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616A -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616A
KR20090001616A KR1020070043256A KR20070043256A KR20090001616A KR 20090001616 A KR20090001616 A KR 20090001616A KR 1020070043256 A KR1020070043256 A KR 1020070043256A KR 20070043256 A KR20070043256 A KR 20070043256A KR 20090001616 A KR20090001616 A KR 20090001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ser terminal
service
customized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616A/ko
Publication of KR2009000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받고,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과목의 학습 등급을 파악하고, 상기 학습 등급에 맞는 등급별 학습 계획 정보를 각 과목별로 추출 및 조합하여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제공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의 성적에 따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수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학습 설계 서버; 및 상기 학습 설계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해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받고,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함으로써, 사용자의 취약 과목을 시험일까지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학습 계획표, 맞춤, 테스트, 등급

Description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yudy Designing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평가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목별 등급에 따른 과목별 학습 계획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 학습 계획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이동통신 단말기 104: 개인용 컴퓨터
110: 사용자 단말기 120: 이동통신망
130: 유선망 140: 학습 설계 서버
142: 학습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144: 학습 계획표 데이터 베이스
본 발명은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입시일, 자격증 시험일 및 외국어 시험일 중 어느 하나의 시험일까지의 맞춤 학습 계획표의 제공을 요청하면,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파악한 후,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시험일까지 남은 일수에 맞는 맞춤 학습 계획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른 맞춤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녀 교육 또는 취업, 이직 또는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사교육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입시 학원, 보습 학원, 자격증 학원 및 영어 학원 등의 사설 학원을 등록하고, 진학 및 자격증 취득에 대해 사설 학원에서 작성한 학습 설계, 즉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하는 수강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사설 학원에서는 수강자 각각의 학습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입시일 또는 자격증 시험일 또는 외국어 시험일에 맞게 상급, 중급, 하급 수준의 학습 계획표를 기작성한 후, 수강자들이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만약, 수강자가 자신의 학습 수준에 맞는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받고,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른 강의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학습 설계사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의 학습 수준에 맞는 맞춤 학습 계획표를 학습 설계사로부터 제공받은 후,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른 1:1 강의를 수강하여야 한다.
하지만, 수강자가 학습 설계사로부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받고, 1:1 강의를 수강하기 위해서는 사설 학원에서 제공하는 수강료보다 월등히 많은 수강료를 지불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정 경제에서 사교육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입시일, 자격증 시험일 및 외국어 시험일 중 어느 하나의 시험일까지의 맞춤 학습 계획표의 제공을 요청하면,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파악한 후,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시험일까지 남은 일수에 맞는 맞춤 학습 계획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른 맞춤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받고,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과목의 학습 등급을 파악하고, 상기 학습 등급에 맞는 등급별 학습 계획 정보를 각 과목별로 추출 및 조합하여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제공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진 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의 성적에 따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수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학습 설계 서버; 및 상기 학습 설계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학습 설계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과목의 학습 등급을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학습 등급에 대한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추출 및 조합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 동안의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에 상기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의 성적에 따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수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수정된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g)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이 만료되면 상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학습 설계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과목의 학습 등급을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학습 등급에 대한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추출 및 조합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 동안의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이 만료되면 상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2) 및 개인용 컴퓨터(104)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110), 이동통신망(120), 유선망(130), 학습 설계 서버 서버(140), 학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2) 및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학습 설계 서버(140)로부터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102) 및 개인용 컴퓨터(104)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이동통신망(120)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하고, 개인용 컴퓨터(104)는 노트북 및 데스크 탑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이동통신망(120)을 통하여 학습 설계 서버(140)에 접속하고, 개인용 컴퓨터(104)는 유선 인터넷, 즉 유선망(130)을 통해 학습 설계 서버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2) 및 개인용 컴퓨터(104)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110)는 학습 설계 서버(140)에 접속한 후,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할 때, 학습 설계 서버(140)에 학습 설계 서비스 사용자(이하, '사용자'라 함)의 입시일, 자격증 시험일 및 외국어 시험일 중 어느 하나의 시험일(이하, '시험일'이라 함)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학습 설계 서버(140)로부터 학습 수준 파 악용 테스트 문제, 맞춤 학습 계획표, 중간 테스트 문제 및 중간 테스트 결과에 의해 수정된 맞춤 학습 계획표를 학습 설계 서버(140)로부터 수신 및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 문제 및 중간 테스트 문제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학습 설계 서버(140)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의 이동통신망(120)은 현재 통용되고 있는 CDMA 2000 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IS-95 망,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망 및 와이브로망(Wibr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유선망(130)은 유선 인터넷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120) 및 유선망(130)에 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동통신망(120) 및 유선망(1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망(120)은 학습 설계 서버(140)와 이동통신 단말기(102)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고, 유선망(130)은 학습 설계 서버(140)와 개인용 컴퓨터(104)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120) 및 유선망(130)을 포함한 통신 시스템을 통신망이라 정의한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사용자의 시험일 입력을 사용자 단말기(110)에 요청한다.
본 발명에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서비스 사용 기간을 월 단위, 주 단위 및 일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로 구분하며, 서비스 사용 기간에 따라 월 단위, 주 단위 및 일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로 구분되는 맞춤 학습 계획표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잔여 학습 기간이 80일이고, 서비스 사용 기간을 월 단위로 구분하는 경우에는 학습 설계 서버(140)는 3개월 과정의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하고, 서비스 사용 기간을 주 단위로 구분하는 경우에는 12주 과정의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하며, 서비스 사용 기간을 일 단위로 구분하는 경우에는 80일 과정의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한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의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사용자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 문제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이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과목별 성적을 산출한 후, 학습 수준 평가 테이블을 통해 사용자의 과목별 성적에 해당하는 학습 등급을 파악한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에 각 과목별로 저장된 등급별 학습 계획 정보 중 사용자의 과목별 학습 등급 및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기간에 맞는 등급별 학습 계획 정보를 각 과목별로 추출하고, 이를 조합하여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등급별 학습 계획 정보는 각 과목의 학습 등급에 따라 각 과목의 학습 비중을 상이하게 책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학습 등급을 고득점순으로 1등급, 2등급 및 3등급으로 구분했을 때, 1등급에 대한 학습 계획 정보는 학습 비중을 가장 낮게 책정하며, 2등급에 대한 학습 계획 정보는 학습 비중을 1등급보다는 높고 3등급보다는 낮게 책정하며, 3등급에 대한 학습 계획 정보는 학습 비중을 가장 높게 책정한다.
본 발명에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맞춤 학습 계획표를 사용자 단말기(110) 에 제공한 후, 학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의 서비스 사용 기간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는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이 포함되어 있으면,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마다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은 서비스 사용 기간에 대한 학습 진도에 따라 학습 설계 서비스 관리자가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으나 월 단위 또는 주 단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사용 기간이 9개월이고,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이 1개월이면,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 후, 매 개월마다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되, 매 개월의 학습 진도에 맞게 실시한다. 여기서, 서비스 사용 기간이 1개월이고,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이 1개월이면 학습 설계 서버(140)는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의 시험일까지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에 따라 월 단위 또는 주 단위로 실시하고, 서비스 사용 기간에 따라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0회 내지 N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문제에 대한 답안을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성적을 각 과목별 로 산출하여 사용자의 학습 실력 향상 정도를 학습 수준 평가 테이블의 학습 등급으로 재파악하고, 학습 계획표 데이터 베이스(144)로부터 각 과목의 학습 등급에 해당하는 등급별 학습 계획 정보를 과목별로 추출하여 맞춤 학습 계획표를 수정한 수정 학습 계획표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하고, 학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수정 계획표에 따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맞춤 학습 계획표의 수정을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의 실시 횟수와 동일하게 실시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사용 기간이 1개월이고,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이 1개월이면,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및 맞춤 학습 계획표의 수정을 하지 않고, 서비스 사용 기간이 3개월이고,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이 1개월이면, 학습 설계 서버(140)는 맞춤 학습 계획표 및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서비스 단말기(110)에 1개월 동안 제공한 후, 1개월간의 학습 진도에 맞는 1차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맞춤 학습 계획표를 각 과목별로 수정한 1차 수정 계획표 및 1차 수정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1개월 동안 제공한다. 이후, 2개월간의 학습 진도에 맞는 2차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1차 수정 계획표를 각 과목별로 수정한 2차 수정 계획표 및 2차 수정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1개월 동안 제공한 후, 서비스 사용 기간이 만료되면, 사용자 단말기(110)에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서비스 사용 기간 에 따라 중간 테스트를 0회 또는 1회 이상 실시하고, 이에 따라 맞춤 학습 계획표를 0차 또는 1차 이상 수정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학습 설계 서버(140)에서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파악한 후 사용자의 학습 수준에 맞는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하고, 일정 기간마다 사용자의 학습 실력 향상 정도를 파악한 후, 맞춤 학습 계획표를 수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취약 과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2)는 국어, 영어 및 수학 등 입시에 필요한 과목, 각종 자격증 시험에 필요한 과목 및 외국어 시험에 필요한 과목 등 각종 시험에 필요한 과목별 학습 콘텐츠를 저장한다.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는 학습 등급에 따른 등급별 학습 계획 정보를 각 과목별 및 서비스 사용 기간별로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수준 평가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과목별 등급을 3등급으로 하고, 과목명을 국어, 영어 및 수학으로 한정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할 경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 또는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통해 산출한 사용자의 과목별 성적을 학습 수준 평가 테이블과 비교하여 학습 등급을 과목별로 판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과목별 성적이 국어 90점, 영어 75점, 수학 45점이면, 학습 설계 서 버(140)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국어 1등급, 영어 2등급, 수학 3등급으로 판단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목별 등급에 따른 과목별 학습 계획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국어에 대한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표시한 것일 뿐, 다른 과목도 학습 등급에 따라 도 3a 내지 도 3c와 동일한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가진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서비스 사용 기간을 1개월로 한정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 서비스 사용 기간은 1개월 이상 또는 이하가 될 수 있고,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서비스 사용 기간에 따라 상이하게 책정할 수 있다.
도 3a는 학습 등급이 1등급일 때의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로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가 국어에 대한 학습 등급이 1등급, 즉 국어에 대한 학습 수준이 높다고 판단하면, 도 3a와 같이 국어에 대한 학습 비중이 낮은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에서 추출한다.
도 3b는 과목별 등급이 2등급일 때의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로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가 국어에 대한 학습 수준이 2등급, 즉 국어에 대한 학습 수준이 보통이라고 판단하면, 도 3b와 같이 국어에 대한 학습 비중이 1등급보다는 높고, 3등급 보다는 낮은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학 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에서 추출한다.
도 3c는 과목별 등급이 3등급일 때의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로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가 국어에 대한 학습 수준이 3등급, 즉 국어에 대한 학습 수준이 낮다고 판단하면, 도 3b와 같이 국어에 대한 학습 비중이 큰 과목별 학습 계획표를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에서 추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 학습 계획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통해 각 과목에 대한 학습 등급을 판단 및 각 과목의 학습 등급에 대한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에서 각각 추출하고, 도 4와 같이 조합하여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한다.
도 4a는 사용자의 학습 등급이 수학은 3등급, 영어는 2등급이고, 국어가 1등급일 때의 맞춤 학습 계획표로서, 서비스 사용 기간은 1개월(5주),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은 2주일이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도 4와 같은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한 후,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되, 2주차에 1차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실시, 즉 2주차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답안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학습 실력 향상 정도를 파악한다. 여기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 기(110)에 2주차까지의 학습 진도에 해당(도 4a에서 2주차까지의 학습 진도는 국어, 영어, 수학 1과 및 2과)하는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문제를 제공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차 수정 계획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서 1차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문제를 통해 각 과목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등급을 판단한 학습 설계 서버(140)는 각 과목의 학습 등급에 해당하는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에서 추출 및 조합하여 도 4b와 같이 맞춤 학습 계획표를 수정한 1차 수정 계획표를 생성한다. 여기서, 1차 수정 계획표는 총 5주의 서비스 사용 기간 중 남은 기간인 3주 간의 맞춤 학습 계획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는 사용자의 과목별 등급 중 수학이 3등급에서 2등급으로 변경, 즉 사용자의 수학 실력이 향상되어 수학의 학습 비중을 맞춤 학습 계획표보다 낮게 수정한 1차 수정 계획표이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3주차부터 4주차까지 1차 수정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 후, 2차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학습 실력 향상 정도를 파악한다. 여기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4주차까지의 학습 진도에 해당(도 4b에서 국어, 영어, 수학 1과, 2과, 3과 및 4과)하는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문제를 제공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차 수정 계획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에서 2차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문제를 통해 각 과목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등급을 판단한 학습 설계 서버(140)는 각 과목의 학습 등급에 해당하는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에서 추출 및 조합하여 도 4c와 같이 1차 수정 계획표를 수정한 2차 수정 계획표를 생성한다. 여기서, 2차 수정 계획표는 총 5주의 서비스 사용 기간 중 남은 기간인 1주 간의 맞춤 학습 계획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는 사용자의 학습 등급 중 수학이 2등급에서 1등급으로 변경되고, 영어가 2등급에서 1등급으로 변경, 즉 사용자의 수학 실력 및 영어 실력이 향상되어 수학 및 영어의 학습 비중을 1차 수정 계획표보다 낮게 수정한 2차 수정 계획표이다.
학습 설계 서버(140)는 2차 수정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5주차까지 제공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에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종료한다. 여기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종료하기 전에 국어, 영어, 수학을 총정리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를 각 과목별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2) 및 개인용 컴퓨터(104)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110)가 이동통신망(120) 또는 유선망(130)을 통해 학습 설계 서버(140)에 접속한 후, 사용자의 시험일을 입력하여 학습 설계 서버(140)에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한다(S505). 여기서,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입력한 사용자의 시험일을 통해 사용자의 잔여 학습 기간을 파악한 후, 잔여 학습 기간에 대한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받은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 문제를 제공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수신한다(S510). 학습 설계 서버(140)는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파악, 즉 사용자의 과목별 성적을 학습 수준 평가 테이블과 각각 비교하여 각 과목에 대한 학습 등급을 판단한 후, 각 과목의 학습 등급에 대한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144)에서 각각 추출 및 조합하여 서비스 사용 기간 동안의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 및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515).
학습 설계 서버(140)는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맞춤 학습 계획표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각 과목의 학습 등급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실력 향상 정도를 파악한다(S520, S525, S530). 상기 단계 S525에서 맞춤 학습 계획표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학습 설계 서버(140)는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다가 서비스 사용 기간이 만료되면, 사용자 단말기(110)에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종료한다(S535, S540).
상기 단계 S530 이후에 학습 설계 서버(140)는 사용자의 학습 실력 향상 정도에 맞게 맞춤 학습 계획표를 수정, 즉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에 대한 각 과목의 학습 등급에 따라 맞춤 학습 계획표를 최초 수정한 1차 수정 계획표를 생성 및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학습 콘텐츠를 1차 수정 계획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545, S550).
이후, 학습 설계 서버(140)는 서비스 사용 기간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가 1회 이상 존재하면,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마다 중간 테스트 실시 및 이를 통한 맞춤 학습 계획표의 수정을 실시한다(S555, 560).
N회의 중간 테스트 실시 및 맞춤 학습 계획표를 N차 수정한 학습 설계 서버(140)는 N차 수정 계획표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학습 콘텐츠를 N차 수정 계획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 후, 서비스 사용 기간이 만료되면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한다(S565, S570, S575). 상기 단계 S555에서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가 1회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1차 수정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 후, 서비스 사용 기간이 만료되면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한다(S580, 58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해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받고,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함으로써, 사용자의 취약 과목을 시험일까지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맞춤 학습 계획표를 제공받고,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과목의 학습 등급을 파악하고, 상기 학습 등급에 맞는 등급별 학습 계획 정보를 각 과목별로 추출 및 조합하여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제공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의 성적에 따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수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학습 설계 서버; 및
    상기 학습 설계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통신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개인용 컴퓨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설계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시험일을 입력받아서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설계 서버는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을 월 단위, 주 단위 및 일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에 따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월 단위, 주 단위 및 일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설계 서버는 상기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 0회 또는 1회 이상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설계 서버는 상기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의 실시 횟수에 따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의 수정을 0차 또는 1차 이상 실시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정된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입시에 필요한 과목, 각종 자격증 시험에 필요한 과목 및 외국어 시험에 필요한 과목에 대한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학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학습 등급에 따른 상기 등급별 학습 계획 정보를 각 과목별 및 서비스 사용 기간별로 저장하는 학습 계획표 데이터베이스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8.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학습 설계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과목의 학습 등급을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학습 등급에 대한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추출 및 조합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 동안의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에 상기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학습 진도별 중간 테스트의 성적에 따라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를 수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수정된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g)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이 만료되면 상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학습 설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시험일을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학습 설계 서버에서 학습 수준 평가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 등급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 이후에,
    (f1)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상기 중간 테스트 실시 기간이 1회 이상 포함 되어 있으면, 상기 단계 (e) 및 상기 단계 (f)를 1회 이상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학습 설계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사용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 수준 파악용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과목의 학습 등급을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학습 등급에 대한 과목별 학습 계획 정보를 추출 및 조합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 동안의 맞춤 학습 계획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맞춤 학습 계획표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비스 사용 기간이 만료되면 상기 학습 설계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70043256A 2007-05-03 2007-05-03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256A KR20090001616A (ko) 2007-05-03 2007-05-03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256A KR20090001616A (ko) 2007-05-03 2007-05-03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16A true KR20090001616A (ko) 2009-01-09

Family

ID=4048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256A KR20090001616A (ko) 2007-05-03 2007-05-03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61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196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유비온 적응적 학습가이드 제공방법
KR101455907B1 (ko) * 2012-10-09 2014-11-03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61659A (ko) * 2014-11-24 2016-06-01 김영한 기계학습 기반 학습자 맞춤형 학습과정 제공 방법 및 학습자 맞춤형 학습 시스템
KR20200114515A (ko) * 2019-03-29 2020-10-07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25394A (ko) * 2019-08-27 2021-03-09 주식회사 제이이엔씨 자기주도 학습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1256A (ko) 2019-10-30 2021-05-10 (주)에듀윌 학습 일정표 서비스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61294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영가에듀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30598A (ko) * 2020-04-22 2021-11-01 이효정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07B1 (ko) * 2012-10-09 2014-11-03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6196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유비온 적응적 학습가이드 제공방법
KR20160061659A (ko) * 2014-11-24 2016-06-01 김영한 기계학습 기반 학습자 맞춤형 학습과정 제공 방법 및 학습자 맞춤형 학습 시스템
KR20200114515A (ko) * 2019-03-29 2020-10-07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25394A (ko) * 2019-08-27 2021-03-09 주식회사 제이이엔씨 자기주도 학습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1256A (ko) 2019-10-30 2021-05-10 (주)에듀윌 학습 일정표 서비스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18015A (ko) 2019-10-30 2021-09-29 (주)에듀윌 학습 일정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20210061294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영가에듀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30598A (ko) * 2020-04-22 2021-11-01 이효정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ayumi et al. Status of simulation in health care education: an international survey
Ukwoma et al. Digital literacy skills possessed by students of UNN, implications for effective learning and performance: A study of the MTN Universities Connect Library
Jimenez Impact of mental health and stress level of teachers to learning resource development
D’Hayer Public service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Moving towards a (virtual) community of practice
Lim et al. Standard setting to an international reference framework: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KR20090001616A (ko)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arnoy et al. Evaluation of educational media: Some issues
McKee et al. Engaging the Deaf American sign language community: lessons from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enter
Khusanov et al. Compulsory distance learning in Uzbekistan during the COVID-19 era: the case of public and seni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ystems
Dolawattha et al. The impact model: Teachers' Mobile learning adoption in higher education
Lefroy et al. Utility of an app-based system to improve feedback following workplace-based assessment
Estapé‐Garrastazu et al.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capacity building needs in minority medical and health science Hispanic institutions
Ghomari Bridging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gap of the English language in the workplace through an ICT-ESP based approach of teaching in Algeria
Saleh et al. Female students’ perception of m-learning in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 Palestin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icks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eachers' ability to integrate technology
Bolt et al. Assessment of preceptor development strategies across Canadian pharmacy residency programs
Maulana et al.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eaching from the International Perspective: Methodological and empirical insights
Mayuga Equipp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ith lifelong learning skills in technology and livelihood education
Reyes et al. Implementing Blended First Year Chemistry in a Developing Country Using Online Resources.
Wut et al. A study of continuance use intention of an on online learning system after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outbreak
Gerald Measuring principals' technology leadership and principals' behaviors: A quantitative study
Gomes-Koban et al. Intervention programs in Educational Psychology: Bridging research and practice
Alshmrany et al. Evaluating ICT use in Saudi Arabian secondary schools
Zhang et al. Impact of Technology Devices on College Students' Comfortable Levels of Using Technology.
Chen et al. Family Health History–Based Cancer Prevention Training for Community Health Wor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