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222A -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 Google Patents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222A
KR20200114222A KR1020190035570A KR20190035570A KR20200114222A KR 20200114222 A KR20200114222 A KR 20200114222A KR 1020190035570 A KR1020190035570 A KR 1020190035570A KR 20190035570 A KR20190035570 A KR 20190035570A KR 20200114222 A KR20200114222 A KR 20200114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cover
user
skin beau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845B1 (ko
Inventor
박상진
홍정택
Original Assignee
박상진
주식회사 비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진, 주식회사 비트라 filed Critical 박상진
Priority to KR102019003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84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N2001/083Monitoring integrity of contacts, e.g. by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5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radi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마스크는 외측면에 터치패드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덮는 마스크 형상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파장의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와,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눈 주위를 밀착하면서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전도성 재질의 지지부와, 상기 터치패드의 접촉을 감지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지지부의 접촉을 감지시 동작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터치패드로부터의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패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미용마스크 착용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착용시 피부에 조명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SMART SKIN BEAUTY MASK}
본 발명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면에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오늘날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저주파, 고주파 등을 이용한 비침습적 의료미용 기술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중 고주파를 이용하는 기술은 전자파의 고주파를 이용하는 경우 30KHz 이상의 교류를 피부에 자극시켜 혈액 환경을 자극하여 조직 내에서 열을 발생시켜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게 된다. 이러한 자극은 화장품을 피부 깊숙이 침투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피부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술 중에 광원을 이용하는 기술은, 빛이 피부 내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하는 사실에 기반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로는 레이저, UV 램프 등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는 기술들이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광원을 이용하는 기술은 피부 관리뿐만 아니라,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하여도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광원을 이용하여 피부 조직의 재생 또는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피부과 등에 방문하지 않고도, 가정에서 개인용으로 광원을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3698호(2018년06월01일 공고)는 이온도입 기능을 갖는 LED 마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마스크부, 마스크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LED를 조사하는 LED부, 마스크부에, 사용자의 얼굴 피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된 이온도입부, 이온도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을 띄는 것으로서, 이온도입부로 음이온이 집중되도록 하는 대극봉부, 및 LED부 및 이온도입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위치 동작에 의해 조명이 조사되어, 눈에 조명이 직접적으로 조사되어 시력을 약화시키거나, 제대로 피부에 접촉이 되지 않아 이온도입이 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엘이디 조명이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오동작을 하지 않도록 예방하여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에 엘이디 조명을 패턴을 다르게 조사하면서 이온을 주입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명 제어를 할 수 있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마스크는 외측면에 터치패드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덮는 마스크 형상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파장의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와,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눈 주위를 밀착하면서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전도성 재질의 지지부와, 상기 터치패드의 접촉을 감지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지지부의 접촉을 감지시 동작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터치패드로부터의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패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위에 접촉하여 전자기 이온을 공급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한 쌍의 이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이온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터치패드로부터의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이온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기울기, 위치, 이동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의 움직임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세기, 방향, 시간,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의 온도정보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난방모드, 냉방모드 및 송풍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엘이디 조명이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동작을 하지 않도록 예방하여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에 엘이디 조명을 패턴을 다르게 조사하면서 이온을 주입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명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중 조명부가 부위별로 서로 다른 패턴으로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중 지지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중 제어부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중 커버부의 위치에 따라 사용상태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에 송풍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에 통신부가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중 조명부가 부위별로 서로 다른 패턴으로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중 지지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중 제어부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는 커버부(110), 조명부(120), 지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a)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의 외측면을 나타내고, (b)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의 내측면을 나타낸다.
커버부(110)는 외측면에 터치패드(111)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덮는 마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터치패드(111)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터치패드(111)는 커버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위치와 개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커버부(110) 중 눈 부위는 반사필름(112)이 형성되어 외부에서는 내부가 보이지 않고, 내부에서는 외부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110)의 코 부위에는 복수의 관통공(113)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10)의 양측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114)가 형성된다. 조절부(114)는 사용자의 두상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견고히 안면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조절부(114)는 'V'자 형상의 스트랩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홈을 통해 길이를 조절하면서, 머리의 상방과 후방을 각각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부(110)의 내측에는 배터리(115)가 내장된다. 배터리(115)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로 형성된다. 배터리(115)는 솔라셀을 이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부(11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지지부(130)가 형성되어 얼굴과 커버부(110) 사이를 이격시킨다. 지지부(130)는 사용자의 코에 걸쳐지면서 눈 주위를 밀폐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명부(120)는 커버부(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측면으로 기 설정된 파장의 조명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조명부(120)는 복수의 엘이디로 형성되어 점멸 제어된다. 조명부(120)는 사용자의 피부에 기 설정된 패턴의 조명을 조사하여 피부를 살균하여 재생시키도록 한다. 조명부(120)는 다양한 색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조명부(120)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가시광선 영역의 조명을 출력하거나, 적외선 영역의 조명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120)는 일부 영역에는 조명을 출력하고 일부 영역에는 조명을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부(120)는 사용자의 얼굴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의 조명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마, 눈 주위, 볼 주위, 턱 주위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세기와 패턴의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조명부(120)는 적어도 60~100개의 엘이디(LED)로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조명부(120)는 이마 부분인 (a)영역, 눈 부분인 (b)영역, 볼 부분인 (c)영역으로 나뉘어서 점멸이 차등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조명부(120)는 패턴은 부위별로 다르게 설정되거나 순차적인 점멸패턴으로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조명부(120)는 방사형으로 점멸 패턴의 조명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130)는 커버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사용자의 눈 주위에 밀착하면서 커버부(110)를 지지한다. 지지부(130)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부(110)와 피부 사이를 이격시킨다. 지지부(130)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안착시 피부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감지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지지부(130)가 사용자의 안면부에 안착된 경우에만 조명부(1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조명부(120)의 조명이 눈에 침투하여 시력을 훼손하거나 눈부심 등의 불편을 주지 않도록 눈 주위에 밀착하여 조명을 차단한다. 지지부(130)는 실리콘 등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피부의 곡면에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30)는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제1 지지부(131) 및 제2 지지부(132)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31)는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전도성 부위다. 제2 지지부(132)는 제1 지지부(131)의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전도성 부위다.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는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제대로 착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31)에는 접촉이 감지되고, 제2 지지부(132)에는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조명부(120)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또한, 지지부(130)는 3개의 영역을 구분된 제1 지지부(131), 제2 지지부(132) 및 제3 지지부(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중앙의 제1 지지부(131)의 양측으로 제2 지지부(132) 및 제3 지지부(133)가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131) 내지 제3 지지부(133) 중 어느 하나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조명부(120)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아동이 착용시 동작하지 않도록 하거나, 얼굴 부위에 정확한 위치에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지지부(130)는 보조받침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받침부(134)는 지지부(13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볼 주위를 지지하여 지지부(130)의 무게를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받침부(134)는 절곡형 구조로 형성되어 안면부의 볼 부위를 가압함으로써 콧등에 가해지는 지지부(130)의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장시간 착용한 경우에도 콧등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어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터치패드(111)로부터의 터치입력에 따라 조명부(120)의 패턴을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초기에는 조명부(120)를 슬립모드로 유지한다(S110). 다음으로, 터치패드(111)의 접촉을 감지한다(S120). 터치패드(111)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조명부(120)를 슬립모드로 유지한다. 터피패드의 접촉이 감지되면 조명부(120)를 슬립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한다(S130).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지지부(130)의 접촉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140). 이 경우, 지지부(130)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조명부(120)를 대기모드로 유지한다. 지지부(130)의 접촉이 감지되면 조명부(120)를 대기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한다(S150).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단순히 터치패드(111)의 조작만으로는 조명부(120)를 제어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착용하여 지지부(130)에 접촉이 감지되어야만 조명부(1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패드(111)를 단순 접촉시에 조명부(120)가 동작하지 않음으로써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지지부(130)가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로 구분되는 경우,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 모두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조명부(120)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경우 조명부(120)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지지부(130)가 제1 지지부(131), 제2 지지부(132) 및 제3 지지부(133)로 구분되는 경우 제1 지지부(131) 내지 제3 지지부(133) 중 어느 하나라도 접촉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 조명부(120)를 대기모드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제대로 착용하도록 유도하고, 아동이 착용하는 경우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는 이온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온부(150)는 커버부(110)의 내측에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위에 접촉하여 전자기 이온을 공급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온부(150)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착용시 관자놀이에 이온부(150)가 접촉하도록 하여 이온 전하를 주입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온부(150)는 한 쪽이 벌어진 'ㄷ'자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하여 접촉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벌어진 일측은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이온부(150)의 비접촉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지지부(130)와 이온부(150)의 접촉이 감지되면 조명부(120)를 대기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터치패드(111)로부터의 터치입력에 따라 이온부(150)를 동작시킨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터치패드(111)의 입력과 지지부(130)의 접촉시 조명부(120)는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이온부(150)는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이 후, 이온부(150)에 접촉이 감지되면 이온부(150)도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140)는 터치패드(111), 지지부(130) 및 이온부(150)의 접촉이 모두 감지된 경우에만 조명부(120) 및 이온부(150)를 구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정확하게 착용한 상태인 경우에 조명부(120) 또는 이온부(15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함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중 커버부의 위치에 따라 사용상태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는 움직임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감지부(160)는 커버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커버부(110)의 기울기, 위치, 이동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와, 착용하고 있는 자세정보 등을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커버부(110)의 움직임정보에 따라 조명부(120)의 세기, 방향, 시간, 패턴을 가변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커버부(110)의 움직임정보에 따라 조명부(120)의 세기, 방향, 시간, 패턴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착용하고 앉아 있는지, 누워 있는지, 걷는 중인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걷는 경우라 판단되면 조명부(12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얼굴이 아닌 머리에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착용한 경우 조명부(120)의 점멸 패턴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지지부(130)를 커버부(110)로부터 탈착하거나, 커버부(110)가 수평으로 위치하면서 지지부(130)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머리에 조명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뿐만 아니라 두피에 조명을 조사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에 송풍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는 온도감지부(170) 및 송풍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70)는 커버부(110) 내측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감지부(170)는 사용자가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내측면의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 피부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70)는 커버부(110)의 내측 외에 외측의 온도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110)의 외측 온도를 통해 기온을 파악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70)는 커버부(110)의 내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온도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송풍부(180)는 커버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커버부(110)의 내측면으로 공기를 분사한다. 송풍부(180)는 냉온기능을 포함하여 커버부(110) 내측으로 냉풍 또는 열풍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부(180)는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킬 수 있다. 송풍부(180)는 커버부(110)의 내측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송풍량, 속도 등을 조절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커버부(110) 내측면의 온도정보에 따라 송풍부(180)를 난방모드, 냉방모드 및 송풍모드로 동작시킨다. 제어부(140)는 커버부(110) 내측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에 통신부가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는 통신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0)과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190)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의 동작정보, 움직임정보, 온도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조명부(120)의 패턴정보, 이온부(150)의 동작정보, 송풍부(180)의 동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동작정보에 대한 누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피부미용마스크
110 : 커버부
111 : 터치패드
112 : 반사필름
113 : 관통공
114 : 조절부
115 : 배터리
120 : 조명부
130 : 지지부
131 : 제1 지지부
132 : 제2 지지부
133 : 제3 지지부
134 : 보조받침부
140 : 제어부
150 : 이온부
160 : 움직임감지부
170 : 온도감지부
180 : 송풍부
190 : 통신부

Claims (5)

  1. 외측면에 터치패드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얼굴 부위를 덮는 마스크 형상의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파장의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눈 주위를 밀착하면서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전도성 재질의 지지부; 및
    상기 터치패드의 접촉을 감지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지지부의 접촉을 감지시 동작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터치패드로부터의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패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위에 접촉하여 전자기 이온을 공급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한 쌍의 이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이온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터치패드로부터의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이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기울기, 위치, 이동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의 움직임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세기, 방향, 시간,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의 온도정보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난방모드, 냉방모드 및 송풍모드로 동작시키는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KR1020190035570A 2019-03-28 2019-03-28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KR102293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570A KR102293845B1 (ko) 2019-03-28 2019-03-28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570A KR102293845B1 (ko) 2019-03-28 2019-03-28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222A true KR20200114222A (ko) 2020-10-07
KR102293845B1 KR102293845B1 (ko) 2021-08-25

Family

ID=7288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570A KR102293845B1 (ko) 2019-03-28 2019-03-28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765A (ko) * 2021-03-15 2022-09-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녹내장 치료를 위한 림프 혈류 순환 촉진 스마트 디바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20B1 (ko) * 2013-11-12 2015-09-04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20180038199A (ko) * 2016-10-06 201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KR101924549B1 (ko) * 2017-10-31 2018-12-04 박미라 마우스피스 고정용 헤드기어
KR20180134624A (ko) * 2017-06-09 2018-12-19 (주)셀리턴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KR20190018383A (ko) * 2017-08-14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20B1 (ko) * 2013-11-12 2015-09-04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20180038199A (ko) * 2016-10-06 201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KR20180134624A (ko) * 2017-06-09 2018-12-19 (주)셀리턴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KR20190018383A (ko) * 2017-08-14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KR101924549B1 (ko) * 2017-10-31 2018-12-04 박미라 마우스피스 고정용 헤드기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765A (ko) * 2021-03-15 2022-09-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녹내장 치료를 위한 림프 혈류 순환 촉진 스마트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845B1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023B2 (en) Portable device
KR20190125528A (ko) 광 치료 플랫폼 시스템
WO2016080338A1 (ja) 温熱装置
KR101932579B1 (ko) 피부관리기
KR101954018B1 (ko) 얼굴 마사지기
CN108187236B (zh) 多功能生发仪及系统
US11123572B2 (en) Eyewear phototherapy device for eye cosmetology
KR101851179B1 (ko) 눈 냉온 마사지기
CN104069579A (zh) 一种睡眠美容眼罩系统
KR102223108B1 (ko) Led 마스크
KR20220024872A (ko) 조절 가능한 치료용 안면 마스크
KR102293845B1 (ko)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JP2000225141A (ja) 電池温熱式アイマスク
KR101845869B1 (ko) 광 테라피 글래스 및 광 테라피 글래스의 미용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CN211383501U (zh) 一种基于光学动力技术的led红蓝光美容仪
KR20200137489A (ko) 목 피부 미용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목 피부 미용기기 세트
CN213407505U (zh) 一种新型近视弱视防控治疗仪
KR20140115709A (ko) 광파장을 이용한 기능성 신발 깔창
JP7250491B2 (ja) 美容器
CN209548543U (zh) 石墨烯嫩肤仪
CN111603678A (zh) 用于个性化面部皮肤护理的接触式多合一皮肤美容仪
CN220757823U (zh) 光护理设备
CN217218225U (zh) 一种具有多档位调节发光可拆卸眼镜的服装
CN219595644U (zh) 面罩和面罩组件
KR102430509B1 (ko) 돔 사우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