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515A -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515A
KR20200114515A KR1020190036430A KR20190036430A KR20200114515A KR 20200114515 A KR20200114515 A KR 20200114515A KR 1020190036430 A KR1020190036430 A KR 1020190036430A KR 20190036430 A KR20190036430 A KR 20190036430A KR 20200114515 A KR20200114515 A KR 20200114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contents
week
learner
le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161B1 (ko
Inventor
신종우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1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는,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학습자의 사용자장치로 (기)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학습자가 온라인을 통해 학습을 진행할 때 매주차의 강의를 학습자 각자의 선택에 의해 수강하여 특정 강의의 학습을 서로 다른 강의 내용으로 완료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또는 사이버 대학교 등의 확대로 인해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형태로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는 강의는 대부분이 교습자(혹은 학습자)와 해당 과목이 정해져 있고, 사전에 영상이 제작되어 주차에 따른 정확한 강의 진도가 진행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물론 모든 학습자는 모든 주차의 동일 강의를 수강한다고 볼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변형된 예로서 전 세계 유명 대학 강의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서 무크(MOOC)가 있고, 이는 수강자 수가 제한이 없는 대규모 강의(Massive)로 별도의 강의료 없이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교육과정을 뜻한다. 무크는 세계적 석학들의 강좌를 무료로 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SNS를 통해 질의응답, 과제, 토론 등 양방향 학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크 플랫폼 형태로 운영되는 서비스기관으로는 에덱스, 코세라, 유다시티가 있다. 이중 미국 스탠퍼드대 컴퓨터사이언스학과 교수들이 2012년4월 발족한 세계 최대 무크 사이트인 코세라의 경우 2015년 당시 114개 기관의 839개 강좌가 개설되었고 약 1,000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의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2015년4월16일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시범운영에 참여할 10개 대학과 27개 강좌를 발표한 바 있다. 교육부는 한국형 무크에 올라온 강좌 수강시, 학점으로 인정해주는 방안을 장기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또는 사이버 대학교를 통해 학업을 이어가는 학생들의 경우 다양한 나이 및 직업군 등을 갖는 것이 특징인데, 대부분의 과목들이 사전에 계획된 과목이어서 실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과목들이 개설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또 강좌가 교수자의 의도에 따라 획일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학습자가 실제 자신이 배우고 싶은 분야에 깊은 학습을 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6133호(2017.07.04.)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19290(2002.03.1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학습자가 온라인을 통해 학습을 진행할 때 매주차의 강의를 학습자 각자의 선택에 의해 수강하여 특정 강의의 학습을 서로 다른 강의 내용으로 완료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는,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상기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의 각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2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제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과 매칭되는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학습자와 제2 학습자가 상기 제1주차 강의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3주차 강의까지 수강하는 서로 다른 강의 내용에 대한 수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학습자 및 상기 제2 학습자의 주차별 각 강의내용과 관련되는 문제 데이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강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문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학습자 및 상기 제2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를 판단할 때 강의 교수자의 유사도 평가를 더 반영하여 다음 주차의 강의 내용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상기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의 각각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더 저장하며, 상기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2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제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과 매칭되는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제1 학습자와 제2 학습자가 상기 제1주차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3주차까지 수강하는 강의 내용에 대한 수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학습자와 상기 제2 학습자의 주차별 각 강의 내용과 관련되는 문제 데이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한 문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학습자와 상기 제2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더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유사도를 판단할 때 강의 교수자의 유사도 평가를 더 반영하여 다음 주차의 강의 내용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가 실제 자신이 배우고 싶은 분야에 대해 깊은 학습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틀니에 대한 주제의 강의를 수강할 때, 그에 매칭되는 치기공학과, 간호학과, 의학과, 사회복지 및 방사선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강의 내용을 추천받아 학습자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매주차의 강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강할 수 있으므로, 자신에게 맞춤화된 강의를 수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마다 어떠한 강의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폭넓은 분야의 학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근의 교육 화두가 단연 융합 교육에 있는 만큼, 융합형 인재를 양산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학습자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학습자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시스템(90)은 학습자장치(100), 통신망(110) 및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관리자장치나 서드파티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학습자장치(100)와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학습자장치(10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장치(100)는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을 포함하고,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인공지능(AI)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I 스피커는 학습자의 음성명령어를 취득하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성취득부를 포함하여 학습자가 발화하는 음성명령어를 취득할 수 있을 것이다. 취득된 음성에 따라 학습자장치(100)는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학습자장치(10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전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학습자장치(100)를 사용하는 학습자, 물론 학습자는 어떠한 강의를 수강하느냐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특정 주제와 관련한 강의를 온라인상으로 수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요리에 대한 주제의 강의를 수강할 때, 요리와 관련한 식자재와 관련한 강의도 다음 주차에서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학습자는 특정 강의를 편성하는 매주차의 강의를 선택하여 수강하는 것이다. 좀더 살펴보면,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치기공학과 관련하여 제1주차 강의에서 틀니에 대한 강의를 선택했을 때, 학습자장치(100)의 화면에서 제1 영역(200)에는 강의내용, 가령 동영상이나 PPT 자료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역(210)에는 추천 강의가 가령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학습자는 제1주차 강의의 진행 중에 또는 해당 강의가 완료되는 시점에 그 강의와 관련되는 다양한 분야의 강의를 제2 영역(210)에서 추천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기공학의 다른 연관 분야의 강의가 추천될 수 있고 간호학, 의학, 사회복지, 방사선과 등 다양한 연관 분야의 강의가 추천될 수 있다. 만약, 학습자가 제1주차 강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또는 완료한 후 다음 2주차 강의와 관련하여 추천되는 특정 강의를 선택하게 되면 제1 영역(200)에는 선택된 강의의 강의내용이 표시되고, 제2 영역(210)에는 제1 영역(200)에 표시되는 강의와 관련되는 새로운 제3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이 추천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의의 종료 시점인 14주차 또는 15주차까지 강의가 진행될 수 있다. 학습자장치(100)를 사용하는 학습자는 매주차의 강의마다 자신이 선택하는 경로를 따라 강의 종료 시점인 대략 14주차 강의까지 학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장치(100)를 사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학습하는 각각의 학습자들은 특정 수강과목에 대한 시작은 동일하지만 그 종착역까지 가는 길과 종착역은 전혀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들은 자신의 나이나 직업과 관련하여 자신이 원하는 강의를 수강할 수 있게 되므로 학습의 능률도 오르고 또 학습의 깊이도 증가될 수 있다. 가령, 학습자는 동일한 수강과목에 대하여 추천되는 다른 강의를 매주차에서 선택하게 되면 또 다른 내용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틀니에 대하여 최초에 강의를 수강하지만, 처음으로 돌아가 다른 경로로 강의를 재수강할 수 있으므로, 학습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특정 분야에 있어서 타 분야와 연계될 수 있는 융합 지식을 취득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학습자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학습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학습자장치(100)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에게 특정 과목의 강의와 관련해 학습자별로 자신에게 맞춤화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이를 위하여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특정 과목의 강의가 가령 14주차로 편성된다고 가정할 때, 1주차 강의에 연계되는 다양한 분야의 강의 혹은 강의 내용을 다음 2주차 강의로서 가령 10개 정보를 매칭하여 DB(120a)에 저장한 후 학습자들에게 추천할 수 있고, 또 그 10개의 2주차 강의에 각각 매칭하여 다음 3주차 강의를 위해 10개의 강의를 매칭하여 DB(12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게 되면 학습자가 선택 가능한 2주차 강의는 10개지만, 3주차 강의는 각각의 2주차 강의에 10개의 3주차 강의를 매칭하여 저장하므로 총 100개의 강의 내용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2주차의 첫번째 강의가 선택되면 그에 매칭되는 10개를 학습자들에 추천하고, 또 2주차의 두번째 강의가 선택되는 경우에도 그에 매칭되는 10개를 학습자들에 추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은 결국 2주차부터 수강하는 강의가 조금씩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DB(120a)에 강의 내용과 관련한 강의 자료 즉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을 선행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외부의 서드파티업체와 연계하여 DB(120a)를 구축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전문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대학의 운영서버에 연동하여 학습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 이외에도 콘텐츠를 제작하는 업체들과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 포털 사이트의 운영사가 대표적일 수 있다.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가령 교수자가 특정 과목과 관련하여 1주차 강의를 제작하거나 또는 DB(120a)에 기저장되어 있는 강의 자료 중에서 선택하여 1주차 강의를 위해 지정하면,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해당 1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저장하고, 내부 DB(120a)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분야의 강의 내용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의 과정에서 외부의 서버와 연동하여 강의 자료나 강의 내용을 제공받아 분석하여 유사도를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다. 예컨대, 유사도가 높으면 해당 강의 내용들을 1주차 강의의 강의내용에 매칭시켜 DB(120a)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2주차 강의가 구성되면, 다시 각 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들과 유사한 새로운 강의 내용을 검색하여 분석하고 유사도를 측정하여 각 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마다 매칭되는 3주차 강의내용을 매칭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 종료시점까지의 강의 내용을 형성하여 강의를 편성하게 된다.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적으로 유사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바로 학습자의 학습자장치(100)로 추천할 수 있지만, 추천하기 이전에 다른 부가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교수자가 1차적으로 필터링한 후 이를 근거로 추천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령, 교수자의 평가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교수자의 평가가 있을 때 먼저 추천하는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학습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과정을 통해 강의 내용에 대한 평가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 강의 내용의 경우에도 우선 순위로 추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강의와 관련하여 대학에서 이미 평가가 학생들로부터 이루어진 상태라면 이를 참조하여 추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요약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각 학과의 교수들의 강의내용을 기초로 일정 시간(예: 2시간 수업시간)마다 강의 내용을 기초로 유사도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즉 유사도는 예를 들어 틀니에 대한 주제라면 치기공학, 간호학, 의학, 사회복지(노인), 방사선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접근되는 강의를 통해 분류하게 된다. 학습자는 학기 1주차에 특정 과목을 수강한 후 2주차 강의로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서 유사도 높은 강의를 추천받게 된다. 유사도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서 1차 분류한 것과 교수들이 추천하는 강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14주(통상 1학기가 14주까지 진행됨)까지 진행이 완료된다. 평가와 관련해 볼 때 학습자가 선택하여 들은 강의에는 각각 교수들이 사전에 제출한 시험문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각 시험문제는 중간 또는 기말고사에 문제은행 방식으로 랜덤하게 출제하여 과목을 이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14주차 또는 15주차에서 강의가 완료되면, 대학과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평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각 학습자들이 매주차에서 어떠한 강의를 수강하였는지 수강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근거로 각 주차에서 수강한 강의내용을 근거로 지정된 가령 각 강의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문제들 중 랜덤 즉 무작위로 문제를 추출하여 평가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모든 학습자들이 자신의 선택에 따라 다소 상이한 강의 내용으로 수강하였으므로, 학습자들에게 출제되는 문제 또한 모두 상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관리자장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운영자의 컴퓨팅장치를 의미하며,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할 수 있다. 운영자는 관리자장치를 통해 서비스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며, 가령 온라인 사이트에 공지사항을 게재하는 등의 동작이 대표적이다.
서드파티장치는 제3자가 운영하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드파티장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로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가령 대학의 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강의와 관련한 강의 내용은 다양한 경로로 수집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기관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포털 사이트를 운영하는 운영사의 경우에도 많은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서드파티장치는 해당 포털 사이트의 운영사가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학습자들은 실제 자신이 배우고 싶은 분야에 대해 깊은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선택형 강의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가 구성되거나, 선택형 강의처리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학습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학습자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이를 제어부(310)에 전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서비스 요청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를 위한 메인화면을 제공하고, 메인화면에서 선택되는 강의에 대한 주차별, 더 정확하게는 1주차 강의를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주차 강의로서 가령 치기공학과의 치아 강의에서 틀니와 관련한 주제의 강의가 학습자에 의해 선택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해당 강의와 관련한 동영상이나 PPT 자료 등을 전송할 수 있고, 또한 1주차 강의와 유사도가 높은 다음 주차 즉 2주차의 강의 내용을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만약 추천된 2주차 강의를 재생시키거나 화면에 표시하면 다음 주차 즉 3주차의 강의내용을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장치(100)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14주차나 15주차까지 진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다양한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지만 특히 학습자들이 수강한, 다시 말해 자신이 매주차의 강의 내용을 선택하여 진행함으로써 자신에게 맞춤화하여 진행된 강의 내용들에 대한 평가를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진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각 학습자별로 생성되는 문제를 학습자장치(100)로 제공하고, 그에 대한 풀이결과가 수신되면 다시 제어부(310)로 제공하여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 1의 DB(120a)상에 강의 내용과 관련한 데이터 즉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하여 가령 대학의 서버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강의 내용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서드파티업체나 교수의 사용자단말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교수자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대로 강의 내용과 관련하여 1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와 통신할 수 있고, 이외에도 유사도를 판단할 때 교수자의 평가를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통신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1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선택형 강의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장치(100)로부터 서비스요청이 있을 때,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를 제어하여 강의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서비스의 메인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후, 학습자장치(100)에서 학습자가 특정 강의와 관련해 1주차 강의를 선택했을 때, 해당 강의와 관련한 강의 내용 즉 강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해 DB(120a)나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강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1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과 관련하여 유사도 또는 교수평가를 더 참조하여 선별된 2주차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강의 내용을 학습자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학습자들의 14주차나 15주차까지의 강의를 학습자들이 진행할 수 있도록 돕니다.
이외에도 제어부(310)는 가령 학기 중 강의가 종료되면 또는 그 중간에도 중 간 고사라는 명목으로 강의와 관련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제1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자장치(100)를 통해 자신이 수강한 수강내용을 근거로 추출되는 문제를 제공받아 풀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제2 학습자는 자신이 또한 수강한 수강내용을 근거로 추출되는 문제를 제공받아 풀이의 결과를 제공하도록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제어부(310)는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로서 학습자장치(100)의 장치정보 등을 저장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CPU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선택형 강의처리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속도를 빠르게 증가시켜 서비스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이이피롬(EEPROM)이나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명령어해석부는 2진 비트정보가 어떤 동작을 의미하는 것인지 판단하며, 그리고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학습자장치(100)에서 요청하는 강의에 대한 강의 내용을 제공하고, 제공한 강의 내용과 유사한 강의를 검색하거나 검색한 강의와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다음 주차의 강의로 학습자에게 추천한다. 물론 유사도를 분석하여 추천하는 과정에서 해당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자로부터 별도의 평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다음 주차의 적절한 강의가 제공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가령, 추천하려고 하는 강의 내용과 관련하여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인공지능(AI)의 딥러닝 등을 통해 분석하여 최적의 강의 내용이 추천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추천을 위하여 학습자의 직업이나 나이 등이 참고될 수 있고, 그 학습자의 취향이나 학습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다음 주차의 최적의 강의내용을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학습자가 구매하는 서적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근거로 강의 내용의 추천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크게 강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축 동작과 해당 동작에 의해 구축되는 데이터 즉 강의 정보나 강의 내용을 서비스하기 위한 동작을 진행한다고 볼 수 있다. 구축을 위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이 확정되면 해당 강의의 강의 내용을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다음 주차의 강의 내용을 검색 및 분석하여 매칭하여 저장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가령 학기가 종료될 때까지의 모든 주차에 대한 강의 내용을 DB(120a)에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도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갱신하면서 새로운 강의 내용으로 갱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새롭게 검색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수집되는 강의 내용의 분석결과 유사도가 높으면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강의 내용을 매칭시키거나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와 관련하여 새로운 정보가 취득되어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관심사가 변경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주기적으로 DB(120a)를 갱신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학기중 수업이 종료되면,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교수자의 지시가 있거나 중간고사가 기말고사의 날짜가 지정되면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에게 자신이 수강한 수강 내용들과 관련한 평가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한 평가문제에 대한 답변결과 혹은 풀이결과를 수신하여 해답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평가점수를 학습자별로 부여하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0명의 학습자가 특정 과목을 수강한다고 가정할 때, 1주차의 강의를 빼고는 14주차나 15주차까지 동일 강의 내용으로 수강할 확률은 아주 낮다. 물론 동일한 강의 내용을 수강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다만, 확률이 낮은 만큼 모든 학습자들은 자신에게 특화된, 다시 말해 자신이 수강한 수강 내용만을 기반으로 추출되는 문제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통상 동일 문제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보아야 객관적인 평가가 진행되는 것이라 볼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습자들에게 학습의욕을 고양시키고 또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보다 전문화된 즉 보다깊은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객관성은 부차적인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학습자들의 평가 결과, 낮은 점수가 나온 학습자에 대하여는 재수강을 진행하도록 하고, 이때 재수강시에는 이전 수강 때와 다른 경로로 즉 다른 수강내용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도 있으므로, 이에 크게 개의치않고 앞서 언급한 동일한 과정대로 학습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310)가 학습자장치(10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DB(120a)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가져와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이를 활용할 수도 있다. 가령, 저장부(330)는 룩업테이블(LUT) 형태로 서비스 이용자 즉 학습자들에 대한 정보를 좌측에 저장하고, 또 그에 매칭하여 우측에는 매주차의 강의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120a)에 강의 내용과 관련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에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를 매칭시킨 후 이를 근거로 DB(120a)에 접속하여 검색되는 해당 데이터를 학습자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의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시킨다(S400).
또한,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제1주차 강의가 진행(예: 완료)될 때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기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그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시킨다(S41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14주차나 15주차까지의 강의를 진행시키며, 그 이외에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의 동작과 관련하여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학습자장치 110: 통신망
120: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200: 제1 영역
210: 제2 영역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선택형 강의처리부
330: 저장부

Claims (6)

  1.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상기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의 각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2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제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과 매칭되는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학습자와 제2 학습자가 상기 제1주차 강의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3주차 강의까지 수강하는 서로 다른 강의 내용에 대한 수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학습자 및 상기 제2 학습자의 주차별 각 강의내용과 관련되는 문제 데이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강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문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학습자 및 상기 제2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를 판단할 때 강의 교수자의 유사도 평가를 더 반영하여 다음 주차의 강의 내용을 추천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6.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상기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90036430A 2019-03-29 2019-03-29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33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30A KR102233161B1 (ko) 2019-03-29 2019-03-29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30A KR102233161B1 (ko) 2019-03-29 2019-03-29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515A true KR20200114515A (ko) 2020-10-07
KR102233161B1 KR102233161B1 (ko) 2021-03-26

Family

ID=7288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430A KR102233161B1 (ko) 2019-03-29 2019-03-29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1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290A (ko) 2000-09-05 2002-03-12 김현숙 개인화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상의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1616A (ko) * 2007-05-03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62200A (ko) * 2009-12-03 2011-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8603A (ko) * 2012-10-16 2014-04-24 최용재 사용자 맞춤형 동영상 강좌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679369B1 (ko) * 2014-12-31 2016-11-24 주식회사 테라클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170076133A (ko) 2015-12-24 2017-07-04 (주) 앙클 에덱스 무크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웹 저작 툴 및 머신러닝의 분석 모듈 포함하는 교육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290A (ko) 2000-09-05 2002-03-12 김현숙 개인화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상의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1616A (ko) * 2007-05-03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62200A (ko) * 2009-12-03 2011-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8603A (ko) * 2012-10-16 2014-04-24 최용재 사용자 맞춤형 동영상 강좌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679369B1 (ko) * 2014-12-31 2016-11-24 주식회사 테라클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170076133A (ko) 2015-12-24 2017-07-04 (주) 앙클 에덱스 무크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웹 저작 툴 및 머신러닝의 분석 모듈 포함하는 교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161B1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bbons et al. Focusing on teacher learning opportunities to identify potentially productive coaching activities
Bywater et al. Effectiv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emotional well-being: Lessons for policy and practice
Godfrey et al. A developmental evaluation approach to lesson study: exploring the impact of lesson study in London schools
Rodríguez et al. ICT for educa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ustainable adoption of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s in schools
Webster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public health-aligned recommendations for prepar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Nikolic et al. Formative assessment to develop oral communication competency using YouTube: self-and peer assessment in engineering
Tofel-Grehl et al. STEM high school communities: Common and differing features
US11756445B2 (en) Assessment-based assignment of remediation and enhancement activities
US20190066525A1 (en) Assessment-based measurable progress learning system
Jia et al. Learning technology integration from a service-learning project: Connecting preservice teachers to real-world problems
Giordano et al. Overcoming obstacles to empathy: The use of experiential learning in addictions counseling courses
US202001758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assessments in an electronic learning system
KR1024270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에듀테크 학습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6447559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综合学习系统
Becnel et al. Community-embedded learning experiences: Putting the pedagogy of service-learning to work in online courses
CN106170818A (zh) 概念联系在线学习服务方法及其服务系统
KR102282784B1 (ko) 문제생성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160109575A (ko) 진로 멘토링 방법 및 장치
Wagner et al. Temple University’s ITA placement test in times of COVID-19
Demircan “How am I supposed to do this on my own?”: A case study on perspectives of preschool teachers regarding integrative STEM practices
KR102035746B1 (ko)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Pino Facing the challenges of the inclusion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Music teacher’s perceptions
KR20200004708A (ko) 인공지능 제어 이러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86900B1 (ko) 학생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33161B1 (ko)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