real size)의 상품 이미지(1c)로 변환하여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제공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1a)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제 크기의 상품 이미지(1c)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가 웹페이지 등을 통해 특정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실제 크기의 상품 이미지(1c)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미지 변환 이전에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1a)는, 상품의 실제 크기를 갖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사양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이다. 즉, 원본 이미지 파일의 크기, 화면 크기 및 해상도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실제 크기의 상품 이미지(1c)는 상품에 대한 실제 크기 그대로를 표시한 것이다.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1a)를 실제 크기의 이미지(1c)로 변환하기 위하여 이미지 제공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1a)에 대한 크기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런데, 이미지 제공장치의 성능에 따라 크기정보를 정확하게 입력받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수단인 마우스 등의 성능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을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로부터 정확한 크기정보를 입력받을 수 없게 된다. 또한,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1a)가 너무 작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화면의 픽셀을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크기정보 입력 이전에,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1a)의 크기를 확대하여 확대된 이미지(1b)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1a)를 10배 정도의 크기로 확대한 확대 이미지(1b)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확대된 이미지(1b)를 대상으로 크기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입력수단의 사용자 조작이 쉬워지며, 크기정보 입력의 정확성 또한 향상되게 된다. 나아가 크기정보 입력이 정확해짐에 따라 입력된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실제 크기의 상품 이미지(1c) 또한 그 크기가 정확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제공장치(2)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제공장치(2)는 저장부(20), 연산부(22), 이미지 변환부(24), 이미지 표시부(26) 및 입력부(28)를 포함한다.
입력부(28)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28)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모든 사용자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입력부(28)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입력받는데,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는 사용자가 이미지 확대를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후술할 이미지 표시부(26)가 확대된 이미지를 표시하는데, 입력부(28)는 확대된 이미지에 대한 크기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입력부(28)는 확대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상품의 왜곡이 없는 영역에서 크기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연산부(22)는 입력부(28)를 통해 입력받은 상품 이미지의 크기정보와 해당 상품의 실제 크기와의 비율을 연산한다. 연산부(22)의 연산 프로세스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후술한다. 이미지 변환부(24)는 연산부(22)를 통해 연산된 비율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실제 크기의 이미지로 변환한다. 연산부(22)의 연산 기능 및 이미지 변환부(24)의 이미지 변환 기능은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칩, 카드 또는 별도의 주변기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미지 표시부(26)는 입력부(28)를 통한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이때, 이미지 표시부(26)는 상품 이미지의 전체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일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확대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입력부(28)로부터 크기정보를 입력받으면 이미지 변환부(24)를 통해 변환된 실제 크기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저장부(20)에는 사용자 정보와 상품정보가 저장된다. 상품정보는 상품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이미지 정보는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 파일과 해당 상품의 실제 크기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20)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와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의 확대 이미지가 각각 저장된다. 이 경우, 입력부(28)가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미지 표시부(26)는 저장부(20)로부터 확대 이미지를 읽어들여 이를 표시한다. 이때, 이미지 표시부(26)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는 저해상도의 이미지이고, 확대 이미지는 고해상도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20)는 분할 이미지들이 조합된 상품 이미지와, 이 상품 이미지의 확대된 분할 이미지들이 조합된 상품 이미지와, 상품 이미지의 확대 레벨정보와 분할 이미지들 사이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이 경우, 입력부(28)가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 중 특정 분할영역에 대한 확대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이미지 표시부(26)는 상품 이미지의 확대 레벨정보와 분할 이미지들 사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특정 분할영역의 확대된 분할 이미지를 저장부(20)로부터 읽어들여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상품 이미지와 그에 대응되는 확대 이미지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2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품 이미지가 제공되는 영역(4)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영역(a1, a2,…,a9)으로 분할된다. 저장부(20)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a9)에 대응하는 확대된 이미지(b1, b2,…,b9)가 저장된다.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분할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을 선택하면, 이미지 표시부(26)는 선택된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확대 이미지를 저장부(20)에서 읽어들여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크기정보를 입력받는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이미지 제공장치(2)는 입력부(28)를 통해 확대된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크기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상품의 왜곡이 없는 영역을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크기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사용자가 동일 수평선상 또는 수직선상에 있는 포인트를 지정할 경우의 크기 자동 입력 과정에 대한 것이다.
도 2와 도 4a를 참조하면, 이미지 제공장치(2)는 입력부(28)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크기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크기를 입력하려는 지점에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트를 지정한다. 사용자가 목걸이 상품의 펜던트(pendant)에 대한 가로 크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던트의 왼쪽 사이드에 포인트를 지정하고 펜던트의 오른쪽 사이드에 포인트를 지정한다. 사용자가 포인트를 지정하면 지정된 포인트의 픽셀 좌표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포인트를 지정하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2 개의 포인트가 동일 수평선에 있는 경우, 연산부(22)는 지정된 포인트 사이의 픽셀 수를 계산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포인트 사이의 픽셀 수가 계산되면, 이미지의 실제 크기정보로 포함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2개의 포인트 사이의 픽셀 수를 계산한다. 이미지의 실제 크기정보로 포함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2개의 포인트 사이의 픽셀 수를 m이라고 하고 2개의 포인트간의 실제 크기정보를 l이라고 가정하자.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포인트 사이의 픽셀 수를 n이라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지정한 포인트 사이의 실제 크기가 x일 경우, x는 m:l=n:x의 비례식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비례식에 의해 실제 크기 x가 구해진다. 한편, 도 4b는 사용자가 수직선상에 있는 포인트를 지정할 경우로, 전술한 사용자가 동일 수평선상에 있는 포인트를 지정할 경우와 동일한 방법이 적용된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포인트가 동일 수평선 상 또는 동일 수직선 상에 있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가 지정한 포인트의 실제 크기를 자동 입력하는 과정 및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이미지 제공장치(2)는 입력부(28)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포인트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크기를 입력하려는 지점에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트를 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펜던트의 대각선 길이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 4c와 같이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두 개의 포인트를 지정한다. 도 4c와 같이 포인트가 지정되는 경우, 연산부(22)는 두 개의 포인트 사이의 가로 픽셀 수 및 세로 픽셀 수를 계산한다. 또한, 이미지의 실제 크기정보로 포함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2개의 포인트 사이의 픽셀 수를 계산한다. 이미지의 실제 크기정보로 포함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2개의 포인트가 가로 크기게 대한 것이고 2개의 포인트 사이의 가로 픽셀 수를 m이라고 하고 2개의 포인트간의 실제 크기정보를 l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포인트 사이의 픽셀 수를 n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포인트 사이의 가로 크기 x는 m:l=n:x의 비례식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또한, x가 구해지면, 사용자가 지정한 포인트 사이의 세로 크기 y는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도가 1200×500일 경우, y는 x의 2/3에 해당하는 값이다. 사용자가 지정한 포인트 사이의 실제 가로 크기 및 실제 세로 크기를 구하면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지정한 포인트 사이의 실제 크기를 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제공장치(2)의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 제공장치(2)는 상품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500). 이어서,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510),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한다(520).
이어서, 확대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크기정보를 입력받으면(530), 입력받은 상품 이미지의 크기정보와 해당 상품의 실제 크기와의 비율을 연산하고, 연산된 비율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실제 크기의 이미지로 변환한다. 이어서, 변환된 실제 크기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54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20 : 저장부
22 : 연산부 24 : 이미지 변환부
26 : 이미지 표시부 28 : 입력부

Claims (6)

  1.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와 크기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품 이미지의 크기정보와 해당 상품의 실제 크기와의 비율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비율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실제 크기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 사용자가 크기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확대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상기 입력부를 통해 크기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실제 크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를 대상으로 분할영역 선택 및 선택된 분할영역의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수신된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에 따라 선택된 분할영역의 이미지를 확대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와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의 확대 이미지가 각각 저장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가 이미지 확대 요청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확대 이미지를 읽어들여 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분할 이미지들이 조합된 상품 이미지와, 이 상품 이미지의 확대된 분할 이미지들이 조합된 상품 이미지와, 상품 이미지의 확대 레벨정보와 분할 이미지들 사이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 중 특정 분할영역에 대한 확대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상품 이미지의 확대 레벨정보와 분할 이미지들 사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특정 분할영역의 확대된 분할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는 저해상도의 이미지이고, 화면에 표시된 상품 이미지가 확대된 이미지는 고해상도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확대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상품의 왜곡이 없는 영역에서 크기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KR1020120091326A 2012-08-21 2012-08-21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455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26A KR101455828B1 (ko) 2012-08-21 2012-08-21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26A KR101455828B1 (ko) 2012-08-21 2012-08-21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750A KR20140024750A (ko) 2014-03-03
KR101455828B1 true KR101455828B1 (ko) 2014-11-03

Family

ID=5064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326A KR101455828B1 (ko) 2012-08-21 2012-08-21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4553B1 (en) 2014-12-31 2017-08-15 Ebay Inc.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actual sized interactive obje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403A (ko) * 2006-04-28 2007-11-01 김원섭 실제 사이즈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20100020818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403A (ko) * 2006-04-28 2007-11-01 김원섭 실제 사이즈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20100020818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750A (ko) 201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12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tems
US11568620B2 (en) Augmented reality-assis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fit of physical objects in three-dimensional bounded spaces
US8982155B2 (e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50170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hree-Dimensional Location on a Two-Dimensional Display
CN102308276B (zh) 利用某些视觉效果来显示对象
US10529008B1 (en) Integration of item variations for display in user interfaces
JP2007535733A (ja) 画像の配信および対話型操作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
CN104217361A (zh) 一种基于全景场景实现网络购物的方法及系统
Tang et al. AR interior designer: Automatic furniture arrangement using spatial and functional relationships
KR101599257B1 (ko) 3d모델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
KR101977519B1 (ko) 실제 크기의 상호작용 오브젝트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
WO20151954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hree-dimensional location on a two-dimensional display
CN112306219A (zh) 电子装置、互动型信息展示方法及计算机可读取记录介质
KR101455828B1 (ko)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520444B1 (ko) 실물크기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N112130938A (zh) 界面的生成方法、计算设备及存储介质
JP2020119283A (ja) 学習モデル生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を製造する方法
US20210165558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KR10170163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의류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10495B1 (ko) 온라인에서의 제품 상세정보 제공 방법
JP6586904B2 (ja) 画像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1901028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Display of Customized Products in a Facility
KR102650648B1 (ko) 판매 데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
TWI514297B (zh) 規劃式禮盒購物系統
KR101981228B1 (ko) 이미지 스크롤에 적합한 시퀀스 이차원 이미지의 태그정보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