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384A -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384A
KR20200114384A KR1020190036071A KR20190036071A KR20200114384A KR 20200114384 A KR20200114384 A KR 20200114384A KR 1020190036071 A KR1020190036071 A KR 1020190036071A KR 20190036071 A KR20190036071 A KR 20190036071A KR 20200114384 A KR20200114384 A KR 2020011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cooking
barcode
information
rec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국
Original Assignee
(주)알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알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3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384A/ko
Publication of KR2020011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 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주문 내역서를 출력하는 키오스크 및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용기를 가열하는 히터, 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상기 키오스크에서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스캐너, 및 상기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캔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스캔정보에 따라 급수량, 상기 히터의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정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스캔정보에 따라 파악되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는 라면 조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Instant-noodle cooking system for recognizing recipe using barcod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면은 최근 필수적 즉석식품이라 불릴만큼 대중적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이렇게 대중의 필수식품으로 자리잡은 라면은 대형식당이나 휴게소 또는 PC방 등에서도 많이 팔리고 있으며, 대형식당이나 휴게소 또는 PC방 등에서 라면을 쉽게 조리할 수 있는 라면조리기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라면 조리기가 '국내공개특허 2009-005270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라면조리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라면조리기는 함체(1); 함체(1)의 전면에 배치되며 투시창을 갖는 도어(2); 함체(1)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용 히터(3); 조리용 히터(3) 상부에 배치되는 선반(4); 및 함체(1) 내부에서 라면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팬모터(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리용기(6)가 조리용 히터(3) 위에 안착된 후 버튼을 눌러 조리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라면조리기의 조리용 히터(3)는 직접 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라면 조리시 조리용 히터(3) 및 선반(4)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게 되고 이로 인해 화재 위험성이 커서 안전성이 낮다. 또한, 에너지 소비 효율이 좋지 않아 조리 시간이 길어지며, 이에 따른 전력 소모 역시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라면 조리기는 용기에 공급되는 물의 양 및 조리 시간이 하나로 정해져 있어 소비자가 선택한 라면에 따른 정확한 조리방법으로 조리되지 않고 라면조리기에 먼저 입력되어 있는 방법으로 조리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9-0052707 A KR 10-1790087 B1
본 발명은 이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라면 조리법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다양한 라면마다 그 라면에 알맞은 조리방법으로 정확히 조리함으로써 라면의 맛을 더 좋게 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개인의 다양한 식성을 반영하여 개인마다 자신이 선호하는 면발의 익힘정도나, 국물의 양을 정하는 방법으로 라면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은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 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주문 내역서를 출력하는 키오스크 및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히터, 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상기 키오스크에서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스캐너, 및 상기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캔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스캔정보에 따라 급수량, 상기 히터의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정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스캔정보에 따라 파악되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는 라면 조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은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주문 내역서를 출력하는 포스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키오스크가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 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서를 출력하는 단계 및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히터, 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상기 키오스크에서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스캐너, 및 상기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캔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스캔정보에 따라 급수량, 상기 히터의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정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라면 조리기가 상기 바코드 스캔정보에 따라 파악되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포스 단말기가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면 조리법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다양한 라면마다 그 라면에 알맞은 조리방법으로 정확히 조리함으로써 라면의 맛을 더 좋게 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개인의 다양한 식성을 반영하여 개인마다 자신이 선호하는 면발의 익힘정도나, 국물의 양을 정하는 방법으로 라면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라면 조리법 상세 설정 화면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은 키오스크(10), 포스 단말기(20) 및 라면 조리기(30)를 포함한다.
키오스크(10)는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 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주문 내역서를 출력한다.
키오스크(10)는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PC의 형태로, 이에 추가적으로 터치스크린과 카드 판독기, 프린터, 네트워크, 스피커, 비디오카메라, 인터폰, 감지기 등의 다양한 입출력 주변기기가 장착된다. 그리고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키오스크(10) 내부에서는 키오스크 관리 및 기기 제어 소프트웨어 등이 실행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상으로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유무를 진단, 복구하는 서버 시스템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키오스크(10)는 공공장소, 식당, 버스터미널, 지하철, 관공서, 쇼핑몰 등 유동인구가 많고 개방된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상품 정보 안내, 시설물 이용 안내, 장소 및 관광 정보 안내 등의 정보 제공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푸시기능을 지녀 화면 일부에 광고를 전송하거나 전면 광고 또는 특화된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키오스크에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축하면 스캐닝, 화면공유 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과 음성인식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오스크(10)는 사용자로부터 라면 조리에 대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아 라면 주문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라면 조리에 대한 상세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시킨다. 그리고 결제 처리 수행결과에 따른 영수증과 라면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한 주문 내역서를 프린터한다.
이때 키오스크(10)는 구매자가 구매한 라면에 대한 조리법을 기본적으로 저장하고 있으며, 구매자가 구매한 라면 종류에 따라 해당 라면의 개별화된 조리법을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매자는 키오스크(10)를 통해 라면 구매와 함께 자신이 선호하는 라면 조리법 관련하여 상세 설정이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라면 조리법 상세 설정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키오스크(10)는 라면 구매자의 개인 식성을 반영한 면발의 익힘정도, 나트륨 첨가량, 국물의 양, 계란이나 건조야채의 추가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입력받아 라면의 조리법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라면 구매자는 라면을 구매하면서 키오스크(10)의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니터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익힘 정도와 국물의양, 계란과 같은 부가 재료의 첨가 여부 및 첨가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같은 종류의 라면이라 하더라도 구매자 개인 식성을 반영하여 개인 맞춤형으로 조리된 라면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오스크(10)는 이때 구매자의 구매에 따라 생성된 바코드를 근거리 내의 라면 조리기(30)로 전송한다.
향후에 라면 조리기(30)는 바코드 스캐너로 인식되는 바코드 정보와 키오스크(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바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조리 내역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바코드는 즉석 조리 라면 용기 형태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사용자가 키오스크(10)에서 발급된 영수증과 바코드를 포함한 주문 내역서를 점원이 있는 창구에 제출하면 즉석 조리 라면을 위한 용기 형태로 바코드를 다시 인쇄하여 돌려받을 수도 있다.
예를들어 라면 조리법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가 인쇄 출력된 스티커를 발급하고, 라면 구매자가 구매 용기에 바코드가 인쇄 출력된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구매자는 라면 조리기(30)로 이동하여 라면 조리기(30)의 바코드 스캐너에 라면 용기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시킨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키오스크(10)에서 인쇄 발급된 주문 내역서에 표시된 바코드를 바로 라면 조리기(30)의 바코드 스캐너에 인식시키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라면 구매자는 키오스크(10)를 통해 무인 주문 시스템으로 라면을 주문할 수도 있고, 포스 단말기(20)를 통해 유인 주문 시스템으로 주문할 수도 있다.
포스 단말기(20)는 점원의 제어에 의해 결제 및 주문 접수를 실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스 단말기(20)는 점원을 통해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주문 내역서를 인쇄 출력한다.
포스 단말기(20)를 통한 주문 접수 역시 키오스크(10)를 통해 주문 접수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바코드가 즉석 조리 라면 용기 형태로 인쇄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스티커 형태로 바코드가 출력되고 구매자가 라면 용기에 부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구매자는 라면 조리기(30)의 바코드 스캐너에 라면 용기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시킨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점원은 사용자에게 포스 단말기(20)에서 영수증과 바코드를 포함한 주문 내역서를 인쇄 발급하고, 조리 라면을 위한 용기와 별도로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는 점원에게 받은 포스 단말기에서 인쇄 발급된 주문 내역서에 표시된 바코드를 라면 조리기(30)의 바코드 스캐너에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포스 단말기(20)는 라면 주문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스 단말기(20)는 이때 구매자의 구매에 따라 생성된 바코드를 근거리 내의 라면 조리기(30)로 전송한다.
향후에 라면 조리기(30)는 바코드 스캐너로 인식되는 바코드 정보와 포스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바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조리 내역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라면 조리기(30)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히터, 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키오스크(10)에서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스캐너, 및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캔정보를 전송받고, 스캔정보에 따라 급수량, 히터의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정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도록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라면 조리기(30)는 바코드 스캔정보에 따라 파악되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한다.
이때 스캔 정보에 포함되는 조리법 정보에 따라 라면 익힘 정도에 맞는 히터의 온도 및 조리 시간이 세팅될 수 있다. 그리고 국물의 양에 따라 급수량이 조절된다. 조리 제어부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급수량이나 계란, 건조 야채와 같은 추가 첨가물의 양, 히터의 설정값을 라면 조리시마다 상이하게 세팅하여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매자가 복수의 라면을 주문하는 경우나, 동일한 종류의 라면이라 하더라도 구매자 식성에 따라 상이하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개인 맞춤형 즉석 조리 라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라면 조리기(30)의 본체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요소이며,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이 본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는 인덕션 히터일 수 있다. 인덕션 히터는 알루미늄 용기를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하여 알루미늄 용기에 닮긴 물을 끓이는 구성요소이다.
유도 가열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코일에 교류전류를 통하면 코일 주변에 의해 교번자계가 발생하고 자계속에 놓인 도전체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 전류를 와전류라 하고 피가열체의 고유저항과 와전류에 의한 줄(Joule)열이 발생(와전류 손실)된다.
이와 같이 유도가열이 될 수 있는 것에는 도체에 한정되고, 특히 자성체는 와전류 손실외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손실이라고 하는 자화에 따른 전기적 손실이 발생하여 가열이 용이하며 효율이 좋다.
이런 유도 가열 방식은 히터 자체를 고온을 가열하는 일반적인 전기 가열 방식에 비해 화재 위험성이 거의 없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효율이 좋아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가열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도 가열을 이용한 히터 또는 전기 레인지는 자성체(철)이 포함되어 있는 용기만을 가열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형식당이나 휴게소 또는 PC방 등에 설치되는 라면 조리기(30)는 철이 포함되어 있는 용기를 사용하기엔 무게가 너무 무거워 소비들이 즉석식품인 라면을 먹고 즐기기엔 불편함이 있고, 라면 조리기(30)를 설치한 운영자 입장에선 용기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히터는 전기 렌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기 렌지는 니크롬선이나 할로겐 램프를 이용해 히터를 가열하고, 그열로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라면 조리를 위해 열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바코드 스캐너는 라면 용기, 또는 주문 내역서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정보를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추가적으로 바코드 스캐너는 라면 포장용지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라면 조리법 정보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근 제조회사에서 제품으로 생산되는 라면은 포장용지에 바코드가 인쇄되어 출시된다. 이러한 바코드는 포장된 라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라면 포장용지의 바코드를 스캔하면 제조회사, 라면의 종류 및 명칭을 알 수 있다.
한편, 라면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고 최근 라면 제조회사들은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라면을 출시하고 있다. 제품으로 포장되어 판매되는 라면의 종류만 수십여 가지에 이른다. 이러한 라면들은 면발의 두께 및 스프량 등이 달라 조리방법(Recipe)이 각기 다르다.
현재 대형 식당이나 휴게소 또는 PC방 등에 설치되는 라면조리기는 용기에 공급되는 물의 양 및 조리 시간이 하나로 정해져 있어 소비자가 선택한 라면의 정확한 조리방법으로 조리되지 않고 라면조리기에 먼저 입력되어 있는 방법으로 획일적으로 조리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라면 조리기(30)는 제어보드가 조리정보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리정보 저장모듈에 각 제조회사에서 생산되는 라면에 따른 고유한 조리방법이 저장 된다. 이때 라면의 조리방법은 구체적으로 용기에 공급되는 물의 양, 히터로 가열하는 온도, 가열하는 시간 조절을 통해 달라질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라면의 종류마다 라면 제조회사에서 제안한 고유 조리방법대로 조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바코드는 라면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라면 조리기(30)는 바코드 스캔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의 종류를 식별하고, 저장모듈에서 해당 라면의 제조회사에서 제안한 조리방법을 추출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라면 조리기(30)의 제어보드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캔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스캔정보를 바탕으로 조리정보 저장모듈에 액세스하여 해당 라면의 조리방법을 검색하고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조리방법대로 라면을 조리하도록 라면 조리 용기에 공급되는 물의 양, 히터로 가열하는 온도, 가열하는 시간을 조절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 조리기(30)는 바코드 스캔 정보에 포함되는 라면 구매자의 개인 식성을 반영한 면발의 익힘정도, 나트륨 첨가량, 국물의 양, 계란이나 건조야채의 추가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리법 정보를 더 반영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개인 취향에 맞는 라면 익힘 정도나, 국물의 양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즉석 라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라면 조리기(30)는 파악된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라면이 조리되는 동안 구매자가 계속 라면 조리기(30)를 응시하지 않더라도 라면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라면 구매자가 소지하는 단말로 구현된다. 사용자 단말은 IP 할당된 단말기로서 인터넷등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키오스크(10)나 포스 단말기(20)에서 카드 결제를 하는 경우에 자신의 명의인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라면 구매자의 신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라면 주문에 대응되는 라면 구매자가 누구인지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구매자의 신상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 메시지 전송을 위한 개인 정보 보호 규약에 의해 미리 동의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오스크(10)를 통해 라면을 주문하는 과정에서 조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기 원하는 라면 구매자는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포스 단말기(20)를 이용한 경우에는 라면 구매자의 동의하에 점원이 포스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식별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는 호를 형성할 수 있는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 소지자가 이용하는 메신저 아이디와 같은 정보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키오스크(10) 또는 포스 단말기(20)는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에 따라 해당 라면 구매자의 라면 취향을 더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전에 해당 라면 구매자가 선택했던 라면 조리 설정 이력을 파악하고, 소정의 확인 절차를 거쳐 파악된 라면 구매자의 취향에 맞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따라 라면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즉석 라면 조리 시스템을 이용할 때마다 매번 추가적인 라면 조리법 정보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키오스크(10)는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S200) 결제 처리 후 영수 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서를 출력한다(S220).
이때, 키오스크(10)는 추가적으로 라면 구매자의 개인 식성을 반영한 면발의 익힘정도, 나트륨 첨가량, 국물의 양, 계란이나 건조야채의 추가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 조리 주문 정보를 입력받아 라면의 조리법 정보에 포함시킨다(S2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오스크(10)는 사용자로부터 라면 조리에 대한 상세 주문 정보를 입력받아 라면 주문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라면 조리에 대한 상세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시킨다. 그리고 결제 처리 수행결과에 따른 영수증과 라면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한 주문 내역서를 프린터한다.
이때 키오스크(10)는 구매자가 구매한 라면에 대한 조리법을 기본적으로 저장하고 있으며, 구매자가 구매한 라면 종류에 따라 해당 라면의 개별화된 조리법을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매자는 키오스크(10)를 통해 라면 구매와 함께 자신이 선호하는 라면 조리법 관련하여 상세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키오스크(10)는 이때 구매자의 구매에 따라 생성된 바코드를 근거리 내의 라면 조리기(30)로 전송한다. 향후에 라면 조리기(30)는 바코드 스캐너로 인식되는 바코드 정보와 키오스크(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바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조리 내역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바코드는 즉석 조리 라면 용기 형태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사용자가 키오스크(10)에서 발급된 영수증과 바코드를 포함한 주문 내역서를 점원이 있는 창구에 제출하면 즉석 조리 라면을 위한 용기 형태로 바코드를 다시 인쇄하여 돌려받을 수 있다. 구매자는 라면 조리기(30)의 바코드 스캐너에 라면 용기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시킨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키오스크(10)에서 인쇄발급된 주문 내역서에 표시된 바코드를 바로 라면 조리기(30)의 바코드 스캐너에 인식시키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라면 구매자는 키오스크(10)를 통해 무인 주문 시스템으로 라면을 주문할 수도 있고, 포스 단말기(20)를 통해 유인 주문 시스템으로 주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포스 단말기(20)가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S205), 결제 처리 후 영수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서를 출력한다(S225).
이때, 포스 단말기(20)는 추가적으로 라면 구매자의 개인 식성을 반영한 면발의 익힘정도, 나트륨 첨가량, 국물의 양, 계란이나 건조야채의 추가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 조리 주문 정보를 입력받아 라면의 조리법 정보에 포함시킨다(S225).
포스 단말기(20)는 점원의 제어에 의해 결제 및 주문 접수를 실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스 단말기(20)는 점원을 통해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주문 내역서를 인쇄 출력한다.
포스 단말기(20)를 통한 주문 접수 역시 키오스크(10)를 통해 주문 접수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바코드가 즉석 조리 라면 용기 형태로 인쇄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스티커 형태로 바코드가 출력되고 구매자가 라면 용기에 부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구매자는 라면 조리기(30)의 바코드 스캐너에 라면 용기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시킨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점원은 사용자에게 포스 단말기(20)에서 영수증과 바코드를 포함한 주문 내역서를 인쇄 발급하고, 조리 라면을 위한 용기와 별도로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후에, 라면 구매자는 키오스크(10) 또는 포스 단말기(20)에서 라면을 주문한이후에 주문 내역서 혹은 바코드가 인쇄되거나 출력된 라면 용기를 가지고 라면 조리기(30)로 이동한다.
이때 키오스크(10) 또는 포스 단말기(20)는 페이퍼 형태의 주문 내역서에 라면 조리법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인쇄 출력하거나, 라면 용기에 라면 조리법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인쇄출력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예를들어 스티커 형태로 라면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가 인쇄 출력되고, 사용자는 라면 용기에 해당 바코드가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에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용기를 가열하는 히터, 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키오스크(10) 또는 포스 단말기(20)에서 라면 주문 결과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스캐너, 및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캔정보를 전송받고, 스캔정보에 따라 급수량, 히터의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정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도록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라면 조리기(30)가 주문 내역서 또는 라면 용기에 인쇄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정보를 파악한다(S230).
그리고 파악된 스캔 정보에 포함되는 라면 구매자의 개인 식성을 반영한 면발의 익힘정도, 나트륨 첨가량, 국물의 양, 계란이나 건조 야채의 추가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라면 조리법 정보를 파악한다(S240).
이때 스캔 정보에 포함되는 조리법 정보에 따라 라면 익힘 정도에 맞는 히터의 온도 및 조리 시간이 세팅될 수 있다. 그리고 국물의 양에 따라 급수량이 조절된다. 조리 제어부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급수량이나 계란, 건조 야채와 같은 추가 첨가물의 양, 히터의 설정값을 라면 조리시마다 상이하게 세팅하여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매자가 복수의 라면을 주문하는 경우나, 동일한 종류의 라면이라 하더라도 구매자 식성에 따라 상이하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개인 맞춤형 즉석 조리 라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후에 파악된 라면 조리법 정보를 반영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한다(S250). 그리고 라면 조리가 완료되면(S260), 조리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270).
즉 라면 조리기(30)는 스캔 정보에 따라 파악된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라면이 조리되는 동안 라면 구매자가 계속 라면 조리기를 응시하지 않더라도 라면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보조적 양상에 있어서 키오스크(10)나 포스 단말기(20)에서 카드 결제를 하는 경우에 자신의 명의인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라면 구매자의 신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라면 주문에 대응되는 라면 구매자가 누구인지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구매자의 신상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 메시지 전송을 위한 개인 정보 보호 규약에 의해 미리 동의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오스크(10)를 통해 라면을 주문하는 과정에서 조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기 원하는 라면 구매자는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포스 단말기(20)를 이용한 경우에는 라면 구매자의 동의하에 점원이 포스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식별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는 호를 형성할 수 있는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 소지자가 이용하는 메신저 아이디와 같은 정보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키오스크(10) 또는 포스 단말기(20)는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에 따라 해당 라면 구매자의 라면 취향을 더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전에 해당 라면 구매자가 선택했던 라면 조리 설정 이력을 파악하고, 소정의 확인 절차를 거쳐 파악된 라면 구매자의 취향에 맞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따라 라면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즉석 라면 조리 시스템을 이용할 때마다 매번 추가적인 라면 조리법 정보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키오스크 20 : 포스 단말기
30 : 라면 조리기

Claims (8)

  1.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 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주문 내역서를 출력하는 키오스크; 및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용기를 가열하는 히터, 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상기 키오스크에서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스캐너, 및 상기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캔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스캔정보에 따라 급수량, 상기 히터의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정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스캔정보에 따라 파악되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는 라면 조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여 주문 내역서를 출력하는 포스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 조리기는 상기 파악된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라면 구매자의 개인 식성을 반영한 면발의 익힘정도, 나트륨 첨가량, 국물의 양, 계란이나 건조야채의 추가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받아 라면의 조리법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라면 조리기는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에 포함되는 라면 구매자의 개인 식성을 반영한 면발의 익힘정도, 나트륨 첨가량, 국물의 양, 계란이나 건조야채의 추가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반영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5. 키오스크가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 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서를 출력하는 단계; 및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용기를 가열하는 히터, 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상기 키오스크에서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스캐너, 및 상기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스캔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스캔정보에 따라 급수량, 상기 히터의 온도, 및 조리 시간을 정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라면 조리기가 상기 바코드 스캔정보에 따라 파악되는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포스 단말기가 라면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 처리 후 영수내역 및 라면의 조리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주문 내역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 조리기는 상기 파악된 라면 조리법 정보에 기반하여 라면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8. 제 5 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라면 구매자의 개인 식성을 반영한 면발의 익힘정도, 나트륨 첨가량, 국물의 양, 계란이나 건조야채의 추가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받아 라면의 조리법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라면 조리기는 상기 바코드 스캔 정보에 포함되는 라면 구매자의 개인 식성을 반영한 면발의 익힘정도, 나트륨 첨가량, 국물의 양, 계란이나 건조 야채의 추가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반영하여 라면 조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90036071A 2019-03-28 2019-03-28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00114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071A KR20200114384A (ko) 2019-03-28 2019-03-28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071A KR20200114384A (ko) 2019-03-28 2019-03-28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151A Division KR20200115392A (ko) 2020-09-11 2020-09-11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384A true KR20200114384A (ko) 2020-10-07

Family

ID=7288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071A KR20200114384A (ko) 2019-03-28 2019-03-28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438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707A (ko)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링크엠 라면 조리기
KR101790087B1 (ko) 2016-04-28 2017-10-25 (주) 다나일렉트릭스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707A (ko)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링크엠 라면 조리기
KR101790087B1 (ko) 2016-04-28 2017-10-25 (주) 다나일렉트릭스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4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using cod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food packaging
JP2019052843A (ja) 調理システム用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JP6586274B2 (ja) 調理装置、調理方法、調理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調理情報提供方法
AU2020282943B2 (en) NFC enhanc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verlays
WO2000049838A1 (en) Intelligent multi-modal food preparation appliance
KR20200085471A (ko) 음식 주문용 키오스크를 이용한 음식 주문 방법
JP2021502633A (ja) レストラン、注文情報処理の方法及び装置
CN108700303A (zh) 加热烹调器
CN104658107A (zh) 食品加热自动贩卖机
KR20200115392A (ko)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WO2012117220A1 (en) Ordering system & method
JP2009245728A (ja) 加熱調理器
TW202032428A (zh) 餐飲烹飪裝置、烹飪系統以及使用者終端及其操作方法
CN111580415A (zh) 食材烹饪方法、装置及烹饪设备
KR20200114384A (ko) 바코드를 이용하여 라면 조리법을 인식하는 라면 조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6246148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TWM589767U (zh) 商用微波爐
US20190014625A1 (en) Heat-cooking device, heat-cook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heat-cooking system
CN110969426B (zh)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20220100201A (ko)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JP2021064272A (ja) 情報システム、ユーザ端末、サーバ装置、厨房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319070B2 (ja) Pos端末装置
JP6246016B2 (ja) 商品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
US20220309596A1 (en) Recipe providing system, recipe providing method,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method
JP3756869B2 (ja) 注文端末及び飲食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