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615A - 이동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615A
KR20200115615A KR1020207024948A KR20207024948A KR20200115615A KR 20200115615 A KR20200115615 A KR 20200115615A KR 1020207024948 A KR1020207024948 A KR 1020207024948A KR 20207024948 A KR20207024948 A KR 20207024948A KR 20200115615 A KR20200115615 A KR 2020011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lay
terminal
relay node
pdcp pd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842B1 (ko
Inventor
하이 당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한다. 본 출원에서는 5G 시스템에 적용되는 릴레이 기술을 제공하여, 릴레이 노드로부터 주 노드까지의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하였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중에서, 단말은 하나의 릴레이 노드(Relay Node)를 통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릴레이 노드는 무선 연결을 통하여 주 셀과 연결된다. 본질적으로, 릴레이 노드는 한 가지 저전력 기지국이고, 또한 무선의 방식으로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된다.
현재, 아직까지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에 적용되는 릴레이 기술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상기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고, 여기에서,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여기에서,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한다.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앵커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상기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대응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의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생성하며;
상기 주 노드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주 노드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상기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앵커 노드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앵커 노드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하며;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1 헤더를 추가하고,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1 PDCP PDU를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 중에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지원하며;
상기 제1 릴레이 노드로 상기 제1 헤더가 추가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릴레이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주 노드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2 릴레이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앵커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상기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장치에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대응되는 제1 PDCP PDU를 생성하는 처리 모듈;
상기 주 노드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주 노드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된다.
또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상기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장치에는,
상기 앵커 노드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앵커 노드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1 헤더를 추가하고,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1 PDCP PDU를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 중에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지원하는 처리 모듈;
상기 제1 릴레이 노드로 상기 제1 헤더가 추가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된다.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릴레이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장치에는,
상기 주 노드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된다.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2 릴레이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장치에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된다.
또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앵커 노드를 제공하는 바, 상기 앵커 노드에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기억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앵커 노드 측 관련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또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주 노드를 제공하는 바, 상기 주 노드에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기억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주 노드 측 관련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또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노드를 제공하는 바, 상기 릴레이 노드에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기억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릴레이 노드 측 관련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또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앵커 노드 측 관련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또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주 노드 측 관련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또 다른 일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릴레이 노드 측 관련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안에서, 5G 시스템에 적용되는 릴레이 기술을 제공하여, 릴레이 노드로부터 주 노드까지의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하였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 예시적 도면.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릴레이 노드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적 도면.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각 장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적 도면.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각 장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예시적 도면.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록도.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앵커 노드의 예시적 구조도.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주 노드의 예시적 구조도.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릴레이 노드의 예시적 구조도.
본 출원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장점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문에서 언급되는 "모듈"은 통상적으로 기억장치에 저장된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말하며; 본문에서 언급되는 "유닛"은 통상적으로 논리에 의하여 구분된 기능성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서, 해당 "유닛"은 순수한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문에 언급되는 "다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말한다. 용어 "및/또는"는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및 유사한 용어는 어떠한 순서, 수량 또는 중요성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른 구성 부분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 예시도를 도시한다. 해당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제5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일 수 있으며, 또한 NR 시스템이라 불린다. 해당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anchor node)(10), 주 노드(donor node)(20), 릴레이 노드(30)와 단말(40)이 포함될 수 있다.
앵커 노드(10)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다. 앵커 노드(10)는 코어 네트워크 네트워크 요소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앵커 노드(10)는 사용자 평면의 앵커 포인트로써 사용자 평면 기능 실체(User Plane Function, UPF)와 상호 연결되며, 및/또는 앵커 노드(10)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로써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실체(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와 상호 연결된다. 앵커 노드(10)는 주 노드(20)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된다. 고정 연결은 또한 유선 연결 또는 물리적 연결이라 칭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앵커 노드(10)와 주 노드(20) 간에는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된다.
주 노드(20)는 릴레이 노드(30)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된다. 예를 들면, 주 노드(20)와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릴레이 노드(31) 간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하여 상호 통신을 구현한다.
앵커 노드(10)와 주 노드(20)는 모두 접속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면 기지국(Base Station, BS)일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단말(40)을 위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릴레이 노드(30)는 단말(40)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된다. 예를 들면, 단말(40)과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릴레이 노드(31) 간에도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하여 상호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단말(40)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된 여러 가지 핸드핼드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설비,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및 여러 가지 형식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릴레이 네트워크(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31)가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310)에는 주 노드(20)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도면에 도면부호 32로 표시됨)가 존재하고, 또한 단말(40)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도면에 도면부호 33으로 표시)가 존재한다. 상기 제1 릴레이 노드(32)와 제2 릴레이 노드(33)는 동일한 릴레이 노드일 수도 있고, 또한 두 개의 다를 릴레이 노드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릴레이 네트워크(30)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릴레이 노드(31)가 포함되고, 상기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릴레이 노드(31)는 에드혹 네트워크 기술을 통하여 릴레이 네트워크(30)를 구성할 수 있다.
앵커 노드(10)와 단말(40) 간에는 주 노드(20)와 릴레이 노드(30)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앵커 노드(10)는 단말(40)에 대하여 대응되는 제1 PDCP PDU를 생성하고, 상기 고정 연결을 통하여 주 노드(20)로 제1 PDCP PDU를 송신한다. 제1 PDCP PDU는 제어 평면의 PDCP PDU일 수도 있고, 또한 사용자 평면의 PDCP PDU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주 노드(20)는 앵커 노드(10)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하고, 제1 PDCP PDU 상에 제1 헤더를 추가한다. 여기에서, 제1 헤더는 제1 PDCP PDU를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에서 제2 릴레이 노드(33)로 전송하는 것을 지원하는 바, 즉 단말(40)의 릴레이 노드를 위하여 서비스한다.
선택적으로, 제1 헤더는 제1 PDCP PDU에 대한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한다. 주 노드(20)로부터 제2 릴레이 노드(33)까지의 경로 상에 적어도 두 개의 노드가 존재할 때, 제1 헤더를 통하여 제1 PDCP PDU에 대한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한다. 상기 경로의 양단 노드는 주 노드(20)와 제2 릴레이 노드(33)이고, 상기 경로에는 제1 릴레이 노드(32)와 제2 릴레이 노드(33)가 포함되는 외, 선택적으로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기타 릴레이 노드(31)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주 노드(20)는 또한 제1 PDCP PDU 상에서 제1 헤더를 추가하기 전, 제1 PDCP PDU 상에 제2 헤더를 추가한다. 선택적으로, 제2 헤더를 추가한 후의 제1 PDCP PDU를 제2 PDCP PDU라 칭한다. 여기에서, 제2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40)의 PDU 세션(session)을 동일한 PDCP에 멀티플렉싱하고, 해당 PDCP 연결은 주 노드(20)와 제2 릴레이 노드(33) 간에 구성된다. 예를 들면, 해당 제2 헤더는 PDCP 헤더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주 노드(20)는 또한 제1 PDCP PDU 상에서 제1 헤더를 추가하기 전, 제1 PDCP PDU 상에 제3 헤더를 추가한다. 선택적으로, 제3 헤더를 추가한 후의 제1 PDCP PDU를 제3 PDCP PDU라 칭한다. 여기에서, 제3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40)의 PDU 세션을 구분한다. 예를 들면, 해당 제3 헤더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rning Protocol, GTP) 헤더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헤더 및/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헤더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40)에 있어서, 이는 하기 임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 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다.
1. 단말(40)과 앵커 노드(10) 간에는 신호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SRB)1/2가 구성되어 있으며; 및/또는 단말(40)과 주 노드(20) 간에는 SRB1/2가 구성되어 있으며;
2. 단말(40)과 제2 릴레이 노드(33) 간에는 SRB3이 구성되어 있으며;
3. 단말(40)과 앵커 노드(10) 간에는 주 기지국 그룹(MCG)의 무선 링크 제어 베어러(Radio Link Control Bearer, RLC Bearer)가 구성되어 있으며;
4. 단말(40)과 제2 릴레이 노드(33) 간에는 보조 기지국 그룹(SCG)의 RLC Bearer가 구성되어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릴레이 노드(33)에 있어서, 이는 하기 임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 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다.
1. 제2 릴레이 노드(33)와 앵커 노드(10) 간에는 SRB1/2가 구성되어 있으며; 및/또는 제2 릴레이 노드(33)와 제1 릴레이 노드(32) 간에는 SRB1/2가 구성되어 있으며;
2. 제2 릴레이 노드(33)와 제1 릴레이 노드(32) 간에는 SRB3이 구성되어 있으며;
3. 제2 릴레이 노드(33)와 앵커 노드(10) 간에는 MCG의 RLC Bearer가 구성되어 있으며;
4. 제2 릴레이 노드(33)와 제1 릴레이 노드(32) 간에는 SCG의 RLC Bearer가 구성되어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릴레이 노드(32)에 있어서, 이와 주 노드(20) 간에는 SRB3도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SRB1/2는 신호 전송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SRB1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SRB2가 구성되기 전, SRB2보다 더욱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SRB2는 비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SRB1보다 더욱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또한 일반적으로 안전 모드가 활성화된 후에야 비로소 SRB2를 구성한다. SRB3은 MCG와 관련된 신호 전송 기능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각 릴레이 노드(31)에는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가 구비된다.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는 제1 헤더에 의하여 제1 PDCP PDU에 대한 처리 조작을 결정하는 바, 해당 처리 조작에는 해당 릴레이 노드(31)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하는 것, 또는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기타 릴레이 노드(31)로 전달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위 계층 프로토콜 스택은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 상위 계층에 위치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 선택적으로, 제1 헤더에 의하여 제1 PDCP PDU를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기타 릴레이 노드(31)로 전달하기로 결정할 때, 또한 제1 헤더에 의하여 제1 PDCP PDU를 어느 릴레이 노드(31)로 전달할지 결정한다. 제1 릴레이 노드(32)를 예로 들면, 만일 제1 릴레이 노드(32)가 제1 PDCP PDU를 기타 릴레이 노드(31)로 전달하기 결정하면, 더는 제1 PDCP PDU를 해당 제1 릴레이 노드(32)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하여 처리를 진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는 RLC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는 PDCP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에 위치한다. 일 예시에서,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는 RLC 프로토콜 스택과 PDCP 프로토콜 스택 간에 위치한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31)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은 아래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 프로토콜 스택,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 스택, RLC 프로토콜 스택,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와 PDCP 프로토콜 스택이 포함된다.
기타 가능한 예시에서,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는 또한 PDCP 프로토콜 스택과 동일한 계층에 속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PDCP PDU가 주 노드(20)와 제1 릴레이 노드(32) 간에서 자동 재전송 요청(Automatic Repeat-reQuest, ARQ) 재전송 매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하며; 제1 PDCP PDU가 제1 릴레이 노드(32)와 제2 릴레이 노드(33) 간에서 ARQ 재전송 매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한다. 즉 주 노드(20)와 제1 릴레이 노드(32) 간, 제1 릴레이 노드(32)와 제2 릴레이 노드(33) 간에 점대점으로 ARQ 재전송을 진행하여, 무결함 전송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PDCP PDU가 앵커 노드(10)와 단말(40) 간에서 단대단 암호화 전송 및/또는 무결성 보호 및/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사용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PDCP PDU가 주 노드(20)와 제2 릴레이 노드(33) 간에서 단대단 암호화 전송 및/또는 무결성 보호 및/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사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 중의 각 장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도면이다.
앵커 노드(10)와 단말(40) 간에 단말(40)과 대응되는 제1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가 존재한다. 앵커 노드(10)는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flow)을 제1 DRB에 베어링시켜 단말(40)로 송신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데이터 흐름이 비록 제2 릴레이 노드(33)를 경과하기는 하지만, 제2 릴레이 노드(33)는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GTP 계층 처리를 진행하지 않고, 이는 데이터 흐름을 단말(40)로 투과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 중의 각 장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도면이다.
앵커 노드(10)와 제2 릴레이 노드(33) 간에 제2 릴레이 노드(33)와 대응되는 제2 DRB가 존재한다. 앵커 노드(10)는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을 제2 DRB에 베어링시켜 제2 릴레이 노드(33)로 송신하고, 제2 릴레이 노드(33)는 데이터 흐름을 단말(40)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릴레이 노드(33)는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GTP 처리를 진행한 후 단말(40)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DRB 중에 적어도 두 개의 단말(40)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이 베어링되어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릴레이 노드(31)(예를 들면 제1 릴레이 노드(32), 제2 릴레이 노드(33))가 배포 유닛(Distributed Unit, DU)으로써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주 노드(20)와 연결되는 바, 해당 제1 인터페이스는 집중-배포(CU-DU) 인터페이스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릴레이 노드(31)(예를 들면 제1 릴레이 노드(32), 제2 릴레이 노드(33))가 기지국(5G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gNB라 칭할 수 있음)으로써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주 노드(20)와 연결되는 바, 해당 제2 인터페이스는 N2, N3 또는 Xn 인터페이스이다.
선택적으로,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릴레이 노드(31)가 제1 접속 방식에 따라 목표 노드에 접속하고, 목표 노드를 통하여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바, 해당 제1 접속 방식은 단말 유형의 접속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릴레이 노드(31)가 목표 노드를 통하여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2 접속 방식에 따라 주 노드(20)에 접속하는 바, 해당 제2 접속 방식은 릴레이 노드 유형의 접속 방식이다. 상기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는 저2 접속 방식의 관련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어떤 노드를 통하여 접속하는지이다.
요약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안에서, 5G 시스템에 적용되는 릴레이 기술을 제공하여, 릴레이 노드로부터 주 노드까지의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501 단계: 앵커 노드(10)가 단말(40)에 대하여 대응되는 제1 PDCP PDU를 생성한다.
502 단계: 앵커 노드(10)가 주 노드(20)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주 노드(20)로 제1 PDCP PDU를 송신한다.
503 단계: 주 노드(20)가 제1 PDCP PDU 상에서 제1 헤더를 추가한다.
제1 헤더는 제1 PDCP PDU를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에서 제2 릴레이 노드(33)로 전송하는 것을 지원한다. 제1 헤더는 제1 PDCP PDU에 대한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한다.
504 단계: 주 노드(20)가 제1 릴레이 노드(32)로 제1 헤더가 추가된 제1 PDCP PDU를 송신한다.
505 단계: 제1 릴레이 노드(32)가 제2 릴레이 노드(33)로 제1 PDCP PDU를 송신한다.
506 단계: 제2 릴레이 노드(33)가 단말(40)로 제1 PDCP PDU를 송신한다.
요약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안에서, 5G 시스템에 적용되는 릴레이 기술을 제공하여, 릴레이 노드로부터 주 노드까지의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하였다.
상기 방법 실시예에 언급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본 출원의 시스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단지 앵커 노드(10), 주 노드(20), 제1 릴레이 노드(32), 제2 릴레이 노드(33)와 단말(40) 상호 작용의 각도로부터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였고, 상기 앵커 노드(10) 관련 단계는 단독으로 앵커 노드(10) 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주 노드(20) 관련 단계는 단독으로 주 노드(20) 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릴레이 노드(32) 관련 단계는 단독으로 제1 릴레이 노드(32) 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 관련 단계는 단독으로 제2 릴레이 노드(33) 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40) 관련 단계는 단독으로 단말(40) 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아래는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로써, 장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방법 실시예 또는 시스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에는 상기 방법과 시스템 실시예 중의 앵커 노드(10)를 구현하는 기능이 구비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하드웨어를 통하여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에는,
상기 단말(40)에 대하여 대응되는 제1 PDCP PDU를 생성하는 처리 모듈(610);
상기 주 노드(20)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주 노드(20)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620)이 포함된다.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 노드(10)와 상기 단말(40) 간에 상기 단말(40)과 대응되는 제1 DRB가 존재하며;
상기 송신 모듈(620)은, 또한 단말(40)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을 상기 제1 DRB 중에 베어링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가 상기 데이터 흐름을 상기 단말(40)로 송신한다.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 노드(10)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 간에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와 대응되는 제2 DRB가 존재하며;
상기 송신 모듈(620)은, 또한 상기 단말(40)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을 상기 제2 DRB 중에 베어링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가 상기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GTP 처리를 진행한 후 상기 단말(40)로 송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에는 상기 방법과 시스템 실시예 중의 주 노드(20)를 구현하는 기능이 구비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하드웨어를 통하여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에는,
상기 앵커 노드(10)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앵커 노드(10)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710);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1 헤더를 추가하고,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1 PDCP PDU를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에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로 전송하는 것을 지원하는 처리 모듈(720);
상기 제1 릴레이 노드(32)로 상기 제1 헤더가 추가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730)이 포함된다.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1 PDCP PDU에 대한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한다.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720)은, 또한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2 헤더를 추가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2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40)의 PDU 세션을 동일한 PDCP 연결에 멀티플렉싱시키고, 상기 PDCP 연결은 상기 주 노드(20)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 간에 구성된다.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720)은, 또한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3 헤더를 추가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3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40)의 PDU 세션을 구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에는 상기 방법과 시스템 실시예 중의 릴레이 노드(31)(예를 들면 제1 릴레이 노드(32) 또는 제2 릴레이 노드(33))를 구현하는 기능이 구비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하드웨어를 통하여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에는 수신 모듈(810), 처리 모듈(820)과 송신 모듈(830)이 포함된다.
해당 장치에 제1 릴레이 노드(32)의 기능이 구비될 때, 상기 수신 모듈(810)은, 상기 주 노드(20)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하며; 상기 송신 모듈(830)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820)은, 상기 제1 PDCP PDU의 제1 헤더에 의하여 상기 PDCP PDU에 대한 처리 조작을 결정하는 바, 상기 처리 조작에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32)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하는 것, 또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30) 중의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로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송신 모듈(830)은, 또한 상기 처리 모듈(820)이 상기 제1 PDCP PDU에 대한 처리 조작을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로 전달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제2 릴레이 노드(33)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한다.
해당 장치에 제2 릴레이 노드(33)의 기능이 구비될 때, 상기 수신 모듈(810)은, 상기 제1 릴레이 노드(32)가 송신하는 PDCP PDU를 수신하며; 상기 송신 모듈(830)은, 상기 단말(40)로 상기 PDCP PDU를 송신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앵커 노드(10)의 구조도를 도시하는 바, 해당 앵커 노드(10)에는 프로세서(101), 수신기(102), 송신기(103), 기억장치(104)와 버스(105)가 포함된다.
프로세서(101)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커널이 포함되고, 프로세서(1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시키는 것을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진행한다.
수신기(102)와 송신기(103)는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통신 모듈은 하나의 통신 칩일 수 있다.
기억장치(104)는 버스(105)를 통하여 프로세서(101)와 연결된다.
기억장치(104)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101)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앵커 노드(10)가 실행하는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기억장치(104)는 임의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에는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전기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PROM), 정적 무작위 접속 메모리(S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PROM)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주 노드(20)의 구조도를 도시하는 바, 해당 주 노드(20)에는 프로세서(111), 수신기(112), 송신기(113), 기억장치(114)와 버스(115)가 포함된다.
프로세서(111)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커널이 포함되고, 프로세서(11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시키는 것을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진행한다.
수신기(112)와 송신기(113)는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통신 모듈은 하나의 통신 칩일 수 있다.
기억장치(114)는 버스(115)를 통하여 프로세서(111)와 연결된다.
기억장치(114)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111)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주 노드(20)가 실행하는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기억장치(114)는 임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에는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전기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PROM), 정적 무작위 접속 메모리(S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PROM)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릴레이 노드(31)의 구조도를 도시하는 바, 해당 릴레이 노드(31)에는 프로세서(121), 수신기(122), 송신기(123), 기억장치(124)와 버스(125)가 포함된다.
프로세서(121)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커널이 포함되고, 프로세서(12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시키는 것을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 응용 및 정보 처리를 진행한다.
수신기(122)와 송신기(123)는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통신 모듈은 하나의 통신 칩일 수 있다.
기억장치(124)는 버스(125)를 통하여 프로세서(121)와 연결된다.
기억장치(124)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121)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릴레이 노드(31)(제1 릴레이 노드(32)와 제2 릴레이 노드(33) 포함)가 실행하는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기억장치(124)는 임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에는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전기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PROM), 정적 무작위 접속 메모리(S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PROM)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호출 및 실행되어 상기 각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각 방법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때, 이러한 기능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의 하나 또는 다수의 명령 또는 코드로써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는 컴퓨터 저장 매체와 통신 매체가 포함되고, 여기에서 통신 매체에는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편한 임의의 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응용 주문형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출원을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6)

  1.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대응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을 생성하고, 상기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주 노드로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노드는 상기 제1 PDCP PDU 상에서 제1 헤더를 추가하며;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1 PDCP PDU를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 중에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1 PDCP PDU에 대한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 노드는 또한 상기 제1 PDCP PDU 상에서 제1 헤더를 추가하기 전,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2 헤더를 추가하고, 제2 PDCP PDU를 생성하며;
    상기 제2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의 PDU 세션을 동일한 PDCP 연결에 멀티플렉싱시키고, 상기 PDCP 연결은 상기 주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더는 PDCP 헤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7. 제3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노드는 또한 상기 제1 PDCP PDU 상에서 상기 제1 헤더를 추가하기 전,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3 헤더를 추가하며;
    상기 제3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의 PDU 세션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헤더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헤더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헤더 및/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P) 헤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상기 앵커 노드 간에는 신호 무선 베어러(SRB)1/2가 구성되어 있으며, 및/또는 상기 단말과 상기 주 노드 간에는 상기 신호 무선 베어러(SRB)1/2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는 신호 무선 베어러(SRB)3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상기 앵커 노드 간에는 주 기지국 그룹(MCG)의 무선 링크 제어 베어러(RLC Bearer)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는 보조 기지국 그룹(SCG)의 무선 링크 제어 베어러(RLC Bearer)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에는 신호 무선 베어러(SRB)1/2가 구성되어 있으며, 및/또는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간에는 상기 신호 무선 베어러(SRB)1/2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간에는 신호 무선 베어러(SRB)3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주 노드 간에는 신호 무선 베어러(SRB)3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에는 주 기지국 그룹(MCG)의 무선 링크 제어 베어러(RLC Bearer)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간에는 보조 기지국 그룹(SCG)의 무선 링크 제어 베어러(RLC Bearer)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8. 제3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릴레이 네트워크 중의 각 릴레이 노드에는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가 구비되며;
    상기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는 제1 헤더에 의하여 제1 PDCP PDU의 처리 조작을 결정하는 바, 상기 처리 조작에는 상기 릴레이 노드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하는 것, 또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 중의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는 무선 링크 제어(RLC)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는 PDCP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프로토콜 스택 X와 상기 PDCP 프로토콜 스택은 동일한 계층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2. 제2항 내지 제2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DCP PDU가 상기 주 노드와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간에서 자동 재전송 요청(ARQ) 재전송 매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하며; 상기 제1 PDCP PDU가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서 상기 ARQ 재전송 매커니즘을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3. 제2항 내지 제2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PDCP PDU가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단말 간에서 단대단 암호화 전송 및/또는 무결성 보호 및/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4. 제5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PDCP PDU가 상기 주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서 단대단 암호화 전송 및/또는 무결성 보호 및/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5. 제1항 내지 제2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단말 간에 상기 단말과 대응되는 제1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존재하며;
    상기 앵커 노드가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을 상기 제1 데이터 무선 베어러 중에 베어링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상기 데이터 흐름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6. 제1항 내지 제2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대응되는 제2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존재하며; 상기 앵커 노드가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을 상기 제2 DRB 중에 베어링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상기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GTP 처리를 진행한 후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RB 중에 적어도 두 개의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이 베어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8. 제1항 내지 제2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배포 유닛으로써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주 노드와 연결되는 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집중-배포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9. 제1항 내지 제2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기지국으로써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주 노드와 연결되는 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N2, N3 또는 Xn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0. 제1항 내지 제2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 중의 릴레이 노드가 제1 접속 방식에 따라 목표 노드에 접속하고, 상기 목표 노드를 통하여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접속 방식은 단말 유형의 접속 방식이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2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주 노드에 접속하는 바, 상기 제2 접속 방식은 릴레이 노드 유형의 접속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1.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앵커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상기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대응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을 생성하며;
    상기 주 노드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주 노드로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단말 간에 상기 단말과 대응되는 제1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을 제1 DRB 중에 베어링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상기 데이터 흐름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대응되는 제2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을 제2 DRB 중에 베어링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상기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GTP 처리를 진행한 후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4.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상기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앵커 노드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앵커 노드가 송신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을 수신하며;
    제1 PDCP PDU 상에 제1 헤더를 추가하고,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PDCP PDU를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 중에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지원하며;
    상기 제1 릴레이 노드로 상기 제1 헤더가 추가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1 PDCP PDU에 대한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DCP PDU 상에서 제1 헤더를 추가하기 전, 또한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2 헤더를 추가하며; 상기 제2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의 PDU 세션을 동일한 PDCP 연결에 멀티플렉싱시키고, 상기 PDCP 연결은 상기 주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 구성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7. 제34항 내지 제3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DCP PDU 상에서 제1 헤더를 추가하기 전, 또한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3 헤더를 추가하며; 상기 제3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의 PDU 세션을 구분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8.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릴레이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주 노드가 송신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을 수신하며;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주 노드가 송신하는 제1 PDCP PDU를 수신한 후, 또한
    상기 제1 PDCP PDU의 제1 헤더에 의하여 상기 PDCP PDU에 대한 처리 조작을 결정하는 바, 상기 처리 조작에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하는 것, 또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 중의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며;
    만일 상기 제1 PDCP PDU에 대한 처리 조작을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0.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2 릴레이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송신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을 수신하며;
    상기 단말로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1.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앵커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상기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장치에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대응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을 생성하는 처리 모듈;
    상기 주 노드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주 노드로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단말 간에 상기 단말과 대응되는 제1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존재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을 상기 제1 DRB 중에 베어링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상기 데이터 흐름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 상기 제2 릴레이 노드와 대응되는 제2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존재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흐름을 제2 DRB 중에 베어링하여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상기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GTP 처리를 진행한 후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4.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상기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장치에는,
    상기 앵커 노드와의 고정 연결을 통하여 상기 앵커 노드가 송신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제1 PDCP PDU 상에 제1 헤더를 추가하고,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PDCP PDU를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 중에서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지원하는 처리 모듈;
    상기 제1 릴레이 노드로 상기 제1 헤더가 추가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1 PDCP PDU에 대한 라우트 전송과 다중 호프 전송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2 헤더를 추가하며; 상기 제2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의 PDU 세션을 동일한 PDCP 연결에 멀티플렉싱시키고, 상기 PDCP 연결은 상기 주 노드와 상기 제2 릴레이 노드 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7. 제44항 내지 제4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PDCP PDU 상에 제3 헤더를 추가하며; 상기 제3 헤더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의 PDU 세션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8.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릴레이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장치에는,
    상기 주 노드가 송신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1 PDCP PDU의 제1 헤더에 의하여 상기 제1 PDCP PDU에 대한 처리 조작을 결정하는 바, 상기 처리 조작에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달하는 것, 또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 중의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는 처리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1 PDCP PDU에 대한 처리 조작을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제2 릴레이 노드로 상기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0.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2 릴레이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앵커 노드, 주 노드, 릴레이 네트워크와 단말이 포함되며; 상기 앵커 노드는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의 앵커 포인트이고, 상기 앵커 노드는 상기 주 노드와 고정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주 노드는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와 제1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과 제2 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네트워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는 상기 주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단말과 직접 연결되는 상기 제2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장치에는,
    상기 제1 릴레이 노드가 송신하는 제1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단말로 제1 PDCP PDU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1. 앵커 노드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에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기억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술 제31항 내지 제33항의 어느 한 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노드.
  52. 주 노드에 있어서, 상기 주 노드에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기억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술 제34항 내지 제37항의 어느 한 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 노드.
  53. 릴레이 노드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에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기억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술 제38항 내지 제40항의 어느 한 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4.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술 제31항 내지 제33항의 어느 한 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5.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술 제34항 내지 제37항의 어느 한 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6.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술 제38항 내지 제40항의 어느 한 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24948A 2018-02-11 2018-02-11 이동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2350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6243 WO2019153295A1 (zh) 2018-02-11 2018-02-11 移动通信系统、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615A true KR20200115615A (ko) 2020-10-07
KR102350842B1 KR102350842B1 (ko) 2022-01-12

Family

ID=6754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948A KR102350842B1 (ko) 2018-02-11 2018-02-11 이동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05464B2 (ko)
EP (1) EP3737204B1 (ko)
JP (1) JP7073509B2 (ko)
KR (1) KR102350842B1 (ko)
CN (2) CN112040565B (ko)
AU (1) AU2018407956B2 (ko)
TW (1) TW201935992A (ko)
WO (1) WO2019153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60B1 (ko) 2012-11-14 2014-08-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장내세균의 탄소원 이용 검증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2006A1 (en) * 2009-01-06 2010-10-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sign of In-Band Backhaul for Wireless Relays in Wireless Networks
KR20110074930A (ko) * 2008-10-24 2011-07-0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셀 릴레이 통신을 위한 헤더 압축
EP2453590A1 (en) * 2009-08-18 2012-05-16 ZTE Corporation Relay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hops and access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9973B2 (en) * 2005-03-15 2010-12-28 Pioneer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hologram and apparatus therefor
KR100938090B1 (ko) * 2006-10-19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US8305965B2 (en) * 2009-01-06 2012-11-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tocol stack and scheduler for L3 relay
KR101611300B1 (ko) * 2009-04-21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지시자를 이용한 중계기 통신 기법
US8320827B2 (en) * 2009-06-17 2012-11-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with a relay node
CN102056226B (zh) * 2009-11-10 2016-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Pdcp状态报告的获取方法和pdcp实体
CN102098725B (zh) * 2009-12-15 2015-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网关与中继终端间传输数据的系统及方法
US8904167B2 (en) * 2010-01-22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wireless relay nodes
KR101831448B1 (ko) * 2010-02-02 201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pdcp 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US9504079B2 (en) * 2010-02-22 2016-11-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in communications systems with relay nodes
PT2606372T (pt) * 2010-08-16 2018-05-08 Ericsson Telefon Ab L M Nós e métodos para melhorar posicionamento
WO2012060565A2 (en) * 2010-11-04 2012-05-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connection to base station at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01057A1 (en) * 2011-03-17 2012-09-19 Panasonic Corporation Dynamic PUSCH deactivation/activation for component carriers of a relay node
US8848640B2 (en) * 2011-05-06 2014-09-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aggregation for IP flow
US9088922B2 (en) 2011-10-10 2015-07-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relay handover
US9526091B2 (en) 2012-03-16 2016-12-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JP2013197895A (ja) * 2012-03-19 2013-09-30 Fujitsu Ltd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中継局並びに通信方法
CN103327475B (zh) 2012-03-21 2017-05-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小区切换的寻址方法以及寻址装置
EP2888906B1 (en) * 2012-08-23 2021-03-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Operating with multiple schedulers in a wireless system
US9843512B2 (en) * 2013-08-27 2017-12-1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ata flow in an engineered system for middleware and application execution
US10004098B2 (en) * 2014-01-29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50305041A1 (en) * 2014-04-16 2015-10-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radio resource aggregation
US9572108B2 (en) * 2014-06-26 2017-02-1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mall cell activation and detection
KR101814248B1 (ko) * 2014-09-05 2018-01-0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캐리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S2816426T3 (es) * 2014-10-23 2021-04-05 Huawei Tech Co Ltd Procedimiento y aparato de conexión de control de recursos de radio RRC
KR101900356B1 (ko) * 2014-10-23 2018-09-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3203801B1 (en) * 2014-10-23 2019-12-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interface to support split function
WO2016131165A1 (zh) * 2015-02-16 2016-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参数的协调装置、系统及方法
US10412652B2 (en) * 2015-04-10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data packet to user equipment in LTE-WLAN aggregation system
US10327174B2 (en) * 2016-11-03 2019-06-18 Motorola Mobility Llc Offload bea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30816B2 (en) * 2016-01-28 2020-04-2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hared multicast local identifiers (MILD) ranges in a high performance computing environment
WO2017166138A1 (zh) * 2016-03-30 2017-10-0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中继传输的方法和装置
CN107347177B (zh) * 2016-05-06 2020-03-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630410B2 (en) * 2016-05-13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367677B2 (en) *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20180234839A1 (en) * 2017-02-13 2018-08-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s
US10772145B2 (en) * 2017-03-29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formation for backhaul networks
US11212701B2 (en) * 2017-05-14 2021-12-2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quality-of-service guarantee
CN110771082B (zh) * 2017-06-22 2022-02-18 鸿颖创新有限公司 用于分组数据汇聚协议分组数据单元复制的系统、装置及方法
US11375527B1 (en) * 2017-11-09 2022-06-28 Verana Networks, Inc. Wireless mesh network
US20190200273A1 (en) * 2017-12-22 2019-06-27 Nokia Technologies Oy Flushing PDCP Packets To Reduce Network Load In Multi-Connectivity Scenarios
US10432295B2 (en) * 2018-01-11 2019-10-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adio link control layer based relaying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transmissions in wireless networks
CN112039944A (zh) * 2018-01-12 2020-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EP3741185A1 (en) * 2018-01-19 2020-11-25 Nokia Technologies Oy Control plane signaling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s
US10778449B2 (en) * 2018-01-26 2020-09-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hared sessions in communication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930A (ko) * 2008-10-24 2011-07-0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셀 릴레이 통신을 위한 헤더 압축
US20100272006A1 (en) * 2009-01-06 2010-10-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sign of In-Band Backhaul for Wireless Relays in Wireless Networks
EP2453590A1 (en) * 2009-08-18 2012-05-16 ZTE Corporation Relay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hops and access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407956B2 (en) 2021-08-05
EP3737204A1 (en) 2020-11-11
EP3737204A4 (en) 2021-01-06
CN111656855A (zh) 2020-09-11
EP3737204B1 (en) 2022-03-09
US20200367131A1 (en) 2020-11-19
KR102350842B1 (ko) 2022-01-12
TW201935992A (zh) 2019-09-01
AU2018407956A1 (en) 2020-08-27
WO2019153295A1 (zh) 2019-08-15
CN112040565B (zh) 2022-04-12
US11805464B2 (en) 2023-10-31
CN112040565A (zh) 2020-12-04
JP7073509B2 (ja) 2022-05-23
JP2021513255A (ja)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0131B2 (en) Configuration metho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7394940B2 (ja) 伝送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US20230073469A1 (en) Sidelink relay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JP7440562B2 (ja) 情報伝送方法及び装置
US20210126991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Packet, and Data Packet Transmission System
WO2019214729A1 (zh) 数据处理的方法和设备
KR102323091B1 (ko) 레이어 2 처리 방법, cu 및 du
WO2021236894A1 (en) Sidelink relay connectivity management
US11844010B2 (en)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relay node
WO2016011849A1 (zh) 一种控制空口资源的方法、设备及系统
KR102335276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235084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20230070483A (ko) Iab-노드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장치
WO2019136933A1 (zh) 中继传输的方法和中继节点
KR20210059766A (ko) 단말 정책의 구성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 매체
WO2022262544A1 (zh) 一种通信的方法、装置及系统
KR102238310B1 (ko)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서 패킷의 송수신 방법
JP2023543492A (ja) 通信方法及び関連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