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295A -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 Google Patents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295A
KR20200114295A KR1020190035783A KR20190035783A KR20200114295A KR 20200114295 A KR20200114295 A KR 20200114295A KR 1020190035783 A KR1020190035783 A KR 1020190035783A KR 20190035783 A KR20190035783 A KR 20190035783A KR 20200114295 A KR20200114295 A KR 20200114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e
sealing
molding temperature
medium layer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401B1 (ko
Inventor
심학보
Original Assignee
(주) 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즈 filed Critical (주) 콘즈
Priority to KR102019003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4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4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와 밀폐부의 사이에 TPE(Thermo Plastic Elastomer)로 된 접착매개층을 일체로 압출 성형하여 상기 고정부와 밀폐부가 접착매개층의 컴파운딩(Compounding)된 성분에 의하여 넓은 범위의 온도 관용성을 부여하여 3가지 소재의 완전한 성형상태를 얻음과 아울러 접착매개층에 의한 견고한 접착 상태가 제공되도록 하여서 된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일체로 성형되는 접착매개층에 의하여 고정부와 밀폐부가 일체로 견고하게 접착, 성형됨과 아울러 고정부와 밀폐부 모두가 완전한 성형 상태로 되어 안정적이고 균일한 품질의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수요자가 접착매개층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부여되는 유연성에 의하여 밀폐부의 밀폐기능이 향상되어 수요자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방풍, 단열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Other Material Heat Insulation Gasket for Windows and Doors Frame}
본 발명은 고생산성 창호 프레임용 단열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재질의 창호 프레임에 결합 설치시켜 단열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열가스켓에 원하는 경도의 가스켓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창호는 비바람을 막아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건물의 단열, 방음, 내풍압, 기밀, 수밀성 등의 기능성을 고루 만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단열수단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2-0010116호(고안의 명칭: 방음 및 기밀 방지용 창호용 개스킷 ; 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 1은 도1로 보인 바와 같이 창틀과 창문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창틀의 고정홈에 내삽 되어 고정되는 고정체(11)를 구비하고, 고정체(11)의 중심측에 구비되어 상향되는 길이를 갖는 지지체(12)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체(12)와 다른 재질로 이중 압출성형되는 직선형 밀착부(13)가 지지체(12) 상단에 구비된다. 이 때, 고정체(11) 및 지지체(12)는 단단한 재질로 성형되고, 밀착부(13)는 발포고무로 성형된다. 한편, 발포고무의 밀착부(13)가 마찰로 인해 파손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체 탄성력을 유지하되 외주면을 보호할 수 있는 코팅부(13A)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코팅부(13A)는 실리콘 코팅으로 형성된다.
또한, 인용발명 1을 공지 기술로 인용하고 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43536(발명의 명칭: 구조 및 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가스켓; 이하 "인용발명 2"라 함)를 살펴보면 이는 도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과 창문 간의 공간을 밀폐하는 창호용 가스켓에 있어서, 창틀 또는 창문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상기 고정홈과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고정부(1), 상기 고정부(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1)의 폭에 수직하게 상향으로 연장된 후 한 쪽으로 만곡진 형상의 측면 프로파일로 된 폭을 가지는 밀폐기능부(2), 그리고 상기 밀폐기능부(2)의 볼록면 상에 형성된 표면부(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기능부(2)는 연질의 고무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부(3)는 슬립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용 발명 1 및 인용발명 2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창호의 요입부에 결합되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료로 고정체(고정부)를 성형하고 밀착부(밀폐기능부)를 TPV(열가소성 탄성체: Thermoplastic Vulcanizate)로 성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고정체(고정부)의 대표적인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의 성형온도는 250℃ ~ 290℃인데 비하여 밀착부(밀폐기능부)의 소재인 TPV는 160℃ ~ 200℃이어서 온도차이가 심하여 이중압출시의 성형온도를 폴리아미드에 맞추면 TPV가 탄화되어 일체로 성형되지 못하고 분리되며, 이중압출 성형온도를 TPV에 맞추면 폴리아미드 소재의 고정체(고정부) 미성형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양질의 이중 압출 성형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밀폐기능부)의 소재로 사용되는 TPV는 경도가 A65 이상으로 비교적 높으므로 특히 저온에서 방풍, 단열 성능이 저조하게 되어 수요자의 품질 요구 수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2-0010116호(고안의 명칭: 방음 및 기밀 방지용 창호용 개스킷) 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43536(발명의 명칭: 구조 및 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가스켓)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호 프레임에 사용되는 단열가스켓의 고정체(고정부)와 밀착부(밀폐기능부)의 소재가 성형온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이질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접착상태가 견고하며 형상이 완전한 안정적인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서 된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호 프레임에 사용되는 단열가스켓의 고정체( 고정부; 이하 "고정부"로 기재함. )를 폴리아미드 등의 경질소재로 하고, 밀착부( 밀폐기능부; 이하 "밀폐부"로 기재함. )의 소재를 TPV(열가소성 탄성체: Thermoplastic Vulcanizate)로 하되, 이들의 접합부위에 TPE(Thermo Plastic Elastomer)로 된 접착매개층을 압출하여 접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특히 상기 고정부와 밀폐부의 성분과 상용성을 가진 올레핀 성분으로 상기 접착매개층을 압출함에 따라 압출 시 넓은 범위의 온도 관용성을 제공하여 고정부 및 밀폐부와의 현저한 성형온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완전 성형은 물론 탄화되지 않고 일체로 압출, 접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고정부와 밀폐부 그리고 접착매개층이 완전한 형상으로 견고하게 접착, 성형, 압출되는 것이어서 안정적이고 균일한 품질의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을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접착매개층이 TPE 소재로 됨에 따라 추가로 부여되는 유연성에 의하여 밀폐부의 밀폐 기능을 향상시켜 수요자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방풍, 단열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 2는 종래의 방음 및 기밀 방지용 창호용 개스킷을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예시한 단면도 및 단축된 길이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이용한 시공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예시한 단면도 및 단축된 길이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이용한 시공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예시한 단면도 및 단축된 길이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이용한 시공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예시한 단면도 및 단축된 길이의 사시도.
도10는 도9의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을 이용한 시공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의 제조를 위한 3중 압출 설비를 예시한 평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가스켓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3, 5, 7, 9에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단열바의 기능을 갖는 고정부(100)와 개폐 부분의 밀폐 기능을 수행하는 밀폐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00)는 도4,6,8,10의 단면도로 보인 바와 같이 창호(6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창호(600) 내,외측의 열전도를 최소화시키는 단열바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도11로 예시한 바와 같은 설비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은 고정부(100)의 재질과 밀폐부(200)의 재질 그리고 이들을 결합시키고 있는 접착매개층(300)의 재질이 상이하며, 이러한 상이한 소재들이 일체로 압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상이한 소재의 레진(resin)을 투입하는 3개의 호퍼(401)와, 상기 호퍼(401)의 하방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히터에 의하여 가열함과 아울러 이송스크류(402)가 회동하면서 레진이 혼련, 용융되어 유동상태로 된 후 일단의 다이스(500)로 압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럴(403)이 구비된 3대의 압출기(400)와,
압출기(400)에 고정된 다이스(dies)(500)의 지정된 통로를 통과하여 일정한 형상이 되도록 한 후, 냉각수가 공급되는 미도시된 냉각수단으로 고화시키고 인취장치( Tensioning Capstan)에 의하여 인취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의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100), 밀폐부(200), 접착매개층(300)을 성형하기 위한 3종류의 수지를 각각의 압출기(400)를 경유하여 다이스(500)에 도달하고, 다이스(500)에서 일체로 접착된 상태로 압출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3가지 종류의 소재로 된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가스켓이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100)의 재질로 폴리아미드(PolyAmide ; 이하 'PA'라 함)를 사용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PA는 열전도성이 낮아 결로방지, 기밀성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하며 이와 함께 구조적인 안정성, 내구성을 가지므로 도4, 6, 8, 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창호(600)에 결합시켜 단열 성능을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밀폐부(200)는 TPV(Thermoplastic vulcanizates)로 성형하게 되고, 이는 유연한 소재이어서 창호(600)의 밀폐 및 방음을 위하여 가스켓(Gasket)으로 사용되는 것임은 공지된 바와 같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100)와 밀폐부(200)의 사이에 접착매개층(300)을 게재시켜 압출방법으로 접착시키게 되는 바, 이러한 접착매개층(300)은 TPE(Thermo Plastic Elastomer)로 된 것이므로 이는 고무와 PA의 성질을 지닌 올레핀 성분(PA, PP나 TPV와 화학적 상용성(相容性, compatibility)이 있는 성분)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11로 예시한 바와 같은 설비에 의하여 3가지 재질의 수지가 일체로 성형되면서 압출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접착매개층(300)에 의하여 서로 상용성이 없는 이질(異質)인 PA와 TPV가 TPE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접착,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PA의 성형온도는 250℃~ 290℃인 반면, TPV의 성형온도는 160℃ ~ 200℃이어서 성형온도 차가 크며, 이에 따라 두 소재를 압출 시 소재 사이의 접착부에 온도차이가 크므로 이들을 각각의 성형온도에 따라 이중 압출 방법으로 압출 성형하면 TPV의 경계면을 따라 탄화가 발생하여 밀폐부(200) 접착 불량 상태가 될 수 있으며,
PA의 성형 온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PA로 되는 고정부(100) 미성형의 문제가 초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매개층(300)을 게재시켜 압출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접착매개층(300)은 TPE이어서 성형온도가 160℃~250℃의 범위에 있으면서, 성형압출시에 고정부(100)인 PA나 밀폐부(200)인 TPV와의 경계면에서 각각 동일 성분이 접착되어 탄화가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3개의 소재 모두의 완전한 성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0)인 PA 성형온도를 270℃로 하고 밀폐부(200)인 TPV 성형온도를 180℃로 하며 접착매개층(300)인 TPE 성형온도를 200℃로 하여 3중 압출을 실시하였던 바,
TPE와 PA 경계면에서는 PA의 성형온도가 270℃로 TPE의 성형온도 상한 값 250℃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탄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TPE의 성분 중 PA의 성질을 지닌 올레핀 성분이 고정부(100)인 PA 소재와 결합됨에 기인하는 것이며, 이러한 PA의 성질을 가진 올레핀 성분이 TPE의 고온 관용성을 확장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PA의 완전한 성형 상태가 되고, TPE와 TPV의 경계면에서는 TPV의 성형온도범위 상한값이 200℃이므로 탄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TPV 역시 완전한 성형이 이루어져 양호한 형상의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0)인 PA 성형온도를 250℃로 하고 밀폐부(200)인 TPV 성형온도를 160℃로 하며 접착매개층(300)인 TPE 성형온도를 160℃로 하여 3중 압출을 실시하였던 바,
TPE와 PA 경계면에서는 TPE의 성형온도가 하한치이며, TPE의 성형상한온도가 250℃이므로 탄화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TPE와 TPV의 경계면에서는 두 재질의 성형온도범위 하한값이 공히 160℃이므로 미성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완전한 성형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0)인 PA 성형온도를 290℃로 하고 밀폐부(200)인 TPV 성형온도를 200℃로 하며 접착매개층(300)인 TPE 성형온도를 230℃로 하여 3중 압출을 실시하였던 바,
TPE와 PA 경계면에서는 PA의 성형온도가 290℃의 상한 온도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TPE의 경계면에 탄화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TPE의 현재 성형온도가 230℃임에도 불구하고 TPV의 경계면에 탄화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TPE의 성분이 PA의 성분과 같은 성질을 지닌 올레핀 성분으로 PA와 TPE의 경계면을 이루어 접착시킴에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TPE의 성형온도가 230℃이어서 밀폐부(200)인 TPV의 상한 성형온도인 200℃보다 높으나 TPE의 TPV와 동일한 성분이 경계면을 이루면서 접착층을 형성하여 TPV의 탄화를 방지하게 되어 탄화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실시예 3에서는 TPE가 양측의 온도 관용성을 확장시킴에 따라 성형 온도의 현저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접착이 가능하여 탄화를 방지하고 미성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100)의 재질로 폴리아미드(PolyAmide ; 이하 'PA'라 함)를 사용함과 아울러 밀폐부(200)는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 역시 열가소성 탄성체(TPE)의 일종이어서 유연한 소재이므로 창호(600)의 밀폐 및 방음을 위하여 가스켓(Gasket)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상기 고정부(100)와 밀폐부(200)의 사이에 접착매개층(300)을 게재시켜 압출방법으로 접착시키게 되는 바,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접착매개층(300)은 TPE(Thermo Plastic Elastomer)로 된 것이므로 이는 SEBS의 고무와 PA의 성질을 지닌 올레핀 성분 (PA, PP나 TPV와 화학적 상용성(相容性, compatibility)이 있는 성분)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11로 예시한 바와 같은 설비에 의하여 3가지 재질의 수지가 일체로 성형되면서 압출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접착매개층(300)에 의하여 서로 상용성이 없는 이질(異質)인 PA와 SEBS가 TPE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접착,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PA의 성형온도는 250℃~ 290℃인 반면, SEBS의 성형온도는 180℃ ~ 210℃이어서 성형온도 차가 크며 이에 따라 두 소재를 압출 시 소재 사이의 접착부에 온도차이가 크므로 이들을 각각의 성형온도에 따라 이중 압출 방법으로 압출 성형하면 SEBS의 경계면을 따라 탄화가 발생하여 밀폐부(200) 접착 불량 상태가 되며,
PA의 성형 온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PA로 되는 고정부(100) 미성형의 문제가 초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매개층(300)을 게재시켜 압출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접착매개층(300)은 TPE이어서 성형온도가 160℃~250℃의 범위에 있으며, 성형압출시에 고정부(100)인 PA나 밀폐부(200)인 SEBS와의 경계면에서 각각 동일 성분이 접착되어 탄화가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3개의 소재 모두의 완전한 성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0)인 PA 성형온도를 270℃로 하고 밀폐부(200)인 SEBS 성형온도를 180℃로 하며 접착매개층(300)인 TPE 성형온도를 200℃로 하여 3중 압출을 실시하였던 바,
TPE와 PA 경계면에서는 PA의 성형온도가 270℃로 TPE의 성형온도 상한 값 250℃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탄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TPE의 성분 중 PA의 성질을 지닌 올레핀 성분이 고정부(100)인 PA 소재와 결합됨에 기인하는 것이며, 이러한 PA의 성질을 가진 올레핀 성분이 TPE의 고온 관용성을 확장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PA의 완전한 성형 상태가 되고, TPE와 SEBS의 경계면에서는 SEBS의 성형온도범위 상한값이 210℃이므로 탄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TPV 역시 완전한 성형이 이루어져 양호한 형상의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0)인 PA 성형온도를 250℃로 하고 밀폐부(200)인 SEBS 성형온도를 180℃로 하며 접착매개층(300)인 TPE 성형온도를 160℃로 하여 3중 압출을 실시하였던 바,
TPE와 PA 경계면에서는 TPE의 성형온도가 하한치이며, TPE의 성형상한온도가 250℃이므로 탄화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TPE와 SEBS의 경계면에서는 두 재질의 성형온도범위 하한값이 공히 각각 180℃ 와 160℃이므로 미성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완전한 성형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0)인 PA 성형온도를 290℃로 하고 밀폐부(200)인 SEBS 성형온도를 200℃로 하며 접착매개층(300)인 TPE 성형온도를 230℃로 하여 3중 압출을 실시하였던 바,
TPE와 PA 경계면에서는 PA의 성형온도가 290℃의 상한 온도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TPE의 경계면에 탄화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TPE의 현재 성형온도가 230℃임에도 불구하고 TPV의 경계면에 탄화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TPE의 성분이 PA의 성분과 같은 성질을 지닌 올레핀 성분으로 PA와 TPE의 경계면을 이루어 접착시킴에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TPE의 성형온도가 230℃이어서 밀폐부(200)인 SEBS의 상한 성형온도인 210℃보다 높으나 TPE의 SEBS의 동일한 성분이 경계면에서 접착층을 이루면서 SEBS의 탄화를 방지하게 되어 탄화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실시예 6에서는 TPE가 양측의 온도 관용성을 확장시킴에 따라 성형 온도의 현저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접착이 가능하여 탄화를 방지하고 미성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 1
본 비교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0)인 PA 성형온도를 250℃로 하고 밀폐부(200)인 TPV 성형온도를 150℃로 하며 접착매개층(300)인 TPE 성형온도를 150℃로 하여 3중 압출을 실시하였던 바,
고정부(100)인 PA를 제외한 TPE와 TPV 공히 레진이 완전히 녹지 않아 압출 미성형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소재들의 접착 기능을 상실하여 접착이 불량한 제품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00)인 PA 성형온도를 340℃로 하고 밀폐부(200)인 TPV 성형온도를 220℃로 하며 접착매개층(300)인 TPE 성형온도를 240℃로 하여 3중 압출을 실시하였던 바,
PA의 흐름성이 빨라져 성형 형상 제어가 불안정하게 되고, TPE와 PA 경계면에서는 PA의 성형온도가 340℃의 상한 온도를 상회하는 온도이어서 TPE와의 경계면에 산발적인 탄화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TPV의 성형온도 역시 상한온도를 상회하는 온도이어서 산발적인 탄화의 문제가 발생되어 접착 상태가 불량하게 되므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고정부 200 : 밀폐부
300 : 접착매개층 400 : 압출기
401 : 호퍼 402 : 이송스크류
403 : 배럴 500 : 다이스
600 : 창호

Claims (5)

  1. 창호의 개폐에 따라 맞물리는 부위의 요입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맞물린 창호의 상호 접면 부위를 차단하기 위한 밀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와 밀폐부 사이에 상기 고정부와 밀폐부의 성분과 상용성을 갖는 올레핀 성분으로 된 접착매개층을 게재시켜 압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소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e)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소재는 TPV(Thermoplastic Vulcanizates)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매개층의 소재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소재는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KR1020190035783A 2019-03-28 2019-03-28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KR102188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783A KR102188401B1 (ko) 2019-03-28 2019-03-28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783A KR102188401B1 (ko) 2019-03-28 2019-03-28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295A true KR20200114295A (ko) 2020-10-07
KR102188401B1 KR102188401B1 (ko) 2020-12-08

Family

ID=7288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783A KR102188401B1 (ko) 2019-03-28 2019-03-28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4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74A (ko) * 1996-09-25 1998-07-06 케술린 엠. 데이빗트 도어 및 창문 채널 시일
JP3554736B2 (ja) * 1993-05-19 2004-08-18 メテオル グンミウエルケ ケー エッチ バジェ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カ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車輌密封体
JP2008023948A (ja) * 2006-07-25 2008-02-07 Sanko Chemical:Kk 複合成形品
KR20120010116A (ko) 2010-07-20 2012-02-02 (주)클래시스 냉각기능이 구비된 피부관리장치용 핸드피스
KR20120043536A (ko) 2010-10-26 2012-05-04 대양테크 (주) 구조 및 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가스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4736B2 (ja) * 1993-05-19 2004-08-18 メテオル グンミウエルケ ケー エッチ バジェ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カ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車輌密封体
KR19980024974A (ko) * 1996-09-25 1998-07-06 케술린 엠. 데이빗트 도어 및 창문 채널 시일
JP2008023948A (ja) * 2006-07-25 2008-02-07 Sanko Chemical:Kk 複合成形品
KR20120010116A (ko) 2010-07-20 2012-02-02 (주)클래시스 냉각기능이 구비된 피부관리장치용 핸드피스
KR20120043536A (ko) 2010-10-26 2012-05-04 대양테크 (주) 구조 및 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가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401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354B2 (en) Glass run for motor vehicle
CN101190651B (zh) 门洞装饰密封条
JPH01198345A (ja) 耐摩耗性の熱可塑性樹脂と耐候性ゴムとの積層品及びそれをつくるための粘着結合法
JP3030542U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材料とエラストマー材料とから成る複合部材及びその複合部材を製造する装置
US20120151842A1 (en) Glass run
ZA200509885B (en) Method for over-moulding a glazing,sealing joints and a mould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4797125B2 (ja) 芯材を有する押出し成形品
US11117455B2 (en) Seal for a lowerable window pane of a vehicle door window
KR102188401B1 (ko) 창호 프레임용 이질 소재 단열 가스켓
US5256361A (en) Method for forming bodies comprising previously crosslinked thermally stable resin and product made thereby
KR200442365Y1 (ko) 이중 단열 윈도우 프레임
US7758798B2 (en) Process for fabricating weatherseals
KR20120043536A (ko) 구조 및 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가스켓
KR102128758B1 (ko) 웨더 스트립 제조용 압출 금형 장치
KR102133748B1 (ko) 내, 외측 단열 성능 개선을 위한 창호
JP2010030571A (ja) 芯材を有する自動車用の押出し成形品
JP2002059493A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とその製造方法
JP2003205750A (ja) 車両用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及びその組立体
JP6986843B2 (ja) シール用樹脂成形品
CN205225031U (zh) 密封条、窗框、窗扇、门框和门扇
JP3296197B2 (ja) 車両用ガラスラン
JP2001097139A (ja) 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57463A (ko) 창틀용 필링피스
JP2008023948A (ja) 複合成形品
JP2007177133A (ja) シール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