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022A -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022A
KR20200117022A KR1020207025928A KR20207025928A KR20200117022A KR 20200117022 A KR20200117022 A KR 20200117022A KR 1020207025928 A KR1020207025928 A KR 1020207025928A KR 20207025928 A KR20207025928 A KR 20207025928A KR 20200117022 A KR20200117022 A KR 2020011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contention
based random
failure recovery
beam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593B1 (ko
Inventor
리 첸
피에르 베르트랑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0011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085
    • H04W72/12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8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with additiona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related information at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공개에서는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관련출원의 교차참고]
본 출원은 2018년 2월 12일 중국에 제출한 특허출원 No. 201810146147.X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5G(Fifth-Generation, 5세대) NR(New Radio, 새로운 접속) 시스템에서, 빔 포밍의 방식을 널리 사용하여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은 확정된 빔에서 시그널링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중,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의 수신 및 송신 간은 대응 관계를 가진다.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작동하고 있는 빔 채널의 품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측정하면,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그중, 빔 실패 복구는 사용자 단말기가 채널 품질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빔(즉, Beam)을 새로 찾았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새로운 사용 가능한 동기 신호 블록(Synchronous Signal Block, SSB) 또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를 선택한 것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SSB 또는 CSI-RS는 서로 다른 빔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는 랜덤 접속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특정 빔을 선택하여, 랜덤 접속을 개시하고, 만약 랜덤 접속에 성공하면, 당해 선택한 빔에서 빔 실패 복구를 완료한 것으로 확정한다. 그중,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랜덤 접속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일 수 있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선택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할 경우, 만약 한 번의 랜덤 접속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빔 실패 복구에 성공하거나 또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당해 빔에서 다음 번의 랜덤 접속 시도를 계속 개시한 후 BFR 실패로 판단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가 처음 선택한 빔의 품질이 떨어질 경우, 대량의 랜덤 접속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기 쉽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랜덤 접속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빔 실패 복구 완료 프로세스를 가속화하며, 빔 실패 복구 성공 확률을 높이며, 단말기의 무선 링크 실패 위험을 낮추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빔 실패 복구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만약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이며;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이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
중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1로 기록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이전에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횟수에 1을 더한 값으로 기록한다.
선택적으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고, 가장 가까운 랜덤 접속 자원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상기 백오프 지시자에 대응하는 시간을 기다린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당해 사용자 단말기는 제1 빔 실패 복구 모듈 및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실패 복구 모듈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은 검출 유닛 및 빔 실패 복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 유닛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빔 실패 복구 유닛은 만약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이며;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이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
중의 하나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만약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이며;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이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
중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1로 기록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이전에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횟수에 1을 더한 값으로 기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고, 가장 가까운 랜덤 접속 자원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상기 백오프 지시자에 대응하는 시간을 기다린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빔 실패 복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며;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다. 이로써,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랜덤 접속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빔 실패 복구 완료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고, 빔 실패 복구 성공 확률을 높이며, 단말기의 무선 링크 실패 위험을 낮추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빔 실패 복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본 공개에서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 기술적 수단 및 장점이 더욱 명료해지도록, 이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본 공개의 실시예에 관한 일부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랜덤 접속: 랜덤 접속은 경쟁 기반 랜덤 접속과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 나뉠 수 있다.
상술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는 주로 랜덤 접속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즉 Msg1), 랜덤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즉 Msg2), 스케줄링 전송(Scheduled Transmission, 즉 Msg3) 및 경쟁 해결(Contention Resolution, 즉 Msg4) 등 4개의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술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는 주로 단계 101 내지 단계 104를 포함한다.
단계 101: 사용자 단말기가 기지국에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10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가 기지국에 Msg1을 송신한다. UE는 랜덤 접속 프리앰블(즉, Preamble)과 랜덤 접속 자원, 다시 말해 물리 랜덤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PRACH 자원에서 기지국에 선택한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단계 102: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에 랜덤 접속 응답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102에서는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에 Msg2를 송신한다. 기지국은 랜덤 접속 요청 Msg1을 수신하고, UE에 랜덤 접속 응답을 송신하며, 랜덤 접속 응답에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uplink timing advance), Msg3를 위해 할당한 상향링크 자원(즉, 상향링크 인가(UL Grant)) 및 네트워크측이 할당한 임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C-RNTI)가 포함된다. 그리고, Msg2 스케줄링 메시지를 캐리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CCH)은 랜덤 접속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ndom Access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R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며, Msg2에는 프리앰블 ID(즉, Preamble ID)도 캐리되며, UE는 RA-RNTI와 프리앰블 ID를 통해, 당해 Msg2가 자신이 송신한 Msg1과 대응됨을 확정할 수 있다.
단계 103: 사용자 단말기가 스케줄링 전송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103에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기지국에 Msg3을 송신한다. UE는 Msg2에 의해 할당된 상향링크 인가(UL grant)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송신하며, 서로 다른 랜덤 접속 원인에 대하여, Msg3 상향링크 전송의 내용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초기 접속에 대하여, Msg3이 전송한 것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구축 요청이다.
단계 104: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에 경쟁 해결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104에서,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기에 Msg4를 송신한다. UE는 Msg4를 토대로, 랜덤 접속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초기 접속 UE에 대하여, 경쟁 해결에 성공한 후, 임시 C-RNTI는 UE의 당해 셀의 유일한 UE 식별자 C-RNTI로 자동 전환된다.
상술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는 주로 랜덤 접속 프리앰블 할당(Random Access Preamble assignment, 즉 Msg0), 랜덤 접속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즉 Msg1) 및 랜덤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즉 Msg2) 등 3개의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술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는 주로 단계 201 내지 단계 203을 포함한다.
단계 201: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를 위해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할당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201에서는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에 Msg0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UE에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사용되는 전용 프리앰블(즉, Preamble) 및 랜덤 접속에 사용되는 PRACH 자원을 할당한다.
단계 202: 사용자 단말기가 기지국에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202에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기지국에 Msg1을 송신한다. UE는 Msg0의 지시를 토대로, 지정된 PRACH 자원에서 기지국에 지정된 전용 프리앰블(즉, Preamble)를 송신한다. 기지국은 Msg1을 수신한 후, Msg1을 토대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 TA)를 카운트한다.
단계 203: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에 랜덤 접속 응답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203에서는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에 Msg2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대부분의 랜덤 접속 시나리오에서, 랜덤 접속 응답의 포맷은 경쟁 기반 랜덤 접속과 마찬가지로, RA-RNTI를 구비한 PDCCH 스케줄링 MAC RAR PDU(Media Access Control Random Access Response Protocol Data Unit, 미디어 접속 제어 랜덤 접속 응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를 사용하며, MAC RAR PDU에는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cation, 랜덤 접속 프리앰블 식별자), 타이밍 어드밴스 명령(Timing Advance Command, TAC) 및 후속 상향링크 전송 자원 할당 상향링크 인가(즉, UL grant)가 포함되며, 사용자 단말기는 랜덤 접속 응답 MAC RAR 중의 RAPID와 Msg1가 송신한 프리앰블(즉, Preamble)가 동일함을 통해, 경쟁 해결을 완료한다. 그리고, NR(New Radio, 새로운 접속)은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라는 새로운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시나리오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Msg2는 C-RNTI를 포함하는 PDCCH이며, 당해 C-RNTI가 사용자 단말기의 C-RNTI와 일치하기만 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랜덤 접속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며, 빔 실패 복구에 성공한다.
구체적으로, BFR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은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측이 사용자 단말기를 위해 후보 빔 집합(즉, Candidate Beam Set)을 설정하고, 후보 빔 집합의 다수의 빔에서 비 경쟁 접속 자원(예를 들어, PRACH 자원과/또는 프리앰블(즉, Preamble))을 할당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빔에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이 존재하면,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Msg1을 송신한 후, 당해 사용자 단말기의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PDCCH 명령을 PDCCH 명령을 수신하는 설정된 제어 자원 집합(Control Resource Set, CORESET)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한 경우,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성공한 것으로 인지한다. BFR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대하여, 기지국은 독립적인 랜덤 접속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당해 파라미터는 랜덤 접속 응답 창 길이(즉, RA-Response Window-BFR), 프리앰블(즉, Preamble) 초기 수신 목표 파워(즉, Preamble Initial Received Target Power-BFR), 파워 램핑 스텝 길이(즉, Power Ramping Step-BFR) 및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BFR)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BFR에 사용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은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만약 후보 빔 집합 중의 빔이 모두 채널 품질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기는 기타 채널 품질이 좋은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는 연결 상태의 기타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와 일치할 수 있다. 랜덤 접속 관련 파라미터와 기타 랜덤 접속 프로세스는 동일한 설정일 수 있으며, 상술한 랜덤 접속 관련 파라미터는 랜덤 접속 응답 창 길이(즉, RA-Response Window), 프리앰블(즉, Preamble) 초기 수신 목표 파워(즉, Preamble Initial Received Target Power), 파워 램핑 스텝 길이(즉, Power Ramping Step) 및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선택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우, 만약 한 번의 랜덤 접속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빔 실패 복구에 성공하거나 또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당해 빔에서 다음 번의 랜덤 접속 시도를 계속 개시한 후 BFR 실패로 판단하므로, 사용자 단말기가 처음 선택한 빔의 품질이 떨어질 경우, 대량의 랜덤 접속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기 쉽다. 따라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빔 실패 복구 방법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처음 선택한 빔의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 채널 품질이 좋은 다른 빔을 선택하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여, 랜덤 접속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3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 11) 및 네트워크측 기기(12)를 포함하며, 그중, 사용자 단말기(11)는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로 약칭),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사용자 단말기측 기기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공개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11)의 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측 기기(12)는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 LTE eNB, 5G NR NB 등과 같은 기지국일 수 있다. 네트워크측 기기(12)는 예를 들어 저전력 노드(Low Power Node , LPN) pico, femto 등과 같은 소형 기지국일 수도 있다.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12)는 접속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기지국은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 및 당해 중앙 유닛이 관리 제어하는 다수의 전송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가 함께 설정한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공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12)의 구체적인 유형을한정하지 않는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빔 실패 복구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에서와 같이 단계 401 내지 단계 402를 포함한다.
단계 401: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작동하는 빔 채널 품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측정하여,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개시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여, 채널 품질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빔을 찾을 수 있다.
당해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접속 자원을 할당한 후보 빔 집합의 다수 빔에서 빔을 선택하여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Msg1을 송신한 후, 사용자 단말기가 당해 사용자 단말기의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PDCCH 명령을 PDCCH 명령을 수신하는 설정된 CORESET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한 경우,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성공한 것으로 인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당해 사용자 단말기의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PDCCH 명령을 PDCCH 명령을 수신하는 설정된 CORESET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것으로 인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2: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기타 채널 품질이 좋은 빔을 선택하도록,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는 기타 채널 품질이 좋은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만약 본 회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성공하거나 또는 랜덤 접속 횟수가 최대 랜덤 접속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계속 개시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MAC 계층이 상위 계층에 보고하여, 무선 링크 실패 및/또는 무선 링크 재구축을 개시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는 연결 상태의 기타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와 일치할 수 있으며, 본 공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고,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가 처음 선택한 빔의 품질이 좋지 않을 경우, 기타 채널 품질이 좋은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여 랜덤 접속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빔 실패 복구의 성공 확률을 향상시키고, 불합리한 초기 빔 선택으로 인한 빔 실패 복구 실패, 및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다시 연결해야 되는 오버 헤드 및 데이터 분실을 줄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만약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매 회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기 전에,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접속 자원을 설정한 후보 빔 집합(즉, Candidate Beam Set)의 빔의 채널 품질에 대해 검출과 평가를 수행하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접속 자원을 설정한 후보 빔 집합의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크거나 또는 그와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다.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접속 자원을 설정한 후보 빔 집합의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기타 채널 품질이 좋은 빔을 선택하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접속 자원을 설정한 후보 빔 집합의 빔의 채널 품질에 대해 검출과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후보 빔 집합의 빔의 채널 품질이 모두 기설정 역치보다 작은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후보 빔 집합에 기설정 역치보다 크거나 그와 같은 빔의 채널 품질이 존재하는 경우,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계속 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후보 빔 집합에서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크거나 그와 같은 빔을 선택하여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상술한 기설정 역치는 실제 상황에 따라 합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을 수행하고,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은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로 하여금 채널 품질이 좋은 빔을 선택하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도록 하여, 랜덤 접속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빔 실패 복구의 성공 확률을 향상시키며, 랜덤 접속 복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고,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이며;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상술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즉, Preamble Initial Received Target Power) 및/또는 Msg1 전력 램핑 스텝(즉, Power Ramping Step)가, 사전에 설정된 종래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대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 및 Msg1 전력 램핑 스텝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은 사전에 사용자 단말기를 위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 및 Msg1 전력 램핑 스텝 등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기는 먼저 상술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 및 Msg1 전력 램핑 스텝 등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당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은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과 기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한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처음 개시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은 초기 수신 목표 전력(즉, Preamble Initial Received Target Power)를 사용하여 Msg1을 송신한다. 만약 본 회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다음 번에 상술한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할 때, Msg1의 전송 전력은 초기 수신 목표 전력에 전력 램핑 스텝 (즉, Power Ramping Step)을 추가한 값이며, 이와 같이 유추한다. 즉, 본 회에 개시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의 전송 전력은 직전 회에 개시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의 전송 전력에 전력 램핑 스텝을 추가한 값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 및/또는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수행함으로써,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의 설정을 줄이고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
중의 하나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 실패의 판단에 사용되며,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기가 개시한 랜덤 접속 횟수가 상술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에 도달할 때, 만약 랜덤 접속이 여전히 실패하면, 빔 실패 복구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위 계층에 통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 링크 실패 및/또는 무선 링크 재구축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은 사전에 사용자 단말기를 위해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BFR) 및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은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과 기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빔 실패 복구 실패의 판단에 사용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일 수 있으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일 수도 있으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일 수도 있으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 실패의 판단에 사용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사전에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네트워크측이 사전에 설정한 것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빔 실패 복구 실패의 판단에 사용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사전에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일 수 있으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사전에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일 수도 있으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사전에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사전에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일 수도 있으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사전에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사전에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일 수도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를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를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을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을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로 사용함으로써,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의 설정을 줄이고,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1로 기록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이전에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횟수에 1을 더한 값으로 기록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부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 변경한 후, 랜덤 접속 횟수는 초기 값인 0으로 복원될 수 있으며, 개시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에 따라 누적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부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 변경한 후, 랜덤 접속 횟수도 개시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에 계속 누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부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 변경한 후, 랜덤 접속 횟수가 초기 값으로 복원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처음 개시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1로 기록하고, 그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매 번 개시할 때마다, 랜덤 접속 횟수에 1을 더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부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 변경한 후, 랜덤 접속 횟수가 개시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에 계속 누적되는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처음 개시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이전에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횟수에 1을 더한 값으로 기록하며, 그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매 번 개시할 때마다, 랜덤 접속 횟수에 1을 더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부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으로 변경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가 M회의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였다면, 처음 개시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는 M+1이며, 그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매 번 개시할 때마다, 랜덤 접속 횟수는 직전에 개시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에 1을 더한 값이다.
선택적으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고, 가장 가까운 랜덤 접속 자원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상기 백오프 지시자에 대응하는 시간을 기다린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백오프 지시자에 대응하는 시간은 0과 백오프 지시자의 백오프 파라미터 사이에서, 평균 분포에 따라 랜덤으로 선택되는 하나의 백오프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된 백오프 값에 따라 다음 번의 랜덤 접속의 송신을 지연시킬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Msg2의 백오프 지시자(Backoff Indicator, BI)를 수신한 후, 만약 본 회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당해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고, 가장 가까운 랜덤 접속 자원에서 즉시 랜덤 접속을 개시하여, 빔 실패 복구를 최대한 신속하게 완료하여,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Msg2의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한 후, 만약 본 회의 랜덤 접속 시도가 실패하였다면, 당해 백오프 지시자에 규정된 시간을 토대로, 새로운 랜덤 접속의 개시를 지연시킴으로써, 네트워크측의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소개한 다양한 선택적인 실시형태는 서로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단독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본 공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의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의한 BFR 수행으로 변경하며,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1: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선택하여, 랜덤 접속을 개시하여 BFR를 수행한다.
당해 단계에서, 만약 본 회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기가 Msg1을 송신한 후, 설정된 Msg2 수신 창 길이(즉, RA-Response Window-BFR) 내 및 설정된 PDCCH 수신 자원(즉, CORESET)에서 당해 사용자 단말기의 C-RNTI를 포함한 PDCCH 명령을 수신하지 못하면, 단계 a2를 수행하며, 만약 본 회의 랜덤 접속에 성공하면, BFR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a2: 사용자 단말기가 BFR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과 평가를 수행한다.
당해 단계에서, 만약 BFR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모든 빔(즉, Beam)의 채널 품질이 모두 기설정 역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채널 품질이 좋은 다른 빔을 선택하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할 수 있다. 즉 단계 a3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a3: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한다.
당해 단계에서, 상술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파라미터는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 Msg1 전력 램핑 스텝 및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일반적인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즉, Msg1 초기 전송 전력)일 수 있으며, 상술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일반적인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일 수 있으며, 매 번 랜덤 접속 시도가 실패한 후, 직전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송 전력에 전력 스텝을 더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는 연결 상태의 기타 경쟁 기반 랜덤 접속 프로세스와 일치할 수 있으며, 본 공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2: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 수행으로 변경하며,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를 토대로, BFR 실패 판단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b1: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되, M회 시도를 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한다.
당해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매 회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후, BFR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과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M회 개시한 후, BFR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모든 빔(즉, Beam)의 채널 품질이 모두 기설정 역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한다.
단계 b2: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한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고, 랜덤 접속 횟수를 M+1로 설정한다. 만약 본 회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랜덤 접속 횟수가 네트워크측이 설정한, BFR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BFR)에 도달하거나 또는 랜덤 접속에 성공할 때까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계속 개시하며, 랜덤 접속 횟수는 계속 누적된다.
단계 b3: 만약 랜덤 접속 횟수가 상한(즉, 상술한 Preamble TransMax-BFR)에 도달해도 여전히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MAC 계층은 상위 계층에 보고하여, 무선 링크 실패 및/또는 무선 링크 재구축을 개시할 수 있다.
실시예 3: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 수행으로 변경하며,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최대 횟수 중의 작은 값을 토대로, BFR 실패 판단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c1: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되, M회 시도를 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한다.
당해 단계는 상술한 단계 b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c2: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한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고, 랜덤 접속 횟수를 M+1로 설정한다. 만약 본 회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랜덤 접속 횟수가 네트워크측이 설정한, BFR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BFR)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 중의 작은 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랜덤 접속에 성공할 때까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계속 개시하며, 랜덤 접속 횟수는 계속 누적된다.
단계 c3: 만약 랜덤 접속 횟수가 상한(즉, min(Preamble TransMax-BFR, Preamble TransMax))에 도달해도 여전히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MAC 계층은 상위 계층에 보고하여, 무선 링크 실패 및/또는 무선 링크 재구축을 개시할 수 있다.
실시예 4: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 수행으로 변경하며,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을 토대로, BFR 실패 판단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d1: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되, M회 시도를 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BFR를 수행한다.
당해 단계는 상술한 단계 b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d2: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한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고, 랜덤 접속 횟수를 M+1로 설정한다. 만약 본 회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랜덤 접속 횟수가 네트워크측이 설정한, BFR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BFR)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 중의 큰 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랜덤 접속에 성공할 때까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계속 개시하며, 랜덤 접속 횟수는 계속 누적된다.
단계 d3: 만약 랜덤 접속 횟수가 상한(즉, max(Preamble TransMax-BFR, Preamble TransMax))에 도달해도 여전히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MAC 계층은 상위 계층에 보고하여, 무선 링크 실패 및/또는 무선 링크 재구축을 개시할 수 있다.
실시예 5: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 수행으로 변경하며,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최대 횟수를 토대로, BFR 실패 판단을 수행하고, BFR에 사용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는 이전의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BFR를 수행한 랜덤 접속 횟수에 누적되며,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e1: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되, M회 시도를 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BFR를 수행한다.
당해 단계는 상술한 단계 b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e2: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한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고, 랜덤 접속 횟수를 M+1로 설정한다. 만약 본 회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랜덤 접속 횟수가 네트워크측이 설정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에 도달하거나 또는 랜덤 접속에 성공할 때까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계속 개시하며, 랜덤 접속 횟수는 계속 누적된다.
단계 e3: 만약 랜덤 접속 횟수가 상한(즉, 상술한 Preamble TransMax)에 도달해도 여전히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MAC 계층은 상위 계층에 보고하여, 무선 링크 실패 및/또는 무선 링크 재구축을 개시할 수 있다.
실시예 6: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 수행으로 변경하며,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최대 횟수를 토대로, BFR 실패 판단을 수행하고, BFR에 사용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는 초기 값(예를 들어, 0)으로부터 시작하여 카운트되며,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f1: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되, M회 시도를 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BFR를 수행한다.
당해 단계는 상술한 단계 b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f2: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한 빔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개시하고, 랜덤 접속 횟수를 M+1로 설정한다. 만약 본 회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랜덤 접속 횟수가 네트워크측이 설정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최대 랜덤 접속 횟수(즉, Preamble TransMax)에 도달하거나 또는 랜덤 접속에 성공할 때까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계속 개시하며, 랜덤 접속 횟수는 계속 누적된다.
단계 f3: 만약 랜덤 접속 횟수가 상한(즉, 상술한 Preamble TransMax)에 도달해도 여전히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MAC 계층은 상위 계층에 보고하여, 무선 링크 실패 및/또는 무선 링크 재구축을 개시할 수 있다.
실시예 7: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 수행으로 변경하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은 Msg2의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한다.
단계 g1: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BFR를 수행하고, Msg2 중의 BI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단계 g2: 만약 본 회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랜덤 접속을 개시하는 원인이 BFR라고 판단하면,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고, 가장 가까운 랜덤 접속 자원에서 즉시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한다.
당해 단계에서, 상술한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는 것은 당해 백오프 지시자를 토대로 지연시킨 후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지 않음을 가리킬 수 있다.
실시예 8: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 수행으로 변경하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은 Msg2의 백오프 지시자를 따른다.
단계 h1: 사용자 단말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BFR를 수행하고, Msg2 중의 BI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단계 h2: 만약 본 회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당해 백오프 지시자에 규정된 시간에 따라, 새로운 랜덤 접속의 개시를 지연시킨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빔 실패 복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하여금 빔 실패 복구를 최대한 신속하게 완료하도록 함으로써, 불합리한 초기 빔 선택으로 인한 BFR 실패, 랜덤 접속 자원 낭비 및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다시 연결해야 되는 오버 헤드 및 데이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네트워크측의 행위와 파라미터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측의 행위와 파라미터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BFR를 수행할 때, 네트워크측은 사용자 단말기가 개시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대해 대응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송신한 Msg1을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 Msg2를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를 수행하여 실패한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한 BFR 수행으로 변경한 경우, 네트워크측은 사용자 단말기가 개시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대해 대응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송신한 Msg1을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 Msg2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송신한 Msg3을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 Msg4를 송신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500)는 제1 빔 실패 복구 모듈(501) 및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50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실패 복구 모듈(501)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502)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502)은 검출 유닛(5021) 및 빔 실패 복구 유닛(5022)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 유닛(5021)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유닛(5022)은 만약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이고;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이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
중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는 카운트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카운트 모듈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1로 기록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이전에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횟수에 1을 더한 값으로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502)은 또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고, 가장 가까운 랜덤 접속 자원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상기 백오프 지시자에 대응하는 시간을 기다린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실시예에서의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500)는 본 공개 실시예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의 임의의 실시형태의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으며, 본 공개 실시예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임의의 실시형태는 모두 본 실시예에서의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500)에 의해 구현되고,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7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당해 사용자 단말기는 송수신기(710), 메모리(720), 프로세서(700) 및 상기 메모리(720)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송수신기(710)는 프로세서(700)의 제어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7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7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00)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메모리(720)는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720)와 프로세서(700)를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분리 위치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700)는 메모리(7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710)는 또한 만약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이며;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이다.
선택적으로,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
중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1로 기록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이전에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횟수에 1을 더한 값으로 기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710)는 또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고, 가장 가까운 랜덤 접속 자원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상기 백오프 지시자에 대응하는 시간을 기다린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실시예의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는 본 공개 실시예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의 임의의 실시형태의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으며, 본 공개 실시예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임의의 실시형태는 모두 본 실시예에서의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구현되고,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그중,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빔 실패 복구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공개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과 장치가 그밖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로직 기능 상의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다.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표시 또는 검토된 상호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그밖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공개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을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결합 형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는 상기 집적 유닛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다수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PC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로 하여금 본 공개의 각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방법의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이동하드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광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본 공개의 선택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했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공개에서 설명한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개량과 윤색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량과 윤색도 본 공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non-contention-based random access)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를 수행하는 단계;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contention-based random access)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실패 복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를 수행하는 단계;
    만약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실패 복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이며;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인 빔 실패 복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
    중의 하나인 빔 실패 복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1로 기록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이전에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횟수에 1을 더한 값으로 기록하는 빔 실패 복구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Backoff Indicator)를 수신하면,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고, 가장 가까운 랜덤 접속 자원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상기 백오프 지시자에 대응하는 시간을 기다린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는 빔 실패 복구 방법.
  7. 제1 빔 실패 복구 모듈 및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실패 복구 모듈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 실패 복구 모듈은 검출 유닛 및 빔 실패 복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 유닛은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유닛은 만약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이며;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인 사용자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
    중의 하나인 사용자 단말기.
  11.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한 경우,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에 대해 채널 품질 검출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만약 상술한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자원을 설정한 빔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초기 수신 목표 전력이고;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Msg1 전력 램핑 스텝은 사전에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Msg1 전력 램핑 스텝인 사용자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빔 실패 복구 실패를 판단하는 최대 랜덤 접속 횟수는,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작은 값;
    빔 실패 복구에 사용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와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위해 설정한 최대 랜덤 접속 횟수 중의 큰 값;
    중의 하나인 사용자 단말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1로 기록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최초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랜덤 접속 횟수를 경쟁 기반 랜덤 접속 이전에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의 횟수에 1을 더한 값으로 기록하는 사용자 단말기.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백오프 지시자를 무시하고, 가장 가까운 랜덤 접속 자원에서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거나;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사용하여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약 현재 경쟁 기반 랜덤 접속에 실패하고 또한 백오프 지시자를 수신하면, 상기 백오프 지시자에 대응하는 시간을 기다린 후, 경쟁 기반 랜덤 접속을 다시 개시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단말기.
  17.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 실패 복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25928A 2018-02-12 2019-01-31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KR102557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46147.XA CN110167147B (zh) 2018-02-12 2018-02-12 一种波束失败恢复方法及用户终端
CN201810146147.X 2018-02-12
PCT/CN2019/074181 WO2019154272A1 (zh) 2018-02-12 2019-01-31 波束失败恢复方法及用户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022A true KR20200117022A (ko) 2020-10-13
KR102557593B1 KR102557593B1 (ko) 2023-07-19

Family

ID=6754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928A KR102557593B1 (ko) 2018-02-12 2019-01-31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0670B2 (ko)
EP (2) EP3755087B1 (ko)
KR (1) KR102557593B1 (ko)
CN (1) CN110167147B (ko)
WO (1) WO2019154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2760B2 (en) * 2018-03-02 2021-06-0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SCell selec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CN110324914B (zh) * 2018-03-28 2021-03-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的处理方法和终端
EP4181613A1 (en) * 2018-03-28 2023-05-1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eam failure recovery
CN110536419B (zh) * 2018-05-23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波束恢复方法和装置
US20220140881A1 (en) * 2019-02-09 2022-05-05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ion based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in secondary cell
US20220167432A1 (en) * 2019-05-01 2022-05-26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procedure based on beam quality
CN112929921B (zh) * 2019-12-05 2023-01-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恢复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260079A (zh) * 2020-02-07 2021-08-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随机接入的处理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711928B (zh) * 2020-04-28 2021-03-16 四川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基于智能水表的多区域水资源供需风险评价方法及系统
CN117544988A (zh) * 2020-11-16 2024-02-09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2839388A (zh) * 2020-12-31 2021-05-25 上海擎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式的选择方法和系统
WO2022217420A1 (en) * 2021-04-12 2022-10-20 Zte Corporation Switching between channel access procedures that include and exclude receiving before transmitt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00129B (zh) * 2007-09-28 2011-07-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资源分配方法
CN101483924A (zh) * 2008-01-08 2009-07-15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过程中信息发送、处理方法、装置和通信系统
CN102685892B (zh) * 2011-03-10 2015-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前导序列的配置方法及装置
US9204395B2 (en) * 2013-01-15 2015-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ive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CN104780617B (zh) * 2014-01-09 2019-09-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非竞争随机接入方法、节点设备及系统
JP2018019403A (ja) * 2016-07-28 2018-02-01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のmsg3送信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18201670A1 (en) * 2017-05-05 2018-11-08 Qualcomm Incorporated Ue selection of common and dedicated rach resources
US10813097B2 (en) * 2017-06-14 2020-10-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US10674383B2 (en) * 2017-07-25 2020-06-02 Mediatek Inc. Channels and procedures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0411784B2 (en) * 2017-08-09 2019-09-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CN110139391B (zh) * 2018-02-09 2021-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事件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1161* *
3GPP R1-1720663 *
3GPP R1-1800700 *
3GPP R1-1800990 *
3GPP R1-1801197* *
3GPP TS38.321 v1.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5087B1 (en) 2023-05-10
US20210014920A1 (en) 2021-01-14
WO2019154272A1 (zh) 2019-08-15
EP3755087A1 (en) 2020-12-23
US11470670B2 (en) 2022-10-11
EP4221430A1 (en) 2023-08-02
CN110167147B (zh) 2021-07-23
EP3755087A4 (en) 2021-02-17
KR102557593B1 (ko) 2023-07-19
CN110167147A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593B1 (ko)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CN108282899B (zh) 一种两步竞争随机接入方法和装置
US2023036300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RU2739330C1 (ru) Произвольный доступ с переключением частей ширины полосы частот
US10299217B2 (en) Method for ensuring parallel data random access and user equipment
CN110022607B (zh) 一种波束失败恢复方法、装置及设备
US11490303B2 (en) Cell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RRC re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user equipment
US1079157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785808B2 (en) Random access method and equipment
WO2019138284A1 (en)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for beam failure recovery
CN107690172B (zh) 一种无线网络中的接入方法及设备
CN110300455B (zh) 随机接入资源指示、随机接入方法、基站、终端及装置
US10945175B2 (en) RACH-less fallback to two-step or four-step RACH with UL grant
JP2021524698A (ja)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及び端末
US20180167971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WO2020140936A1 (zh) 随机接入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0856267B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JP2022531213A (ja)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10049577B (zh) 一种无线资源控制rrc重建立的方法及装置
KR102449111B1 (ko) 액세스 제어 방법 및 관련 제품
WO2020156188A1 (zh) 一种随机接入方法、设备及装置
KR20220004135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CN113784398A (zh) 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6170826A (zh) 一种物理层移动性波束失败恢复的指示方法和设备
CN117377118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及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